KR20100034178A -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 Google Patents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4178A
KR20100034178A KR1020080093183A KR20080093183A KR20100034178A KR 20100034178 A KR20100034178 A KR 20100034178A KR 1020080093183 A KR1020080093183 A KR 1020080093183A KR 20080093183 A KR20080093183 A KR 20080093183A KR 20100034178 A KR20100034178 A KR 20100034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table means
rail bike
stopper
bi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8364B1 (ko
Inventor
문정복
Original Assignee
(주)한국에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에이앤지 filed Critical (주)한국에이앤지
Priority to KR1020080093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364B1/ko
Publication of KR20100034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1/00Turntables; Traversers;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other rail vehicles or dollies
    • B61J1/02Turntables; Integral s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5/00Autocar-like self-drivers; Runwa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력에 의하지 않더라도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하고, 레일바이크가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며,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도록 하는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는, 상부면에 레일바이크가 주행할 수 있는 레일이 장착되고 하부면에 원주형상을 이루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중앙부를 축으로 축회전 가능한 원형의 테이블수단과, 테이블수단의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테이블수단의 하부면 중앙부에 결합되는 축회전수단과, 테이블수단의 가이드부에 접촉되도록 마련되어 테이블수단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롤러수단과, 테이블수단의 가이드부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되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구동롤러수단과 함께 테이블수단의 가이드부에 대응되도록 배열되는 아이들롤러수단과, 테이블수단의 상부에 레일바이크가 위치고정되면 테이블수단이 축회전되도록 구동롤러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0093183
레일바이크, 턴테이블, 축회전수단, 구동롤러수단, 아이들롤러수단, 스토퍼수단, 음성송출수단, 이탈방지수단

Description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TURN TABLE APPARATUS FOR RAILBIKE}
본 발명은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턴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일바이크(Railbike)는 철로 위에서 탑승자가 페달을 밟아 철로 위를 움직이는 탈 것의 하나로,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철로 위에 설치되어 놀이기구로 이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이용되고 있는 레일바이크는 하나의 레일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모노형 레일바이크와 두개의 레일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4륜형 레일바이크가 있는데, 레일바이크는 탑승자가 페달을 밟아 출발지에서 출발한 후 도착지에서 주행방향을 전환시켜 원 출발지로 돌아오는 형태로 주행되고 있으며, 원 출발지로 돌아온 레일바이크로 다시 출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또 다시 방향을 전환시켜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을 전환시키고자 하는 경우, 무거운 레일바이크를 인력으로 직접 들어 방향을 전환시켜야 했기 때문에 대단히 힘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06375호가 제안된 바 있는데, 이는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을 구비하여, 손쉽게 방향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등록실용신안 제20-0406375호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턴테이블의 상부면에 아치형으로 구비된 가드를 사람이 직접 손으로 밀어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도착지에 도착하여 턴테이블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탑승자가 레일바이크로부터 내려야 하던가 또는 도착지에 별도의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어야 하며, 또한 레일바이크의 하중에 탑승자의 하중까지 더해져 무게가 무거워지므로, 인력으로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데에 지나치게 많은 힘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탑승자 또는 관리자가 가드를 손으로 잡고 턴테이블을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레일의 외곽에 서 있는 상태로 회전시키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어, 가드를 잡고 레일 상을 지나가면서 회전을 시켜야 하므로, 이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의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레일바이크는 탑승자의 조작으로 주행하거나 정지하는 것인데, 턴테이블 상에서 레일바이크를 정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정지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탑승자가 레일바이크에 장착된 브레이크 수단을 이용해 턴테이블 상에 레일바이크를 위치시켜야 하는데, 이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레일바이크가 턴테이블 상에 정지되지 않고 일정거리로 지나쳐 버린 경우에는 탑승자가 내린 다음 레일바이크를 뒤로 끌어 턴테이블 상에 위치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턴테이블을 회전시키기 위해 가드와 같은 별도의 구조물이 턴테이블 상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승·하차시 머리나 신체의 일부가 부딪혀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력에 의하지 않더라도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하고, 레일바이크가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며,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도록 하는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면에 레일바이크가 주행할 수 있는 레일이 장착되고 하부면에 원주형상을 이루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중앙부를 축으로 축회전 가능한 원형의 테이블수단과, 상기 테이블수단의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테이블수단의 하부면 중앙부에 결합되는 축회전수단과, 상기 테이블수단의 가이드부에 접촉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테이블수단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롤러수단과, 상기 테이블수단의 가이드부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되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구동롤러수단과 함께 상기 테이블수단의 가이드부에 대응되도록 배열되는 아이들롤러수단과, 상기 테이블수단의 상부에 레일바이크가 위치고정되면 상기 테이블수단이 축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롤러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테이블수단의 레일 상을 주행하는 레일바이크가 상기 테이블수단의 상부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수단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스토퍼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레일 상을 주행하는 레일바이크가 상기 테이블수단의 소정거리까지 접근을 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스토퍼수단을 작동시키도록 신호를 보내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은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레일바이크의 서행 및 정지에 대한 음성정보를 제공하는 음성송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테이블수단의 상부면에 위치된 레일바이크가 상기 테이블수단의 축회전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스토퍼수단과 대칭되는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이탈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테이블수단은 다수개가 상호 직교하여 결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외곽을 연결하는 반원형프레임을 갖는 제1테이블프레임과, 상기 제1테이블프레임과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테이블프레임과 결합되어 원형의 테이블을 형성하는 제2테이블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테이블프레임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며 상부면이 엠보싱 처리된 스테인레스 강판과, 상기 스테인레스 강판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며 상부면에 레일이 장착되는 철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축회전수단은 상기 테이블수단의 중앙부 하방의 지면에 고정되며 소정높이로 돌출되는 고정샤프트와, 상기 고정샤프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부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테이블수단의 하부면 중앙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구동롤러수단에 의해 회전력이 제공될 때 상기 고정샤프트를 축으로 상기 테이블수단과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중공부 내측과 상기 고정샤프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구동롤러수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받침대와, 상기 고정받침대의 상부에 장착되는 롤러샤프트와, 상기 롤러샤프트의 외측에 결합고정되어 일체로 축회전 가능하며 테두리의 상면이 상기 테이블수단의 가이드부에 접촉되는 우레탄롤러와, 상기 롤러샤프트의 일단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토퍼수단은 피스톤로드가 상기 테이블수단으로 진입하는 레일바이크를 향하도록 상기 테이블수단의 상부면에 장착되되 일단부가 상기 테이블수단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실린더부재와, 상기 테이블수단의 상부면에 상기 실린더부재와 평행하도록 인접하여 장착되되 일단부가 상기 테이블수단에 힌지결합되는 스토퍼부재와, 양단이 상기 실린더부재의 피스톤로드의 끝단부 및 상기 스토퍼부재의 중앙부 각각에 결합되는 연결힌지를 포함하여, 상기 피스톤로드의 전진시 상기 스토퍼부재가 상기 테이블수단의 상부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후퇴시 상기 스토퍼부재가 상기 테이블수단의 상부면에 수평방향으로 뉘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스토퍼 부재에 부착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에 의하면, 구동롤러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으로 테이블수단이 축회전수단을 통해 축회전되어, 테이블수단의 상부에 위치한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이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에,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 전환을 위한 별도의 인력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주행방향 전환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도 없다.
또한, 테이블수단에 실린더를 이용한 스토퍼수단이 장착됨으로써, 레일 상을 주행하는 레일바이크가 테이블수단의 상부에서 정지될 수 있기 때문에, 레일바이크를 정지시키기 위해 탑승자가 별도로 정확한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레일바이크를 테이블수단의 상부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스토퍼수단과 대칭되는 위치에 이탈방지수단이 장착됨으로써, 테이블수단이 축회전될 때 레일바이크가 외부로 이탈될 염려가 없어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음성송출수단이 마련됨으로써 테이블수단에 접근한 레일바이크의 탑승자에게 서행 및 정지에 대한 음성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의 축회전수단의 정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의 구동롤러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b 도 1에 도시된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의 스토퍼수단의 평면도 및 작동도이다.
도 1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는 테이블수단(100), 축회전수단(200), 구동롤러수단(300), 아이들롤러수단(400), 제어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스토퍼수단(500),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 음성송출수단(도시되지 않음), 이탈방지수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수단(100)은 원형의 판형상을 갖는 것으로, 중앙부를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상부면에 위치되는 레일바이크(1)의 주행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수단(100)의 상부면에는 레일바이크(1)가 주행할 수 있는 레일(150)이 장착되고, 하부면에는 원주형상을 이루는 가이드부(160)가 형성되며, 테이블수단(100)의 하부에 테이블수단(100)을 축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롤러수단(300), 아이들롤러수단(400), 축회전수단(200) 등이 마련된다.
여기서, 테이블수단(100)에 장착되는 레일(150)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4륜형 레일바이크(1)의 주행을 위한 레일이 설치될 수 있지만, 이외에도 모노형 레일바이크의 주행을 위한 레일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로써 4륜형 및 모노형 레일바이크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160)는 테이블수단(100)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되 대략 원주형상을 갖는데, 이 가이드부(160)의 하부면에는 구동롤러수단(300) 및 아이들롤러수단(400)이 직접적으로 접촉된다.
이러한 테이블수단(100)은 단순히 원형의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겠으나, 그 하부 또는 상부에 마련되는 다른 구성들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제1테이블프레임(110)과 제2테이블프레임(1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테이블프레임(110)은 다수개가 상호 직교하여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12)과, 수평프레임(112)의 외곽을 연결하는 반원형프레임(114)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제2테이블프레임(120)은 제1테이블프레임(110)과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제1테이블프레임(110)과 제2테이블프레임(120)은 서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원형의 테이블을 형성하며, 이때 제1테이블프레임(110)과 제2테이블프레임(120) 각각의 지름부를 접촉시킨 후 볼트체결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160)는 제1테이블프레임(110)과 제2테이블프레임(120) 각각의 하부면에 반원의 원주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1테이블프레임(110)과 제2테이블프레임(120)이 결합된 경우 가이드부(160)도 전체적으로 원주형상을 이루게 된다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수단(100)은 제1테이블프레임과 제2테이블프레임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원형의 테이블 상에 안착고정되는 스테인레 스 강판(130)과, 스테인레스 강판(130)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는 철판(1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테인레스 강판(13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상부면이 엠보싱 처리되어 레일바이크(1)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에 의한 충격력을 흡수 분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철판(140)은 스테인레스 강판(130)의 엠보싱 처리된 면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면에는 레일바이크(1)가 주행할 수 있는 레일(150)이 장착된다.
축회전수단(200)은 테이블수단(100)이 축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수단(100)의 하부면 중앙부에 결합되는데,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샤프트(210), 회전부재(220), 베어링(2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샤프트(210)는 테이블수단(100)의 중앙부 하방의 지면에 고정되며 수직방향으로 소정높이 돌출된다. 그리고, 회전부재(220)는 테이블수단(100)의 하부면 중앙에 결합고정되되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샤프트(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부(222)를 갖는다. 그리고, 회전부재(220)의 중공부(222) 내측과 고정샤프트의 사이에는 회전부재(220)가 고정샤프트(210)를 축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230)이 설치된다. 한편, 회전부재(220)는 테이블수단(100)의 하부면에 고정이 되기 때문에 구동롤러수단(300)에 의한 회전력이 테이블수단(100)에 제공되면 테이블수단(100)과 회전부재(220)는 일체로 고정샤프트(210)를 축으로 축회전된다.
구동롤러수단(300)은 테이블수단(1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수단(100)의 가이드부(160)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는데, 특히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받침대(310), 롤러샤프트(320), 우레탄롤러(330), 구동모터(3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받침대(310)는 테이블수단(100) 하방의 지면에 고정되어 롤러샤프트(320), 우레탄롤러(330) 및 구동모터(340)의 장착을 위한 받침대 역할을 하는 것이며, 복수의 수평 및 수직프레임(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이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롤러샤프트(320)는 고정받침대(310)의 상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어 우레탄롤러(330)의 회전축의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또한, 우레탄롤러(330)는 롤러샤프트(320)의 외측에 결합고정되어 롤러샤프트(320)와 일체로 축회전 가능한데, 테두리의 상면은 테이블수단의 가이드부(16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우레탄롤러(330)에 의한 회전력이 가이드부(160)를 통해 테이블수단(100) 전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340)는 롤러샤프트(320)의 일단과 체인(342)으로 연결되어 우레탄롤러(330)가 축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아이들(Idle)롤러수단(400)은 테이블수단(100)이 구동롤러수단(300)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은 경우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수단(100)의 가이드부(160)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아이들롤러수단(400)과 구동롤러수단(300)은 전체적으로 테이블수단(100)의 가이드부(160)에 대 응되도록 원주형상으로 배열되는데, 복수개의 아이들롤러수단(400)이 마련됨으로 인해 구동롤러수단(300)의 구동모터(340)에 의한 구동력만으로도 테이블수단(100)을 축회전시키는데 충분하며, 추가적인 구동수단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아이들롤러수단(400)은 테두리의 상면이 테이블수단(100)의 가이드부(160)에 접촉되는 아이들롤러(410)와, 테이블수단 하방의 지면에 지면에 고정되어 아이들롤러(410)를 지지하는 받침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수단(도시되지 않음)은 레일바이크(1)가 테이블수단(100)의 상부에 위치고정된 경우 구동롤러수단(300)의 구동을 제어하여 테이블수단(100)의 축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수단은 테이블수단(100)의 상부에 위치한 레일바이크(1)의 방향이 180° 전환되도록 구동롤러수단(300)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수단은 스토퍼수단(500), 음성송출수단 및 이탈방지수단(6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도 하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스토퍼수단(500)은 테이블수단(100)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레일(150) 상을 주행하는 레일바이크(1)가 테이블수단(100)을 지나치지 않고 정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재(510), 스토퍼부재(520), 연결힌지(5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의 경우 그 상부에 레일바이크를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탑승자가 속도를 적절히 조절하여야만 했기 때문에 레일바이크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는데 어려움이 많았는데, 스토퍼수단은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탑승자가 어떠한 조치를 취하지 않더라도 레일바이크가 테이블수단의 상부에 자동 으로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실린더부재(510)는 피스톤로드(512)가 테이블수단(100)으로 진입하는 레일바이크(1)를 향하도록 테이블수단(100)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일단부(피스톤로드의 반대쪽 단부)가 테이블수단(100)의 상부면에 힌지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실린더부재(510)는 제어수단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그리고, 스토퍼부재(520)는 테이블수단(100)의 상부면에 실린더부재(510)와 평행한 방향으로 인접하여 장착되며, 일단부가 테이블수단(100)의 상부면에 힌지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다. 이때, 스토퍼부재(520)와 실린더부재(510)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스토퍼부재(520)의 일단부가 실린더부재(510)의 일단부의 반대쪽에 위치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연결힌지(530)는 실린더부재(510)의 피스톤로드(512)가 전진하는 경우 실린더부재(510) 및 이에 인접하여 배치된 스토퍼부재(52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피스톤로드(512) 및 스토퍼부재(52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단은 실린더부재(510)의 피스톤로드(512)의 끝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스토퍼부재(520)의 중앙부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재(510)의 피스톤로드(512)가 전진하게 되면, 피스톤로드(512)와 연결힌지(530)에 의해 연결된 스토퍼부재(520)가 힌지축(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을 축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세워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실린더부재(510)도 힌지축(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을 축으로 하여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피스톤로드(512)가 완전하게 전진하게 되면, 스토퍼부재(520)는 테이블수단(100)의 상부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진입하는 레일바이크(1)의 주행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실린더부재(510)는 테이블수단(100)의 상부면과 소정의 경사로 기울어져 스토퍼부재(520)를 그 회동방향으로 가압지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스토퍼부재(520)가 세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레일바이크(1)가 스토퍼부재(520)에 부딪히더라도 레일바이크(1)의 주행이 정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수단(500)은 스토퍼부재(520)에 부착되는 완충패드(5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완충패드(540)는 레일바이크(1)가 부딪힘으로 인해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완충패드(540)는 스토퍼부재(52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경우 그 상단에 위치되도록 스토퍼부재(520)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재질로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충격흡수부재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는 레일 상을 주행하는 레일바이크(1)가 테이블수단(100)의 소정거리까지 접근을 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이 스토퍼수단(500)을 작동시키도록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설치장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테이블수단(100) 상이나 테이블수단(100)의 주변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은 제어수단은 레일바이크(1)가 테이블수단(100)의 상부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스토퍼수단(500)을 작동시키게 된다.
음성송출수단(도시되지 않음)은 레일바이크(1)가 테이블수단(100)의 소정거 리까지 접근을 한 경우, 탑승자에게 레일바이크(1)를 서행시킨 후 정지시키도록 음성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일바이크(1)가 테이블수단(100)의 소정거리까지 접근을 하면,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으로 신호를 보내고, 제어수단은 스토퍼수단(5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전후나 동시에 음성송출수단을 제어하여, 음성송출수단이 탑승자에게 서행 및 정지에 대한 음성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탈방지수단(600)은 스토퍼수단(500)에 의해 레일바이크(1)가 테이블수단(100)의 상부에서 정지된 후 테이블수단(100)이 축회전되는 과정에서 레일바이크(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레일바이크(1)는 테이블수단(100)의 상부에 어떠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테이블수단(100)의 축회전에 따른 원심력으로 인해 레일바이크(1)가 레일(150) 상에서 이동되어 테이블수단(100)의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할 염려가 있는데, 이탈방지수단(600)은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이탈방지수단(60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수단(500)과 대칭되는 위치에 장착된다. 그리고, 이탈방지수단(600)은 실린더부재(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 이탈방지부재(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 및 연결힌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는 스토퍼수단(500)의 실린더부재(510), 스토퍼부재(520) 및 연결힌지(5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여기에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탈방지수단(600)은 레일바이크(1)가 스토퍼수단(500)에 의해 테이블 수단(100)의 상부에서 정지된 후 작동되도록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때 레일바이크(1)가 스토퍼수단(500)에 부딪힘을 감지하여 제어수단이 이탈방지수단(600)을 작동시키도록 신호를 보내는 별도의 감지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탈방지수단(600)이 마련됨에 따라, 테이블수단(100)의 상부에 위치한 레일바이크(1)는 전방의 스토퍼수단(500)과 후방의 이탈방지수단(60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테이블수단(100)이 축회전되더라도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할 여지가 없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에 의해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이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레일(R) 상을 주행하는 레일바이크(1)가 턴테이블 장치의 소정거리까지 접근한 경우,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으로 신호를 보내며, 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은 제어수단은 음성송출수단이 서행 및 정지에 대한 음성정보를 송출하도록 제어를 하고, 이에 따라 레일바이크(1)의 탑승자에게 서행 및 정지에 대한 음성정보가 제공되어 탑승자는 서행을 한 후 정지시키게 된다.
그러고 나서, 제어수단의 제어로 스토퍼수단(500)이 작동되며, 레일바이크(1)가 다시 주행을 하여 테이블수단(100)으로 진입하면, 제어수단의 제어로 이탈방지수단(600)이 작동된다.
그러고 나서, 제어수단은 구동롤러수단(300)을 구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테이블수단(100)이 축회전수단(200)을 통해 180°회전되어 레일바이크(1)의 주행방향이 전환된다.
그러고 나서, 제어수단의 제어로 스토퍼수단(500)과 이탈방지수단(600)의 작동이 해제되며, 이후 레일바이크(1)는 최초 주행방향의 역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의 축회전수단의 정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의 구동롤러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a 내지 도 4b 도 1에 도시된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의 스토퍼수단의 평면도 및 작동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에 도시된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0 : 테이블수단 110 : 제1테이블프레임
112 : 수평프레임 114 : 반원형프레임
120 : 제2테이블프레임 130 : 스테인레스 강판
140 : 철판 150 : 레일
160 : 가이드부 200 : 축회전수단
210 : 고정샤프트 220 : 회전부재
222 : 중공부 230 : 베어링
300 : 구동롤러수단 310 : 고정받침대
320 : 롤러샤프트 330 : 우레탄롤러
340 : 구동모터 342 : 체인
400 : 아이들롤러수단 500 : 스토퍼수단
510 : 실린더부재 512 : 피스톤로드
520 : 스토퍼부재 530 : 연결힌지
540 : 완충패드 600 : 이탈방지수단

Claims (10)

  1. 상부면에 레일바이크가 주행할 수 있는 레일이 장착되고, 하부면에 원주형상을 이루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중앙부를 축으로 축회전 가능한 원형의 테이블수단;
    상기 테이블수단의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테이블수단의 하부면 중앙부에 결합되는 축회전수단;
    상기 테이블수단의 가이드부에 접촉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테이블수단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롤러수단;
    상기 테이블수단의 가이드부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되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구동롤러수단과 함께 상기 테이블수단의 가이드부에 대응되도록 배열되는 아이들롤러수단; 및
    상기 테이블수단의 상부에 레일바이크가 위치고정되면, 상기 테이블수단이 축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롤러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수단의 레일 상을 주행하는 레일바이크가 상기 테이블수단의 상부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수단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스토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레일 상을 주행하는 레일바이크가 상기 테이블수단의 소정거리까지 접근을 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스토퍼수단을 작동시키도록 신호를 보내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은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레일바이크의 서행 및 정지에 대한 음성정보를 제공하는 음성송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수단의 상부면에 위치된 레일바이크가 상기 테이블수단의 축회전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스토퍼수단과 대칭되는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이탈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수단은 다수개가 상호 직교하여 결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 평프레임의 외곽을 연결하는 반원형프레임을 갖는 제1테이블프레임과, 상기 제1테이블프레임과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테이블프레임과 결합되어 원형의 테이블을 형성하는 제2테이블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테이블프레임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며 상부면이 엠보싱 처리된 스테인레스 강판과, 상기 스테인레스 강판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며 상부면에 레일이 장착되는 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회전수단은 상기 테이블수단의 중앙부 하방의 지면에 고정되며 소정높이로 돌출되는 고정샤프트와, 상기 고정샤프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부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테이블수단의 하부면 중앙에 결합고정되어 상기 구동롤러수단에 의해 회전력이 제공될 때 상기 고정샤프트를 축으로 상기 테이블수단과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중공부 내측과 상기 고정샤프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수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받침대와, 상기 고정받침대의 상부에 장착되는 롤러샤프트와, 상기 롤러샤프트의 외측에 결합고정되어 일체로 축회전 가능하며 테두리의 상면이 상기 테이블수단의 가이드부에 접촉되는 우레탄롤러 와, 상기 롤러샤프트의 일단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은 피스톤로드가 상기 테이블수단으로 진입하는 레일바이크를 향하도록 상기 테이블수단의 상부면에 장착되되 일단부가 상기 테이블수단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실린더부재와, 상기 테이블수단의 상부면에 상기 실린더부재와 평행하도록 인접하여 장착되되 일단부가 상기 테이블수단에 힌지결합되는 스토퍼부재와, 양단이 상기 실린더부재의 피스톤로드의 끝단부 및 상기 스토퍼부재의 중앙부 각각에 결합되는 연결힌지를 포함하여, 상기 피스톤로드의 전진시 상기 스토퍼부재가 상기 테이블수단의 상부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후퇴시 상기 스토퍼부재가 상기 테이블수단의 상부면에 수평방향으로 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스토퍼부재에 부착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KR1020080093183A 2008-09-23 2008-09-23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KR100988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183A KR100988364B1 (ko) 2008-09-23 2008-09-23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183A KR100988364B1 (ko) 2008-09-23 2008-09-23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178A true KR20100034178A (ko) 2010-04-01
KR100988364B1 KR100988364B1 (ko) 2010-10-18

Family

ID=42212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183A KR100988364B1 (ko) 2008-09-23 2008-09-23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3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974B1 (ko) * 2019-02-12 2019-11-08 이영순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
KR20200037724A (ko) * 2018-10-01 2020-04-09 주식회사 에스프랜 철도레일의 레일바이크용 복선 개조시스템
KR20210152844A (ko)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져스텍 방향 전환 연결 레일을 사용하는 이송 펠릿 시스템
US11584406B2 (en) 2019-02-22 2023-02-21 Universal City Studios Llc Loading turntable systems an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973B1 (ko) 2017-10-11 2019-03-29 이태홍 전동휠의 철로 주행을 위한 보조 지지장치
KR102229196B1 (ko) 2019-10-23 2021-03-25 한재형 턴테이블이 구비되는 프레스 소재 이송시스템
KR102409342B1 (ko) 2020-11-12 2022-06-15 한재형 다축로봇을 이용한 다공정 프레스 자동화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779Y1 (ko) * 1999-05-17 2004-07-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다규격 팔레트용 디버터
KR100586537B1 (ko) * 2005-03-08 2006-06-08 이용봉 궤도차량용 전차대 회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724A (ko) * 2018-10-01 2020-04-09 주식회사 에스프랜 철도레일의 레일바이크용 복선 개조시스템
KR102031974B1 (ko) * 2019-02-12 2019-11-08 이영순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
US11584406B2 (en) 2019-02-22 2023-02-21 Universal City Studios Llc Loading turntable systems and methods
KR20210152844A (ko)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져스텍 방향 전환 연결 레일을 사용하는 이송 펠릿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8364B1 (ko) 201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364B1 (ko)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CN100413727C (zh) 单轨系统
KR101532641B1 (ko) 궤도차량용 주행장치
JP5756095B2 (ja) 懸垂式車両用の軌道及びボギー台車
KR101319051B1 (ko) 모션 베이스를 구비한 놀이 기구 트랙
JP3792310B2 (ja) 遊戯用乗物装置
JP3284551B2 (ja) レール把持車輌
WO2004026654A1 (ja) 輸送システム
KR20100065178A (ko) 고속 선로 전철기
CN108579098B (zh) 一种侧向摆动过山车
KR100586537B1 (ko) 궤도차량용 전차대 회전장치
CN103334389B (zh) 阻止逆向行驶装置
WO2008007569A1 (fr) Nacelle de manège et sa méthode de pivotement
CN209900694U (zh) 悬挂过山车轨道变更系统
JP2007022513A (ja) 列車の浮上及び脱線防止装置
KR101651372B1 (ko) 1인 기립식 외륜 전동차의 주행정지장치
CN106480789B (zh) 一种轻型铁路轨道、轨车变轨装置及轨车运行方法
KR200406375Y1 (ko) 레일 바이크용 턴테이블
CN212243380U (zh) 一种列车防脱轨紧急刹车装置
KR101518454B1 (ko)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KR100880453B1 (ko) 레일주행 차량용 소음방지장치
CN106968482B (zh) 一种改进型立式停车库
JP2006290317A (ja) 列車の浮上及び脱線防止装置
KR101882900B1 (ko) 엘리베이터 방향 전환장치
KR200406370Y1 (ko) 모노레일 바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