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974B1 -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974B1
KR102031974B1 KR1020190016005A KR20190016005A KR102031974B1 KR 102031974 B1 KR102031974 B1 KR 102031974B1 KR 1020190016005 A KR1020190016005 A KR 1020190016005A KR 20190016005 A KR20190016005 A KR 20190016005A KR 102031974 B1 KR102031974 B1 KR 102031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ike
rail bike
turntable
close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순
Original Assignee
이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순 filed Critical 이영순
Priority to KR1020190016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5/00Autocar-like self-drivers; Runway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3/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whee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1/00Turntables; Traversers;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other rail vehicles or dollies
    • B61J1/02Turntables; Integral stops
    • B61J1/04Turntables; Integral stops of normal railroad type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폐단선 철로의 일측 또는 타측만을 이용하는 레일 바이크에 의해, 레일 바이크가 일방향으로 운행되는 동안 타방향으로의 운행 중지 없이 타방향으로 레일 바이크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은, 폐단선의 일측 레일을 통해 일방향으로 운행하는 레일 바이크; 및 하나 이상의 상기 레일 바이크가 운행하는 동안 상기 폐단선의 타측 레일을 통해 타방향으로 운행하는 다른 레일 바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RAIL BIKE SYSTEM FOR DISUSED SINGLE TRACK RAILROAD}
본 발명은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단선 철로에서도 레일 바이크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선이란 교통수단 등의 운행 계통과, 노선의 일부 또는 전부가 더는 운행되지 않고 폐지되거나 폐지 처리된 노선 자체를 의미한다. 즉, 폐선이라는 개념은 철도, 버스, 항공기, 페리선 등 일정한 노선을 가진 공공 교통수단이 더는 운행을 할 수 없게 되어서 그 노선의 일부 또는 전부를 더는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폐선의 의미가 큰 것은 철도의 경우인데, 버스, 항공기 또는 선박과 달리 철도는 그 운행 경로를 다른 용도로 쓰는 예가 지극히 드물며, 또한 시설물을 철거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이 수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철도 폐선은 보안 문제나 안전 문제상의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관련 시설과 자재를 방치해 두는 경우가 많다.
철도의 폐선 이유는 다양하다. 해당 노선의 영업성이 떨어져 더는 노선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와, 정책 변경에 따라 폐선이 발생하는 경우와, 노선의 신속성이나 처리 능력, 안전 문제의 해소 등을 위해 새로운 경로를 거쳐 신 노선을 개설하는 경우와, 한국에서는 흔치 않지만 시설의 파괴, 자연재해 등에 따라 노선을 변경하거나 폐지하는 경우와, 기타 댐 공사에 따른 수몰 발생에 의한 경우와, 정치 외교적 이유에 의한 경우 등이 있다.
철도의 폐선 된 노선은 일정한 노반이나 시설을 남기게 된다. 따라서, 이런 시설의 재활용 방안이 요구된다. 대표적인 재활용 방안으로는 농로 등 도로로의 전용화, 레일 바이크 도입이나 레일 트레일 조성 등의 관광지화, 다른 교통수단 또는 시설로의 활용화 등이 있다.
한편, 철로는 단선과 복선이 있다.
단선은 오가는 기차가 하나의 선로를 사용하고, 복선은 2개의 철로를 설치하여 양방향으로 열차가 동시에 다닐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복선은 단선에 비해 선로 용량이 크기 때문에, 동일 시간에 다수의 열차를 운행할 수 있다. 또한, 단선은 열차가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지나칠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설비와 그에 따른 조치가 필요하지만 복선 철도에서는 이러한 조치가 필요하지 않다.
기존에는 복선이 단선에 비해 건설비가 고가이고 단선보다 넓은 용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통행량이 적거나 용지 확보가 곤란하거나 건설비를 절약하기 위해서는 단선 철로를 설치하였다.
하지만, 종래에 이러한 단선 철로가 폐선 될 경우, 이러한 단선 철로에 레일 바이크나 레일 트레일을 설치하여 운영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이러한 단선 철로에서는 오고 가는 레일 바이크나 레일 트레일이 하나의 선로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레일 바이크나 레일 트레일이 일방향으로 운행되는 동안 타방향으로의 운행이 중지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의해, 레일 바이크나 레일 트레일의 운용 효율이 떨어지고, 운용 수익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폐단선 철로의 일측을 이용하는 레일 바이크에 의해, 레일 바이크가 일방향으로 운행되는 동안 타방향으로의 운행 중지 없이 타방향으로 레일 바이크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은, 폐단선의 일측 레일을 통해 일방향으로 운행하는 레일 바이크; 및 상기 레일 바이크가 운행하는 동안 상기 폐단선의 타측 레일을 통해 타방향으로 운행하는 다른 레일 바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에서, 상기 레일 바이크는 외면이 상기 폐단선의 레일 상면이 삽입되도록 오목부 형상을 갖는 복수의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에서, 상기 폐단선은 일측 레일 및 타측 레일 사이에 I자 형상의 보조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에서, 상기 레일 바이크는 외면이 상기 I자 형상의 보조 레일의 일측 오목부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보조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에서, 상기 폐단선은 중앙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면에 상기 레일 바이크가 운행할 수 있는 레일이 장착되는 턴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에서, 상기 폐단선은 중앙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면에 상기 레일 바이크가 주행할 수 있는 레일 및 보조 레일이 장착되는 턴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에서, 상기 턴테이블은 하면 중앙부에 결합하여 축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에서,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턴테이블의 하면 외주를 따라 위치하며, 회전시 상기 턴테이블을 지지하며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에서, 상기 턴테이블에 장착되는 상기 레일의 일측 외부에는, 상기 레일 바이크가 상기 턴테이블에 진입하여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시 상기 레일 바이크를 지지하는 복수의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에서, 복수의 상기 스토퍼가 상기 레일 바이크를 지지시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레일 바이크는 전방 및 후방에 충격 흡수 범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 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 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폐단선 철로의 일측을 이용하는 레일 바이크에 의해, 레일 바이크가 일방향으로 운행되는 동안 타방향으로의 운행 중지 없이 타방향으로 레일 바이크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의 턴테이블에 레일 바이크가 진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의 턴테이블에 레일 바이크가 스토퍼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에서 턴테이블의 회전 동작을 나타내는 제 1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에서 턴테이블의 회전 동작을 나타내는 제 2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에서 턴테이블의 회전 동작을 나타내는 제 3 도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라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하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1000)은 레일 바이크(100)와, 폐단선(200)과, 턴테이블(300)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1000)에서, 레일 바이크(100)는 폐단선(200)의 일측 레일(210)을 통해 일방향으로 운행하고, 다른 레일 바이크(미도시)는 상기 레일 바이크(100)가 폐단선(200)의 일측 레일(210)을 운행하는 동안 폐단선(200)의 타측 레일(220)을 통해 타방향으로 운행한다.
일반적인 폐단선(200)에서는 오가는 레일 바이크(100)가 하나의 선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레일 바이크(100)가 폐단선(200)의 일측 레일만을 사용하여야 하고 따라서 레일 바이크(100)가 일방향으로 운행되는 동안 다른 레일 바이크의 타방향으로의 운행이 중지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1000)에서는 레일 바이크(100)가 일방향으로 운행되는 동안 타방향으로 다른 레일 바이크의 운행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1000)에서, 레일 바이크(100)는 복수의 바퀴(110)(도 1 & 도 2에는 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바퀴(110)의 개수가 2 개인 2 륜 레일 바이크를 일례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탑승 인원의 수에 맞추어서 3 개, 4 개, 5 개 등의 바퀴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탑승 인원의 수가 2 인인 관계로 앞바퀴 및 뒷바퀴의 2개의 바퀴를 갖는 2륜 레일 바이크로 설명한다.
레일 바이크(100)의 형상은 일반적인 자전거나 바이크의 형상과 매우 유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 바이크(100)는 2 개의 바퀴(110)(도 1 & 도 2에는 미도시된 구성임)를 갖는 2 인승 레일 바이크이다.
레일 바이크(100)의 브레이크 손잡이는 성능이 검증된 오토바이용 유압 브레이크가 장착되고, 레일 바이크를 식별할 수 있는 번호판을 부착하고 있다.
레일 바이크(100)의 차륜 커버는 탑승자의 발을 보호하고, 주행시 빗물 등이 튀는 것을 방지한다.
레일 바이크(100)의 디스크는 이중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전후방에 각각 장착되고, 차륜은 닥타일(Ductile) 소재의 검증된 윈-레일형 차륜(양날형 프렌지)을 사용할 수 있다.
레일 바이크(100)의 충격 흡수 범퍼는 추돌 사고시 완충 작용을 하도록 고무의 재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손잡이는 탑승자의 체형에 맞추어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다.
레일 바이크(100)의 탑승 안장은 탑승자의 체형에 맞추어 높낮이의 조정이 가능하고, 각각의 프레임은 녹이 발생하지 않도록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의 폴리싱 프레임을 사용한다.
레일 바이크(100)의 일측에는 영유아 전용석을 포함하고 있으며, 영유아 전용석 전방에는 탑승자의 소지품 수납이 가능한 보관함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 바이크(100)의 바퀴는 일반적인 자전거나 바이크와 형상 차이가 있다.
즉, 복수의 바퀴(110)의 외면은 폐단선(200)의 레일 상면이 삽입되도록 오목부 형상을 가지며, 이는 후술하는 도 4를 참조하면 확인 가능하다.
이러한 복수의 바퀴(110)가 오목부 형상을 갖는 이유는 레일 바이크(100)가 폐단선(200)의 레일(210, 220)로부터 탈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재질은 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1000)에서, 폐단선(200)은 일측 레일(210) 및 타측 레일(220) 사이에 I자 형상의 보조 레일(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폐단선(200)의 일측 레일(210) 및 타측 레일(220) 사이에 I자 형상의 보조 레일(230)이 폐단선(200)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1000)에서, 레일 바이크(100)는 보조 바퀴(120) 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보조 바퀴(120)의 외면은 상술한 I자 형상의 보조 레일(230)의 일측 오목부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I자 형상의 보조 레일(230)의 양측은 보조 바퀴(120)가 운행하기 위한 선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하나의 레일 바이크(100)의 복수의 바퀴(110)가 폐단선(200)의 일측 레일(210)을 이용함과 아울러 하나의 레일 바이크(100)의 보조 바퀴(120)가 I자 형상의 보조 레일(230)의 일측을 이용하여 일방향으로 하나의 레일 바이크(100)가 운행하는 동안 다른 레일 바이크(미도시)의 복수의 바퀴(110)가 폐단선(200)의 타측 레일(220)을 이용함과 아울러 다른 레일 바이크의 보조 바퀴(120)가 I자 형상의 보조 레일(230)의 타측을 이용하여 타방향으로 다른 레일 바이크가 운행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레일 바이크(100)와, 다른 레일 바이크는 서로 겹치거나 충돌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교차 통과하게 된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의 일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1000)에서, 폐단선(200)은 중앙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면에 레일 바이크(100)가 운행할 수 있는 레일(210, 220)이 장착되는 턴테이블(300)(도 1 & 도 2에서 이미 도시된 구성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1000)에서, 턴테이블(300)은 하면 중앙부에 결합하여 축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 유닛(31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동 유닛(310)은 구동부(320)의 구동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구동 유닛(310)은 기어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턴테이블(300)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는 기어 방식을 일례로 설명하도록 한다.
구동부(320)의 구동에 의해 구동 유닛(310)의 모터 축이 회전하게 되면, 이러한 모터축을 이용한 기어에 의해 턴테이블(300)이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어는 한 쌍의 톱니바퀴에 의해 작동하며, 일 기어의 톱니는 타 기어의 톱니와 맞물리면서 회전 운동과 회전력을 미끄러짐 없이 전달하거나 가감한다. 대부분의 기어는 원형이며, 항상 일정한 속도 비로 운동을 부드럽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기어 톱니의 접촉 면을 특정한 형태로 정확하게 만들어야 한다.
이와 같이 턴테이블(300)은 상술한 구동 유닛(310)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1000)에서, 턴테이블(300)은 복수의 롤러(33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의 롤러(330)는 턴테이블(300)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턴테이블(300)이 4 개의 롤러(3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롤러(330)는 턴테이블(300)의 하면 외주를 따라 위치하며, 턴테이블(300)의 회전시 복수의 롤러(330)가 회전하면서 턴테이블(300)을 지지한다.
여기서, 복수의 롤러(330)는 턴테이블(300)의 회전력을 보조함과 아울러 턴테이블(3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복수의 롤러(330)는 턴테이블(300)의 하면에서 외주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이와 같은 턴테이블(300)의 회전에 의해 레일 바이크(100)의 운행 방향이 일 방향에서 180도 회전하여 타 방향으로 변경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1000)에서, 폐단선(200)은 중앙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면에 레일 바이크(100)가 주행할 수 있는 레일(210, 220) 및 보조 레일(230)이 장착되는 턴테이블(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1000)에서, 레일 바이크(100)는 보조 바퀴(12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조 바퀴(120)의 외면은 상술한 I자 형상의 보조 레일(230)의 일측 오목부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I자 형상의 보조 레일(230)의 양측 오목부는 보조 바퀴(120)가 운행하기 위한 선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보조 바퀴(120)를 더 포함하는 레일 바이크(100)의 운행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턴테이블(300)의 상면에 레일 바이크(100)가 주행할 수 있는 레일(200, 210) 및 보조 레일(23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1000)에서, 레일 바이크(100)가 보조 바퀴(120)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복수의 바퀴(110)만을 이용하여 폐단선(200)의 일측 레일(210)을 통해 운행하게 되며, 보조 레일(230)이 없고 레일(210, 220)만 설치된 턴테이블(300)을 통해 운행 방향을 변경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1000)에서, 레일 바이크(100)가 보조 바퀴(12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바퀴(110) 및 폐단선(200)의 일측 레일(210)과, 보조 바퀴(120) 및 I자 형상의 보조 레일(230)을 이용하여 운행하게 되며, 보조 레일(230)과 레일(210, 220)이 설치되는 턴테이블(300)을 통해 운행 방향을 변경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의 턴테이블에 레일 바이크가 진입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의 턴테이블에 레일 바이크가 스토퍼에 의해 지지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1000)에서, 턴테이블(300)에 장착되는 레일(210)의 일측 외부에는 복수의 스토퍼(340)가 더 설치된다.
즉, 레일 바이크(100)가 턴테이블(300)에 진입한 후, 이 턴테이블(300)이 회전시 복수의 스토퍼(340)는 레일 바이크(100)를 앞뒤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턴테이블(300)에 설치된 복수의 스토퍼(340)가 2 개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4 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스토퍼(340)는 평상시에는 턴테이블(300)에 장착되는 레일(210)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다.
하지만, 레일 바이크(100)가 턴테이블(300)에 진입하게 되면, 레일(21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스토퍼(340)의 일측이 축(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하여 레일(210)과 서로 수직인 상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턴테이블(300)에는 2 개의 스토퍼(340)가 설치되어 있으며, 2 개의 스토퍼(340)가 레일 바이크(100)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레일 바이크(100)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스토퍼(340)는 수동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컨트롤러(도시 생략)에 의해 동작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1000)에서, 복수의 스토퍼(340)가 레일 바이크(100)를 지지시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레일 바이크(100)는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충격 흡수 범퍼(도면 부호 미부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레일 바이크(100)의 전방 프레임에 원통 형상을 갖는 2 개의 충격 흡수 범퍼를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레일 바이크(100)의 후방 프레임에도 원통 형상을 갖는 2개의 충격 흡수 범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일 바이크(100)의 전후방 프레임에는 각각 2개씩의 충격 흡수 범퍼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충격 흡수 범퍼는 턴테이블(300)에 위치하는 레일 바이크(100)를 지지시 충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턴테이블(300)의 회전시 충격 흡수 범퍼는 레일 바이크(100)를 고정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에서 턴테이블의 회전 동작을 나타내는 제 1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에서 턴테이블의 회전 동작을 나타내는 제 2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에서 턴테이블의 회전 동작을 나타내는 제 3 도면이다.
도 8의 제 1 도면을 참조하면, 폐단선(200)의 일측 레일(210)을 운행하는 레일 바이크(100)가 턴테이블(300)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턴테이블(300)에 장착되는 레일(210)의 일측 외부에 레일(210)과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는 복수의 스토퍼(340)가 레일(21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스토퍼(340)의 일측이 축(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하여 레일(210)과 서로 수직인 상태가 된다.
또한, 턴테이블(300)에는 2 개의 스토퍼(340)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 개의 스토퍼(340)가 레일 바이크(100)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레일 바이크(100)를 지지하게 된다.
다음, 도 9의 제 2 도면을 참조하면, 턴테이블(300)의 하부에 설치된 구동부(320)의 구동에 의해 구동 유닛(310)의 모터 축이 회전하게 되면, 이러한 모터 축을 이용한 기어에 의해 턴테이블(30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턴테이블(3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어와 같은 구동 유닛(310)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턴테이블(300)의 하면에서 외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롤러(330)는 턴테이블(300)의 회전시 회전하면서 턴테이블(300)을 지지한다.
이때, 복수의 롤러(330)는 턴테이블(300)의 회전력을 보조함과 아울러 턴테이블(3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후, 도 10의 제 3 도면을 참조하면, 턴테이블(300)의 회전에 의해 레일 바이크(100)의 운행 방향이 일 방향에서 180도 회전하여 타 방향으로 변경된다.
이때, 레일 바이크(100)가 보조 바퀴(120)가 없을 경우에는 복수의 바퀴(110)만을 이용하여 폐단선(200)의 일측 레일(210)을 통해 운행하게 되며, 보조 레일(230)이 없고 레일(210, 220)만 설치되는 턴테이블(300)을 통해 운행 방향을 변경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1000)에서, 레일 바이크(100)가 보조 바퀴(120)가 있을 경우에는 복수의 바퀴(110) 및 폐단선(200)의 일측 레일(210)과, 보조 바퀴(120) 및 I자 형상의 보조 레일(230)을 이용하여 운행하게 되며, 보조 레일(230)과 레일(210, 220)이 설치되는 턴테이블(300)을 통해 운행 방향을 변경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폐단선(200)의 일측 또는 타측만을 이용하는 레일 바이크(100)에 의해, 레일 바이크(100)가 일방향으로 운행되는 동안 타방향으로의 운행 중지 없이 타방향으로 레일 바이크(100)를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존재하는 폐단선(200)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0 : 레일 바이크
110 : 바퀴
120 : 보조 바퀴
200 : 폐단선
210 : 일측 레일
220 : 타측 레일
230 : 보조 레일
300 : 턴테이블
310 : 구동 유닛
320 : 구동부
330 : 롤러
340 : 스토퍼
1000 :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

Claims (10)

  1. 폐단선의 일측 레일을 통해 일방향으로 운행하는 레일 바이크; 및
    상기 레일 바이크가 운행하는 동안 상기 폐단선의 타측 레일을 통해 타방향으로 운행하는 다른 레일 바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폐단선은 중앙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면에 상기 레일 바이크가 운행할 수 있는 레일 또는 보조 레일이 장착된 턴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레일 바이크가 상기 턴테이블에 진입하여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시 상기 레일 바이크를 지지하는 복수의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토퍼가 상기 레일 바이크를 지지시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레일 바이크는 전방 및 후방에 충격 흡수 범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격 흡수 범퍼는 추돌 사고시 완충 작용을 하도록 고무의 재질을 가지며,
    상기 폐단선의 레일로부터 탈선을 방지하도록 상기 레일 바이크는 외면이 상기 폐단선의 레일 상면이 삽입되도록 오목부 형상을 갖고 재질이 우레탄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바이크의 브레이크 손잡이는 유압 브레이크가 장착되며,
    상기 레일 바이크의 차륜 커버는 탑승자의 발을 보호함과 아울러 주행시 빗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레일 바이크의 디스크는 이중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전후방에 각각 장착되며, 차륜은 닥타일(Ductile) 소재의 윈-레일형 차륜(양날형 프렌지)을 사용하고,
    상기 레일 바이크의 손잡이는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레일 바이크의 탑승 안장은 탑승자의 체형에 맞추어 높낮이의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레일 바이크의 차륜을 둘러싸는 각각의 프레임은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의 폴리싱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단선은 상기 일측 레일 및 상기 타측 레일 사이의 I자 형상 보조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바이크는 외면이 상기 I자 형상 보조 레일의 일측 오목부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보조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은 하면 중앙부에 설치된 축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턴테이블의 하면 외주를 따라 위치하며, 회전시 상기 턴테이블을 지지하며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16005A 2019-02-12 2019-02-12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 KR102031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005A KR102031974B1 (ko) 2019-02-12 2019-02-12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005A KR102031974B1 (ko) 2019-02-12 2019-02-12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974B1 true KR102031974B1 (ko) 2019-11-08

Family

ID=68542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005A KR102031974B1 (ko) 2019-02-12 2019-02-12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9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3330A (ko) * 2006-02-21 2007-08-24 강기세 레일바이크 장치
KR20100034178A (ko) * 2008-09-23 2010-04-01 (주)한국에이앤지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3330A (ko) * 2006-02-21 2007-08-24 강기세 레일바이크 장치
KR20100034178A (ko) * 2008-09-23 2010-04-01 (주)한국에이앤지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7966B1 (en) Track and bogie for suspended vehicles
US5657699A (en) Rail gripping vehicle
CN102979011A (zh) 转盘道岔
KR101417978B1 (ko) 철도 차량용 차륜 탈선 방지 구조
KR20160052923A (ko) 모노레일 차량의 조향구조
JP4795197B2 (ja) 都心地域の複合交通システム
CN205239512U (zh) 一种可适应小曲率半径弯道的动力转向架
KR102031974B1 (ko) 폐단선 철도용 레일 바이크 시스템
GB2554205A (en) Permanent way with "Static/Fixed Points" and steerable "On-Board Points"
JP2010116774A (ja) 脱線転覆しない列車運行システム
Kikuchi et al. Monorai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in Japan
KR101236537B1 (ko) 차동기어가 장착된 좌우 개방형 대차시스템
Takahashi et al. Marketing strategy of the HSST system
JP2011079506A (ja) 鉄道車輌の脱線、横転防止装置
US10781558B2 (en) Operating and locking mechanism for turnouts of central rail-guided vehicles
KR101383222B1 (ko)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
US20050139117A1 (en) Dual-pivot steering system and method
Hoshi et al. First 100% Domestic Low Floor Tram
Nehashi New types of guided transport
CN111098921B (zh) 一种胶轮车辆
KR101724689B1 (ko) 마운틴 다운 코스터
Lee The design of monorail rolling stock for running performance and maintenance
Eisele State of the art—urban transportation systems
Wyczalek et al. Test Demonstration of HSST-100 Maglev Train
ES2411977A1 (es) Sistema de transporte urban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