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222B1 -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 - Google Patents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3222B1 KR101383222B1 KR1020120067358A KR20120067358A KR101383222B1 KR 101383222 B1 KR101383222 B1 KR 101383222B1 KR 1020120067358 A KR1020120067358 A KR 1020120067358A KR 20120067358 A KR20120067358 A KR 20120067358A KR 101383222 B1 KR101383222 B1 KR 1013832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vehicle system
- steering
- bogie
- induction mo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38—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 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e.g. sliding axles, swinging ax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3/00—Types of bogies
- B61F3/16—Types of bogies with a separate axle for each wh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14—Side bea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26—Mounting or securing axle-boxes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B61F5/30—Axle-boxes mounted for movement under spring control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체와 그 차체를 지지하는 대차로 구성되는 차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차에 구비되어 급곡선 구간에서의 조향 성능을 향상시키는 조향장치와, 급구배 구간에서의 구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형유도전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스템은 조향장치와 선형유도전동장치를 구비하여 급곡선 구간에서의 조향 성능 및 급구배 구간에서의 구배능력이 향상되어 차량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함은 물론 차량시스템 운영을 위한 노선 설계가 용이하고 경제성 역시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일반 구간의 주행시는 선형유도전동기의 작동을 정지하고, 상구배시에는 차량의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해 선형유도전동기를 작동하며, 하구배시에는 회생제동으로 사용됨으로써 점착능력과 제동능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스템은 조향장치와 선형유도전동장치를 구비하여 급곡선 구간에서의 조향 성능 및 급구배 구간에서의 구배능력이 향상되어 차량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함은 물론 차량시스템 운영을 위한 노선 설계가 용이하고 경제성 역시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일반 구간의 주행시는 선형유도전동기의 작동을 정지하고, 상구배시에는 차량의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해 선형유도전동기를 작동하며, 하구배시에는 회생제동으로 사용됨으로써 점착능력과 제동능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급구배 및 급곡선 구간에서의 차량의 주행성능을 향상시켜 차량 운행을 위한 노선 설계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 특히 고상 철도차량에서는 양측의 철도차륜이 차축으로 연결되는 일체형 윤축(輪軸)(non-IRW; non Independent Rotating Wheels)을 이용하고 있다.
이때, 차륜은 테이퍼진 단면을 가지고 있어 레일 상을 구르며 주행할 때 한쪽으로 치우친 경우에는 서로 다른 속도 차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하여 중앙으로 돌아오게 되어 안정되게 주행한다.
이와 같은 고상 철도차량은 곡선부의 주행에서도 차축이 레일 중심에서 곡선 외부로 약간 치우쳤을 때 이러한 테이퍼 단면에 의해 양측 차륜의 구름 반경의 차이가 생기면서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주행 곡선 반경이 작은 급곡선에서는 안쪽 레일과 바깥쪽 레일의 주행거리 차이가 크므로 앞에서 언급한 차륜의 테이퍼 단면에 의한 곡선통과 성능만으로는 부족하게 되고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크리프력(creep force)이 작용한다. 이때, 차륜 및 레일에 큰 마모가 발생하게 되고 또한 큰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한다.
한편, 바이모달 트램(Bimodal Tram) 등과 같은 철도차량에서 승객의 탑승 시 편리성을 위하여 차량 바닥을 낮춘 저상 차량이 운행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저상 차량은 윤축의 차축 공간까지 차량 바닥을 넓히기 위하여 차축을 제거한 독립형 차륜(IRW; Independent Rotating Wheels)이 이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독립형 차륜을 구비한 저상 차륜의 경우 차축의 제거로 양측 차륜의 회전은 독립적이게 되고 급곡선에서 안쪽과 바깥쪽 차륜이 서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크리프력이 발생하지 않아 원활한 곡선 통과가 가능하다.
그런데, 독립차륜형 대차는 차륜을 지지하는 차축이 없는 관계로 주행 속도에 한계가 있어 도시(都市)간 이동과 표정속도가 낮아 노선 설계시 수송량에 제한을 받아 차량을 추가 투입하는 문제가 있고 저상 대차의 특징으로 인해 도시에서 운행해야함으로 곡선반경 15mR에서 운행시에는 스킬 소음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급곡선은 오랜 철도기술의 발전사에서 해결되지 못한 가장 큰 문제점으로 들 수 있으며, 그로 인한 철도차량의 승차감과 안정성 저하, 그리고 부차적인 유지관리 비용의 증가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사항임에도 아직까지 조향시스템 분야에서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들어 철도차량의 경제적 건설이 가능하면서도 도시미관, 환경소음 등의 여러 환경 요인과 급구배, 급곡선 등 제약조건이 많아져서 철도차량의 운행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켜 차량 운행을 위한 노선 설계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급곡선의 안전한 주행을 위한 조향 기능을 갖고, 선형모터를 측면에 설치하여 상구배시 추진력으로 사용되며 하구배시 회생제동으로 사용됨으로써 점착능력과 제동능력을 동시에 만족하는 차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시스템의 각부 구성을 모듈화 및 표준화하여 조립이 간편하여 차량시스템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와 그 차체를 지지하는 대차로 구성되는 차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차에 구비되어 급곡선 구간에서의 조향 성능을 향상시키는 조향장치와, 급구배 구간에서의 구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형유도전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조향장치는 대차프레임에 조향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차륜이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액티브 서스펜션 장치에 의해 강성이 조절되어 상기 브라켓을 조향하는 조향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브라켓은 하부에 저널박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힌지공에 힌지결합되는 제1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는 대차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힌지공에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저널박스와 대차 프레임의 사이에는 1차 현가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현가장치는 강성 스프링이나 유압방식 또는 고무 스프링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대차프레임은 차륜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대차프레임과 객차 사이에 2차 현가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2차 현가장치는 강성 스프링이나 유압방식 또는 고무 스프링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선형유도전동장치는 차량의 측면에 구비되는 선형유도전동기(LIM; Linear Induction Motor)와, 선로의 일측에 부착되는 리엑션플레이트(Reaction plat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형유도전동기(LIM; Linear Induction Motor)는 대차프레임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리엑션플레이트(Reaction plate)는 급구배 구간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차는 독립저상대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스템은 조향장치와 선형유도전동장치를 구비하여 급곡선 구간에서의 조향 성능 및 급구배 구간에서의 구배능력이 향상되어 차량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함은 물론 차량시스템 운영을 위한 노선 설계가 용이하고 경제성 역시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일반 구간의 주행시는 선형유도전동기의 작동을 정지하고, 상구배시에는 차량의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해 선형유도전동기를 작동하며, 하구배시에는 회생제동으로 사용됨으로써 점착능력과 제동능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시스템은 모듈화되어 표준화시킬 수 있어 차량시스템의 생산성 역시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스템의 표준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설치된 대차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유도전동장치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유도전동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가 설치된 대차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유도전동장치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유도전동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은 최근에 요구되고 있는 경제적 건설, 도시미관, 환경소음 등의 여러 환경 요인과 급구배 및 급곡선 등 제약조건하에서도 차량(1)이 안정적으로 운행 가능한 차량시스템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스템은 도심지의 도로 상면에서부터 지하 5 ~ 7m에 터널을 건설하고 그 터널을 주행 가능한 저심도 차량 시스템으로서, 고가 경전철 대비 저비용으로 지하에 건설하여 도시미관, 소음과 진동, 접근성과 쾌적·편의성 등이 향상된 고효율의 신개념(Fresh) 도시철도 시스템이다.
상기 저심도 차량시스템 운행을 위한 터널은 지상의 도로면에 설치하는 경우 도로 안쪽의 인도에 설치되는 버스 정류소 등을 통한 승객의 환승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이때, 저심도 차량시스템은 낮은 높이에서도 주행성능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대차의 구조가 저상형에 적합하게 개발되어야 하고 터널 단면에 맞도록 전장품 등을 슬림화하고 차체를 경량화해야 한다.
즉, 언더 프레임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간이 협소한 지붕(Roof)에 각종 기기 장치를 취부하여 전장품 및 각종 의장 기기들은 기존의 EMU(Electric Multiple Unit) 전동차보다 컴팩트(Compact)한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15m에 이르는 최소 곡선반경 하에서 운행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차체 구조, 표준 모듈화된 차량시스템 개발로 중복 투자를 방지함은 물론 지자체 승객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저심도 표준차량 모델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은 전두부 및 후두부 차량(10,20)과 그 전두부 및 후두부 차량(10,20) 사이에 연결되는 중간 차량(30)을 모듈화하여 제작하여 필요에 따라 모듈화된 차량(40)을 더 연결해 줌으로서 3모듈, 5모듈, 7모듈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구성의 중간 차량(30)을 적절한 수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시스템은 급곡선 구간에서의 조향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차(100)에 조향장치(110)를 구비하고, 급구배 구간에서의 구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형유도전동장치(12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향장치(110)는 차륜 플랜지와 레일 접촉면 사이에서 일어나는 마모 및 소음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선형유도전동장치(120)는 일반 주행시는 작동을 정지하고, 상구배시에는 차량의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해 작동되며, 하구배시에는 회생제동으로 사용됨으로써 점착능력과 제동능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1)은 크게 차체와, 그 차체를 지지하는 대차(1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대차(100)는 고속 저상 독립차륜형 조향장치가 설치되는 독립 저상 대차를 사용함으로써, 대차프레임(101)에 차축을 사용하지 않고 차륜(102)을 설치함으로써 대차의 상측에 구비되는 차체 바닥의 높이를 더 낮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차(10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차(100)는 차체를 지지하는 대차프레임(101)과, 그 대차프레임(101)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차륜(102)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대차프레임(101)은 차륜(102)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1차 및 2차현가장치(103,104)가 구비된다.
이때, 저상 대차에는 1차 및 2차 현가장치(103,104)를 필수적으로 설치하여 진동을 저감시키고, 제한된 설치공간과 작은 무게 및 유지보수 등을 고려하여 간결하게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1차 현가장치(103)는 차륜(102)과 대차프레임(101) 사이에 위치하여 차륜(102)의 진동을 차단하여 열차 등이 선로에서 탈선 또는 전복의 위험도를 줄여주기 위한 것으로, 강성 스프링이나 유압방식 또는 고무 스프링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2차 현가장치(104)는 대차프레임(101)과 차체 사이에 위치하여 1차 현가장치(103)가 저감시키지 못한 진동들을 흡수하여 좀더 안락한 승차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스프링을 사용하거나 유압방식 또는 Tube형태의 고무스프링 방식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대차프레임(101)에는 조향장치(110)가 구비된다. 상기 조향장치(110)는 대차프레임(101)에는 조향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차륜(102)이 설치되는 브라켓(112)과, 상기 브라켓(112)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액티브 서스펜션 장치(130)에 의해 강성이 조절되어 상기 브라켓(112)을 조향하는 조향바(11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차륜(102)의 조향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대차프레임(101)에는 조향이 가능하게 브라켓(112)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112)에는 차륜(102)이 구비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브라켓(112)의 하부에는 저널박스(116)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힌지공(116a)에 힌지결합되는 제1힌지축(112a)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12)의 상부에는 대차프레임(101)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힌지공(101a)에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축(112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브라켓(112)은 저널박스(116)와 대차프레임(101)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힌지공(116a,101a)을 중심으로 조향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저널박스(116)와 대차 프레임(101)의 사이에는 1차 현가장치(103)가 구비되어 차륜(102)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감쇄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대차프레임(101)에는 철도차량이 곡선 주행을 위해 상기 브라켓(112)에는 조향바(114)가 연결되며, 상기 조향바(114)는 액티브 서스펜션 장치(130)에 의해 강성이 조절된다.
이때, 조향장치(110)는 대차프레임(101)의 전방 및 후방 양측 즉, 4곳에 구비되는 것으로 각각의 조향장치(110)를 구성하는 브라켓(112)을 조향하기 위해 조향바(114)가 각각의 브라켓(112)에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브라켓(112)의 조향이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차륜(102)의 조향이 이루어진다.
특히, 대차(100)의 전방측 차륜쌍들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조향되고, 후방측 차륜쌍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조향되며, 반경 15mR에서의 최소회전각은 7.13°로 하여 조향시 대차프레임(101)과의 간섭이 없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저상 독립차륜형 조향장치는 동력대차(driving bogie)와 종대차(trailing bogie)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대차프레임(101)의 양측에 각각 조향가능한 브라켓(112)을 구비하여 차륜(102)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112)에서 연장형성되는 조향바(114)를 제어하는 액티브 서스팬션 장치(130)를 구비하여 속도에 따라 강성을 조절함으로써 인버터에서 모터를 회전반경 차이에 따른 속도차이를 각각의 차륜(102)별로 제어함으로써 소음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대차에 양측 차륜을 연결하는 차축을 사용하지 않고 차륜(102)을 설치함으로써, 저상 차량의 경우 바닥의 높이를 더 낮게 형성할 수 있고, 각각의 차륜(102)에 연결되는 조향바(114)를 액티브 서스팬션 장치(130)를 사용하여 조향함으로써 차량의 속도에 따라 조향바(114)의 강성을 조절하게 되어, 차량의 주행시 안정감을 높일 수 있고, 조향으로 인해 발생되는 스킬소음의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고속주행시 액티브 셔스팬션 장치(130)가 속도에 따라 강성을 달리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저속 곡선 주행시 강성이 낮아지고 곡선 주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특히, 곡선통과시 좌측레일과 우측레일 사이에 곡선 거리차이로 인해 레일에서 미끄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곡선 주행시 회전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모터 제어시 좌우측 차륜(102)을 서로 다른 속도로 주행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차량에는 급구배 구간에서의 구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형유도전동장치(12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선형유도전동장치(120)는 차량의 측면에 구비되는 선형유도전동기(LIM; Linear Induction Motor)(122)와, 선로의 일측에 부착되는 리엑션플레이트(Reaction plate)(124)로 구성되어 차량의 운전을 제어하는 차상제어장치(미도시됨)의 제어에 따라 선형유도전동기(LIM; Linear Induction Motor)(122)가 작동되며, 그에 따라 리엑션플레이트(Reaction plate)(124)와의 반력 또는 인력에 의하여 추진력을 얻게 된다. 이는 복잡한 신호설비가 필요 없이 기계적 구동 연계에 의하여 차량(1)의 주행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선형유도전동장치(120)를 구비하여 100‰의 급구배에서의 등판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이는 경사가 심한 도로와 동일 선상에서 운행하기 위해서는 급구배 등판 능력을 가진 추진 기술, 비점착 추진 또는 별도의 점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형유도전동기(LIM; Linear Induction Motor)(122)는 차량의 측면 좀더 상세하게는 대차프레임(101)의 양측면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리엑션플레이트(Reaction plate)(124)는 차량이 운행되는 모든 구간에 설치하지 않고 급구배 구간에만 설치함으로써 선형유도전동기(122)의 설치비용을 최소화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일반 구간의 주행시는 선형유도전동기(122)의 작동을 정지하고, 상구배시에는 차량의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해 선형유도전동기(122)를 작동하며, 하구배시에는 회생제동으로 사용됨으로써 점착능력과 제동능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시스템 모듈화 및 표준화 구현으로 유지보수성 향상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전장품을 슬림화 및 모듈화하고 독립저상대차를 적용하고, 실내 내장품을 모듈화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 차량 100: 대차
101: 대차프레임 102: 차륜
103: 1차현가장치 104: 2차현가장치
110: 조향장치 112: 브라켓
114: 조향바 120: 선형유도전동장치
122: 선형유도전동기 124: 리엑션플레이트
130: 액티브 서스펜션 장치
101: 대차프레임 102: 차륜
103: 1차현가장치 104: 2차현가장치
110: 조향장치 112: 브라켓
114: 조향바 120: 선형유도전동장치
122: 선형유도전동기 124: 리엑션플레이트
130: 액티브 서스펜션 장치
Claims (11)
- 차체와 그 차체를 지지하는 대차로 구성되는 차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대차에 구비되어 급곡선 구간에서의 조향 성능을 향상시키는 조향장치와,
급구배 구간에서의 구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형유도전동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조향장치는 대차프레임에 조향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차륜이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액티브 서스펜션 장치에 의해 강성이 조절되어 상기 브라켓을 조향하는 조향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은 하부에 저널박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힌지공에 힌지결합되는 제1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는 대차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힌지공에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널박스와 대차 프레임의 사이에는 1차 현가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현가장치는 강성 스프링이나 유압방식 또는 고무 스프링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프레임은 차륜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대차프레임과 객차 사이에 2차 현가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현가장치는 강성 스프링이나 유압방식 또는 고무 스프링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유도전동장치는 차량의 측면에 구비되는 선형유도전동기(LIM; Linear Induction Motor)와, 선로의 일측에 부착되는 리엑션플레이트(Reaction plat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유도전동기(LIM; Linear Induction Motor)는 대차프레임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리엑션플레이트(Reaction plate)는 급구배 구간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독립저상대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7358A KR101383222B1 (ko) | 2012-06-22 | 2012-06-22 |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7358A KR101383222B1 (ko) | 2012-06-22 | 2012-06-22 |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0430A KR20140000430A (ko) | 2014-01-03 |
KR101383222B1 true KR101383222B1 (ko) | 2014-04-09 |
Family
ID=5013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7358A KR101383222B1 (ko) | 2012-06-22 | 2012-06-22 |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322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539455A (zh) * | 2015-12-17 | 2016-05-04 | 唐山轨道客车有限责任公司 | 可编组的动车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3022B1 (ko) * | 2021-12-10 | 2024-02-05 | 노바랩 주식회사 | 경전철 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31533A (ko) * | 1998-11-04 | 2000-06-05 | 윤문수 | 철도차량용 선형유도 전동장치 |
WO2006075756A1 (ja) | 2005-01-17 | 2006-07-20 | The University Of Tokyo | 自己操舵台車 |
JP2006254661A (ja) | 2005-03-14 | 2006-09-21 | Railway Technical Res Inst | 鉄道車両システム |
KR20110108156A (ko) * | 2010-03-26 | 2011-10-05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철도차량용 저상대차 차륜 쌍의 회전구속 장치 |
-
2012
- 2012-06-22 KR KR1020120067358A patent/KR1013832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31533A (ko) * | 1998-11-04 | 2000-06-05 | 윤문수 | 철도차량용 선형유도 전동장치 |
WO2006075756A1 (ja) | 2005-01-17 | 2006-07-20 | The University Of Tokyo | 自己操舵台車 |
JP2006254661A (ja) | 2005-03-14 | 2006-09-21 | Railway Technical Res Inst | 鉄道車両システム |
KR20110108156A (ko) * | 2010-03-26 | 2011-10-05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철도차량용 저상대차 차륜 쌍의 회전구속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539455A (zh) * | 2015-12-17 | 2016-05-04 | 唐山轨道客车有限责任公司 | 可编组的动车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0430A (ko) | 2014-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4956499U (zh) | 一种橡胶轮胎低地板转向架 | |
CN105197047B (zh) | 一种橡胶轮胎低地板转向架 | |
CN201249778Y (zh) | 部分低地板轻轨电车两轴动力转向架 | |
CN102501858B (zh) | 一种窄轨电动机车 | |
CN111994120B (zh) | 轨道车辆 | |
CN103332194A (zh) | 一种悬挂式独轨列车驱动装置 | |
CN102765402A (zh) | 地铁转向架 | |
CN101857033B (zh) | 一种80km/h速度等级B型地铁车辆转向架 | |
CN203283232U (zh) | 一种悬挂式独轨列车驱动装置 | |
KR101485407B1 (ko) | 멀티라인 모노레일 대차 구조 | |
JP2015067110A (ja) | 車両および走行システム | |
JP2007331713A (ja) | 低床式鉄道車両用台車 | |
RU2454340C2 (ru) |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й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пассажирский состав | |
CN102501859B (zh) | 一种窄轨电动机车的动车 | |
KR101654896B1 (ko) | 철도차량용 공간절약형 대차 | |
JP2007331461A (ja) | 低床鉄道車両用誘導輪付き1軸ボギー台車 | |
KR101383222B1 (ko) |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 | |
CN202320310U (zh) | 一种窄轨电动机车的动车 | |
CN211364541U (zh) | 轨道交通客货两用电动车辆 | |
CN209553198U (zh) | 悬挂式单轨车辆转向架 | |
KR101975676B1 (ko) | 철도차량의 회전정렬용 대차 구조 | |
CN105216824A (zh) | 运输装备及其转向架 | |
Huber | The bogie-based tilt option-simplicity and flexibility | |
CN202294860U (zh) | 一种窄轨电动机车的拖车 | |
CN113291343B (zh) | 一种胶轮列车及其转向架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