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022B1 - 경전철 시스템 - Google Patents

경전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022B1
KR102633022B1 KR1020210176903A KR20210176903A KR102633022B1 KR 102633022 B1 KR102633022 B1 KR 102633022B1 KR 1020210176903 A KR1020210176903 A KR 1020210176903A KR 20210176903 A KR20210176903 A KR 20210176903A KR 102633022 B1 KR102633022 B1 KR 102633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asic
length
vehicles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8063A (ko
Inventor
김정태
김영민
Original Assignee
노바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바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바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6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022B1/ko
Publication of KR20230088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0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3/00Tram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양측면에 2개의 출입문(21a)(21b)을 설치하고, 대향부를 상호 연결한 n대의 기본차량(20a)(20b)으로 구성한 기본차량 1편성과(10); 상기 기본차량 1편성(1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한 플랫폼(30)과; 상기 기본차량(20a)(20b) 사이에 연결하고 적어도 2개의 출입문(41)을 설치한 1대의 추가차량(40)을; 구비하고, 상기 추가차량(40)의 길이는 기본차량(20a)(20b)의 길이와, 기본차량(20a)(20b) 중 추가차량(40)의 양측 인접위치의 출입문(21) 1개를 제외한 길이의 2배의 길이 사이로 형성하며, 상기 기본차량(20a)(20b)의 추가차량(40) 인접위치의 각 출입문 1개와 추가차량(40) 출입문 전체를 플랫폼(30)에 연통시켜 탑승객의 출입구로 이용하도록 한 경전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전철 시스템{LIGHT RAILWAY TRANSIT SYSTEM}
본 발명은 경전철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경전철의 혼잡 해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경전철은 차량 규모나 수송 인원이 지하철 보다 작고 버스 보다는 큰 중소도시형 도시철도로서 지하철의 장점인 대량 수송과 정시성 및 안전성을 동시에 만족하며 경제성 및 친환경성을 구비한 최첨단 대중 교통수단이다.
상기한 경전철은 철도 및 지하철에 비하여 건설비가 저렴하고 도로공간의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은 사업비로 건설이 가능하며 적어도 2량1편성의 소용량으로 건설하는 것이다.
현재 운영중인 김포골드라인 등의 건설예를 보면 경전철의 장점인 사업비의 절약을 감안하여 차량은 2량1편성으로 하고 또한 노선은 도로공간을 활용하기 때문에 플랫폼도 상기 차량의 편성길이와 동일하게 도로의 지하 또는 지상에 일정높이로 부설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김포골드라인 등은 그 노선 주위의 신도시 개발로 인하여 상주 인구가 대폭 증가함으로써 경전철에 극심한 혼잡 상태가 발생되어 출퇴근 시간에 탑승객이 탑승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심할경우 2대 또는 3대를 기다려야 탑승할 수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극심한 혼잡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증차를 해야 하지만, 플랫폼의 길이는 차량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탑승객이 승하차할 수 없게 되어 실현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실현 불가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차량의 증차와 동시에 폴랫폼의 길이도 연장해야 하지만, 플램폼을 지하에 부설하였을 경우 플랫폼의 양측에 에스컬레이터 등이 설치되어 있고, 플랫폼을 도로에 설치했을 경우에는 도로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설치하였으며, 또한 경전철은 계획 수립부터 완공단계에 이르기까지 장시간이 소요되어 건설비의 추가 등과 같은 사정변경이 발생하여 추가자금의 투입이 불가피한 실정인데 플랫폼의 길이 연장을 위한 또 다른 자금을 투입한다는 것은 경전철의 설치목적인 적은 사업비의 건설목적에 부합되지 않아서 플랫폼의 길이 연장은 곤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기본차량 1 편성길이와 플랫폼의 길이가 동일한 경전철에서 플랫폼의 길이 연장 없이 차량만을 증차하여 탑승객의 혼잡을 해소할 수 있는 경전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각 양측면에 2개의 출입문을 설치하고, 대향부를 상호 연결학 n대의 기본 차량으로 구성한 기본차량 1편성과;
상기 기본 차량 1편성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한 플랫폼과;
상기 기본차량 사이에 연결하고 적어도 2개의 출입문을 설치한 1대의 추가차량을; 구비하고,
상기 추가차량의 길이는 기본차량의 길이와 기본차량 중 추가차량의 양측 인접위치의 출입문 1개를 제외한 길이의 2배의 길이 사이로 형성하며,
상기 기본차량의 추가차량 인접위치의 각 출입문 1개와 추가차량 출입문 전체를 플랫폼에 연통시켜 탑승객의 출입구로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경전철의 기본차량 1편성길이와 플랫폼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 플랫폼은 그대로 사용하면서 기존의 차량(기본차량) 사이에 추가차량을 연결하여서 추가차량 양측의 각 기본차량의 출입문 1개와 추가차량 출입문 전체를 플랫폼에 연결시켜 탑승객의 출입구로 이용함으로써 경전철의 혼잡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경전철의 혼잡을 해소하면 플랫폼의 길이 연장을 고려할 때의 많은 추가사업비에 비하여 차량증차 비용만 추가되고 플랫폼의 길이 연장시의 건설비와 공사기간 등을 고려할 때 경전철의 장점인 경제성을 만족스럽게 달성하면서 적은 추가 사업비로서 탑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추가차량의 일부 횡단평면도.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차량 1편성(10), 플랫폼(30) 및 추가차량(40)으로 대별 된다.
상기 기본차량 1편성(10)은 2개의 기본차량(20a)(20b)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본차량(20a)(20b)은 양측면에 각각 2개씩의 출입문(21a)(21b)을 설치하였으며, 상기 기본차량(20a)(20b)은 도면에서 2대를 도시하였으나 2대 내지 5대 정도가 바람직하며 상세한 설명에서 n대로 기재하였으며 기존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플랫폼(승강장)(30)은 상기 기본차량 1편성(10)의 길이와 동일 길이 즉 기본차량 1편성(10)을 n대의 기본차량으로 편성할 때의 길이와 동일 길이로 형성하며, 도면에서는 기본차량(20a)(20b)의 전체 길이 즉 2대의 기본차량 길이로 도시하였으며, 기존의 플랫폼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추가차량(40)은 1대를 기본차량(20a)(20b) 사이에 연결한 것으로서, 양측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출입문(41)을 설치하며, 도면에서는 3개를 도시하였으며, 출입문(41)을 3개 설치하면 탑승객의 승하차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추가차량(40)은 기존의 기본차량(20a)(20b)과 같이 기존의 선로를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는도록 구성하고, 그 길이가 중요 요소가 되는 것이며, 따라서 그 길이(ℓ')는 기본차량의 길이(ℓ)와 기본차량(20a)(20b) 중 추가차량(40)의 양측의 인접위치의 출입문(21b) 1개의 길이(b)를 제외한 길이(a)의 2배의 길이 사이 즉 2a 사이로 형성하며, 즉 추가차량(40)의 길이 ℓ'은 ℓ과 2a 사이의 길이로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추가차량(40)의 길이(ℓ')를 2a의 길이로 형성하면 기본차량(20a)(20b)과 함께 기존 선로를 원활하게 주행하면서 탑승객의 혼잡도를 더욱더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추가차량(4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문(41)의 설치 양측면에 설치되는 좌석(42)중 출입문(41) 측면 부위 위치에 좌석을 설치하지 않고 통로확장부(S)를 형성함으로서 탑승객의 승하차 특히, 하차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n대로 구성한 기본차량 1편성에서 도 1과 같이 기본차량(20a)(20b) 사이에 추가차량(40)을 연결하면 추가차량(40)의 출입문 2 내지 3개와 기본차량(20a)(20b)의 출입문(21b) 각 1개씩 합계 4개 내지 5개의 출입문이 기존의 플랫폼(30)에 연통(연결)되어 모든 차량의 탑승객이 플랫폼(30)으로 승하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추가차량(40)을 추가하여 연결한 편성차량은 대차(50)로 지지하거나 상호 연결하며, 상기 대차(50)는 주지된 회전판형 대차 또는 관절대차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이 플랫폼(30)에 정차하면 도 1과 같이 기본차량(20a)(20b)의 출입문(21) 각 1개와 추가차량(40)의 출입문(41) 2개 내지 3개가 플랫폼(30)에 연통(연결)됨으로써 탑승객은 기존의 기본차량만으로 구성한 차량편성과 동일한 길이로 부설한 플랫폼(30)을 이용하면서도 종래 보다 많은 탑승객 즉 예를들면 기본차량(20a)(20b) 2대와 추가차량(40) 1대에 탑승한 탑승객이 승하차할 수 있으므로 혼잡도를 50% 정도 줄일 수 있는 것이며, 기존의 플랫폼은 그대로 이용하면서 차량만을 증차함으로서 적은 추가 사업비로서 탑승객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10 : 기본차량 1편성 20a,20b : 기본차량
30 : 플랫폼 40 : 추가차량

Claims (4)

  1. 각각 양측면에 2개의 출입문을 설치하고, 대향부를 상호 연결한 n대의 기본차량으로 구성한 기본차량 1편성과;
    상기 기본차량 1편성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한 플랫폼과;
    상기 기본차량 사이에 연결하고 적어도 2개의 출입문을 설치한 1대의 추가차량을; 구비하고,
    상기 추가차량의 길이는 기본차량의 길이와, 기본차량 중 추가차량의 양측 인접위치의 출입문 1개를 제외한 길이의 2배의 길이 사이로 형성하며,
    상기 기본차량의 추가차량 인접위치의 각 출입문 1개와 추가차량 출입문 전체를 플랫폼에 연통시켜 탑승객의 출입구로 이용하도록 한 경전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차량 1편성은 2대 내지 5대의 기본차량으로 구성한 경전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차량의 출입문은 3개인 경전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차량의 출입문 양측에 통로확장부를 형성한 경전철 시스템.
KR1020210176903A 2021-12-10 2021-12-10 경전철 시스템 KR102633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903A KR102633022B1 (ko) 2021-12-10 2021-12-10 경전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903A KR102633022B1 (ko) 2021-12-10 2021-12-10 경전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063A KR20230088063A (ko) 2023-06-19
KR102633022B1 true KR102633022B1 (ko) 2024-02-05

Family

ID=8698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903A KR102633022B1 (ko) 2021-12-10 2021-12-10 경전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0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9423A (ja) * 2015-07-13 2017-01-26 近畿車輌株式会社 鉄道車両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779B1 (ko) * 2001-11-12 2003-12-0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분리형 경전철의 냉방장치
KR101306106B1 (ko) * 2011-09-20 2013-09-09 현대로템 주식회사 열차 출입문과 승강장 스크린 도어의 개별 연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383222B1 (ko) * 2012-06-22 2014-04-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급구배 및 급곡선에서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시스템
KR20140086513A (ko) * 2012-12-28 2014-07-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슬림형 고가 경전철 정거장을 위한 본선 및 기능실 일체형 고가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9423A (ja) * 2015-07-13 2017-01-26 近畿車輌株式会社 鉄道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063A (ko) 202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yrgidis Railway transportation systems: design, construction and operation
JP4689575B2 (ja) 都心地域へ増強される交通システム
RU2430847C2 (ru) Межвагонное перех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вух сцепленных между собой пассажирских вагонов поезда, вагон и поезд
Nash Best Practices in Shared-Use High-Speed Rail Systems, MTI Report 02-02
KR102633022B1 (ko) 경전철 시스템
Andersson Green Train Concept proposal for a Scandinavian high-speed train: Final report, part B
Novales et al. The tram-train: State of the art
Durzyński et al. Conditions for using of trams on railway tracks sections in agglomeration communication in Poland
Allen From commuter rail to regional rail: Operating practices for the 21st century
Novales et al. Tram-train: new public transport system
Howard Tyne and Wear Metro—a modern rapid transit system
RU2774468C1 (ru)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Bondada et al. Potential of APMs as Line Haul Systems in Developing Nations: A Case Study—Sky Bus Metro Technology
Schmid Control and operation of tilting train services
Massel Experimental Tracks and Their Role in Testing of Rolling Stock and Railway Infrastructure
Morlok Need for a new commuter car entranceway design for mixed high-and low-level platforms
Shin et al.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maglev line
DiBrito et al. Moving Toward Unrestricted Shared Use: How Caltrain Took the Next Step and What Recent Developments Mean to US Commuter Railroads
Nelson et al. Diesel Multiple Units in 21st Century North America: Comparative Survey and Evaluation of Services, Demand, and Cost
Watson High-Speed Railway. Encyclopedia 2021, 1, x
Novales et al. The tram-train: Spanish application
Sone Japan’s rail technology development from 1945 to the future
Rennie et al. Paper F: Gas-Turbine-Powered Trains for Canadian National Railways
Sands InterCity Express: A technical and commercial assessment
Aleksandra Interoperability of Railway Infrastructure in the Republic of Serb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