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939A - 서스펜션의 스프링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서스펜션의 스프링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939A
KR20100031939A KR1020080090827A KR20080090827A KR20100031939A KR 20100031939 A KR20100031939 A KR 20100031939A KR 1020080090827 A KR1020080090827 A KR 1020080090827A KR 20080090827 A KR20080090827 A KR 20080090827A KR 20100031939 A KR20100031939 A KR 20100031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bracket
spring
suspens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0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1939A/ko
Publication of KR20100031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90Maintenance
    • B60G2206/91Assembly proced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스펜션의 스프링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쇼크업소바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 고정브라켓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력이 생성되는 코일스프링; 및 코일스프링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고정브라켓을 관통하는 관통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의 스프링 고정장치는 코일스프링에 대한 조립성이 향상되고, 코일스프링의 위치가 고정되어 차량의 쏠림을 방지한다.
코일스프링, 서스펜션, 쇼크업소바, 차량

Description

서스펜션의 스프링 고정장치{FIXING DEVICE OF SPRING IN SUSPENSION}
본 발명은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스프링의 위치가 고정되어 외부충격에 의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쏠림을 방지하는 서스펜션의 스프링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 서스펜션은 판스프링, 코일스프링, 토션바스프링으로 크게 나뉜다. 승용차에는 코일스프링과 쇼크업쇼바를 병행한 것들이 많이 쓰이며, 차량의 주목적이 시내 혹은 장거리 여행시 편안함이나 안전한 주행 등을 목적으로 하기에, 스프링의 탄성이 아주 강하지 않고 차량의 중량과 잘 조화된 것을 사용한다.
도 1은 종래 스프링 서스펜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프링 서스펜션은 쇼크업소바(10)의 상단이 미도시한 차체에 고정되고, 하단이 차축에 고정 설치된다.
쇼크업소바(10)의 외주면에는 상부브라켓(11)과 하부브라켓(12)이 고정 설치된다. 상부브라켓(11)은 쇼크업소바(10)의 상단 부분에 위치되고, 하부브라켓(12) 은 상부브라켓(11)의 하방에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부브라켓(11)과 하부브라켓(12) 사이에는 코일스프링(13)이 위치된다. 코일스프링(13)은 상측면이 상부브라켓(11)에 밀착되고 하측면이 하부브라켓(12)에 밀착되어 탄성복원력이 생성된다.
주행중 코일스프링(13)의 위치가 변경되면 차량의 쏠림과 연관된 스프링의 하중축에 영향을 주므로, 하부브라켓(12)에는 절곡부(15)가 형성되고, 코일스프링(13)의 하단은 절곡부(15)에 밀착되어 이동이 제한된다.
종래 코일스프링은 하부브라켓의 절곡부에 의해 일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지만, 타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어려워 코일스프링의 뒤틀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코일스프링의 뒤틀림은 차량이 일방향으로 쏠리는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코일스프링의 하단에 권수 공차가 존재하고, 코일스프링의 조립 과정에서 동일 위치로 조립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위치가 일정하도록 하여 차량의 쏠림 현상을 방지하는 서스펜션의 스프링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쇼크업소바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력이 생성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을 관통하는 관통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의 스프링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측면과 밀착되는 상부브라켓; 및 상 기 코일스프링의 하측면과 밀착되는 하부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브라켓에는 상기 관통체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코일스프링 사이에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의 스프링 고정장치는 작업자가 코일스프링의 관통체를 하부브라켓에 관통하여 코일스프링의 조립을 완료하므로, 코일스프링에 대한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의 스프링 고정장치는 코일스프링의 위치가 고정되어, 외부충격으로 인해 코일스프링의 위치변경을 차단하여 차량의 쏠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의 스프링 고정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코일스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하부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의 서스펜션은 충격을 흡수하며, 스프링 고정장치는 쇼크업소바(2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30)과, 고정브라켓(30) 사이에 위치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60)을 포함한다.
쇼크업소바(20)는 차체(110)와 차축(120)에 고정 설치된다. 차체(110)는 차량의 바닥부분에 해당되고 차축(120)는 바퀴축에 해당된다.
쇼크업소바(20)는 자체 길이가 가변되며. 외력에 의해 수축되었다가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팽창되면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한다.
쇼크업소바(20)의 외주면에는 고정브라켓(30)이 고정 설치된다. 고정브라켓(30)은 코일스프링(60)의 상측면과 밀착되는 상부브라켓(40)과 코일스프링(60)의 하측면과 밀착되는 하부브라켓(50)을 포함한다. 코일스프링(60)은 쇼크업소바(20)의 복원력을 보조한다.
쇼크업소바(20)는 차축(120)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21)와, 실린더(21)에 내장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바(22)를 포함한다. 가변바(22)는 차체(110)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차축(120)은 바퀴가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축이고, 차체(110)는 차량의 바닥면에 해당된다.
상부브라켓(40)은 가변바(22)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브라켓(50)은 실린더(21)에 고정 설치된다.
코일스프링(60)에는 관통체(61)가 구비되고, 관통체(61)는 고정브라켓(30)을 관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체(61)는 코일스프링(60)의 하단에서 절곡되는 형상을 하며, 하부브라켓(50)에는 관통체(61)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51)이 형성된다.
코일스프링(60)과 고정브라켓(30)의 접촉부분에 발생되는 충격 또는 이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브라켓(30)과 코일스프링(60) 사이에는 완충패드(70)가 구비된다.
완충패드(70)는 연질의 고무나 스펀지로 성형되며, 고정브라켓(30)과 코일스프링(60) 사이에 위치되어 소음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스프링 고정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쇼크업소바(20)의 가변바(22)에 상부브라켓(40)을 고정 설치하고, 쇼크업소바(20)의 실린더(21)에 하부브라켓(50)을 고정 설치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60)을 상부브라켓(40)과 하부브라켓(50) 사이에 조립한다. 상부브라켓(40)과 하부브라켓(50)이 고정 설치되기 전에, 쇼크업소바(20)가 코일스프링(60)의 중심축에 위치되도록 한다.
한편, 하부브라켓(50)에는 관통홀(51)이 형성되므로, 코일스프링(60)의 하측 면이 하부브라켓(50)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관통체(61)가 관통홀(51)에 의해 하부브라켓(50)을 관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관통체(61)가 하부브라켓(50)을 관통하면, 외부충격이 발생하더라도 관통체(61)가 하부브라켓(50)에 걸리므로, 코일스프링(60)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상부브라켓(40)과 하부브라켓(50)에는 연질의 완충패드(70)를 부착하여, 코일스프링(60)이 금속재질의 상부브라켓(40)이나 하부브라켓(50)과 접촉되어 소음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스프링 서스펜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코일스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하부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스프링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쇼크업소바 40 : 상부브라켓
50 : 하부브라켓 60 : 코일스프링
61 : 관통체 70 : 완충패드

Claims (3)

  1. 쇼크업소바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력이 생성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을 관통하는 관통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의 스프링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측면과 밀착되는 상부브라켓; 및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측면과 밀착되는 하부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브라켓에는 상기 관통체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의 스프링 고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코일스프링 사이에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의 스프링 고정장치.
KR1020080090827A 2008-09-16 2008-09-16 서스펜션의 스프링 고정장치 KR20100031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827A KR20100031939A (ko) 2008-09-16 2008-09-16 서스펜션의 스프링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827A KR20100031939A (ko) 2008-09-16 2008-09-16 서스펜션의 스프링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939A true KR20100031939A (ko) 2010-03-25

Family

ID=4218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827A KR20100031939A (ko) 2008-09-16 2008-09-16 서스펜션의 스프링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19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056381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100031939A (ko) 서스펜션의 스프링 고정장치
KR102226553B1 (ko) 서스펜션용 리프스프링의 비틀림 억제장치
KR20130062138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져 장치
KR20130040427A (ko) 차량 서스펜션 장치
KR101321033B1 (ko) 스테빌라이저바가 장착되는 리어 서브프레임의 구조
KR101786538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20100058967A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2109426B1 (ko) 스트럿 어셈블리
KR200287280Y1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구조_
KR200147369Y1 (ko) 부시
KR0140673Y1 (ko) 댐핑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토션 바
KR102638576B1 (ko) 줄 꼬임을 이용한 모빌리티용 가변 서스펜션
KR101094966B1 (ko) 자전거 안장 충격 흡수장치
KR20070100465A (ko) 자동차의 프런트 현가장치
KR20090087282A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448784B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JP4133724B2 (ja) サスペンションブッシュ用ワッシャ
KR10020490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암 부시
KR20020044700A (ko) 범프스토퍼를 구비한 완충장치
KR20080003597A (ko) 자동차용 토션바 스프링
KR20070100514A (ko) 차량용 현가장치
JP2004183726A (ja) 防振装置
KR100608568B1 (ko) 차량의 캡 서스펜션
KR10073701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