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9491A - 핀튜브 제조 과정에서의 핀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핀튜브 제조 과정에서의 핀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9491A
KR20100029491A KR1020080088301A KR20080088301A KR20100029491A KR 20100029491 A KR20100029491 A KR 20100029491A KR 1020080088301 A KR1020080088301 A KR 1020080088301A KR 20080088301 A KR20080088301 A KR 20080088301A KR 20100029491 A KR20100029491 A KR 20100029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in
pin
weld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9418B1 (ko
Inventor
황덕철
Original Assignee
(주)디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케이티 filed Critical (주)디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88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418B1/ko
Publication of KR20100029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3/00Welding by high-frequency current heating
    • B23K13/01Welding by high-frequency current heating by induction heating
    • B23K13/02Seam welding
    • B23K13/025Seam welding f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meta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26Non-corrosive coatings; Primers applied before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03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76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for working on or i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for rotating tubes, e.g.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3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 F28F1/3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the means being helically wound fins or wire spir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06Tubes
    • B23K2101/08Tubes finned or ribb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형상의 튜브 외측에 나선 방향으로 띠형상을 갖는 핀을 결합시켜서 된 핀튜브의 제조 과정에 있어 핀이 튜브에 용접 결합될 수 있도록 핀튜브 용접부를 가져서 된 핀튜브 제조 과정에서의 핀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 용접부(6)는, 개폐도어를 갖는 케이스(602)와, 상기 언코일러(4)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핀(F)을 상기 케이스(602)내로 투입시키는 핀투입기(610)와, 상기 튜브(T)에 상기 핀투입기(610)를 통해 유입되는 핀(F)의 일단을 상기 튜브(T)의 둘레를 따라 위치시키면서 용접 고정시키는 고주파 용접기(640)와, 용접 위치에서 전후진 되며 상기 튜브(T)의 외경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지지하는 튜브 지지구(660)와, 용접과 동시에 냉각수를 통해 용접부위를 냉각시키는 다수의 냉각수 노즐(6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핀튜브, 핀튜브 자동 제조장치, 핀튜브 용접장치,

Description

핀튜브 제조 과정에서의 핀 용접장치{A welder for a fin tube auto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열교환기를 이루며 튜브 외측에 핀이 나선방향으로 결합되는 핀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 이송되는 튜브의 외측에 띠형상의 핀을 나선형으로 결합시 핀이 튜브에 빠르고 간편하게 용접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핀튜브 제조 과정에서의 핀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병합발전소 등지에서는 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폐열회수보일러(Heat Recovery Steam Generator)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는 "HRSG" 라 칭한다.
통상, 발전소 등지에서 가스터빈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게 되는 경우 배기가스의 온도는 대략 200-550도의 고열을 발생하게 되어 상당량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기가스가 그대로 외부에 배출되는 경우 상당한 에너지를 그대로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 배출되는 배기가스로부터 에너지를 2차적으로 회수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발전소 등지에서는 폐열회수보일러 시스 템을 적용하고 있다.
상기 폐열회수보일러 시스템은 대기중으로 배출되어 버려질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고 폐열회수 보일러에서 발생된 증기로는 증기터빈을 구동하여 전력을 생산하는데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폐열회수보일러는, 가스터빈의 배기가스로부터 열교환을 통하여 증기를 얻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때, 열교환기는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 핀튜브가 적용되고 있다.
상기 핀튜브는, 그 구조를 살펴보면 중공의 튜브와, 상기 튜브의 외측에 다수의 핀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튜브에 핀을 결합시키는 것은 열접촉면을 확대시켜 열교환 효율을 증가시키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그 대표적인 핀튜브가 생산성 향상을 위한 나선형 핀튜브(spiral finned tube) 방식이 있으며, 상기 나선형 핀튜브의 튜브 외주면에 띠형상의 핀을 세워 나선형으로 감아 핀을 형성하는 방식의 열교환기로 핀을 형성함에 있어 공정이 단절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나선형 핀튜브의 핀 상에는 제조상 주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한 주름은 열교환기를 지나는 공기측의 유동저항을 급격하게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핀과 튜브 간에 접촉저항을 줄이기 위해 핀 용접을 하여야 하거나, 핀이 부착되는 위치에 나선형의 표면처리를 해야 되는 경우도 있어 생산성이 예상보 다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고 전열면적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유동저항 측면에서도 유리한 새로운 방식의 열교환기가 필요하며 그의 생산 방법 및 장치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핀튜브(Finned Tube)는 제조시 튜브의 외측에 나선상으로 권취되는 핀이 용접된 것으로서, 상기 튜브를 서서히 회전시키고, 언코일러로부터 인출된 띠형상의 핀을 상기 튜브에 수직하게 세워 접선방향으로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튜브와 핀에 전극팁을 근접시킨 다음, 상기 튜브와 핀의 접촉부에 고주파 아크를 발생시켜 상기와 같이 발생된 아크 열을 통해 용접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튜브에 핀을 용접함에 있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띠형상의 핀을 수직으로 세움과 아울러 튜브로부터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여야만 안정된 용접이 이루어지는데 종래에는 핀을 수직으로 세우는 전용장치가 없어 현장에서 임시방편적으로 만든 장치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작업이 지연되고 용접 불량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핀튜브의 제조시, 튜브에 핀이 나선방향으로 연속적인 용접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다시말해, 튜브와 접촉되어 용접되는 핀의 일측이 용접이 안정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핀이 튜브에 감길때 수평면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형상의 튜브 외측에 나선 방향으로 띠형상을 갖는 핀을 결합시켜서 된 핀튜브 제조 과정에 있어서,
프레임의 일측에서 적재된 튜브를 공급하는 튜브 공급부와, 튜브를 연속적으로 안내하는 튜브 푸싱부와, 핀을 공급하는 언코일러와, 용접 용이성 확보를 위해 상기 튜브에 표면 거칠기 작업을 수행하는 튜브 표면스크러치부와, 상기 튜브에 핀의 용접 결합시 공급되는 냉각수의 처리수를 필터링하는 슬러지처리부와, 핀튜브를 이송시키는 핀튜브 이송기와, 핀튜브의 녹슬음을 방지하는 녹슬음 방지액 도포부와, 핀튜브 안내부와, 핀튜브의 진동을 방지하는 핀튜브 진동 방지부와, 상기 핀튜브를 적정 길이로 컷팅하는 핀튜브 컷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의 표면에 핀을 결합시키는 핀튜브 용접부를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튜브 용접부는,
개폐도어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언코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핀을 상기 케이스내로 투입시키는 핀투입기와,
상기 튜브에 상기 핀투입기를 통해 유입되는 핀 일단을 상기 튜브의 둘레를 따라 위치시키면서 용접 고정시키는 고주파 용접기와,
용접 위치에서 전후진 되며 상기 튜브(T)의 외경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지지하는 튜브 지지구와,
용접과 동시에 냉각수를 통해 용접부위를 냉각시키는 다수의 냉각수 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 제조 과정에서의 핀 용접장치는, 튜브에 핀이 나선방향으로 연속 결합시 핀의 일측이 튜브 표면에 간편하고 안정되게 용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핀의 일측에 형성된 절곡단이 등간격을 따라 형성된 절개단에 의해 안정되고 용이하게 용접될 수 있고 또한 튜브에 핀이 감길때 핀의 표면이 안정된 수평면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주파 용접부의 튜브 표면을 전후 양단에서 안정화 시키는 역확과 고 속 회전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 제조용 용접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의 도시에 의하여 중공형상의 튜브(T) 외측에 나사 방향으로 띠형상을 갖는 핀(F)의 일단이 연속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핀튜브(FT)에 있어 튜브에 핀을 용접 결합시키기 위한 핀튜브 용접부를 가져서 된 핀튜브 제조 과정에서의 핀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 용접부를 포함하여 핀튜브를 제조하는 핀튜브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본 발명은,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서 적재된 튜브(T)를 하나씩 상기 프레임(1)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급 이송되도록 하는 튜브 공급부(2)와,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 제공되어 튜브(T)를 연속적으로 안내 이송하는 튜브 푸싱부(3)와, 상기 핀(F)이 권취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풀림되도록 하는 언코일러(4)와, 상기 튜브(T)의 표면에 용접되는 상기 핀(F)의 용접 용이성 확보를 위해 상기 튜브(T)에 표면 거칠기 작업을 수행하는 튜브 표면스크러치부(5)와, 상기 튜브(T)의 표면에 핀(F)을 결합시켜 핀튜브(FT)를 형성시키는 핀튜브 용접부(6)와, 상기 튜브(T)에 핀(F)의 용접 결합시 공급되는 냉각수의 처리수를 필터링하는 슬러지처리부(7)와, 상기 프레임(1)의 후방측에 제공되어 상기 프레임(1)에 제공되는 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왕복 이송하게 되며 상기 핀튜브(FT)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구를 가져서 된 핀튜브 이송기(8)와, 상기 핀튜브(FT)에 도포되어 상기 핀튜브(FT)의 녹슬음을 방지하는 녹슬음 방지액 도포부(9)와, 상기 프레임(1)의 후방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제공되며, 하측에 제공되는 승강실린더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핀튜브 이송기(8)의 이송에 따른 간섭없이 올려진 상기 핀튜브(FT)를 슬라이드 안내하도록 좌우 한 쌍의 공회전 로울러를 가져서 된 핀튜브 안내부(10)와, 상기 프레임(1)의 후방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제공되어 상기 핀튜브 안내부(10)에 의해 지지된 상기 핀튜브(FT)의 상측을 커버하는 형태로 슬라이드 지지하여 상기 핀튜브(FT)의 유동을 방지하는 핀튜브 유동 방지부(11)와, 상기 핀튜브(FT)를 적정 길이로 컷팅하는 핀튜브 컷팅부(12)로 구성되어 핀튜브(FT)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1)은, 다수의 각파이프를 통해 이루어져 튜브(T)를 연속적으로 안내하도록 함과 동시에 튜브(F)의 외측에 핀(F)이 결합된 상태의 핀튜브(FT)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1)은, 튜브(T)를 안내하는 전방몸체(110a)와 핀튜브(FT)를 안내 하는 후방몸체(11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몸체(110a)는, 상기 튜브(T)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튜브 공급부(2)와, 튜브 푸싱부(3), 튜브 표면스크러치부(5)가 위치된다.
상기 후방몸체(110b)는 상기 핀튜브(FT)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녹슬음 방지액 도포부(9), 핀튜브 이송기(9), 핀튜브 안내부(10), 핀튜브 유동방지부(11), 핀튜브 컷팅부(12)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몸체(110b)의 상면 양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핀튜브 이송기(8)의 이송바퀴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는 레일(12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몸체(110b)의 상면 안쪽에서 상기 이송바퀴와 상기 레일(120)이 일부 커버되도록 하여 상기 녹슬음 방지액 도포부(9)에서의 분사된 녹슬음 방지액이 묻지 않도록 보호하는 커버편(130)이 절곡 형성되며, 상기 후방몸체(110b)의 내측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핀튜브 이송기(8)에 제공되는 구동용 피니언기어가 맞물려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시 상기 핀튜브(FT)가 이송되도록 안내 하는 래크기어(140)가 제공된다.
즉, 상기 몸체(110)는, 상기 핀튜브 용접부(6)를 중심으로 전방몸체(110a)와 후방몸체(110b)로 분리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핀튜브 용접부(6)는, 개폐도어를 갖는 케이스(602)와, 상기 언코일러(4)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핀(F)을 상기 케이스(602)내로 투입시키는 핀투입기(610)와, 상기 튜브(T)에 상기 핀투입기(610)를 통해 유입되는 핀(F)의 일단을 상기 튜브(T)의 둘레를 따라 위치시키면서 용접 고정시키는 고주파 용접기(640)와, 용접 위치에서 전후진 되며 상기 튜브(T)의 외경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지지하는 튜브 지지구(660)와, 용접과 동시에 냉각수를 통해 용접부위를 냉각시키는 다수의 냉각수 노즐(650)로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핀튜브 용접부(6)는, 개폐도어를 갖는 케이스(602)와, 상기 언코일러(4)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핀(F)을 상기 케이스(602)내로 투입시키는 핀투입부(610)와, 투입되는 핀(F)의 일단부를 외측에 나선방향으로 컷팅날(621)이 형성된 컷팅로울러(622)를 통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반복된 다수의 절개단(623)이 형성되도록 하는 절개단 형성기(620)와, 상기 핀(F)의 일단부에 형성된 절개단(623)을 밴딩로울러를 통해 90도 각도로 절곡시켜 용접 및 상기 핀(F)의 원형 유지를 위한 절곡단(633)이 형성되도록 하는 절곡단 형성기(630)와, 상기 튜브(T)에 핀(F)의 절곡단을 용접 고정시키는 고주파 용접기(640)와, 용접 위치에서 상기 튜브(T)를 슬라이드 지지하는 튜브 지지구(660)와, 용접과 동시에 냉각수를 통해 용접부위를 냉각시키는 다수의 냉각수 노즐(650)로 구성될 수 있다.(도 7 또는 도 8 참조)
상기 고주파 용접기(640)는,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 제공되는 이송수단(642)인 X축 이동기와, Y축 이동기, 및 Z축 이동기에 의해 의해 X,Y,Z 축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Y축 이동기는, 상기 프레임의 수직브래킷(643) 벽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한 쌍으로 배열되는 레일(642a)과, 이 레일(642a)에 블럭(642b)을 통해 결합되어 실린더(642c)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승하강 되는 상하이동플레이트(642d) 로 이루어진다.
상기 X축 이동기는, 상기 상하이동플레이트(642d)의 수직면에 X축 방향으로 상하 배열되는 레일(642e)과, 이 레일(642e)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블럭(642f)과, 상기 블럭(642f)에 결합되며 상기 고주파 용접기(640)를 고정하는 좌우이동플레이트(642g)와, 상기 상하이동플레이트(642d)에 스크류(642h) 결합되며 상기 좌우이동플레이트(642g)에 제공되어 상기 스크류(642h)를 회전시키도록 모터(642j) 연결된 베벨기어(642k)로 이루어진다.
상기 Z축 이동기는, 상기 Y축 이동기의 레일(642a)이 결합되는 수직브래킷의 저면에 제공되는 블럭(642m)과, 이 블럭(642m)이 결합되어 전후진 되도록 프레임의 상면에 올려지는 레일(642n)과, 수직브래킷의 저면에 제공되며 스크류(642p)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642p)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수직브래킷을 전후진 시키는 가이더(642q)와, 상기 스크류(642p)를 체인(642r)을 통해 회전시키는 모터(642s)로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 지지구(660)는, 상기 프레임(1) 상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이송되는 튜브(T)를 슬라이드 지지하는 다수개의 롤러(661)와, 일측에 상기 롤러(66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에는 가이더(665)가 그리고 하측에는 좌우 한 쌍의 블럭(662)이 제공되는 이동체(663)와, 상기 프레임(1)의 상측에서 상기 블럭(662)이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송되도록 하는 레일(664)과, 상기 가이더(665)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가이더(665)를 전후진 시키는 스크류(666)와, 상기 스크류(666)의 단부에 체인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모터(667)로 구성되어 전후 이 동되며 상기 튜브(T)의 외경에 맞추어 슬라이드 지지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고주파 용접기(640)는 튜브(T) 크기에 따라 전후 방향은 물론 상하 좌우로 이동되면서 용접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핀튜브 용접부(6)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튜브 푸싱부(3)에 의해 튜브(T)가 이송됨과 동시에 튜브 표면스크러치부(5)를 통해 용접이 용이하도록 비교적 거칠고 안정된 표면이 형성된 상태에서 케이스(602)내의 용접 위치로 유입되게 된다. 동시에 언코일러(4)로부터 풀림되어 이송되는 핀(F)이 컷팅로울러(622)를 통해 절개단(623)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리고 밴딩로울러를 통해 "L" 형상과 같이 절곡단(633)이 형성된 상태에서 용접 부위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튜브(T) 표면에 핀(F)의 일측 절곡단(633)이 밀착된 상태가 되면 고주파 용접기(640)가 절개단(623)들을 통해 핀(F)을 튜브(T)에 용접하게 된다.
열병합 발전소의 열교환기로 적용될 수 있는 것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 용접부가 적용된 핀튜브 자동 제조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핀튜브 용접부를 도시한 정면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평면도,
도 4는 도 2에서 튜브 지지구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5는 도 1에서 튜브에 핀을 용접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단면 요부도,
도 7은 도 5의 다른 실시예,
도 8은 도 7의 정단면 요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 핀 T: 튜브
FT: 핀튜브
1: 프레임
6: 핀튜브 용접부
610: 케이스
620: 절개단 형성기
623: 절개단 621: 컷팅날
622: 컷팅로울러
630: 절곡단 형성기
633: 절곡단
640: 고주파 용접기 642: 이송수단
650: 냉각수 노즐

Claims (4)

  1. 중공형상의 튜브 외측에 나선 방향으로 띠형상을 갖는 핀을 결합시켜서 된 핀튜브에 있어서,
    프레임(1)의 일측에서 적재된 튜브(T)를 하나씩 상기 프레임(1)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급 이송되도록 하는 튜브 공급부(2)와,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 제공되어 튜브(T)를 연속적으로 안내 이송하는 튜브 푸싱부(3)와, 핀(F)이 권취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풀림되도록 하는 언코일러(4)와, 상기 튜브(T)의 표면에 용접되는 상기 핀(F)의 용접 용이성 확보를 위해 상기 튜브(T)에 표면 거칠기 작업을 수행하는 표면스크러치부(5)와, 상기 튜브(T)의 표면에 핀(F)을 결합시켜 핀튜브(FT)를 형성시키는 핀튜브 용접부(6)와, 상기 튜브(T)에 핀(F)의 용접 결합시 공급되는 냉각수의 처리수를 필터링하는 슬러지처리부(7)와, 상기 프레임(1)의 후방측에 제공되어 상기 프레임(1)에 제공되는 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왕복 이송하게 되며 상기 핀튜브(FT)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구를 가져서 된 핀튜브 이송기(8)와, 상기 핀튜브(FT)에 도포되어 상기 핀튜브(FT)의 녹슬음을 방지하는 녹슬음 방지액 도포부(9)와, 상기 프레임(1)의 후방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제공되며, 하측에 제공되는 승강실린더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핀튜브 이송기의 이송에 따른 간섭없이 올려진 상기 핀튜브(FT)를 슬라이드 안내하도록 좌우 한 쌍의 공회전 로울러를 가져서 된 핀튜브 안내부(10)와, 상기 프레임(1)의 후방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제공되어 상기 핀튜브 안내부(10)에 의해 지지된 상기 핀튜브(FT) 의 상측을 커버하는 형태로 슬라이드 지지하여 상기 핀튜브(FT)의 유동을 방지하는 핀튜브 유동 방지부(11)와, 상기 핀튜브(FT)를 적정 길이로 컷팅하는 핀튜브 컷팅부(12)를 포함하며;
    상기 핀튜브 용접부(6)는,
    개폐도어를 갖는 케이스(602)와,
    상기 언코일러(4)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핀(F)을 상기 케이스(602)내로 투입시키는 핀투입기(610)와,
    상기 튜브(T)에 상기 핀투입기(610)를 통해 유입되는 핀(F)의 일단을 상기 튜브(T)의 둘레를 따라 위치시키면서 용접 고정시키는 고주파 용접기(640)와,
    용접 위치에서 전후진 되며 상기 튜브(T)의 외경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지지하는 튜브 지지구(660)와,
    용접과 동시에 냉각수를 통해 용접부위를 냉각시키는 다수의 냉각수 노즐(6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핀튜브 제조 과정에서의 핀 용접장치.
  2. 중공형상의 튜브 외측에 나선 방향으로 띠형상을 갖는 핀을 결합시켜서 된 핀튜브에 있어서,
    프레임(1)의 일측에서 적재된 튜브(T)를 하나씩 상기 프레임(1)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급 이송되도록 하는 튜브 공급부(2)와,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 제공되어 튜브(T)를 연속적으로 안내 이송하는 튜브 푸싱부(3)와, 핀(F)이 권취된 상태에 서 연속적으로 풀림되도록 하는 언코일러(4)와, 상기 튜브(T)의 표면에 용접되는 상기 핀(F)의 용접 용이성 확보를 위해 상기 튜브(T)에 표면 거칠기 작업을 수행하는 표면스크러치부(5)와, 상기 튜브(T)의 표면에 핀(F)을 결합시켜 핀튜브(FT)를 형성시키는 핀튜브 용접부(6)와, 상기 튜브(T)에 핀(F)의 용접 결합시 공급되는 냉각수의 처리수를 필터링하는 슬러지처리부(7)와, 상기 프레임(1)의 후방측에 제공되어 상기 프레임(1)에 제공되는 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왕복 이송하게 되며 상기 핀튜브(FT)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구를 가져서 된 핀튜브 이송기(8)와, 상기 핀튜브(FT)에 도포되어 상기 핀튜브(FT)의 녹슬음을 방지하는 녹슬음 방지액 도포부(9)와, 상기 프레임(1)의 후방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제공되며, 하측에 제공되는 승강실린더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핀튜브 이송기의 이송에 따른 간섭없이 올려진 상기 핀튜브(FT)를 슬라이드 안내하도록 좌우 한 쌍의 공회전 로울러를 가져서 된 핀튜브 안내부(10)와, 상기 프레임(1)의 후방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제공되어 상기 핀튜브 안내부(10)에 의해 지지된 상기 핀튜브(FT)의 상측을 커버하는 형태로 슬라이드 지지하여 상기 핀튜브(FT)의 유동을 방지하는 핀튜브 유동 방지부(11)와, 상기 핀튜브(FT)를 적정 길이로 컷팅하는 핀튜브 컷팅부(12)를 포함하며;
    상기 핀튜브 용접부(6)는,
    개폐도어를 갖는 케이스(602)와,
    상기 언코일러(4)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핀(F)을 상기 케이스(602)내로 투입시키는 핀투입기(610)와,
    투입되는 핀(F)의 일단부를 외측에 나선방향으로 컷팅날(621)이 형성된 컷팅로울러(622)를 통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반복된 다수의 절개단(623)이 형성되도록 하는 절개단 형성기(620)와,
    상기 핀(F)의 일단부에 형성된 절개단(623)을 밴딩로울러를 통해 90도 각도로 절곡시켜 용접 및 상기 핀(F)의 원형 유지를 위한 절곡단(633)이 형성되도록 하는 절곡단 형성기(630)와,
    상기 튜브(T)에 핀(F)의 절곡단을 용접 고정시키는 고주파 용접기(640)와,
    용접 위치에서 전후진 되며 상기 튜브(T)의 외경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지지하는 튜브 지지구(660)와,
    용접과 동시에 냉각수를 통해 용접부위를 냉각시키는 다수의 냉각수 노즐(6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핀튜브 제조 과정에서의 핀 용접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용접기(640)는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 제공되는 이송수단(642)인 X축 이동기와, Y축 이동기, 및 Z축 이동기에 의해 의해 X,Y,Z 축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Y축 이동기는, 상기 프레임의 수직브래킷(643) 벽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한 쌍으로 배열되는 레일(642a)과, 이 레일(642a)에 블럭(642b)을 통해 결합되어 실린더(642c)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승하강 되는 상하이동플레이트(642d) 로 이루어지고,
    상기 X축 이동기는, 상기 상하이동플레이트(642d)의 수직면에 X축 방향으로 상하 배열되는 레일(642e)과, 이 레일(642e)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블럭(642f)과, 상기 블럭(642f)에 결합되며 상기 고주파 용접기(640)를 고정하는 좌우이동플레이트(642g)와, 상기 상하이동플레이트(642d)에 스크류(642h) 결합되며 상기 좌우이동플레이트(642g)에 제공되어 상기 스크류(642h)를 회전시키도록 모터(642j) 연결된 베벨기어(642k)로 이루어지며;
    상기 Z축 이동기는, 상기 Y축 이동기의 레일(642a)이 결합되는 수직브래킷(643)의 저면에 제공되는 블럭(642m)과, 이 블럭(642m)이 결합되어 전후진 되도록 프레임의 상면에 올려지는 레일(642n)과, 수직브래킷의 저면에 제공되며 스크류(642p)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642p)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수직브래킷을 전후진 시키는 가이더(642q)와, 상기 스크류(642p)를 체인(642r)을 통해 회전시키는 모터(642s)로 이루어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핀튜브 제조 과정에서의 핀 용접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튜브 지지구(660)는
    상기 프레임(1) 상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이송되는 튜브(T)를 슬라이드 지지하는 다수개의 롤러(661)와, 일측에 상기 롤러(66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에는 가이더(665)가 그리고 하측에는 좌우 한 쌍의 블럭(662)이 제공되는 이동체(663)와, 상기 프레임(1)의 상측에서 상기 블럭(662)이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송되도록 하는 레일(664)과, 상기 가이더(665)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가이더(665)를 전후진 시키는 스크류(666)와, 상기 스크류(666)의 단부에 체인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모터(66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핀튜브 제조 과정에서의 핀 용접장치.
KR1020080088301A 2008-09-08 2008-09-08 핀튜브 제조 과정에서의 핀 용접장치 KR100989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301A KR100989418B1 (ko) 2008-09-08 2008-09-08 핀튜브 제조 과정에서의 핀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301A KR100989418B1 (ko) 2008-09-08 2008-09-08 핀튜브 제조 과정에서의 핀 용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491A true KR20100029491A (ko) 2010-03-17
KR100989418B1 KR100989418B1 (ko) 2010-10-26

Family

ID=4217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301A KR100989418B1 (ko) 2008-09-08 2008-09-08 핀튜브 제조 과정에서의 핀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418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4764A (zh) * 2014-03-04 2014-07-02 青岛凯能锅炉设备有限公司 弧形鳍片管全自动焊机
CN104759738A (zh) * 2014-01-03 2015-07-08 南通万达锅炉有限公司 鳍片管焊机系统
CN105397352A (zh) * 2015-12-08 2016-03-16 浙江大学 一种电机座散热片焊接装置
CN105479082A (zh) * 2016-01-15 2016-04-13 重庆安比芯汽车进气系统有限公司 一种振动摩擦焊接定位机构
CN109014921A (zh) * 2016-07-20 2018-12-18 东莞理工学院 一种方便拖拽的钢管焊接机
CN109351879A (zh) * 2018-10-30 2019-02-19 河北华林机械设备有限公司 翅片换热管热挤压成型设备
CN110977281A (zh) * 2019-11-25 2020-04-10 杭州蓝盾水净化设备有限公司 一种吊挂式过滤器焊机
KR20200142652A (ko) * 2019-06-13 2020-12-23 정대영 핀튜브 제조장치
CN112171102A (zh) * 2020-10-09 2021-01-05 江苏鼎翔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固定的翅片管自动焊接装置
CN112792473A (zh) * 2021-01-29 2021-05-14 邢美华 一种锅炉省煤器制造加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791B1 (ko) 2012-08-17 2014-03-17 (주)성일에스아이엠 파이프 벤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9611A (en) 1976-10-26 1978-03-21 Fedders Corporation Strip tension control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fin tubing
JPH06254642A (ja) * 1993-03-04 1994-09-13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パイラルフィン付きチューブの製造方法
KR100306001B1 (ko) * 2000-03-22 2001-09-24 김려남 열교환기용 핀 튜브 제조장치의 튜브 이송장치
JP2003053459A (ja) 2001-08-08 2003-02-26 Daisho Sangyo Kk フィン付伝熱管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伝熱管を用いた熱交換器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59738A (zh) * 2014-01-03 2015-07-08 南通万达锅炉有限公司 鳍片管焊机系统
CN103894764A (zh) * 2014-03-04 2014-07-02 青岛凯能锅炉设备有限公司 弧形鳍片管全自动焊机
CN105397352A (zh) * 2015-12-08 2016-03-16 浙江大学 一种电机座散热片焊接装置
CN105479082A (zh) * 2016-01-15 2016-04-13 重庆安比芯汽车进气系统有限公司 一种振动摩擦焊接定位机构
CN109014921B (zh) * 2016-07-20 2019-09-10 东莞理工学院 一种方便拖拽的钢管焊接机
CN109014921A (zh) * 2016-07-20 2018-12-18 东莞理工学院 一种方便拖拽的钢管焊接机
CN109351879A (zh) * 2018-10-30 2019-02-19 河北华林机械设备有限公司 翅片换热管热挤压成型设备
CN109351879B (zh) * 2018-10-30 2024-03-26 张建梅 翅片换热管热挤压成型设备
KR20200142652A (ko) * 2019-06-13 2020-12-23 정대영 핀튜브 제조장치
CN110977281A (zh) * 2019-11-25 2020-04-10 杭州蓝盾水净化设备有限公司 一种吊挂式过滤器焊机
CN110977281B (zh) * 2019-11-25 2021-07-20 杭州蓝盾水净化设备有限公司 一种吊挂式过滤器焊机
CN112171102A (zh) * 2020-10-09 2021-01-05 江苏鼎翔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固定的翅片管自动焊接装置
CN112171102B (zh) * 2020-10-09 2021-11-19 江苏鼎翔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固定的翅片管自动焊接装置
CN112792473A (zh) * 2021-01-29 2021-05-14 邢美华 一种锅炉省煤器制造加工方法
CN112792473B (zh) * 2021-01-29 2022-09-06 哈尔滨团结锅炉集团有限公司 一种锅炉省煤器制造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9418B1 (ko) 201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418B1 (ko) 핀튜브 제조 과정에서의 핀 용접장치
CN109514048B (zh) 厚壁管双人双面焊接设备及工艺
CN104480279B (zh) 一种生产油气管道用弯管的两步感应加热装置及方法
CN115287433B (zh) 双金属复合管在线固溶装置及方法
CN215787726U (zh) 卡盘式钢管法兰焊接设备
KR20120013045A (ko) 조관장치와 이를 이용한 조관 방법
KR101050366B1 (ko) 핀튜브 제조에 있어 용접 용이성 확보를 위한 튜브표면처리장치
KR100988259B1 (ko) 핀튜브 녹슬음 방지액 도포장치
CN108942102B (zh) 一种超级双相不锈钢连续油管的制造方法
WO2024011704A1 (zh) 多功能带材处理机组及其使用方法
KR100912410B1 (ko) 핀튜브 자동 제조장치
KR100981618B1 (ko) 핀튜브 제조용 언코일러
KR101062440B1 (ko) 진동방지부를 포함하는 핀튜브 제조장치
KR101153884B1 (ko) 핀튜브 제조과정에서의 이물질 투입 방지용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하는 핀튜브 제조장치
KR101002251B1 (ko) 튜브 공급부를 포함하는 핀튜브 제조장치
CN107081501A (zh) 一种用于窄厚钢板的坡口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BR112014014501B1 (pt) método de produção e instalação de produção de tubo de metal
KR101013797B1 (ko) 슬러지 자동 처리부를 가져서 된 핀튜브 제조장치
CN210664097U (zh) 异性材质薄壁翅片管及其制造装置
CN113579412B (zh) 一种用于焊接集油管与散热片的自动圆周焊接机
KR101002252B1 (ko) 튜브 푸싱부를 포함하는 핀튜브 제조장치
CN206981953U (zh) 一种用于窄厚钢板的坡口加工装置
CN217529575U (zh) 一种用于换热器生产的管体自动切割装置
CN220612750U (zh) 一种利用回收热进行工件预热的焊接装置
CN216882217U (zh) 一种不锈钢管等离子焊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