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259B1 - 핀튜브 녹슬음 방지액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핀튜브 녹슬음 방지액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259B1
KR100988259B1 KR1020080088302A KR20080088302A KR100988259B1 KR 100988259 B1 KR100988259 B1 KR 100988259B1 KR 1020080088302 A KR1020080088302 A KR 1020080088302A KR 20080088302 A KR20080088302 A KR 20080088302A KR 100988259 B1 KR100988259 B1 KR 100988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in
fin tube
chemical liqui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9492A (ko
Inventor
황덕철
Original Assignee
(주)디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케이티 filed Critical (주)디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88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25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9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6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heat exchang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9/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 F28F19/02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by using coatings, e.g. vitreous or enamel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6Fastening; Joinin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T) 외측에 나선방향으로 핀(F)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핀튜브(FT)에 녹슬음을 방지하도록 약액을 분사하여서 된 핀튜브 녹슬음 방지액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에 약액 안내를 위한 배출구 및 양쪽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호퍼(911)가 제공되고 상측에 양쪽으로 개폐되는 커버(912)(913)가 제공되는 케이스(910)와, 상기 커버(912)(913) 중 한 쪽에 제공되며 약액을 핀튜브(FT)로 분사하는 스프레이건(920)과, 상기 스프레이건(920)으로 약액공급라인을 통해 약액을 공급하도록 약액을 저장하는 약액 저장 탱크(930)와, 상기 약액 저장 탱크(910)의 약액을 모터의 구동력으로 펌핑시켜 약액공급라인(922)을 통해 상기 스프레이건(920)으로 약액을 공급하는 펌프(940), 상기 케이스(910)의 외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제공되고 타단의 로드(952)(962) 선단이 상기 커버(912)(913)에 각각 제공되어 상기 커버(912)(913)를 개폐하는 개폐실린더(950)(960)와, 상기 프레임(1)의 하부측에 세워져 고정되며 상단 로드(972)가 전후진 동작에 따라 상기 케이스(910)를 승하강 시키게 되는 승하강 실린더(970), 상기 케이스(910)의 하측 배출구에 연결되어 약액을 약액 저장조 또는 약액저장탱크(930)로 회수하는 드레인라인(99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핀튜브, 핀튜브 자동 제조장치, 핀튜브 녹슬음 방지액 도포장치,

Description

핀튜브 녹슬음 방지액 도포장치{A fin tube rust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열교환기를 이루는 핀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 이송되는 튜브의 외측에 띠형상의 핀을 나선형으로 용접 결합시켜 핀튜브를 제조하도록 하고 동시에 핀튜브의 외측에 녹슬음 방지액을 자동으로 분사 도포하여 핀튜브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핀튜브 녹슬음 방지액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병합발전소 등지에서는 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폐열회수보일러(Heat Recovery Steam Generator)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는 "HRSG" 라 칭한다.
통상, 발전소 등지에서 가스터빈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게 되는 경우 배기가스의 온도는 대략 200-550도의 고열을 발생하게 되어 상당량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기가스가 그대로 외부에 배출되는 경우 상당한 에너지를 그대로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 배출되는 배기가스로부터 에너지를 2차적으로 회수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발전소 등지에서는 폐열회수보일러 시스 템을 적용하고 있다.
상기 폐열회수보일러 시스템은 대기중으로 배출되어 버려질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고 폐열회수 보일러에서 발생된 증기로는 증기터빈을 구동하여 전력을 생산하는데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폐열회수보일러는, 가스터빈의 배기가스로부터 열교환을 통하여 증기를 얻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때, 열교환기는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 핀튜브가 적용되고 있다.
상기 핀튜브는, 그 구조를 살펴보면 중공의 튜브와, 상기 튜브의 외측에 다수의 핀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튜브에 핀을 결합시키는 것은 열접촉면을 확대시켜 열교환 효율을 증가시키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그 대표적인 핀튜브가 생산성 향상을 위한 나선형 핀튜브(spiral finned tube) 방식이 있으며, 상기 나선형 핀튜브의 튜브 외주면에 띠형상의 핀을 세워 나선형으로 감아 핀을 형성하는 방식의 열교환기로 핀을 형성함에 있어 공정이 단절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나선형 핀튜브의 핀 상에는 제조상 주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한 주름은 열교환기를 지나는 공기측의 유동저항을 급격하게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핀과 튜브 간에 접촉저항을 줄이기 위해 핀 용접을 하여야 하거나, 핀이 부착되는 위치에 나선형의 표면처리를 해야 되는 경우도 있어 생산성이 예상보 다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고 전열면적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유동저항 측면에서도 유리한 새로운 방식의 열교환기가 필요하며 그의 생산 방법 및 장치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종래 튜브에 핀을 용접 결합시키는 방식의 핀튜브 제조장치를 살펴보면,
실용신안 등록 제20-0329047호 "핀 언코일러용 홀더 장치" 및 특허등록 제10-0306001호 "열교환기용 핀 튜브 제조장치의 튜브 이송장치" 등 다수 건이 제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제안 건은 통상,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레임(1)의 일측에서 적재된 튜브(T)를 하나씩 상기 프레임(1)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급 이송되도록 하는 튜브 공급부(2)와,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 제공되어 튜브(T)를 연속적으로 안내 이송하는 튜브 푸싱부(3)와, 핀(F)이 권취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풀림되도록 하는 언코일러(4)와, 상기 튜브(T)의 표면에 용접되는 상기 핀(F)의 용접 용이성 확보를 위해 상기 튜브(T)에 표면 거칠기 작업을 수행하는 표면스크러치부(5)와, 상기 튜브(T)의 표면에 핀(F)을 결합시켜 핀튜브(FT)를 형성시키는 핀튜브 용접부(6)와, 상기 튜브(T)에 핀(F)의 용접 결합시 공급되는 냉각수의 처리수를 필터링하는 슬러지처리부(7)와, 상기 프레임(1)의 후방측에 제공되어 상기 프레임(1)에 제공되는 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왕복 이송하게 되며 상기 핀튜브(FT)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구를 가져서 된 핀튜브 이송기(8)와, 상기 프레임(1)의 후방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제공되며, 하측에 제공되는 승강실린더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핀튜브 이송기의 이송에 따른 간섭없이 올려진 상기 핀튜브(FT)를 슬라이드 안내하도록 좌우 한 쌍의 공회전 로울러를 가져서 된 핀튜브 안내부(10)와, 상기 프레임(1)의 후방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제공되어 상기 핀튜브 안내부(10)에 의해 지지된 상기 핀튜브(FT)의 상측을 커버하는 형태로 슬라이드 지지하여 상기 핀튜브(FT)의 유동을 방지하는 핀튜브 유동 방지부(11)와, 상기 핀튜브(FT)를 적정 길이로 컷팅하는 핀튜브 컷팅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핀튜브(FT)가 자동으로 제조되게 된다.
상기 튜브 공급부(2)는, 종래 기술로 상기 프레임(1)의 전방몸체 외측에 제공되며 그 중간부에 상기 튜브(T)가 올려져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이송로울러와, 상기 프레임(1)의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되는 경사로와, 일단이 상기 이송로울러에 근접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경사로에 근접 위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경사로의 선단에 제공되어 회전시 상기 경사로에 올려진 하나의 튜브(T)를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측으로 들어올려 상기 튜브(T)가 이송로울러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밀어내는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에따라 튜브(T)가 공급되면 이를 이송로울러가 안내하고 이때 튜브(T)가 편중되어 밀리게 되면 회전캠이 튜브(T)를 이송로울러 사이에 위치되도록 밀어내게 된다.
상기 튜브 푸싱부(3)는, 표면에 널링면이 형성되어 이 널링면을 통해 튜브(T)를 밀어서 이송시키는 한 쌍의 금속로울러와, 상기 금속로울러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와, 상기 금속로울러 중 하나와 샤프트의 단부를 연결하는 볼 조인트로 구성된다.
이는, 튜브(T)가 좌우 한 쌍을 가지며 프레임(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열된 금속로울러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구동모터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구동모터가 정회전되면서 샤프트를 회전시키고 이때 샤프트는 볼 조인트 연결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며 동시에 회전축은 일체로 결합된 금속로울러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금속로울러의 널링면이 면접촉된 튜브(T)를 밀어내는 형태로 계속된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표면 스크러치부(5)는, 연삭숫돌 등을 통해 튜브(T) 표면에 거칠기 작업인 스크래치(scarch)를 형성시키는 것이며 이를 통해 튜브(T)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 또는 표면 거칠기 작업으로 용접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핀튜브 용접부(6)는, 개폐도어를 갖는 케이스와, 언코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핀(F)을 상기 케이스내로 투입시키는 핀투입기와, 상기 튜브(T)에 상기 핀투입기를 통해 유입되는 핀(F)의 일단을 상기 튜브(T)의 둘레를 따라 위치시키면서 용접 고정시키는 고주파 용접기와, 용접 위치에서 전후진 되며 상기 튜브(T)의 외경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지지하는 튜브 지지구와, 용접과 동시에 냉각수를 통해 용접부위를 냉각시키는 다수의 냉각수 노즐로 구성된다.
상기 슬러지 처리부(7)는, 상기 튜브(T)에 핀(F)의 용접 결합시 공급되는 냉각수의 처리수를 필터링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핀튜브 용접부(6)에서 발생된 슬러지가 함유된 냉각수를 안내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와 이송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냉각수를 처리하여 저장하는 처리수 저장조와, 상기 이송라인에 제공되어 상기 냉각수를 상기 처리수 저장조로 강제 압송시키는 펌프와, 상기 처리수 저장조의 이송라인에 제공되어 냉각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하는 슬러지 처리기로 구성된다.
상기 핀튜브 이송기(8)는, 상기 프레임(1)의 후방측에 제공되어 핀튜브(FT)를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핀튜브 안내부(10)는, 상기 프레임(1)의 후방측에 제공되어 핀튜브(FT)를 정위치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핀튜브 유동방지부(11)는, 다수의 로울러를 통해 이송되는 핀튜브(FT)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핀튜브 컷팅부(12)는, 이송된 핀튜브(FT)를 컷팅기를 통해 적정 길이로 컷팅하게 된다.
상기한 핀튜브(Finned Tube)는 제조시 튜브의 외측에 나선상으로 권취되는 핀이 용접된 것으로서, 상기 튜브를 서서히 회전시키고, 언코일러로부터 인출된 띠형상의 핀을 상기 튜브에 수직하게 세워 접선방향으로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튜브와 핀에 전극팁을 근접시킨 다음, 상기 튜브와 핀의 접촉부에 고주파 아크를 발생시켜 상기와 같이 발생된 아크 열을 통해 용접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튜브에 핀을 용접함에 있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띠형상의 핀을 수직으로 세움과 아울러 튜브로부터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여야만 안정된 용접이 이루어지는데 종래에는 핀을 수직으로 세우는 전용장치가 없어 현장에서 임시방편적으로 만든 장치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작업이 지연되고 용접 불량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튜브에 핀이 결합되어 튜브핀의 제조시 그 외측에 녹슬음 방지액을 도포하게 되는데 이때 녹슬음 방지액을 스프레이건 등을 통해 도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어 녹슬음 방지액이 프레임 주위에 쌓여 튜브핀의 자동 제조시 연속 적인 작업이 힘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핀튜브의 제조시, 튜브와 핀의 결합되어 제조된 핀튜브에 핀튜브의 제조와 동시에 연속적으로 녹슬음 방지액이 안정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녹슬음 방지액이 외부 부품에 도포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의 일측에서 적재된 튜브를 하나씩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급 이송되도록 하는 튜브 공급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제공되어 튜브를 연속적으로 안내 이송하는 튜브 푸싱부와, 핀이 권취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풀림되도록 하는 언코일러와, 상기 튜브의 표면에 용접되는 상기 핀의 용접 용이성 확보를 위해 상기 튜브에 표면 거칠기 작업을 수행하는 표면스크러치부와, 상기 튜브의 표면에 핀을 결합시켜 핀튜브를 형성시키는 핀튜브 용접부와, 상기 튜브에 핀의 용접 결합시 공급되는 냉각수의 처리수를 필터링하는 슬러지처리부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측에 제공되어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는 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왕복 이송하게 되며 상기 핀튜브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구를 가져서 된 핀튜브 이송기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제공되며, 하측에 제공되는 승강실린더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핀튜브 이송기의 이송에 따른 간섭없이 올려진 상기 핀튜브를 슬라이드 안내하도록 좌우 한 쌍의 공회전 로울러를 가져서 된 핀튜브 안내부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제공되어 상기 핀튜브 안내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핀튜브의 상측을 커버하는 형태로 슬라이드 지지하여 상기 핀튜브의 유동을 방지하는 핀튜브 유동 방지부와, 상기 핀튜브를 적정 길이로 컷팅하는 핀튜브 컷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핀튜브에 도포되어 상기 핀튜브의 녹슬음을 방지하는 녹슬음 방지액 도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녹슬음 방지액 도포부가,
하부에 약액 안내를 위한 배출구 및 양쪽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호퍼가 제공되고 상측에 양쪽으로 개폐되는 커버가 제공되는 케이스와,
상기 커버 중 한 쪽에 제공되며 약액을 핀튜브로 분사하는 스프레이건과,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약액공급라인을 통해 약액을 공급하도록 약액을 저장하는 약액 저장 탱크와,
상기 약액 저장 탱크의 약액을 모터의 구동력으로 펌핑시켜 약액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약액을 공급하는 펌프,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제공되고 타단의 로드 선단이 상기 커버에 각각 제공되어 상기 커버를 개폐하는 개폐실린더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측에 세워져 고정되며 상단 로드가 전후진 동작에 따라 상기 케이스를 승하강 시키게 되는 승하강 실린더,
상기 케이스의 하측 배출구에 연결되어 약액을 약액 저장조 또는 약액저장탱크로 회수하는 드레인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 녹슬음 방지액 도포장치는, 핀튜브의 제조시, 튜브와 핀의 결합되어 제조된 핀튜브에 핀튜브의 제조와 동시에 연속적으로 녹슬음 방지액이 안정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녹슬음 방지액이 외부 부품에 도포되지 않도록 하여 핀튜브의 사용기간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핀튜브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 녹슬음 방지액 도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중공형상의 튜브(T) 외측에 나사 방향으로 띠형상을 갖는 핀(F)의 일단이 연속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핀튜브(FT)를 제조함에 있어 핀튜브(FT)의 외측에 녹슬음 방지액을 도포하는 녹슬음 방지액 도포부(9)를 제공하여서 된 핀튜브 녹슬음 방지액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시말해, 본 발명은 종래 핀튜브 제조장치에 상기 녹슬음 방지액 도포부(9)를 추가하여서 된 것이며, 종래 핀튜브 제조장치를 포함하여 설명하면, 프레임(1)의 일측에서 적재된 튜브(T)를 하나씩 상기 프레임(1)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급 이송되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 공급부(2)와,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 제공되어 튜브(T)를 연속적으로 안내 이송하는 튜브 푸싱부(3)와, 핀(F)이 권취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풀림되도록 하는 언코일러(4)와, 상기 튜브(T)의 표면에 용접되는 상기 핀(F)의 용접 용이성 확보를 위해 상기 튜브(T)에 표면 거칠기 작업을 수행하는 표면스크러치부(5)와, 상기 튜브(T)의 표면에 핀(F)을 결합시켜 핀튜브(FT)를 형성시키는 핀튜브 용접부(6)와, 상기 튜브(T)에 핀(F)의 용접 결합시 공급되는 냉각수의 처리수를 필터링하는 슬러지처리부(7)와, 상기 프레임(1)의 후방측에 제공되어 상기 프레임(1)에 제공되는 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왕복 이송하게 되며 상기 핀튜브(FT)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구를 가져서 된 핀튜브 이송기(8)와, 상기 핀튜브(FT)에 도포되어 상기 핀튜브(FT)의 녹슬음을 방지하는 녹슬음 방지액 도포부(9)와, 상기 프레임(1)의 후방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제공되며, 하측에 제공되는 승강실린더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핀튜브 이송기의 이송에 따른 간섭없이 올려진 상기 핀튜브(FT)를 슬라이드 안내하도록 좌우 한 쌍의 공회전 로울러를 가져서 된 핀튜브 안내부(10)와, 상기 프레임(1)의 후방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제공되어 상기 핀튜브 안내부(10)에 의해 지지된 상기 핀튜브(FT)의 상측을 커버하는 형태로 슬라이드 지지하여 상기 핀튜브(FT)의 유동을 방지하는 핀튜브 유동 방지부(11)와, 상기 핀튜브(FT)를 적정 길이로 컷팅하는 핀튜브 컷팅부(12)를 포함하여서 된다.
상기 프레임(1)은, 다수의 각파이프를 통해 이루어져 튜브(T)를 연속적으로 안내하도록 함과 동시에 튜브(T)의 외측에 핀(F)이 결합된 상태의 핀튜브(FT)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1)은, 튜브(T)를 안내하는 전방몸체(110a)와 핀튜브(FT)를 안내하는 후방몸체(11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몸체(110a)는, 상기 튜브(T)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튜브를 공급 이동시키는 튜브 공급부(2)와, 튜브를 이송시키는 튜브 푸싱부(3), 튜브 표면이 용접 가능하도록 거친 표면으로 유도하는 표면 스크러치부(5)가 위치된다.
상기 후방몸체(110b)는 상기 핀튜브 용접부(6)를 통해 튜브(T)에 핀(F)이 용접된 핀튜브(FT)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인 녹슬음 방지액 도포부(9), 핀튜브를 이송시키는 핀튜브 이송기(8) 및 핀튜브 안내부(10) 그리고 핀튜브 유동방지부(11)와 핀튜브를 컷팅시키는 핀튜브 컷팅부(12)가 위치된다.
즉, 상기 몸체(110)는, 상기 핀튜브 용접부(6)를 중심으로 전방몸체(110a)와 후방몸체(110b)로 분리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전방몸체(110a)와 후방몸체(110b) 사이에는 상기 튜브(T)의 표면에 핀(F)을 결합시켜 핀튜브(FT)를 형성시키는 핀튜브 용접부(6)와, 상기 튜브(T)에 핀(F)의 용접 결합시 공급되는 냉각수의 처리수를 필터링하는 슬러지처리부(7)가 제공된다.
여기서, 전방몸체(110a)에 제공되는 상기 튜브 공급부(2), 상기 튜브 푸싱부(3), 상기 표면 스크러치부(5)는 종래 기술과 동일한 기술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방몸체(110b)에 제공되는 상기 핀튜브 이송기(8), 상기 핀튜브 안내부(10), 상기 핀튜브 유동방지부(11), 상기 핀튜브 컷팅부(12)도 종래 기술과 동일한 것으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핀튜브 용접부(6)와, 상기 슬러지 처리부(7) 또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기술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녹슬음 방지액 도포부(9)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 요지이며, 핀튜브(FT)에 도포되어 상기 핀튜브(FT)의 녹슬음을 방지하는 것으로, 하부에 약액 안내를 위한 배출구 및 양쪽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호퍼(911)가 제공되고 상측에 양쪽으로 개폐되는 커버(912)(913)가 제공되는 케이스(910)와, 상기 커버(912)(913) 중 한 쪽에 제공되며 약액을 핀튜브(FT)로 분사하는 스프레이건(920)과, 상기 스프레이건(920)으로 약액공급라인을 통해 약액을 공급하도록 약액을 저장하는 약액 저장 탱크(930)와, 상기 약액 저장 탱크(910)의 약액을 모터의 구동력으로 펌핑시켜 약액공급라인(922)을 통해 상기 스프레이건(920)으로 약액을 공급하는 펌프(940), 상기 케이스(910)의 외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제공되고 타단의 로드(952)(962) 선단이 상기 커버(912)(913)에 각각 제공되어 상기 커버(912)(913)를 개폐하는 개폐실린더(950)(960)와, 상기 프레임(1)의 하부측에 세워져 고정되며 상단 로드(972)가 전후진 동작에 따라 상기 케이스(910)를 승하강 시키게 되는 승하강 실린더(970), 상기 케이스(910)의 하측 배출구에 연결되어 약액을 약액 저장조 또는 약액저장탱크(930)로 회수하는 드레인라인(990)으로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핀튜브 녹슬음 방지액 도포장치의 작동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튜브(T)가 프레임(1)을 따라 이송되어 핀(F)이 용접된 상태의 핀튜브(FT) 상태에서 핀튜브 이송기(8)에 의해 이송되게 되면 먼저, 개폐실린더(950)(960)가 동작하여 로드(952)(962)를 통해 케이스(910)의 커버(912)(913)를 개방시킨다. 연속해서 승하강 실린더(970)가 동작하여 로드(972)를 전진시키게 되면 로드(972)에 의해 케이스(910)가 상승 동작을 하게 된다. 이후 핀튜브(FT)가 케이스(910)내에 수용되면 상기 개폐실린더(950)(960)가 동작하여 커버(912)(913)를 닫게된다. 연속해서 펌프(940)가 동작하여 약액저장탱크(930)의 약액을 약액공급라인(922)을 통해 스프레이건(920)으로 공급하고 이때 스프레이건(920)은 미세노즐을 통해 회전 이송되는 핀튜브(FT)에 약액을 분사하게 된다.
이후, 약액이 도포된 핀튜브(FT)가 이송되어 적재된 후 핀튜브 이송기(8)가 초기 위치로 후진하게 되면 상기 승하강 실린더(970)가 로드(972)를 하강시켜 상기 핀튜브 이송기(8)와의 간섭을 피하게 된다.
열병합 발전소의 열교환기로 적용될 수 있는 것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 녹슬음 방지액 도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녹슬음 방지액 도포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핀튜브 녹슬음 방지액 도포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 핀 T: 튜브
FT: 핀튜브
1: 프레임
9: 녹슬음 방지액 도포부
910: 케이스 912,913: 커버
920: 스프레이건 930: 약액공급라인
940: 펌프 950,960: 개폐실린더
952,962: 로드 970: 승하강 실린더
990: 드레인라인

Claims (1)

  1. 프레임(1)의 일측에서 적재된 튜브(T)를 하나씩 상기 프레임(1)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급 이송되도록 하는 튜브 공급부(2)와,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 제공되어 튜브(T)를 연속적으로 안내 이송하는 튜브 푸싱부(3)와, 핀(F)이 권취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풀림되도록 하는 언코일러(4)와, 상기 튜브(T)의 표면에 용접되는 상기 핀(F)의 용접 용이성 확보를 위해 상기 튜브(T)에 표면 거칠기 작업을 수행하는 표면스크러치부(5)와, 상기 튜브(T)의 표면에 핀(F)을 결합시켜 핀튜브(FT)를 형성시키는 핀튜브 용접부(6)와, 상기 튜브(T)에 핀(F)의 용접 결합시 공급되는 냉각수의 처리수를 필터링하는 슬러지처리부(7)와, 상기 프레임(1)의 후방측에 제공되어 상기 프레임(1)에 제공되는 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왕복 이송하게 되며 상기 핀튜브(FT)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구를 가져서 된 핀튜브 이송기(8)와, 상기 프레임(1)의 후방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제공되며, 하측에 제공되는 승강실린더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핀튜브 이송기의 이송에 따른 간섭없이 올려진 상기 핀튜브(FT)를 슬라이드 안내하도록 좌우 한 쌍의 공회전 로울러를 가져서 된 핀튜브 안내부(10)와, 상기 프레임(1)의 후방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제공되어 상기 핀튜브 안내부(10)에 의해 지지된 상기 핀튜브(FT)의 상측을 커버하는 형태로 슬라이드 지지하여 상기 핀튜브(FT)의 유동을 방지하는 핀튜브 유동 방지부(11)와, 상기 핀튜브(FT)를 적정 길이로 컷팅하는 핀튜브 컷팅부(12)를 포함하여서 된 핀튜브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핀튜브(FT)에 도포되어 상기 핀튜브(FT)의 녹슬음을 방지하는 녹슬음 방지액 도포부(9)를 포함하며;
    상기 녹슬음 방지액 도포부(9)는,
    하부에 약액 안내를 위한 배출구 및 양쪽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호퍼(911)가 제공되고 상측에 양쪽으로 개폐되는 커버(912)(913)가 제공되는 케이스(910)와,
    상기 커버(912)(913) 중 한 쪽에 제공되며 약액을 핀튜브(FT)로 분사하는 스프레이건(920)과,
    상기 스프레이건(920)으로 약액공급라인을 통해 약액을 공급하도록 약액을 저장하는 약액 저장 탱크(930)와,
    상기 약액 저장 탱크(910)의 약액을 모터의 구동력으로 펌핑시켜 약액공급라인(922)을 통해 상기 스프레이건(920)으로 약액을 공급하는 펌프(940),
    상기 케이스(910)의 외측에 일단이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제공되고 타단의 로드(952)(962) 선단이 상기 커버(912)(913)에 각각 제공되어 상기 커버(912)(913)를 개폐하는 개폐실린더(950)(960)와,
    상기 프레임(1)의 하부측에 세워져 고정되며 상단 로드(972)가 전후진 동작에 따라 상기 케이스(910)를 승하강 시키게 되는 승하강 실린더(970),
    상기 케이스(910)의 하측 배출구에 연결되어 약액을 약액 저장조 또는 약액저장탱크(930)로 회수하는 드레인라인(99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핀튜브 녹슬음 방지액 도포장치.
KR1020080088302A 2008-09-08 2008-09-08 핀튜브 녹슬음 방지액 도포장치 KR100988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302A KR100988259B1 (ko) 2008-09-08 2008-09-08 핀튜브 녹슬음 방지액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302A KR100988259B1 (ko) 2008-09-08 2008-09-08 핀튜브 녹슬음 방지액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492A KR20100029492A (ko) 2010-03-17
KR100988259B1 true KR100988259B1 (ko) 2010-10-18

Family

ID=42179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302A KR100988259B1 (ko) 2008-09-08 2008-09-08 핀튜브 녹슬음 방지액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2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51638B (zh) * 2011-03-21 2012-09-05 贾韶强 半自动金属管表面除锈喷漆装置及其除锈喷漆方法
CN105709993A (zh) * 2016-03-25 2016-06-29 苏州德智亚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气弹簧防锈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8657A (ja) * 1989-01-25 1990-08-07 Kubota Ltd 管外面塗装装置
JP2001276688A (ja) 2000-03-31 2001-10-09 Kurimoto Ltd 管外面塗装装置
JP2002045776A (ja) 2000-08-02 2002-02-12 Sumitomo Wiring Syst Ltd チューブ外周面への接着剤塗布装置
KR100514652B1 (ko) 2003-03-11 2005-09-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알루미늄튜브의 접착제 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8657A (ja) * 1989-01-25 1990-08-07 Kubota Ltd 管外面塗装装置
JP2001276688A (ja) 2000-03-31 2001-10-09 Kurimoto Ltd 管外面塗装装置
JP2002045776A (ja) 2000-08-02 2002-02-12 Sumitomo Wiring Syst Ltd チューブ外周面への接着剤塗布装置
KR100514652B1 (ko) 2003-03-11 2005-09-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알루미늄튜브의 접착제 도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492A (ko) 201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418B1 (ko) 핀튜브 제조 과정에서의 핀 용접장치
KR20140118922A (ko) 파이프의 외부 표면에 대한 전기 유도 가열 및 코팅
BR102013000284A2 (pt) Sistemas e métodos para a manutenção de um carro quente em uma fábrica de coque
KR100988259B1 (ko) 핀튜브 녹슬음 방지액 도포장치
KR101079121B1 (ko) 미세 금속파이프의 와이어 커팅장치
KR20100033121A (ko) 원자력발전소의 증기발생기를 세정하는 수압구동 전열관 다발 부분 삽입형 세정장비
CN104011266B (zh) 用于电抛光或电镀传送带的系统和方法
DE10020523B4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arbeitung eines Gegenstandes
CN115287433B (zh) 双金属复合管在线固溶装置及方法
CN112007797A (zh) 工件加工用自动化涂覆设备及其涂覆方法
CN108544236A (zh) 一种用于加工四方管的生产线
KR100912410B1 (ko) 핀튜브 자동 제조장치
KR20100046513A (ko) 현장 조립형 강관 제조장치
KR101050366B1 (ko) 핀튜브 제조에 있어 용접 용이성 확보를 위한 튜브표면처리장치
CN114054886A (zh) 一种用于干法除尘器的管道焊缝的自动检漏补焊装置
KR100981618B1 (ko) 핀튜브 제조용 언코일러
KR101002251B1 (ko) 튜브 공급부를 포함하는 핀튜브 제조장치
KR101013797B1 (ko) 슬러지 자동 처리부를 가져서 된 핀튜브 제조장치
KR101153884B1 (ko) 핀튜브 제조과정에서의 이물질 투입 방지용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하는 핀튜브 제조장치
KR101062440B1 (ko) 진동방지부를 포함하는 핀튜브 제조장치
CN115889993A (zh) 一种锂盐包装桶的自动激光化焊接设备
KR20160066453A (ko) 열교환기
KR101002252B1 (ko) 튜브 푸싱부를 포함하는 핀튜브 제조장치
CN114178965A (zh) 一种基于热波嵌入型船舶工业用钢材清洁设备
CN211162496U (zh) 一种埋弧焊用低合金钢焊丝专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