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652A - 핀튜브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핀튜브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652A
KR20200142652A KR1020190069670A KR20190069670A KR20200142652A KR 20200142652 A KR20200142652 A KR 20200142652A KR 1020190069670 A KR1020190069670 A KR 1020190069670A KR 20190069670 A KR20190069670 A KR 20190069670A KR 20200142652 A KR20200142652 A KR 20200142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in
fin
clamp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2878B1 (ko
Inventor
정대영
Original Assignee
정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영 filed Critical 정대영
Priority to KR1020190069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878B1/ko
Publication of KR20200142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5Making tubes of special shape; Making tube fittings
    • B21C37/22Making finned or ribbed tubes by fixing strip or like material to tubes
    • B21C37/26Making finned or ribbed tubes by fixing strip or like material to tubes helically-ribbed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2Brazing heat 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4Heat 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핀튜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 형상의 튜브가 이송되는 베드와, 상기 튜브를 회전시키면서 이송시키는 구동척과, 양 측에 제1,2튜브지지척이 구비되어 회전되면서 이송되는 튜브를 지지하는 튜브지지부와, 공급되는 핀을 튜브의 외주면에 맞닿게 가압하는 핀가압부와, 용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핀튜브 제조장치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회전되면서 이송되는 튜브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진동없이 이송되는 튜브의 외주면에 핀이 안정적으로 용접 결합되면서 빠르고 연속적인 핀튜브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핀튜브 제조장치 {Device of producing fin tube}
본 발명은 핀튜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하면서 이송되는 튜브의 외주에 핀이 나선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용접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튜브의 직경에 맞춰 상기 튜브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튜브의 진동을 줄여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게 높은 품질의 핀튜브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핀튜브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에서 사용되는 핀튜브(Fin Tube)는 중공 상태로 이루어진 튜브의 외주에 다수의 핀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이러한 튜브의 내부로 증기 혹은, 온수가 흐르면서 그 증기 혹은, 온수가 가지고 있는 열이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핀튜브는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 띠 형상의 핀을 세워 나선형으로 감아 핀을 형성하는 구조가 대표적이며, 상기 튜브의 외주에 핀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공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공정은 한 방향으로 이송되는 튜브의 외주에 핀이 나선상으로 권취되면서 용접 작업을 통해 핀튜브가 제조되며, 이러한 공정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0989418호, 등록실용신안 제20-0245049호, 등록특허 제10-0397092호 등에 언급되고 있는 바와 같다.
한편, 전술된 핀튜브 제조장치는 일정한 회전 및 속도로 이송되는 튜브의 외주에 핀이 공급되고, 이때, 공급되는 핀은 일정한 속도로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 맞닿으면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종래의 핀튜브 제조장치에서의 회전되는 튜브는 유동없이 이송되어야 정확한 위치에 핀이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핀이 세워진 상태로 튜브의 외주에 용접 결합되기 위해서 상기 핀이 튜브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가압될 때, 상기 튜브가 편심되면서 핀의 용접 작업이 안정적으로 되지 않아 핀튜브 제조에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특히, 튜브의 직경이 작을수록 상기 튜브가 유동되는 크기가 커짐으로써 상기 튜브에 공급되는 핀의 용접 작업이 힘들 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핀튜브 제조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989418호 등록실용신안 제20-0245049호 등록특허 제10-039709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하면서 이송되는 튜브의 외주에 세워진 핀이 나선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면서 용접 결합되고, 상기 튜브의 직경에 맞춰 상기 튜브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튜브의 진동을 줄여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게 높은 품질의 핀튜브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핀튜브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핀튜브 제조장치는 상측에 파이프 형상의 튜브가 이송되는 베드와; 상기 베드의 상면에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튜브의 끝단을 고정함과 더불어 상기 튜브를 회전시키는 구동척과; 상기 튜브의 외주를 받치면서 이송되는 튜브를 지지하는 튜브지지부와; 상기 베드의 상측에 설치되며, 권취된 상태의 핀이 풀리면서 상기 튜브의 외주에 상기 핀을 공급하는 핀공급부와; 상기 핀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핀을 튜브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가압시키는 핀가압부와; 상기 튜브 외주면에 맞닿으면서 공급되는 핀을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 용접 결합시키는 용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핀가압부는, 상기 베드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튜브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가압몸체와, 휠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압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외주에는 상기 핀이 끼워지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가압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튜브지지부는, 상기 베드의 상면에 설치되는 설치판과,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설치판에 고정 설치되면서, 중앙으로 상기 튜브가 삽입되는 튜브가이드로가 관통 형성되는 튜브지지몸체와, 상기 튜브지지몸체의 일측면에 구비되면서, 적어도 셋 이상의 클램프수단이 튜브가이드로에 삽입된 튜브가 유동되지 않게 지지하는 제1튜브지지척과, 상기 튜브지지몸체의 타측면에서 상기 튜브가이드로에 삽입된 튜브를 기준으로 상기 핀가압부의 맞은편에 구비되면서,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클램프수단이 상기 튜브가 핀가압부에 의해 편심되지 않게 지지하는 제2튜브지지척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튜브지지척에는 상기 각 클램프수단이 설치되도록 상기 튜브지지몸체의 일측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제1설치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제2튜브지지척에는 상기 각 클램프수단이 설치되도록 상기 튜브지지몸체의 타측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제2설치홈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수단은, 상기 각 설치홈을 따라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클램프와, 상기 제1클램프에 설치되면서 상기 튜브와 접촉되는 일측에는 상기 튜브의 회전을 위한 지지롤러가 구비된 제2클램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튜브지지척과 제2튜브지지척의 각 클램프수단이 상기 튜브가이드로에 삽입된 튜브 방향으로 동시에 맞닿거나 또는 벌어지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핀튜브 제조장치는 회전되면서 이송되는 튜브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진동없이 이송되는 튜브의 외주면에 핀이 안정적으로 용접 결합되면서 빠르고 연속적인 핀튜브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핀튜브 제조장치는 복수개의 클램프수단이 튜브의 방사 방향으로 구동되면서 상기 튜브를 지지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튜브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핀튜브 제조장치는 튜브의 외주에 공급되는 핀이 상기 튜브에 가압되더라도 이송되고 있는 튜브가 편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어서 핀튜브 제조에 효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튜브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튜브 제조장치에서 튜브에 핀이 용접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3의 "A"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튜브 제조장치에서 튜브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튜브 제조장치에서 튜브지지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좌측면도
도 8은 도 5의 우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핀튜브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베드(1) 상측에 파이프 형상의 튜브(10)가 이송되면서, 상기 튜브(10)외주에 금속재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핀(20)이 공급되는 구조임을 그 예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튜브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튜브 제조장치에서 튜브(10)에 핀(20)이 용접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튜브 제조장치에서 튜브지지부(100)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튜브 제조장치에서 튜브지지부(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5의 좌,우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튜브 제조장치는 크게 구동척(500)과, 튜브지지부(100)와, 핀공급부(200)와, 핀가압부(300) 및 용접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특히 상기 튜브지지부(100)에 구비된 제1튜브지지척(110)과 제2튜브지지척(120)이 튜브(10)를 지지하여 상기 튜브(10)가 진동없이 안정적으로 이송되면서 빠르고 원활하게 핀튜브 제조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구동척(500)은 튜브(10)를 이송시킴과 더불어 회전시키는 바이스(vise)이다. 즉, 상기 구동척(500)은 배드(1)의 일측에서 공급되는 튜브(10)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베드(1)의 타측으로 이송시킨다.
또한, 상기 구동척(500)은 베드(1)로 공급되는 튜브(10)의 끝단을 고정하면서 상기 베드(1)의 상면에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척(500)이 튜브(10)의 끝단(도 1에서 오른쪽)을 고정한 채로 상기 베드(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된다. 이때, 상기 구동척(500)은 전술된 바처럼 상기 튜브(10)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베드(1)의 일측 방향(도 1에서
Figure pat00001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튜브지지부(100)는 이송되는 튜브(1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베드(1) 상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튜브(10)의 외주를 감싸 받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튜브지지부(100)는 첨부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튜브지지몸체(101)가 판 형태의 설치판(105)을 관통하면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설치판(105)은 베드(1) 상면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튜브지지몸체(101)의 중앙으로는 상기 튜브(10)가 삽입되도록 전,후방측으로 튜브가이드로(102)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튜브가이드로(102)의 내부 직경은 삽입될 튜브(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튜브지지몸체(101)의 좌측면(첨부된 도 7에 도시)에는 상기 튜브가이드로(102)에 삽입된 튜브(10)가 유동되지 않게 지지하는 제1튜브지지척(110)이 구비되고, 상기 튜브지지몸체(101)의 우측면(첨부된 도 8에 도시)에서 상기 튜브가이드로(102)에 삽입된 튜브(10)를 기준으로 후술될 핀가압부(300)의 맞은편에 상기 튜브(10)가 핀가압부(300)에 의해 편심되지 않게 지지하는 제2튜브지지척(12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1튜브지지척(110)은 복수개의 클램프수단(130)이 상기 튜브가이드로(102)에 삽입된 튜브(10)의 외주를 받치면서 상기 튜브(10)를 지지한다.
이때, 상기 클램프수단(130)은 적어도 셋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튜브가이드로(102)에 삽입된 튜브(10)가 상기 각 클램프수단(130)에 의해 방사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1튜브지지척(110)에서 상기 튜브(10)가 상하,좌우 등 어느 방향으로 유동될려고 하더라도 상기 각 클램프수단(130)에 받쳐져 상기 튜브가이드로(102)의 중심부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상기 제1튜브지지척(110)에는 상기 각 클램프수단(130)이 설치되도록 튜브지지몸체(101)의 일측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상기 각 클램프수단(130)의 수만큼 제1설치홈(111)이 각각 요입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1설치홈(111)에 각 클램프수단(130)이 끼워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수단(130)은 튜브가이드로(102)에 삽입된 튜브(10)의 방사 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튜브(10)의 외주면에 맞닿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튜브가이드로(102)에 삽입된 튜브(10)의 직경에 따라 상기 각 클램프수단(130)이 상기 튜브가이드로(102)의 방향으로 서로 모여지거나 또는 상기 튜브가이드로(102)의 방사 방향으로 서로 벌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튜브가이드로(102)에 삽입되는 튜브(10)의 직경에 맞춰 상기 각 클램프수단(130)이 고정 설치됨으로써 직경의 크기가 다양한 튜브(10)가 유동되지 않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램프수단(130)은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설치홈(111)을 따라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클램프(131)와, 상기 제1클램프(131)에 설치되면서 상기 튜브(10)와 접촉되는 제2클램프(13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클램프(132)의 일측에는 지지롤러(13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회전되면서 이송되는 튜브(10)가 원활화게 구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튜브가이드로(102)에 삽입된 튜브(10)의 외주면을 상기 각 클램프수단(130)의 구성 중 제2클램프(132)의 지지롤러(133)들이 맞닿으면서 상기 튜브(10)를 지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클램프수단(130)에서 제2클램프(132)가 전술된 바와 같이 제1튜브지지척(110)의 제1설치홈(111)에 바로 설치되면서 상기 튜브(10)를 지지할 수 있지만, 상기한 제1클램프(131)가 형성되는 높이에 따라 상기 튜브지지몸체(101)의 측면과 상기 지지롤러(133)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클램프(131)와 제2클램프(132)가 제1설치홈으로부터 분해할 수 있어 작업자의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설치홈(111)과 제1클램프(131) 및 제2클램프(132)는 서로 끼워지면서 결합되도록 서로 맞닿는 부위에 대응하는 홈 혹은 턱이 형성되어 서로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클램프(131) 및 제2클램프(132)는 결합나사(도시는 생략됨)로 서로 결합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튜브지지척(120)은 상기한 클램프수단(130)이 하나 혹은 둘 이상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2튜브지지척(120)은 전술된 제1튜브지지척(110)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 지지만, 후술될 핀가압부(300)가 설치되는 부위에는 상기 클램프수단(130)이 구비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른 상기 제2튜브지지척(120)도 상기 클램프수단(130)이 설치되도록 튜브지지몸체(101)의 타측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상기 각 클램프수단(130)의 수만큼 제2설치홈(121)이 각각 요입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2설치홈(121)에 각 클램프수단(130)이 끼워 고정 설치되며, 이러한 제2설치홈(121)에 설치되는 클램프수단(130)의 구조는 상기 전술한 제1튜브지지척(110)에서 클램프수단(130)이 설치되는 구조와 동일함으로써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튜브지지척(120)은 튜브가이드로(102)에 삽입된 튜브(10)의 모든 방사 방향으로 클램프수단(130)이 받쳐 지지하지만, 상기 제2튜브지지척(120)은 상기 튜브(10)가 일측 방향으로만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즉, 상기 첨부된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가압부(300)가 핀(20)을 상기 튜브(10) 측(도 4에서 →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서 상기 튜브(10)가 가압되는 방향으로 편심될 수 있으나, 상기 튜브(10)의 외주면에 상기 제2설치홈(121)에 설치된 클램프수단(130)의 지지롤러(133)들이 받치고 있음에 따라 상기 튜브(10)가 편심되거나 휘지 않고 지지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가이드로(102)에 삽입된 튜브(10)를 마주보는 방향의 상기 각 제1클램프(131) 및 제2클램프(132)의 내측면은 돌출 혹은 침강된 요철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제1클램프(131) 및 제2클램프(132)의 요철 형상의 내측면은 전술된 지지롤러(133)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각 클램프(131, 132)가 상기 튜브가이드로(102)에 삽입된 튜브(10)를 직접적으로 맞닿으면서 필요에 따라 고정 또는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판(105)의 일측에는 상기 각 클램프수단(130)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140)가 설치되며, 이러한 구동부(140)는 서보모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140)에 연결된 상기 튜브지지부(100)의 각 클램프수단(130)을 상기 튜브가이드로(102)의 방사방향(도 7에서
Figure pat00002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즉, 상기 구동부(140)에 의해 상기 각각의 클램프수단(130)이 튜브가이드로(102)에 삽입된 튜브(10)의 외주면에 동시에 맞닿도록 구동되고, 이후 상기 각 클램프수단(130)이 튜브(10)를 가이드 한 채로 상기 각 제1,2설치홈(111, 121)에 고정된다.
한편,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튜브지지척(120)에서 튜브(10)의 외주면 중 일측(도 8에서 우측)에 구비된 상기 클램프수단(130)이 받치고 있어 상기 튜브(10)가 일측(도 8에서 우측)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밀리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핀공급부(200)는 핀튜브를 이루는 핀(20)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베드(1)의 상측에 설치되어 금속재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핀(20)이 코일형으로 권취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핀공급부(200)에서 핀(20)이 연속적으로 풀리면서 상기 튜브지지부(100)에 지지되고 있는 튜브(10)의 외주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핀공급부(200)의 하측에는 상기 핀(20)이 안정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핀공급부(200)에서 풀리는 핀(20)을 가이드하는 핀가이드(21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첨부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핀가이드(210)는 공급되는 핀(20)이 세워진 상태로 상기 튜브(10)의 외주면에 권취될 수 있도록 핀(20)의 변형을 위해 열이 가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핀가압부(300)는 핀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핀(20)을 튜브(10)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가압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핀가압부(300)는 상기 베드(10)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유압으로 상기 튜브지지부(100)에 지지된 튜브(10) 방향(도 4에서
Figure pat00003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가압몸체(310)와, 상기 가압몸체(310)에 설치되는 휠 형태의 가압롤러(320)로 구성된다. 이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가압롤러(320)는 가압몸체(3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외주에는 상기 핀(20)이 끼워지는 안내홈(3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가압롤러(320)의 안내홈(321)에 핀(20)이 끼워지고 상기 가압몸체(310)가 튜브(10)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가압롤러(320)가 핀(20)을 튜브(10)의 외주면에 맞닿게 한다. 이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용접부(400)는 상기 튜브(10)의 외주면에 핀(20)을 서로 용접 결합시키는 용접 장치이다.
이러한 용접부(400)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10)의 외주면에 공급되는 핀(20)이 맞닿는 용접 부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동됨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해, 상기 튜브(10)의 직경의 크기에 따라 상기 용접부(400)에 의해 용접되는 위치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용접부(400)는 금속재 간의 용접을 위한 일반적인 용접 장치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튜브 제조장치의 동작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튜브(10)의 끝단이 튜브지지몸체(101)의 튜브가이드로(102)에 관통 삽입되면서 구동척(500)에 고정된다.
이후, 구동부(140)의 작동으로 튜브지지몸체(101)의 양측에 구비된 제1튜브지지척(110)과 제2튜브지지척(120)의 각 클램프수단(130)이 상기 튜브가이드로(102) 중심 방향으로 구동되고, 상기 각 클램프수단(130)에 설치된 지지롤러(133)가 상기 튜브(10)의 외주면에 각각 맞닿게 된다.
이때, 상기 튜브지지몸체(101)의 일면은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지지롤러(133)가 튜브(10)의 외주면의 모든 방향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튜브(10)가 상하,좌우 등 모든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핀공급부(200)로부터 핀(20)을 상기 튜브(10)가 설치된 위치까지 이송시킨다.
이후, 작업자가 공급된 핀(20)을 세워진 상태로 가압롤러(320)의 안내홈(321)에 끼우고, 가압몸체(310)를 상기 튜브(1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핀(20)의 상부는 상기 안내홈(321)에 위치하고, 상기 핀(20)의 하부는 상기 튜브(10)의 외주면에 맞닿게 된다.
즉, 핀가압부(300)가 핀(20)이 세워진 상태로 상기 튜브(10)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계속해서 밀어주게 된다.
특히,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가압부(300)가 핀(20)을 튜브(10) 일측 방향으로 밀어준다 하더라도 제2튜브지지척(120)에 구비된 클램프수단(130)의 지지롤러(133)가 튜브(10)의 타측에서 지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튜브(10)가 이탈되지 않으면서 유동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용접부(400)가 상기 튜브(10)와 핀(20)이 맞닿는 부위에 용접 작업을 위해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튜브(10)와 핀(20)이 서로 용접 결합되게 용접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구동척(500)이 튜브(10)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튜브지지부(100)로부터 멀어지게 이송(도 1에서
Figure pat00004
방향)된다. 이때, 상기 용접부(400)가 계속해서 튜브(10)와 핀(20)을 서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튜브(10)가 회전하면서 이송됨에 따라, 상기 튜브(10)의 외주면에 나선 방향으로 띠형상을 갖는 핀(20)이 연속적으로 권취됨과 더불어 용접 결합되면서 이루어지는 핀튜브가 제조된다.
이때, 상기 각 클램프수단(130)의 지지롤러(133)가 회전되면서 이송되는 튜브(10)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진동없이 이송되는 튜브(10)의 외주면에 핀(20)이 안정적으로 용접 결합되면서 빠르고 연속적인 핀튜브 제조가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핀튜브 제조장치는 복수개의 클램프수단(130)이 튜브(10)의 방사 방향으로 구동되면서 상기 튜브(10)를 지지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튜브(1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핀튜브 제조장치는 튜브(10)의 외주에 공급되는 핀(20)이 상기 튜브(10)에 가압되더라도 이송되고 있는 튜브(10)가 편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어서 핀튜브 제조에 효율이 높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 베드 10. 튜브
20. 핀 100. 튜브지지척
101. 튜브지지몸체 102. 튜브가이드로
105. 설치판 110. 제1튜브지지척
111. 제1설치홈 120. 제2튜브지지척
121. 제2설치홈 130. 클램프수단
131. 제1클램프 132. 제2클램프
133. 지지롤러 200. 핀공급부
210. 핀가이드 300. 핀가압부
310. 가압몸체 320. 가압롤러
321. 안내홈 400. 용접부
500. 구동척

Claims (5)

  1. 상측에 파이프 형상의 튜브(10)가 이송되는 베드(1)와;
    상기 베드(1)의 상면에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튜브(10)의 끝단을 고정함과 더불어 상기 튜브(10)를 회전시키는 구동척(500)과;
    상기 튜브(10)의 외주를 받치면서 이송되는 튜브(10)를 지지하는 튜브지지부(100)와;
    상기 베드(1)의 상측에 설치되며, 권취된 상태의 핀(20)이 풀리면서 상기 튜브(10)의 외주에 상기 핀(20)을 공급하는 핀공급부(200)와;
    상기 핀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핀(20)을 튜브(10)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가압시키는 핀가압부(300)와;
    상기 튜브(10) 외주면에 맞닿으면서 공급되는 핀(20)을 상기 튜브(10)의 외주면에 용접 결합시키는 용접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튜브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가압부(300)는,
    상기 베드(1)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튜브(10)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가압몸체(310)와,
    휠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압몸체(3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외주에는 상기 핀(20)이 끼워지는 안내홈(321)이 형성되는 가압롤러(3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핀튜브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지지부(100)는,
    상기 베드(1)의 상면에 설치되는 설치판(102)과,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설치판(102)에 고정 설치되면서, 중앙으로 상기 튜브(10)가 삽입되는 튜브가이드로(105)가 관통 형성되는 튜브지지몸체(101)와,
    상기 튜브지지몸체(101)의 일측면에 구비되면서, 적어도 셋 이상의 클램프수단(130)이 튜브가이드로(105)에 삽입된 튜브(10)가 유동되지 않게 지지하는 제1튜브지지척(110)과,
    상기 튜브지지몸체(101)의 타측면에서 상기 튜브가이드로(105)에 삽입된 튜브(10)를 기준으로 상기 핀가압부(300)의 맞은편에 구비되면서,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클램프수단(130)이 상기 튜브(10)가 핀가압부(300)에 의해 편심되지 않게 지지하는 제2튜브지지척(1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핀튜브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지지척(110)에는 상기 각 클램프수단(130)이 설치되도록 상기 튜브지지몸체(101)의 일측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제1설치홈(111)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제2튜브지지척(120)에는 상기 각 클램프수단(130)이 설치되도록 상기 튜브지지몸체(101)의 타측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제2설치홈(112)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수단(130)은,
    상기 각 설치홈(111, 112)을 따라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클램프(131)와, 상기 제1클램프(131)에 설치되면서 상기 튜브(10)와 접촉되는 일측에는 상기 튜브(10)의 회전을 위한 지지롤러(133)가 구비된 제2클램프(13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핀튜브 제조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지지척(110)과 제2튜브지지척(120)의 각 클램프수단(130)이 상기 튜브가이드로(105)에 삽입된 튜브(10) 방향으로 동시에 맞닿거나 또는 벌어지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14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핀튜브 제조장치.
KR1020190069670A 2019-06-13 2019-06-13 핀튜브 제조장치 KR102212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670A KR102212878B1 (ko) 2019-06-13 2019-06-13 핀튜브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670A KR102212878B1 (ko) 2019-06-13 2019-06-13 핀튜브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652A true KR20200142652A (ko) 2020-12-23
KR102212878B1 KR102212878B1 (ko) 2021-02-05

Family

ID=7408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670A KR102212878B1 (ko) 2019-06-13 2019-06-13 핀튜브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8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049Y1 (ko) 2001-06-13 2001-10-17 황석중 열교환파이프 제조장치
KR100397092B1 (ko) 2001-08-29 2003-09-13 조영환 방열관 및 그 제조장치
KR20100029491A (ko) * 2008-09-08 2010-03-17 (주)디케이티 핀튜브 제조 과정에서의 핀 용접장치
KR101783627B1 (ko) * 2016-04-26 2017-10-10 주식회사 제이 티 씨 열교환기용 핀튜브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049Y1 (ko) 2001-06-13 2001-10-17 황석중 열교환파이프 제조장치
KR100397092B1 (ko) 2001-08-29 2003-09-13 조영환 방열관 및 그 제조장치
KR20100029491A (ko) * 2008-09-08 2010-03-17 (주)디케이티 핀튜브 제조 과정에서의 핀 용접장치
KR100989418B1 (ko) 2008-09-08 2010-10-26 (주)디케이티 핀튜브 제조 과정에서의 핀 용접장치
KR101783627B1 (ko) * 2016-04-26 2017-10-10 주식회사 제이 티 씨 열교환기용 핀튜브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878B1 (ko) 202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58272B (zh) 管道折弯机
US5379624A (en) Slaved tube length control for hairpin bender
CN112207423A (zh) 一种方便调节的薄壁管摩擦焊防夹扁支撑件
CN108381111B (zh) 一种多位置薄壁钢管焊接装置
KR101362338B1 (ko) 타원형 동관 성형장치
KR102212878B1 (ko) 핀튜브 제조장치
CN207695390U (zh) 一种单u型管弯制成形装置
JPH10166047A (ja) スパイラルフィンの固定装置
JP3792348B2 (ja) フィン付き蛇行チューブの多段重ね曲げ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431118B1 (ko) 타원형 단면의 관재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제조장치
JP3240078B2 (ja) 金属管を小曲率半径で曲げ加工する方法
CN216263168U (zh) 一种基于电力线材折弯器
CN215120487U (zh) 圆度矫正机构
JP3786752B2 (ja) スパイラルフィンのピッチ可変密着巻き付け装置
KR101745286B1 (ko) 파이프 자동 절단기의 파이프 외경 고정용 그립장치
KR101642245B1 (ko) 파이프 플레어 성형장치
JPS6251503A (ja) 管状体送り装置
JP2003531011A (ja) ひれ付パイプ
JP2000301333A (ja) 円筒管と短円筒環状物との溶接方法及び溶接用補助装置
CN116197566B (zh) 一种风电塔筒加工设备及加工方法
CN110756957A (zh) 一种适用于小直径筒体或管材与环的角接焊带滚珠芯轴的焊接专用夹具
JPH04123827A (ja) 氷蓄熱コイルの製造方法
JP3943958B2 (ja) 中空二重管の曲げ加工方法および装置
CN215392186U (zh) 一种便于调节的新型单耳无极卡箍成型设备
CN113828655B (zh) 用于大型管件管端的三辊式矫圆方法及其矫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