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7163A - 커플링 장치 - Google Patents

커플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7163A
KR20100027163A KR20097027110A KR20097027110A KR20100027163A KR 20100027163 A KR20100027163 A KR 20100027163A KR 20097027110 A KR20097027110 A KR 20097027110A KR 20097027110 A KR20097027110 A KR 20097027110A KR 20100027163 A KR20100027163 A KR 20100027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joint
case
valve body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27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8284B1 (ko
Inventor
세이지 키무라
Original Assignee
파스칼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스칼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스칼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7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2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083Electrical or fluid connection syste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42Mounting of moulds; Mould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29C45/7312Construction of heating or cooling fluid flow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9/00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29/04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a cut-off device in each of the two pipe ends, the cut-off devices being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42Mounting of moulds; Mould supports
    • B29C2045/1746Mounting of moulds; Mould supports using magnetic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917Flow path with serial valves and/or closures
    • Y10T137/87925Separable flow path section, valve or closure in each
    • Y10T137/87941Each valve and/or closure operated by coupling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917Flow path with serial valves and/or closures
    • Y10T137/87925Separable flow path section, valve or closure in each
    • Y10T137/87941Each valve and/or closure operated by coupling motion
    • Y10T137/87949Linear motion of flow path sections operates both
    • Y10T137/87957Valves actuate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금형 등의 반송 공간의 절약화를 개선하는 것과, 제 1, 제 2 조인트의 구조를 간단하고 소형으로 하는 것과, 제 1, 제 2 조인트를 복수 세트 설치할 경우에 유리하게 하는 것, 등등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커플링 장치(15)는, 암형 조인트(20)와 숫형 조인트(25)를 구비하며, 암형 조인트(20)는, 금형(M2)에 장착되고, 제 1 밸브 케이스(30), 제 1 밸브체(35), 제 1 밸브시트(31)와 제 1 밸브부(36)를 갖는 제 1 개폐밸브(45)를 구비하고, 숫형 조인트(25)는, 사출성형기의 클램프 플레이트(11)에 장착되며, 제 2 밸브 케이스(50), 제 2 밸브체(55), 제 2 밸브시트(51)와 제 2 밸브부(56)를 갖는 제 2 개폐밸브(65)를 구비하고, 제 1, 제 2 밸브 케이스(30, 50)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로부터, 숫형 조인트(25)에 있어서 제 2 밸브체(55)만을 제 2 밸브 케이스(50)에 대하여 진출 구동시킴으로써, 제 1, 제 2 밸브체(35, 55)를 개방밸브측으로 구동하는 밸브체 구동장치(7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커플링 장치{COUPLING DEVICE}
본 발명은, 제 1, 제 2 부재 내의 제 1, 제 2 유체통로를 접속·분리할 수 있는 암형(female) 조인트와 숫형(male) 조인트를 구비한 커플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금형이나 워크 팰릿 등의 제 1 부재에 장착된 제 1 조인트, 성형기의 금형 고정부재나 공작기계의 베이스부재 등의 제 2 부재에 장착된 제 2 조인트를 구비하며, 제 1, 제 2 부재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제 2 부재 내의 제 1, 제 2 유체통로의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유체(냉각수, 가압 유체 등)를 공급하기 위해, 제 1, 제 2 부재를 소정의 위치 관계로 연결·연결 해제할 때에, 제 1, 제 2 조인트를 통해 제 1, 제 2 유체통로를 접속·분리할 수 있는 커플링 장치가 실용화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제 1, 제 2 조인트는 개폐밸브를 각각 갖는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가 분리된 상태에서,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의 양 개폐밸브가 폐쇄되며, 또한,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가 접속된 상태에서, 암형 조인트 내에 숫형 조인트의 선단측 일부분이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숫형 조인트의 선단측 일부분 내에 암형 조인트의 선단측 일부분이 삽입되어,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의 양 개폐밸브가 개방되어, 제 1, 제 2 유체통로가 접속된다. 이러한 종류의 커플링 장치에서는, 통상,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가 제 1, 제 2 부재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플링 장치에서는, 숫형 조인트가 워크 팰릿에 하향으로 장착되고, 암형 조인트가 공작기계의 베이스부재에 상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숫형 조인트는, 워크 팰릿에 고정된 케이스부재, 케이스부재의 내부에 장착되어 케이스부재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는 밸브 케이스, 밸브 케이스의 내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축형상의 밸브체를 가지며, 밸브 케이스 및 밸브체의 하단부분에 설치된 밸브시트 및 밸브부에 의해 개폐밸브가 구성되어 있다.
공작기계의 베이스부재에는, 암형 조인트를 상승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가 장착되어 있다. 암형 조인트는, 유압 실린더의 실린더통 내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실린더통보다 상방으로 돌출하는 본체 케이스,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통형상부재, 통형상부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단부가 본체 케이스에 고정된 축형상의 밸브체를 가지며, 통형상부재 및 밸브체의 상단부분에 설치된 밸브시트 및 밸브부에 의해 개폐밸브가 구성되어 있다.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를 분리상태로부터 접속할 경우,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를 상하로 대향시킨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에 의해 암형 조인트가 상승 구동된다. 이때, 암형 조인트에 있어서, 먼저, 본체 케이스와 통형상부재와 밸브체가 일체적으로 상승하여, 통형상부재의 상단부가 숫형 조인트의 밸브 케이스의 하단부에 맞닿아, 통형상부재의 상승이 정지하며, 이후, 본체 케이스와 밸브체가 일체적으로 상승한다. 그러면, 암형 조인트의 밸브체가 숫형 조인트의 밸브 케이스 내에 삽입되어 숫형 조인트의 밸브체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숫형 조인트의 밸브 케이스가 암형 조인트의 본체 케이스 내에 삽입되어 암형 조인트의 본체 케이스 및 밸브체에 대하여 통형상부재를 대향적으로 하강시켜,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의 양 개폐밸브가 개방된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2000-346266호
예컨대, 횡형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금형을 금형 고정부재에 탈부착하기 위해 반송할 때, 금형을 금형 고정부재의 고정면과 평행 이동시키고, 이때, 금형과 금형 고정부재간의 틈새를 매우 작게 하여 행함으로써, 반송 공간의 절약화를 도모하고 싶다는 요청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반송 공간의 절약화를 도모하는 데 있어서, 일반적인 클램프부재에 의해 금형을 금형 고정부재의 고정면에 고정하는 것은, 그 고정면에 부착된 클램프부재가 장애가 되기 때문에, 금형 고정부재에 금형을 탈부착할 때에 클램프부재도 탈부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그렇게 하면, 금형을 금형 고정부재에 탈부착할 때의 부하가 증대된다.
따라서, 금형 고정부재에 복수의 마그넷을 조립(組入)하여, 금형 고정부재를 자기흡착력이 발생하는 작동상태와 자기흡착력이 발생하지 않는 비(非)작동상태로 택일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고, 일반적인 클램프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금형을 금형 고정부재의 고정면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클램프부재에 의한 상기 과제에 대해서는 해소가 가능하다. 그러나, 일반적인 클램프부재를 이용할 때에도 그러하지만, 금형과 금형 고정부재에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를 부착하여 커플링 장치를 구성할 경우, 특허문헌 1과 같이,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가 비접속시에 제 1, 제 2 부재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것에서는, 금형을 금형 고정부재에 탈부착하기 위해 반송할 때, 그 돌출되어 있는 것만큼, 금형과 금형 고정부재간의 틈새를 넓게 비우고 금형을 반송해야만 하므로, 상기 반송 공간의 절약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요청에 부응하기가 어렵다.
또, 종래의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특허문헌 1과 같이,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를 접속하기 위해,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의 양 밸브체를 개방밸브측으로 구동하는 밸브체 구동수단으로서, 암형 조인트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 밸브시트를 갖는 통형상부재, 밸브부를 갖는 밸브체를 포함하는 암형 조인트를 전체적으로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를 갖는 것에서는, 유압 실린더가 암형 조인트 전체를 수용하는 실린더통을 가지게 되므로 대형이 된다. 이에, 암형 조인트와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암형 조인트 구조가 대형화되어, 상기 암형 조인트 구조를, 기존의 금형, 워크 팰릿, 성형기의 금형 고정부재, 공작기계의 베이스부재 등에 조립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것이 우려된다.
여기서, 커플링 장치의 작동상,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의 비접속시, 숫형 조인트는 제 1 부재로부터 돌출시켜 둘 필요가 있지만, 암형 조인트는 제 2 부재로부터 돌출시키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상기 과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형 조인트 구조가 대형화되기 때문에, 암형 조인트를 제 2 부재로부터 돌출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금형의 반송 공간의 절약화를 개선하기 어렵다. 또, 암형 조인트에 있어서는, 밸브시트를 갖는 통형상부재와 밸브부를 갖는 밸브체 이외에, 본체 케이스와 이것에 부수되는 부재에 의해, 구조가 복잡화되어, 암형 조인트 구조가 대형화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예컨대,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금형 내에 복수계통의 냉각수 통로를 설치하기 위해, 금형과 사출성형기의 금형 고정부재에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를 복수 세트 장비하고 싶다는 요청이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암형 조인트의 각각에 유압 실린더가 필요하게 되어, 각각의 암형 조인트 구조가 대형화되기 때문에, 커플링 장치가 전체적으로 매우 대형화되어, 복수 세트의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를 적정한 배치로 장비할 수 없는 것이 우려되며, 또한, 복수의 암형 조인트 구조 및 이것을 장착하는 부재의 총 중량이 무거워져, 이들을 움직이는 부하가 증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금형의 반송 공간의 절약화를 개선하는 것과, 제 1, 제 2 조인트의 구조를 간단하고 소형으로 하는 것과, 제 1, 제 2 조인트를 복수 세트 설치할 경우에 유리하게 하는 것, 등등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청구항 1∼4에 기재된 커플링 장치는, 제 1 개폐밸브를 갖는 암형 조인트와, 제 2 개폐밸브를 갖는 숫형 조인트를 구비하며, 제 1, 제 2 부재 내의 제 1, 제 2 유체통로를 접속·분리할 수 있는 커플링 장치로서, 상기 암형 조인트는, 제 1 부재에 형성된 제 1 부착구멍에 장착되면서 선단부분에 제 1 밸브시트를 갖는 제 1 밸브 케이스와, 상기 제 1 밸브 케이스의 내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선단부분에 제 1 밸브시트에 내측으로부터 맞닿는 제 1 밸브부를 갖는 제 1 밸브체와, 상기 제 1 밸브체를 폐쇄밸브측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숫형 조인트는, 제 2 부재에 형성된 제 2 부착구멍에 장착되면서 선단부분에 제 2 밸브시트를 갖는 제 2 밸브 케이스와, 상기 제 2 밸브 케이스의 내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선단부분에 제 2 밸브시트에 외측으로부터 맞닿는 제 2 밸브부를 갖는 제 2 밸브체와, 상기 제 2 밸브체를 폐쇄밸브측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표면과 암형 조인트의 제 1 밸브 케이스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부재의 표면과 숫형 조인트의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에서, 제 1, 제 2 밸브체를 개방밸브측으로 구동하는 밸브체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제 2 부재의 일방이 금형 또는 금형에 고정된 조인트 부착부재(제 1 조인트 부착부재)로 이루어지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제 2 부재의 타방이, 금형을 고정하는 성형기 클램프 플레이트로서, 자기흡착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마그넷이 조립되고 또한 자기흡착력이 발생하는 작동상태와 자기흡착력이 발생하지 않는 비작동상태로 택일적으로 전환이 가능한 클램프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제 2 부재의 타방이 클램프 플레이트에 고정된 제 2 조인트 부착부재로 이루어지고,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제 2 부재의 타방이, 성형기의 금형 고정용 플래튼(platen)으로서, 자기흡착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마그넷이 조립되고 또한 자기흡착력이 발생하는 작동상태와 자기흡착력이 발생하지 않는 비작동상태로 택일적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 플래튼으로 이루어지며,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제 2 부재의 타방이 플래튼에 고정된 제 2 조인트 부착부재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커플링 장치에서는,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가 분리된 상태에서, 암형 조인트에 있어서, 제 1 가압수단에 의해 폐쇄밸브측으로 가압된 제 1 밸브체의 제 1 밸브부가, 제 1 밸브 케이스의 제 1 밸브시트에 내측으로부터 맞닿아 가압되어, 제 1 개폐밸브가 폐쇄되고, 숫형 조인트에 있어서, 제 2 가압수단에 의해 폐쇄밸브측으로 가압된 제 2 밸브체의 제 2 밸브부가, 제 2 밸브 케이스의 제 2 밸브시트에 외측으로부터 맞닿아 가압되어, 제 2 개폐밸브가 폐쇄된다.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를 분리상태로부터 접속할 경우, 먼저,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을 맞닿게 한다. 여기서, 제 1, 제 2 부재를 소정의 위치 관계로 연결한 경우에,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이 맞닿도록 해도 되고, 제 1, 제 2 밸브 케이스가 접근 대향하고, 이후, 숫형 조인트의 제 2 밸브 케이스와 제 2 밸브체 또는 암형 조인트의 제 1 밸브 케이스와 제 1 밸브체를 일체적으로 진출시켜,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이 맞닿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에서, 밸브체 구동수단에 의해, 제 1, 제 2 밸브체가 제 1, 제 2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개방밸브측으로 구동되어, 제 1, 제 2 개폐밸브가 개방되고,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가 접속되어, 제 1, 제 2 부재 내의 제 1, 제 2 유체통로가 접속된다.
성형기의 클램프 플레이트나 플래튼이, 자기흡착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마그넷이 조립되어, 자기흡착력이 발생하는 작동상태와 자기흡착력이 발생하지 않는 비작동상태로 택일적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클램프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금형을 클램프 플레이트나 플래튼에 고정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 1 부재의 표면과 암형 조인트의 제 1 밸브 케이스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고, 제 2 부재의 표면과 숫형 조인트의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금형을 클램프 플레이트나 플래튼에 탈부착하기 위해 반송할 때, 금형을 클램프 플레이트나 플래튼의 고정면과 평행 이동시키고, 이때, 금형과 클램프 플레이트간의 간격이나 금형과 플래튼간의 틈새를 매우 작게 하여 행함으로써, 반송 공간의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1∼4의 종속 청구항으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1) 상기 밸브체 구동수단은, 상기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로부터, 숫형 조인트에 있어서 제 2 밸브체만을 제 2 밸브 케이스에 대하여 진출 구동시킴으로써, 제 1, 제 2 밸브체를 개방밸브측으로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2) 상기 밸브체 구동수단은, 숫형 조인트의 제 2 밸브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피스톤부와, 상기 피스톤부에 유체압(流體壓)을 작용시키는 유체압 작동실과, 상기 유체압 작동실에 유체압을 공급하는 유체압 공급수단을 갖는다.
(3) 상기 암형 조인트 및 숫형 조인트를 복수 세트 구비하고, 상기 유체압 공급수단은, 복수 세트의 암형 조인트 및 숫형 조인트에 공통으로 구성된다.
(4) 상기 암형 조인트의 제 1 밸브 케이스가 제 1 부착구멍에 퇴입(退入)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 1 밸브 케이스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제 1 밸브 케이스 가압수단을 구비한다.
(5) 상기 숫형 조인트의 제 2 밸브 케이스가 제 2 부착구멍에 진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 2 밸브 케이스를 퇴입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2 밸브 케이스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 2 밸브 케이스가 접근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유체압 작동실에 유체압이 공급된 경우에, 제 2 밸브 케이스와 제 2 밸브체가 일체적으로 진출 구동되어,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후, 제 2 밸브 케이스에 대하여 제 2 밸브체가 진출 구동되도록 구성한다.
(6) 상기 숫형 조인트의 제 2 밸브시트가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가 장착된 환형(環狀) 시일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형 시일부재가 암형 조인트의 제 1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7) 상기 암형 조인트의 축심(軸心)과 숫형 조인트의 축심이 설정범위 내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로부터, 밸브체 구동수단이, 제 2 밸브체를 진출 구동시킴으로써, 제 1, 제 2 밸브체를 개방밸브측으로 구동하여,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를 접속 가능하게 구성한다.
(8) 상기 성형기가 횡형(橫型) 사출성형기로 이루어진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커플링 장치에 따르면, 특히, 제 1, 제 2 부재의 일방이 금형 또는 금형에 고정된 제 1 조인트 부착부재로 이루어지고, 제 1, 제 2 부재의 타방이, 금형을 고정하는 성형기 클램프 플레이트로서, 자기흡착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마그넷이 조립되고 또한 자기흡착력이 발생하는 작동상태와 자기흡착력이 발생하지 않는 비작동상태로 택일적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 클램프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므로, 일반적인 클램프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금형을 클램프 플레이트에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 부재의 표면과 암형 조인트의 제 1 밸브 케이스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 2 부재의 표면과 숫형 조인트의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금형을 클램프 플레이트에 탈부착하기 위해 반송할 때, 금형을 클램프 플레이트의 고정면과 평행 이동시키고, 이때, 금형과 클램프 플레이트간의 틈새를 매우 작게 하여 행함으로써, 반송 공간의 절약화를 개선할 수 있으며, 게다가,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접속·분리할 수 있어, 금형을 클램프 플레이트에 탈부착할 때의 부하를 대폭 경감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커플링 장치에 따르면, 제 1, 제 2 부재의 일방이 금형 또는 금형에 고정된 제 1 조인트 부착부재로 이루어지고, 제 1, 제 2 부재의 타방이, 금형을 고정하는 성형기의 클램프 플레이트에 고정된 제 2 조인트 부착부재로서, 자기흡착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마그넷이 조립되고 또한 자기흡착력이 발생하는 작동상태와 자기흡착력이 발생하지 않는 비작동상태로 택일적으로 전환이 가능한 클램프 플레이트에 고정된 제 2 조인트 부착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청구항 1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 이외에, 기존의 클램프 플레이트에 제 2 조인트 부착부재를 고정함으로써, 숫형 조인트 또는 암형 조인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즉,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커플링 장치에 따르면, 특히, 제 1, 제 2 부재의 일방이 금형 또는 금형에 고정된 조인트 부착부재로 이루어지고, 제 1, 제 2 부재의 타방이, 성형기의 금형 고정용 플래튼으로서, 자기흡착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마그넷이 조립되고 또한 자기흡착력이 발생하는 작동상태와 자기흡착력이 발생하지 않는 비작동상태로 택일적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 플래튼으로 이루어지므로, 일반적인 클램프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금형을 플래튼에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 부재의 표면과 암형 조인트의 제 1 밸브 케이스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 2 부재의 표면과 숫형 조인트의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금형을 플래튼에 탈부착하기 위해 반송할 때, 금형을 플래튼의 고정면과 평행 이동시키고, 이 때, 금형과 플래튼간의 틈새를 매우 작게 하여 행함으로써, 반송 공간의 절약화를 개선할 수 있으며, 게다가,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접속·분리할 수 있어, 금형을 플래튼에 탈부착할 때의 부하를 대폭 경감할 수 있다. 게다가, 청구항 1, 2와 같은 클램프 플레이트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성형기의 구조를 간단화할 수 있는 동시에, 사출성형기의 경우, 용융수지를 금형의 캐비티에 플래튼의 이면측으로부터 주입할 경우, 그 용융수지 주입통로의 길이를 클램프 플레이트가 불필요한 만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용융수지를 적절한 용융상태로 금형의 캐비티에 주입할 수 있어, 사출 성형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커플링 장치에 따르면, 제 1, 제 2 부재의 일방이 금형 또는 금형에 고정된 제 1 조인트 부착부재로 이루어지고, 제 1, 제 2 부재의 타방이, 성형기의 금형 고정용 플래튼에 고정된 제 2 조인트 부착부재로서, 자기흡착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마그넷이 조립되고 또한 자기흡착력이 발생하는 작동상태와 자기흡착력이 발생하지 않는 비작동상태로 택일적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 플래튼에 고정된 제 2 조인트 부착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청구항 3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 이외에, 플래튼에 제 2 조인트 부착부재를 고정함으로써, 숫형 조인트 또는 암형 조인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즉,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커플링 장치에 따르면, 밸브체 구동수단은,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로부터, 숫형 조인트에 있어서 제 2 밸브체 만을 제 2 밸브 케이스에 대하여 진출 구동시킴으로써, 제 1, 제 2 밸브체를 개방밸브측으로 구동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의 구조를 간단하고 소형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숫형 조인트에 관해서는, 밸브체 구동수단에 의해 제 2 밸브체를 제 2 밸브 케이스에 대하여 진출 구동시키기 위한 유체압 실린더를 간단하고 소형으로 설치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숫형 조인트와 유체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숫형 조인트 구조를 간단하고 소형으로 할 수가 있다.
이로써, 기존의 금형이나 금형에 고정된 조인트 부착부재(제 1 조인트 부착부재), 성형기의 클램프 플레이트나 플래튼, 클램프 플레이트나 플래튼에 고정된 제 2 조인트 부착부재에,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숫형 조인트 구조)를 조립할 공간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로부터, 밸브체 구동수단에 의해 제 1, 제 2 밸브체만을 구동시켜, 제 1, 제 2 개폐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 1 부재의 표면과 암형 조인트의 제 1 밸브 케이스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 2 부재의 표면과 숫형 조인트의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커플링 장치의 소기의 작동을 확보할 수 있다.
제 1, 제 2 부재에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를 복수 세트 장비하는 경우에도, 각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숫형 조인트 구조)를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 세트의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를 적정한 배치로 장비할 수 있고, 또한, 제 1 부재와 복수의 암형 조인트의 총 중량이 지나치게 무거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이들을 움직이는 부하가 증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제 2 부재와 복수의 숫형 조인트(숫형 조인트 구조)의 총 중량이 지나치게 무거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이들을 움직이는 부하가 증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커플링 장치에 따르면, 밸브체 구동수단은, 숫형 조인트의 제 2 밸브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피스톤부와, 상기 피스톤부에 유체압을 작용시키는 유체압 작동실과, 상기 유체압 작동실에 유체압을 공급하는 유체압 공급수단을 가지므로, 밸브체 구동수단에 의해, 제 2 밸브체를 제 2 밸브 케이스에 대하여 확실하게 진출 구동시킬 수 있고, 또한, 제 2 밸브체에 피스톤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하였으므로, 유체압 작동실도 더욱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설치하는 수 있으므로, 숫형 조인트 구조를 확실하게 간단하고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커플링 장치에 따르면, 암형 조인트 및 숫형 조인트를 복수 세트 구비하며, 유체압 공급수단을, 복수 세트의 암형 조인트 및 숫형 조인트에 공통으로 구성하였으므로, 유체압 공급수단을 암형 조인트의 수량만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커플링 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커플링 장치에 따르면, 암형 조인트의 제 1 밸브 케이스를 제 1 부착구멍에 퇴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제 1 밸브 케이스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제 1 밸브 케이스 가압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금형을 클램프 플레이트나 플래튼에 고정하였을 때에,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의 제작 오차나 제 1, 제 2 부재에 대한 조립 오차를 흡수하여,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을 확실하게 맞닿게 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커플링 장치에 따르면, 숫형 조인트의 제 2 밸브 케이스를 제 2 부착구멍에 진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제 2 밸브 케이스를 퇴입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2 밸브 케이스 가압수단을 구비하며, 제 1, 제 2 밸브 케이스가 접근 대향한 상태에서, 유체압 작동실에 유체압을 공급한 경우에, 제 2 밸브 케이스와 제 2 밸브체를 일체적으로 진출 구동하여,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후, 제 2 밸브 케이스에 대하여 제 2 밸브체를 진출 구동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간의 접속에 선행하여, 금형을 클램프 플레이트나 플래튼에 고정하고, 이 때, 제 1, 제 2 밸브 케이스를 접근 대향시키고, 그 후,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을 확실하게 맞닿게 하고 난 후,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커플링 장치에 따르면, 숫형 조인트의 제 2 밸브시트가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에 장착된 환형 시일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형 시일부재가 암형 조인트의 제 1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에 맞닿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상기 1개의 환형 시일부재에 의해, 숫형 조인트의 제 2 밸브시트를 구성하는 동시에,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을 확실하게 시일한 상태로 맞닿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양쪽 기능을 확보하여 숫형 조인트의 구조의 간단화(부품수의 저감)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커플링 장치에 따르면, 암형 조인트의 축심과 숫형 조인트의 축심이 설정범위 내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로부터, 밸브체 구동수단이, 제 2 밸브체를 진출 구동시킴으로써, 제 1, 제 2 밸브체를 개방밸브측으로 구동하여,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를 접속 가능하게 구성하였으므로, 금형을 클램프 플레이트나 플래튼에 고정하는 위치의 오차나,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의 조립 오차 등을 허용하여, 밸브체 구동수단에 의해 제 1, 제 2 밸브체를 개방밸브측으로 확실하게 구동시켜,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를 접속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커플링 장치에 따르면, 성형기가 횡형 사출성형기로 이루어지므로, 횡형 사출성형기에서는, 상기 클램프 플레이트나 플래튼에 금형을 고정하기 위해 반송할 때, 금형을 클램프 플레이트나 플래튼의 고정면과 평행 이동시키고자 하는 요청이 있지만, 금형과 클램프 플레이트간의 틈새나 금형과 플래튼간의 틈새를 매우 작게 하여 행할 수 있어, 상기 요청에 반송 공간의 절약화를 개선하여 부응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횡형 사출성형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커플링 장치의 암형 조인트를 포함하는 주요부의 표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커플링 장치의 숫형 조인트를 포함하는 주요부의 표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클램프 장치의 주요부의 표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클램프 장치의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클램프 장치의 작동상태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클램프 장치의 비작동상태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의 분리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의 접촉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1의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의 접속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2의 클램프 플레이트와 숫형 조인트를 포함하는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2의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의 분리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2의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의 접근 대향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2의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의 접촉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2의 숫형 조인트와 암형 조인트의 접속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2의 변경예의 클램프 플레이트와 숫형 조인트를 포함하는 주 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3의 횡형 사출성형기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3의 커플링 장치의 암형 조인트를 포함하는 주요부의 표면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4의 플래튼과 숫형 조인트를 포함하는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실시예 4의 변경예의 플래튼과 숫형 조인트를 포함하는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M2: 금형
1, 1A : 횡형 사출성형기
2, 2A: 고정반
3, 3A: 가동반
11: 클램프 플레이트
15, 100, 180, 190: 커플링 장치
20, 110: 암형 조인트
21, 111: 제 1 유체통로
22, 112: 제 1 부착구멍
25, 115: 숫형 조인트
26, 116: 제 2 유체통로
27, 117: 제 2 부착구멍
30, 120: 제 1 밸브 케이스
31, 121: 제 1 밸브시트
34: 압축 코일 스프링
35, 125: 제 1 밸브체
36, 126: 제 1 밸브부
40, 130: 압축 코일 스프링
45, 135: 제 1 개폐밸브
50, 145: 제 2 밸브 케이스
51, 146: 제 2 밸브시트
55, 150: 제 2 밸브체
55a, 150a: 피스톤부
56, 151: 제 2 밸브부
60, 155: 압축 코일 스프링
61, 166: 환형 시일부재
65, 160: 제 2 개폐밸브
70, 170: 밸브체 구동장치
71, 171: 유체압 작동실
72, 172: 유체압 공급유닛
101: 조인트 부착부재
165: 압축 코일 스프링
본 발명의 커플링 장치는,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가, 각각, 밸브 케이스, 밸브체, 개폐밸브를 가지며,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의 양쪽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에서,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의 양쪽 밸브체를 개방밸브측으로 구동하는 밸브체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커플링 장치에서는, 암형 조인트가 제 1 부재에 상당하는 금형에 장비되고, 숫형 조인트가 금형을 고정하는 횡형 사출성형기의 제 2 부재에 상당하는 플래튼 부속부재인 클램프 플레이트에 장비되며, 금형을 클램프 플레이트에 고정·고정해제할 때에, 금형 내의 제 1 유체통로와 클램프 플레이트 내의 제 2 유체통로가 접속·분리된다.
먼저, 횡형 사출성형기(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형 사출성형기(1)는, 금형(M; 고정 금형(M1)과 가동 금형(M2))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반(2)과 가동반(可動盤, 3), 가동반(3)을 고정반(2)에 대하여 접근·이격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지지하는 4개의 가이드 로드(4), 금형(M)의 몰드클램핑(mold clamping)과 몰드개방(mold opening)을 수행하기 위하여 가동반(3)을 상기 접근·이격방향으로 구동하는 가동반 구동기구(5), 몰드클램핑 상태의 금형(M) 내의 캐비티에 용융상태의 합성수지를 공급하는 사출기구(6), 가동 금형(M2)으로부터 성형품을 취출하는 이젝트기구(7) 등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반(2)과 가동반(3)은 직사각형반(盤)으로 형성되고, 4개의 가이드 로드(4)는, 고정반(2)의 4개의 모서리 근방부에 삽입통과되어 고정되며, 가동반(3)의 4개의 모서리부 근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통과되어 있다. 사출기구(6)는, 고정반(2)에 접속된 사출 튜브(筒)(6a)를 가진다. 이젝트기구(7)는, 1 또는 복수의 이젝터 핀(7a), 이젝터 핀(7a)의 기저단부가 연결된 이젝터 판(7b), 이젝터 판(7b)을 구동하는 유체압 실린더(7c)를 가진다.
횡형 사출성형기(1)는, 고정 금형(M1)을 고정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램프 장치(8A), 가동 금형(M2)을 고정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램프 장치(8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클램프 장치(8A, 8B)는, 자기흡착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마그넷이 조립되고 또한 자기흡착력이 발생하는 작동상태와 자기흡착력이 발생하지 않는 비작동상태로 택일적으로 전환이 가능한 클램프 플레이트(10, 11)를 갖는 자력식 클램프 장치로 이루어진다. 클램프 플레이트(10, 11)는, 각각, 고정반(2), 가동반(3)에 고정되며 표면에 고정면(10a, 11a)을 가진다.
도 4 ∼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 장치(8B)에 있어서, 클램프 플레이트(11)는, 가동반(3)과 거의 동일한 사이즈의 자성체인 스틸(鋼)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가동반(3)의 4개의 모서리부에 대응하는 거의 정방형 부분이 제거되며, 가동반(3)의 반면(盤面)에 고정되고, 클램프 플레이트(11)의 중앙부분에는 이젝터 핀 구멍(1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 플레이트(11)에, 마그넷 유닛(80)이 소정의 수 및 배치로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4개의 마그넷 유닛(80)을 상하좌우로 인접한 상태로 설치해 1세트의 마그넷 유닛그룹으로 하고, 클램프 플레이트(11)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점대칭 위치에 4세트의 마그넷 유닛그룹, 합계 16개의 마그넷 유닛(80)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마그넷 유닛(80)은, 클램프 플레이트(11)에 그 고정면(11a)측으로부터 형성된 오목부(11c)에 수용되며, 각 마그넷 유닛(80)은, 고정면(11a)에 면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스틸제 블록(81)과, 그 배면측에 설치된 알니코자석(alnico magnet, 82)과, 알니코자석(82)에 감겨 장착되며 또한 알니코자석(82)의 극성(極性)을 전환하기 위한 코일(83)과, 스틸제 블록(81)의 외주측에 설치된 복수(예컨대, 8개)의 네오듐 자석으로 이루어진 영구자석(84)을 가진다. 인접하는 마그넷 유닛(80)의 스틸제 블록(81) 사이의 영구자석(84)은, 이들 마그넷 유닛(80)에 공통의 영구자석(84)으로서 사용된다.
스틸제 블록(81)과 알니코자석(82)은 정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틸제 블록(81)에는 볼트구멍(81a)이 형성되고, 알니코자석(82)에는 구멍부(82a)가 형성되어 있다. 알니코자석(82)과 코일(83)은, 스틸제 블록(81)과 오목부(11c)의 바닥벽부(11d)와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들은, 볼트구멍(81a)과 구멍부(82a)를 삽입통과하는 비자성체(예컨대, SUS304)로 이루어진 육각구멍이 형성된 볼트(85)에 의해, 오목부(11c)의 바닥벽부(11d)에 체결되어 있다. 복수의 영구자석(84)은, 어떠한 고정수단에 의해 클램프 플레이트(11)나 스틸제 블록(81)에 고착(固着)되어 있다.
이웃하는 2개의 마그넷 유닛(80)에 있어서, 한 쪽의 스틸제 블록(81)에 대한 영구자석(84)의 자극과, 다른 쪽의 스틸제 블록(81)에 대한 영구자석(84)의 자극은 반대로 되어 있다. 알니코자석(82)은, 코일(83)에서 발생하는 자계의 자기유도에 의해 자극을 반전할 수 있는 것인데, 이웃하는 2개의 마그넷 유닛(80)에 있어서, 한 쪽의 스틸제 블록(81)에 대한 알니코자석(82)의 자극과, 다른 쪽의 스틸제 블록(81)에 대한 알니코자석(82)의 자극은 반대로 되어 있다.
금형(M2)을 클램프 플레이트(11)에 고정할 경우, 먼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흡착력이 발생하지 않는 비작동상태로 하여, 금형(M2)을 클램프 플레이트(11)의 고정면(11a)에 위치 결정하여 맞닿게 한 상태에서, 코일(83)에 소정의 방향으로 몇 초간 통전(通電)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니코자석(82)에 의한 자속의 방향이 영구자석(84)에 의한 자속의 방향과 동일해지도록, 알니코자석(82)의 자극이 전환되어, 금형(M2)을 자로의 일부로 하는 자기회로가 형성된다. 즉, 강력한 자기흡착력이 발생한 작동상태가 되어, 그 자기흡착력에 의해 금형(M2)이 클램프 플레이트(11)에 고정된다.
금형(M2)을 클램프 플레이트(11)로부터 고정해제할 경우에는, 코일(83)에 금형(M2)을 고정하는 경우와는 반대방향으로 몇 초간 통전되고, 그러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니코자석(82)의 자극이 반전되어, 알니코자석(82)에 의한 자속이 클램프 플레이트(11)의 고정면(11a)으로부터 나오지 않게 되어, 금형(M2)에는 자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며, 자기흡착력이 발생하지 않는 비작동상태가 된다. 또, 클램프 장치(8A)는, 클램프 장치(8B)와 기본적으로 같은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클램프 장치(8A)의 클램프 플레이트(10)에는, 그 중앙부 분에 로케이트 링이 장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커플링 장치(15)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플링 장치(15)는, 금형(M2)에 장비된 복수(예컨대, 5개)의 암형 조인트(20), 클램프 플레이트(11)에 장비되며 복수의 암형 조인트(20)와 각각 세트가 되는 복수(예컨대, 5개)의 숫형 조인트(25)를 구비하고, 금형(M2)을 클램프 플레이트(11)에 소정의 위치 관계로 고정·고정해제할 때에, 복수 세트의 암형 조인트(20)와 숫형 조인트(25)를 통해, 금형(M2) 내의 복수(예컨대, 5개)의 제 1 유체통로(21)와 클램프 플레이트(11) 내의 복수(예컨대, 5개)의 제 2 유체통로(26)를 접속·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 2 유체통로(26)의 복수의 유체 포트(26a)가 클램프 플레이트(11)에 형성되어, 복수의 유체 포트(26a)와 유체 급배수(流體給排) 유닛(31)이 복수의 유체 호스(32)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장치(33)에 의해 유체 급배수 유닛(31)이 제어되며, 복수의 제 1, 제 2 유체통로(21, 26)가 접속된 상태에서, 유체 급배수 유닛(31)이 구동되어, 금형(M2) 내의 복수의 제 1 유체통로(21)로 유체가 급배수된다. 예를 들어, 유체 급배수 유닛(31)은 냉각수 급배수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이 경우, 금형(M2) 내에 냉각수가 순환 공급된다.
또, 커플링 장치(15)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 금형(M2) 내의 복수의 제 1 유체통로(21)와 클램프 플레이트(11) 내의 복수의 제 2 유체통로(26)를 접속·분리할 수 있는 것인데, 고정 금형(M1) 내의 복수의 유체통로와 클램프 플레이트(10) 내의 복수의 유체통로를 접속·분리할 수 있는 커플링 장치를, 커플링 장치(15)와 마찬가지로 설치해도 된다.
다음으로, 각 암형 조인트(20)와 숫형 조인트(25)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암형 조인트(20)에 대해서는, 도 8의 화살표 a의 방향을 선단측으로 하여 설명하고, 숫형 조인트(25)에 대해서는, 도 8의 화살표 b의 방향을 선단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3, 도 8 ∼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형 조인트(20)는, 금형(M2)에 형성된 제 1 부착구멍(22)에 장착되면서 선단부분에 제 1 밸브시트(31)를 갖는 제 1 밸브 케이스(30), 제 1 밸브 케이스(30)의 내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선단부분에 제 1 밸브시트(31)에 내측(기저단측)으로부터 맞닿는 제 1 밸브부(36)를 갖는 제 1 밸브체(35), 제 1 밸브체(35)를 제 1 밸브 케이스(30)에 대하여 폐쇄밸브(선단측)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수단에 상당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40)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부착구멍(22)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금형(M2)의 표면(금형(M2)이 클램프 플레이트(11)에 고정될 때에 고정면(11a)과 대향하는 면)측에 개구되어 있다. 제 1 부착구멍(22)의 둘레면에 제 1 유체통로(21)의 유체통로부(21a)가 접속되고, 제 1 부착구멍(22)의 기저단면에 제 1 유체통로(21)의 유체통로부(21b)가 접속되어 있다. 또, 유체통로부(21a, 21b)의 적어도 한 쪽을 사용하여, 유체통로부(21a 또는 21b)를 생략할 수 있다. 금형(M2)의 상기 표면과 제 1 밸브 케이스(30)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고, 제 1 밸브시트(31)와 제 1 밸브부(36)에 의해 제 1 개폐밸브(45)가 구성되어 있다.
제 1 밸브 케이스(30)는, 통형상부(筒部, 30a), 선단 볼록부(30b)를 가진다. 통형상부(30a)의 선단측 부분이 제 1 부착구멍(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고, 상기 통형상부(30a)의 선단측 부분의 외주부에 환형의 시일(32)이 장착되어 있다. 제 1 부착구멍(22)의 선단부분의 둘레면부에 스톱링(33)이 장착되며, 상기 스톱링(33)에 제 1 밸브 케이스(30)가 걸림고정되어 선단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선단 볼록부(30b)가 제 1 부착구멍(22)으로부터 선단측으로 약간(예컨대, 0.3mm) 돌출하고, 이 상태로부터, 선단 볼록부(30b)의 선단부가 제 1 부착구멍(22) 내에 퇴입 가능하도록, 제 1 밸브 케이스(30)가 제 1 부착구멍(22)에 퇴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 1 밸브체(35)의 내부에 통로부(23a)가 형성되고, 선단 볼록부(30b)에 통로부(23a)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로구(23b)가 형성되어 있다. 선단 볼록부(30b)에는, 통로구(23b)의 기저단측에 선단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 내주면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 내주면에 제 1 밸브시트(31)가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부(30a)의 길이방향 중앙부분의 외주부에 환형의 오목홈(30c)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의 오목홈(30c)과 제 1 부착구멍(22)의 둘레면과의 사이에, 유체통로부(21a)에 연통하는 환형의 통로부(23c)가 형성되며, 통형상부(30a)에 통로부(23a, 23c)를 연통하는 복수의 통로부(23d)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밸브 케이스(30)를 외측(선단측)으로 가압하는 제 1 밸브 케이스 가압수단에 상당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34)이, 통형상부(30a)의 환형의 오목홈(30c)의 기저단측의 칼라부(collar portion, 30d)와 제 1 부착구멍(22)의 기저단면과의 사이에서 통형상부(30a)에 외장(外裝)되어 있다.
제 1 밸브체(35)는, 기저단측으로부터 선단측으로 순서대로, 축형상부(35a), 큰 지름 헤드부(35b), 중간 헤드부(35c), 선단 헤드부(35d)를 가진다. 제 1 밸브 케이스(30) 내부의 기저단측 부분에 환형부재(37)가 장착되고, 제 1 밸브 케이스(30)의 기저단 부분의 내면부에 스톱링(38)이 장착되며, 상기 스톱링(38)에 환형부재(37)가 걸림고정되어 기저단측으로 이동할 수 없다. 환형부재(37)의 중앙부분에 선단측으로 연장되는 통형상부(37a)가 형성되고, 상기 통형상부(37a)의 내부에 제 1 밸브체(35)의 축형상부(35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가이드되어 있다. 환형부재(37)에는 통로부(23a)와 유체통로부(21b)를 연통하는 복수의 통로부(23e)가 형성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40)은, 큰 지름 헤드부(35b)와 환형부재(37)의 사이에서 제 1 밸브체(35)의 축형상부(35a)에 외장되어 있다. 제 1 밸브체(35)의 선단 헤드부(35a)의 기저단측 부분의 외주부에 환형 시일(39)이 장착되고, 상기 환형 시일(39)이 제 1 밸브부(36)를 형성하고 있다. 제 1 개폐밸브(45)가 폐쇄상태일 때, 제 1 밸브체(35)의 선단 헤드부(35d)의 선단부분이, 제 1 밸브 케이스(30)의 통로구(23b)에 끼움결합되는 동시에, 제 1 밸브체(35)의 선단면과 제 1 밸브 케이스(30)의 선단면이 거의 연속해서 동일면 상에 위치한다.
도 2, 도 8 ∼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숫형 조인트(25)는, 클램프 플레이트(11)의 복수의 마그넷 유닛(80)이 조립된 부분 이외의 부분(예컨대, 클램프 플 레이트(11)의 측방측 부분)에 있어서, 클램프 플레이트(11)에 형성된 제 2 부착구멍(27)에 장착되면서 선단부분에 제 2 밸브시트(51)를 갖는 제 2 밸브 케이스(50), 제 2 밸브 케이스(50)의 내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선단부분에 제 2 밸브시트(51)에 외측(선단측)으로부터 맞닿는 제 2 밸브부(56)를 갖는 제 2 밸브체(55), 제 2 밸브체(55)를 제 2 밸브 케이스(50)에 대하여 폐쇄밸브측(기저단측)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수단에 상당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60)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부착구멍(27)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클램프 플레이트(11)의 표면(고정면(11a))측으로 개구되고, 제 2 부착구멍(27)의 둘레면에 제 2 유체통로(26)가 접속되어 있다. 클램프 플레이트(11)의 상기 표면과 제 2 밸브 케이스(50)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고, 제 2 밸브시트(51)와 제 2 밸브부(56)에 의해 제 2 개폐밸브(65)가 구성되어 있다.
제 2 밸브 케이스(50)는, 통형상부(50a), 선단벽부(50b)를 가지며, 선단벽부(50b)에 선단 돌출부(50c)가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부(50a)가 제 2 부착구멍(27)에 끼움결합되고, 통형상부(50a)의 기저단측 부분이 제 2 부착구멍(27)의 둘레면부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며, 선단 돌출부(50c)의 선단면과 클램프 플레이트(11)의 표면이 동일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통형상부(50a)의 선단측 부분과 길이방향 중앙부분의 외주부에 환형 시일(52, 53)이 장착되어 있다.
제 2 밸브 케이스(50)의 내부에 통로부(54a)가 형성되고, 선단벽부(50b)에 통로부(54a)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로구(54b)가 형성되어 있다. 선단벽부(50b)에는, 통로구(54b)의 선단측에 통로구(54b)보다 지름이 큰 환형 오목부(50d)가 선단 측 개방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환형 오목부(50d)에 환형 시일부재(6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환형 시일부재(61)가 제 2 밸브시트(51)를 형성하는 동시에, 암형 조인트(20)의 제 1 밸브 케이스(30)의 선단부에 통로구(23b)를 둘러싸고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밸브 케이스(50)의 외주부에는, 환형 시일(52, 53)의 사이에 환형 오목홈(50e)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오목홈(50e)과 제 2 부착구멍(27)의 둘레면과의 사이에, 제 2 유체통로(26)에 연통하는 환형의 통로부(54c)가 형성되며, 제 2 밸브 케이스(50)에 통로부(54a, 54c)를 연통하는 복수의 통로부(54d)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밸브체(55)는, 기저단측으로부터 선단측으로 순서대로, 피스톤부(55a), 축베이스부(軸基部, 55b), 축형상부(55c), 선단 밸브부 형성부(55d)를 가진다. 선단 밸브부 형성부(55d)는 선단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고, 그 외주면에 제 2 밸브부(56)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부(55a)의 외주부에 환형 시일(57)이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부(55a)가 제 2 밸브 케이스(5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있다. 제 2 밸브 케이스(50)의 기저단 부분의 둘레면부에 스톱링(58, 59)이 장착되고, 상기 스톱링(58, 59)에 제 2 밸브체(55)가 걸림고정되어 기저단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압축 코일 스프링(60)은, 제 2 밸브체(55)의 피스톤부(55a)와 제 2 밸브 케이스(50)의 선단벽부(50b)의 사이에 있어서 제 2 밸브체(55)의 축베이스부(55b)와 축형상부(55c)에 외장되어 있다. 제 2 개폐밸브(65)가 폐쇄상태일 때에, 제 2 밸브체(55)의 선단면과 제 2 밸브 케이스(50; 선단 돌출부(50c))의 선단면, 및, 클램 프 플레이트(11)의 표면이 동일면 상에 위치한다.
상기 커플링 장치(15)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제 2 밸브 케이스(30, 50)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로부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숫형 조인트(25)에 있어서 제 2 밸브체(55)만을 제 2 밸브 케이스(50)에 대하여 진출 구동시킴으로써, 제 1, 제 2 밸브체(35, 55)를 개방밸브측으로 구동하는 밸브체 구동수단에 상당하는 밸브체 구동장치(7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밸브체 구동장치(70)의 유체압 공급유닛(72)은, 복수 세트의 암형 조인트(20) 및 숫형 조인트(25)에 공통으로 구성되어, 복수 세트의 암형 조인트(20) 및 숫형 조인트(25)의 복수의 제 1, 제 2 밸브체(35, 55)를 일괄해서 개방밸브측으로 구동할 수 있다.
도 2, 도 8 ∼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체 구동장치(70)는, 각 숫형 조인트(25)의 제 2 밸브체(55)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기 피스톤부(55a), 상기 피스톤부(55a)에 유체압(예컨대, 에어압이나 유압)을 작용시키는 유체압 작동실(71), 상기 유체압 작동실(71)에 유체압을 공급하는 유체압 공급수단에 상당하는 유체압 공급유닛(72)을 가진다.
각 숫형 조인트(25)에 유체압 작동실(71)이 부설(付設)되며, 그 유체압 작동실(71)은, 제 2 부착구멍(27)의 기저단면, 제 2 밸브 케이스(50)의 기저단측 부분, 피스톤부(55a)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 플레이트(11)에는, 복수의 숫형 조인트(25)에 대응하는 복수의 유체압 작동실(71)을 접속하는 유체압 통로(73)와, 유체압 통로(73)의 유체압 포트(74)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압 포트(74)와 유체압 공급유닛(72)이 유체압 호스(75)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장치(33) 에 의해 유체압 공급유닛(72)이 구동되어, 각 유체압 작동실(71)에 유체압이 급배수된다.
또, 유체압 작동실(71)에는, 제 2 부착구멍(27)의 기저단면의 중앙부에 유체압 통로(73)의 유체압 통로(73a)가 접속되고, 제 2 부착구멍(27)의 기저단면의 외주측에 유체압 통로(73)의 유체압 통로(73b)가 접속되어 있지만, 유체압 통로부(73a, 73b)의 적어도 한 쪽을 사용하여, 유체 통로부(73a 또는 73b)를 생략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밸브 케이스(30)의 선단 볼록부(30b)에 형성된 통로구(23b)의 직경이, 제 2 밸브체(55)의 선단 밸브부 형성부(55d)의 직경보다 크고(예컨대, 1.3배 정도), 또한, 제 1 밸브 케이스(30)의 선단 볼록부(30b)의 선단면의 환형 폭과 환형 시일부재(61)의 환형 폭도 어느 정도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암형 조인트(20)의 축심과 숫형 조인트(25)의 축심이 설정범위 내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제 1, 제 2 밸브 케이스(30, 50)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로부터, 밸브체 구동장치(70)가, 제 2 밸브체(55)를 진출 구동시킴으로써, 제 1, 제 2 밸브체(35, 55)를 개방밸브측으로 구동하여, 암형 조인트(20)와 숫형 조인트(25)를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커플링 장치(15)의 작용·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금형(M2)이 클램프 플레이트(11)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암형 조인트(20)와 숫형 조인트(25)는 분리되고, 제 1, 제 2 개폐밸브(45, 65)가 폐쇄되어 있다. 이어서, 금형(M2)을 클램프 플레이 트(11)에 고정하기 위해 반송하는데, 이때, 암형 조인트(20)와 숫형 조인트(25)는 금형(M)과 클램프 플레이트(11)의 표면으로부터 거의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금형(M2)을 클램프 플레이트(11)의 고정면(11a)과 평행하게 이동시킬 경우, 금형(M2)과 클램프 플레이트(11)간의 틈새를 매우 작게 하여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금형(M2)을 클램프 플레이트(11)에 소정의 위치 관계로 고정하기 위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암형 조인트(20)와 숫형 조인트(25)를 대향시킨 상태로 하여, 금형(M2)을 클램프 플레이트(11)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형(M2)과 클램프 플레이트(11)의 상기 표면들이 맞닿는 동시에, 제 1, 제 2 밸브 케이스(30, 50)의 선단부들이 맞닿고, 이 상태에서, 금형(M2)이 클램프 플레이트(11)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 1 밸브 케이스(30)가 제 1 부착구멍(22)으로부터 선단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제 2 밸브 케이스(30, 50)의 선단부들이 확실하게 맞닿고, 제 1 밸브 케이스(30)가 제 1 밸브체(35)와 환형부재(37) 등과 함께, 압축 코일 스프링(3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제 2 밸브 케이스(50) 내에 눌려 움직이게 되어 약간 혼입된다. 제 1, 제 2 밸브 케이스(30, 50)의 선단부들이 맞닿으면, 환형 시일부재(61)가 제 1 밸브 케이스(30)의 선단부에 통로구(23b)를 둘러싸고 맞닿기 때문에, 상기 환형 시일부재(61)에 의해, 제 1 밸브 케이스(30)의 통로구(23b)와 제 2 밸브 케이스(50)의 통로구(54b)가 시일된 상태로 접속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압 공급유닛(72)이 구동되어, 각 유체압 작동실(71)에 유체압이 공급되고, 그 유체압이 피스톤부(55)에 작용하며, 제 2 밸브체(55)가 압축 코일 스프링(60)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진출 구동되어, 제 2 개폐밸브(65)가 개방된다. 또한, 제 2 밸브체(55)가 진출 구동되면, 제 2 밸브체(55)가 제 1 밸브 케이스(30)의 내부에 통로구(23b)로부터 삽입되어 가지만, 상기 제 2 밸브체(55)에 의해, 제 1 밸브체(35)가 압축 코일 스프링(40)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눌려 움직이게 되어 퇴입 구동됨으로써, 제 1 개폐밸브(45)가 개방된다.
이렇게 하여, 암형 조인트(20)와 숫형 조인트(25)가 접속되고, 제 1, 제 2 유체통로(21, 26)가, 암형 조인트(20)의 통로부와 통로구(23a∼23e), 숫형 조인트(25)의 통로부와 통로구(54a∼54d)를 통해 접속되며, 이 상태에서, 유체 급배수 유닛(31)이 구동되어, 유체 급배수 유닛(31)으로부터 금형(M2) 내의 복수의 제 1 유체통로(21)로 유체를 급배수할 수 있게 된다. 각 유체압 작동실(71)로부터 유체압이 배출되면, 제 1, 제 2 밸브체(35, 55)가 압축 코일 스프링(40, 60)에 의해 복귀하여, 제 1, 제 2 개폐밸브(45, 65)가 폐쇄되고, 이 상태에서, 금형(M2)을 클램프 플레이트(11)로부터 고정해제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장치(15)에 따르면, 제 1, 제 2 밸브 케이스(30, 50)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로부터, 숫형 조인트(25)에 있어서 제 2 밸브체(55)만을 제 2 밸브 케이스(50)에 대하여 진출 구동시킴으로써, 제 1, 제 2 밸브체(35, 55)를 개방밸브측으로 구동하는 밸브체 구동장치(70)를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제 1, 제 2 밸브 케이스(30, 50)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로부터, 밸브체 구동장치(70)에 의해 제 1, 제 2 밸브체(35, 55)만을 구동하여, 제 1, 제 2 개폐밸브(45, 65)를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암형 조인트(20)의 구조를 간단하고 소형으로 할 수 있는 동시 에, 더욱, 숫형 조인트(25)에 관해서는, 밸브체 구동장치(70)에 의해 제 2 밸브체(55)를 제 2 밸브 케이스(50)에 대하여 진출 구동하기 위한 유체압 실린더를 간단하게 소형으로 설치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숫형 조인트(25)와 유체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숫형 조인트 구조를 간단하고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기존의 금형(M2)과 클램프 플레이트(11)에, 암형 조인트(20)와 숫형 조인트(25; 숫형 조인트 구조)를 조립할 공간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제 1, 제 2 밸브 케이스(30, 50)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로부터, 밸브체 구동장치(70)에 의해 제 1, 제 2 밸브체(35, 55)만을 구동하여, 제 1, 제 2 개폐밸브(45, 65)를 개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금형(M2)의 상기 표면과 암형 조인트(20)의 제 1 밸브 케이스(30)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동시에, 클램프 플레이트(11)의 상기 표면과 숫형 조인트(25)의 제 2 밸브 케이스(50)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커플링 장치(15)에서 기대한 바의 작동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금형(M2)과 클램프 플레이트(11)에 암형 조인트(20)와 숫형 조인트(25)를 복수 세트 장비할 경우에도, 각 암형 조인트(20)와 숫형 조인트(25; 숫형 조인트 구조)를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 세트의 암형 조인트(20)와 숫형 조인트(25)를 적정한 배치로 장비할 수 있고, 또한, 금형(M2)과 복수의 암형 조인트(20)의 총 중량이 지나치게 무거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이들을 움직이는 부하가 증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클램프 플레이트(11)와 복수의 숫형 조인트(25; 숫형 조인트 구조)의 총 중량도 지나치게 무거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이들을 움직이는 부하가 증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금형(M2)의 상기 표면과 암형 조인트(20)의 제 1 밸브 케이스(30)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동시에, 클램프 플레이트(11)의 상기 표면과 숫형 조인트(25)의 제 2 밸브 케이스(50)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암형 조인트(20)와 숫형 조인트(25)를 금형(M2)과 클램프 플레이트(11)로부터 거의 돌출시키지 않아 장애가 되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클램프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금형(M2)을 클램프 플레이트(11)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금형(M2)을 클램프 플레이트(11)에 고정하기 위해 반송할 때, 금형(M2)을 클램프 플레이트(11)의 고정면(11a)과 평행 이동시키고, 이 때, 금형(M2)과 클램프 플레이트(11)간의 틈새를 매우 작게 하여 행할 수 있어, 즉, 반송 공간의 절약화를 개선할 수 있다.
밸브체 구동장치(70)는, 숫형 조인트(25)의 제 2 밸브체(55)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피스톤부(55a)와, 상기 피스톤부(55a)에 유체압을 작용시키는 유체압 작동실(71)과, 상기 유체압 작동실(71)에 유체압을 공급하는 유체압 공급유닛(72)을 가지므로, 밸브체 구동장치(70)에 의해, 제 2 밸브체(55)를 제 2 밸브 케이스(50)에 대하여 확실하게 진출 구동할 수 있고, 또한, 제 2 밸브체(55)에 피스톤부(55a)를 일체적으로 설치하였으므로, 유체압 작동실(71)도 더욱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숫형 조인트 구조를 확실하게 간단하고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암형 조인트(20) 및 숫형 조인트(25)를 복수 세트 구비하며, 유체압 공급유닛(72)을, 복수 세트의 암형 조인트(20) 및 숫형 조인트(25)에 공통으로 구성하였 기 때문에, 유체압 공급유닛(72)을 암형 조인트의 수량만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커플링 장치(15)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암형 조인트(20)의 제 1 밸브 케이스(30)를 제 1 부착구멍(22)에 퇴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제 1 밸브 케이스(30)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34)을 구비하였으므로, 금형(M2)을 클램프 플레이트(11)에 고정할 때에, 암형 조인트(20)와 숫형 조인트(25)의 제작 오차나 금형(M2), 클램프 플레이트(11)에 대한 조립 오차를 흡수하여, 제 1, 제 2 밸브 케이스(30, 50)의 선단부들을 확실하게 맞닿게 할 수 있다.
숫형 조인트(25)의 제 2 밸브시트(51)가 제 2 밸브 케이스(50)의 선단부에 장착된 환형 시일부재(61)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형 시일부재(61)가 암형 조인트(20)의 제 1 밸브 케이스(30)의 선단부에 맞닿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이 1개의 환형 시일부재(61)에 의해, 숫형 조인트(25)의 제 2 밸브시트(51)를 구성하는 동시에, 제 1, 제 2 밸브 케이스(30, 50)의 선단부들을 확실하게 시일한 상태에서 맞닿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양쪽 기능을 확보하여 숫형 조인트(25)의 구조의 간단화(부품수의 저감)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커플링 장치에서는, 암형 조인트가 제 1 부재에 상당하는 금형에 장비되고, 숫형 조인트가 금형을 고정하는 횡형 사출성형기 클램프 플레이트에 고정된 제 2 부재로서의 플래튼 부속부재인 조인트 부착부재에 장비되며, 금형을 클램프 플레이트에 고정·고정해제할 때에, 금형 내의 제 1 유체통로와 조인트 부착부재 내의 제 2 유체통로가 접속·분리된다.
도 11∼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 장치(100)는, 금형(M2)에 장비된 복수(예컨대, 6개)의 암형 조인트(110), 클램프 플레이트(11)에 고정된 조인트 부착부재(101)에 장비되며 복수의 암형 조인트(110)와 각각 세트가 되는 복수(예컨대, 6개)의 숫형 조인트(115)를 구비하고, 금형(M2)을 클램프 플레이트(11)에 소정의 위치 관계로 고정·고정해제할 때에, 복수 세트의 암형 조인트(110)와 숫형 조인트(115)를 통해, 금형(M2) 내의 복수(예컨대, 6개)의 제 1 유체통로(111)와 조인트 부착부재(101) 내의 복수(예컨대, 6개)의 제 2 유체통로(116)를 접속·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인트 부착부재(101)는 가늘고 긴 블록형상으로 형성되며, 클램프 플레이트(11)의 고정면(11a) 중 금형(M2)이 고정되는 영역의 측방에 상하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복수의 볼트(102)로 고정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 2 유체통로(116)의 유체 포트가 조인트 부착부재(101)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 포트와 유체 급배수 유닛이 유체 호스로 접속되어, 복수의 제 1, 제 2 유체통로(111, 116)가 접속된 상태에서, 유체 급배수 유닛이 구동되어, 금형(M2) 내의 복수의 제 1 유체통로(111)로 유체가 급배수된다. 또, 클램프 플레이트(11)를 구비한 사출성형기(1)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각 암형 조인트(110)와 숫형 조인트(115)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암형 조인트(110)에 대해서는, 도 12의 화살표 c의 방향을 선단측으로 하여 설명하고, 숫형 조인트(115)에 대해서는, 도 12의 화살표 d의 방향을 선단측 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2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형 조인트(110)는, 금형(M2)에 형성된 제 1 부착구멍(112)에 장착되면서 선단부분에 제 1 밸브시트(121)를 갖는 제 1 밸브 케이스(120), 제 1 밸브 케이스(120)의 내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선단부분에 제 1 밸브시트(121)에 내측(기저단측)으로부터 맞닿는 제 1 밸브부(126)를 갖는 제 1 밸브체(125), 제 1 밸브체(125)를 제 1 밸브 케이스(120)에 대하여 폐쇄밸브(선단측)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수단에 상당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130)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부착구멍(112)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금형(M2)의 표면(금형(M2)이 클램프 플레이트(11)에 고정될 때에 조인트 부착부재(101)와 대향하는 면)측에 개구되고, 상기 제 1 부착구멍(112)의 기저단측 부분에 제 1 유체통로(111)가 접속되어 있다. 금형(M2)의 상기 표면과 제 1 밸브 케이스(120)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고, 제 1 밸브시트(121)와 제 1 밸브부(126)에 의해 제 1 개폐밸브(135)가 구성되어 있다.
제 1 밸브 케이스(120)는, 통형상부(120a), 선단벽부(120b)를 가지며, 통형상부(120a)가 제 1 부착구멍(112)에 끼움결합되어, 통형상부(120a)의 선단측 부분이 제 1 부착구멍(112)의 둘레면부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통형상부(120a)의 길이방향 중앙부분의 외주부에 환형 시일(122)이 장착되어 있다. 선단벽부(120b)는, 실시예 1의 제 1 밸브 케이스(30)의 선단 볼록부(30b)의 중앙 주요 부분과 동일한 구조를 포함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밸브 케이스(120)의 내부에는, 제 1 밸브체(125), 환형부재(126), 스톱링(127), 환형 시일(128), 압축 코일 스프링(13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들은, 실시예 1의 제 1 밸브체(35), 환형부재(37), 스톱링(38), 환형 시일(39), 압축 코일 스프링(40)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숫형 조인트(115)는, 조인트 부착부재(101)에 형성된 제 2 부착구멍(117)에 장착된 케이스부재(140), 제 2 부착구멍(117)에 케이스부재(140)를 통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선단부분에 제 2 밸브시트(146)를 갖는 제 2 밸브 케이스(145), 제 2 밸브 케이스(145)의 내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선단부분에 제 2 밸브시트(146)에 외측(선단측)으로부터 맞닿는 제 2 밸브부(151)를 갖는 제 2 밸브체(150), 제 2 밸브체(150)를 제 2 밸브 케이스(145)에 대하여 폐쇄밸브측(기저단측)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수단에 상당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155)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부착구멍(117)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선단측의 큰 지름 구멍(117a)과 기저단측의 작은 지름 구멍(117b)을 가지고, 조인트 부착부재(101)의 표면(금형(M2)이 클램프 플레이트(11)에 고정될 때에 금형(M2)과 대향하는 면)측으로 개구되고, 제 2 부착구멍(117; 큰 지름 구멍(117a))의 둘레면에 제 2 유체통로(116)가 접속되어 있다. 조인트 부착부재(101)의 상기 표면과 제 2 밸브 케이스(145)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고, 제 2 밸브시트(146)와 제 2 밸브부(151)에 의해 제 2 개폐밸브(160)가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부재(140)는, 통형상부(140a), 선단벽부(140b)을 가지며, 통형상 부(140a)가 제 2 부착구멍(117)의 큰 지름 구멍(117a)에 끼움결합되어, 통형상부(140a)의 기저단부가 제 2 부착구멍(117)의 큰 지름 구멍(117a)과 작은 지름 구멍(117b)의 경계의 단(段)부(117c)에 맞닿은 상태에서, 통형상부(140a)의 선단측 부분이 큰 지름 구멍(117a)의 둘레면부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통형상부(140a)의 길이방향 중앙부분과 기저단측 부분에 환형 시일(141, 142)이 장착되어 있다. 선단벽부(140b)에는 원형 개구(140c)가 형성되고, 선단벽부(140b)의 선단부에 내측 칼라부(140d)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부재(140)의 선단면은, 조인트 부착부재(101)의 상기 표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밸브 케이스(145)는, 통형상부(145a), 선단 볼록부(145b)를 가지며, 통형상부(145a)의 선단측 부분이 케이스부재(140)의 통형상부(140a)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상기 통형상부(145a)의 선단측 부분의 외주부에 환형 시일(147, 148)이 장착되며, 통형상부(145a)의 기저단 부분이 제 2 부착구멍(117)의 작은 지름 구멍(117b)에 수용되어 있다. 선단 볼록부(145b)가 케이스부재(140)의 원형개구(140c)에 삽입통과되는 동시에 내측 칼라부(140d)의 내주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있다.
제 2 밸브 케이스(145)를 퇴입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2 밸브 케이스 가압수단에 상당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165)이, 케이스부재(140)의 내측 칼라부(140d)와 제 2 밸브 케이스(145)의 통형상부(145a)와의 사이에서 제 2 밸브 케이스(145)의 선단 볼록부(145b)에 외장되어 있다. 제 2 밸브 케이스(145)는, 그 기저단부가 제 2 부착구멍(117)의 기저단면에 맞닿아 퇴입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며, 이 상태에 서, 제 2 밸브 케이스(145)의 선단면이, 조인트 부착부재(101)의 상기 표면 및 케이스부재(140)의 선단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한다. 이 상태로부터, 제 2 밸브 케이스(145)가 진출 가능하여, 제 2 밸브 케이스(145)의 통형상부(145a)가 케이스부재(140)의 선단벽부(140b)에 걸림고정되어, 진출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선단 볼록부(145b)에는, 그 선단부분에 환형 오목부(145c)가 선단측 개방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환형 오목부(145c)에 환형 시일부재(166)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환형 시일부재(166)가 제 2 밸브시트(146)를 형성하는 동시에, 암형 조인트(110)의 제 1 밸브 케이스(120)의 선단부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밸브체(150)는, 기저단측으로부터 선단측으로 순서대로, 피스톤부(150a), 축베이스부(150b), 축형상부(150c), 선단 밸브부 형성부(150d)를 가진다. 상기 제 2 밸브체(150)는, 실시예 1의 제 2 밸브체(55)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이고, 또한 제 2 밸브 케이스(145)의 내부에는, 실시예 1의 스톱링(58, 59)과 동일한 스톱링(167, 168)이 장착되며, 또 압축 코일 스프링(155)은, 실시예 1의 압축 코일 스프링(60)과 마찬가지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커플링 장치(100)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제 2 밸브 케이스(120, 145)가 접근 대향한 상태로부터, 숫형 조인트(115)에 있어서 제 2 밸브 케이스(145)와 제 2 밸브체(150)를 일체적으로 진출 구동시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제 2 밸브 케이스(120, 145)의 선단부들을 맞닿게 하고, 이후,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숫형 조인트(115)에 있어서 제 2 밸브체(150)만을 제 2 밸브 케이스(145)에 대하여 진출 구동시킴으로써, 제 1, 제 2 밸브체(125, 150)를 개방 밸브측으로 구동하는 밸브체 구동수단에 상당하는 밸브체 구동장치(17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밸브체 구동장치(170)는, 실시예 1의 밸브체 구동장치(70)와 기본적으로 같은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며, 각 숫형 조인트(115)의 제 2 밸브체(150)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기 피스톤부(150a), 상기 피스톤부(150a) 및 제 2 밸브 케이스(145)의 기저단부에 유체압을 작용시키는 유체압 작동실(171),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155), 유체압 작동실(171)에 유체압을 공급하는 유체압 공급유닛(172)을 가진다. 유체압 작동실(171)은, 제 2 부착구멍(117)의 작은 지름 구멍(117b), 제 2 밸브 케이스(145)의 기저단측 부분, 피스톤부(150a)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에 형성되고, 유체압 공급유닛(172)로부터의 유체압을 유체압 작동실(171)로 안내하는 유체압 통로부(173)가 조인트 부착부재(101)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암형 조인트(110)의 축심과 숫형 조인트(115) 축심이 설정범위 내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제 1, 제 2 밸브 케이스(120, 145)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로부터, 밸브체 구동장치(170)가, 제 2 밸브체(150)를 진출 구동시킴으로써, 제 1, 제 2 밸브체(125, 150)를 개방밸브측으로 구동하여, 암형 조인트(110)와 숫형 조인트(115)를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커플링 장치(100)의 작용·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금형(M2)을 클램프 플레이트(11)에 고정하기 위해서 반송하고, 이때, 금형(M2)을 조인트 부착부재(101)의 반대측으로부터, 클램프 플레이트(11)에 부착된 복수의 롤러(105)를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클램프 플레이트(11)의 고정면(11a)과 평행 이동시켜, 금형(M2)을 클램프 플레이트(11)에 소정의 위치 관계로 고정한다.
여기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암형 조인트(110)의 제 1 밸브 케이스(120)와 숫형 조인트(115)의 제 2 밸브 케이스(145)가 접근 대향한 상태가 되어, 각 숫형 조인트(110)의 유체압 작동실(171)에 유체압이 공급되고, 먼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 코일 스프링(155)의 가압력에 의해 제 2 밸브 케이스(145)와 제 2 밸브체(150)가 일체성을 유지하고, 압축 코일 스프링(16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일체적으로 진출 구동되어, 제 2 밸브 케이스(145)의 선단부가 제 1 밸브 케이스(120)의 선단부에 맞닿는다.
제 1, 2 밸브 케이스(120,145)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로부터, 또한 유체압 작동실(171)에 유체압이 계속해서 공급되고, 제 2 밸브 케이스(145)에 대하여 제 2 밸브체(150)가 진출 구동되어, 제 2 개폐밸브(160)가 개방되는 동시에, 제 2 밸브체(150)가 제 1 밸브 케이스(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밸브체(150)에 의해, 제 1 밸브체(125)가 압축 코일 스프링(130)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눌려 움직이게 되어 퇴입 구동됨으로써, 제 1 개폐밸브(135)가 개방된다.
이렇게 하여, 암형 조인트(110)와 숫형 조인트(115)가 접속되고, 제 1, 제 2 유체통로(111, 116)가 접속된다. 각 유체압 작동실(171)로부터 유체압이 배출되면, 제 2 밸브 케이스(145)와 제 2 밸브체(150)가 압축 코일 스프링(155, 165)에 의해 복귀하여 퇴입되는 동시에, 제 1 밸브체(125)가 압축 코일 스프링(130)에 의해 복귀하여, 제 1, 제 2 개폐밸브(135, 160)가 폐쇄된다.
상기 커플링 장치(100)에 따르면, 숫형 조인트(115)의 제 2 밸브 케이 스(145)를 케이스부재(140)를 통해 제 2 부착구멍(117)에 진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제 2 밸브 케이스(145)를 퇴입방향으로 가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165)을 구비하며, 제 1, 제 2 밸브 케이스(120, 145)가 접근 대향한 상태에서, 유체압 작동실(171)에 유체압을 공급한 경우에, 제 2 밸브 케이스(145)와 제 2 밸브체(150)를 일체적으로 진출 구동하여, 제 1, 제 2 밸브 케이스(120, 145)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후, 제 2 밸브 케이스(145)에 대하여 제 2 밸브체(150)를 진출 구동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암형 조인트(110)와 숫형 조인트(115)의 접속에 선행하여, 금형(M)을 클램프 플레이트(11)에 고정하고, 이때에, 제 1, 제 2 밸브 케이스(120, 145)를 접근 대향시키고, 이후, 제 1, 제 2 밸브 케이스(120, 145)의 선단부들을 확실하게 맞닿게 한 후, 암형 조인트(110)와 숫형 조인트(115)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그 밖의 기본적인 효과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또,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부착부재(101)를, 클램프 플레이트(11)의 고정면(11a) 중 금형(M2)이 고정되는 영역의 하방에 수평방향을 향해 배치하여 고정해도 된다. 이 경우, 금형(M2)을 하방으로 클램프 플레이트(11)의 고정면(11a)과 평행 이동시켜, 금형(M2)을 클램프 플레이트(11)에 소정의 위치 관계로 고정하고, 이후, 암형 조인트(110)와 숫형 조인트(115)를 접속할 수 있다.
또, 실시예 1, 2에 있어서는, 금형(M)에 숫형 조인트(25, 115)를 장착하고, 클램프 플레이트(11), 조인트 부착부재(101)에 암형 조인트(20, 110)를 장착해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금형(M)에 조인트 부착부재(101)와 동일한 금형부속부재인 조인트 부착부재를 고정해서 설치하고, 상기 조인트 부착부재에 암형 조인트(20, 110) 또는 숫형 조인트(25, 115)를 장착해도 된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커플링 장치에서는, 암형 조인트가 제 1 부재에 상당하는 금형에 장비되고, 숫형 조인트가 횡형 사출성형기의 금형 고정용 제 2 부재에 상당하는 플래튼에 장비되며, 금형을 플래튼에 고정·고정해제할 때에, 금형 내의 제 1 유체통로와 플래튼 내의 제 2 유체통로가 접속·분리된다.
도 17,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횡형 사출성형기(1A)는, 실시예 1의 횡형 사출성형기(1)의 클램프 플레이트(10, 11)를 생략하고, 플래튼인 고정반(2A)과 가동반(3A)이, 자기흡착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마그넷이 조립되고 또한 자기흡착력이 발생하는 작동상태와 자기흡착력이 발생하지 않는 비작동상태로 택일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가동반(3A)에, 실시예 1과 같은 복수의 마그넷 유닛(80)이, 실시예 1의 클램프 플레이트(11)에 조립되는 것과 같이 조립되고, 상기 가동반(3A)의 복수의 마그넷 유닛(80)이 조립된 부분 이외의 부분(예컨대, 가동반(2A)의 측방측 부분)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숫형 조인트(25)가, 실시예 1의 클램프 플레이트(11)에 장비되는 것과 같이 장비되며, 상기 숫형 조인트(25)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금형(M2)에 장비된 암형 조인트(20)로, 실시예 3의 커플링 장치(180)가 구성되어 있다. 또, 고정반(2A)은, 가동반(3A)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마그넷 유닛(80)을 조립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커플링 장치(180)에 따르면, 실시예 1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 타내는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같은 클램프 플레이트(10, 11)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횡형 사출성형기(1A)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용융수지를 금형(M1, M2)의 캐비티에 고정반(2A)의 이면측으로부터 주입하는데, 그 용융수지 주입통로의 길이를 클램프 플레이트(10)가 불필요한 만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용융수지를 적절한 용융상태로 금형(M1, M2)의 캐비티에 주입할 수 있어, 사출 성형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의 커플링 장치에서는, 암형 조인트가 제 1 부재에 상당하는 금형에 장비되고, 숫형 조인트가 횡형 사출성형기의 금형 고정용 플래튼에 고정된 제 2 부재에 상당하는 플래튼 부속부재인 조인트 부착부재에 장비되며, 금형을 플래튼에 고정·고정해제할 때에, 금형 내의 제 1 유체통로와 조인트 부착부재 내의 제 2 유체통로가 접속·분리된다.
횡형 사출성형기(1A)에 대해서는, 실시예 3과 동일하다. 단, 도 19,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반(3A)에 숫형 조인트(25)는 장비되지 않고, 실시예 2와 동일한 조인트 부착부재(101)가, 실시예 2의 클램프 플레이트(11)에 고정되는 것과 동일하게 가동반(3A)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조인트 부착부재(101)에 실시예 2와 동일한 숫형 조인트(115)가 장비되며, 상기 숫형 조인트(115)와,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금형(M2)에 장비된 암형 조인트(110)로, 실시예 4의 커플링 장치(19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플링 장치(190)에 따르면, 실시예 3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 타내는 것 이외에, 가동반(3A)에 조인트 부착부재(101)를 고정함으로써, 숫형 조인트(11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즉,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실시예 3, 4에 있어서는, 금형(M)에 숫형 조인트(25, 115)를 장착하고, 가동반(3A), 조인트 부착부재(101)에 암형 조인트(20, 110)를 장착해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금형(M)에 조인트 부착부재(101)와 같은 금형 부속부재인 조인트 부착부재를 고정해서 설치하고, 상기 조인트 부착부재에 암형 조인트(20, 110) 또는 숫형 조인트(25, 115)를 장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개시사항 이외의 변경을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 2, 4에 있어서, 조인트 부착부재(101)를 클램프 플레이트(11)나 가동반(3A)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하지 않고, 조인트 부착부재(101)의 표면이 클램프 플레이트(11)나 가동반(3A)의 고정면을 포함하는 면과 동일해지도록 설치해도 된다. 또한, 유체압 공급유닛(72, 172) 대신에, 수동조작 메카니즘식의 유체압 공급기구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의 수, 배치, 구조에 대해서는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Claims (12)

  1. 제 1 개폐밸브를 갖는 암형 조인트와, 제 2 개폐밸브를 갖는 숫형 조인트를 구비하며, 제 1, 제 2 부재 내의 제 1, 제 2 유체통로를 접속·분리할 수 있는 커플링 장치로서,
    상기 암형 조인트는, 제 1 부재에 형성된 제 1 부착구멍에 장착되고 또한 선단부분에 제 1 밸브시트를 갖는 제 1 밸브 케이스와, 상기 제 1 밸브 케이스의 내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선단부분에 제 1 밸브시트에 내측으로부터 맞닿는 제 1 밸브부를 갖는 제 1 밸브체와, 상기 제 1 밸브체를 폐쇄밸브측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숫형 조인트는, 제 2 부재에 형성된 제 2 부착구멍에 장착되고 또한 선단부분에 제 2 밸브시트를 갖는 제 2 밸브 케이스와, 상기 제 2 밸브 케이스의 내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선단부분에 제 2 밸브시트에 외측으로부터 맞닿는 제 2 밸브부를 갖는 제 2 밸브체와, 상기 제 2 밸브체를 폐쇄밸브측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부재의 표면과 암형 조인트의 제 1 밸브 케이스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부재의 표면과 숫형 조인트의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에서, 제 1, 제 2 밸브체를 개방밸브측으로 구동하는 밸브체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제 2 부재의 일방이 금형 또는 금형에 고정된 조인트 부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제 2 부재의 타방이, 금형을 고정하는 성형기의 클램프 플레이트로서, 자기흡착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마그넷이 조립되고 또한 자기흡착력이 발생하는 작동상태와 자기흡착력이 발생하지 않는 비작동상태로 택일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클램프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2. 제 1 개폐밸브를 갖는 암형 조인트와, 제 2 개폐밸브를 갖는 숫형 조인트를 구비하며, 제 1, 제 2 부재 내의 제 1, 제 2 유체통로를 접속·분리할 수 있는 커플링 장치로서,
    상기 암형 조인트는, 제 1 부재에 형성된 제 1 부착구멍에 장착되고 또한 선단부분에 제 1 밸브시트를 갖는 제 1 밸브 케이스와, 상기 제 1 밸브 케이스의 내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선단부분에 제 1 밸브시트에 내측으로부터 맞닿는 제 1 밸브부를 갖는 제 1 밸브체와, 상기 제 1 밸브체를 폐쇄밸브측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숫형 조인트는, 제 2 부재에 형성된 제 2 부착구멍에 장착되고 또한 선단부분에 제 2 밸브시트를 갖는 제 2 밸브 케이스와, 상기 제 2 밸브 케이스의 내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선단부분에 제 2 밸브시트에 외측으로부터 맞닿는 제 2 밸브부를 갖는 제 2 밸브체와, 상기 제 2 밸브체를 폐쇄밸브측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부재의 표면과 암형 조인트의 제 1 밸브 케이스의 선단면이 실질 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부재의 표면과 숫형 조인트의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에서, 제 1, 제 2 밸브체를 개방밸브측으로 구동하는 밸브체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제 2 부재의 일방이 금형 또는 금형에 고정된 제 1 조인트 부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제 2 부재의 타방이, 금형을 고정하는 성형기의 클램프 플레이트에 고정된 제 2 조인트 부착부재로서, 자기흡착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마그넷이 조립되고 또한 자기흡착력이 발생하는 작동상태와 자기흡착력이 발생하지 않는 비작동상태로 택일적으로 전환이 가능한 클램프 플레이트에 고정된 제 2 조인트 부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3. 제 1 개폐밸브를 갖는 암형 조인트와, 제 2 개폐밸브를 갖는 숫형 조인트를 구비하며, 제 1, 제 2 부재 내의 제 1, 제 2 유체통로를 접속·분리할 수 있는 커플링 장치로서,
    상기 암형 조인트는, 제 1 부재에 형성된 제 1 부착구멍에 장착되고 또한 선단부분에 제 1 밸브시트를 갖는 제 1 밸브 케이스와, 상기 제 1 밸브 케이스의 내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선단부분에 제 1 밸브시트에 내측으로부터 맞닿는 제 1 밸브부를 갖는 제 1 밸브체와, 상기 제 1 밸브체를 폐쇄밸브측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숫형 조인트는, 제 2 부재에 형성된 제 2 부착구멍에 장착되고 또한 선 단부분에 제 2 밸브시트를 갖는 제 2 밸브 케이스와, 상기 제 2 밸브 케이스의 내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선단부분에 제 2 밸브시트에 외측으로부터 맞닿는 제 2 밸브부를 갖는 제 2 밸브체와, 상기 제 2 밸브체를 폐쇄밸브측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부재의 표면과 암형 조인트의 제 1 밸브 케이스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부재의 표면과 숫형 조인트의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에서, 제 1, 제 2 밸브체를 개방밸브측으로 구동하는 밸브체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제 2 부재의 일방이 금형 또는 금형에 고정된 조인트 부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제 2 부재의 타방이, 성형기의 금형 고정용 플래튼으로서, 자기흡착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마그넷이 조립되고 또한 자기흡착력이 발생하는 작동상태와 자기흡착력이 발생하지 않는 비작동상태로 택일적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 플래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4. 제 1 개폐밸브를 갖는 암형 조인트와, 제 2 개폐밸브를 갖는 숫형 조인트를 구비하며, 제 1, 제 2 부재 내의 제 1, 제 2 유체통로를 접속·분리할 수 있는 커플링 장치로서,
    상기 암형 조인트는, 제 1 부재에 형성된 제 1 부착구멍에 장착되고 또한 선단부분에 제 1 밸브시트를 갖는 제 1 밸브 케이스와, 상기 제 1 밸브 케이스의 내 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선단부분에 제 1 밸브시트에 내측으로부터 맞닿는 제 1 밸브부를 갖는 제 1 밸브체와, 상기 제 1 밸브체를 폐쇄밸브측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숫형 조인트는, 제 2 부재에 형성된 제 2 부착구멍에 장착되고 또한 선단부분에 제 2 밸브시트를 갖는 제 2 밸브 케이스와, 상기 제 2 밸브 케이스의 내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선단부분에 제 2 밸브시트에 외측으로부터 맞닿는 제 2 밸브부를 갖는 제 2 밸브체와, 상기 제 2 밸브체를 폐쇄밸브측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부재의 표면과 암형 조인트의 제 1 밸브 케이스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부재의 표면과 숫형 조인트의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에서, 제 1, 제 2 밸브체를 개방밸브측으로 구동하는 밸브체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제 2 부재의 일방이 금형 또는 금형에 고정된 제 1 조인트 부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제 2 부재의 타방이, 성형기의 금형 고정용 플래튼에 고정된 제 2 조인트 부착부재로서, 자기흡착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마그넷이 조립되고 또한 자기흡착력이 발생하는 작동상태와 자기흡착력이 발생하지 않는 비작동상태로 택일적으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 플래튼에 고정된 제 2 조인트 부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 구동수단은, 상기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로부터, 숫형 조인트에 있어서 제 2 밸브체만을 제 2 밸브 케이스에 대하여 진출 구동시킴으로써, 제 1, 제 2 밸브체를 개방밸브측으로 구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 구동수단은, 숫형 조인트의 제 2 밸브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피스톤부와, 상기 피스톤부에 유체압을 작용시키는 유체압 작동실과, 상기 유체압 작동실에 유체압을 공급하는 유체압 공급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조인트 및 숫형 조인트를 복수 세트 구비하고,
    상기 유체압 공급수단은, 복수 세트의 암형 조인트 및 숫형 조인트에 공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조인트의 제 1 밸브 케이스가 제 1 부착구멍에 퇴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1 밸브 케이스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제 1 밸브 케이스 가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숫형 조인트의 제 2 밸브 케이스가 제 2 부착구멍에 진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2 밸브 케이스를 퇴입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2 밸브 케이스 가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제 2 밸브 케이스가 접근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유체압 작동실에 유체압이 공급된 경우에, 제 2 밸브 케이스와 제 2 밸브체가 일체적으로 진출 구동되어,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후, 제 2 밸브 케이스에 대하여 제 2 밸브체가 진출 구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숫형 조인트의 제 2 밸브시트가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에 장착된 환형 시일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형 시일부재가 암형 조인트의 제 1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에 맞닿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조인트의 축심과 숫형 조인트의 축심이 설정범위 내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제 1, 제 2 밸브 케이스의 선단부들이 맞닿은 상태로부터, 밸브체 구동수단이, 제 2 밸브체를 진출 구동시킴으로써, 제 1, 제 2 밸브체를 개방밸브측으로 구동하여, 암형 조인트와 숫형 조인트를 접속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기가 횡형 사출성형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장치.
KR1020097027110A 2007-05-30 2007-05-30 커플링 장치 KR1013582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00584 WO2008146335A1 (ja) 2007-05-30 2007-05-30 カップリ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163A true KR20100027163A (ko) 2010-03-10
KR101358284B1 KR101358284B1 (ko) 2014-02-06

Family

ID=4007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7110A KR101358284B1 (ko) 2007-05-30 2007-05-30 커플링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43837B2 (ko)
EP (1) EP2151309A4 (ko)
JP (1) JP4864137B2 (ko)
KR (1) KR101358284B1 (ko)
CN (1) CN101678585B (ko)
TW (1) TWI388756B (ko)
WO (1) WO20081463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0293B2 (ja) * 2011-01-31 2015-04-30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成形機
US9016314B2 (en) 2012-05-25 2015-04-28 Asatek Danmark A/S Fluid connector for a cooling system
US20130312846A1 (en) * 2012-05-25 2013-11-28 André Sloth Eriksen Fluid connector for a cooling system
CA2948936C (en) * 2014-05-12 2022-05-03 Alfa Gomma S.P.A. Quick coupling engageable under pressure
CN104089127B (zh) * 2014-06-30 2015-12-30 永济新时速电机电器有限责任公司 双关闭快速接头
JP6567916B2 (ja) * 2015-07-16 2019-08-28 株式会社コスメック カップリング装置
CN105465519B (zh) * 2015-08-25 2018-04-24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插头连接器及使用该插头连接器的流体连接器组件
CN105484675A (zh) * 2016-01-21 2016-04-13 重庆前卫海洋石油工程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深水多回路垂直连接终端
US11387029B2 (en) 2018-09-12 2022-07-12 LuxNour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transferring plurality of micro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US10984937B2 (en) * 2018-09-12 2021-04-20 LuxNour Technologies Inc. Electromagnetic tool for transferring micro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FR3096430B1 (fr) * 2019-05-20 2021-06-04 Staubli Sa Ets Élément femelle de raccord fluidique, sous-ensemble de raccordement et raccord comprenant un tel élément femelle
DE102020127608A1 (de) 2020-10-20 2022-04-21 Wto Vermögensverwaltung Gmbh Kupplungsvorrichtung zur lösbaren Herstellung einer hydraulischen Verbindung
CN112848097B (zh) * 2020-12-21 2022-11-25 青岛佳友模具科技有限公司 一种注塑管生产用注塑模具
CN113017538A (zh) * 2020-12-31 2021-06-25 西安申兆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内窥镜用连接组件及内窥镜
IT202100023798A1 (it) * 2021-09-15 2023-03-15 Tecnomec Srl Dispositivo di raccordo ad innesto rapido per impianti di stampaggio di materiali compositi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22311D0 (en) * 1986-09-16 1986-10-22 Nat Supply Co Uk Ltd Wellhead connection of hydraulic control lines
GB8625778D0 (en) * 1986-10-28 1986-12-03 Knackstedt J S Connector
JPS63116829A (ja) * 1986-11-05 1988-05-21 Meiki Co Ltd 射出成形方法
US4809747A (en) * 1987-07-31 1989-03-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Quick disconnect device
EP0365189B1 (en) * 1988-10-21 1995-06-14 Kabushiki Kaisha Kosmek Quick-acting coupling
US5016671A (en) * 1990-03-12 1991-05-21 Barwise Robert D Hydraulic coupling
JP3087085B2 (ja) * 1991-08-02 2000-09-11 株式会社コスメック 金型温度調節用液路の接続装置
JPH0519930U (ja) * 1991-08-29 1993-03-12 日本電子機器株式会社 高温度センサ
JPH0619930A (ja) 1992-06-29 1994-01-28 Omron Corp オーダエントリシステム
US5462084A (en) * 1994-03-01 1995-10-31 Kabushiki Kaisha Kosmek Quick-acting coupling
DE4439890C2 (de) * 1994-11-08 1998-07-02 Lucas Ind Plc Ventilanordnung
JP2000346266A (ja) 1999-06-03 2000-12-15 Pascal Kk カップリング装置
JP3898565B2 (ja) * 2002-05-15 2007-03-28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磁気吸着保持装置
DE10317340A1 (de) * 2003-04-15 2004-11-04 Ssa System-Spann Ag Hochdruckkupplung für die Mediendurchführung an Schnellwechselsystemen
US7871255B2 (en) * 2006-04-28 2011-01-18 Pascal Engineering Corporation Injection molding machine
WO2008105042A1 (ja) * 2007-02-23 2008-09-04 Pascal Engineering Corporation 金型固定システム
WO2008105041A1 (ja) * 2007-02-23 2008-09-04 Pascal Engineering Corporation 磁力式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51309A1 (en) 2010-02-10
WO2008146335A1 (ja) 2008-12-04
EP2151309A4 (en) 2012-02-01
CN101678585B (zh) 2012-12-05
JPWO2008146335A1 (ja) 2010-08-12
US20100096032A1 (en) 2010-04-22
KR101358284B1 (ko) 2014-02-06
CN101678585A (zh) 2010-03-24
TWI388756B (zh) 2013-03-11
US8443837B2 (en) 2013-05-21
JP4864137B2 (ja) 2012-02-01
TW200900619A (en) 2009-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284B1 (ko) 커플링 장치
KR101278883B1 (ko) 사출성형기
KR101083525B1 (ko) 클램프 장치
US7841059B2 (en) Mold attaching/detaching apparatus and mold attaching/detaching method
RU2008137835A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зажимным патроном для разьемной фиксации приспособления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рабатываемого изделия
KR20080063266A (ko) 스윙식 클램프 장치
KR102175508B1 (ko) 클램프 장치
KR100951085B1 (ko) 위치결정 클램프 장치
KR20150135257A (ko) 공구 교환 장치용의 마스터 장치
KR102282818B1 (ko) 파지 장치
JP2005246634A (ja) 射出成形機の金型固定装置
JP2009160644A (ja) ダイカストマシン
JP6716081B2 (ja) リンク式クランプ装置
JP2008155266A (ja) 金型構造
JP4221562B2 (ja) 成形用金型
EP2514577A1 (en) Ball lock clamp
JP2802787B2 (ja) 流体用急速継手
KR101653913B1 (ko) 배관용 멀티커플러
JPH03210956A (ja) 押出し板クランプ装置
CN219404309U (zh) 一种快换装置
CN112275915A (zh) 游动夹具
JPH0620951Y2 (ja) 流路継手の流体ブロー式清掃装置
JP6759999B2 (ja) 作業機械用スイベルジョイント組付具
JP2000346261A (ja) カップリング装置
JPH023546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