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5552A - 촬상 렌즈,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촬상 렌즈,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25552A KR20100025552A KR1020097027455A KR20097027455A KR20100025552A KR 20100025552 A KR20100025552 A KR 20100025552A KR 1020097027455 A KR1020097027455 A KR 1020097027455A KR 20097027455 A KR20097027455 A KR 20097027455A KR 20100025552 A KR20100025552 A KR 201000255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image
- lens element
- refractive power
- imag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2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6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5499 meniscu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6
- 201000009310 astigmatism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7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6059 cover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60 resin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0071 C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306688 Meridio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03 thalam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hree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at least one element being a compound optical element, e.g. cemented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 높이에 대하여 광학 전체 길이가 짧고 비점 수차 및 그 밖의 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는 웨이퍼 스케일 렌즈 및 가장 상측의 렌즈 요소의 두께가 얇은 광학계를 제공한다. 이러한 광학계는, 가장 물체측에 배치되고,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와, 제1 렌즈의 상측에 배치되고, 물체측에 오목면 형상을 갖는 제2 렌즈와, 제2 렌즈의 상측에 배치된 렌즈 중, 가장 상측에 배치된 렌즈인 제i 렌즈(i≥3)는, 제i 렌즈 평판과, 제i 렌즈 평판의 물체측 면 또는 상측 면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고, 제i 렌즈 평판과는 상이한 굴절률을 갖고,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요소를 포함하고, 0.9>Ymax/Y>0.61(Ymax: 제i 렌즈의 물체측에 배치된 제i-1 렌즈의 상측 면 상에 있어서의 최축외 광속의 주 광선이 통과하는 점의 광축으로부터의 거리, Y: 광학계 및 촬상 소자의 크기로 결정되는 최대 상 높이)를 만족하는 것이다.
촬상 렌즈, 촬상 장치, 휴대 단말기, 렌즈 평판, 개구 조리개, 렌즈 요소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상 렌즈, 및 그것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CCD형 이미지 센서나 CMOS형 이미지 센서 등의 고체 촬상 소자를 사용한 촬상 장치의 촬상 렌즈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대량 생산에 적합한 웨이퍼 스케일의 렌즈를 사용한 광학계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 및 촬상 렌즈를 사용한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형이며 박형인 촬상 장치가,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소형, 박형의 전자 기기인 휴대 단말기에 탑재되도록 되고, 이에 의해 원격지로 음성 정보뿐만 아니라 화상 정보도 서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들 촬상 장치에 사용되는 촬상 소자로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형 이미지 센서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형 이미지 센서 등의 고체 촬상 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들 촬상 소자 상에 피사체상을 형성하기 위한 렌즈는, 저비용화를 위해, 저렴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수지로 형성되는 렌즈가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촬상 장치(이하,「카메라 모듈」이라고도 칭함)에 사용하는 촬상 렌즈로서, 플라스틱 렌즈 3매 구성으로 한 타입, 및 유리 렌즈 1매와 플라스틱 렌즈 2매의 3매 구성의 광학계가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의 광학계의 가일층의 초소형화와 휴대 단말기에 요구되는 양산성을 양립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하나의 렌즈 평판에 다수의 렌즈를 동시에 형성하는 레플리카법(Replica method)을 사용하여 렌즈 및 광학계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서는, 렌즈 평판 상에 회절면과 굴절면을 동시에 형성하여 수차를 보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촬상 렌즈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렌즈 평판 상에 회절면과 굴절면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는데다가, 회절면을 사용함으로써 설계 파장 이외의 파장에서의 회절 효율 저하나, 회절면으로의 입사광의 각도 특성의 나쁨으로부터, 회절면으로 입사하는 광의 각도에는 큰 제약이 가해져, 넓은 화각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광학계에서는 렌즈 요소의 두께는 두껍지 않기는 하지만, 비점 수차가 커지게 되는 것도 문제이다.
또한, 상기 레플리카법에 있어서, 렌즈 평판 상에 UV 경화형 수지를 금형에 의해 고정하고,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UV 경화형 수지를 경화하고, 용이하게 비구면 형상을 갖게 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UV 경화형 수지부의 두께는 0.25(㎜) 이하 정도가 아니면 자외선의 투과가 나빠 UV 경화형 수지가 경화되기 어려운 과제가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23365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렌즈 구성 3매 이상으로, 회절면을 사용하지 않고, 상 높이에 대하여 광학 전체 길이도 짧고, 비점 수차 및 그 밖의 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는 웨이퍼 스케일 렌즈 및 이것을 구비하는 광학계에 있어서, 가장 상측(像側)의 렌즈 요소의 두께가 얇은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 여기서 광학 전체 길이라 함은 가장 물체측의 렌즈의 면으로부터 고체 촬상 소자면까지의 거리인 것이다. 또한, 렌즈라 함은 접합된 렌즈에 있어서는 정(正) 렌즈(정의 굴절률을 갖는 렌즈) 부분과 부(負) 렌즈(부의 굴절률을 갖는 렌즈) 부분의 전체를, 또한 렌즈 평판(요철을 갖지 않고 평평한 면을 갖는 렌즈)을 포함하는 경우는 렌즈 평판 및 렌즈 평판의 표면에 형성된 렌즈 부분 전체를 포함시켜 렌즈라 부른다. 또한,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개별의 렌즈 부분을 렌즈 요소라 부른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은, 하기의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1. 가장 물체측에 배치되고,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와,
상기 제1 렌즈의 상측에 배치되고, 물체측에 오목면 형상을 갖는 제2 렌즈와,
상기 제2 렌즈의 상측에 적어도 1매 이상 배치된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렌즈의 상측에 배치된 렌즈 중, 가장 상측에 배치된 렌즈를 제i 렌즈(i≥3)라 할 때, 상기 제i 렌즈는,
제i 렌즈 평판과,
상기 제i 렌즈 평판의 물체측 면 또는 상측 면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고, 제i 렌즈 평판과는 상이한 굴절률을 갖고, 또한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요소를 포함하고,
또한 이하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Ymax: 제i 렌즈의 물체측에 배치된 제i-1 렌즈의 상측 면 상에 있어서의 최축외 광속(most outer off-axis light flux)의 주 광선이 통과하는 점의 광축으로부터의 거리
Y: 광학계 및 촬상 소자의 크기로 결정되는 최대 상 높이
2. 상기 제i-1 렌즈의 상측 면에 있어서, 최대 상 높이의 주 광선이 통과하는 부분에서는 상측에 볼록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촬상 렌 즈.
3. 이하의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촬상 렌즈.
fs1: 제1 렌즈의 물체측의 렌즈 요소에 있어서의 물체측의 렌즈면의 초점 거리
f: 렌즈계의 초점 거리
4. 제i 렌즈의 상측 면에 형성된 제ib 렌즈 요소의 상측 면은, 최대 상 높이의 주 광선이 통과하는 광축으로부터의 거리(h)에 있어서, 이하의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렌즈.
X: 이하의 수학식 a에 의해 주어지는 비구면 변위량
X0: 이하의 수학식 b에 의해 주어지는 비구면의 회전 2차 곡면 성분 변위량
Y: 광학계에 있어서의 최대 상 높이
Am: 상기 제ib 렌즈 요소에 있어서의 상측 렌즈면의 m차의 비구면 계수
Rib: 상기 제ib 렌즈 요소에 있어서의 상측 렌즈면의 곡률 반경
Kib: 상기 제ib 렌즈 요소에 있어서의 상측 렌즈면의 원뿔 상수
5. 상기 제1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요소와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요소의 접합 렌즈이며, 이하의 수학식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렌즈.
ν1: 제1 렌즈에 있어서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
ν2: 제1 렌즈에 있어서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
6. 상기 제1 렌즈는,
제1 렌즈 평판과,
상기 제1 렌즈 평판의 물체측 면에 형성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f 렌즈 요소와,
상기 제1 렌즈 평판의 상측 면에 형성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1b 렌즈 요소를 구비하고, 이하의 수학식 4a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렌즈.
ν1: 제1 렌즈에 있어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f 렌즈 요소의 아베수
ν2: 제1 렌즈에 있어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1b 렌즈 요소의 아베수
7. 상기 제2 렌즈는 상측에 볼록면을 향한 메니스커스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렌즈.
8. 상기 제2 렌즈는 제2 렌즈 평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 평판의 물체측 면에 형성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f 렌즈 요소와,
상기 제2 렌즈 평판의 상측 면에 형성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2b 렌즈 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렌즈.
9. 상기 제i 렌즈 평판의 물체측 면에 형성된 렌즈 요소의 물체측 면은, 광축 근방에서 물체측에 오목면 형상을 갖는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렌즈.
10. 1매 이상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렌즈.
11. 상기 제1 렌즈로부터 제i 렌즈까지의 렌즈의 각각에 있어서, 각 렌즈 요소와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렌즈 평판을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 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렌즈.
12. 상기 각각의 렌즈 내에 포함되는 렌즈 요소가 UV 경화형 수지 재료를 포함하고, 이하의 수학식 5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렌즈.
ν1: 제1 렌즈에 있어서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 제1 렌즈가 렌즈 평판을 포함하는 경우는, 제1f 렌즈 요소의 아베수
ν2: 제1 렌즈에 있어서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 제1 렌즈가 렌즈 평판을 포함하는 경우는, 제1b 렌즈 요소의 아베수
13. 상기 제i 렌즈에 있어서, i=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렌즈.
14. 상기 렌즈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렌즈 평판의 표면에 광학 기능 박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렌즈.
15. 상기 렌즈 요소는, 상기 렌즈 평판과 접하는 면 이외의 모든 렌즈면이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렌즈.
16. 상기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렌즈와 고체 촬상 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7. 상기 16에 기재된 촬상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수학식 1을 만족함으로써, 제i 렌즈의 물체측에 배치된 제i-1 렌즈의 상측 면 상에 있어서의 최축외 광속이 통과하는 부근의 렌즈면 형상은 광축 상 부근의 면 형상에 비해 큰 곡률을 가져야만 한다. 이 곡면의 면 형상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제ib 렌즈 요소에 있어서 상측 렌즈면의 비구면 새그량이 작아도, 축외 광속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i 렌즈 평판의 물체측과 상측의 양쪽에 렌즈 요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상세하게 주변 광속의 고체 촬상 소자면으로의 입사 각도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있는 바와 같이, 6할 상 높이 부근과, 9할 이상의 부근에서 입사각 특성에 변화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의 단면도.
도 2의 (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고, 도 2의 (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
도 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의 단면도.
도 4의 (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고, 도 4의 (B)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
도 5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의 단면도.
도 6의 (A)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고, 도 6의 (B)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특성도.
도 7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의 단면도.
도 8의 (A)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고, 도 8의 (B)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
도 9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의 단면도.
도 10의 (A)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고, 도 10의 (B)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
도 11은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의 단면도.
도 12의 (A)는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고, 도 12의 (B)는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
도 13은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의 단면도.
도 14의 (A)는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고, 도 14의 (B)는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
도 15는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의 단면도.
도 16의 (A)는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고, 도 16의 (B)는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
도 17은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의 단면도.
도 18의 (A)는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고, 도 18의 (B)는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
도 19는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의 단면도.
도 20의 (A)는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고, 도 20의 (B)는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
도 21은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의 단면도.
도 22의 (A)는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고, 도 22의 (B)는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
도 23은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의 단면도.
도 24의 (A)는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고, 도 24의 (B)는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
도 25는 제13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의 단면도.
도 26의 (A)는 제13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고, 도 26의 (B)는 제13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
도 27은 제14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의 단면도.
도 28의 (A)는 제14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고, 도 28의 (B)는 제14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
도 29는 제15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의 단면도.
도 30의 (A)는 제15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고, 도 30의 (B)는 제15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
도 31은 제16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의 단면도.
도 32의 (A)는 제16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고, 도 32의 (B)는 제16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
[부호의 설명]
110: 제1 렌즈 평판
110a: 개구 조리개
111: 제1f 렌즈 요소
112: 제1b 렌즈 요소
120: 제2 렌즈 평판
121: 제2f 렌즈 요소
122: 제2b 렌즈 요소
S101, S104, S105, S108, S109, S112: 렌즈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서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렌즈 평판의 표면에 형성된 렌즈 부분을 렌즈 요소라 부른다. 또한, 물체측으로부터 세어 L번째의 렌즈인 제L 렌즈가 렌즈 평판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렌즈 평판을 제L 렌즈 평판이라 부르고, 상기 제L 렌즈 평판의 물체측에 배치되는 렌즈 요소를 제Lf 렌즈 요소라 부르고, 상기 제L 렌즈 평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렌즈 요소를 제Lb 렌즈 요소라 부른다. 여기서, L(L=1, 2, 3, 4…)은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렌즈의 번호를 나타낸다. 또한, 이하에서는, 가장 상측의 렌즈를 제i 렌즈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측이라 함은 광이 촬상 렌즈를 통과한 후, 결상하는 측을 가리킨다. 또한, 이하에서, 최대 상 높이라 함은, 고체 촬상 소자(CCD 등)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센서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가장 높은(광축으로부터 이격된) 상 높이, 또는 렌즈 광학만으로 생각하는 경우에는, 렌즈를 통해 결상되는 상의 가장 높은 위치를 가리킨다. 또한, 주 광선이라 함은, 광학계에서 개구 조리개(혹은 물체 공간에서의 입사동)의 중심을 통과하는 광선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가장 물체측」이라 함은 물체에 서로 마주 대하는 측을 가리킨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f 렌즈 요소(111), 개구 조리개(110a), 제1 렌즈 평판(110), 제1b 렌즈 요소(112), 제2f 렌즈 요소(121), 제2 렌즈 평판(120), 제2b 렌즈 요소(122) 및 제3f 렌즈 요소(131), 제3 렌즈 평판(130) 및 제3b 렌즈 요소(132)를 구비하는 렌즈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렌즈에 의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은 더 많은 렌즈를 사용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i개(i≥4)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i 렌즈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렌즈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제2 렌즈와 제i 렌즈 사이의 렌즈는, 어떠한 종류의 렌즈(예를 들어, 접합 렌즈,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 등)를 사용하여도, 또한 렌즈 매수가 4매, 5매가 되어도 요구되는 콤팩트함을 확보할 수 있으면, 매수는 3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f 렌즈 요소(11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볼록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상기 제1b 렌즈 요소(11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f 렌즈 요소(12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b 렌즈 요소(12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f 렌즈 요소(13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의 광축 부근에서는 물체측에 오목면을 향한 부의 굴절력을 갖고, 주변부에서는 물체측에 볼록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Ymax/Y=0.8이며,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1f 렌즈 요소(111), 제1b 렌즈 요소(112), 제2f 렌즈 요소(121), 제2b 렌즈 요소(122), 제3f 렌즈 요소(131), 제3 렌즈 평판(130) 및 제3b 렌즈 요소(132)는 모두 UV 경화형 수지이고, 제1f 렌즈 요소(111)의 아베수(ν1)가 54, 제1b 렌즈 요소(112)의 아베수(ν2)가 29이다. 렌즈면(S101, S104, S105, S108, S109 및 S112)은 비구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의 각 파라미터 값은, 이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서, Sm은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m번째의 면 번호이며, 렌즈 요소, 렌즈 평판의 각 면을 포함하고, 서로 접합하는 면은 양쪽에서 하나로 센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f 렌즈 요소(111)와 제1b 렌즈 요소(112)의 아베수의 차 |ν1-ν2|=25이며, 수학식 5를 만족하고 있다. 제1f 렌즈 요소(111)의 물체측 면의 초점 거리(fs1)와 전체 광학계의 초점 거리(f)의 비 fs1/f=1.04이며, 수학식 2를 만족하고 있다.
도 2의 (A)는 도 1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고, 도 2의 (B)는 도 1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이다. 도 2의 (A)에 나타낸 도면은, 좌측으로부터 구면 수차, 비점 수차, 왜곡 수차를 나타내고 있다. 구면 수차도는, 입사 높이에 따라 초점 위치가 얼만큼 어긋나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1개의 구면 렌즈에서는, 입사 위치가 높을수록 부의 방향으로 어긋난다. 도 2의 (A)에 있어서의 구면 수차도는, 3개의 파장의 광에 대한 어긋남량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종축은 가장 높은 입사 위치를 1로 환산하고 있다. 또한, 비점 수차도는, 시상면과 경선면에 있어서의 초점 위치(근축 상점을 0으로 하여 거기로부터의 어긋남량)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실선이 시상을 나타낸다. 도 2의 (A)에 있어서의 비점 수차도는, 상 높이(IMG HT)에 있어서의 양이 되고 있다. 왜곡 수차도는, 실제의 상 높이의 이상 상 높이로부터의 어긋남을 상 높이로 규격화한 비율로 표시한 것으로, 근축에서의 값을 0%로 하고 있다. 이 수차도는 이하에 있어서의 모든 실시 형태에서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2의 (B)에 있어서의 곡선은, 경향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샘플점을 계산기로 자동 보간한 것이지만, 상 높이 1.6㎜ 부근에서는 본래의 데이터 값과 유리(遊離)한 곡선이 되어 있다. 데이터로서는 샘플점(도트)이 올바르다(이하에 있어서의 모든 실시 형태에서도 마찬가지임). 간단한 구성의 렌즈계이면서, 수학식 1, 2 및 5를 만족함으로써, 광학 전체 길이가 짧고, 도 2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수차 성능을 얻고 또한 가장 상측 면의 수지부의 두께가 얇고, 또한 주변 광속의 고체 촬상 소자면으로의 입사각을 작게 억제하고 있다. 또한, UV 경화형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비용도 낮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데다가, 유리 평판에 렌즈 요소를 성형 후, UV광을 조사함으로써 한번에 대량의 렌즈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레플리카법과의 매칭이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구면 형상은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즉, 면 정점의 접평면으로부터의 광축 방향의 거리(새그량)를 X, 광축으로부터의 높이를 ρ로 하고, R을 근축 곡률 반경, K를 원뿔 상수, Aq(q=4, 6, 8, …, 20)를 제q차의 비구면 계수로 하였을 때,
이며, 따라서, 이하 표 2에서는, 상기 X에 있어서의 Aq의 값을 나타내고, 비구면 형상을 특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장 상측의 렌즈면은, 최대 상 높이의 주 광선의 광축 수직 방향의 높이(h)에 있어서 비구면 새그량
이며, 수학식 3을 만족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f 렌즈 요소(211), 개구 조리개(210a), 제1 렌즈 평판(210), 제1b 렌즈 요소(212), 제2f 렌즈 요소(221), 제2 렌즈 평판(220), 제2b 렌즈 요소(222), 제3f 렌즈 요소(231), 제3 렌즈 평판(230) 및 제3b 렌즈 요소(232)를 구비하는 렌즈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렌즈에 의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은 더 많은 렌즈를 사용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i개(i≥4)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i 렌즈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렌즈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제2 렌즈와 제i 렌즈 사이의 렌즈는, 어떠한 종류의 렌즈(예를 들어, 접합 렌즈,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 등)를 사용하여도, 또한 렌즈 매수가 4매, 5매가 되어도 요구되는 콤팩트함을 확보할 수 있으면, 매수는 3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f 렌즈 요소(21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볼록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고, 제1b 렌즈 요소(21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f 렌즈 요소(22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b 렌즈 요소(22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f 렌즈 요소(23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의 광축 부근에서는 물체측에 오목면을 향한 부의 굴절력을 갖고, 주변부에서는 물체측에 볼록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Ymax/Y=0.82이며,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1f 렌즈 요소(211), 제1b 렌즈 요소(212), 제2f 렌즈 요소(221), 제2b 렌즈 요소(222), 제3f 렌즈 요소(231), 제3f 렌즈 평판(230) 및 제3b 렌즈 요소(232)는 모두 UV 경화형 수지이다. 제1f 렌즈 요소(211)의 아베수(ν1)가 54, 제1b 렌즈 요소(212)의 아베수(ν2)가 29이다. 렌즈면(S201, S204, S205, S208, S209 및 S212)은 비구면 형상을 갖고 있다. 렌즈 평판에 사용되고 있는 유리 재료는 각각 상이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의 각 파라미터 값은, 이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서, Sm은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m번째의 면 번호이며, 렌즈 요소, 렌즈 평판의 각 면을 포함하고, 서로 접합하는 면은 양쪽에서 하나로 센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f 렌즈 요소(211)와 제1b 렌즈 요소(212)의 아베수의 차 |ν1-ν2|=25이며, 수학식 5를 만족하고 있다. 제1f 렌즈 요소(211)의 물체측 면의 초점 거리(fs1)와 전체 광학계의 초점 거리(f)의 비 fs1/f=1.04이며, 수학식 2를 만족하고 있다.
도 4의 (A)는 도 2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다. 도 4의 (B)는 도 2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이다. 간단한 구성의 렌즈계이면서, 수학식 1, 2 및 5를 만족함으로써, 광학 전체 길이가 짧고, 도 4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수차 성능을 갖고 또한 가장 상측 면의 수지부의 두께가 얇고, 또한 주변 광속의 고체 촬상 소자면으로의 입사각을 작게 억제하고 있다. 또한, 수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비용도 낮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이하, 표 4에서는, 상기 비구면 새그량(X)의 식에 있어서의 Aq의 값을 나타내고, 비구면 형상을 특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장 상측의 렌즈면은, 최대 상 높이의 주 광선의 광축 수직 방향의 높이(h)에 있어서 비구면 새그량
이며, 수학식 3을 만족하고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f 렌즈 요소(311), 개구 조리개(310a), 제1 렌즈 평판(310), 제1b 렌즈 요소(312), 제2f 렌즈 요소(321), 제2 렌즈 평판(320), 제2b 렌즈 요소(322), 제3f 렌즈 요소(331), 제3 렌즈 평판(330) 및 제3b 렌즈 요소(332)를 구비하는 렌즈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렌즈에 의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은 더 많은 렌즈를 사용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i개(i≥4)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i 렌즈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렌즈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제2 렌즈와 제i 렌즈 사이의 렌즈는, 어떠한 종류의 렌즈(예를 들어, 접합 렌즈,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 등)를 사용하여도, 또한 렌즈 매수가 4매, 5매가 되어도 요구되는 콤팩트함을 확보할 수 있으면, 매수는 3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f 렌즈 요소(31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볼록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b 렌즈 요소(31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f 렌즈 요소(32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b 렌즈 요소(32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볼록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학식 1의 값은 Ymax/Y=0.64이며,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1f 렌즈 요소(311), 제1b 렌즈 요소(312), 제2f 렌즈 요소(321), 제2b 렌즈 요소(322), 제3f 렌즈 요소(331) 및 제3b 렌즈 요소(332)는 모두 UV 경화형 수지이며, 제1f 렌즈 요소(311)의 아베수(ν1)가 54, 제1b 렌즈 요소(312)의 아베수(ν2)가 29이다. 렌즈면(S301, S304, S305, S308, S309 및 S312)은 비구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의 각 파라미터 값은, 이하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서, Sm은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m번째의 면 번호이며, 렌즈 요소, 렌즈 평판의 각 면을 포함하고, 서로 접합하는 면은 양쪽에서 하나로 센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f 렌즈 요소(311)와 제1b 렌즈 요소(312)의 아베수의 차 |ν1-ν2|=25이며, 수학식 5를 만족하고 있다. 제1f 렌즈 요소(311)의 물체측 면의 초점 거리(fs1)와 전체 광학계의 초점 거리(f)의 비 fs1/f=1.14이며, 수학식 2를 만족하고 있다.
도 6의 (A)는 도 5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다. 도 6의 (B)는 도 5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이다. 간단한 구성의 렌즈계이면서, 수학식 1, 2 및 5를 만족함으로써, 광학 전체 길이가 짧고, 도 6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수차 성능을 얻고 또한 가장 상측 면의 수지부의 두께가 얇고, 또한 주변 광속의 고체 촬상 소자면으로의 입사각을 작게 억제하고 있다. 또한, UV 경화형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비용도 낮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데다가, 유리 평판에 렌즈 요소를 성형 후, UV광을 조사함으로써 한번에 대량의 렌즈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레플리카법과의 매칭이 좋다.
이하, 표 6에서는, 상기 비구면 새그량(X)의 식에 있어서의 Aq의 값을 나타내고, 비구면 형상을 특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장 상측의 렌즈면은, 최대 상 높이의 주 광선의 광축 수직 방향의 높이(h)에 있어서 비구면 새그량
이며, 수학식 3을 만족하고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f 렌즈 요소(411), 개구 조리개(410a), 제1 렌즈 평판(410), 제1b 렌즈 요소(412), 제2f 렌즈 요소(421), 제2 렌즈 평판(420), 제2b 렌즈 요소(422), 제3 렌즈 평판(430), 제3b 렌즈 요소(432), 제4f 렌즈 요소(441), 제4 렌즈 평판(440) 및 제4b 렌즈 요소(442)를 구비하는 렌즈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렌즈에 의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은 더 많은 렌즈를 사용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i개(i≥5)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i 렌즈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4 렌즈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제4 렌즈와 제i 렌즈 사이의 렌즈는, 어떠한 종류의 렌즈(예를 들어, 접합 렌즈,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 등)를 사용하여도, 또한 렌즈 매수가 5매, 6매가 되어도 요구되는 콤팩트함을 확보할 수 있으면, 매수는 4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f 렌즈 요소(41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볼록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b 렌즈 요소(41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f 렌즈 요소(42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b 렌즈 요소(42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볼록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b 렌즈 요소(431)의 상측 면은 상측으로 볼록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f 렌즈 요소(441)의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b 렌즈 요소(442)의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Ymax/Y=0.82이며,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1f 렌즈 요소(411), 개구 조리개(410a), 제1 렌즈 평판(410), 제1b 렌즈 요소(412), 제2f 렌즈 요소(421), 제2 렌즈 평판(420), 제2b 렌즈 요소(422), 제3 렌즈 평판(430), 제3b 렌즈 요소(432), 제4f 렌즈 요소(441), 제4 렌즈 평판(440) 및 제4b 렌즈 요소(442)는 모두 UV 경화형 수지이다. 제1f 렌즈 요소(411)의 아베수(ν1)가 54, 제1b 렌즈 요소(412)의 아베수(ν2)가 29이다. 렌즈면(S401, S404, S405, S408, S411, S412 및 S415)은 비구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의 각 파라미터 값은, 이하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서, Sm은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m번째의 면 번호이며, 렌즈 요소, 렌즈 평판의 각 면을 포함하고, 서로 접합하는 면은 양쪽에서 하나로 센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f 렌즈 요소(411)와 제1b 렌즈 요소(412)의 아베수의 차 |ν1-ν2|=25이며, 수학식 5를 만족하고 있다. 제1f 렌즈 요소(411)의 물체측 면의 초점 거리(fs1)와 전체 광학계의 초점 거리(f)의 비 fs1/f=1.01이며, 수학식 2를 만족하고 있다.
도 8의 (A)는 도 7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다. 도 8의 (B)는 도 7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이다. 간단한 구성의 렌즈계이면서, 수학식 1, 2 및 5를 만족함으로써, 광학 전체 길이가 짧고, 도 8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색 수차 및 비점 수차가 양호한 수차 성능을 갖고 또한 가장 상측 면의 수지부의 두께가 얇고, 또한 주변 광속의 고체 촬상 소자면으로의 입사각을 작게 억제하고 있다. 또한, UV 경화형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비용도 낮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데다가, 유리 평판에 렌즈 요소를 성형 후, UV광을 조사함으로써 한번에 대량의 렌즈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레플리카법과의 매칭이 좋다.
이하, 표 8에서는, 상기 비구면 새그량(X)의 식에 있어서의 Aq의 값을 나타내고, 비구면 형상을 특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장 상측의 렌즈면은, 최대 상 높이의 주 광선의 광축 수직 방향의 높이(h)에 있어서 비구면 새그량
이며, 수학식 3을 만족하고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f 렌즈 요소(511), 개구 조리개(510a), 제1 렌즈 평판(510), 제1b 렌즈 요소(512), 제2 렌즈(520), 제3f 렌즈 요소(531), 제3 렌즈 평판(530) 및 제3ib 렌즈 요소(532)를 구비하는 렌즈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렌즈에 의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은 더 많은 렌즈를 사용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i개(i≥4)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i 렌즈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렌즈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제2 렌즈와 제i 렌즈 사이의 렌즈는, 어떠한 종류의 렌즈(예를 들어, 접합 렌즈,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 등)를 사용하여도, 또한 렌즈 매수가 4매, 5매가 되어도 요구되는 콤팩트함을 확보할 수 있으면, 매수는 3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f 렌즈 요소(51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볼록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1b 렌즈 요소(51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 렌즈(520)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오목하고, 제2 렌즈(520)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볼록하며 제2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Ymax/Y=0.82이며,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또한, 제3f 렌즈 요소(53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광축 부근에서는 물체측으로 오목하며 주변에서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고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또한, 제3b 렌즈 요소(53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의 제1f 렌즈 요소(511), 개구 조리개(510a), 제1 렌즈 평판(510), 제1b 렌즈 요소(512), 제2 렌즈(520), 제3f 렌즈 요소(531), 제3 렌즈 평판(530) 및 제3b 렌즈 요소(532)는 수지 재료이며, 제1f 렌즈 요소(511)의 아베수(ν1)가 54, 제1b 렌즈 요소(512)의 아베수(ν2)가 29이다. 렌즈면(S501, S504, S505, S506, S507 및 S510)은 비구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의 각 파라미터 값은, 이하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서, Sm은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m번째의 면 번호이며, 렌즈 요소, 렌즈 평판의 각 면을 포함하고, 서로 접합하는 면은 양쪽에서 하나로 센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f 렌즈 요소(511)와 제1b 렌즈 요소(512)의 아베수의 차 |ν1-ν2|=25이며, 수학식 5를 만족하고 있다. 제1f 렌즈 요소(511)의 물체측 면의 초점 거리(fs1)와 전체 광학계의 초점 거리(f)의 비 fs1/f=1.04이며, 수학식 1을 만족하고 있다.
도 10의 (A)는 도 9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다. 도 10의 (B)는 도 9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이다. 간단한 구성의 렌즈계이면서, 수학식 1, 2 및 5를 만족함으로써, 광학 전체 길이가 짧고, 도 10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수차 성능을 갖고 또한 가장 상측 면의 수지부의 두께가 얇고, 또한 주변 광속의 고체 촬상 소자면으로의 입사각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재료를 사용하고 있음으로써, 비용도 낮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이하, 표 10에서는, 상기 비구면 새그량(X)의 식에 있어서의 Aq의 값을 나타내고, 비구면 형상을 특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장 상측의 렌즈면은, 최대 상 높이의 주 광선의 광축 수직 방향의 높이(h)에 있어서 비구면 새그량
이며, 수학식 3을 만족하고 있다.
〔제6 실시 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정 렌즈와 부 렌즈가 접합되고, 또한 그 경계에 개구 조리개를 갖는 제1 렌즈(610), 제2 렌즈(620), 제3f 렌즈 요소(631), 제3 렌즈 평판(630) 및 제3b 렌즈 요소(632)를 구비하는 렌즈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렌즈에 의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은 더 많은 렌즈를 사용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i개(i≥4)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i 렌즈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렌즈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제2 렌즈와 제i 렌즈 사이의 렌즈는, 어떠한 종류의 렌즈(예를 들어, 접합 렌즈,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 등)를 사용하여도, 또한 렌즈 매수가 4매, 5매가 되어도 요구되는 콤팩트함을 확보할 수 있으면, 매수는 3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렌즈(610)에 있어서 물체측이 정 렌즈이고, 상측이 부 렌즈이며, 제1 렌즈(610)로서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또한, 제2 렌즈(620)의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고, 제2 렌즈(620)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볼록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f 렌즈 요소(63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광축 부근에서는 물체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고, 주변부에서는 물체측에 볼록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3b 렌즈 요소(63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학식 1의 값은 Ymax/Y=0.818이며,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정 렌즈와 부 렌즈가 접합되고, 또한 그 경계에 개구 조리개를 갖는 제1 렌즈(610) 및 제2 렌즈(620)는 수지 재료이다. 또한, 제3f 렌즈 요소(631), 제3 렌즈 평판(630) 및 제3b 렌즈 요소(632)는 UV 경화형 수지 재료이다. 제1 렌즈(610) 내의 정 렌즈의 아베수(ν1)가 54, 제1 렌즈(610) 내의 부 렌즈의 아베수(ν2)가 29이다. 렌즈면(S601, S604, S605, S606, S607 및 S610)은 비구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의 각 파라미터 값은, 이하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서, Sm은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m번째의 면 번호이며, 렌즈 요소, 렌즈 평판의 각 면을 포함하고, 서로 접합하는 면은 양쪽에서 하나로 센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렌즈(610) 내의 정 렌즈의 아베수(ν1)와, 제1 렌즈(610) 내의 부 렌즈의 아베수(ν2)의 아베수의 차 |ν1-ν2|=25이며, 수학식 4를 만족하고 있다. 제1 렌즈(601) 내의 정 렌즈의 물체측 면의 초점 거리(fsl)와 전체 광학계의 초점 거리(f)의 비 fs1/f=1.03이며, 수학식 2를 만족하고 있다.
도 12의 (A)는 도 11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다. 도 12의 (B)는 도 11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이다. 간단한 구성의 렌즈계이면서, 수학식 1, 2 및 4를 만족함으로써, 광학 전체 길이가 짧고, 도 12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수차 성능을 갖고 또한 가장 상측 면의 수지부의 두께가 얇고, 또한 주변 광속의 고체 촬상 소자면으로의 입사각을 작게 억제하고 있다. 또한, UV 경화형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비용도 낮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데다가, 유리 평판에 렌즈 요소를 성형 후, UV광을 조사함으로써 한번에 대량의 렌즈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레플리카법과의 매칭이 좋다.
이하, 표 12에서는, 상기 비구면 새그량(X)의 식에 있어서의 Aq의 값을 나타내고, 비구면 형상을 특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장 상측의 렌즈면은, 최대 상 높이의 주 광선의 광축 수직 방향의 높이(h)에 있어서 비구면 새그량
이며, 수학식 3을 만족하고 있다.
〔제7 실시 형태〕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 렌즈(710), 제2 렌즈(720), 제3f 렌즈 요소(731), 제3 렌즈 평판(730) 및 제3b 렌즈 요소(732)를 구비하는 렌즈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렌즈에 의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은 더 많은 렌즈를 사용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i개(i≥4)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i 렌즈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렌즈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제2 렌즈와 제i 렌즈 사이의 렌즈는, 어떠한 종류의 렌즈(예를 들어, 접합 렌즈,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 등)를 사용하여도, 또한 렌즈 매수가 4매, 5매가 되어도 요구되는 콤팩트함을 확보할 수 있으면, 매수는 3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렌즈(710)는 물체측 면 상에 개구 조리개를 갖고,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또한, 제2 렌즈(720)는 물체측 면이 물체측으로 오목하고, 상측 면이 상측으로 볼록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f 렌즈 요소(731)의 물체측 면은 광축 부근에서는 물체측으로 오목하고 주변 부근에서는 물체측에 볼록면 형상을 갖고,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또한, 제3b 렌즈 요소(732)의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Ymax/Y=0.78이며,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1 렌즈(710), 제2 렌즈(720), 제3f 렌즈 요소(731), 제3 렌즈 평판(730) 및 제3b 렌즈 요소(732)는 수지 재료이며, 제3 렌즈 평판(730) 및 제3b 렌즈 요소(732)는 UV 경화형 수지이다. 제1 렌즈(710)의 아베수(ν1)가 54, 제2 렌즈(720)의 아베수(ν2)가 29이다. 렌즈면(S701, S702, S703, S704, S705 및 S708)은 비구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의 각 파라미터 값은, 이하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서, Sm은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m번째의 면 번호이며, 렌즈 요소, 렌즈 평판의 각 면을 포함하고, 서로 접합하는 면은 양쪽에서 하나로 센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렌즈(710)의 물체측 면의 초점 거리(fs1)와 전체 광학계의 초점 거리(f)의 비 fs1/f=1.07이며, 수학식 2를 만족하고 있다.
도 14의 (A)는 도 13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다. 도 14의 (B)는 도 13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이다. 간단한 구성의 렌즈계이면서, 수학식 1 및 2를 만족함으로써, 광학 전체 길이가 짧고, 도 14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수차 성능을 갖고 또한 가장 상측 면의 수지부의 두께가 얇고, 또한 주변 광속의 고체 촬상 소자면으로의 입사각을 작게 억제하고 있다. 또한, UV 경화형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비용도 낮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데다가, 유리 평판에 렌즈 요소를 성형 후, UV광을 조사함으로써 한번에 대량의 렌즈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레플리카법과의 매칭이 좋다.
이하, 표 14에서는, 상기 비구면 새그량(X)의 식에 있어서의 Aq의 값을 나타내고, 비구면 형상을 특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장 상측의 렌즈면은, 최대 상 높이의 주 광선의 광축 수직 방향의 높이(h)에 있어서 비구면 새그량
이며, 수학식 3을 만족하고 있다.
〔제8 실시 형태〕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정 렌즈와 부 렌즈가 접합되고, 또한 그 경계에 개구 조리개를 갖는 제1 렌즈(810), 제2 렌즈(820), 제3f 렌즈 요소(831), 제3 렌즈 평판(830) 및 제3b 렌즈 요소(832)를 구비하는 렌즈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렌즈에 의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은 더 많은 렌즈를 사용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i개(i≥4)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i 렌즈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렌즈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제2 렌즈와 제i 렌즈 사이의 렌즈는, 어떠한 종류의 렌즈(예를 들어, 접합 렌즈,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 등)를 사용하여도, 또한 렌즈 매수가 4매, 5매가 되어도 요구되는 콤팩트함을 확보할 수 있으면, 매수는 3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렌즈(810)에 있어서 물체측이 정 렌즈이고, 상측이 부 렌즈이며, 제1 렌즈(810)로서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또한, 제2 렌즈(820)의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고, 제2 렌즈(820)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볼록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f 렌즈 요소(83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광축 부근에서는 물체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고, 주변부에서는 물체측에 볼록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3b 렌즈 요소(83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Ymax/Y=0.67이며,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정 렌즈와 부 렌즈가 접합되고, 또한 그 경계에 개구 조리개를 갖는 제1 렌즈(810) 및 제2 렌즈(820)는 유리이며, 제3f 렌즈 요소(831), 제3 렌즈 평판(830) 및 제3b 렌즈 요소(832)는 수지 재료이다. 제1 렌즈(810) 내의 정 렌즈의 아베수(ν1)가 61.1, 제1 렌즈(910) 내의 부 렌즈의 아베수(ν2)가 25.4이다. 렌즈면(S801, S803, S804, S805, S806 및 S809)은 비구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의 각 파라미터 값은, 이하 표 15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서, Sm은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m번째의 면 번호이며, 렌즈 요소, 렌즈 평판의 각 면을 포함하고, 서로 접합하는 면은 양쪽에서 하나로 센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렌즈(810) 내의 정 렌즈와 부 렌즈의 아베수의 차 |ν1-ν2|=35.7이며, 수학식 4를 만족하고 있다. 제1 렌즈(810) 내의 정 렌즈의 물체측 면의 초점 거리(fs1)와 전체 광학계의 초점 거리(f)의 비 fs1/f=0.98이며, 수학식 2를 만족하고 있다.
도 16의 (A)는 도 15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다. 도 16의 (B)는 도 15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이다. 간단한 구성의 렌즈계이면서, 수학식 1, 2 및 4를 만족함으로써, 광학 전체 길이가 짧고, 도 16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수차 성능도를 갖고 또한 가장 상측 면의 수지부의 두께가 얇고, 또한 주변 광속의 고체 촬상 소자면으로의 입사각을 작게 억제하고 있다. 또한, 제3f 렌즈 요소(831) 및 제3b 렌즈 요소(832)에 UV 경화형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비용도 낮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데다가, 유리 평판에 렌즈 요소를 성형 후, UV광을 조사함으로써 한번에 대량의 렌즈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레플리카법과의 매칭이 좋다.
이하, 표 16에서는, 상기 비구면 새그량(X)의 식에 있어서의 Aq의 값을 나타내고, 비구면 형상을 특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장 상측의 렌즈면은, 최대 상 높이의 주 광선의 광축 수직 방향의 높이(h)에 있어서 비구면 새그량
이며, 수학식 3을 만족하고 있다.
〔제9 실시 형태〕
도 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정 렌즈와 부 렌즈가 접합되고, 또한 그 경계에 개구 조리개(910a)를 갖는 제1 렌즈(910), 제2 렌즈(920), 제3f 렌즈 요소(931), 제3 렌즈 평판(930) 및 제3b 렌즈 요소(932)를 구비하는 렌즈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렌즈에 의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은 더 많은 렌즈를 사용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i개(i≥4)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i 렌즈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렌즈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제2 렌즈와 제i 렌즈 사이의 렌즈는, 어떠한 종류의 렌즈(예를 들어, 접합 렌즈,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 등)를 사용하여도, 또한 렌즈 매수가 4매, 5매가 되어도 요구되는 콤팩트함을 확보할 수 있으면, 매수는 3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렌즈(910)에 있어서 물체측이 정 렌즈이고, 상측이 부 렌즈이며, 제1 렌즈(910)로서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또한, 제2 렌즈(920)의 물체측 면은 물체측에 오목면 형상을 갖는다. 제3f 렌즈 요소(93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광축 부근에서는 물체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고, 주변부에서는 물체측에 볼록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3b 렌즈 요소(93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Ymax/Y=0.802이며,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정 렌즈와 부 렌즈가 접합되고, 또한 그 경계에 개구 조리개를 갖는 제1 렌즈(910) 및 제2 렌즈(920)는 유리이며, 제3f 렌즈 요소(931), 제3 렌즈 평판(930) 및 제3b 렌즈 요소(932)는 수지 재료이다. 제1 렌즈(910) 내의 정 렌즈의 아베수(ν1)가 70.4, 제1 렌즈(910) 내의 부 렌즈의 아베수(ν2)가 61.1이다. 렌즈면(S901, S903, S904, S905, S906 및 S909)은 비구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의 각 파라미터 값은, 이하 표 17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서, Sm은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m번째의 면 번호이며, 렌즈 요소, 렌즈 평판의 각 면을 포함하고, 서로 접합하는 면은 양쪽에서 하나로 센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렌즈(910) 내의 정 렌즈와 부 렌즈의 아베수의 차 |ν1-ν2|=9.3이며, 수학식 4를 만족하고 있다. 제1 렌즈(910) 내의 정 렌즈의 물체측 면의 초점 거리(fs1)와 전체 광학계의 초점 거리(f)의 비 fs1/f=1.02이며, 수학식 2를 만족하고 있다.
도 18의 (A)는 도 17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다. 도 18의 (B)는 도 17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이다. 간단한 구성의 렌즈계이면서, 수학식 1, 2 및 4를 만족함으로써, 광학 전체 길이가 짧고, 도 18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수차 성능을 갖고 또한 가장 상측 면의 수지부의 두께가 얇고, 또한 주변 광속의 고체 촬상 소자면으로의 입사각을 작게 억제하고 있다. 또한, 제3f 렌즈 요소(931) 및 제3b 렌즈 요소(932)에 UV 경화형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비용도 낮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데다가, 유리 평판에 렌즈 요소를 성형 후, UV광을 조사함으로써 한번에 대량의 렌즈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레플리카법과의 매칭이 좋다.
이하, 표 18에서는, 상기 비구면 새그량(X)의 식에 있어서의 Aq의 값을 나타내고, 비구면 형상을 특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장 상측의 렌즈면은, 최대 상 높이의 주 광선의 광축 수직 방향의 높이(h)에 있어서 비구면 새그량
이며, 수학식 3을 만족하고 있다.
〔제10 실시 형태〕
도 19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정 렌즈와 부 렌즈가 접합되고, 또한 그 경계에 개구 조리개(1010a)를 갖는 제1 렌즈(1010), 제2 렌즈(1020), 제3f 렌즈 요소(1031), 제3 렌즈 평판(1030), 제3b 렌즈 요소(1032)를 구비하는 렌즈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렌즈에 의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은 더 많은 렌즈를 사용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i개(i≥4)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i 렌즈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렌즈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제2 렌즈와 제i 렌즈 사이의 렌즈는, 어떠한 종류의 렌즈(예를 들어, 접합 렌즈,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 등)를 사용하여도, 또한 렌즈 매수가 4매, 5매가 되어도 요구되는 콤팩트함을 확보할 수 있으면, 매수는 3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렌즈(1010)에 있어서 물체측이 정 렌즈이고, 상측이 부 렌즈이며, 제1 렌즈(1010)로서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또한, 제2 렌즈(1020)의 물체측 면은 물체측에 오목면 형상을 갖는다. 제3f 렌즈 요소(103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광축 부근에서는 물체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고, 주변부에서는 물체측에 볼록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3b 렌즈 요소(103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Ymax/Y=0.7772이며,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접합된 제1 렌즈(1010) 내의 물체측의 정 렌즈는 유리이다. 접합된 제1 렌즈(1010) 내의 상측의 부 렌즈 및 제2 렌즈(1020)는 수지 재료이다. 제3f 렌즈 요소(1031) 및 제3b 렌즈 요소(1032)는 UV 경화형 수지 재료이다. 제1 렌즈(1010) 내의 정 렌즈의 아베수(ν1)가 70.4, 제1 렌즈(1010) 내의 부 렌즈의 아베수(ν2)가 29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합된 제1 렌즈(1010) 내의 상측의 부 렌즈 및 제2 렌즈(1020)를 수지 재료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유리이어도 된다. 렌즈면(S1001, S1003, S1004, S1005, S1006 및 S1009)은 비구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의 각 파라미터 값은, 이하 표 19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서, Sm은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m번째의 면 번호이며, 렌즈 요소, 렌즈 평판의 각 면을 포함하고, 서로 접합하는 면은 양쪽에서 하나로 센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렌즈(1010) 내의 정 렌즈와 부 렌즈의 아베수의 차 |ν1-ν2|=41.4이며, 수학식 4를 만족하고 있다. 제1 렌즈(1010) 내의 정의 물체측 면의 초점 거리(fs1)와 전체 광학계의 초점 거리(f)의 비 fs1/f=1.05이며, 수학식 2를 만족하고 있다.
도 20의 (A)는 도 19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다. 도 20의 (B)는 도 19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이다. 간단한 구성의 렌즈계이면서, 수학식 1, 2 및 4를 만족함으로써, 광학 전체 길이가 짧고, 도 20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수차 성능을 갖고 또한 가장 상측 면의 수지부의 두께가 얇고, 또한 주변 광속의 고체 촬상 소자면으로의 입사각을 작게 억제하고 있다. 또한, 제3f 렌즈 요소(1031) 및 제3b 렌즈 요소(1032)에 UV 경화형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비용도 낮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데다가, 유리 평판에 렌즈 요소를 성형 후, UV광을 조사함으로써 한번에 대량의 렌즈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레플리카법과의 매칭이 좋다.
이하, 표 20에서는, 상기 비구면 새그량(X)의 식에 있어서의 Aq의 값을 나타내고, 비구면 형상을 특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장 상측의 렌즈면은, 최대 상 높이의 주 광선의 광축 수직 방향의 높이(h)에 있어서 비구면 새그량
이며, 수학식 3을 만족하고 있다.
〔제11 실시 형태〕
도 21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정 렌즈와 부 렌즈가 접합되고, 또한 그 경계에 개구 조리개(1110a)를 갖는 제1 렌즈(1110), 제2 렌즈(1120), 제3f 렌즈 요소(1131), 제3 렌즈 평판(1130), 제3b 렌즈 요소(1132)를 구비하는 렌즈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렌즈에 의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은 더 많은 렌즈를 사용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i개(i≥4)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i 렌즈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렌즈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제2 렌즈와 제i 렌즈 사이의 렌즈는, 어떠한 종류의 렌즈(예를 들어, 접합 렌즈,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 등)를 사용하여도, 또한 렌즈 매수가 4매, 5매가 되어도 요구되는 콤팩트함을 확보할 수 있으면, 매수는 3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렌즈(1110)에 있어서 물체측이 정 렌즈이고, 상측이 부 렌즈이며, 제1 렌즈(1110)로서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또한, 제2 렌즈(1120)의 물체측 면은 물체측에 오목면 형상을 갖는다. 제3f 렌즈 요소(113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광축 부근에서는 물체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고, 주변부에서는 물체측에 볼록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3b 렌즈 요소(113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의 접합된 제1 렌즈(1110) 및 제2 렌즈(1120)는 유리이다. 제3f 렌즈 요소(1131) 및 제3b 렌즈 요소(1132)는 수지 재료이다. 제1 렌즈(1110) 내의 정 렌즈의 아베수(ν1)가 70.4, 제1 렌즈(1110) 내의 부 렌즈의 아베수(ν2)가 25.4이다. 렌즈면(S1101, S1102, S1103, S1104, S1105, S1106 및 S1109)은 비구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의 각 파라미터 값은, 이하 표 2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서, Sm은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m번째의 면 번호이며, 렌즈 요소, 렌즈 평판의 각 면을 포함하고, 서로 접합하는 면은 양쪽에서 하나로 센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렌즈(1110) 내의 정 렌즈와 부 렌즈의 아베수의 차 |ν1-ν2|=45이며, 수학식 4를 만족하고 있다. 제1 렌즈(1110) 내의 정 렌즈의 물체측 면의 초점 거리(fs1)와 전체 광학계의 초점 거리(f)의 비 fs1/f=1.02이며, 수학식 2를 만족하고 있다.
도 22의 (A)는 도 21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다. 도 22의 (B)는 도 21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이다. 간단한 구성의 렌즈계이면서, 수학식 1, 2 및 4를 만족함으로써, 광학 전체 길이가 짧고, 도 22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수차 성능을 갖고 또한 가장 상측 면의 수지부의 두께가 얇고, 또한 주변 광속의 고체 촬상 소자면으로의 입사각을 작게 억제하고 있다. 또한, 제3f 렌즈 요소 및 제3b 렌즈 요소에 UV 경화형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비용도 낮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데다가, 유리 평판에 렌즈 요소를 성형 후, UV광을 조사함으로써 한번에 대량의 렌즈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레플리카법과의 매칭이 좋다.
이하, 표 22에서는, 상기 비구면 새그량(X)의 식에 있어서의 Aq의 값을 나타내고, 비구면 형상을 특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장 상측의 렌즈면은, 최대 상 높이의 주 광선의 광축 수직 방향의 높이(h)에 있어서 비구면 새그량
이며, 수학식 3을 만족하고 있다.
〔제12 실시 형태〕
도 23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f 렌즈 요소(1211), 개구 조리개(1210a), 제1 렌즈 평판(1210), 제1b 렌즈 요소(1212), 제2f 렌즈 요소(1221), 제2 렌즈 평판(1220), 제2b 렌즈 요소(1222), 제3f 렌즈 요소(1231), 제3 렌즈 평판(1230) 및 제3b 렌즈 요소(1232)를 구비하는 렌즈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렌즈에 의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은 더 많은 렌즈를 사용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i개(i≥4)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i 렌즈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렌즈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제2 렌즈와 제i 렌즈 사이의 렌즈는, 어떠한 종류의 렌즈(예를 들어, 접합 렌즈,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 등)를 사용하여도, 또한 렌즈 매수가 4매, 5매가 되어도 요구되는 콤팩트함을 확보할 수 있으면, 매수는 3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f 렌즈 요소(121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볼록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고, 제1b 렌즈 요소(121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f 렌즈 요소(122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고, 제2b 렌즈 요소(122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f 렌즈 요소(123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의 광축 부근에서는 물체측에 오목면을 향한 부의 굴절력을 갖고, 주변부에서는 물체측에 볼록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Ymax/Y=0.816이며,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1f 렌즈 요소(1211), 제1b 렌즈 요소(1212), 제2f 렌즈 요소(1221), 제2b 렌즈 요소(1222), 제3f 렌즈 요소(1231), 제3f 렌즈 평판(1230) 및 제3b 렌즈 요소(1232)는 모두 UV 경화형 수지이며, 제1f 렌즈 요소(1211)의 아베수(ν1)가 54, 제1b 렌즈 요소(1212)의 아베수(ν2)가 33이다. 렌즈면(S1201, S1204, S1205, S1208, S1209 및 S1212)은 비구면 형상을 갖고 있다. 렌즈 평판에 사용되고 있는 유리 재료는 각각 상이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의 각 파라미터 값은, 이하 표 2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서, Sm은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m번째의 면 번호이며, 렌즈 요소, 렌즈 평판의 각 면을 포함하고, 서로 접합하는 면은 양쪽에서 하나로 센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렌즈 요소(1211)와 제1b 렌즈 요소(1212)의 아베수의 차 |ν1-ν2|=21이며, 수학식 5를 만족하고 있다. 제1f 렌즈 요소(1211)의 물체측 면의 초점 거리(fs1)와 전체 광학계의 초점 거리(f)의 비 fs1/f=1.01이며, 수학식 2를 만족하고 있다.
도 24의 (A)는 도 23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다. 도 24의 (B)는 도 23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이다. 간단한 구성의 렌즈계이면서, 수학식 1, 2 및 5를 만족함으로써, 광학 전체 길이가 짧고, 도 24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수차 성능을 갖고 또한 가장 상측 면의 수지부의 두께가 얇고, 또한 주변 광속의 고체 촬상 소자면으로의 입사각을 작게 억제하고 있다. 또한, 수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비용도 낮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이하, 표 24에서는, 상기 비구면 새그량(X)의 식에 있어서의 Aq의 값을 나타내고, 비구면 형상을 특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장 상측의 렌즈면은, 최대 상 높이의 주 광선의 광축 수직 방향의 높이(h)에 있어서 비구면 새그량
이며, 수학식 3을 만족하고 있다.
〔제13 실시 형태〕
도 25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f 렌즈 요소(1311), 개구 조리개(1310a), 제1 렌즈 평판(1310), 제1b 렌즈 요소(1312), 제2f 렌즈 요소(1321), 제2 렌즈 평판(1320), 제2b 렌즈 요소(1322), 제3f 렌즈 요소(1331), 제3 렌즈 평판(1330) 및 제3b 렌즈 요소(1332)를 구비하는 렌즈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렌즈에 의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은 더 많은 렌즈를 사용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i개(i≥4)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i 렌즈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렌즈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제2 렌즈와 제i 렌즈 사이의 렌즈는, 어떠한 종류의 렌즈(예를 들어, 접합 렌즈,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 등)를 사용하여도, 또한 렌즈 매수가 4매, 5매가 되어도 요구되는 콤팩트함을 확보할 수 있으면, 매수는 3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f 렌즈 요소(131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볼록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고, 제1b 렌즈 요소(131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f 렌즈 요소(132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고, 제2b 렌즈 요소(132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f 렌즈 요소(133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의 광축 부근에서는 물체측에 오목면을 향한 부의 굴절력을 갖고, 주변부에서는 물체측에 볼록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Ymax/Y=0.783이며,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1f 렌즈 요소(1311), 제1b 렌즈 요소(1312), 제2f 렌즈 요소(1321), 제2b 렌즈 요소(1322), 제3f 렌즈 요소(1331), 제3f 렌즈 평판(1330) 및 제3b 렌즈 요소(1332)는 모두 UV 경화형 수지이며, 제1f 렌즈 요소(1311)의 아베수(ν1)가 56.3, 제1b 렌즈 요소(1312)의 아베수(ν2)가 30.2이다. 렌즈면(S1301, S1304, S1305, S1308, S1309 및 S1312)은 비구면 형상을 갖고 있다. 렌즈 평판에 사용되고 있는 유리 재료는 각각 상이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의 각 파라미터 값은, 이하 표 25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서, Sm은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m번째의 면 번호이며, 렌즈 요소, 렌즈 평판의 각 면을 포함하고, 서로 접합하는 면은 양쪽에서 하나로 센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f 렌즈 요소(1311)와 제1b 렌즈 요소(1312)의 아베수의 차 |ν1-ν2|=26.1이며, 수학식 5를 만족하고 있다. 제1f 렌즈 요소(1311)의 물체측 면의 초점 거리(fs1)와 전체 광학계의 초점 거리(f)의 비 fs1/f=1.05이며, 수학식 2를 만족하고 있다.
도 26의 (A)는 도 25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다. 도 26의 (B)는 도 25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이다. 간단한 구성의 렌즈계이면서, 수학식 1 및 3을 만족함으로써, 광학 전체 길이가 짧고, 도 26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수차 성능을 갖고 또한 가장 상측 면의 수지부의 두께가 얇고, 또한 주변 광속의 고체 촬상 소자면으로의 입사각을 작게 억제하고 있다. 또한, 수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비용도 낮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이하, 표 26에서는, 상기 비구면 새그량(X)의 식에 있어서의 Aq의 값을 나타내고, 비구면 형상을 특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장 상측의 렌즈면은, 최대 상 높이의 주 광선의 광축 수직 방향의 높이(h)에 있어서 비구면 새그량
이며, 수학식 3을 만족하고 있다.
〔제14 실시 형태〕
도 27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f 렌즈 요소(1411), 개구 조리개(1410a), 제1 렌즈 평판(1410), 제1b 렌즈 요소(1412), 제2f 렌즈 요소(1421), 제2 렌즈 평판(1420), 제2b 렌즈 요소(1422), 제3f 렌즈 요소(1431), 제3 렌즈 평판(1430) 및 제3b 렌즈 요소(1432)를 구비하는 렌즈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렌즈에 의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은 더 많은 렌즈를 사용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i개(i≥4)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i 렌즈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렌즈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제2 렌즈와 제i 렌즈 사이의 렌즈는, 어떠한 종류의 렌즈(예를 들어, 접합 렌즈,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 등)를 사용하여도, 또한 렌즈 매수가 4매, 5매가 되어도 요구되는 콤팩트함을 확보할 수 있으면, 매수는 3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f 렌즈 요소(141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볼록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고, 제1b 렌즈 요소(141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f 렌즈 요소(142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고, 제2b 렌즈 요소(142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f 렌즈 요소(143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의 광축 부근에서는 물체측에 오목면을 향한 부의 굴절력을 갖고, 주변부에서는 물체측에 볼록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Ymax/Y=0.782이며,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1f 렌즈 요소(1411), 제1b 렌즈 요소(1412), 제2f 렌즈 요소(1421), 제2b 렌즈 요소(1422), 제3f 렌즈 요소(1431), 제3f 렌즈 평판(1430) 및 제3b 렌즈 요소(1432)는 모두 UV 경화형 수지이며, 제1f 렌즈 요소(1411)의 아베수(ν1)가 70.4, 제1b 렌즈 요소(1412)의 아베수(ν2)가 61.1이다. 렌즈면(S1401, S1404, S1405, S1408, S1409 및 S1412)은 비구면 형상을 갖고 있다. 렌즈 평판에 사용되고 있는 유리 재료는 각각 상이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의 각 파라미터 값은, 이하 표 27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서, Sm은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m번째의 면 번호이며, 렌즈 요소, 렌즈 평판의 각 면을 포함하고, 서로 접합하는 면은 양쪽에서 하나로 센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f 렌즈 요소(1411)와 제1b 렌즈 요소(1412)의 아베수의 차 |ν1-ν2|=9.3이며, 수학식 4a를 만족하고 있다. 제1f 렌즈 요소(1411)의 물체측 면의 초점 거리(fs1)와 전체 광학계의 초점 거리(f)의 비 fs1/f=1.05이며, 수학식 2를 만족하고 있다.
도 28의 (A)는 도 27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다. 도 28의 (B)는 도 27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이다. 간단한 구성의 렌즈계이면서, 수학식 1 및 4a를 만족함으로써, 광학 전체 길이가 짧고, 도 28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수차 성능을 갖고 또한 가장 상측 면의 수지부의 두께가 얇고, 또한 주변 광속의 고체 촬상 소자면으로의 입사각을 작게 억제하고 있다. 또한, 수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비용도 낮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이하 표 28에서는, 상기 비구면 새그량(X)의 식에 있어서의 Aq의 값을 나타내고, 비구면 형상을 특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장 상측의 렌즈면은, 최대 상 높이의 주 광선의 광축 수직 방향의 높이(h)에 있어서 비구면 새그량
이며, 수학식 3을 만족하고 있다.
〔제15 실시 형태〕
도 29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f 렌즈 요소(1511), 개구 조리개(1510a), 제1 렌즈 평판(1510), 제1b 렌즈 요소(1512), 제2f 렌즈 요소(1521), 제2 렌즈 평판(1520), 제2b 렌즈 요소(1522), 제3f 렌즈 요소(1531), 제3 렌즈 평판(1530), 제3b 렌즈 요소(1532), 제4f 렌즈 요소(1541), 제4 렌즈 평판(1540), 제4b 렌즈 요소(1542) 및 제5 렌즈 평판(1550)을 구비하는 렌즈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렌즈에 의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은 더 많은 렌즈를 사용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i개(i≥5)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i 렌즈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4 렌즈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제3 렌즈와 제i 렌즈 사이의 렌즈는, 어떠한 종류의 렌즈(예를 들어, 접합 렌즈,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 등)를 사용하여도, 또한 렌즈 매수가 5매, 6매가 되어도 요구되는 콤팩트함을 확보할 수 있으면, 매수는 4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f 렌즈 요소(151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볼록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고, 제1b 렌즈 요소(151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f 렌즈 요소(152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b 렌즈 요소(152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볼록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f 렌즈 요소(153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볼록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b 렌즈 요소(153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f 렌즈 요소(154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의 광축 부근에서는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한 정의 굴절력을 갖고, 주변부에서는 물체측에 볼록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Ymax/Y=0.716이며,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1f 렌즈 요소(1511), 제1b 렌즈 요소(1512), 제2f 렌즈 요소(1521), 제2b 렌즈 요소(1522), 제3f 렌즈 요소(1531), 제3b 렌즈 요소(1532), 제4f 렌즈 요소(1541), 제4f 렌즈 평판(1540) 및 제4b 렌즈 요소(1542)는 모두 UV 경화형 수지이다. 제1f 렌즈 요소(1511)의 아베수(ν1)가 57, 제1b 렌즈 요소(1512)의 아베수(ν2)가 32이다. 렌즈면(S1501, S1504, S1505, S1508, S1509, S1512, S1513 및 S1516)은 비구면 형상을 갖고 있다. 렌즈 평판에 사용되고 있는 유리 재료는 각각 상이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의 각 파라미터 값은, 이하 표 29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서, Sm은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m번째의 면 번호이며, 렌즈 요소, 렌즈 평판의 각 면을 포함하고, 서로 접합하는 면은 양쪽에서 하나로 센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f 렌즈 요소(1511)와 제1b 렌즈 요소(1512)의 아베수의 차 |ν1-ν2|=25이며, 수학식 4를 만족하고 있다. 제1f 렌즈 요소(211)의 물체측 면의 초점 거리(fs1)와 전체 광학계의 초점 거리(f)의 비 fs1/f=1.17이며, 수학식 2를 만족하고 있다.
도 30의 (A)는 도 29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다. 도 30의 (B)는 도 29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이다. 간단한 구성의 렌즈계이면서, 수학식 1, 2 및 4를 만족함으로써, 광학 전체 길이가 짧고, 도 30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수차 성능을 갖고 또한 가장 상측 면의 수지부의 두께가 얇고, 또한 주변 광속의 고체 촬상 소자면으로의 입사각을 작게 억제하고 있다. 또한, 수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비용도 낮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이하, 표 30에서는, 상기 비구면 새그량(X)의 식에 있어서의 Aq의 값을 나타내고, 비구면 형상을 특정하고 있다.
〔제16 실시 형태〕
도 31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렌즈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f 렌즈 요소(1611), 개구 조리개(1610a), 제1 렌즈 평판(1610), 제1b 렌즈 요소(1612), 제2f 렌즈 요소(1621), 제2 렌즈 평판(1620), 제2b 렌즈 요소(1622), 제3f 렌즈 요소(1631), 제3 렌즈 평판(1630), 제3b 렌즈 요소(1632), 제4f 렌즈 요소(1641), 제4 렌즈 평판(1640), 제4b 렌즈 요소(1642) 및 제5 렌즈 평판(1650)을 구비하는 렌즈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렌즈에 의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은 더 많은 렌즈를 사용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i개(i≥5)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i 렌즈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4 렌즈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제3 렌즈와 제i 렌즈 사이의 렌즈는, 어떠한 종류의 렌즈(예를 들어, 접합 렌즈, 구면 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 등)를 사용하여도, 또한 렌즈 매수가 5매, 6매가 되어도 요구되는 콤팩트함을 확보할 수 있으면, 매수는 4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f 렌즈 요소(161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볼록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고, 제1b 렌즈 요소(161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볼록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f 렌즈 요소(162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2b 렌즈 요소(162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볼록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f 렌즈 요소(163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은 물체측으로 볼록하며 정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3b 렌즈 요소(1632)에 있어서 상측 면은 상측으로 오목하며 부의 굴절력을 갖는다. 제4f 렌즈 요소(1641)에 있어서 물체측 면의 광축 부근에서는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한 정의 굴절력을 갖고, 주변부에서는 물체측에 볼록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Ymax/Y=0.661이며, 수학식 1을 만족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1f 렌즈 요소(1611), 제1b 렌즈 요소(1612), 제2f 렌즈 요소(1621), 제2b 렌즈 요소(1622), 제3f 렌즈 요소(1631), 제3b 렌즈 요소(1632), 제4f 렌즈 요소(1641), 제4f 렌즈 평판(1640) 및 제4b 렌즈 요소(1642)는 모두 UV 경화형 수지이다. 제1f 렌즈 요소(1511)의 아베수(ν1)가 57, 제1b 렌즈 요소(1512)의 아베수(ν2)가 57이다. 렌즈면(S1601, S1604, S1605, S1608, S1609, S1612, S1613 및 S1616)은 비구면 형상을 갖고 있다. 렌즈 평판에 사용되고 있는 유리 재료는 각각 상이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의 각 파라미터 값은, 이하 표 3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서, Sm은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m번째의 면 번호이며, 렌즈 요소, 렌즈 평판의 각 면을 포함하고, 서로 접합하는 면은 양쪽에서 하나로 센다.
도 32의 (A)는 도 31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이다. 도 32의 (B)는 도 31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 특성도이다. 간단한 구성의 렌즈계이면서, 수학식 1을 만족함으로써, 광학 전체 길이가 짧고, 도 32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수차 성능을 갖고 또한 가장 상측 면의 수지부의 두께가 얇고, 또한 주변 광속의 고체 촬상 소자면으로의 입사각을 작게 억제하고 있다. 또한, 수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비용도 낮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이하, 표 32에서는, 상기 비구면 새그량(X)의 식에 있어서의 Aq의 값을 나타내고, 비구면 형상을 특정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fs1, f, fs1/f, 새그량, 상 높이, 새그량/상 높이, ν1-ν2, 아베수의 해당 식 번호를 정리한 표가 이하의 표 33이다.
이상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나타내지만,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촬상 렌즈에 있어서는, i개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가장 상측에 배치된 렌즈를 제i 렌즈에 포함되는 제i 렌즈 평판의 물체측 면, 상측 면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고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요소를 포함하고, 또한 수학식 1을 만족함으로써, 제i 렌즈의 물체측에 배치된 제i-1 렌즈의 상측 면 상에 있어서의 최축외 광속의 통과하는 부근의 렌즈면 형상은 광축 상 부근의 면 형상에 비해 큰 곡률을 가져야만 한다. 이 곡면의 면 형상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제ib 렌즈 요소에 있어서 상측 렌즈면의 비구면 새그량이 작아도, 축외 광속의 고체 촬상 소자로의 입사각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1에 있어서, 하한치, 상한치를 각각 0.4, 0.85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i 렌즈 평판의 물체측과 상측의 양쪽에 렌즈 요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상세하게 주변 광속의 고체 촬상 소자면으로의 입사 각도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있는 바와 같이, 6할 상 높이 부근과, 9할 이상의 부근에서 입사각 특성에 변화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i-1 렌즈의 상측 면에 입사하는 광속은, 상 높이마다 광선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 높이마다의 수차 보정이 행하기 쉽다. 이로 인해 제i-1 렌즈의 상측 면에 있어서, 최대 상 높이의 주 광선이 통과하는 부분에서는 상측에 볼록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화상 주변부에서의 상면 만곡을 양호하게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렌즈의 물체측 면이 물체측에 오목면 형상을 가짐으로써, 비점 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i 렌즈가 렌즈 평판을 가짐으로써, 고체 촬상 소자의 커버 유리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어, 특별한 커버 유리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촬상 렌즈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렌즈 평판의 표면에 적외선 커트 필터 피막을 성막함으로써, 용이하게 적외선 커트 필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센서 커버 유리에 적외선 커트 필터의 기능을 갖게 할 필요가 없고, 렌즈에 포함되는 평판 표면에 적외선 커트 필터를 성막할 수 있어, 간소한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학식 2는, 제1 렌즈 물체측 면의 초점 거리를 규정하는 것이며, 렌즈계의 초점 거리에 대한 제1 렌즈의 초점 거리의 비가 수학식 2의 하한 이하가 되면, 구면 수차ㆍ코마 수차의 보정이 곤란해진다. 한편 수학식 2의 상한치 이상이 되면 광학 전체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수학식 2를 사용함으로써 광학 전체 길이가 짧게 양호한 수차 성능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학식 2에 있어서, 하한치, 상한치를 각각 0.8, 1.2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수학식 2를 만족하고 있는 광학 전체 길이가 짧은 광학계에 있어서 수학식 3의 상한 이상이 되면, 비구면 새그량이 커져 수지부 두께를 두껍게 할 수밖에 없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촬상 렌즈는 수학식 3을 만족함으로써, 비구면 형상을 전사하는 금형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학식 3에 있어서, 상한치를 0.14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학식 4는, 제1 렌즈에 있어서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요소와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요소의 접합 렌즈인 촬상 렌즈에 있어서,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요소와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의 차를 규정하는 것이며, 이 식을 만족함으로써, 수차 성능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요소와 부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요소의 아베수의 차가 수학식 4의 하한 이하가 되면 색 수차의 보정이 곤란해지고, 또한 한편 수학식 4의 상한 이상이 되면 비용이나 양산성이 있는 유리재를 조합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수학식 4에 있어서, 하한치, 상한치를 각각 10, 50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학식 4a는 제1 렌즈가 렌즈 평판을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if 렌즈 요소와 제ib 렌즈 요소의 아베수의 차를 규정하는 것이며, 이 식을 만족함으로써 수차 성능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학식 4a에 있어서, 하한치, 상한치를 각각 15, 45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렌즈를 상측에 볼록면을 향한 메니스커스 렌즈로 함으로써, 제1 렌즈를 출사한 광속이 제2 렌즈의 입사면 및 사출면에 대략 수직으로 입사하게 되어, 상면 만곡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 렌즈는 제2 렌즈 평판을 포함하고, 제2 렌즈 평판의 물체측 면에 형성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f 렌즈 요소와, 제2 렌즈 평판의 상측 면에 형성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2b 렌즈 요소를 구비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 렌즈를 출사한 광속이 제2 렌즈의 입사면 및 사출면에 대략 수직으로 입사하게 되어, 상면 만곡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i 렌즈 평판의 물체측 면에 형성된 렌즈 요소의 물체측 면은, 광축 근방에서 물체측에 오목면 형상을 갖는 비구면으로 함으로써, 촬상 렌즈 전체 시스템의 주점(主點) 위치를 보다 물체측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광학 전체 길이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비구면으로 함으로써, 변곡점을 갖는 형상을 채용할 수 있도록 되기 때문에, 최대 상 높이의 주 광선 통과 위치는 물체측에 볼록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렌즈 평판을 평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판의 성형이 용이하여 비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렌즈 요소를 형성하는 위치를 선택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렌즈 요소에는 수지 재료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 요소에 수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비용도 저렴하게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f 렌즈 요소와 제1b 렌즈 요소에 수지 재료를 사용한 경우, 본 발명의 수학식 5에 있어서의 상한은 또한 선택 가능한 유리재의 종류는 제약을 받고, 수학식 5의 범위에 한정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학식 5의 하한에 있어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f 렌즈 요소와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1b 렌즈 요소의 아베수의 차가 10 이상이면 양호하게 색 수차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5에 있어서, 하한치, 상한치를 각각 10, 35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렌즈 요소에 사용하는 수지 재료는 UV 경화형 수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V 경화형 수지의 경우에는, 유리 평판에 렌즈 요소를 성형 후, UV광을 조사함으로써 한번에 대량의 렌즈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레플리카법과의 매칭이 좋다. 즉, 본 발명에서는, UV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레플리카법을 사용하였을 때에 렌즈 그 자체를 경화할 수 있고, 렌즈는 광이 잘 통과하기 때문에, 조사한 UV광이 수지 전체에 고루 퍼져 원활하게 경화하기 때문에, 레플리카법과의 상성(매칭)이 좋다고 할 수 있다.
UV 경화형 수지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이 수지를 사용한 렌즈 모듈은 리플로우 공정에 견딜 수 있다. 그로 인해, 공정을 대폭 간략화할 수 있어, 대량 생산 및 저렴한 렌즈 모듈에 최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학식 3은 UV 경화형 수지를 사용한 레플리카법에 있어서도 효력을 갖는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학식 이상의 비구면 새그량을 가지면, UV 경화형 수지부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어 자외선의 투과가 나빠져 경화하기 어려워진다.
어느 하나의 렌즈 평판의 표면에 차광성을 갖는 피막을 성막함으로써, 용이하게 개구 조리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종래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에 별도 설치되어 있었던 개구 조리개를, 본 발명에 있어서는 렌즈 평판 표면에 차광성을 갖는 피막을 성막함으로써, 다른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개구 조리개의 기능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터의 에지(두께)가 매우 작아지기 때문에, 에지(필터 단면)에 의한 고스트 발생이 억제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렌즈 평판과 제1f 렌즈 요소 사이, 혹은 가장 물체측 면 상에 개구 조리개를 형성함으로써, 광을 완만하게 구부릴 수 있어, 촬상면에 대하여, 보다 텔레센트릭(주 광축이 광축과 평행해지도록 광이 진행하는 상태)한 광학계를 구체화할 수 있다.
모든 렌즈가 렌즈 평판을 갖는 촬상 렌즈는, 피사체상을 결상시키는 촬상 렌즈부와 고체 촬상 소자를 조합한 유닛을 복수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격자 형상의 스페이서 부재를 통하고, 렌즈 평판끼리를 밀봉하는 공정과, 일체화된 상기 렌즈 평판 및 상기 스페이서 부재를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격자 프레임으로 절단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모든 렌즈가 렌즈 평판을 갖는 촬상 렌즈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렌즈 평판의 표면에 적외선 커트 필터 피막을 성막함으로써, 용이하게 적외선 커트 필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요소의 공기와 면하는 면을 모두 비구면으로 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수차 성능을 갖는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다. 즉, 구면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비구면의 렌즈를 사용한 쪽이 수차를 보정하기 쉽고, 또한 1면으로 수차를 보정하는 것보다도 복수의 면으로 수차를 보정하는 쪽이 용이하기 때문에, 면의 대부분을 비구면으로 한 본 발명에서는 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7)
- 가장 물체측에 배치되고, 정(正)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와,상기 제1 렌즈의 상측(像側)에 배치되고, 물체측에 오목면 형상을 갖는 제2 렌즈와,상기 제2 렌즈의 상측에 적어도 1매 이상 배치된 렌즈를 구비하고,상기 제2 렌즈의 상측에 배치된 렌즈 중, 가장 상측에 배치된 렌즈를 제i 렌즈(i≥3)라 할 때, 상기 제i 렌즈는,제i 렌즈 평판과,상기 제i 렌즈 평판의 물체측 면 또는 상측 면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고, 제i 렌즈 평판과는 상이한 굴절률을 갖고, 또한 정 또는 부(負)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요소를 포함하고,또한 이하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수학식 1>Ymax: 제i 렌즈의 물체측에 배치된 제i-1 렌즈의 상측 면 상에 있어서의 최축외 광속(most outer off-axis light flux)의 주 광선이 통과하는 점의 광축으로부터의 거리Y: 광학계 및 촬상 소자의 크기로 결정되는 최대 상 높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i-1 렌즈의 상측 면에 있어서, 최대 상 높이의 주 광선이 통과하는 부분에서는 상측에 볼록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i 렌즈의 상측 면에 형성된 제ib 렌즈 요소의 상측 면은, 최대 상 높이의 주 광선이 통과하는 광축으로부터의 거리(h)에 있어서, 이하의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수학식 3>X: 이하의 수학식 a에 의해 주어지는 비구면 변위량X0: 이하의 수학식 b에 의해 주어지는 비구면의 회전 2차 곡면 성분 변위량Y: 광학계에 있어서의 최대 상 높이<수학식 a><수학식 b>Am: 상기 제ib 렌즈 요소에 있어서의 상측 렌즈면의 m차의 비구면 계수Rib: 상기 제ib 렌즈 요소에 있어서의 상측 렌즈면의 곡률 반경Kib: 상기 제ib 렌즈 요소에 있어서의 상측 렌즈면의 원뿔 상수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상측에 볼록면을 향한 메니스커스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제2 렌즈 평판을 포함하고,상기 제2 렌즈 평판의 물체측 면에 형성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f 렌즈 요소와,상기 제2 렌즈 평판의 상측 면에 형성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2b 렌즈 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i 렌즈 평판의 물체측 면에 형성된 렌즈 요소의 물체측 면은, 광축 근방에서 물체측에 오목면 형상을 갖는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매 이상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로부터 제i 렌즈까지의 렌즈의 각각에 있어서, 각 렌즈 요소와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렌즈 평판을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i 렌즈에 있어서, i=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렌즈 평판의 표면에 광학 기능 박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요소는, 상기 렌즈 평판과 접하는 면 이외의 모든 렌즈면이 비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렌즈와 고체 촬상 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 제16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7176624 | 2007-07-04 | ||
JPJP-P-2007-176624 | 2007-07-0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5552A true KR20100025552A (ko) | 2010-03-09 |
Family
ID=40226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27455A KR20100025552A (ko) | 2007-07-04 | 2008-06-25 | 촬상 렌즈,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000037B2 (ko) |
EP (1) | EP2163932A4 (ko) |
JP (1) | JPWO2009004966A1 (ko) |
KR (1) | KR20100025552A (ko) |
CN (1) | CN101688968B (ko) |
WO (1) | WO200900496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004966A1 (ja) | 2007-07-04 | 2009-01-08 | Konica Minolta Opto, Inc. |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並びに携帯端末 |
JP5434093B2 (ja) * | 2009-01-27 | 2014-03-05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
US9291506B2 (en) * | 2010-01-27 | 2016-03-22 | Ci Systems Ltd. | Room-temperature filtering for passive infrared imaging |
WO2011105274A1 (ja) * | 2010-02-26 | 2011-09-01 |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
CN102763018B (zh) * | 2010-02-26 | 2015-04-29 | 柯尼卡美能达先进多层薄膜株式会社 | 摄像透镜及摄像装置 |
JP2011197622A (ja) * | 2010-02-26 | 2011-10-06 | Konica Minolta Opto Inc |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
JP5397628B2 (ja) * | 2010-02-26 | 2014-01-22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
US8194334B2 (en) * | 2010-04-09 | 2012-06-05 | Visera Technologies Company Limited | Image capture lens modules and image capture systems |
JP5664172B2 (ja) * | 2010-11-25 | 2015-02-04 | ソニー株式会社 | 光学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
US20120294597A1 (en) * | 2011-05-18 | 2012-11-22 | Gal Shabtay | Dual state assembly, image captur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associated methods |
TWI435138B (zh) | 2011-06-20 | 2014-04-21 | Largan Precision Co | 影像拾取光學系統 |
CN102998775A (zh) * | 2011-09-09 | 2013-03-27 | 杭州精工技研有限公司 | 摄像透镜 |
JP6152972B2 (ja) * | 2012-07-20 | 2017-06-2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インナーフォーカスレンズ系、交換レンズ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 |
US8922913B2 (en) | 2013-05-08 | 2014-12-30 | Omnivision Technologies, Inc. | Five-aspheric-surface wafer-level lens systems having wide viewing angle |
KR102180476B1 (ko) | 2013-12-17 | 2020-11-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촬상 렌즈 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촬상 장치 |
TWI548893B (zh) | 2014-11-12 | 2016-09-1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攝影用光學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
TWI529417B (zh) | 2015-04-15 | 2016-04-1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攝像鏡頭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
TWI553341B (zh) | 2015-08-11 | 2016-10-1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影像擷取鏡片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
JP6783544B2 (ja) * | 2016-04-12 | 2020-11-11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 |
US10393999B2 (en) * | 2016-10-06 | 2019-08-27 | Omnivision Technologies, Inc. | Six-aspheric-surface lens |
US10571654B2 (en) | 2017-01-10 | 2020-02-25 | Omnivision Technologies, Inc. | Four-surface near-infrared wafer-level lens systems |
TWI636279B (zh) | 2017-08-18 | 2018-09-2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影像擷取光學系統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
CN107819986B (zh) * | 2017-10-30 | 2020-11-10 | 合肥恒研智能科技有限公司 | 托架、镜头组件以及移动终端 |
TWI714368B (zh) | 2019-11-27 | 2020-12-2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攝像用光學系統、取像裝置及電子裝置 |
CN112859287B (zh) * | 2019-11-27 | 2022-02-11 |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 摄像用光学系统、取像装置及电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96020A (ko) * | 2002-09-17 | 2007-10-01 | 앤터온 비.브이. | 카메라 디바이스, 카메라 디바이스 제조 방법, 웨이퍼스케일 패키지 및 광학 어셈블리 |
JP4334216B2 (ja) | 2002-12-27 | 2009-09-30 |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 撮影レンズ |
KR20040091292A (ko) * | 2003-04-21 | 2004-10-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수차 보정을 위한 대물렌즈 광학계 및 이를 채용하는 광헤드 |
KR101039026B1 (ko) | 2004-10-12 | 2011-06-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선광원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유닛 |
JP2006126494A (ja) * | 2004-10-28 | 2006-05-18 | Sony Corp | 撮像レンズ |
JP2006301230A (ja) | 2005-04-20 | 2006-11-02 | Opt Design:Kk | 小型レンズ |
KR100665176B1 (ko) | 2005-05-18 | 2007-01-0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웨이퍼 스케일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광학계 |
KR100691267B1 (ko) * | 2005-08-01 | 2007-03-12 | 삼성전기주식회사 | 초소형 카메라 모듈용 렌즈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적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결상 렌즈 |
JP2007047513A (ja) | 2005-08-10 | 2007-02-22 | Hoya Corp |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
JP4955978B2 (ja) * | 2005-10-20 | 2012-06-20 | 株式会社エンプラス | 撮像レンズ |
JP3946245B1 (ja) | 2007-03-08 | 2007-07-18 | マイルストーン株式会社 | 撮像レンズ |
JP3976782B1 (ja) * | 2007-05-17 | 2007-09-19 | マイルストーン株式会社 | 撮像レンズ |
WO2009004966A1 (ja) | 2007-07-04 | 2009-01-08 | Konica Minolta Opto, Inc. |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並びに携帯端末 |
-
2008
- 2008-06-25 WO PCT/JP2008/061558 patent/WO200900496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06-25 CN CN2008800231032A patent/CN10168896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6-25 KR KR1020097027455A patent/KR2010002555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8-06-25 EP EP08765833A patent/EP2163932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8-06-25 JP JP2009521593A patent/JPWO2009004966A1/ja active Pending
- 2008-06-25 US US12/667,262 patent/US800003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163932A4 (en) | 2012-08-29 |
CN101688968A (zh) | 2010-03-31 |
JPWO2009004966A1 (ja) | 2010-08-26 |
US8000037B2 (en) | 2011-08-16 |
US20100188556A1 (en) | 2010-07-29 |
CN101688968B (zh) | 2012-04-25 |
WO2009004966A1 (ja) | 2009-01-08 |
EP2163932A1 (en) | 2010-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25552A (ko) | 촬상 렌즈,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 | |
KR20100025551A (ko) | 촬상 렌즈,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 | |
JP4737776B2 (ja) | 超小型撮像光学系 | |
JP4055599B2 (ja) | 撮像レン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 |
KR20100014801A (ko) | 촬상 렌즈, 촬상 장치, 휴대 단말기, 및 촬상 렌즈의 제조 방법 | |
CN205281005U (zh) | 摄影透镜以及具备摄影透镜的摄影装置 | |
CN111913274B (zh) | 成像光学系统以及摄像装置 | |
KR102077234B1 (ko) | 촬영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 |
JP4844012B2 (ja) | 変倍光学系及び撮像装置 | |
JP2021039237A (ja) | 撮像レンズ | |
KR20130016223A (ko) | 광학 유닛 및 촬상 장치 | |
JP2012203234A (ja) | 撮像光学系、撮像装置およびデジタル機器 | |
JP2007219520A (ja) | 超小型撮像光学系 | |
CN103703402A (zh) | 摄像光学系统、摄像装置以及数字设备 | |
KR20150062803A (ko) |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 |
JP2007212877A (ja) | 単焦点撮像レンズ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 |
KR102109934B1 (ko) | 촬영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 |
US8941930B2 (en) | Imaging lens and imaging device | |
CN113640946B (zh) | 摄像镜头 | |
JP2003131126A (ja) | 広角レンズ | |
KR20040049794A (ko) | 촬상렌즈 | |
CN117083554A (zh) | 长焦镜头、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 |
JP2003241081A (ja) | 全長の短い単焦点レンズ | |
JP5398400B2 (ja) | 撮像レンズ | |
JP2002221657A (ja) | 単焦点レン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