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2252A -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2252A
KR20100022252A KR1020080080832A KR20080080832A KR20100022252A KR 20100022252 A KR20100022252 A KR 20100022252A KR 1020080080832 A KR1020080080832 A KR 1020080080832A KR 20080080832 A KR20080080832 A KR 20080080832A KR 20100022252 A KR20100022252 A KR 20100022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vehicle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un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0021B1 (ko
Inventor
박부식
신대교
정한균
임기택
최종찬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80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021B1/ko
Publication of KR20100022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2001/3894Waterproofing of transmission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통신을 통하여 차량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단거리 무선 통신(DSRC)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수단(OBU) 및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 매설되어 상기 차량 탑재수단과 무선통신을 하는 노변수단(RSU)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노변장치를 도로의 두 진행 방향의 차선에 개별적으로 매설하여 설정된 진행방향으로 운행하는 해당 차량의 차량 탑재장치에만 데이터 송수신이 되도록 함으로써, 수행하지 않아야 할 진행방향의 차량 탑재장치와 노변장치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하면, 차량 탑재장치와 노변장치의 통신 거리를 최소한으로 하여 작은 전력으로 통신이 가능하며, 무충돌 통신이 가능하고, 노변장치의 안테나 각도 및 높이에 대한 튜닝작업이 필요 없으며, 톨게이트에서 ET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변장치의 겐트리(gantery) 설치가 불필요하여 통과차량의 높이 제한이 필요 없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단거리 무선 통신(DSRC), 차량 탑재장치(OBU), 노변장치(RSU)

Description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단거리 무선통신(DSRC) 장치의 차량 탑재장치(OBU)와 노변장치(RSU) 간의 통신 효율을 증대시키는 단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산업자원부 및 전자부품연구원의 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고유번호: 10016623, 과제명: 고속 데이터통신용 시스템 IC 개발].
최근 도로와 차량 등의 하드웨어 중심 기반 시설에 통신, 전자, 제어, 컴퓨팅 기술 등의 소프트웨어 기술을 결합하여 차량 및 기반 교통 시설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동하여 안전하고 쾌적하며 효율적인 교통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교통 네트워크와 정보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합 시스템인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 IT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수단의 하나로 단거리 무선통 신(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 DSRC)이 이용되는데, 5.8 ㎓ 대역에서 채널 당 10 ㎒ 대역을 사용하고, 1.024 Mbps의 통신 속도를 갖으며, ITS의 서비스 요구사항에 따라 통신 셀은 10m 와 100m 를 기본적으로 고려한다.
상기 DSRC를 이용하는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서로 무선통신을 하는 차량 탑재장치(on-board unit, OBU)와 노변장치(road-side unit, RSU)를 구비하며, 차량 탑재장치와 노변장치 사이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차량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서로 반대인 두 진행방향의 차선을 포함하므로, 노변장치에서 전송하는 정보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에만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노변장치의 통신영역을 특정 진행방향의 차선에만 국한시키도록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도로의 두 진행방향 중 어느 하나의 진행방향으로 운행하는 차량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노변장치의 통신영역을 설정하더라도, 노변장치의 통신범위 영역에 포함되는 차량 탑재장치는 통신을 위해 경쟁방식의 채널접근 요청을 상향 채널로 보내기 때문에 접근하는 차량이 증가하는 경우 메시지 충돌로 인한 통신효율이 저하되고, 차량 탑재장치의 수신감도의 차이, 차량과 건물 등에 의한 반사파에 따른 영향 등에 의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지 않아야 할 진행방향의 차량 탑재장치와 노변장치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차량 탑재장치는 오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며, 이러한 오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오히려 운전자에게 혼란을 야기하게 되며, 특히 무선통 신을 통하여 전자결재 서비스가 수행되는 경우 금전적인 손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 탑재장치의 위치가 차량마다 다르기 때문에 모든 차량의 차량 탑재장치의 수신감도가 동일하지 않고, 차량 탑재장치의 수신감도의 변화가 있으므로, 노변장치의 전송전력의 조절을 통한 통신영역의 설계기준을 잡기가 어렵고, 노변장치의 안테나 각도 및 높이에 대한 최적의 튜닝작업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톨게이트에서 ET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노변장치를 겐트리(gantery)에 설치하기 때문에 통과하는 차량의 높이가 제한된다는 불편함도 있어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노변장치를 도로의 두 진행 방향의 차선에 개별적으로 매설하여 설정된 진행방향으로 운행하는 해당 차량의 차량 탑재장치(OBU)에게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탑재장치와 노변장치의 통신 거리를 최소한으로 하여 작은 전력으로 통신이 가능하게 하고, 무충돌(collision-free)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통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통신을 통하여 차량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단거리 무선 통신(DSRC)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수단(OBU) 및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 매설되어 상기 차량 탑재수단과 무선통신을 하는 노변수단(RSU)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통신을 통하여 도로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단거리 무선 통신(DSRC)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두 진행 방향의 차선에 개별적으로 매설되어 차량과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노변 통신수단, 상기 다수개의 노변 통신수단을 원거리 에서 개별 제어하여 해당 차선의 차량과의 무선통신을 하는 노변수단 본체, 상기 차량 내부의 특정 위치에서 상기 노변 통신수단과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보조 통신수단 및 상기 다수개의 보조 통신수단을 개별 제어하여 상기 노변수단 본체와의 무선통신을 하는 차량 탑재수단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제어방법은, 무선통신을 통하여 도로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노변수단 및 차량 탑재수단을 구비한 단거리 무선 통신(DSRC)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변수단과 차량 탑재수단의 최초 통신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최초 통신 감지시 통신범위가 제1 설정 통신범위를 벗어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설정 통신범위를 벗어나면 최후 통신가능 지점까지 제2 설정 통신범위 내에서 통신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하면, 노변장치를 도로의 두 진행 방향의 차선에 개별적으로 매설하여 설정된 진행방향으로 운행하는 해당 차량의 차량 탑재장치에만 데이터 송수신이 되도록 함으로써, 수행하지 않아야 할 진행방향의 차량 탑재장치와 노변장치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하면, 차량 탑재장치와 노변장치의 통신 거리를 최소한으로 하여 작은 전력으로 통신이 가능하며, 무충 돌(collision-free) 통신이 가능하고, 노변장치의 안테나 각도 및 높이에 대한 튜닝작업이 필요 없으며, 톨게이트에서 ET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변장치의 겐트리(gantery) 설치가 불필요하여 통과차량의 높이 제한이 필요 없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최초 및 최후 통신에 의한 통신가능거리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노변장치(200) 및 차량 탑재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노변장치(200)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 매설되어 상기 차량 탑재수단(300)과 무선통신을 하며, 방진, 방습 및 방수의 기능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차량 탑재장치(300)는 차량의 하부 저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타 차량의 통신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노변장치(200)와 차량 탑 재장치(300) 간의 통신 거리 및 범위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함이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에 매설한 상기 노변장치(200)를 지나는 차량은 피타고라스 정의에 의해 통신이 가능한 거리는 (Dcr + Dca)2 = d2 + Lc2 이다. 따라서 상기 노변장치(200)와 차량 탑재장치(300)의 통신 가능 거리는
Figure 112008058921063-PAT00001
이 되고, 통신가능 시간은 ,
Figure 112008058921063-PAT00002
가 된다(여기서, Dcr은 노변장치의 통신범위, Dca는 차량 탑재장치의 통신범위, d는 차량 탑재장치와 노면과의 거리, V는 차량의 주행속도이다).
그러므로, 상기 통신 가능 거리에서 통신속도가 Bc (bit/sec)인 경우에는 노변장치(200)와 차량 탑재장치(300) 간의 송수신시 최대 데이터량은
Figure 112008058921063-PAT00003
[bit]가 되며, 상기 노변장치(200)와 차량 탑재장치(300) 간의 송수신 데이터량이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예를 들어 ETCS 등)에 필요한 데이터량(Bs) 이상의 조건, 즉,
Figure 112008058921063-PAT00004
을 만족한다면 해당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노변장치(200)와 차량 탑재장치(300)의 그 통신거리가 매우 가까 워 적은 전력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즉, 통신 전력은 거리의 제곱에 비례해서 감쇠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가까운 통신거리는 제곱의 비율로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m 거리 반경에 50㎝ 통신 반경을 갖는 차량의 경우, 102 : 0.52 = 100 : 0.25 이므로, 400배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변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노변장치는 제1,2 노변 통신부(210, 220) 및 노변장치 본체(230)를 포함한다.
제1,2 노변 통신부(210, 220)는 두 진행 방향의 차선에 개별적으로 매설되어 차량 탑재장치(300)와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데, 내부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housing, 211), 상기 원거리의 노변장치 본체(23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케이블(212), 상기 하우징(211)에 내장되어 상기 차량 탑재장치(3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안테나(212) 및 상기 하우징(211)에 내장되어 상기 통신안테나(212) 또는 노변장치 본체(2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A/D 변환 또는 D/A 변환하여 출력하는 통신모듈(214)을 포함한다.
물론, 차선 뿐만 아니라 도로의 양 측면에도 상기 제1,2 노변 통신부의 설치가 가능하며, 이때 제1,2 노변 통신부의 통신범위는 한 차선폭을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변장치 본체(230)는 상기 제1,2 노변 통신부(210, 220)를 원거리에서 개별 제어하여 차량 탑재장치(300)와의 무선통신을 한다. 이때 노변장치 본체(230)는 접근하는 해당 차선의 차량 탑재장치에만 데이터 송수신을 허용한다.
한편, 상기 차량 탑재장치(3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보조 통신부(310, 320) 및 차량 탑재장치 본체(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2 보조 통신부(310, 320)는 차량 내부의 특정 위치에서 노변장치의 제1 노변 통신부(210) 또는 제2 노변 통신부(220)와 직접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제1,2 보조 통신부(310, 320)는 각각 차량의 앞(front) 부분과 뒤(rear) 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데, 이는 모든 차량의 차량 탑재장치는 설치되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수신감도가 동일하지 않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차량 탑재장치의 수신감도의 변화가 있기 때문에 상기 제1,2 보조 통신부(310, 320)를 통해 일정한 수신감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통신거리를 확장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2 보조 통신부(310, 320)는 상기 제1,2 노변 통신부(210, 220)와 동일하게 하우징(311), 연결케이블(312), 통신안테나(313) 및 통신모듈(31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케이블(312)은 차량의 앞부분 및 뒤부분에 각각 위치하는 제1,2 보조 통신부(310, 320)와 차량 내부의 특정 위치(차량마다 다른 위치)에 있는 차량 탑재수단 본체(330)를 연결한다.
한편, 상기 차량 탑재수단 본체(330)는 상기 제1,2 보조 통신부(310, 320)를 제어하여 노변장치(200)와 무선통신을 한다. 즉 노변장치와 최초 통신시에는 제1 보조 통신부(310)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제1 보조 통신부(310)의 통신범위를 벗어나는 순간 최후 통신시까지 제2 보조 통신부(320)를 통해 통신이 계속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기술된다.
또한, 상기 제1,2 노변 통신부(210, 220) 및 제1,2 보조 통신부(310, 320)는 방진, 방습 및 방수의 기능을 포함하여 충격, 습기 등의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최초 및 최후 통신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도로(110) 위를 주행하는 차량(100)의 차량 탑재장치(300)가 도로에 매설된 노변장치의 제1 노변 통신부(210) 또는 제2 노변 통신부(220)와 최초 통신시에는 차량 탑재장치 본체(330)는 이를 감지하여 제1 보조 통신부(310)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S100, S200). 이때 최초 통신 감지는 기설정한 통신가능 조건 즉,
Figure 112008058921063-PAT00005
(여기서, Bs는 서비스를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량)을 만족시에만 통신으로 감지한다.
이후, 상기 차량 탑재장치 본체(330)는 상기 제1 통신범위(최초 통신이 이루어지는 노변장치의 통신범위와 차량 탑재장치의 제1 보조 통신부의 통신범위의 합)를 벗어나는가를 판단한다(3200). 이때 상기 차량 탑재장치(330)는 기설정한 신호 세기(데이터 전송 및 수신이 가능한 최소 세기)와 현재 측정한 신호 세기의 비교 등의 인식방법을 통해 통신범위를 벗어나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제1 통신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 보조 통신부(320)를 통해 제2 통신범위(최후 통신가능 지점까지의 노변장치의 통신범위와 차량 탑재장치의 제2 보조 통신부의 통신범위의 합) 내에서 통신이 계속 유지되도록 제어한다(S400). 이때 제1 통신범위에서 제2 통신범위로 변화할 때 통신이 단절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통신수행 중 상기 제2 통신범위를 벗어나는가를 판단하여 벗어나는 경우 노변장치와의 통신 수행을 종료한다(S500, S600).
배경 기술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였듯이, 종래의 기술은 노변장치의 통신범위 영역에 포함되는 차량 탑재장치는 통신을 위해 경쟁방식의 채널접근 요청을 상향 채널로 보내기 때문에 접근하는 차량이 증가하는 경우 메시지 충돌로 인한 통신효율이 저하되고, 차량 탑재장치의 수신감도의 차이, 차량과 건물 등에 의한 반사파에 따른 영향 등에 의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지 않아야 할 진행방향의 차량 탑재장치와 노변장치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통신효율을 향상 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로에 매설한 노변장치(200)와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의 차량 탑재장치(300) 간의 통신영역이 작기 때문에 타 차량의 통신에 방해를 주지 않고, 이로 인해 통신 중 타 차량과의 데이터 충돌 현상이 없는 무충돌 통신이 가능하여 통신 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적 구성을 채택한 순수 알로하(Pure ALOHA) 방식과 슬롯 알로하(Slotted ALOHA) 방식의 통신성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성능에 비해 각각 20%, 40% 정도의 통신 성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최초 및 최후 통신에 의한 통신가능거리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변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재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최초 및 최후 통신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충돌 통신에 의한 통신 효율을 보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차량 110 : 도로
200 : 노변장치 210, 220 : 제1,2 노변 통신부
230 : 노변장치 본체 300 : 차량 탑재장치
310, 320 : 제1,2 보조 통신부 330 : 차량 탑재장치 본체

Claims (16)

  1. 무선통신을 통하여 차량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단거리 무선 통신(DSRC)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수단(OBU) 및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 매설되어 상기 차량 탑재수단과 무선통신을 하는 노변수단(RSU)을 포함하는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수단 및 노변수단은 방진, 방습 및 방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인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수단은 차량의 하부 저면에 위치하는 것인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수단과 노변수단은
    Figure 112008058921063-PAT00006
    (여기서, Dcr은 노변수단의 통신범위, Dca는 차량 탑재수단의 통신범위, d는 차량 탑재수단과 노면과의 거리)의 통신 가능 거리를 갖 는 것인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수단은
    Figure 112008058921063-PAT00007
    (여기서, V는 차량의 주행속도)의 시간 동안 통신을 수행하는 것인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수단과 노변수단은
    송수신시 최대 데이터량은
    Figure 112008058921063-PAT00008
    (여기서, Bc는 통신속도)인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수단과 노변수단은
    Figure 112008058921063-PAT00009
    (여기서, Bs는 서비스를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량)의 조건하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인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8. 무선통신을 통하여 도로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단거리 무선 통신(DSRC)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두 진행 방향의 차선에 개별적으로 매설되어 차량과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노변 통신수단,
    상기 다수개의 노변 통신수단을 원거리에서 개별 제어하여 해당 차선의 차량과의 무선통신을 하는 노변수단 본체,
    상기 차량 내부의 특정 위치에서 상기 노변 통신수단과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보조 통신수단 및
    상기 다수개의 보조 통신수단을 개별 제어하여 상기 노변수단 본체와의 무선통신을 하는 차량 탑재수단 본체를 포함하는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변 통신수단은
    내부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housing),
    상기 원거리의 노변수단 본체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케이블,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보조 통신수단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안테나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통신안테나 또는 노변수단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A/D 또는 D/A 변환하여 출력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통신수단은
    내부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housing),
    상기 차량 탑재수단 본체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케이블,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노변 통신수단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안테나 및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통신안테나 또는 차량 탑재수단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각각 A/D 또는 D/A 변환하여 출력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보조 통신수단은 차량의 하부 저면에 위치하는 것인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12. 무선통신을 통하여 도로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노변수단 및 차량 탑재수단을 구비한 단거리 무선 통신(DSRC)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변수단과 차량 탑재수단의 최초 통신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최초 통신 감지시 통신범위가 제1 설정 통신범위를 벗어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설정 통신범위를 벗어나면 최후 통신가능 지점까지 제2 설정 통신범위 내에서 통신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통신을 감지하는 단계는
    기설정한 통신가능 조건을 만족시에만 통신으로 감지하는 것인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 통신범위는
    최초 통신이 이루어지는 노변수단의 통신범위와 차량 탑재수단의 통신범위의 합인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정 통신범위는
    최후 통신가능 지점까지의 노변수단의 통신범위와 차량 탑재수단의 통신범위의 합인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제어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가능 조건은
    Figure 112008058921063-PAT00010
    (여기서, Bs는 서비스를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량)인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제어방법.
KR1020080080832A 2008-08-19 2008-08-19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960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832A KR100960021B1 (ko) 2008-08-19 2008-08-19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832A KR100960021B1 (ko) 2008-08-19 2008-08-19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252A true KR20100022252A (ko) 2010-03-02
KR100960021B1 KR100960021B1 (ko) 2010-05-28

Family

ID=42174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832A KR100960021B1 (ko) 2008-08-19 2008-08-19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0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4669A (zh) * 2011-03-23 2012-09-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路侧标识站和主备路侧单元切换的方法
KR20170016140A (ko) * 2015-08-03 2017-02-13 한국도로공사 교통정보 시스템 기반 노변기지국 통신성능 관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11354190A (zh) * 2020-03-11 2020-06-30 广西信路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rsu与视频流联合检测车辆的方法与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5378A (zh) * 2016-08-26 2017-01-04 天津七二通信广播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路径识别系统的路侧单元及安全方法
CN107016741A (zh) * 2017-03-10 2017-08-04 北京聚利科技股份有限公司 Etc系统及etc业务认证方法
CN108182576B (zh) * 2018-02-08 2021-08-31 飞天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认证方法及系统
KR102557368B1 (ko) 2022-12-20 2023-07-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무선통신 기반 차량검지정보 수집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443B1 (ko) * 1999-12-18 2006-09-18 주식회사 케이티 단거리전용통신 노변장치 및 탑재장치에서 처리지연이발생할 때의 채널할당 방법
KR100818398B1 (ko) * 2001-05-26 2008-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면상태 및 교통상황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527509B1 (ko) * 2002-10-10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src시스템의 통신방법 및 장치
KR100844714B1 (ko) * 2002-12-26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거리 무선 통신의 셀 플래닝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4669A (zh) * 2011-03-23 2012-09-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路侧标识站和主备路侧单元切换的方法
KR20170016140A (ko) * 2015-08-03 2017-02-13 한국도로공사 교통정보 시스템 기반 노변기지국 통신성능 관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11354190A (zh) * 2020-03-11 2020-06-30 广西信路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rsu与视频流联合检测车辆的方法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021B1 (ko)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021B1 (ko) 단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0917109A2 (en)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featuring antenna arrangement
US20190098470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N105308663B (zh) 用于传递信息的方法和装置
EP2624637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994362B1 (ja) 高度道路交通システムの狭域通信用車載器
WO2018092307A1 (ja) 通信制御装置、料金収受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045204A (ja) 通信処理装置
WO2020253851A1 (zh) 基于磁感通信的车辆控制的装置和方法
CN210405656U (zh) 融合v2x和etc的路侧基站
JP2007200021A (ja) 車両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車両通信方法
CN116176311A (zh) 配置电动车辆的纵向无线充电链的方法及其设备和系统
JP4595984B2 (ja) 車両通信システム
KR102167704B1 (ko) 하이패스용 안테나 시스템
CN112085876B (zh) 一种人员进出管理方法、系统及分体式车载设备
JP2004282591A (ja) 狭域通信用車載端末
JP4708585B2 (ja) 路側無線通信システム
JP5743726B2 (ja) 電波発射源検出センサ及びレーン識別判定方法
JPH08223080A (ja) 車両用通信装置
JPH10107721A (ja) 車載通信機
JP2002042191A (ja) 狭域無線通信システム
JP3968982B2 (ja) 路車間通信アンテナおよび路車間通信システム
KR20010028955A (ko) 원거리 적외선을 이용한 지능형 교통시스템
KR20080095374A (ko) 단거리 무선 전용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지능형 단말기
JP2001043407A (ja) 路側無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