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566A - 피부 퍼밍 및 리프팅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퍼밍 및 리프팅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566A
KR20100021566A KR1020097023800A KR20097023800A KR20100021566A KR 20100021566 A KR20100021566 A KR 20100021566A KR 1020097023800 A KR1020097023800 A KR 1020097023800A KR 20097023800 A KR20097023800 A KR 20097023800A KR 20100021566 A KR20100021566 A KR 20100021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weight
presen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3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6770B1 (ko
Inventor
아미 씨. 짐머만
데보라 에이. 오툴레
Original Assignee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filed Critical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0002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메밀씨 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 해조 추출물, 및 트리펩티드의 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다음 중 하나 이상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감귤추출물,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완두콩 추출물, 오수유 추출물, 및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 프롤린. 이러한 조성물은 피부 견고성을 개선하고, 피부를 리프팅하고, 피부 처짐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고, 그리고 환경적 스트레스와 같은 외부적 및 내부적 원인으로부터 발생하는 노화의 가시적 증상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 방법에 유용하다.
화장품, 피부 퍼밍 조성물, 피부 리프팅 조성물.

Description

피부 퍼밍 및 리프팅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SKIN FIRMING AND LIF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본 발명은 피부 퍼밍 및 리프팅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화장품 과학의 주된 목표는 피부의 외관 및 건강을 개선하는 것이다. 노화의 가시적 증상을 완전하게 막을 수는 없으나, 이런 것들이 극적으로 최소화될 수는 있다. 바람직하지 않은 피부 특성은 주름, 잔주름, 검버섯(age spot), 고르지않은 피부 톤(uneven skin tone), 및 피부의 견고성(firmness) 상실 또는 피부의 처짐(sagging)을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노화된 피부를 나타낸다. 따라서, 많은 화장품 과학은 피부 노화 증상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조장하는 근본적인 조건을 다루는 방법에 초점을 둔다.
피부 노화 증상을 발생시키는 근본적인 조건들은 내부적 원인 또는 외부적 원인으로 특징 될 수 있다. 피부 노화의 내부적 원인은 회피할 수 없으며 유전적으로 결정되는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는 자연적으로 더욱 얇아지고 더욱 건조해지며, 피부의 견고성 유지를 책임지는 콜라겐, 및 피부의 탄력성(elasticity) 유지를 책임지는 엘라스틴을 포함하는 중요한 피부 단백질이 분해되고, 환원되고, 젊은 피부에서처럼 빠르게 대체되지 않는다. 피부 노화의 외부적 원인은 햇빛에 대한 노출, 자외선(UV light), 생활 습관, 예를 들면 흡연, 식단, 운동, 스트레스 수준, 및 수면양 등을 포함한다. 증거에 의하면 상기 노화의 내부적 원인 및 외부적 원인 모두는 누적되는 산화적 손상(oxidative damage)을 유발하는데, 이는 수명 전반에 걸쳐 발생하고 피부를 노화시킨다. 예를 들면, 자외선(UV light)은 피부에서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발생시킨다. 산소 자유 라디칼 또는 ROS는 고 반응성 화학종이며, 이는 지질(lipid), 단백질, 및 핵산의 산화 및 후속하는 기능 손상을 통한 세포 손상의 주요 인자로 알려져 있다. ROS는 과산화수소 (H2O2), 과산화음이온 (O2 -), 및 수산화 라디칼(OH-)과 같은 자유 라디칼을 포함한다. 이러한 분자들은 불안정하고 고 반응성이며, 지질 과산화화(lipid peroxidation)와 같은 화학적 연쇄 반응에 의해 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다. 실제로, 활성 산소는 노화뿐만 아니라 심장 질환 및 암을 포함하는 몇몇 질병을 일으키는 주요 인자로 제시되어 왔다.
자유 라디칼, ROS, 및 RNS는, 피부 내에서 엘라스틴 및 콜라겐을 분해하고, 콜라겐을 생성하는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능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콜라겐은 피부의 주된 단백질이다. 콜라겐[처리-이전 형태(pre-processed form)에서는 프로콜라겐(procollagen)이라 불림]은 세포 내에서 응집되며 삼중 나선 형태(triple helix form)로 서로의 둘레에 감겨진 세 개의 폴리펩티드로 구성되며, 이는 사슬 내 디설파이드(disulfide) 결합에 의해 안정화된다. 나선형 분 자(helical molecule)가 세포 내에 응집되고 변형된 이후, 상기 나선형 분자는 세포외부 매질(extracellular medium)로 분비되고 더욱 변형되어서 성숙된 형태(mature form)[트로포콜라겐(tropocollagen))가 된다. 성숙된 콜라겐 분자는 서로 엇갈린, 평행 형태로 세포 외 공간에서 응집되어 원섬유(fibril)가 되는데, 여기서 상기 분자들은 한 분자의 N-말단과 또 다른 분자의 C-말단 사이의 공유성 가교 결합에 의해 상기 원섬유 패턴 내에서 안정화된다. 콜라겐 원섬유는 피부 내에서 서로 얽히고 가교된다. 이러한 서로 얽히고 가교된 콜라겐 원섬유는 피부에 그 모양 및 견고성(firmness)을 제공한다. 따라서, 콜라겐이 분해되거나 손실되면, 피부는 견고성을 잃고 이완된다. 또 다른 피부 단백질인 엘라스틴은 스프링처럼 감기거나 복원(recoil)되고 피부의 탄력성(elasticity)을 책임진다. 엘라스틴은 통상 사춘기 이후에는 인간 신체에 의해 생성되지 않으며 노화가 시작된다. 그러므로, 피부 처짐(sagging)을 유발하는 탄성(resiliency)의 손실과 같은 피부 노화의 가시적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엘라스틴의 분해 또는 손실을 방지하고 및/또는 엘라스틴 생성을 촉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유 라디칼, ROS, 및 RNS에 의한 산화적 손상으로 인한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손실과 유사하게, 수분 손실 및 염증성 반응(inflammatory response)이 피부 노화에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염증성 반응을 방지하고 수분을 보존하는 피부 능력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감소하며, 이에 따라 피부를 건조 및 주름에 대해 더욱 취약하게 만든다. 피부 내 지질 및 지방은 표피 장벽을 제공함으로써 수분 손실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상기 장벽은, 피부 자극 및 감수성을 일으켜서 증가된 염증 을 유발하고 피부 노화에 기여하는 박테리아의 성장을 방지한다.
피부는 환경, 자유 라디칼, ROS 및 RNS에 의한 손상에 대하여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보호 메커니즘 숙주(host)를 사용한다. 가장 널리 연구된 보호 메커니즘 중 하나는 자유 라디칼 소거물질(free radical scavenger) 시스템이다. 자유 라디칼 소거물질은, 태양 노출 및 오염에 의해 발생된 ROS 및 RNS와 같은 위험 물질을 중화시킴으로써 피부를 보호하는 것을 돕는다. 그러므로, 콜라겐 및 엘라스틴과 같은 중요 피부 단백질의 합성 또는 생성을 촉진하거나 증가시키는 화합물, 또는 이러한 단백질의 손실 또는 분해를 감소시키거나 방지하는 화합물과 함께, 자유 라디칼 소거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를 보습(hydrating)시키고, 피부의 염증을 방지하고, 피부 톤(skin tone)의 평탄(evenness)을 밝게 하거나 또는 증가시켜 그에 의해 외형, 조직, 및 피부 수분을 개선하고 전반적인 피부 건강을 유지시키는데 유용하다.
발명의 개요
한 양상에 있어서, 본 발명은 메밀씨 추출물(Polygonum fagopyrum seed extract), 클로렐라 추출물(Chlorella vulgaris extract),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palmitoyl wheat protein hydrolysate), 해조 추출물(algae extract), 및 트리펩티드(tripeptide)의 유리한 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피부의 견고성을 개선하고, 피부를 리프팅하고, 피부 처짐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고, 그리고 태양 노출 및 또 다른 환경적 스트레스와 같은 외부적 원인 및 내부적 원인으로부터 유래하는 잔주름, 주름, 고르지않은 피부 톤 및 검버섯과 같은 노화의 가시적 증상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데 유용하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해조 추출물은 갈조류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brown algae Sphacelaria scoparia) 추출물, 마이크로알가 난노크로롭시스 오큘라타(microalga Nannochloropsis oculata) 추출물,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트리펩티드는 디펩티드 디아미노부티로일 벤즐리아마이드 디아세테이트, 글루타티온,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체 조성물의 약 0.25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메밀 추출물(Polygonum fagopyrum extract);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클로렐라 추출물;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 전체 조성물의 약 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해조 추출물; 및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트리펩티드의 유리한 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본 발명은 메밀씨 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 해조 추출물, 트리펩티드 및 다음의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감귤추출물(Citrus unshiu peel extract),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추출물(Sphacelaria scoparia extract), 대나무 추출물(Bambusa vulgaris extract), 완두콩 추출물(Pisum sativum (pea) extract), 오수유 추출물(Evodia rutaecarpa fruit extract), 및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 프롤린(팔미토일-1 팔미토일옥시-4 프롤린).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체 조성물의 약 0.25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메밀 추출물;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클로렐라 추출물;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 전체 조성물의 약 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해조 추출물;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트리펩티드를 포함하며, 그리고 존재한다면,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감귤추출물;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추출물;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대나무 추출물; 전체 조성물의 약 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완두콩 추출물(Pisum sativum extract);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오수유 추출물;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 프롤린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본 발명은 메밀씨 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 해조 추출물, 및 트리펩티드의 유리한 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견고성 개선 방법이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해조 추출물은 갈조류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 추출물, 마이크로알가 난노크로롭시스 오큘라타 추출물,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트리펩티드는 디펩티드 디아미노부티로일 벤즐리아마이드 디아세테이트, 글루타티온,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 견고성 개선 방법에 사용될 때, 상기 유리한 결합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감귤추출물,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완두콩 추출물, 오수유 추출물, 및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 프롤린 (팔미토일-1 팔미토일옥시-4 프롤린).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본 발명은 메밀씨 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 해조 추출물, 및 트리펩티드의 유리한 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의 탄력성(elasticity) 또는 탄성(resiliency) 개선 방법이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해조 추출물은 갈조류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 추출물, 마이크로알가 난노크로롭시스 오큘라타 추출물,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트리펩티드는 디펩티드 디아미노부티로일 벤즐리아마이드 디아세테이트, 글루타티온,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의 탄력성 또는 탄성 개선 방법에 사용될 때, 상기 유리한 결합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감귤추출물,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완두콩 추출물, 오수유 추출물, 및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 프롤린 (팔미토일-1 팔미토일옥시-4 프롤린).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주름, 잔주름, 검버섯 또는 기미(dark spot), 피부 변색(skin discoloration), 피부의 처짐, 피부 견고성 상실 및 피부 탄력성 상실과 같은 노화 증상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함으로써 피부 외관을 개선하는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메밀씨 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 해조 추출물, 및 트리펩티드의 유리한 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해조 추출물은 갈조류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 추출물, 마이크로알가 난노크로롭시스 오큘라타 추출물,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트리펩티드는 디펩티드 디아미노부티로일 벤즐리아마이드 디아세테이트, 글루타티온,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사용될 때, 상기 유리한 결합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감귤추출물,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완두콩 추출물, 오수유 추출물, 및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 프롤린 (팔미토일-1 팔미토일옥시-4 프롤린).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실시예 1에 기술된 세포외부 매트릭스 합성 평가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이 본 발명에 개시된 특정 조성물, 방법론, 또는 프로토콜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모든 기술적 그리고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성분 중 둘 이상의 유리한 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메밀씨 추출물, 감귤추출물,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완두콩 추출물, 오수유 추출물,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 프롤린 (팔미토일-1 팔미토일옥시-4 프롤린), 해조 추출 물, 및 트리펩티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메밀씨 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 해조 추출물, 트리펩티드, 및 로즈마리 추출물(rosemary extract)의 유리한 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감귤추출물,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완두콩 추출물, 오수유 추출물, 및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 프롤린 (팔미토일-1 팔미토일옥시-4 프롤린).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의 견고성을 개선하고, 피부를 리프팅하고, 피부 처짐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고, 그리고 태양 노출 및 또 다른 환경적 스트레스와 같은 외부적 원인 및 내부적 원인으로부터 유래하는 잔주름, 주름, 고르지않은 피부 톤 및 검버섯과 같은 노화의 가시적 증상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데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의 견고성, 피부의 탄력성, 및 피부의 외관을 개선시키는 방법뿐만 아니라 주름, 잔주름, 검버섯 또는 기미, 피부 변색, 피부 처짐, 피부 견고성 손실 및 피부 탄력성 손실과 같은 노화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방지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에 유용하다.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유 라디칼, ROS, 및 RNS에 의해 발생하는 손상을 표적으로 하고 이를 완화시킴으로써 기능을 발휘한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를 리프팅하고 그에 따라 햇빛, UV 노출 및 또 다른 환경적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것들과 같은 가시적 노화 증상을 방지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도록 고안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중요한 단백질 및 효소(예를 들면, 콜라겐 및 엘라스틴)와 같은 생체 피부 분자(vital skin molecule)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분 자의 생성 또는 합성을 증가시키거나 촉진하는 피부 내 천연 공정(natural processe)을 촉진시키는 초기 단계 처리(early stage treatments) 만큼 유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능은 콜라겐 합성을 증진시키거나 증가시키고; 리포제네시스(lipogenesis)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고; 아디포사이트(adipocytes)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고; 미소순환(microcirculation)을 개선하고; 콜라게나제(collagenase) 및 엘라스타제(elastase)와 같은 분해 효소(degradative enzyme)를 억제하고; 홍반(erythema), 염증, 및 산화 중 하나 이상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고; 피부 탄력(tightening), 퍼밍(firming), 또는 리프팅(lifting)을 증가시키거나 촉진하며; 피부 처짐을 감소시키거나 완화시키며; 그리고 피부 내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의 합성을 촉진시키거나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메밀 왁스(buckwheat wax) 및/또는 메밀 씨(buckwheat seed)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메밀 왁스는 초임계 CO2 추출법에 의하여 메밀(Polygonum fagopyrum) 낟알로부터 수득 될 수 있다. 메밀 왁스는 피토스테롤(phytosterol), 주로 β-시토스테롤(sitosterol) 및 캄페스테롤(campesterol)이 풍부하다. 특유의 냄새를 갖는 엷은 녹색 왁스인 메밀 왁스는 리포제네시스를 억제하거나 감소시키는데 유용하다. 리포제네시스(lipogenesis)는 글루코스가 지방산으로 전환되는 공정이다. 메밀(buckwheat or Polygonum fagopyrum) 씨 추출물은 관련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추출 방법에 의해 수득 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메밀 왁스, 또는 메밀 씨 추출물은 조성물의 약 0.25 중량% 내지 약 5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메밀 왁스 또는 메밀 씨 추출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 1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메밀 왁스는 Barnet Products Corporation (Englewood Cliff, NJ) 사(社)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하다.
스코파린(Scopariane)과 같은 갈조류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 추출물, 즉 하이드로클리코릭 추출물(hydroglycolic extract)이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의 추출물은 지방산 신타아제(fatty acid synthase, FAS) 및 스테아로일-CoA 디새튜라아제(stearoyl-CoA desaturase, SCD-1)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아디포사이트 분화를 억제한다. 동시에,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의 추출물은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퍼밍(firming)을 돕는다. 스코파린(Scopariane),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의 추출물 (Barnet, Engelwood Cliffs, NJ)은 독특한 냄새를 갖는 벌꿀 색의 수용성 액체이다. 한 실시예에서,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의 추출물, 예를 들면 스코파린(Scopariane)은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를 형성한다. 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의 추출물은 조성물의 약 1-2.5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Barnet Products Corporation (Englewood Cliffs, NJ)사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녹색 마이크로알가 클롤렐라(green microalga Chlorella vulgaris), 예를 들면 더모클로렐라 D(Dermochlorella D)의 수성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클로렐라의 수성 추출물은 단백질의 필수 빌딩 블록인 리신, 프롤린, 글리신, 및 알라닌과 같은 아미노산이 풍부하다. 클로렐라의 추출물은 콜 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콜라게나제를 억제하고, 그리고 엘라스타제를 억제한다. 한 실시예에서, 클로렐라의 수성 추출물은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를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클로렐라의 수성 추출물은 조성물의 약 0.5 중량% 내지 약 2 중량%를 형성한다.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또는 팔미토일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이것은 디팔린 PVB(Deepaline PVB)로서 Seppic (프랑스, Air Liquide의 자회사) 사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하다.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은 밀 바이오단백질(wheat bioprotein)인데, 이는 얼굴에 나타난 주름을 매끄럽게 하는 신속한 기계적 완화 작용, 및 진피 및 표피 세포에 대한 장기간의 재-조밀화(redensifying) 생물 작용을 가지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깊은 선 및 주름을 지속적으로 채워준다. 한 실시예에서,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 또는 조성물의 0.25 중량% 내지 약 2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트리펩티드, 예를 들면, 글루타티온 (2-아미노-5-{[2-[(카르복시메틸)아미노]-1-(머캅토메틸)-2-옥소에틸]아미노}-5-옥소펜타노익 애시드 또는 γ-글루타밀시스테인일글리신)을 포함할 수 있다. 트리펩티드는 펩티드 결합에 의해 결합된 세 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티드를 일컫는다. 한 실시예에서, 트리펩티드는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트리펩티드는 전체 조성물의 약 0.25 중량% 내지 약 5 중량%; 또는 조성물의 약 0.5 중량% 내지 약 2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글루타티온에 추가하여,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는 트리펩티드의 일부 예들은 다음과 같다: 갑상선 자극 호르몬 방출호르몬[TRH(thyrotropin-releasing hormone), 티롤리베린(thyroliberin) 또는 프로티렐린(protirelin)] (L-피로글루타밀-L-히스티딘일-L-프롤린아마이드), 이는 뇌하수체 전엽(anterior pituitary)에 의한 갑상선 자극 호르몬 및 프롤락틴(prolactin)의 방출을 촉진하는 펩티드 호르몬임; 멜라노스타틴(프롤일-루실-글리신아마이드), 이는 시상 하부에서 생성되는 펩티드 호르몬으로서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MSH)의 방출을 억제함; 오프탈민산(L-γ-글루타밀-L-α-아미노부티릴-글리신) 또는 노로프탈민산(γ-글루타밀-알라닐-글리신), 이들은 수정체로부터 분리된 글루타티온의 유사체(analogue)임; 및 아이세닌(eisenin) (pGlu-Gln-Ala-OH), 이는 일본 해양 알가 대황(Japanese marine alga Eisenia bicylis)으로부터 분리되며 면역 활성을 갖는 펩티드임. 일부 트리펩티드는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하다. 예를 들면, Liporeductyl®로 알려진 트리펩티드-1은 독점적인 전문화된 분자인데 이는 글리세린, 히스티딘, 및 리신의 세 가지 아미노산 잔기를 함유하는 합성 펩티드이며, 이는 Lipotech(Barcelona, Spain)사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하다.
Centerchem, Inc. (Norwalk, CT)사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SYN®-AKE (디펩티드 디아미노부티로일 벤질아마이드 디아세테이트)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트리펩티드의 또 다른 예이다. SYN®-AKE는 사원 살모사(Temple Viper)의 독에서 발견되는 신경근육 차단 화합물(neuromuscular blocking compound)인 웨글레 린1(Waglerin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작용한다. 특히, SYN®-AKE는 근육 니코틴 아세틸콜린 수용체(muscular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mnAchR)의 가역적 길항제로서 시납스후막(post-synaptic membrane)에서 작용하는데, 이는 수용체에 아세틸콜린이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수용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근육을 이완상태로 유지시킨다. 한 실시예에서, SYN®-AKE는 조성물의 약 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SYN®-AKE는 전체 조성물의 약 0.25 중량% 내지 약 8 중량%, 또는 전체 조성물의 약 0.5 중량% 내지 약 5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마이크로알가 난노크로롭시스 오큘라타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출물의 한가지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예는 Centerchem, Inc. (Norwalk, CT)사로부터 구입 가능한 PEPHA®-TIGHT이다. 난노크로롭시스 오큘라타 의 추출물은 피부를 덮는 박막(thin film)을 제공하여 즉각적으로 인식가능한 탄력 효과(tightening effect) 및 콜라겐-1의 자극(stimulation)에 기초하는 장기 지속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피부를 견고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한 실시예에서, 난노크로롭시스 오큘라타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약 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난노크로롭시스 오큘라타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약 1 중량% 내지 약 8 중량%, 또는 전체 조성물의 약 2 중량% 내지 약 5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오수유 추출물이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오수유 추출물의 한가지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예는 Barnet Products Corporation (Englewood Cliffs, NJ)사로부터 구입가능한 Evodiox이다. 오수유 추출물의 또 다른 예는 고대 영약인 후-주-유(Wu-Zhu-Yu) [또는 후-츄-유(Wu-Chu-Yu)]인데, 이는 염증을 진정시키고, 통증을 감소시키고, 소화불량 및 궤양을 경감시키고, 상처를 치유하기 위하여 중국에서 수 세대 동안 사용되어 왔다. 오수유 추출물은 프로스태글랜딘(prostaglandins)(PGE-2)의 분비를 억제하고, 홍반(erythema)을 감소시키고, 염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한 실시예에서, 오수유 추출물은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오수유 추출물은 조성물의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 또는 조성물의 약 0.1 중량% 내지 약 2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감귤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감귤(Citrus unshiu)은 또한 사츄마 만다린(Satsuma mandarin) 또는 사츄마 탠저린(Satsuma tangerine)으로 불린다. 한 실시예에서, 감귤 추출물은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감귤 추출물은 조성물의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 또는 조성물의 약 0.1 중량% 내지 약 2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 프롤린(또는 팔미토일-1 팔미토일옥시-4 프롤린)이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Sepalift® DPHP로서 Seppic(프랑스, Air Liquide의 자회사)사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 프롤린은 식물에서 유도된(plant-derived) 물질인데, 이는 콜라겐 섬유의 수축을 조장함으로써 그리고 진피 섬유의 효소 붕괴를 방지함으로써 현존하는 주름을 매끄럽게 하고 새로운 주름의 발생을 방지한다. 이는 또한 얼굴 피부를 보습시키고 회춘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의 견고성을 회복시키다. 한 실시예에서,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 프롤린은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 프롤린은 조성물의 약 0.1 중량% 내지 약 5 중량%; 또는 조성물의 약 0.1 중량% 내지 약 2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대나무(bamboo)의 추출물, 예를 들면 대나무 추출물(Bambusa vulgaris extract)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대나무(Bamboo) 추출물은 효과적인 자유 라디칼 소거물질(free radical scavenger)이며, 콜라겐 합성의 증강을 돕고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의 생성을 촉진하는 것을 돕는다고 알려져 있다. 한 실시예에서, 대나무의 추출물은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대나무의 추출물은 조성물의 약 0.25 중량% 내지 약 5 중량%; 또는 조성물의 약 0.5 중량% 내지 약 2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완두콩(Pisum sativum)의 추출물, 즉 완두콩 추출물(pea extract)을 포함할 수 있다. 완두콩 추출물(Pea extract)은 피부의 천연 방어력을 강화시키고 유해한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자유 라디칼에 대항하여 싸우는 것을 돕는다. 한 실시예에서, 완두콩 추출물은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완두콩 추출물은 조성물의 약 0.25 중량% 내지 약 5 중량%; 또는 조성물의 약 0.5 중량% 내지 약 2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로즈마리(Rosemary 또는 Rosmarinus officinalis) 추출물이 본 발명의 조성 물에 포함될 수 있다. 로즈마리 추출물은 카페인산(caffeic acid) 및 로즈마린산(rosemarinic acid)을 포함하며; 이들 둘 모두는 자유 라디칼에 의해 발생한 손상을 방지하고 감소시키는데 유용한 강력한 항산화제(potent antioxidant) 및 소염제(anti-inflammatory agent)이다. 한 실시예에서, 로즈마리 추출물은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로즈마리 추출물은 조성물의 약 0.25 중량% 내지 약 5 중량%; 또는 조성물의 약 0.5 중량% 내지 약 2 중량%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성분들은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거나 또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추출, 초임계 유체 추출, 물 추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수득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구성성분들을 결합하여서 피부의 건강 및 외관에 관한 즉각적인 그리고 장기간 지속되는 개선을 제공하는데 유용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조제한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도포시 피부에 대하여 즉각적인 퍼밍(firming)/탄력(tightening) 작용을 제공하고, 햇빛 노출, UV 선 및 환경적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변화 및 손실 또는 분해를 방지하고, 콜라겐, 엘라스틴, 및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의 생성 및 합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및/또는 콜라겐, 엘라스틴, 및 GAG의 손실 또는 분해를 감소시킴으로써 견고성(firmness) 및 탄력성(elasticity)을 회복시키는 피부의 천연 능력을 증대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포시 피부에 대하여 즉각적인 퍼밍/탄력 작용을 제공함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햇빛 노출 및 자외선 노출, 환경적 스트레스, 및 본질적인 노화에 의해 발생하는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변화를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음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밀 왁스; 감귤추출물;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오수유 추출물;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 해조 추출물; 디펩티드 디아미노부티로일 벤질아마이드 디아세테이트; 디팔미토일 하이드록실 프롤린; 및 대나무 추출물. 메밀 왁스는 리포제네시스(lipogenesis)를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감귤추출물은 리포제네시스를 방지하는 것을 돕고, 미소순환을 개선하는 것을 돕고, 그리고 소염제로서 포함될 수 있다.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추출물은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돕고, 리포제네시스를 방지하는 것을 돕고, 그리고 지방 조직 생성을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클로렐라 추출물은 콜라게나제 및 엘라스타제 형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고, 탄력 효과(tightening effect)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오수유 추출물은 홍반 및 염증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은 콜라겐 합성을 증강시키는 것을 돕고, 탄력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돕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해조 추출물은 콜라겐 합성을 증강시키는 것을 돕고, 탄력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돕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디펩티드 디아미노부티로일 벤즐리아마이드 디아세테이트는 탄력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돕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디팔미토일 하이드록시 프롤린은 콜라겐 합성을 증강시키는 것을 돕고, 콜라게나제 및 엘라스타제를 억제하는 것을 돕고, 산호를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대나무 추출물은 콜라겐 합성을 증강시키는 것을 돕고, 히알루론산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포함될 수 있 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퍼밍(firming) 구성성분 및 막 형성 구성성분(film forming ingredient)의 결합을 사용함으로써 즉각적인 피부 탄력을 달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피부 퍼밍 구성성분은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 해조 추출물, 및 디펩티드 디아미노부티로일 벤즐리아마이드 디아세테이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막 형성 구성성분은 폴리비닐 피릴리돈(polyvinyl pyrilidone), 하이드록시 프로필 키토산, 및 판테놀(panthenol)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마지막 두 개의 구성성분은 US Pat. No. 6,391,133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제( formulation )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각각의 구성성분에 대한 전술한 백분율은 본 발명의 다른 제제(formulation)에 있어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방치형 국소 투여(leave-on topical administration) 용으로 또는 세정형 국소 투여(wash or wipe off topical administration) 용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도포 후 방치되는(left-on) 제제가 세정되는 제제보다 더 높은 구성성분 농도(백분율)를 가질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구성성분들이, 피부를 리프팅하고, 피부 처짐을 감소시키고, 피부 견고성을 개선하고, 피부 위의 주름 및 잔주름 발현을 감소시키고, 그리고 고른 피부 톤을 유지시킴으로써 피부의 외관을 개선하는데 유용하지 만, 이들 구성성분들은 고 활성 및 고 반응성 화합물이어서, 이들의 제제화를 어렵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내 많은 구성성분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화장품으로 적합하게 제제화시키기 위하여 극복해야만 하는 특유의 냄새를 갖는다.
이러한 어려움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다음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제제화시킴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극복된다: 수첨레시친(hydrogenated lecithin), 소듐 메틸 스테아로일 타우레이트, 글리세린, 스쿠알란,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스테아록시 에테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폴리디메틸실록산, 디메치콘(dimethicone), 또는 폴리디에틸실록산을 사용하여 제제화될 수 있다. 폴리디에틸실록산은 디메치콘과 동일한 유리한 특성을 제공하지만 통상 사용되는 화장품용 왁스 및 오일과의 개선된 상용성(compatibility)을 갖는다. 특히, 낮은 표면 장력은 폴리디에틸실록산이 피부 및 두피 상에 쉽게 분산되어서, 윤활제 및 탈점착제(de-tackifying agent)로서 작용하도록 한다. 폴리디에틸실록산은 동일한 점도의 디메치콘에 비하여 몸 및 쿠션에 대하여 더 나은 미끄럽고, 부드럽고, 번들거리지 않은 피부 느낌을 갖는다. 또한, 디메치콘과 다르게, 폴리디에틸실록산은 우수한 습식 안료(wet pigments well)인데, 이는 색조 화장품(color cosmetics)을 제제화할 때 유용한 성질이다. 폴리디에틸실록산 막은 소수성이지만 비폐쇄성(non-occlusive)이며, 기체에 대하여 투과성인데, 상기 기체는 디메틸 유체와 유사한 수분 증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다음과 같은 서로 다른 다양한 습윤제(humectant)를 사용하여 제제화될 수 있으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부틸 프탈레이 트; 용해성 콜라겐; 소르비톨; 또는 소듐 2-피롤리돈-5-카르복실레이트.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제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습윤제의 또 다른 예는 CTFA Cosmetic Ingredient Handbook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관련 부분은 본 발명의 참고문헌으로 편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화제(emollients)를 사용하여 제제화될 수 있으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부탄-1,3-디올; 세틸 팔미테이트; 디메틸폴리실록산; 글리세릴 모노리시놀레이트;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이소부틸 팔미테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라우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데실 올리에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트산스테이트; 라우릴 락테이트; 옥타데칸-2-올; 카프릴릭 트리글리세리드; 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판-1,2-디올; 트리에틸렌 글리콜; 세삼이오일(sesame oil); 코코넛 오일; 잇꽃 오일(safflower oil); 이소아밀 라우레이트; 논옥시놀-9; 판테놀(panthenol); 수첨 식물성 오일(hydrogenated vegetable oil);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토코페릴 리놀리에이트(tocopheryl linoleate); 알란토인; 프로필렌 글리콜; 낙화생유(arachis oil); 피마자유(castor oil); 이소스테아린산;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리놀리에이트; 라우릴 락테이트; 미리스틸 락테이트; 데실 올리에이트; 또는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제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연화제의 또 다른 예는 CTFA Cosmetic Ingredient Handbook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관련 부분은 본 발명의 참고문헌으로 편입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제는 다음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흡수 증강제(penetration enhancer)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피롤리돈, 예를 들면 2-피롤리돈; 알코올, 예를 들면 에탄올; 알칸올, 예를 들면 데칸올; 글리콜, 예를 들면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또는 테르펜.
본 발명의 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기능에 대하여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도에서, 공지되고 전통적인 다양한 화장품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첨가제 또는 또 다른 공지된 선택적 구성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충진제(예를 들면, 고체, 반고체, 액체, 등); 담체; 희석제; 증점제; 겔 형성제(gelling agent); 비타민, 레티노이드, 레티놀(예를 들면, 비타민 B3, 비타민 A1 등); 안료(pigment); 방향제(fragrance); 썬크림 및 햇빛 차단제(sunblock); 각질제거제(exfoliant); 피부 컨디션너; 보습제; 세라마이드, 슈도세라마이드, 인지질, 당지질(sphingolipid), 콜레스테롤, 글루코사민,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침투제(예를 들면, n-데실메틸 설폭사이드, 레시틴 오르가노겔, 타이로신(tyrosine,) 리신, 등); 보존제(preservatives); 항균제; 아미노산, 예를 들면 프롤린, 피롤리돈 카르복시산, 이의 유도체 및 염, 혼합이성당(saccharide isomerate),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수산화소듐과 같은 염기가 있는 완충제(buffer); 왁스, 예를 들면 밀랍(beeswax), 오조케라이트 왁스, 파라핀 왁스; 식물 추출물(plant extract), 예를 들면 알로에 베라, 수레국화(cornflower), 위치하젤(witch hazel), 딱총나무꽃(elderflower), 또 는 오이(cucumber)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적절한 첨가제 및/또는 보조제는 U.S. Pat. No. 6,184,247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은 참조문헌으로 편입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공용매(co-solvent), 및 부형제(excipient)를 포함하는(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인 불활성 구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유용한 공용매는 알코올 및 폴리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아마이드, 에스테르, 또 다른 적절한 공용매,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부형제 또는 첨가제, 예를 들면, 감미료, 조미료(flavorant), 착색제, 항산화제, 보존제(preservatives), 킬레이트제(chelating agent), 비스코모듈레이터(viscomodulator), 토니시피어(tonicifier), 착취제(odorant), 유백제(opacifier), 현탁화제(suspending agent), 결합제(binder),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또 다른 첨가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투여 방법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주사 투여 또는 경구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어도 매일(on a daily basis) 투여된다.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기간 동안 연속될 수 있다. 미용의 개선 정도는 사용되는 조성물의 전체 양 및 빈도에 따라 직접적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유용한 제형(dosage form)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이해될 수 있는 방법 및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적절한 제형 생산시 추가 구성성분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제는 방치형 제제(leave-on formulation) 또는 세정형 제제(wash or wipe-off formulation)로서 의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제는 적어도 매일 1회 국소적으로 투여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제는 매일 2회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제는 매일 3 내지 5회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매일 투여될 수 있는 제제의 양에는 제한이 없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적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실험 연구 및 실시예에 의해서 더욱 설명되며, 이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용된 모든 참고자료, 특허 및 공개된 출원의 내용들은 본 발명의 참조문헌에 편입된다.
실시예
실시예 1: 생체 외( in vitro ) 세포외부 매트릭스 합성 검사
인간 Hs27 섬유아세포(fibroblast) 및 HEK001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를 ATCC (Manassas, VA) 사로부터 구입하였다. 공동-배양물(Co-culture)을 24 웰 플레이트에서 각각 1:4의 비율로 배양하였다. 배양 시간 경과 후, 배지(media)를 교체하였고 세포를 시험 샘플(0.1 % 또는 1 % v/v)에 노출시켰으며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시험 샘플은 다음을 포함하였다: DOT-9002-14A; 감귤 추출물; 해조류(Algae) (풀룰란 및/또는 난노크로롭시스 오큘라타) (예를 들면 PEPHA®-TIGHT);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 추출물(예를 들면, 스코파린); 클로렐라 추출물(예를 들면 더모클로렐라); 완두콩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트리펩티드.
시험 샘플을 하룻밤 동안 배양 한 후, 세포 배양물로부터 상청액(supernatant)을 모아서 α-엘라스틴, 프로콜라겐, 및 히알루론산의 존재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엘라스틴은 Biocolor, Inc. (Newtownabbey, Northern Ireland)사로부터 구입한 Fastin™ Elastin Kit를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다음 문헌을 참조하라: Liao J., Vesely I. 2004. "Relationship between collagen fibril, glycosaminoglycans, and stress relaxation in mitral valve chordae tendineae." Ann Biomed Eng. 32:977-983.
본 검사 결과는 도 1에서 보고된다. 이러한 결과는 시험 샘플이 히알루론산을 유발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2: 피부 리프팅 장점의 평가
본 발명의 리프팅 세럼(lifting serum)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성능 및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3주간의 제한된 임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본 3주간의 연구에서 테스트 된 리프팅 세럼 제제는 다음을 포함하였다(아래의 모든 백분율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한 것이다):
담체: 물
유화제( Emulsifier ): 수첨레시친, 소듐 메틸 스테아로일 타우레이트, 글리세린, 스쿠알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스테아록시 에테르, 및 식물성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피부컨디셔닝제 ( Skin Conditioning agent ): 카페인; 디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 판테놀; 에톡시디글리콜; 프롤린;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PPG-15 스테아릴 에테르 벤조에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디-C12-15 알킬푸마레이트; 세틸 알코올; 폴리아크릴레이트 13, 폴리이소부텐, 및 폴리소르베이트 20을 포함하는 조성물; 폴리디에틸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HDI/트리메틸올(Trimethlol) 헥실락톤 크로스폴리머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조성물; 부틸렌 글리콜; 소디움 히아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물, 글리세린, 레시틴, 세라마이드 3, 및 베타-시토스테롤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물, 로즈마리 잎 추출물(Rosmarinus officinalis leaf extract), 및 레시틴을 포함하는 조성물
형성제 ( Film forming agent ): PVP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키토산
pH 조절제: 아르기닌
습윤제: 글리세린
보존제( preservatives ): 디소듐 EDTA, 클로페네신 분말(chlorphenesin powder), 및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퍼밍 ( firming )/ 리프팅 ( Lifting ) 시약: 디팔미토일 하이드록시프롤린; 팔미토일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palmitoyl hydrolyzed wheat protein); 메밀씨 추출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및 수첨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물, 해조 추출물, 및 풀룰란 수(pullulan water)를 포함하는 조성물; 물,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물 및 클로렐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대나무 추출물, 완두콩 추출물(Pisum sativum extract), 및 글루코사민 HCL을 포함하는 조성물; 오수유 추출물 및 부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 물, 글리세린, 및 디펩티드 디아미노부티로일 벤즐리아마이드 디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감귤추출물 및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물 및 옥수수 추출물(corn extract)을 포함하는 조성물, 다시마 추출물(laminaria digitata extract), 병풀 추출물(Centella asiatica extract)을 포함하는 제1 진피 복합체(first derma complex); 콩(soybean) [글리신 소야(Glycine soya)] 단백질, 가수분해된 쌀 단백질(hydrolyzed rice protein), 및 해바라기 씨 추출물(sunflower seed extract)을 포함하는 제2 진피 복합체(second derma complex).
방향제( Fragrance ): 카모마일 토너(chamomile toner).
본 연구는 경도 내지 중등도(mild to moderate)의 피부 견고성(firmness)/이완(laxity) 및 얼굴의 리프팅/처짐을 갖는 전체 36명의 여성 대상자들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를 시작하기 이전에, 예비 대상자들은 3일간의 중지기간(washout period)에 참여하였다. 이 시간 동안, 대상자들은 얼굴에 국소 보습 제품(topical moisturizing product)을 도포하는 것을 억제당했으나, 그들의 통상적인 브랜드의 보습 클렌저 사용은 가능하면 계속 허용되었다. 본 연구 동안, 임상 평가는 시각적 전문 등급(visual expert grading), 꼬집기 복원 측정(pinch recoil measurement), 및 기기[큐토미터(Cutometer), 발리스토미터(Ballistometer), 경피수분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과정 동안, 대상자들은 매일 아침 및 저녁으로 얼굴 전체에 시험 물질을 도포하였다. 대상자들은 또한 클리닉을 방문할 때마다 시험 물질을 도포하였다. 임상 평가(임상 등급 및 기기 측정)는 주기적으로 수행되었다.
다음 과정이 각 방문시마다 수행되었다:
임상 등급( Clinical Grading )
대상자들은 견고성/이완 및 리프팅/처짐에 대하여 얼굴 전체에 대하여 임상적으로 등급이 매겨졌다.
꼬집기 복원 측정( pinch recoil measurement )
피부 탄력성 및 탄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삼중 꼬집기 복원 측정(Triplicate pinch recoil measurement)이 오른쪽 관자놀이(temple) 또는 눈가 주름(crow's foot) 부근에서 수행되었다. 숙련된 임상 그레이더(trained clinical grader)가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시험 부위 피부를 꼬집고, 약 2초 동안 피부를 그 상태로 유지시켰으며, 그 후 피부가 원래 형태로 되돌아오는 시간(거의 100분의 1초까지)을 기록하였다. 꼬집기 복원 시간의 감소는 피부 탄력성/탄성의 증가를 나타낸다.
큐토미터 측정( Cutometer Measurement )
피부의 점탄성 특성(탄력성, 견고성, 및 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큐토미터 SEM 575 (Courage and Khazaka) 측정이 외쪽 뺨 중앙부위에서 수행되었다. 상기 기기는 피부의 좁은 면적에 진공을 유발하였으며 피부의 탄력성 반응(elastic response)이 광학 기술에 의해 측정되었다. 300 mbar의 진공이 유발되었으며 8 ㎜탐침을 통하여 가해졌다.
발리스토미터 측정( ballistometer measurement )
피부 점탄성 특성 및 일반적인 피부 퍼밍을 평가하기 위하여 오른쪽 뺨 중앙부위에서 수동-유지 염력 발리스토미터(hand-held Torsional Ballistometer) BLS 780 (Dia-Stron Ltd., UK)이 사용되었다. 추(pendulum)를 피부에 떨어뜨렸으며 Labtech (버전 7.0)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노트북을 사용하여 복원을 측정하였다. 발리스토미터 바운스 프로파일(Ballistometer bounce profile)로부터 굴곡(Indentation), 알파(alpha), 회복 계수(coefficient of restitution) 및 면 적(area)이 수득되었다. 장래 시간 포인트 비교(future time point comparison)에 대한 수개의 적절한 K-값(탐침 높이)을 발생시키기 위해 베이스라인에서 다중 측정이 수행되었다.
TEWL 측정
경피수분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측정하기 위하여 왼쪽 뺨 중앙부위에서 세르보메드 증발계(ServoMed Evaporimeter)(EP2)를 사용하였다. 피부에 놓인 수동-유지 탐침이 피부 표면의 두 지점에서 상대 습도를 수집하였으며, 측정된 습도 구배(humidity gradient)로부터 수분손실 속도를 계산하였다.
베이스라인 과정을 완결한 이후, 대상자들에게 시험 물질 유닛을 분배하였으며 다음 사용/연구 지시사항이 제공되었다:
손가락끝에 3 펌프를 분배한다(약 5센트(nickel) 크기). 상승운동(upward motion)을 이용하여, 완전히 흡수될 때까지 피부에 문지른다. 아래쪽 턱에서부터 시작해서 이마까지 위로 이동하여 얼굴 전체를 덮는다. 당신의 통상적인 클렌징을 일상적으로 사용한 후, 매일 아침 및 저녁마다 얼굴에 사용한다(연구실에 방문하는 아침은 제외).
대상자들이 이러한 지시를 따르는지는 주기적으로 평가되었다.
생물통계 및 데이터 처리
아래에 제시된 표 2는 임상 등급 및 기기 측정에 있어서 베이스라인 및 방문시(within-visit) 비교에 대하여 발견된 통계적으로 주목할만한 차이를 나타낸다. 개방 화살표
Figure 112009070008705-PCT00001
는 베이스라인[방문 1/ 0 일차, 도포-이전(pre-application)] 값과 비교한 통계학적으로 주목할만한 증가/감소를 나타내며, 닫힌 화살표
Figure 112009070008705-PCT00002
는 해당 일차의 그날 방문에서의 도포-이전 값과 비교한 주목할만한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낸다.
[표 2] 임상 등급 및 기기측정의 결과 요약
Figure 112009070008705-PCT00003
임상 등급 및 기기측정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험 물질 장점을 나타낸다:
임상 등급 및 꼬집기 복원: 견고성/이완, 리프팅/처짐의 임상 등급 결과 및 꼬집기 복원 결과는 그날의 베이스라인과 비교하여 각 시각에서의 상당한 개선을 나타내며, 또한 연구 1 일차에서 도포-이전 베이스라인(pre-application baseline)과 비교하여 각 시각에서의 개선을 나타낸다.
큐토미터 측정: 확장성(Extensibility)은 연구 기간에 걸친 장기간의 사용에 따른 일정한 개선을 나타냈다. 비록 복원에 대한 데이터가 일정한 제품 장점을 나타내지 못했으나, 탄성 수준은 거의 모든 방문의 단기간 시간 포인트에서 장점을 나타냈다.
발리스토미터 측정( ballistometer measurement ): "알파" 및 "면적(area)"에 대한 발리스토미터의 파라미터는 연구 과정 동안의 의미 있는, 일정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처리 1주일 이후부터 시작하여, 회복 계수(CoR)에 대한 20-분 시간 포인트에서의 데이터는 단기간 및 장기간의 개선을 나타냈다(방문 1 베이스라인과 비교할 때, 그리고 각 방문시의 베이스라인과 비교할 때). 이러한 결과는 제품이 피부에 대하여 퍼밍 효과를 나타내고 있었음을 보이는 것이며, 또한 이는 최종 연구소 방문일(처리 3주 후)에 관찰된 상당히 낮은 굴곡 점수에 의해서도 뒷받침된다.
TEWL 측정: TEWL 측정은 연구 과정 동안의 작고 산발적인 제품의 이점을 나타냈다.
전체적인 결과
경피수분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측정은 피부 차단 기능을 증가시키는데 있어서 일정한 단기간 또는 장기간의 제품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퍼밍/리프팅 및 탄성에 대한 단기간의 제품 장점은 각각 임상 등급 및 꼬집기 복원/큐토미터 측정뿐만 아니라, 처리 2주 이후에 시작된 발리스토미터 결과(회복 계수)에 의해서 일정하게 관찰되었다. 장기간(집에서) 사용으로부터의 장점은 퍼밍/리프팅[임상 등급, 큐토미터 및 발리스토미터(CoR/굴곡) 점수] 및 탄성(꼬집기 복 원 점수)에 대하여 입증되었다.
실시예 3: 피부 퍼밍 제품의 자극( irritation ), 아크네제니시티( Acnegenicity ) 및 여드름유발( Comedogenicity )
피부 퍼밍 제품의 자극(irritation), 아크네제니시티(Acnegenicity) 및 여드름유발(Comedogenicity) 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6주간의 임상 사용 연구를 수행하였다. 스스로 생각하여 아크네-프론(acne-prone) 얼굴 피부, 복합성 건조 피부를 가지며, 규칙적으로 얼굴에 보습제를 매일 2회 이용하는 55명의 여성 대상자들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베이스라인 방문에서 대상자들은 클리닉에서 눈 부위에 과량의 시험 물질(약 0.5 그램)을 도포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대상자들은 연구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제를 매일 2회 얼굴 및 목에 도포하였다. 베이스라인 방문, 3주 및 6주에서 베이스라인, 도포-이후(Post-Application)에서 임상 평가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시험된 본 발명의 제제는 실시예 2에 개시되어 있다.
대상자들은 지시에 따라 매 방문시에 다음과 같은 과정에 참가하였다:
아크네-카운트(Acne Count): 베이스라인, 3주, 6주 - 전문 임상 그레이더가 대상자의 이마, 오른쪽 뺨, 왼쪽 뺨, 및 턱의 여드름(papule), 농포(pustule), 개방 면포(open comedone), 폐쇄 면포(closed comedone), 및 결절(nodule)의 수를 세었다.
객관적인 자극 등급(Objective irritation grading): 베이스라인, 3주, 6주 - 객관적 자극 파라미터(홍반 및 스켈링/건조)가 얼굴의 왼쪽 및 오 른쪽 면 그리고 눈 주위에서 등급이 매겨졌다.
대상자들은 시험 제제를 사용한 3주 및 6주 이후에 객관적 자극 또는 아크네 레시온(acne lesion) 수에 있어서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홍반 그리고 대부분의 아크네 레시온 수에서 상당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이나 광범위한 개념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대체 및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균등론을 포함하여 특허법의 원칙에 따라 해석된다. 청구항의 구성요소에 대한 단수취급, 예를 들면 관사, 또는 상기 등의 사용은 구성요소를 단지 단수로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1)

  1. 메밀씨 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 해조 추출물, 및 트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견고성 개선, 피부 리프팅, 피부 처짐 감소, 및 주름, 잔주름, 고르지않은 피부 톤 및 검버섯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노화의 가시적 증상의 감소를 조력하는데 효과적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 추출물은 갈조류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 추출물, 마이크로알가 난노크로롭시스 오큘라타 추출물,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펩티드는 디펩티드 디아미노큐티로일(diaminocutyroyl) 벤질아마이드(benzylamide) 디아세테이트, 글루타티온,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밀씨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약 0.25 중량% 내지 약 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 기 해조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약 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트리펩티드는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다음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감귤추출물,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완두콩 추출물; 오수유 추출물, 및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 프롤린 (팔미토일-1 팔미토일옥시-4 프롤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귤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대나무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완두콩 추출물(Pisum sativum extract)은 전체 조성물의 약 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오수유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며; 그리고 상기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 프롤린은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매일 2회 투여하여 7일 경 과 후 발리스토미터 측정(ballistometer measurement)에서 감소를 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리스토미터 측정은 회복 계수(coefficient of restitution)의 측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매일 2회 투여하여 7일 경과 후 꼬집기 복원 측정(pinch recoil measurement)에서 감소를 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메밀씨 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 해조 추출물, 및 트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탄력성 또는 탄성 개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 추출물은 갈조류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 추출물, 마이크로알가 난노크로롭시스 오큘라타 추출물,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성 또는 탄성 개선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펩티드는 디펩티드 디아미노큐티로일 벤질아마이드 디아세테이트, 글루타티온,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 력성 또는 탄성 개선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밀씨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약 0.25 중량% 내지 약 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해조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약 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며; 그리고 상기 트리펩티드는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성 또는 탄성 개선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다음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성 또는 탄성 개선 방법: 감귤추출물,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완두콩 추출물; 오수유 추출물, 및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 프롤린 (팔미토일-1 팔미토일옥시-4 프롤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존재한다면 상기 감귤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5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대나무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완두콩 추출물(Pisum sativum extract)은 전체 조성물의 약 0.5 중 량% 내지 약 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오수유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며; 그리고 상기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 프롤린은 전체 조성물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성 또는 탄성 개선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매일 2회 투여하여 7일 경과 후 발리스토미터 측정(ballistometer measurement)에서 감소를 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성 또는 탄성 개선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발리스토미터 측정은 회복 계수(coefficient of restitution)의 측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매일 2회 투여하여 7일 경과 후 꼬집기 복원 측정(pinch recoil measurement)에서 감소를 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메밀씨 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팔미토일 밀 단백질 가수생성물, 해조 추출물, 및 트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외관 및 조직 개선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 추출물은 갈조류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 추출물, 마이크로알가 난노크로롭시스 오큘라타 추출물,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펩티드는 디펩티드 디아미노큐티로일 벤질아마이드 디아세테이트, 글루타티온,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관 및 조직 개선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다음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관 및 조직 개선 방법: 감귤추출물, 스파켈라리아 스코파리아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완두콩 추출물; 오수유 추출물, 및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 프롤린 (팔미토일-1 팔미토일옥시-4 프롤린).
KR1020097023800A 2007-05-22 2008-05-15 피부 퍼밍 및 리프팅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KR101216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05,017 US7700110B2 (en) 2007-05-22 2007-05-22 Skin firming and lif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11/805,017 2007-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566A true KR20100021566A (ko) 2010-02-25
KR101216770B1 KR101216770B1 (ko) 2012-12-31

Family

ID=40072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3800A KR101216770B1 (ko) 2007-05-22 2008-05-15 피부 퍼밍 및 리프팅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00110B2 (ko)
JP (1) JP2010528005A (ko)
KR (1) KR101216770B1 (ko)
CN (1) CN101778620B (ko)
HK (1) HK1145996A1 (ko)
WO (1) WO2008153662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308B1 (ko) 2016-06-02 2016-10-19 주식회사 르네셀 티모사포닌, 히아루론산, 콜라겐 및 카렌듈라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00903B1 (ko) 2016-06-03 2017-02-01 신형석 병풀 추출물, 티모사포닌, 히아루론산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5648B1 (ko) * 2021-07-13 2021-11-15 (주)케이엠더블유코스메틱스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패치
KR102331133B1 (ko) 2021-05-10 2021-11-24 윤춘미 아미노 바이오 용액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3005B2 (en) * 2007-12-10 2011-11-22 Sanyasi Raju Kalidindi Personal care formulations with simultaneous exfoliant, cleansing and moisturizing properties
AU2009232715B2 (en) * 2008-03-31 2015-07-09 Shiseido Company Ltd. Prepara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wrinkles, to be taken orally, through injection, or through external application to skin, and cosmetic method
US7993629B2 (en) * 2008-12-23 2011-08-09 Avon Products, Inc.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CIS-6-nonenol and its derivatives and methods for treating skin
FR2945939B1 (fr) * 2009-05-26 2011-07-15 Sederma Sa Utilisation cosmetique du dipeptide tyr-arg pour lutter contre le relachement cutane.
US9155915B2 (en) * 2009-07-27 2015-10-13 Dermadoctor, Inc. Moisturizing retinol composition
MX368365B (es) 2009-12-22 2019-09-30 Avon Prod Inc Composiciones estimuladoras de paxilina y usos cosmeticos de las mismas.
FR2958847B1 (fr) * 2010-04-15 2013-06-28 Isp Investments Inc Utilisation d'un hydrolysat peptidique de pois en tant qu'agent actif hydratant
CN101972218A (zh) * 2010-09-21 2011-02-16 张炳泉 小球藻化妆品
IT1405781B1 (it) * 2010-10-12 2014-01-24 Antropoli Uso di un preparato basato su micro-patch di caffeina e polisaccaridi di betaglucano in trattamenti antirughe.
WO2012154949A2 (en) * 2011-05-10 2012-11-15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US9486400B2 (en) 2012-06-18 2016-11-08 The Proctor & Gamble Company Method of improving the appearance of aging skin
WO2015111034A1 (en) * 2014-01-23 2015-07-30 Noah Amit Apparatus and methods for skin treatment, drug application and cream formulation
WO2016026723A2 (en) * 2014-08-19 2016-02-25 Cutech Srl Extracts of nannochloropsis sp. and their applications
WO2016162198A1 (en) * 2015-04-08 2016-10-13 Dsm Ip Assets B.V. Novel blend
WO2017102588A1 (en) * 2015-12-16 2017-06-22 Dsm Ip Assets B.V. Novel use
FR3053889B1 (fr) * 2016-07-12 2019-10-18 Societe De Courtage Et De Diffusion - Codif International Extraits vegetaux destines a etre integres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pour contrer les effets secondaires du cortisol sur la peau
KR101900762B1 (ko) * 2016-12-28 2018-09-20 (주)진셀팜 나노클로롭시스 오세아니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1389392B2 (en) 2017-06-13 2022-07-19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use in firming skin
US20210186844A1 (en) * 2018-05-24 2021-06-24 Dsm Ip Assets B.V. Novel use of proline derivatives
EP3806843A1 (en) * 2018-06-12 2021-04-21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Botanical film-forming acne compositions
KR102117690B1 (ko) 2019-02-26 2020-06-10 (주)성환예가비 발모 개선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10339105A (zh) * 2019-06-26 2019-10-18 广东芭薇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眼部肌肤护理组合物及其应用
CN113876612B (zh) * 2021-11-12 2023-09-22 湖北省麦诗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增加皮肤胶原密度脂质体的面霜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5300580A (zh) 2022-04-25 2022-11-08 捷通国际有限公司 用于抑制晚期糖化终产物的组合物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7256B1 (fr) * 1990-01-24 1994-09-16 Claude Bonne Nouvelles preparations cosmetiques contenant un extrait de tourteaux de tournesol (helianthus annuus).
JPH03294298A (ja) * 1990-04-13 1991-12-25 Seiwa Kasei:Kk 植物タンパクポリペプチドのアシル化物またはその塩
US6369148B2 (en) * 1993-07-16 2002-04-09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oration Oxygen-scavenging compositions and articles
US5804594A (en) 1997-01-22 1998-09-08 Murad; Howar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wrinkles and other skin conditions
JPH11315007A (ja) * 1998-05-01 1999-11-16 Yamakawa Boeki Kk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JP2000063261A (ja) * 1998-08-20 2000-02-29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2000204014A (ja) * 1999-01-11 2000-07-25 Pola Chem Ind Inc 敏感肌用の化粧料
JP2000229832A (ja) * 1999-02-09 2000-08-22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EP1262168A1 (fr) * 2001-03-23 2002-12-04 L'oreal Composition pour lutter contre le vieillissement de la peau, contenant des fibres
US6589514B2 (en) 2001-04-17 2003-07-08 Morinda, Inc. Cosmetic intensive repair serum with morinda citrifolia
JP2003012495A (ja) * 2001-07-06 2003-01-15 Kanebo Ltd 化粧料
JP3761082B2 (ja) * 2002-02-12 2006-03-29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又は美白用化粧料組成物
FR2840909B1 (fr) 2002-06-13 2005-01-28 Seppic Sa Nouveau microlatex inverse auto reversible,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es utilisations en cosmetique et dans l'industrie
JP2004075572A (ja) * 2002-08-12 2004-03-11 Naris Cosmetics Co Ltd 皮膚弾力改善剤及び皮膚外用剤
JP4088497B2 (ja) * 2002-08-23 2008-05-21 ロート製薬株式会社 化粧料
US20040076654A1 (en) * 2002-09-07 2004-04-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ranched alcohol-based personal care compositions
FR2844449B1 (fr) * 2002-09-12 2008-03-14 Codif Internat Sa Utilisation d'un extrait d'une algue brune du genre halopteris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US7060303B2 (en) * 2002-12-31 2006-06-13 Avon Products, Inc. Use of purslane to treat facial wrinkles
JP2004224782A (ja) * 2003-01-22 2004-08-12 Yukipuramu Company:Kk 磁性体粉末を含有する化粧料
JP4469633B2 (ja) * 2003-03-06 2010-05-26 花王株式会社 皮膚老化防止・改善剤
JP2004269430A (ja) 2003-03-10 2004-09-30 Ichimaru Pharcos Co Ltd 毛髪処理用組成物及び損傷毛用毛髪化粧料
DE10347487A1 (de) * 2003-09-30 2005-04-21 Kneipp Werke Kneipp Mittel Zen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sammensetzung zur topischen Verwendung
JP2005247826A (ja) * 2004-02-04 2005-09-15 Kose Corp デコリン産生促進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FR2877568B1 (fr) * 2004-11-10 2008-03-2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hydrolysat de proteines de riz et un agent augmentant la synthese des glycosaminoglycannes
JP2006232766A (ja) * 2005-02-28 2006-09-07 Pentapharm Ltd 皮膚化粧料
JP4425163B2 (ja) * 2005-03-02 2010-03-03 株式会社ディーエイチシー 抗老化化粧料
FR2893252B1 (fr) * 2005-11-17 2008-02-15 Engelhard Lyon Sa Extraits vegetaux stimulant has2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308B1 (ko) 2016-06-02 2016-10-19 주식회사 르네셀 티모사포닌, 히아루론산, 콜라겐 및 카렌듈라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00903B1 (ko) 2016-06-03 2017-02-01 신형석 병풀 추출물, 티모사포닌, 히아루론산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1133B1 (ko) 2021-05-10 2021-11-24 윤춘미 아미노 바이오 용액 및 그 제조 방법
KR102325648B1 (ko) * 2021-07-13 2021-11-15 (주)케이엠더블유코스메틱스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패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78620B (zh) 2013-05-22
WO2008153662A3 (en) 2009-12-23
WO2008153662A2 (en) 2008-12-18
JP2010528005A (ja) 2010-08-19
KR101216770B1 (ko) 2012-12-31
HK1145996A1 (en) 2011-05-13
CN101778620A (zh) 2010-07-14
US7700110B2 (en) 2010-04-20
US20080292651A1 (en) 200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770B1 (ko) 피부 퍼밍 및 리프팅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KR101772139B1 (ko) 피부 케어 제형
KR102099993B1 (ko) 피부 케어 제형물
US20090068219A1 (en) Anti-wrinkle hormone-type cosmetic composition
AU2010201162A1 (en) Use of purslane to treat facial wrinkles
CN106535874B (zh) 毛孔缩小剂
KR20100135871A (ko) 섬유모세포의 증식 및/또는 활성을 자극하는 활성 성분
CH696135A5 (fr) Méthodes et formulations cosmétiques.
KR102083294B1 (ko)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CN105007990B (zh) 来自鱼孵化液的化妆品组合物,其产生方法和其用于改善皮肤的美容外观的用途
KR20150096800A (ko) 어류 부화액으로부터의 화장료 조성물
CN115087427A (zh) 用于处理皮肤的草本化妆品组合物
CN109350579B (zh) 美白化妆品添加剂和美白醒肤露及其制备方法
CN106420590A (zh) 局部用化妆品组合物
CN111936118A (zh) 局部用组合物
KR20120017987A (ko) 눈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29750A (ko) 잎새버섯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지 산생을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US20130338078A1 (en) Skin care formulations including octapeptide complex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KR20140012090A (ko) 반얀트리, 로터스, 및 클로버 세럼 분획을 포함하는 조성물 (노화)
CN113453659A (zh) 局部用组合物和方法
US20220323534A1 (en) Use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tulipa gesneriana
KR20230037965A (ko) 피부장벽 형성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 및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CN113116767A (zh) 醒肤露及其制备方法和胶原酶抑制剂
CN111568824A (zh) 一种眼部皮肤修复活性组合物及其护肤品、应用
JP2019137634A (ja) 加水分解卵殻膜成分が配合されている美容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