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082A - 스트립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 - Google Patents

스트립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082A
KR20100021082A KR1020080079795A KR20080079795A KR20100021082A KR 20100021082 A KR20100021082 A KR 20100021082A KR 1020080079795 A KR1020080079795 A KR 1020080079795A KR 20080079795 A KR20080079795 A KR 20080079795A KR 20100021082 A KR20100021082 A KR 20100021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trip
belt body
bent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8803B1 (ko
Inventor
최기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젯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젯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젯텍
Priority to KR1020080079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8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load-carrying belt attached to or resting on the traction element
    • B65G17/0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load-carrying belt attached to or resting on the traction element the belt having loops forming load-receiving p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8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surface being formed by the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23Grippers, e.g. suction or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2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ead Frames F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등의 부품을 제조하는 도금공정 등의 각종 처리공정에서 스트립 형태 부품의 이송을 목적으로 활용되는 이송용 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벨트의 핑거에 의하여 비도전성의 봉지부를 파지하는 경우에도 별도로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 스트립 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나 기타 부품을 대량으로 제조하는 공정 중 도금공정 등의 처리공정을 자동화된 인라인 공정에서 벨트 본체에 일정 피치 간격으로 핑거를 결합 설치하여 스트립 형태 부품을 파지한 상태로 이송용으로 활용되는 스트립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 본체의 일 측에 일정 피치 간격으로 복수 개의 통전 접속부를 별도로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스트립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반도체, 부품, 도금공정, 처리공정, 스트립 형태, 이송용 벨트, 핑거, 비도전성 봉지부, 전기적인 접속

Description

스트립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Feeder belt for strip-shaped elements}
본 발명은 반도체 등의 부품을 제조하는 도금공정 등의 각종 처리공정에서 스트립 형태 부품의 이송을 목적으로 활용되는 이송용 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벨트의 핑거에 의하여 비도전성의 봉지부를 파지하는 경우에도 별도로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 스트립 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립 형태 부품용 이송용 벨트의 경우 벨트 본체와 핑거가 일체로 이루어진 타입으로서는 미국특허 제4,534,843호가 알려져 있고, 벨트 본체와 핑거가 분리 결합형으로 이루어진 타입은 미국특허 제5,024,745나 본 출원인의 미국특허 제7,128,817호 및 미국특허 제7,303,064호가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선행기술은 반도체 등의 전자부품을 제조하는 도금공정에서 종래의 형태를 갖는 리드프레임 스트립 형태부품에 적용하는 경우엔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벨트 본체(1)와 핑거(3) 사이에 리드프레임 스트립 형태부품(5) 중 봉지부(5a)가 아닌 도전성의 리드프레임 부분(5b)을 파지하여 벨트 본체(1)와 상기 리드프레임 부분(5b)이 자연스럽게 전기적인 통전 내지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어 도금처리 공정에서 바람직하게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등의 전자부품을 이루게 되는 최근의 리드프레임 스트립 형태부품(5)의 형태는 소재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제조단가를 낮추기 위하여 양 끝단엔 봉지부(5a)(5a)를 각각 형성하고 이들 봉지부(5a)(5a) 사이에 리드프레임 부분(5b)을 구성하되, 이들 리드프레임 부분(5b)은 실제로 활용되는 유효리드프레임 부분(5c)과 처리공정에서만 활용하고 완성 후 절단시키게 되는 절단여유부(5d)를 갖도록 설계를 변경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도 2 및 도 3에 예시한 리드프레임 스트립 형태 부품(5)에 종래의 벨트를 적용하게 되면 그 구조적인 특성상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벨트 본체(1)와 핑거(3) 사이에 스트립 형태부품(5)의 봉지부(5a)를 위치시킨 상태로 파지할 수밖에 없는 관계로 비도전성인 봉지부(5a)의 특성상 벨트 본체(1)와 상기 스트립 형태부품(5)은 서로 전기적인 통전 내지 접속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도금처리공정의 수행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기존의 이송용 벨트에는 이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기존의 벨트 급송방식에 의한 자동화 처리공정에는 전술한 도 2 및 도 3에 예시한 형태를 갖는 리드프레임 스트립 형태 부품(5)을 적용하지 못하고 이에 관련한 반도체의 제조공정에서 도금작업은 어찌할 수 없이 거의 수작업에 의존하여야만 하는 폐단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반도체 제조용 리드프레임 스트립 형태부품 중 벨트 본체와 핑거 사이 파지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비도전성인 경우, 예를 들면 봉지부가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 벨트 본체로부터 도전성의 리드프레임 부분에 이르기까지 별도의 통전 접속부를 마련하여 상기 파지부가 비도전성인 경우에도 리드프레임 스트립 형태부품의 이송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상기 통전 접속부의 경우에 그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벨트의 생산성에도 영향을 끼치지 않아 효과적인 스트립 형태부품용 이송벨트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반도체나 기타 부품을 대량으로 제조하는 공정 중 도금공정 등의 처리공정을 자동화된 인라인 공정에서 벨트 본체에 일정 피치 간격으로 핑거를 결합 설치하여 스트립 형태 부품을 파지한 상태로 이송용으로 활용되는 스트립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 본체의 일 측에 일정 피치 간격으로 복수 개의 통전 접속부를 별도로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스트립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통전 접속부는 상기 벨트 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지되, 측면에 서 볼 때 어느 한 방향으로 절곡된 상부의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하부의 제2절곡부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스트립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통전 접속부는 상기 벨트 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지되, 정면에서 볼 때 상부엔 폭이 넓게 형성한 광폭부와 하부엔 상기 광폭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한 협폭부가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스트립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를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통전접속부는 상기 벨트 본체의 하부에 일정 피치 간격으로 다수를 마련하되, 각각의 상기 통전접속부에 형성한 상기 제2절곡부가 스트립 형태 부품의 절단여유부와의 접점을 이루도록 이루어지는 스트립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벨트 본체의 일 측에 일정 피치 간격으로 복수 개의 통전 접속부를 마련하여 반도체 제조용 리드프레임 스트립 형태부품 중 벨트 본체와 핑거 사이 파지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비도전성인 경우, 벨트 본체로부터 도전성의 리드프레임 부분에 이르기까지 별도의 통전 접속부를 마련하여 리드프레임 스트립 형태부품의 이송용으로 활용할 수 있고, 상기 통전 접속부의 경우에 그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벨트의 생산성에도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5 내지 도 12에 의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12에 예시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는 공통적으로 반도체나 기타 부품을 대량으로 제조하는 공정 중 도금공정 등의 처리공정을 자동화된 인라인 공정에서 벨트 본체(1)에 일정 피치 간격으로 핑거(3)를 결합 설치하여 스트립 형태 부품(5)을 파지한 상태로 이송용으로 활용되는 스트립형태 부품(5)의 이송용 벨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 본체(1)의 일 측에 일정 피치 간격으로 복수 개의 통전 접속부(7)를 별도로 마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통전 접속부(7)는 상기 벨트 본체(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지되, 측면에서 볼 때 어느 한 방향으로 절곡된 상부의 제1절곡부(70)와 상기 제1절곡부(70)와는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하부의 제2절곡부(72)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스트립형태 부품(5)과 원활한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적인 지지에 의한 접속력을 갖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통전 접속부(7)는 상기 벨트 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지되, 정면에서 볼 때 상부엔 폭이 넓게 형성한 광폭부(74)와 하부엔 상기 광폭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한 협폭부(76)가 연장 형성되어 소재의 절감이 이루어지면서도 전기적인 접속이 충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이 이루어진다.
더욱이, 상기 통전접속부(7)는 상기 벨트 본체(1)의 하부에 일정 피치 간격으로 다수를 마련하되, 각각의 상기 통전접속부(7)에 형성한 상기 제2절곡부(72)가 스트립 형태 부품(5)의 절단여유부(5d)와의 접점을 이루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전접속부(7)는 상기 벨트 본체(1)와 일체로 구성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나타내었으나, 상기 통전접속부(7)는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벨트 본체(1)에 결합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통전접속부(7)는 도 5 내지 도 10 또는 도 11 및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그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사용시엔 도 9 및 도 10 또는 도 11 및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스트립형태 부품(5)이 벨트 본체(1)와 핑거(3) 사이에 파지가 되어 급송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벨트 본체(1)와 핑거(3)의 사이 위치엔 스트립형태 부품(5)에 있어서 비도전성의 봉지부(5a)가 위치하게 되지만 별도로 마련한 상기 통전접속부(7)는 스트립형태 부품(5)에 있어서 도전성의 리드프레임 부분(5b)과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져, 벨트 본체(1) 및 핑거(3)에 의한 스트립형태 부품(5)의 연속적인 급송이 이루어지는 과정 중에도 리드프레임 부분(5b)의 도금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통전접속부(7)가 제1절곡부(70) 및 제2절곡부(72)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 연결 형성되고 광폭부(74)와 협폭부(76)가 연결 형성되며, 그 중 제2절곡부(72)가 리드프레임 부분(5b) 중 절단여유부(5d)와 서로 탄성 및 전기적으로 접점을 이룬 상태를 유지하면서 벨트 본체(1) 및 핑거(3)에 의한 스트립형태 부품(5)의 파지와 함께 연속적인 급송이 이루어지는 과정 중에도 리드프레임 부분(5b) 중 실제로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절단여유부(5d)는 통전접속부(7)에 의한 접점으로 활용하고 상기 절단여유부(5d)를 제외한 부위로서 실제로 리드프레임으로 활용하게 되는 유효리드프레임 부분(5c)의 도금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벨트 본체(1)의 일 측에 일정 피치 간격으로 복수 개의 통전 접속부(7)를 마련하되, 반도체 제조용 리드프레임 스트립 형태부품(5) 중 벨트 본체(1)와 핑거(3) 사이 파지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비도전성인 경우에, 벨트 본체(1)로부터 도전성의 리드프레임 부분(5b)에 이르기까지 전기적으로 접속이 될 수 있는 별도의 통전 접속부(7)를 마련하여 리드프레임 스트립 형태부품(5)의 이송용으로 활용할 수 있고, 상기 통전 접속부(7)의 경우에 그 구조가 단순화된 구조를 채택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벨트의 생산성에도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드프레임 스트립 형태부품을 종래의 벨트로 파지한 형태를 예시한 측면 예시도,
도 2는 최근에 적용하고 있는 리드프레임 스트립 형태부품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예시한 리드프레임 스트립 형태부품을 종래의 벨트로 파지한 형태를 예시한 측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벨트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
도 7은 도 5의 측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도 2 및 도 3에 예시한 리드프레임 스트립 형태부품을 도 5 내지 도 8에 예시한 본 발명인 벨트로 파지한 형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벨트의 다른 일례를 도 9와 대응되게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벨트 본체, 3: 핑거,
5: 스트립형태 부품, 5a: 봉지부,
5b: 리드프레임 부분, 5c: 유효리드프레임 부분,
5d: 절단여유부, 7: 통전접속부,
70: 제1절곡부, 72: 제2절곡부,
74: 광폭부, 76: 협폭부

Claims (4)

  1. 반도체나 기타 부품을 대량으로 제조하는 공정 중 도금공정 등의 처리공정을 자동화된 인라인 공정에서 벨트 본체에 일정 피치 간격으로 핑거를 결합 설치하여 스트립 형태 부품을 파지한 상태로 이송용으로 활용되는 스트립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 본체의 일 측에 일정 피치 간격으로 복수 개의 통전 접속부를 별도로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접속부는 상기 벨트 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지되,
    측면에서 볼 때 어느 한 방향으로 절곡된 상부의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하부의 제2절곡부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접속부는 상기 벨트 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지되,
    정면에서 볼 때 상부엔 폭이 넓게 형성한 광폭부와 하부엔 상기 광폭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한 협폭부가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접속부는 상기 벨트 본체의 하부에 일정 피치 간격으로 다수를 마련하되,
    각각의 상기 통전접속부에 형성한 상기 제2절곡부가 스트립 형태 부품의 절단여유부와의 접점을 이루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
KR1020080079795A 2008-08-14 2008-08-14 스트립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 KR100978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795A KR100978803B1 (ko) 2008-08-14 2008-08-14 스트립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795A KR100978803B1 (ko) 2008-08-14 2008-08-14 스트립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082A true KR20100021082A (ko) 2010-02-24
KR100978803B1 KR100978803B1 (ko) 2010-08-30

Family

ID=4209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795A KR100978803B1 (ko) 2008-08-14 2008-08-14 스트립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8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4549A (zh) * 2011-07-12 2013-01-16 亚斯杰特股份有限公司 条状部件的移送用皮带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149B1 (ko) * 1997-02-26 1999-11-01 윤종용 스프링 핑거 및 그를 이용한 리드 프레임 스트립 이송 장치
MY134884A (en) * 2001-08-17 2007-12-31 Aem Tech Engineers Pte Ltd Belt apparatus for carrying elements during treatment
KR100631374B1 (ko) * 2004-10-19 2006-10-04 주식회사 젯텍 스트립 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
KR100640556B1 (ko) 2006-03-09 2006-11-01 주식회사 티에스피 반도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4549A (zh) * 2011-07-12 2013-01-16 亚斯杰特股份有限公司 条状部件的移送用皮带
EP2546391A3 (en) * 2011-07-12 2014-09-24 Astjetec Co., Ltd. Feeding belt for strip-shaped elements
TWI457263B (zh) * 2011-07-12 2014-10-21 Astjetec Co Ltd 條狀零件的移送用皮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803B1 (ko) 2010-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5555B1 (en) Reel-deployed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hip-on-board packages
US9742138B2 (en) Belt strip for contact elements
US9363901B2 (en) Making a plurality of integrated circuit packages
KR100978803B1 (ko) 스트립형태 부품의 이송용 벨트
KR101396845B1 (ko) 스트립 형태 부품의 전해 디플래시 장치
EP2546391A2 (en) Feeding belt for strip-shaped elements
JP3942582B2 (ja) ストリップ型部品の搬送用ベルト
US6412522B1 (en) Bending die and bending machine using the same
US8643153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staggered leads
KR200225469Y1 (ko) 반도체 리드프레임 스트립의 이송용 벨트
US20180248092A1 (en) Light sensor lead frame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423962B1 (ko) 와이어스프링그립, 리드프레임 캐리어벨트 및 도금시스템
US20140305770A1 (en) Transport member for transporting strip-like elements to be treated in a bath
JP2004319816A (ja) リード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64067A (ja) ワークに対する半導体チップの供給装置
KR100210328B1 (ko) 플레이팅 장치의 그리퍼
JP3405303B2 (ja) リードフレーム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CN218730927U (zh) 芯片封装结构
KR100536888B1 (ko) 도금 시스템을 위한 컨베이어
CN219811495U (zh) 一种导线架料带与封装结构
CN105789068A (zh) 一种qfn封装器件的制备方法
KR20040015495A (ko) 리드 프레임 공급 장치
CN2422292Y (zh) 端子料带结构
JP3825176B2 (ja) 電子部品のテーピング装置
CN201122788Y (zh) 端子料带组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