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510A -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510A
KR20100020510A KR1020107000076A KR20107000076A KR20100020510A KR 20100020510 A KR20100020510 A KR 20100020510A KR 1020107000076 A KR1020107000076 A KR 1020107000076A KR 20107000076 A KR20107000076 A KR 20107000076A KR 20100020510 A KR20100020510 A KR 20100020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fuel
unit
stat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0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사 아오끼
아끼라 야지마
아사꼬 사또
준 몸마
유미꼬 다끼자와
유우이찌 사또
겐따 오오미찌
히로후미 간
노부야스 네기시
미쯔루 후루이찌
유이찌 요시다
기요또 요다
히데오 오오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00020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604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619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6/00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 H01M16/003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 H01M16/006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of fuel cells with rechargeabl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01M8/04365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of other components of a fuel cell or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H01M8/0438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of anode reactants at the inlet or inside the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H01M8/04425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at auxiliary devices, e.g. reformers, compressors, bur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9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with one of the reactants being liquid, solid or liquid-charged
    • H01M8/1011Direct alcohol fuel cells [DAFC], e.g. direct methanol fuel cells [DMF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9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switching to a backup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30Fuel cell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10Applications of fuel cells in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전화기 본체(1)에 전력을 공급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6)의 각처에, 연료 전지 시스템(6) 각처의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를 배치하여, 이들 상태 검출부의 각각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로부터 전지 상태 검출부(101a)에 의해 연료 전지 시스템(6)의 동작 상태를 검출함과 함께, 판정부(101b)에 의해 전지 상태 검출부(101a)로부터 검출된 연료 전지 시스템(6)의 동작 상태에 대해 취해야 할 행동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하고, 이 판정부(101b)의 판정에 기초하여 형태의 내용을 캐릭터나 가상 생명체 등의 화상으로서 표시부(4)에 통지한다. 장기간 안정된 연료 전지의 사용이 가능하고, 전지의 장기 수명화를 실현한 연료 전지가 사용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연료 전지를 전원으로서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전지 혹은 이차 전지를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전자 기기로서, 디지털 카메라 등 다양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전자 기기는, 전지 용량이 적어지면, 기기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적정한 시기에 전지를 교환하거나, 충전할 필요가 있고, 이 타이밍을 놓치면 기기 그 자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 전원인 전지의 잔류 용량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전지의 잔류 용량이 소정값 이하로 되면, 전지의 교환이나 충전을 재촉하기 위해 음성이나 표시 등에 의해 통지하는 전자 기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36458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검출된 전지의 잔류 용량이 소정값 이하로 되면, 전지의 교환 혹은 충전을 재촉하는 특수한 캐릭터를 표시시키도록 전지 잔량에 따른 표시를 표시 화면에 제시하는 전자 기기가 있다.
그런데, 최근 휴대 전화기나 휴대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전자 기기의 소형화는 눈부시게 발전하였고, 이들 전자 기기의 소형화와 함께, 전원으로서 연료 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연료 전지는 연료와 산화제를 발전부에 공급하는 것만으로 발전할 수 있고, 연료만을 교환하면 연속해서 발전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연료 전지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면, 연료 전지는 소형의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서 매우 유용하다.
최근에는, 연료 전지로서,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이하, DMFC; Direct Methanol Fuel Cell이라 함)가 주목받고 있다. DMFC는 애노드극과 캐소드극 사이에 전해질막이 배치되고, 이들 애노드극과 캐소드극은 모두 집전체 및 촉매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애노드극에는 연료로서 메탄올 수용액이 공급되고, 촉매 반응에 의해 프로톤(양자)이 발생된다. 한편, 캐소드극(공기극)에는, 산화제로서의 공기가 공기 도입구로부터 공급된다. 캐소드극에서는, 전해질막을 빠져나간 프로톤이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산소와 촉매 상에서 반응하여 전자가 발생되어 발전이 생긴다. 이렇게 DMFC는 에너지 밀도가 높은 메탄올을 연료로 사용하여, 메탄올로부터 전극 촉매 상에서 직접 전류를 취출할 수 있고, 개질도 불필요하므로 소형화가 가능하며, 연료의 취급도 수소 가스에 비해 용이하므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서 유망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연료 전원을 전원으로서 사용한 전자 기기에서는, 상술한 단순한 전지 잔량을 지표로 알리는 기능, 즉 전지의 잔류 용량을 음성 혹은 표시에 의해 통지하거나, 혹은 캐릭터 화면을 표시시키는 기능을 적용해도, 사용자는 전지의 교환 혹은 충전을 할 수 없어, 전지의 교환 혹은 충전 대신에, 이 통지 혹은 표시에 따라서 연료를 공급하는 것만이 허용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로 전자 기기에 탑재되는 연료 전지의 사용 형태는 다양하며, 때로는 연료 전지에 있어서 가혹한 상황에서의 사용, 혹은 트러블을 일으킬 만한 취급을 받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황 혹은 취급의 경우에는, 종래에는 전지의 상태에 따라서 기기의 취급을 억제하는 행동을 재촉하는 것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이로 인해 적절한 상황 하에서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연료 전지를 장기간 안정되게 사용하는 것이 어려워 전지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안정되게 연료 전지의 사용이 가능하고, 전지의 장기 수명화를 실현한 연료 전지가 사용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전자 기기 본체와,
상기 전자 기기 본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연료 전지와,
상기 연료 전지의 각처에 복수 배치되어 상기 연료 전지 각처의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와,
상기 상태 검출부의 각각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연료 전지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전지 상태 검출부와,
상기 전지 상태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연료 전지의 동작 상태에 대해 취해야 할 행동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의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형태의 내용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기재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부는 상기 연료 전지를 구성하는 액체 연료 탱크에 공급되는 액체 연료의 존재 액량을 검출하는 액량 검출부, 상기 연료 전지를 구성하는 막 전극 접합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 상기 연료 전지를 구성하는 연료 기화층의 내압 변화를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 상기 연료 전지의 출력 또는/및 전압을 검출하는 출력 검출부 및 상기 연료 전지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기재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판정부에서의 판정의 내용을 캐릭터 또는 가상 생명체의 화상에 의해 표시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3 기재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캐릭터 또는 가상 생명체의 화상 표시와 함께, 음성, 의음, 진동 및 광 중 적어도 하나를 통지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기재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음성, 의음, 진동 및 광 중 적어도 하나를 통지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기재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부의 검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갖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검출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이들 파라미터의 추이로부터 연료 전지의 현상을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또는 전지 수명으로서 통지하는 형태를 판정하고, 상기 통지부는 상기 판정부에서의 판정의 내용을 캐릭터 또는 가상 생명체의 화상에 의해 표시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연료 전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되는 연료 전지 시스템에 조립되는 연료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4a는, 도 1에 도시한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4b는, 도 1에 도시한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다른 표시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4c는, 도 1에 도시한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또 다른 표시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4d는, 도 1에 도시한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또 다른 표시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5a는, 도 1에 도시한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다른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b는, 도 1에 도시한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다른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c는, 도 1에 도시한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다른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a는, 도 1에 도시한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다른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b는, 도 1에 도시한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다른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c는, 도 1에 도시한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다른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d는, 도 1에 도시한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다른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기기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기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1은 전자 기기로서 휴대 전화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1은 전자 기기 본체인 전화기 본체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전화기 본체(1)는 지정 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갖는 전파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마이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2)로부터 출력하고, 또한 안테나(2)에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출력한다. 또한, 전화기 본체(1)에는 입력부(3), 표시부(4) 및 기억부(5)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3)는 복수의 푸시 스위치를 갖고, 이들 푸시 스위치의 조작 신호를 전화기 본체(1)에 입력한다. 표시부(4)에는 액정 표시부 등이 사용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기억부(5)는, 예를 들어 인물이나 동물을 흉내낸 캐릭터 혹은 가상 생명체 등의 화상 데이터 및 이들 캐릭터나 가상 생명체의 움직임 등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전화기 본체(1)는 제어부(101)를 갖고 있다. 이 제어부(101)는 전화기 본체(1)의 전체를 제어하고, 전지 상태 검출부(101a), 판정부(101b), 및 표시 제어부(101c) 등을 갖고 있다. 전지 상태 검출부(101a)는, 후술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6)의 각처에 배치된 상태 검출부로부터의 출력 신호로부터 전지 상태를 검출한다. 판정부(101b)는 전지 상태 검출부(101a)에서 검출된 전지의 상태에 대해 이용자가 취해야 할 행동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 표시 제어부(101c)는 판정부(101b)에서 판정된 형태의 내용에 기초하여 기억부(5)로부터 캐릭터(또는 가상 생명체) 등의 화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판독하여 표시부(4)에 표시시킨다. 이들 전지 상태 검출부(101a), 판정부(101b) 및 표시 제어부(101c)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이러한 전화기 본체(1)의 전원실(도시하지 않음)에는 연료 전지로서 연료 전지 시스템(6)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연료 전지 시스템(6)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 연료 전지 본체로서의 DMFC 유닛(7), 제어 유닛(8), 보조 전원(9), 액체 연료 탱크(10) 및 출력 단자(11)가 설치되어 있다.
DMFC 유닛(7)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발전 셀(7a, 7b, 7c)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발전 셀(7a, 7b, 7c)은, 각각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 전극 접합체(MEA)(701)를 갖고 있다. 이 막 전극 접합체(MEA)(701)는 캐소드 촉매층(702) 및 캐소드 가스 확산층(704)으로 이루어지는 캐소드극과, 애노드 촉매층(703) 및 애노드 가스 확산층(705)으로 이루어지는 애노드극과, 캐소드 촉매층(702)과 애노드 촉매층(703) 사이에 배치되는 프로톤 전도성의 전해질막(706)을 구비하고 있다. 캐소드 촉매층(702) 및 애노드 촉매층(703)에 함유되는 촉매로서는, 예를 들어 백금족 원소의 단체 금속(Pt, Ru, Rh, Ir, Os, Pd 등), 백금족 원소를 함유하는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애노드 촉매에는, 메탄올 혹은 일산화탄소에 대한 내성이 강한 Pt-Ru를, 캐소드 촉매에는 백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톤 전도성 전해질막(706)을 구성하는 프로톤 전도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술폰산기를 갖는 불소계 수지(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술폰산 중합체), 술폰산기를 갖는 하이드로카본계 수지, 텅스텐산이나 인텅스텐산 등의 무기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캐소드 촉매층(702)은 캐소드 가스 확산층(704) 상에 적층되고, 또한 애노드 촉매층(703)은 애노드 가스 확산층(705) 상에 적층되어 있다. 캐소드 가스 확산층(704)은 캐소드 촉매층(702)에 산화제를 균일하게 공급하는 기능을 가짐과 함께, 캐소드 촉매층(702)에서 발생된 전자를 모으는 집전체도 겸하고 있다. 한편, 애노드 가스 확산층(705)은 애노드 촉매층(703)에 연료를 균일하게 공급하는 기능을 가짐과 함께, 애노드 촉매층(703)에서 발생된 전자를 모으는 집전체도 겸하고 있다. 캐소드 도전층(707a) 및 애노드 도전층(707b)은 각각 캐소드 가스 확산층(704) 및 애노드 가스 확산층(705)과 접하고 있다. 캐소드 도전층(707a) 및 애노드 도전층(707b)에는, 예를 들어 금 등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다공질층(예를 들어 메쉬)을 각각 사용할 수 있다.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캐소드 시일재(708a)는 캐소드 도전층(707a)과 프로톤 전도성 전해질막(706) 사이에 위치함과 함께, 캐소드 촉매층(702) 및 캐소드 가스 확산층(704)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한편,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애노드 시일재(708b)는 애노드 도전층(707b)과 프로톤 전도성 전해질막(706) 사이에 위치하는 동시에, 애노드 촉매층(703) 및 애노드 가스 확산층(705)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캐소드 시일재(708a) 및 애노드 시일재(708b)는 막 전극 접합체(701)로부터의 연료 누설 및 산화제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O링이다.
막 전극 접합체(701)의 하방에는 상술한 액체 연료 탱크(10)가 배치되어 있다. 액체 연료 탱크(10) 내에는 액체의 메탄올 혹은 메탄올 수용액이 수용되어 있다. 액체 연료 탱크(10)의 개구 단부에는, 연료 기화층(710)으로서 예를 들어 액체 연료의 기화 성분만을 투과시키고, 액체 연료는 투과할 수 없는, 기액 분리막(710a)이 액체 연료 탱크(10)의 개구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액체 연료의 기화 성분이라 함은, 액체 연료로서 액체의 메탄올을 사용한 경우, 기화한 메탄올을 의미하고, 액체 연료로서 메탄올 수용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메탄올의 기화 성분과 물의 기화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혼합 가스를 의미한다. 또한, 액체 연료로서 농도가 50몰%를 초과하는 메탄올 수용액이나, 순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순메탄올의 순도는 95중량% 이상 100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액 분리막(710a)과 애노드 도전층(707b) 사이에는 수지제의 프레임(711)이 적층되어 있다. 프레임(711)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기액 분리막(710a)을 확산해 온 기화 연료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기화 연료 수용실(712)(소위 증기 저류소)로서 기능한다. 이 기화 연료 수용실(712) 및 기액 분리막(710a)의 투과 메탄올량 억제 효과에 의해, 한번에 다량인 기화 연료가 애노드 촉매층(703)에 공급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메탄올 크로스오버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711)은 직사각형의 프레임에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된다.
한편, 막 전극 접합체(701)의 상부에 적층된 캐소드 도전층(707a) 상에는 보습판(713)이 적층되어 있다. 보습판(713)은 캐소드 촉매층(702)에 생성된 물이 프로톤 전도성 전해질막(706)을 통과하여 애노드 촉매층(703)으로 이동하는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산화제인 공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공기 도입구(714)가 복수개 형성된 표면층(715)은 보습판(713) 상에 적층되어 있다. 표면층(715)은 막 전극 접합체(701)를 포함하는 스택을 가압하여 그 밀착성을 높이는 역할도 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SUS304와 같은 금속으로 형성된다. 보습판(713)은 캐소드 촉매층(702)에 있어서 생성된 물의 증산을 억지하는 역할을 함과 함께, 캐소드 가스 확산층(704)에 산화제를 균일하게 도입함으로써 캐소드 촉매층(702)에의 산화제의 균일 확산을 재촉하는 보조 확산층으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연료 탱크(10)에는 도시하지 않은 연료 공급로를 통해 DMFC 유닛(7)이 접속되고, 액체 연료 탱크(10)의 연료가 연료 공급로를 통해 DMFC 유닛(7)에 공급된다. 액체 연료 탱크(10)에는 주입구(1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주입구(10a)에는 연료 카트리지(1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연료 카트리지(12)로부터 액체 연료 탱크(10)로의 연료의 주입이 행해진다.
또한, 액체 연료 탱크(10)에 수용하는 액체 연료는 반드시 메탄올 연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에탄올 수용액 혹은 순에탄올 등의 에탄올 연료, 프로판올 수용액이나 순프로판올 등의 프로판올 연료, 글리콜 수용액이나 순글리콜 등의 글리콜 연료, 디메틸에테르, 포름산 혹은 그 밖의 액체 연료이어도 된다. 어떻든간에, 연료 전지에 따른 액체 연료가 수용된다.
이러한 구조를 구비한 연료 전지 시스템(6)에는, 전지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각종 상태 검출부가 각처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발전 셀(7a, 7b, 7c)에는 액체 연료 탱크(10) 내부에 액체 연료의 존재 액량을 검출하는 액량 검출부로서 액면계(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액면계(21)는 액체 연료 탱크(10)에 공급되는 액체 연료의 액면 높이를 검출하고, 액면 높이에 따른 출력을 발생한다. 또한, 상술한 막 전극 접합체(MEA)(701)에는 온도 센서(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온도 센서(22)는 열전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지 내부의 막 전극 접합체(701)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 온도에 따른 출력을 발생한다. 또한, 전지 내부의 연료 기화층(710)에는 압력 센서(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압력 센서(23)는 변형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연료 기화층(710)의 면에 부착되고, 전지 내부의 압력 상승과 함께 변형하는 연료 기화층(710)의 상태를 검출하고, 이때의 변형 정도에 따른 출력을 발생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DMFC 유닛(7)에는 출력계(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출력계(24)는 DMFC 유닛(7)의 출력, 즉 각 발전 셀(7a, 7b, 7c)을 합한 출력을 검출한다. 또한, 연료 전지 시스템(6)의 주위에는 온도 센서(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온도 센서(25)는 연료 전지 시스템(6)의 주위[연료 전지 시스템(6)을 수용한 전화기 내부의 온도이어도 됨]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 온도에 따른 출력을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온도 센서(25)는 연료 전지 시스템(6)을 수용한 전화기 내부의 온도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 온도에 따른 출력을 발생한다.
제어 유닛(8)은, 도 1에 도시되는 제어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DMFC 유닛(7)은 복수, 예를 들어 3개의 발전 셀(7a, 7b, 7c)을 직렬 접속함으로써 소정의 출력을 발생하고 있다.
DMFC 유닛(7)에는 출력 조정부로서 승압형의 DC-DC 컨버터(13)가 접속되어 있다. 이 DC-DC 컨버터(13)는 DMFC 유닛(7)과 함께 발전부를 구성하고, 스위칭 요소(도시하지 않음)와 에너지 축적 요소를 갖고, 이들 스위칭 요소와 에너지 축적 요소에 의해 DMFC 유닛(7)에서 발전된 전기 에너지를 축적/방출시켜, DMFC 유닛(7)의 비교적 낮은 전압을 충분히 높은 전압까지 승압하여 출력 단자(11)를 통해 생성된 전력을 전화기 본체(1)에 공급한다.
또한, 여기서는 표준적인 승압형의 DC-DC 컨버터(13)를 나타냈지만, 승압 동작이 가능한 것이면, 다른 회로 방식의 것이라도 실시 가능하다.
DC-DC 컨버터(13)의 출력 단부에는 상술한 보조 전원(9)이 접속됨과 함께, 전화기 본체(1)가 접속되어 있다. 보조 전원(9)은 DC-DC 컨버터(13)의 출력에 의해 충전 가능하게 한 것으로, 전화기 본체(1)의 순간적인 부하 변동에 대해 전류를 공급하고, 또한 연료 고갈 상태로 되어 상기 DMFC 유닛(7)이 발전 불능에 빠진 경우에 전화기 본체(1)의 구동 전원으로서 사용된다. 이 보조 전원(9)에는, 충방전 가능한 이차 전지[예를 들어 리튬 이온 충전지(LIB)]나 전기 이중층 콘덴서가 사용된다.
한편, 연료 전지 시스템(6)의 각처에 배치된 상태 검출부, 즉 액면계(21), 온도 센서(22), 압력 센서(23), 출력계(24) 및 온도 센서(25)의 각각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제어부(101)에 보내진다.
제어부(101)에서는, 전지 상태 검출부(101a)에 의해 액면계(21), 온도 센서(22), 압력 센서(23), 출력계(24) 및 온도 센서(25)의 각각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서 연료 전지 시스템(6)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고, 판정부(101b)는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지 상태 검출부(101a)로부터 검출된 연료 전지 시스템(6)의 동작 상태에 대해 이용자가 취해야 할 행동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
(a) 전지 상태 검출부(101a)에서 액체 연료 탱크(10)의 액체 연료의 액면 높이가 미리 설정된 하한값 이하로 된 것을 검출하면, 연료 잔량이 적어졌다고 하여 연료 보급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 여기서, 이 액면 검출에서는 온도 센서(22), 압력 센서(23), 출력계(24) 및 온도 센서(25)로부터의 각 출력 신호는 임의의 값이면 되고, 연료 보급의 판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b) 전지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101a)에서 전력 출력계(24)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하한값 이하이고, 저하율이 어느 일정값 이상인 것을 검출하면, 반응에 필요하게 되는 산소의 부족 등이 일어날 수 있다고 예상되는 폐색 환경 등이라 인식하고, 동작 환경의 개선을 재촉하거나, 혹은 일시적으로 발전을 정지하는 등의 필요성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 여기서, 이 전지 상태의 검출에 있어서는, 액면계(21)와 온도 센서(24)의 출력 신호는, 적정값이며, 미리 설정된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에 있는 것을 전제로 하여, 온도 센서(22) 및 압력 센서(23)로부터 출력 신호는 임의의 값이면 되고, 전지 상태의 판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c) 전지 상태 검출부(101a)에서 온도 센서(25)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하한값 이하로 된 것을 검출하면, DMFC 유닛(7)을 어느 일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없게 되는 예조, 혹은 유지할 수 없게 되는 상태에 있다고 하여, 연료의 공급이나 동작 환경의 이동 등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 여기서, 온도 센서(25)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하한값 이하로 된 것을 검출할 때는, 액면계(21)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적정값이며, 출력계(24), 온도 센서(22), 압력 센서(23)의 출력은 임의의 값이면 된다.
(d) 전지 상태 검출부(101a)에서 출력계(24)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하한값을 초과하고, 온도 센서(22)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상한값을 초과한 것을 검출하면, 전지 내부가 계속적으로 고온 상태로 된다고 하여, 일시적인 전지 사용의 중단이나, 전지에 대한 부하의 경감 등의 동작의 개선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 여기서, 출력계(24)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하한값을 초과하고, 온도 센서(22)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상한값을 초과한 것을 검출할 때는, 액면계(21) 및 온도 센서(25)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적정값이며, 압력 센서(23)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임의의 값이면 된다.
(e) 전지 상태 검출부(101a)에서 온도 센서(25)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으로 된 것을 검출하면, 연료 전지 시스템(6) 주위의 온도가 전지 동작 환경으로서 과도한 고온 하의 상태에 있다고 하여 동작 환경의 개선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 여기서, 온도 센서(25)의 출력이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으로 된 것을 검출할 때는, 액면계(21)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적정값이며, 출력계(24), 온도 센서(22), 압력 센서(23)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임의의 값이면 된다.
(f) 전지 상태 검출부(101a)에서 액면계(21)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적정값이지만 과도하게, 또는 계속적으로 크게 진동하는 것을 검출하면, 통상의 사용에 있어서 일반적이지 않은 상태에 있다고 하여, 동작 환경의 변경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 즉,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 전체를 격렬하게 흔드는 등 발전 및 발전 시스템의 열화를 재촉하는 동작 환경에 놓였을 때에, 그 동작 등의 정지를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 여기서, 액면계(21)의 출력이 적정값이지만 과도하게 또는 계속적으로 크게 진동하는 것을 검출할 때는, 온도 센서(25), 출력계(24), 온도 센서(22), 압력 센서(23)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임의의 값이면 된다.
(g) 전지 상태 검출부(101a)에서 액면계(21)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으로 된 것을 검출하면, 과도한 연료의 공급 상태에 있다고 하여, 새로운 연료 공급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의 공급을 방지하는 형태를 판정한다. 여기서, 액면계(21)의 출력이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으로 된 것을 검출할 때는, 온도 센서(25), 출력계(24), 온도 센서(22), 압력 센서(23)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임의의 값이면 된다.
(h) 전지 상태 검출부(101a)에서 출력계(24)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하한값 이하이고 저하율이 어느 일정값 미만으로 된 것을 검출하면, DMFC 유닛(7)의 출력 저하가 계속적이고, 이 이유가 연료 잔량 저하 이외의 이유에 의한 것으로 하여, 사용의 일시적 정지를 재촉하는 동시에, 연료실의 물을 줄이는 것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 즉, 액체 연료 탱크(10) 내 또는 전지 내에 있어서, 물의 양이 과도해져, 기능을 저해시킬 가능성이 판단되면, 사용의 일시적 정지를 재촉하고, 건조를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 여기서, 출력계(24)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하한값 이하이고 저하율이 어느 일정값 미만으로 된 것을 검출할 때는, 액면계(21)와 온도 센서(24)의 출력은 적정값, 온도 센서(22)와 압력 센서(23)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임의의 값이면 된다.
(i) 전지 상태 검출부(101a)에서 출력계(24)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하한값을 초과하고, 온도 센서(22)의 출력이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하, 압력 센서(23)의 출력이 미리 설정된 상한값을 초과한 것을 검출하면, 전지 내부에 있어서 과도한 압력 상승이 발생하여, 연료 기화층(710)에 어느 일정 이상의 변형이 생긴 것으로서 이용자에게 동작 상황의 변경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 즉, 예를 들어, 연료의 과공급이나, 동작 환경의 고온화에 의해 전지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연료 기화층(710)이 지나치게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용자에게 사용 상황의 변경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 여기서, 출력계(24)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하한값을 초과하고, 온도 센서(22)의 출력이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하, 압력 센서(23)의 출력이 미리 설정된 상한값을 초과한 것을 검출할 때는, 액면계(21), 온도 센서(25)로부터의 출력은 적정값인 것으로 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01c)는 판정부(101b)에서 각각 판정된 형태의 내용에 기초하여 기억부(5)로부터 대응하는 캐릭터(또는 가상 생명체) 등의 화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판독하여 표시부(4)에 표시시킨다. 이들의 구체적인 표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지금, 연료 전지 시스템(6)에 있어서, 액체 연료 탱크(10)로부터 DMFC 유닛(7)에 연료가 공급되어 발전 상태에 있으면, DMFC 유닛(7)의 출력은 DC-DC 컨버터(13)에 의해 승압되고, 전화기 본체(1)에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보조 전원(9)은 DC-DC 컨버터(13)의 출력에 의해 충전된다. 따라서, 전화기 본체(1)는 DC-DC 컨버터(13)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원으로 하여 통화나 메일이 사용 가능한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연료 전지 시스템(6)의 각처에 배치된 상태 검출부, 즉 액면계(21), 온도 센서(22), 압력 센서(23), 출력계(24) 및 온도 센서(25)의 각각의 출력이 제어부(101)에 보내져, 전지의 상태가 항상 감시된다.
이 감시에 있어서, 액면계(21), 온도 센서(22), 압력 센서(23), 출력계(24) 및 온도 센서(25)의 각각으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정상이고, 연료 전지 시스템(6)이 적정 환경에 있다고 판정되면,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물을 모의 한, 밝은 표정의 캐릭터를 표시부(4)에 표시시킨다. 또한, 식물을 모의한 가상 생명체이면,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잎 클로버의 생기 발랄한 모습이 표시부(4)에 표시된다.
한편, 전지 상태 검출부(101a)에서 액체 연료 탱크(10)의 액체 연료의 액면 높이가 미리 설정된 하한값 이하로 된 것을 검출하면, 판정부(101b)는 연료 잔량이 적어졌다고 하여 연료 보급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상술한 판정 (a)]. 여기서, 이 판정시에는, 온도 센서(22), 압력 센서(23), 출력계(24) 및 온도 센서(25)의 각 출력 신호는 임의의 값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표시 제어부(101c)는 판정부(101b)에서 판정된 형태의 내용에 기초하여 기억부(5)로부터 캐릭터(또는 가상 생명체) 등의 화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판독하여 표시부(4)에 표시시킨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물을 모의한 캐릭터가 공복을 호소하며 먹이를 요구하는 화상을 표시부(4)에 표시시킴으로써 연료의 공급을 재촉하고,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물을 모의한 캐릭터가 식사하는 꿈을 꾸는 등의 화상을 표시부(4)에 표시시켜 연료의 공급을 재촉한다. 또한, 식물을 모의한 가상 생명체이면,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잎 클로버에 의해 급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을 표시부(4)에 표시시킨다. 그 밖에, 식물을 모의한 가상 생명체가 생기 없음ㆍ늘어짐ㆍ시들기 시작함 등으로 물주기를 재촉하는 형태로 연료의 공급을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화상을 표시부(4)에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지 상태 검출부(101a)에서 출력계(24)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하한값이고 저하율이 어느 일정값 이상인 것을 검출하면, 판정부(101b)는 반응에 필요해지는 산소의 부족 등이 일어날 수 있는 폐색 환경 등이라 인식하고, 동작 환경의 개선을 재촉하거나, 혹은 일시적으로 발전을 정지하는 등의 필요성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상술한 판정 (b)]. 여기서, 이 판정에 있어서는, 액면계(21)와 온도 센서(24)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적정값이며, 온도 센서(22)와 압력 센서(23)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임의의 값이면 되는 것으로 한다. 이 판정에 의해, 표시 제어부(101c)는 부적절한 사용 상황, 일례로서, 산소의 공급이 극도로 방해되는 환경에 놓인 것에 대해, 산소가 충분한 상황으로 취출되는 것을 재촉하는 화상을 표시부(4)에 표시시킨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가방 등의 깊숙한 곳에서, 전지 반응에 필요한 산소 농도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환경에 놓임으로써, 동물을 모의한 캐릭터이면, 질식 기미가 보이는 표현으로 하여 산소를 요구함으로써 동작 환경의 개선을 재촉한다. 또한, 식물을 모의한 가상 생명체이면, 예를 들어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닥거리는 두 잎의 클로버를 경고 내용과 함께 표시부(4)에 표시시킨다. 그 밖에, 식물을 모의한 가상 생명체가 바짝 말라 버림ㆍ시들기 시작함 등으로 호흡 부족을 호소하고, 어느 정도의 산소 농도가 확보되는 장소에 사용 환경의 이동을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등의 표시예를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은 장소로의 이동이나, 공기의 교체가 극단적으로 적은 환경에서의 사용 하에 있어서, 사용 환경의 개선을 요구하는 경우도 상술과 같은 내용의 화상을 표시부(4)에 표시시킨다.
또한, 전지 상태 검출부(101a)에서 온도 센서(25)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하한값 이하로 된 것을 검출하면, 판정부(101b)는 연료의 공급이나 동작 환경의 이동 등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상술한 판정 (c)]. 여기서, 이 판정에 있어서는, 액면계(21)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적정값이며, 출력계(24), 온도 센서(22), 압력 센서(23)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임의의 값이면 되는 것으로 한다. 이 판정에 의해, 표시 제어부(101c)는 온도의 저하가 원인이라고 하여, 예를 들어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물을 모의한 캐릭터가 추워함ㆍ떨림 등의 화상을 표시부(4)에 표시시키거나, 혹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물을 모의한 캐릭터가 추운 가운데, 몸을 녹이고 싶어하는 모습의 화상을 표시부(4)에 표시시켜, 연료의 공급이나 동작 환경의 보다 고온 하로의 이동을 재촉한다. 또한, 식물을 모의한 가상 생명체이면, 동결 등 사용 환경의 개선 등을 요구하는 화상을 표시부(4)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지 상태 검출부(101a)에서 출력계(24)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하한값을 초과하고, 온도 센서(22)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상한값을 초과한 것을 검출하면, 전지 내부가 계속적으로 고온 상태로 된다고 하여, 판정부(101b)는 일시적인 전지 사용의 중단이나, 전지에 대한 부하의 경감 등의 동작의 개선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상술한 판정 (d)]. 이 판정에 있어서, 액면계(21)와 온도 센서(25)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적정값, 압력 센서(23)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임의의 값이면 된다. 이 판정에 의해, 표시 제어부(101c)는, 예를 들어 발전 등에 의해 지나치게 고온으로 되는 것이 원인이라고 하여, 동물을 모의한 캐릭터가 감기에 걸림ㆍ열이 남ㆍ아이스를 갖고 싶어하는 등의 화상에 의해 과도한 동작의 일시적 정지 등을 재촉하고, 식물을 모의한 가상 생명체이면, 타서 색이 바뀌는 등 동작의 일시적 저감 또는 정지를 재촉하는 화상을 표시부(4)에 표시시킨다.
또한, 전지 상태 검출부(101a)에서 온도 센서(25)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으로 된 것을 검출하면, 판정부(101b)는 동작 환경의 개선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상술한 판정 (e)]. 이 판정에 있어서, 액면계(21)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적정값이며, 출력계(24), 온도 센서(22), 압력 센서(23)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임의의 값인 것으로 한다. 이 판정으로부터, 표시 제어부(101c)는 동작 환경이 지나치게 고온인 것에 원인이 있다고 하여, 예를 들어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물을 모의한 캐릭터이면, 캐릭터가 아주 뜨거운 물에 들어가 더워하는 등의 화상을 표시시킴으로써 동작 상태의 개선이나 중단을 재촉한다. 물론, 동물을 모의한 캐릭터가 염천 하에 더워함ㆍ햇볕에 탐ㆍ냉장고에 들어가고 싶어함 등의 화상이어도 되고, 또한 식물을 모의한 가상 생명체이면, 바짝 말라 버려 시드는 등에 의해 동작 상태의 변경ㆍ개선ㆍ중단 등을 재촉하는 화상을 표시부(4)에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지 상태 검출부(101a)에서 액면계(21)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적정값이지만 과도하거나, 또는 계속적으로 크게 진동하는 것을 검출하면, 통상의 사용에 있어서 일반적이지 않은 상태에 있다고 하여, 판정부(101b)는 동작 환경의 변경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 즉, 휴대 전화기 전체를 심하게 흔드는 등 발전 및 발전 시스템의 열화를 재촉하는 동작 환경에 놓였을 때 등에, 그 동작 등의 정지를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상술한 판정 (f)]. 이 판정에 있어서, 온도 센서(25), 출력계(24), 온도 센서(22), 압력 센서(23)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임의의 값이면 된다. 이 판정에 의해, 표시 제어부(101c)는 심한 진동에 대해 동물을 모의한 캐릭터이면, 무서워함ㆍ화남ㆍ비명을 지름 등의 화상에 의해 부적절한 동작 환경의 정지를 재촉한다. 또한, 식물을 모의한 가상 생명체이면, 예를 들어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잎의 클로버가 목을 흔드는 등으로 사용 동작의 정지를 요구하는 화상을 표시부(4)에 표시시킨다.
또한, 전지 상태 검출부(101a)에서 액면계(21)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상으로 된 것을 검출하면, 과도한 연료의 공급 상태에 있다고 하여, 판정부(101b)는 과도한 연료의 공급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의 공급을 방지하는 형태를 판정한다[상술한 판정 (g)]. 이 판정에 있어서는, 온도 센서(25), 출력계(24), 온도 센서(22), 압력 센서(23)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임의의 값이면 된다. 이 판정에 의해, 표시 제어부(101c)는 연료가 충분히 있는 상태에서, 또한 사용자가 연료 공급을 행하려고 하는 것에 대해, 동물을 모의한 캐릭터이면, 배부름을 호소함ㆍ토함 등의 화상에 의해 과도한 연료 공급의 방지를 재촉하고, 식물을 모의한 가상 생명체이면, 물주기에 맞서 우산을 쓰는 등 연료 과공급의 정지를 요구하는 화상을 표시부(4)에 표시시킨다.
또한, 전지 상태 검출부(101a)에서 출력계(24)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하한값 이하이고 저하율이 어느 일정값 미만으로 된 것을 검출하면, DMFC 유닛(7)으로부터의 출력 신호 저하가 계속적이고, 이 이유가 연료 잔량 저하 이외의 이유에 의한 것으로 하여, 판정부(101b)는 사용의 일시적 정지를 재촉함과 함께, 연료실의 물을 줄이는 것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 즉, 액체 연료 탱크(10) 내 또는 전지 내에 있어서, 물의 양이 과도해져, 기능을 저해할 가능성을 갖는 상태에 도달한다고 판단되는 상황이 검출될 때, 그 전에, 사용의 일시적 정지를 재촉하고, 건조를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상술한 판정 (h)]. 이 판정에 있어서, [이 경우, 액면계(21)와 온도 센서(24)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적정값, 온도 센서(22)와 압력 센서(23)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임의의 값이면 된다. 이 판정에 의해, 표시 제어부(101c)는 환류수의 복귀가 현저해지거나, 탱크 내에 있어서의 물의 농도가 너무 높아지는 것에 대해, 동물을 모의한 캐릭터이면, 물에 빠짐ㆍ비를 맞음 등의 화상을 표시시키거나, 예를 들어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물을 모의한 캐릭터가 수중에서 쉬고 싶어하는 등의 화상을 표시부(4)에 표시시켜, 사용의 일시적 정지나 건조 환경으로의 사용 장소 이동을 사용자에게 재촉한다. 또한, 식물을 모의한 가상 생명체이면, 큰 비에 의한 홍수에 견디는 등에 의해, 환류수의 건조나, 사용의 정지에 의한 생성수의 일시적 발생 정지를 목적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상황의 일시적 변경을 재촉하여 건조를 재촉하는 화상을 표시부(4)에 표시시킨다.
또한, 전지 상태 검출부(101a)에서 출력계(24)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하한값을 초과하고, 온도 센서(22)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상한값 이하, 압력 센서(23)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상한값을 초과한 것을 검출하면, 전지 내부에 있어서 과도한 압력 상승이 발생하고, 연료 기화층(710)에 어느 일정 이상의 변형이 발생한 것으로 하여, 판정부(101b)는 그 변형 정도에 의해 사용자에게 동작 상황의 변경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 즉, 예를 들어 연료의 과공급이나, 동작 환경의 고온화에 의해 전지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고, 연료 기화층(710)이 지나치게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사용자에게 동작 상황의 변경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한다[상술한 판정 (i)]. 이 판정에 있어서, 액면계(21), 온도 센서(25)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적정값인 것으로 한다. 이 판정에 의해, 표시 제어부(101c)는 동물을 모의한 캐릭터이면, 병에 걸려 볼거리가 되는 등의 화상, 식물을 모의한 가상 생명체이면, 온실의 온도를 지나치게 상승시켜 온도 조절을 요구하는 등 사용자에게 일시적인 동작의 정지나 내부의 저온화를 촉진하는 등의 동작을 재촉하는 화상을 표시부(4)에 표시시킨다.
또한, 이러한 판정 (a) 내지 (i)에 따른 표시부(4)의 화상 표시에 대해 아무런 개선도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연료 전지의 운전을 종료하는 등의 다음 동작을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으로서 연료 전지가 사용되는 휴대 전화기에는, 연료 전지 시스템(6)의 각처에 전지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각종 상태 검출부,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 연료 탱크(10)의 액체 연료의 액면 높이를 검출하는 액면계(21), 전지 내부의 막 전극 접합체(701)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22), 전지 내부의 압력 상승과 함께 변형되는 연료 기화층(710)의 상태를 검출하는 압력 센서(23), DMFC 유닛(7)의 출력으로서 각 발전 셀(7a, 7b, 7c)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출력계(24) 및 연료 전지 시스템(6)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25)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상태 검출부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해 연료 전지 시스템(6)의 현재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고, 이들 검출된 동작 상태에 대해 이용자가 취해야 할 행동을 재촉하는 형태가 판정되고, 이 판정에 따라서 캐릭터 또는 가상 생명체 등의 화상이 표시부(4)에 표시됨으로써 이용자에 대해 연료 전지의 적절한 사용 상황을 재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표시부(4)에 표시되는 캐릭터 또는 가상 생명체 등의 표시 화면으로부터 전지 상태를 알고, 이 표시 내용에 따라서 전자 기기의 취급을 억제할 수 있다. 가령 연료 전지 시스템(6)에 있어서 가혹한 상황에서의 사용, 혹은 트러블을 일으킬 만한 취급을 받게 되는 경우가 있어도, 이 상태를 빠르게 해소할 수 있고, 연료 전지 시스템(6)을 장기간 안정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지의 장기 수명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지 상태에 대해 이용자가 취해야 할 행동을 재촉하는 내용을 캐릭터 또는 가상 생명체 등의 화상을 이용하여 표시함으로써, 이용자를 표시 내용에 대해 흥미를 갖고 주목시킬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신속한 행동을 기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연료 전지의 각처에 배치된 각종 상태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연료 전지 시스템(6)의 상태에 기초하여 이용자가 취해야 할 행동을 재촉하는 형태의 내용을 캐릭터나 가상 생명체 등의 화상을 이용하여 표시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각종 상태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출력을 기억하고, 기억 내용에 기초하여 전지 상태의 현상을 캐릭터 혹은 가상 생명체 등의 화상을 이용하여 표시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하는 기억부(5)는, 또한 연료 전지 시스템(6)의 각처에 배치된 상태 검출부인 액면계(21), 온도 센서(22), 압력 센서(23), 출력계(24) 및 온도 센서(25)의 각각의 검출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제어부(101)는 판정부(101b)에 의해 기억부(5)에 기억된 각 검출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이들 파라미터의 추이로부터 전지 상태의 현상, 예를 들어 전지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혹은 수명을 판정하고, 이 판정 내용에 기초하여 기억부(5)로부터 캐릭터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판독하여 캐릭터 혹은 가상 생명체 등의 화상을 표시부(4)에 표시시키고 있다. 그 밖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기억부(5)에 기억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는 판정에 있어서는, 연료 전지 시스템(6)의 각처에 배치된 각종 상태 검출부, 즉 액면계(21), 온도 센서(22), 압력 센서(23), 출력계(24) 및 온도 센서(25)의 각각의 검출 정보는 순차적으로 기억부(5)에 기억된다. 이 기억부(5)의 기억 내용은, 예를 들어 일정 기간마다 판독되어 제어부(101)에 보내진다. 제어부(101)는 판정부(101b)에 의해 기억부(5)에 기억된 각 검출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이들 파라미터의 추이로부터 전지 상태의 현상, 예를 들어 전지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혹은 수명을 통지하는 형태를 판정한다. 이 판정에 의해, 표시 제어부(101c)는 판정부(101b)에서 판정된 형태의 내용에 기초하여 기억부(5)로부터 캐릭터 혹은 가상 생명체 등의 화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 등을 판독하여 표시부(4)에 표시시킨다. 이 표시에 있어서, 구체예로서, 동물을 모의한 캐릭터이면, 나이를 먹는 등의 화상에 의해, 전지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수명 등의 대중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식물을 모의한 가상 생명체이면, 꽃을 피움ㆍ씨를 맺음 등으로 사용자에게 전지 누적 시간에 따른 경시 변화를 알리는 등의 표시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하면, 이용자는 표시부(4)에 표시되는 캐릭터나 가상 생명체 등의 화면으로부터 전지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나 수명 등을 대중 삼아 알 수 있으므로, 이때의 표시에 따라서 연료 전지 시스템(6)에 있어서 가혹한 상황에서의 사용이나, 트러블을 일으킬 만한 취급을 적극적으로 피함으로써, 연료 전지 시스템(6)을 더욱 장기간 안정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지의 한층 더 장기 수명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때의 표시 내용에 따라서 전지 전체의 교환 등을 행함으로써, 연료 전지 시스템(6)을 항상 안정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지 트러블에 의한 기기가 사용 불능으로 되는 등의 사태를 미연에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통지부로서 표시부(4)에 있어서 캐릭터나 가상 생명체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였지만, 이들 화상의 표시와 함께, 예를 들어 음성, 의음 및 광 등을 병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음성이나 의음으로서, 다른 소리를 판정부(101b)에서의 판정 내용에 대응시켜 복수 종류 준비하면, 전지 상태의 상세를 소리만으로 전할 수 있다. 또한, 바이브레이터 등의 진동을 병용해도 된다. 이러한 진동을 사용하면, 기기가 가방이나 포켓 등 안에 들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확실하게 전지의 상태를 전할 수 있다. 물론, 이들 음성, 의음, 진동 및 광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판정부(101b)의 판정 내용을 캐릭터나 가상 생명체의 화상과 함께 문자나 기호를 사용하여 표시부(4)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연료 전지 시스템(6)의 각처에 배치된 상태 검출부로서 액면계(21), 온도 센서(22), 압력 센서(23), 출력계(24) 및 온도 센서(25)를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일례이며, 이들 이외의 상태 검출부를 연료 전지 시스템(6)의 각처에 배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요컨대, 연료 전지 시스템(6)의 각처에 배치된 상태 검출부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연료 전지의 현재의 상태를 검출하고, 이들 검출된 전지 상태에 대해 이용자가 취해야 할 형태를 판정하여, 이 판정 내용을 캐릭터나 가상 생명체 등의 화상, 음성, 진동, 광 등을 사용하여 통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개개의 상태 검출부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해 연료 전지 시스템(6)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였지만, 복수의 상태 검출부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조합에 의해 연료 전지 시스템(6)의 현재의 상태를 판정하여, 캐릭터 또는 가상 생명체 등의 화상이나 음성, 진동, 광을 사용하여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기기로서 휴대 전화기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휴대용 오디오 기기 등의 다른 소형 전자 기기에의 적용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부를 갖는 전자 기기(휴대 전화기)에 연료 전지 시스템이 조립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표시부가 전자 기기와 독립되어 설치되는 것이나, 전자 기기와 독립되어 연료 전지 시스템이 설치되는 것에 대해서도 상술한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는, 여러가지 단계의 발명이 포함되어 있고,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건에 있어서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다양한 발명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나타내어져 있는 전체 구성 요건으로부터 몇 가지의 구성 요건이 삭제되어도,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부분에서 설명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고, 발명의 효과의 부분에서 설명되어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경우에는, 이 구성 요건이 삭제된 구성을 발명으로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한 설명에서는, 주로 DMFC 유닛(7)의 구성으로서 패시브형의 연료 전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액티브형의 연료 전지 등 나아가 연료 공급 등 일부에 펌프 등을 사용한 세미패시브형의 연료 전지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고, 패시브형의 연료 전지를 사용한 경우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기간 안정되게 연료 전지의 사용이 가능하고, 전지의 장기 수명화를 실현한 연료 전지가 사용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1: 전화기 본체
2: 안테나
3: 입력부
4: 표시부
5: 기억부
6: 연료 전지 시스템
7: DMFC 유닛
8: 제어 유닛
9: 보조 전원
10: 액체 연료 탱크
11: 출력 단자
101: 제어부
101a: 검출부
101b: 판정부
101c: 표시 제어부

Claims (6)

  1. 전자 기기 본체와,
    상기 전자 기기 본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연료 전지와,
    상기 연료 전지의 각처에 복수 배치되어 상기 연료 전지 각처의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와,
    상기 상태 검출부의 각각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연료 전지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전지 상태 검출부와,
    상기 전지 상태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연료 전지의 동작 상태에 대해 취해야 할 행동을 재촉하는 형태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의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형태의 내용을 통지하는 통지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부는 상기 연료 전지를 구성하는 액체 연료 탱크에 공급되는 액체 연료의 존재 액량을 검출하는 액량 검출부, 상기 연료 전지를 구성하는 막 전극 접합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 상기 연료 전지를 구성하는 연료 기화층의 내압 변화를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 상기 연료 전지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검출하는 출력 검출부 및 상기 연료 전지 주위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판정부에서의 판정의 내용을 캐릭터 또는 가상 생명체의 화상에 의해 표시하는, 전자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캐릭터 또는 가상 생명체의 화상 표시와 함께, 음성, 의음, 진동 및 광 중 적어도 하나를 통지하는, 전자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음성, 의음, 진동 및 광 중 적어도 하나를 통지하는, 전자 기기.
  6. 상기 상태 검출부의 검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갖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검출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이들 파라미터의 추이로부터 연료 전지의 현상을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또는 전지 수명으로서 통지하는 형태를 판정하고,
    상기 통지부는 상기 판정부에서의 판정의 내용을 캐릭터 또는 가상 생명체의 화상에 의해 표시하는, 전자 기기.
KR1020107000076A 2007-07-06 2008-07-01 전자 기기 KR201000205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78981A JP2009016270A (ja) 2007-07-06 2007-07-06 電子機器
JPJP-P-2007-178981 2007-07-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510A true KR20100020510A (ko) 2010-02-22

Family

ID=40228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0076A KR20100020510A (ko) 2007-07-06 2008-07-01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04907A1 (ko)
EP (1) EP2175511A4 (ko)
JP (1) JP2009016270A (ko)
KR (1) KR20100020510A (ko)
TW (1) TW200921132A (ko)
WO (1) WO20090082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6277B2 (ja) * 2007-07-13 2013-07-0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燃料電池式電源装置
JP5195031B2 (ja) * 2008-05-28 2013-05-08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JP2010033901A (ja) * 2008-07-29 2010-02-12 Toshiba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US10121210B2 (en) * 2012-09-05 2018-11-06 Apple Inc. Tracking power states of a peripheral device
JP6111419B2 (ja) * 2013-03-29 2017-04-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4216727A (ja) * 2013-04-24 2014-11-17 アンリツ株式会社 移動体通信端末試験装置及び移動体通信端末試験方法
CN112636004B (zh) * 2019-10-09 2022-09-13 安徽工业大学 测定流注电子密度时空演化的超材料聚焦天线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6458A (ja) 1999-02-12 2000-08-29 Fuji Photo Film Co Ltd 電池駆動型電子機器
JP2002090326A (ja) * 2000-09-20 2002-03-27 Tdk Corp 携帯用電子機器
JP2003229159A (ja) * 2002-01-31 2003-08-15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操作表示装置
JP4136430B2 (ja) * 2002-04-11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機器
JP4178830B2 (ja) * 2002-05-08 2008-11-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改質システム
JP4438292B2 (ja) * 2003-01-08 2010-03-24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動作制御方法
JP4449304B2 (ja) * 2003-01-08 2010-04-14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動作制御方法
US20060099468A1 (en) * 2003-01-08 2006-05-11 Shigemasa Sato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operating control method
JP2004241169A (ja) * 2003-02-04 2004-08-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とそれを用いた携帯機器
JP3830910B2 (ja) * 2003-03-04 2006-10-11 株式会社東芝 燃料電池ユニットおよび状態表示制御方法
JP4465172B2 (ja) * 2003-09-04 2010-05-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燃料電池の管理システム、及び当該管理システムを備える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4953219B2 (ja) * 2003-11-18 2012-06-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燃料電池の寿命予測装置、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EP1542302B1 (en) * 2003-11-18 2012-05-23 Panasonic Corporation Fuel cell life predicting device and fuel cell system
JP4652162B2 (ja) * 2004-08-09 2011-03-16 京セラミタ株式会社 電気機器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動作プログラム
US7394396B2 (en) * 2004-08-09 2008-07-01 Koji Seki Electrical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operation program product
JP2006108028A (ja) * 2004-10-08 2006-04-20 Toshiba Corp 燃料電池
JP2006216362A (ja) * 2005-02-03 2006-08-17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
TWM281303U (en) * 2005-07-12 2005-11-21 Syspotek Corp Fuel cell with integrated circuit component
JP4585475B2 (ja) * 2006-03-14 2010-11-24 株式会社東芝 燃料電池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75511A4 (en) 2011-12-21
US20100104907A1 (en) 2010-04-29
TW200921132A (en) 2009-05-16
WO2009008290A1 (ja) 2009-01-15
JP2009016270A (ja) 2009-01-22
EP2175511A1 (en) 201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0510A (ko) 전자 기기
US20060127721A1 (en) Fuel cell control and data reporting
US20070141440A1 (en) Cylindrical structure fuel cell
US8241799B2 (en) Methods of operating fuel cell power generators, and fuel cell power generators
US20100173212A1 (en) Fuel cell degradation detecting apparatus and fuel cell system
JP5490268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977959B1 (ko) 전기화학 디바이스
US20130130141A1 (en) Direct oxidation fuel cell system
US20120064425A1 (en) Fuel cel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8957622B2 (en) Fuel cell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JP2007265840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5219414B2 (ja) 電源システム
CN102484266B (zh) 燃料电池装置及对其进行操作的方法
KR100830299B1 (ko) 연료 잔여량을 산정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US20080193810A1 (en) Hydrogen generating apparatus and fuel cell power generation system
JP5344218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KR100986870B1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 연료량 판단 방법
US7977001B2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fuel cell-power supply unit
US20060110635A1 (en) Fuel cell system, gas replacement method for fuel cell system, and device for fuel cell system
US787599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fuel cell system
KR20090089477A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전자 기기
JP2005116292A (ja) ウェアラブル燃料電池
WO2014045510A1 (ja) 直接酸化型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回収タンク
JP2004319388A (ja) 燃料電池用燃料容器、燃料供給装置および携帯機器用燃料電池
JP2010033904A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