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334A -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체 - Google Patents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334A
KR20100019334A KR1020090069922A KR20090069922A KR20100019334A KR 20100019334 A KR20100019334 A KR 20100019334A KR 1020090069922 A KR1020090069922 A KR 1020090069922A KR 20090069922 A KR20090069922 A KR 20090069922A KR 20100019334 A KR20100019334 A KR 20100019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guide
embroidery
sewing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코 후시미
데츠로우 곤도우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9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7/00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 D05C7/08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for attaching cords, tapes, band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3/00Applied objects or articles
    • D05D2303/02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과제> 자수재의 진동각을 크게 하여 자수재의 새발뜨기 바느질(지그재그 바느질)을 보다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체의 제공.
<해결 수단> 옷감 누름체를 끈 모양의 자수재를 침 낙하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에 대향 배치할 때, 옷감 누름부의 단부(端部)를 대략 침 낙하위치로 근접시키도록 배치하고, 자수재를 안내하고 있는 가이드부의 선단 부분을 종래에 비해 대략 침 낙하위치에 나란한 위치로까지 보다 근접하도록 했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부가 안내하는 자수재의 진동각을 크게 할 수 있어, 새발뜨기 바느질을 보다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봉침(縫針)에 통과된 윗실을 봉침 위치의 부근으로부터 멀어지지 않게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옷감 누름부의 선단의 위쪽에 마련하고, 가이드부의 선단 부분을 종래에 비해 대략 침 낙하위치에 나란한 위치로까지 근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윗실을 침 낙하위치의 부근으로 확실히 안내하여 회전 제어되는 가이드부나 옷감 누름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했다.

Description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체{FABRIC HOLDER FOR EMBROIDERY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테이프나 코드 등의 끈 모양의 자수재(刺繡材)를 침원(針元) 위치에 대해서 바느질 진행방향의 좌우로 지그재그로 진동시키면서 공급하여 포지(布地) 등의 피봉제물에 꿰매는 자수 미싱에 있어서, 바늘대의 상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하로 움직이고, 피봉제물을 누르는 옷감 누름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 문헌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나 코드 등의 끈 모양의 자수재를 침원(針元)에 대해 지그재그로 진동시키면서 공급하여 천 등의 피봉제물에 꿰매는, 소위 새발뜨기 바느질이 가능한 미싱 헤드를 갖춘 자수 미싱이 알려져 있다. 이 특허 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는 미싱헤드는, 하단부에 봉침이 장착되어 상하로 구동되는 바늘대와, 바늘대의 상하 운동에 연동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옷감 누름체와, 바늘대의 외측 둘레에 상기 바늘대와 동심(同心) 형상으로 조립되고, 그 축심 둘레로의 회전이 자유로운 회전체와, 이 회전체에 대해서 레버 핀에 의해서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되어, 봉침의 침원 위치에 끈 모양의 자수재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버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08-29963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2007-000501호 공보
이와 같은 미싱 헤드를 갖춘 자수 미싱에서는, 소정의 바느질 데이터에 근거하여 피봉제물에 대한 바느질 진행방향을 산출하고, 이 바느질 진행방향에 따라서, 레버 핀이 상시 바느질 진행방향의 전방의 정면에 위치하도록 회전체를 방향 제어하면서 바느질 동작을 실시한다. 그 때에는, 가이드 레버를 레버 핀 둘레로 왕복요동 시키는 것으로, 자수재를 봉침의 침원(針元)에 대해 소정의 패턴으로 바느질 진행방향에 대해서 좌우로 지그재그로 진동시키면서 공급하고, 바늘대(針棒)를 상하로 구동하여 본 바느질에 의해 자수재를 피봉제물에 꿰메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자수 미싱에 있어서 미싱 헤드의 일부를 구성하는 옷감 누름체는, 그 하단부에 피봉제물을 누르는 옷감 누름체를 가지고 있고, 자수재를 피봉제물에 바느질하여 꿰맬 때는, 이 옷감 누름부에서 침 낙하위치의 주위의 피봉제물을 누르도록 되어 있다. 이 옷감 누름부에는 봉침의 관통을 허용하는 관통구멍 또는 오목(凹)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옷감 누름부의 선단은 침 낙하 위치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결국은, 침 낙하 위치가 옷감 누름부의 선단측보다도 안쪽 측에 위치하도록 관통구멍이 배치되어 있는 또는 오목(凹)부가 깊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미싱헤드에서는 옷감 누름체가 가이드 레버와 동일 측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미싱헤드에서는 옷감 누름체가 가이드 레버와 대향하는 측에 마련되어 있다. 더욱이, 옷감 누름체는 회전체의 방향제어에 근거하여 가이드 레버와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의 자수 미싱에 있어서 새발뜨기 바느질을 실시했을 때에, 가이 드 레버가 바느질 진행방향의 좌측으로 요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 있어서, G 는 가이드 레버, T 는 끈 모양의 자수재, P 는 봉침의 침 낙하위치(스티치 위치), Pa 는 하나 앞(前)의 스티치 위치이다. 이 도면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레버(G)의 자수재(T)를 안내하고 있는 선단부분이, 실선으로 가리키는 위치(침 낙하위치(P)에 먼 위치)에 있는 경우와, 상상선(想像線)(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상기 실선으로 가리킨 위치보다도 침 낙하위치(P)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경우에서는, 상상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의 쪽이 하나 앞(前)의 스티치 위치(Pa)에 보다 가깝고,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있는 경우와 비교하면, 상기 하나 앞의 스티치 위치(Pa)를 중심으로 하는 자수재(T)의 진동각이 커지게 되어 있다. 즉, 가이드 레버(G)의 선단 부분은 침 낙하위치(P)에 가까운 편이 자수재(T)의 진동각이 크게 되고, 이것에 의해 자수재(T)와 봉침과의 접촉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자수재(T)의 새발뜨기 바느질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렇지만,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미싱 헤드에 있어서는, 옷감 누름체가 가이드 레버와 동일 측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레버의 선단 부분을 침 낙하 위치로 근접하는 경우에 가이드 레버의 선단 부분이 옷감 누름체의 배면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밖에 근접할 수 없다. 한편, 상기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미싱 헤드에 있어서는, 옷감 누름체가 가이드 레버에 대향하여 마련되어 있어, 가이드 레버의 선단 부분을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미싱 헤드보다는 침 낙하 위치로 근접할 수 있으나, 상기한 것처럼 옷감 누름체의 옷감 누름부의 선단은 침 낙하위치 보다 길게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부터, 가이드 레버의 선단 부분을 그 옷감 누름부의 선단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밖에 근접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종래에서는 가이드 레버의 선단 부분을 보다 침 낙하위치로 근접하도록 하는 경우, 가이드 레버의 선단을 옷감 누름체에 간섭하지 않도록 침 낙하 위치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까지 밖에 근접할 수 없고, 그 이상으로 가이드 레버의 선단 부분을 침 낙하 위치로 근접하는 것은 불가능한 구조였다.
또, 상술한 것처럼, 옷감 누름체의 옷감 누름부에는 봉침의 관통을 허용하는 관통구멍 또는 오목(凹)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관통구멍 또는 오목(凹)부는 봉침으로부터 피봉제물로 늘어나는 윗실을 침 낙하위치의 부근으로 안내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특허 문헌 2에 개시되고 있는 것처럼, 봉침의 관통을 허용하는 부분이 오목(凹)부인 경우에는, 그 전단부(前端部)가 개방하고 있으므로, 크게 자수틀을 이동했을 때 등에 오목(凹)부로부터 윗실이 이탈되어 버려, 봉침으로부터 피봉제물로 늘어나는 윗실이 경사(傾斜) 한 상태로 되는 일이 있다. 이 윗실이 경사 한 상태인 때에, 서로 대향하여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 레버 및 옷감 누름체가 회전제어되면, 경사(傾斜)한 윗실이 가이드 레버나 옷감 누름체에 걸려 실 절단이나 침 절단이 발생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가이드 레버(가이드부)의 선단 부분을 종래에 비해 침 낙하 위치에 보다 근접시켜 자수재의 진동각을 크게 하고, 자수재의 새발뜨기 바느질을 보다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자수 미싱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또, 가이드 레버(가이드부)의 선단 부분을 종래에 비해 침 낙하위치에 보다 근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윗실을 침 낙하위치의 부근으로 확실히 안내하도록 한 자수 미싱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옷감 누름체는, 새발뜨기 바느질을 실시하는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체로서, 하단에 형성한 피봉제물을 누르는 수평인 옷감 누름부의 단부의 위쪽에는 봉침에 통과된 윗실을 침 낙하위치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마련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옷감 누름부의 단부(端部)를, 침 낙하위치에 근접시키는 것과 동시에, 끈 모양의 자수재를 상기 침 낙하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에 대향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새발뜨기 바느질을 실시하는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체로서, 상기 옷감 누름체는 하단에 형성한 피봉제물을 누르는 수평인 옷감 누름부의 단부의 위쪽에, 봉침으로 통과된 윗실을 침 낙하위치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마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옷감 누름체는 옷감 누름 부의 단부를 침 낙하위치에 근접시키고, 끈 모양의 자수재를 침 낙하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에 대향하여 배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옷감 누름부의 단부를 대략 침 낙하위치로 근접하도록 배치하면, 자수재를 안내하고 있는 가이드부의 선단 부분을 종래에 비해 대략 침 낙하위치에 나란한 위치로까지 보다 근접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자수재의 진동각을 크게 하여 자수재의 새발뜨기 바느질을 보다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 가이드 부재를 옷감 누름부의 단부의 위쪽에 마련하면, 침 낙하위치에 근접한 가이드부의 선단 부분과 가이드 부재가 간섭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왕복 구동하는 가이드부의 선단부분을 침 낙하위치에 보다 근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회전 제어되는 가이드부나 옷감 누름체에 걸리는 일이 없도록 윗실을 침 낙하위치 부근으로 확실히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부재는 와이어(wire) 형상으로서, 가이드부 선단에 마련된 가이드 통(筒)의 자수재 도출구(導出口)와 간섭하지 않는 높이로, 봉침의 삽통(揷通)을 허용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봉침에 통과된 윗실을 통과하는 반원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봉침의 상승시에 있어서 상기 봉침으로부터 피봉제물로 연결되고 있는 윗실을 상기 반원부 내에 위치시키고, 윗실을 봉침 위치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와이어 형상의 가이드 부재를 옷감 누름부 선단의 위쪽으로 가이드부 선단에 마련된 가이드 통의 자수재 도출구와 간섭하지 않는 높이로 마련한다고 하는 간단하고 쉬운 구성이고, 가이드부의 선단 부분을 봉침 위치에 보다 근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데다가, 윗실이 회전 제어되는 가이드부나 옷감 누름 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봉침에 통과된 윗실을 침 낙하위치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옷감 누름부의 단부의 위쪽에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옷감 누름체를, 끈 모양의 자수재를 봉침 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에 대향하도록 하여 배치할 때에, 옷감 누름부의 단부를 대략 침 낙하위치로 근접시키도록 배치하고, 자수재를 안내하고 있는 가이드부의 선단 부분을 종래에 비해 대략 침 낙하위치에 나란한 위치로까지 보다 근접하도록 한 것으로부터, 가이드부가 안내하는 자수재의 진동각을 크게 할 수 있어 새발뜨기 바느질을 보다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 윗실을 침 낙하위치의 부근으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옷감 누름부 선단의 위쪽에 마련하도록 한 것에 의해서, 가이드부의 선단 부분을 종래에 비해 대략 침 낙하위치에 나란한 위치로까지 보다 근접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윗실을 침 낙하위치의 부근으로 확실히 안내하여 회전 제어되는 가이드부나 옷감 누름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테이프나 코드 등의 끈 모양의 자수재를 침 낙하위치에 대하여 바느질 진행방향의 좌우로 지그재그로 진동시키면서 공급하여 포지(布地) 등의 피봉제물에 꿰매는 소위 새발뜨기 바느질이 가능한 자수 미싱의 미싱헤드(H)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은 그 정면도이고, 도 2는 그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미싱헤드(H)에는, 축방향이 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 바늘대(2)가 마련되어 있다. 바늘대(2)는, 미싱 주축(1)의 회전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바늘대(2)의 하단부에는 봉침(3)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바늘대(2)의 외측 둘레에는 지지통(4)이 장착되어 있다. 지지통(4)은, 미싱헤드(H)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 슬리브(5)의 내측 둘레면에서 안내되고, 바늘대(2)에 대한 상대적인 승강 동작 및 바늘대(2)의 축심 둘레의 회전동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통(4)의 상단부 외측 둘레에는 결합 링(6)이 고정되어 있고, 결합 링(6)에는 모터(7)의 구동에 의해서 상하로 움직이는 구동 암(8)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지지통(4)의 하단에는 옷감 누름 지지체(9)가 고정되어 있다. 옷감 누름 지지체(9)는 그 하단부가 두 갈래로 갈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편의 각부(脚部)의 외측면에는 그 긴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키 홈(9a)이 형성되고, 다른 편의 각부의 하단부에는 옷감 누름체(1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옷감 누름체(10)의 하단부에는, 바느질 시에 피봉제물을 누르는 옷감 누름부(10a)가 가이드 레버(20)측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옷감 누름부(10a)는 그 선단이 대략 침 낙하위치와 나란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옷감 누름부(10a)의 선단부에는 봉침(3)의 삽통을 허용하는 오목(凹)부(10b)(관통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과 함께, 옷감 누름부(10a)의 선단부 위쪽에 있어서 반원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와이어 형상의 실 가이드(10c)(가이드 부재)가 고정되어 있다(자세한 것은 후술하는 도 4 참조). 상기 실 가이드(10c)는, 그 형성하는 반원부가 본 미싱 윗쪽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오목(凹)부(10b)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고정된다.
고정 슬리브(5)의 외측 둘레에는, 회전통(11)이 장착되어 있다. 회전통(11)은, 바늘대(2)와 동심 형상으로 장착되어 있고, 바늘대(2)의 축심 둘레로 회전동작만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통(11)의 상단부 외측둘레에는 타이밍 풀리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이 타이밍 풀리부(12)와 모터(13)의 회전축(13a)에 고정된 구동풀리(14)와의 사이에 타이밍 벨트(15)가 걸쳐져 있다. 이것에 의해, 모터(13)가 구동되어 구동풀리(14)가 회전하면, 타이밍 벨트(15) 및 타이밍 풀리부(12)를 통하여 그 회전이 전달되고, 회전통(11)이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회전통(11)의 하단에는 옷감 누름 지지체(9)의 키 홈(9a)에 결합하는 키(key) 부재(16)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옷감 누름체(10)는 지지통(4)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서 상하로 움직이는 것과 동시에, 회전통(11)의 회전에 따라 바늘대(2)의 축심 둘레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통(11)의 외측 둘레에는, 연동부재(連動部材)(17)가 상하 움직임이 가능한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연동부재(17)에는 연결편(18)이 고정되어 있고, 연결편(18)은 회전통(11)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결합홈(11a)에 결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연동부재(17)는 회전통(11)의 회전에 따라 회전통(11)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통(11)에는 브래킷(19)을 통하여 가이드 레버(20)(가이드부)가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레버(20)는, 브래킷(19)의 외측면에 부착된 레버 핀(21)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통(11)에 대해서 바늘대(2)의 축방향의 좌 우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레버(20)는, 레버 핀(21)의 위치로부터 측방향으로 늘어나는 한편의 암(Arm) 부(22a)와 아래쪽으로 늘어나는 다른 편의 암부(22b)를 갖추어 대략 L자 형으로 형성된 베이스 부재(22)와, 베이스 부재(22)의 암부(22b)의 하단에 연결된 가이드 암(23)을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암(23)의 하단에는, 끈 모양의 자수재(T)를 봉침(3)의 침 낙하위치(침 원위치)로 공급하기 위한 가이드 통(24)이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통(24)의 하단부는, 자수재(T)가 도출되는 자수재 도출구(24a)로 되어 있다. 이 가이드 통(24)이 옷감 누름체(10)와 대향하도록 하고, 가이드 레버(20)의 배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옷감 누름체(10)의 옷감 누름부(10a)의 선단은 대략 봉침 위치와 나란한 길이로 설정해 두고, 가이드통(24)은 그 자수재 도출구(24a)를 가능한 한 침 낙하위치로 근접시켜 고정하고 있다. 또한, 옷감 누름부(10a)의 선단의 위쪽으로 실 가이드(10c)에 의해서 형성되는 반원부는, 후술 하는 것처럼, 새발뜨기 바느질 시에 좌우 방향(수평 방향)으로 왕복 요동 되는 가이드 통(24)의 자수재 도출구(24a)와 간섭하지 않는 높이(자수재 도출구(24a)의 왕복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 부재(22)의 암부(22a)의 선단에는 코로(25)가 장착되어 있고, 코로(25)는 연결편(18)의 연계 홈(18a)에 결합되어 있다. 또, 회전통(11)의 외측둘레에는 보빈 브래킷(26)이 고정되고 있고, 이 보빈 브래킷(26)에는 끈 모양의 자수재(T)를 감은 보빈(27)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바늘대(2)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축방향이 상하 방향(수직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배치된 가이드 축(28)이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축(28)에는 승강부재(29)가 장착되어 있다. 승강부재(29)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전달기구를 통하여 지그재그 진동 모터(30)의 회전에 의한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으로, 가이드축(28)으로 안내되면서 그 축방향에 따라서 상하 이동(승강 이동) 하게 되어 있다. 승강부재(29)에는 바늘대(2)로 향해 대략 수평으로 돌출하는 포크부(29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포크부(29a)가 연동부재(17)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홈(溝)부(17a)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부재(29)의 상하 이동에 의해서 연동부재(17) 및 연결편(18)이 상하 이동하고, 연결편(18)의 상하 이동이 연계홈(連係溝)(18a) 및 코로(25)를 통하여 가이드 레버(20)의 요동으로 변환된다. 이렇게 하여, 가이드 레버(20)의 하단부에 고정된 가이드 통(24)이, 지그재그 진동 모터(30)로부터 가이드 암(23)에 이르는 요동 기구의 작동에 의해, 레버 핀(21)을 지점으로 하여 바느질 진행 방향에 대해서 좌우로 직선적으로 왕복요동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도 1에서는, 승강부재(29)가 상한 위치에 있어 가이드 레버(20)가 좌측으로 한껏 요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3은 미싱헤드(H)의 하부를 정면에서 본 부분도이며, 승강부재(29)가 하한위치에 있어 가이드 레버(20)가 우측으로 한껏 요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이드 레버(20)의 가이드 통(24)은, 도 1에 나타내는 위치와 도 3에 나타내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바늘대(2)의 왕복운동에 동기(同期)하여 좌우로 왕복요동 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통(24)의 선단에 마련한 자수재 도출구(24a)로부터 나온 자수재(T)가, 소정의 패턴으로 바느질 진행방향에 대해서 좌우로 지그재그 진동하면서 침 낙하위치로 공급되 고, 순차적으로 피봉제물에 꿰매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각 도면에 있어서, (31)은 주지의 침판(針板)이다.
여기서, 상기 구성의 미싱헤드(H)에 있어서, 본 바느질에 의해 자수재(T)를 피봉제물에 꿰매는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자수재(T)를 감아 돌린 보빈(27)을 보빈 브래킷(26)에 세트하는 것과 동시에, 자수재(T)를 보빈(27)으로부터 풀어내 보내 가이드 통(24)으로 통과시키고, 자수재 도출구(24a)로부터 봉침(3)의 침 낙하위치로 유도한다. 이 상태에서, 자수틀(결국은 피봉제물)을 소정의 자수 데이터에 근거하여 X Y 방향으로 이동 제어하는 것과 동시에, 바늘대(2)를 상하로 구동하여 봉침(3)과 도시하지 않은 가마와의 기능에 의해서 주지의 본 바느질을 실시한다. 이때, 모터(7)의 구동에 의해서, 옷감 누름체(10)가 바늘대(2)의 상하 구동에 대해서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하 이동되고, 옷감 누름체(1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옷감 누름부(10a)가 피봉제물을 누르는 옷감 누름의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레버(20)는, 지그재그 진동 모터(30)의 구동에 의해서 도 1에 나타내는 위치와 도 3에 나타내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타이밍으로 좌우로 왕복 요동된다. 이 동작에 따라 가이드 통(24)에 의해 봉침(3)의 침 낙하위치로 안내되고 있는 자수재(T)는, 예를 들면 바늘대(2)의 1 왕복마다(1 바느질마다)에 침 낙하위치의 좌우로 진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자수재(T)는, 새발뜨기 바느질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피봉제물에 꿰맬 수 있게 된다. 이 때, 회전통(11)은 모터(13)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되고, 레버 핀(21)은 피봉제물의 이동에 근거하는 미싱헤드(H)의 상대적 진행 방향의 전면(前面)에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도 4는, 상기 새발뜨기 바느질 시의 지그재그 진동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 가이드 레버(20)가 좌측으로 요동한 상태(도 1에 대응)를 위로부터 본 평면 개략도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는 종래 알려진 자수 미싱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좌측으로 요동한 상태에 있는 자수재 도출구(24a´)의 위치가 일점 쇄선으로 표시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자수 미싱의 미싱헤드(H)에 있어서, 옷감 누름체(10)와 가이드 레버(20)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옷감 누름부(10a)는 그 선단이 대략 침 낙하위치와 나란한 길이로 설정해 두므로, 이 도면에 의해 명확해진 것 처럼, 자수재 도출구(24a)가 대략 침 낙하위치(P)와 나란한 정도의 가까운 위치까지, 가이드 통(24)을 옷감 누름체(10)에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자수재 도출구(24a)를 침 낙하위치(P)에 보다 가까운 위치로 근접시키면, 하나 앞(前)의 스티치 위치(Pa)에 자수재 도출구(24a)를 근접시키는 것도 되고, 상기 하나 앞(前)의 스티치 위치(Pa)를 중심으로 하는 자수재(T)의 진동각이, 종래의 위치에 배치된 자수재 도출구(24a′)로부터 풀어 내어지는 자수재(T′)의 진동각보다도 커진다. 따라서, 자수재(T)는 침 낙하위치(P)로부터 보다 크게 멀어지게 되므로, 자수재(T)와 봉침(3)과의 접촉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자수재(T)의 새발뜨기 바느질을 종래에 비해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미싱헤드(H)의 하부를 나타낸 측면 확대도로서, U는 윗실, S는 피봉제물이다. 새발뜨기 바느질의 제1 침에서 바늘대(2)(봉침(3))가 하강하면, 봉침(3)에 통과된 윗실(U)은 봉침(3)과 함께 옷감 누름체(10)의 실 가이드(10c)의 반원부 와 오목(凹)부(10b)와의 내측으로 통과된다. 제1 침의 스티치가 형성되어 바늘대(2)가 상승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침(3)으로부터 피봉제물(S)에 연결되는 윗실(U)은 실 가이드(10c)의 반원부와 오목(凹)부(10b)와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인 채, 즉 윗실(U)이 실 가이드(10c), 오목(凹)부(10b)에서 침 낙하위치의 부근으로부터 멀어지는 일이 없이 안내되어진다. 이것에 의해, 피봉제물(S)을 보유지지한 자수틀(도시하지 않음)이 크게 이동되었을 때에도, 윗실(U)은 오목(凹)부(10b)로부터 이탈되는 일은 있어도 실 가이드(10c)로부터 이탈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항상 윗실(U)은 확실히 침 낙하위치의 부근으로 안내되고 있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종래의 자수 미싱과 같이 하여 윗실(U)이 회전 제어되는 가이드 레버(20)나 옷감 누름체(10)에 걸리는 것이 없고, 거기에 따른 실 절단이나 침 부러짐 등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더욱이, 이 실 가이드(10c)에서 형성된 반원부는 옷감 누름부(10b)의 위쪽에 마련되어 있어, 대략 침 낙하위치(P)와 나란한 정도까지 침 낙하위치(P)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한 가이드 통(24)의 자수재 도출구(24a)가 직선적으로 왕복 요동되어도, 자수재 도출구(24a)는 실 가이드(10c)를 포함한 옷감 누름체(10)와 간섭하는 일은 없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자수 미싱의 미싱헤드(H)의 일부를 구성하는 옷감 누름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a)는 측면도이며, (b)는 평면도이다. 이 옷감 누름체(32)는 판상(板狀)부재를 절곡가공하여 형성되어 있고, (32a)가 옷감 누름부, (32b)가 오목(凹)부(관통부), (32c)가 실 가이드(가이드 부재)이다. 또한, 옷감 누름부(32a)의 선단 부분은, 대략 침 낙하위치에서 위쪽으로 절곡되어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실 가이드(32c)를 옷감 누름부(32a)와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도면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직접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가 없는 어떤 쪽의 형상ㆍ구조ㆍ재질이어도, 본원 발명의 작용ㆍ효과를 나타내는 이상,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자수재(T)로서 코드나 테이프를 예로 들었지만, 코드나 테이프 이외에도, 예를 들면 비즈 끈 등의 다른 자수재이어도 괜찮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새발뜨기 바느질이 가능한 자수 미싱의 미싱헤드(H) 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새발뜨기 바느질이 가능한 자수 미싱의 미싱헤드(H) 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 3은 미싱헤드(H) 의 하부를 정면에서 본 부분도로, 승강부재(29)가 하한 위치에 있어 가이드 레버(20)가 우측으로 한껏 요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새발뜨기 바느질 시의 지그재그 진동 동작을 설명하는 평면 개략도로, 가이드 레버(20)가 좌측으로 요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미싱헤드(H)의 하부를 나타낸 측면 확대도이다.
도 6은 옷감 누름체(3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로, (a)는 측면도, (b)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자수 미싱에 있어서 새발뜨기 바느질을 실시했을 때에, 가이드 레버(G)가 바느질 진행방향의 좌측으로 요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미싱 주축
2 … 바늘대
3 … 봉침
4 … 지지통
5 … 고정 슬리브
6 … 결합 링
7(13, 30) … 모터
8 … 구동 암
9 … 옷감 누름 지지체
10(32) … 옷감 누름체
10a(32a) … 옷감 누름부
10b(32b) … 오목(凹)부
10c(32c) … 실 가이드
11 … 회전통
20(G) … 가이드 레버
23 … 가이드 암
24 … 가이드 통
24a(24a') … 자수재 도출구
27 … 보빈
30 … 지그재그 진동 모터
H … 미싱 헤드
T(T') … 자수재
U …윗실
S … 피봉제물

Claims (4)

  1. 새발뜨기 바느질을 실시하는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체로서,
    하단에 형성한 피봉제물을 누르는 수평인 옷감 누름부의 단부(端部)의 위쪽에는 봉침에 통과된 윗실을 침 낙하위치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마련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옷감 누름부의 단부(端部)를, 침 낙하위치에 근접시키는 것과 동시에, 끈 모양의 자수재를 상기 침 낙하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에 대향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체.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와이어 형상으로서, 가이드부 선단에 마련된 가이드 통의 자수재 도출구와 간섭하지 않는 높이로, 봉침의 삽통을 허용하는 것과 동시에, 이 봉침에 통과된 윗실을 통과하는 반원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봉침의 상승 시에 있어서 상기 봉침으로부터 피봉제물로 연결되고 있는 윗실을 상기 반원부 내에 위치시키고, 윗실을 침 낙하위치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옷감 누름체는 판상부재(板狀部材)로서, 상기 판상부재를 절곡하는 것 에 의해 상기 옷감 누름체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체.
  4. 옷감 누름체를 봉침이 장착된 바늘대의 승강 구동에 동기(同期)시켜 승강 구동하고, 또한 피봉제물에 꿰매는 끈 모양의 자수재를 침 낙하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왕복 구동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옷감 누름체와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바늘대의 축심 둘레에서 방향 제어하여 새발뜨기 바느질을 실시하는 형식의 자수 미싱으로서,
    상기 옷감 누름체는 하단에 형성한 피봉제물을 누르는 수평인 옷감 누름부의 단부의 위쪽에, 봉침으로 통과된 윗실을 침 낙하위치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옷감 누름부의 단부(端部)를, 침 낙하위치에 근접시키는 것과 동시에, 끈 모양의 자수재를 상기 침 낙하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에 대향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미싱.
KR1020090069922A 2008-08-08 2009-07-30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체 KR201000193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05836 2008-08-08
JP2008205836A JP5205175B2 (ja) 2008-08-08 2008-08-08 刺繍ミシンの布押え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334A true KR20100019334A (ko) 2010-02-18

Family

ID=4182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922A KR20100019334A (ko) 2008-08-08 2009-07-30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205175B2 (ko)
KR (1) KR20100019334A (ko)
DE (1) DE1020090360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50071A (zh) * 2012-11-28 2014-06-11 天津宝盈电脑机械有限公司 带料绣做打褶装置
US20210017684A1 (en) * 2018-03-30 2021-01-21 Jeong Hyeon Park Sewing machine
KR20220114546A (ko) 2019-12-26 2022-08-17 가부시키가이샤 티아이에스엠 미싱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49B2 (ja) 1988-10-06 1995-01-11 京都繊維機器株式会社 織機の経糸送り出し装置
JP3145469B2 (ja) * 1992-02-26 2001-03-12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刺繍ミシンの刺繍材案内装置
JPH0770903A (ja) * 1993-09-02 1995-03-14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刺繍ミシン
JPH10110374A (ja) * 1996-09-30 1998-04-28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JP4764077B2 (ja) 2005-06-27 2011-08-31 株式会社バルダン 刺繍方法および刺繍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9036087A1 (de) 2010-04-15
JP2010035990A (ja) 2010-02-18
JP5205175B2 (ja)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191B1 (ko) 다두 자수 미싱
KR101051247B1 (ko) 자수미싱 및 그 제어방법
JP4725864B2 (ja) 偏平縫いミシン
KR20070029070A (ko) 미싱에 있어서의 피봉제 부품의 절단 장치 및 절단 방법
JP5766405B2 (ja) ミシン
KR20100019334A (ko)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체
JP2008086561A (ja) 刺繍ミシン及び平テープの千鳥縫付け方法
JPH08246323A (ja) 刺繍素材の縫い付け方法
CN216838498U (zh) 一种缝纫机挑线机构
KR101675594B1 (ko) 자수 미싱용의 자수재 안내 장치
US5870960A (en) Looptaker driv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zig-zag sewing machines
JP5044224B2 (ja) 刺繍ミシン
US479739A (en) dimond
JP2009160263A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WO2021131884A1 (ja) ミシン
KR200431368Y1 (ko) 미싱에 있어서의 피봉제 부품의 절단 장치
JP4276551B2 (ja) 多頭ミシン
JP5331923B2 (ja) 送り出し腕型ミシン
JP5715788B2 (ja) 上飾り縫いミシン
US875628A (en) Scalloping-embroidery machine.
US243740A (en) Embroidering attachment for sewing-machines
JP2013252159A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5364817B2 (ja) 送り出し腕型ミシン
KR20090001145U (ko) 환봉 재봉기의 재봉땀 건너뜀 장치
JP4871847B2 (ja) 両側に花びら状の張出部を備えさせる平テープの縫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