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4595A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4595A
KR20100014595A KR1020097020088A KR20097020088A KR20100014595A KR 20100014595 A KR20100014595 A KR 20100014595A KR 1020097020088 A KR1020097020088 A KR 1020097020088A KR 20097020088 A KR20097020088 A KR 20097020088A KR 20100014595 A KR20100014595 A KR 20100014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handle
wheel
caster
switch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3309B1 (ko
Inventor
겐지 후나쿠라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4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 B62B2301/046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 B62B2301/0463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by blocking the rotation at a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 B62B2301/046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 B62B2301/0465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by urging the wheel into a position, e.g. into a straight forwar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62B9/203Handle bars; Handles movable from front end to rear en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의 위치에 따른 바퀴의 상태의 전환 조작을 보다 안정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한다. 유모차(10)는, 프레임부(20)와, 프레임부(20)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50)과, 바퀴를 선회 가능하게 유지하는 캐스터 기구(60, 80)와, 요동하는 핸들(50)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 가능한 록 전환 부재(110)를 가지는 스위치 기구(100a, 100b)를 구비한다. 캐스터 기구에 바퀴의 선회를 규제하는 록 수단(75, 95)이 설치되어 있다. 록 전환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록 수단을 조작하는 전달 수단(120, 130)이 설치되어 있다.
Figure P1020097020088
핸들, 바퀴, 유모차, 프레임부

Description

유모차{STROLLER}
본 발명은, 핸들이 전방으로 경사진 위치와 후방으로 경사진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고, 특히, 앞다리 또는 뒷다리에 설치된 바퀴가, 핸들의 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유모차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 가능 또는 선회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게 하여 유아를 승차시키는 유모차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작금(昨今)에 있어서는, 측면에서 볼 때 수직축보다 전방으로 경사지는 제 1 위치(대면(對面) 밀기 위치)와, 수직축보다 후방으로 경사지는 제 2 위치(배면(背面) 밀기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한 핸들을 구비한 유모차도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유모차에서 핸들이 제 2 위치에 있을 경우, 조작자(보호자)는, 유아의 배면측에서 핸들을 파지하고, 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게 하여 유모차를 밀고 나갈 수 있다. 한편, 핸들이 제 1 위치에 있을 경우, 조작자는, 유아와 대면하는 앞다리측의 위치에서 핸들을 파지하고, 뒷다리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이 되게 하여 유모차를 밀고 나갈 수 있다.
그런데, 유모차의 조작성을 고려하면, 진행 방향의 전방측의 다리에 장착된 바퀴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고, 진행 방향의 후방측의 다리에 장착된 바퀴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 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본국 특허 공개 제2002-284015호 공보에는, 앞다리 및 뒷다리에 설치된 바퀴가, 핸들의 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 가능 또는 선회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게 되어 있는 유모차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 제2002-284015호에 개시된 유모차에서, 록(lock) 전환 부재가 앞다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록 전환 부재는, 제 1 위치(대면 밀기 위치)로 요동하는 핸들에 의해 가압되어 슬라이딩하고, 이에 따라, 바퀴를 선회 가능한 상태 또는 선회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앞다리의 경사 각도나 핸들의 요동 범위는, 승차감이나 조작성 등을 고려하여, 유모차의 그 밖의 구성과 관련시켜 설정된다. 따라서, 모든 유모차에서, 핸들이 록 전환 부재를 가압하는 방향을, 록 전환 부재의 슬라이딩 가능한 방향, 즉 앞다리의 연장하는 방향으로 정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핸들의 요동에 의해 록 전환 부재를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없는, 바꿔 말하면, 핸들에 의한 록 전환 부재의 조작을 안정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애당초, 유모차의 전체적인 구성에 의해서는, 핸들을 파지하기 쉽게 한다는 또는 핸들을 조작하기 쉽게 한다는 관점에서, 핸들을 앞다리의 측방 위치까지 요동시키는 것이 부적당해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핸들을 요동시켜서 록 전환 부재를 가압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일본국 특허 공개 제2002-284015호 공보의 유모차에서는, 앞다리에 설치된 하나의 록 전환 부재에 의해, 앞바퀴 및 뒷바퀴 양쪽의 바퀴의 상태를 전환하 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지지만, 전환 조작을 안정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핸들의 위치에 따른 바퀴의 상태의 전환 조작을 보다 안정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암레스트 및 상기 암레스트에 연결된 앞다리 및 뒷다리를 가지는 프레임부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를 요동할 수 있게 프레임부에 연결된 핸들과, 상기 앞다리 및 상기 뒷다리 중 적어도 한 쪽에 설치된 캐스터 기구로서, 바퀴와, 상기 바퀴를 회전 가능하고 또한 선회 가능하게 유지하는 바퀴 홀더와, 상기 바퀴의 선회를 규제하는 록 위치와 상기 바퀴의 선회를 가능하게 하는 록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록 수단을 가지는 캐스터 기구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암레스트에 지지된 스위치 기구로서, 상기 제 1 위치 또는 상기 제 2 위치로 요동하는 상기 핸들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 가능한 록 전환 부재를 가지는 스위치 기구와, 상기 스위치 기구와 상기 캐스터 기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록 전환 부재의 이동 동작을 상기 록 수단에 전달하고, 상기 록 수단을 상기 록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록 위치로 또는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록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서, 상기 록 전환 부재의 이동 가능한 방향은, 상기 핸들이 요동해서 상기 록 전환 부재에 접촉할 때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의 상기 록 전환 부재로의 접촉부의 이동 궤적을 대략 따르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서, 상기 앞다리의 하단(下端)에 앞다리용의 상기 캐스터 기구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뒷다리의 하단에 뒷다리용의 상기 캐스터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암레스트에, 상기 제 1 위치에 있는 상기 핸들과 걸어맞추는 제 1의 상기 스위치 기구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 상기 핸들과 걸어맞추는 제 2의 상기 스위치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앞다리용의 캐스터 기구 및 상기 뒷다리용의 캐스터 기구 중 한 쪽과 상기 제 1 스위치 기구 사이에 제 1의 상기 전달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앞다리용의 캐스터 기구 및 상기 뒷다리용의 캐스터 기구 중 다른 쪽과 상기 제 2 스위치 기구 사이에 제 2의 상기 전달 수단이 설치되어 있게 해도 된다. 이러한 유모차에서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위치에 요동했을 경우, 상기 뒷다리용의 캐스터 기구의 상기 바퀴의 선회가 규제되고, 상기 핸들이 상기 제 1 위치에 요동했을 경우, 상기 앞다리용의 캐스터 기구의 상기 바퀴의 선회가 규제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모차에서, 상기 핸들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 2 위치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서, 상기 핸들과 걸어맞춰서 상기 핸들을 상기 제 1 위치에 걸리게 하는 걸어맞춤 부재가 암레스트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스위치 기구의 상기 록 전환 부재는, 상기 걸어맞춤 부재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게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서, 상기 핸들과 걸어맞춰서 상기 핸들을 상기 제 2 위치에 걸리게 하는 걸어맞춤 부재가 암레스트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스위치 기구의 상기 록 전환 부재는, 상기 걸어맞춤 부재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게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서, 상기 전달 수단은, 상기 스위치 기구의 상기 록 전환 부재 및 상기 캐스터 기구의 상기 록 수단에 양단이 각각 장착된 와이어와, 상기 프레임부에 유지된 튜브 형상 부재를 가지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튜브 형상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튜브 형상 부재 내를 삽입 관통하여 있게 해도 된다. 이러한 유모차에서, 상기 튜브 형상 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의 앞다리 내 또는 뒷다리 내를 연장해 있게 해도 된다. 또는, 이러한 유모차에서, 상기 튜브 형상 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의 앞다리의 외면 상 또는 뒷다리의 외면 상에 유지되어 있게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의하면, 핸들의 위치에 따른 바퀴의 상태의 전환 조작을 보다 안정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유모차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핸들이 제 2 위치(배면 밀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모차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핸들이 제 1 위치(대면 밀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모차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앞다리용 캐스터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앞다리용 캐스터 기구의 종단면도로서, 록 수단이 록 해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대응하는 단면도로서, 록 수단이 록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뒷다리용 캐스터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낸 뒷다리용 캐스터 기구의 종단면도로서, 록 수단이 록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스위치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유모차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 내지 도 3에는, 유모차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유모차(10)는, 앞다리(22) 및 뒷다리(24)를 가지는 프레임부(20)와, 프레임부(20)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5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부(20)의 앞다리(22)의 하단에는, 앞바퀴(61)를 가지는 앞다리용의 캐스터 기구(60)가 설치되는 동시에, 프레임부(20)의 뒷다리(24)의 하단에는, 뒷바퀴(81)를 가지는 뒷다리용의 캐스터 기구(80)가 설치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유모차(10)는, 널리 보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제2006-117012호 공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유모차(10)에서는, 핸들(50)을 프레임부(20)에 대하여 요동시킴으로써, 조작자(보호자)가 유아의 배면측에서 핸들(50)을 파지해서 유모차(10)를 조종하고, 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게 하여 유모차(10)를 주행시키는 것, 및, 조작자가 유아에 대면하는 앞다리측의 위치에서 핸들(50)을 파지해서 유모차(10)를 조종하고, 유모차(10)의 뒷다리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이 되게 해서 유모차(10)를 주행시키는 것의 양쪽이 가능해져 있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 중에서, 유모차에 대한 「앞(前)」, 「뒤(後)」,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용어는, 특별한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아를 기준으로 한 「앞」, 「뒤」,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더 상세하게는,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이란, 도 1에서의 지면의 좌하(左下)와 우상(右上)을 잇는 방향이며, 도 2 및 도 3에서의 지면의 좌우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앞」이란, 승차한 유아가 향하는 측이고, 도 1에서의 지면의 좌하측과 도 2 및 도 3에서의 지면의 좌측이 유모차(10)의 앞측이 된다. 한편, 유모차(10)의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동시에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접지면이 수평면일 경우, 「상하 방향」이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횡방향」이란 폭방향이고, 「전후 방향」및 「상하 방향」의 어느 쪽 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우선, 유모차의 전체 구성으로서, 프레임부(20) 및 핸들(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유모차(10)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에 따른 횡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해서 대략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프레임부(20)는,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앞다리(22)와,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뒷다리(24)와,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암레스트(armrest)(28)와,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연결 로드(26)를 가지고 있다.
앞다리(22), 뒷다리(24) 및 연결 로드(26)는, 통 형상 부재, 예를 들면 알루미늄합금제의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암레스트(28)는 예를 들면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앞다리(22)의 상방 단부(端部)는,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암레스트(28)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뒷다리(24)의 상방 단부가,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암레스트(28)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결 로드(26)의 상방 부분이,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암레스트(28)의 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프레임부(20)는, 좌측 앞다리(22)와 좌측 연결 로드(26)를 연결하는 좌측방 연결 부재(32), 및, 우측 앞다리(22)와 우측 연결 로드(26)를 연결하는 우측방 연결 부재(32)를 더 가지고 있다. 각 측방 연결 부재(32)는, 그 전방 부분을 앞다리(22)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방 부분을 연결 로드(26)의 하방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측방 연결 부재(32)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합금제의 판재(板材)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20)는, 좌측 뒷다리(24)와 좌측 연결 로드(26)를 연결하는 좌측 브래킷(34), 및, 우측 뒷다리(24)와 우측 연결 로드(26)를 연결하는 우측 브래킷(34)을 더 가지고 있다. 각 브래킷(34)은, 그 일부분에서 뒷다리(24)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부분에서 연결 로드(26)의 하방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유모차(10)는,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구성 요소로서, 한 쌍의 앞다리(22) 사이를 연결하는 앞측 상부 연결 스테이(36) 및 풋레스트(footrest)(38)와, 한 쌍의 뒷다리(24) 사이를 연결하는 뒷측 상부 연결 스테이(40)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암레스트(28) 사이에 굴곡 가능한 가드 부재(42)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20)에 대하여, 핸들(50)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핸들(50)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는 대략 직선 형상의 한 쌍의 직선부(51a)와, 한 쌍의 직선부(51a)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부(51b)를 포함하고, 전체로서 대략 U자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핸들(50)은, U자의 양단부를 대응하는 측의 브래킷(34)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핸들(50)의 브래킷(34)에 대한 회동 축선(요동 중심)은, 브래킷(34)과 연결 로드(26)의 회전 축선, 및, 연결 로드(26)와 측방 연결 부재(32)의 회전 축선과 일치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50)이, 프레임부(20)에 대하여 요동하고, 핸들(50)의 직선부(51a)는 암레스트(28)의 측방을 암레스트(28)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핸들(50)은, 암레스트(28)의 측방을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직선부(51a)에 걸어맞춤 부재(55)를 각각 가지고 있다. 각 걸어맞춤 부재(55)는, 직선부(51a)를 따라 직선부(51a)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핸들(50)은, 걸어맞춤 부재(55)의 슬라이딩을 원격 조작하는 원격 조작 장치(53)를 중간부(51b)에 가지고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암레스트(28)에는, 슬라이딩 부재(55)와 걸어맞춰서 핸들(50)의 회동을 규제하는 한 쌍의 걸어맞춤 부재(걸어맞춤 돌기, 도 1에서는 생략)(30a, 30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격 조작 장치(53)를 조작해서 슬라이딩 부재(55)를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슬라이딩 부재(55)와 걸어맞춤 부재(30a, 30b)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전방에 설치된 걸어맞춤 돌기(30a)와 걸어맞춤 부재(55)가 걸어맞추어 서로 걸림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50)이 제 1 위치(대면 밀기 위치)(P1)에 고정된다. 핸들(50)이 제 1 위치(P1)에 고정되었을 경우, 핸들(50)은, 측면에서 볼 때 수직축에 따르게 해서 회동 축선(요동 중심) 상에 도립(倒立)한 위치(도 3에서의 일점 쇄선의 위치)로부터 유모차(10)의 전방으로 경사진 상태(앞다리측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고, 뒷다리(24)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한다. 그리고, 조작자는, 유아에 대면하는 유모차(10)의 앞다리측의 위치에서 핸들(50)을 파지하고, 유모차(10)를 밀고 나갈 수 있다. 이때, 유모차(10)의 뒷다리측이, 진행 방향 전방이 된다.
한편, 후방에 설치된 걸어맞춤 돌기(30b)와 걸어맞춤 부재(55)가 걸어맞추어 서로 걸림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50)이 제 2 위치(배면 밀기 위치)(P2)에 고정된다. 핸들(50)이 제 2 위치(P2)에 고정되었을 경우, 핸들(50)은, 측면에서 볼 때 수직축에 따르게 해서 회동 축선(요동 중심) 상에 도립한 위치(도 2에서의 일점 쇄선의 위치)로부터 유모차(10)의 후방으로 경사진 상태(뒷다리측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고, 연결 로드(26)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한다. 그리고, 조작자는, 유아의 배면측이 되는 유모차(10)의 뒷다리측의 위치에서 핸들(50)을 파지하고, 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게 하여 유모차(10)를 밀고 나갈 수 있다. 이때, 유모차(10)의 앞다리측이, 진행 방향 전방이 된다.
또한, 이상과 같은 전체 구성을 가진 유모차(10)는, 각 구성 부재를 서로 회동시킴으로써, 절첩(折疊)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위치(P2)에 배치된 핸들(50)을 일단 후상방(後上方)으로 끌어올리고, 그 후, 하방으로 밀어 내림으로써, 브래킷(34)을 뒷다리(24)에 대하여 도 2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조작에 따라, 암레스트(28) 및 측방 연결 부재(32)는 연결 로드(26)에 대하여 도 2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측면에서 볼 때 핸들(50)과 앞다리(22)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핸들(50)의 배치 위치가 내려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유모차(10)를 절첩할 수 있고, 유모차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 따른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유모차(10)를 절첩 상태로부터 전개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절첩 조작과 역의 순서를 밟으면 된다.
이어서, 주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앞다리용의 캐스터 기구(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 앞다리(22)의 하단에는, 앞다리용 캐스터 기구(6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두 개의 앞다리용 캐스터 기구(60)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스터 기구(60)는, 앞바퀴(바퀴)(61)와, 앞바퀴(61)를 회전 가능하고 또한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유지하는 바퀴 홀더(62)와, 바퀴 홀더(62)에 설치되고, 바퀴(61)의 선회를 규제하는 록 위치(P11)와 바퀴(61)의 선회를 가능하게 하는 록 해제 위치(P12) 사이를 이동 가능한 록 수단(75)을 가지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퀴 홀더(62)는, 앞다리(22)에 고정된 베이스부(63)와, 핀(63a)을 통해서 베이스부(63)에 고정된 샤프트(66)와, 샤프트(66)에 연결된 유지부(67)를 가지고 있다.
유지부(67)는, 베어링(70)을 통해서 샤프트(66)에 연결된 제 1 부재(68)와, 핀(72a)을 통해서 제 1 부재(68)에 연결된 제 2 부재(72)를 가지고 있다. 샤프트(66)는,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접지면에 대략 직교해서 연장하고 있다. 제 1 부재(68)는, 샤프트(66)의 길이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베어링(70)을 통해서 샤프트(6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2 부재(72)는 회전축(73)을 유지하고, 회전축(73)의 양단부에는 각각 앞바퀴(61)가 유지되어 있다. 즉, 제 2 부재(72)는, 그 양측에 배치된 바퀴(61)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또한, 제 1 부재(68)가 샤프트(66)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바퀴(61)가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서, 한 쪽의 앞바 퀴(61)는 생략되어 있다.
그런데, 회전축(73)은,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에 따라 샤프트(66)의 축선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따라서, 유모차(10)를 주행시킬 경우, 샤프트(66)의 축선이 회전축(73)보다 진행 방향의 전방에 배치되게, 앞바퀴(61)가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한다. 여기에서 도 5는, 유모차(10)가 앞다리측을 진행 방향 전방으로 해서 주행할 경우의 캐스터 기구(60)를 나타내고 있고, 도 6은, 유모차(10)가 뒷다리측을 진행 방향 전방으로 해서 주행할 경우의 캐스터 기구(60)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68) 및 제 2 부재(72)의 사이에는, 예를 들면 고무 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탄성체(71)가 설치되어 있다. 탄성체(71)는, 유모차(10)가 주행하는 노면의 요철을 흡수하여, 유모차(10)의 안정성 및 승차감을 개선한다. 또한, 제 2 부재(72)에는 핀(74a)을 통해서 요동 가능하게 제동 부재(74)가 설치되어 있다. 제동 부재(74)는, 제 2 부재(72)에 대하여 요동하고, 바퀴(61)에 접촉하여 바퀴(6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즉, 제동 부재(74)는 유모차(10)의 브레이크로서 기능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63)에는, 록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록 부재(75)가 설치되어 있다. 록 부재(75)는, 핀(76)을 통해서, 그 한 쪽의 단부(75a)가 베이스부(63)에 연결되어 있다. 록 부재(75)는, 핀(76)을 중심으로 해서, 베이스부(63)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67)와 걸어맞추는 록 위치(P11)와 유지부(67)에 걸어맞추고 있 지 않는 록 해제 위치(P12) 사이를 이동한다. 또한, 록 부재(75)는,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전달 수단(120)을 통해서, 제 1 스위치 기구(100a)의 록 전환 부재(110)와 접속되어 있다. 제 1 전달 수단(120)은, 앞다리(22)의 내부를 통과하여, 제 1 스위치 기구(100a)가 지지된 암레스트(28)까지 연장하여 있다(도 10 참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록 부재(75)의 록 위치(P11)와 록 해제 위치(P12)의 전환은, 이 제 1 전달 수단(120)을 통해서, 제 1 스위치 기구(100a)에 의해 조작된다.
도 6 및 도 7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68)의 록 부재(75)와 걸어맞추는 부분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 외주면(69a)의 일 부분에, 록 부재(75)를 끼워 넣는 오목부(69b)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록 부재(75)의 록 위치(P11)란, 록 부재(75)가 이 오목부(69b) 내에 끼워져서, 샤프트(66)에 대한 제 1 부재(68)의 회전이 규제되는 위치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록 부재(75)가 록 위치(P11)에 배치되면, 앞바퀴(61)의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에 대한 선회 운동이 규제되게 된다. 이하에서, 이렇게 바퀴의 선회 운동이 규제된 상태를, 단순히 록 상태라고도 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부재(75)가 제 1 부재(68)의 오목부(69b) 내에 끼워 넣어졌을 경우, 회전축(73)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앞바퀴(61)가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에 따르고, 또한, 샤프트(66)의 축선이 회전축(73)보다 유모차(10)의 뒷다리측에 배치되게 된다. 한편, 록 부재(75)가 록 해제 위치(P12)에 배치되면, 제 1 부재(68)가 샤프트(6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해지고, 앞바퀴(61)의 전후 방향에 대한 선회 운동의 규제가 해제된다.
또한, 록 부재(75)는, 도시 생략한 토션(torsion) 스프링에 의해, 록 해제 위치(P12)로부터 록 위치(P11)를 향해서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전달 수단(120)이 이완되어 있으면, 록 부재(75)는, 원통 형상 외주면(69a)에 맞닿은 상태 혹은 오목부(69b) 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어서, 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한 쌍의 뒷다리(24)의 하단에 각각 설치된 뒷다리용의 캐스터 기구(80)에 대하여 설명한다. 두 개의 뒷다리용 캐스터 기구(80)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뒷다리용의 캐스터 기구(80)는 앞다리용의 캐스터 기구(60)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스터 기구(80)는, 뒷바퀴(바퀴)(81)와, 뒷바퀴(81)를 회전 가능하고 또한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유지하는 바퀴 홀더(82)와, 바퀴 홀더(82)에 설치되고, 바퀴(81)의 선회를 규제하는 록 위치(P21)와 바퀴(81)의 선회를 가능하게 하는 록 해제 위치(P22) 사이를 이동 가능한 록 수단(95)을 가지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퀴 홀더(82)는, 뒷다리(24)에 고정된 베이스부(83)와, 핀(83a)을 통해 베이스부(83)에 고정된 샤프트(86)와, 샤프트(86)에 연결된 유지부(87)를 가지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87)는, 베어링(90)을 통해 샤프트(86)에 연결된 제 1 부재(88)와, 핀(92a)을 통해 제 1 부재(88)에 연결된 제 2 부재(92)를 가지고 있다. 샤프트(86)는, 유모차(10)의 접지면에 대략 직교해서 연장하고 있 다. 제 2 부재(92)는, 회전축(93)을 통하여, 한 쌍의 바퀴(81)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또한, 제 1 부재(88)가 샤프트(86)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바퀴(81)가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 한 쪽의 뒷바퀴(81)는 생략되어 있다.
그런데, 회전축(93)은,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에 따라 샤프트(86)의 축선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따라서, 유모차(10)의 진행 방향의 변화에 따라 바퀴(81)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88) 및 제 2 부재(92) 사이에는, 예를 들면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9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부재(92)에는 핀(94a)을 통해 요동 가능하게 제동 부재(94)가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83)에는, 록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록 부재(95)가 설치되어 있다. 록 부재(95)는, 핀(96)을 통해, 그 한 쪽의 단부(95a)가 베이스부(83)에 연결되어 있다. 록 부재(95)는, 핀(96)을 중심으로 하여, 베이스부(83)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87)와 걸어맞추는 록 위치(P21)와 유지부(87)에 걸어맞추고 있지 않는 록 해제 위치(P22) 사이를 이동한다. 또한, 록 부재(95)는,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2 전달 수단(130)을 통해서, 제 2 스위치 기구(100b)의 록 전환 부재(110)와 접속되어 있다. 제 2 전달 수단(130)은, 뒷다리(24)의 내부를 통과하고, 제 2 스위치 기구(100b)가 지지된 암레스트(28)까지 연장해 있다(도 10 참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록 부재(95)의 록 위치(P21)와 록 해제 위치(P22)의 전환은, 이 제 2 전달 수단(130)을 통하여, 제 2 스위치 기구(100b)에 의해 조작된다.
앞다리용의 캐스터 기구(60)와 마찬가지로, 제 1 부재(88)의 록 부재(95)와 걸어맞추는 부분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 형상 외주면(89a)의 일 부분에, 록 부재(95)를 끼워넣는 오목부(89b)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록 부재(95)의 록 위치(P21)란, 록 부재(95)가 이 오목부(89b)내에 끼워져서, 샤프트(86)에 대한 제 1 부재(88)의 회전이 규제되는 위치이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부재(95)가 제 1 부재(88)의 오목부(89b) 내에 끼워 넣어졌을 경우, 회전축(93)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뒷바퀴(81)가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을 따르고, 또한, 샤프트(86)의 축선이 회전축(93)보다 유모차(10)의 앞다리측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록 부재(95)는, 도시 생략한 토션 스프링에 의해, 록 해제 위치(P22)로부터 록 위치(P21)를 향해서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전달 수단(130)이 이완된 상태에 있으면, 록 부재(95)는, 원통 형상 외주면(89a)에 맞닿은 상태 또는 오목부(89b) 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어서, 스위치 기구(100a, 100b)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부(20)의 좌우의 암레스트(28)에, 제 1 스위치 기구(100a) 및 제 2 스위치 기구(100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스위치 기구(100a) 및 제 2 스위치 기구(100b)는, 암레스트(28) 상에서의 배치 위치가 상이하지만,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2, 도 3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스위치 기구(100a, 100b)는, 암레스트 상에 형성된 수용부(102)와, 수용부(102) 내에 배치된 록 전환 부재(110)를 가지고 있다. 록 전환 부재(110) 및 수용부(102)는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록 전환 부재(110)는, 수용부(102) 내를 그 길이 방향에 따라 슬라이딩하고, 수용부(102)로부터 돌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록 전환 부재(110)에는, 그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중공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용부(102) 내에는, 암레스트(28) 상에 고정된 돌기(104)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104)는, 수용부(102) 내를 이동하는 록 전환 부재(110)의 중공부(11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돌기(104)의 위치 및 중공부(112)의 형상에 의해, 록 전환 부재(110)의 이동 가능한 범위가 획정되어 있다. 또한, 중공부(112) 내에는 압축 스프링(106)이 배치되고 있고, 이 압축 스프링(106)은 돌기(104)와 록 전환 부재(110)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다. 그리고, 록 전환 부재(110)는, 수용부(10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도록, 압축 스프링(106)에 의해 가압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스위치 기구(100a)의 록 전환 부재(110)는, 암레스트(28) 상에서, 전방측의 걸어맞춤 부재(30a)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스위치 기구(100a)의 록 전환 부재(110)는, 제 1 위치(P1)를 향해 요동하는 핸들(50)과 접촉하고, 또한, 가압되어서 수용부(102) 내를 향해 슬라이딩한다. 또한, 제 1 스위치 기구(100a)의 록 전환 부재(110)의 슬라이딩 가능한 방향(바꿔 말하면, 록 전환 부재(110)의 길이 방향)은, 핸들(50)이 제 1 위치(P1)를 향해서 요동하여 록 전환 부재(110)에 접촉할 때에 있어서의 핸들(50)의 록 전환 부 재(110)로의 접촉 부분의 이동 궤적(도 10의 L1)을 대략 따르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록 전환 부재(110)의 길이 방향이 제 1 위치(P1)에 배치된 핸들(50)의 직선부(51a)의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제 1 스위치 기구(100a)가 암레스트(28) 상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스위치 기구(100b)의 록 전환 부재(110)는, 암레스트(28) 상에서, 후방측의 걸어맞춤 부재(30b)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스위치 기구(100b)의 록 전환 부재(110)는, 제 2 위치(P2)에 배치된 핸들(50)과 접촉하고, 또한, 가압되어서 수용부(102) 내를 향해 슬라이딩한다. 또한, 제 2 스위치 기구(100b)의 록 전환 부재(110)의 슬라이딩 가능한 방향(바꿔 말하면, 록 전환 부재(110)의 길이 방향)은, 핸들(50)이 제 2 위치(P2)를 향해 요동해서 록 전환 부재(110)에 접촉할 때에 있어서의 핸들(50)의 록 전환 부재(110)로의 접촉 부분의 이동 궤적(도 10의 L2)을 대략 따르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록 전환 부재(110)의 길이 방향이 제 2 위치(P2)에 배치된 핸들(50)의 직선부(51a)의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제 2 스위치 기구(100b)가 암레스트(28)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어서, 전달 수단(120, 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 1 전달 수단(120)이, 좌측 및 우측 앞다리용의 캐스터 기구(60)와 제 1 스위치 기구(100a)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두 개의 제 1 전달 수단(120)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두 개의 제 2 전달 수단(130)이, 좌측 및 우측의 뒷다리용의 캐스터 기구(80)와 제 2 스위치 기구(100b)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 다. 두 개의 제 2 전달 수단(130)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전달 수단(120, 130)은, 록 전환 부재(110)의 이동 동작을 록 수단(75, 95)에 전달하고, 록 수단(75, 95)을 록 해제 위치(P12, P22)로부터 록 위치(P11, P21)로, 및, 록 위치(P11, P21)로부터 록 해제 위치(P12, P22)로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전달 수단(120) 및 제 2 전달 수단(130)은, 배치 위치가 상이하지만,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제 1 전달 수단(120)은, 제 1 스위치 기구(100a)의 록 전환 부재(110) 및 앞다리용 캐스터 기구(60)의 록 수단(75)에 양단이 각각 장착된 리드 와이어(122)와, 리드 와이어(122)가 내부를 통과하는 튜브 형상 부재(124)를 가지고 있다. 도 5, 도 6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 형상 부재(124)의 양단은, 암레스트(28)(제 1 스위치 기구(100a)의 수용부(102)) 및 앞다리용 캐스터(60)의 베이스부(63)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튜브 형상 부재(124)는, 앞다리(22) 내를 통과하고, 앞다리용 캐스터 기구(60)와 암레스트(28) 사이를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튜브 형상 부재(124)는, 앞다리용 캐스터 기구(60)와 암레스트(28) 사이에서, 적당하게 프레임부(20)에 유지 및 고정되어 있다. 리드 와이어(122)는, 튜브 형상 부재(124) 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리드 와이어(122)는 튜브 형상 부재(124)에 대하여 암레스트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및, 캐스터 기구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 스위치 기구(100a)의 록 전환 부재(110)가 압축 스프링에 가압되어서 수용부(102)로부터 돌출하면, 리드 와이어(122)는, 록 전환 부재(110)의 이동에 따라, 튜브 형상 부재(124)의 암레스트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외측으로 끌어내지는 동시에, 튜브 형상 부재(124)의 캐스터 기구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내로 끌어 들여진다. 이 결과, 리드 와이어(122)의 캐스터 기구측의 단부에 연결된 록 부재(75)는 록 위치(P11)로부터 록 해제 위치(P12)로 이동한다.
반대로, 제 1 스위치 기구(100a)의 록 전환 부재(110)가 핸들(50)에 의해 수용부(102) 내에 압입되면, 리드 와이어(122)는, 록 전환 부재(110)의 이동에 따라, 튜브 형상 부재(124)의 암레스트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124) 내에 압입되는 동시에, 튜브 형상 부재(124)의 캐스터 기구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외측으로 밀어내진다. 이 결과, 리드 와이어(122)의 캐스터 기구측의 단부에 연결된 록 부재(75)는 록 해제 위치(P12)로부터 록 위치(P11)로 이동 가능해진다.
한편, 제 2 전달 수단(130)은, 제 2 스위치 기구(100b)의 록 전환 부재(110) 및 뒷다리용 캐스터 기구(80)의 록 수단(95)에 양단이 각각 장착된 리드 와이어(132)와, 리드 와이어(132)가 내부를 통과하는 튜브 형상 부재(134)를 가지고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 형상 부재(134)의 양단은, 암레스트(28)(제 2 스위치 기구(100b)의 수용부(102)) 및 뒷다리용 캐스터(80)의 베이스부(83)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튜브 형상 부재(134)는, 뒷다리(24) 내를 통과하고, 뒷다리용 캐스터 기구(80)와 암레스트(28) 사이를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튜브 형상 부재(134)는, 뒷다리용 캐스터 기구(80)와 암레스트(28) 사이에서, 적당하게 프레임부(20)에 유지 및 고정되어 있다. 리드 와이어(132)는, 튜브 형상 부 재(134) 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리드 와이어(132)는 튜브 형상 부재(134)에 대하여 암레스트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및, 캐스터 기구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2 스위치 기구(100b)의 록 전환 부재(110)가 압축 스프링에 가압되어서 수용부(102)로부터 돌출하면, 리드 와이어(132)는, 록 전환 부재(110)의 이동에 따라, 튜브 형상 부재(134)의 암레스트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외측으로 끌어내지는 동시에, 튜브 형상 부재(134)의 캐스터 기구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내로 끌어 들여진다. 이 결과, 리드 와이어(132)의 캐스터 기구측의 단부에 연결된 록 부재(95)는 록 위치(P21)로부터 록 해제 위치(P22)로 이동한다.
반대로, 제 2 스위치 기구(100b)의 록 전환 부재(110)가 핸들(50)에 의해 수용부(102) 내에 압입되면, 리드 와이어(132)는, 록 전환 부재(110)의 이동에 따라, 튜브 형상 부재(124)의 암레스트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134) 내에 압입되는 동시에, 튜브 형상 부재(134)의 캐스터 기구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외측으로 밀어내진다. 이 결과, 리드 와이어(132)의 캐스터 기구측의 단부에 연결된 록 부재(95)는 록 해제 위치(P22)로부터 록 위치(P21)로 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각 스위치 기구(100a, 100b)의 압축 스프링(106)에 의해 록 전환 부재(110)를 가압하는 힘은, 캐스터 기구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도시 생략)이 각 록 부재(75, 95)를 요동시켜서 리드 와이어(122, 132)를 캐스터 기구측으로 끌어내려고 하는 힘보다 강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 기구(100a, 100b)에 외력이 더 해지지 않을 경우, 리드 와이어(122, 132)는 팽팽한 상태가 되고, 록 전환 부재(110)가 수용부(102)로부터 돌출하고, 록 부재(75, 95)가 록 해제 위치(P12, P22)에 배치되게 된다.
이어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10)의 핸들(50)을 요동시켰을 경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50)의 슬라이딩 부재(55)를 암레스트(28)에 설치된 전방측의 걸어맞춤 부재(30a)와 걸어맞춤으로써, 핸들(50)을 앞다리측으로 경사진 제 1 위치(P1)(도 3 참조)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보호자는 유모차(10)의 앞다리측에서 제 1 위치(P1)에 배치된 핸들(50)을 파지하고, 유모차(10)의 뒷다리측이 진행 방향 전방이 되게 해서 유모차(10)를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50)의 슬라이딩 부재(55)를 암레스트(28)에 설치된 후방측의 걸어맞춤 부재(30b)와 걸어맞춤으로써, 핸들(50)을 뒷다리측으로 경사진 제 2 위치(P2)(도 2 참조)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보호자는 유모차(10)의 뒷다리측에서 제 2 위치(P2)에 배치된 핸들(50)을 파지하고, 유모차(10)의 앞다리측이 진행 방향 전방이 되게 해서 유모차(10)를 주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모차(10)를 어느 방향으로 밀 경우에도, 진행 방향 전방에 배치된 바퀴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고, 진행 방향 후방에 배치된 바퀴가 전후 방향에 대한 선회가 규제되어 있는 것이, 조종성이나 주행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유모차에서는, 핸들(50)의 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앞다리용 캐스터(60) 및 뒷다리용 캐스터(80)의 바퀴를 선회 가능한 상태 또는 선회 불가능한 상태로 안정하고 확실하게 전환할 수 있다.
우선, 핸들(50)을 제 2 위치(P2)로부터 제 1 위치(P1)를 향해 요동시킬 경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핸들(50)을 제 2 위치(P2)로부터 제 1 위치(P1)를 향해 요동시키기 시작하면, 핸들(50)의 요동에 따라, 그때까지 수용부(102) 내에 압입되어 있었던 제 2 스위치 기구(100b)의 록 전환 부재(110)가, 압축 스프링(106)에 의한 가압에 의해, 수용부(102)로부터 돌출한다. 제 2 스위치 기구(100b)의 록 전환 부재(110)가 수용부(102)로부터 돌출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뒷다리용 캐스터 기구(80)의 록 부재(95)가 록 위치(P21)로부터 록 해제 위치(P22)로 이동한다. 이 결과, 뒷바퀴(81)가 자동적으로 선회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핸들(50)을 제 1 위치(P1)를 향해서 요동시키면, 핸들(50)이 제 1 스위치 기구(100a)의 록 전환 부재(110)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핸들(50)의 슬라이딩 부재(55)가 암레스트(28) 상에 설치된 걸어맞춤 부재(30a)와 걸어맞춰질 때까지 핸들(50)을 요동시키면, 핸들(50)은, 제 1 스위치 기구(100a)의 록 전환 부재(110)를 가압하고, 수용부(102) 내에 압입된다. 이때, 록 전환 부재(110)의 이동 가능한 방향은, 핸들(50)이 요동해서 록 전환 부재(110)에 접촉할 때에 있어서의 핸들(50)의 록 전환 부재(110)로의 접촉부의 이동 궤적(도 10의 L1)을 대략 따르고 있다. 즉, 핸들(50)이 록 전환 부재(110)를 가압하는 방향과, 록 전환 부재(110)의 이동 가능한 방향이 대략 일치하고 있으므로, 핸들(50)의 요동에 의해 록 전환 부재(110)를 매우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스위치 기구(100a)의 록 전환 부재(110)는, 전방측의 걸어맞춤 부재(30a)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구성 부재의 휨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제 1 위 치(P1)를 향해서 요동하는 핸들(50)에 의해, 록 전환 부재(110)를 안정하고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스위치 기구(100a)의 록 전환 부재(110)가 핸들(50)에 의해 수용부(102) 내에 압입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 형상 부재(124)의 캐스터 기구측에서 리드 와이어(122)가 이완되고, 록 부재(75)는 제 1 부재(68)의 원통 형상 외주면(69a)에 맞닿는다. 그리고, 유모차(10)의 뒷다리측이 진행 방향 전방이 되게 해서 유모차(10)를 주행시키면, 앞바퀴(61)의 회전축(73)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앞바퀴(61)가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을 따르고, 또한, 앞다리용 캐스터의 샤프트(66)의 축선이 회전축(73)보다 유모차(10)의 뒷다리측에 배치되도록, 바퀴(61)는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한다. 이에 따라, 록 부재(75)가 제 1 부재(68)의 원통 형상 외주면(69a) 상을 미끄러져 오목부(69b) 내에 끼워 넣어지고, 앞다리용 캐스터 기구(60)의 록 부재(75)가 록 위치(P11)로 배치된다. 이 결과, 앞바퀴(61)가 자동적으로 선회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핸들(50)을 제 2 위치(P2)로부터 제 1 위치(P1)를 향해서 요동시켰을 경우, 앞바퀴(61)를 선회 가능한 상태로부터 선회 불가능한 상태로 안정하고 확실하게 전환할 수 있는 동시에, 뒷바퀴(81)를 선회 불가능한 상태로부터 선회 가능한 상태로 안정하고 확실하게 전환할 수 있다.
이어서, 핸들(50)을 제 1 위치(P1)로부터 제 2 위치(P2)를 향해서 요동시킬 경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핸들(50)을 제 1 위치(P1)로부터 제 2 위치(P2)를 향해서 요동시키기 시작하면, 제 1 스위치 기구(100a)의 록 전환 부 재(110)가, 압축 스프링(106)에 의한 가압에 의해, 수용부(102)로부터 돌출한다. 제 1 스위치 기구(100a)의 록 전환 부재(110)가 수용부(102)로부터 돌출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앞다리용 캐스터 기구(60)의 록 부재(75)가 록 위치(P11)로부터 록 해제 위치(P12)로 이동한다. 이 결과, 앞바퀴(61)가 자동적으로 선회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핸들(50)의 슬라이딩 부재(55)가 암레스트(28) 상에 설치된 걸어맞춤 부재(30b)와 걸어맞춰질 때까지 핸들(50)을 요동시키면, 핸들(50)은, 제 2 스위치 기구(100b)의 록 전환 부재(110)를 가압하고, 수용부(102) 내에 압입된다. 이때, 록 전환 부재(110)의 이동 가능한 방향은, 핸들(50)이 요동해서 록 전환 부재(110)에 접촉할 때에 있어서의 핸들(50)의 록 전환 부재(110)로의 접촉부의 이동 궤적(도 10의 L2)을 대략 따르고 있다. 또한, 제 2 스위치 기구(100b)의 록 전환 부재(110)는, 후방측의 걸어맞춤 부재(30b)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위치(P2)를 향해서 요동하는 핸들(50)에 의해, 록 전환 부재(110)를 원활하게 안정하고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스위치 기구(100b)의 록 전환 부재(110)가 핸들(50)에 의해 수용부(102) 내에 압입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 형상 부재(134)의 캐스터 기구측에서 리드 와이어(132)가 이완되고, 록 부재(95)는 제 1 부재(88)의 원통 형상 외주면(89a)에 맞닿는다. 그리고, 유모차(10)의 앞다리측이 진행 방향 전방이 되게 해서 유모차(10)를 주행시키면, 록 부재(95)가 제 1 부재(88)의 원통 형상 외주면(89a) 상을 미끄러져 오목부(89b) 내에 끼워 넣어지고, 뒷다리용 캐스터 기 구(80)의 록 부재(95)가 록 위치(P21)에 배치된다. 이 결과, 뒷바퀴(81)가 자동적으로 선회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핸들(50)을 제 1 위치(P1)로부터 제 2 위치(P2)를 향해서 요동시켰을 경우, 앞바퀴(61)를 선회 불가능한 상태로부터 선회 가능한 상태로 안정하고 확실하게 전환할 수 있는 동시에, 뒷바퀴(81)를 선회 가능한 상태로부터 선회 불가능한 상태로 안정하고 확실하게 전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50)의 회전 가능한 범위에 따라, 암레스트(28)에 의해 스위치 기구(100a, 100b)를 적절한 위치에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50)을 요동시킴으로써 스위치 기구(100a, 100b)의 록 전환 부재(110)를 원활하게 이동시키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50)의 위치에 따른 바퀴(61, 81)의 상태의 전환 조작을 보다 안정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앞다리용의 캐스터 기구(60)의 록 수단(75)을 조작하는 스위치 기구(100a) 및 전달 수단(120)과, 뒷다리용의 캐스터 기구(80)의 록 수단(95)을 조작하는 스위치 기구(100b) 및 전달 수단(130)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록 전환 부재(110)의 이동 동작을, 전달 수단(120, 130)을 통하여 보다 안정하고 확실하게 각 록 수단(75, 95)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핸들(50)의 요동에 의해 록 전환 부재(110) 및 록 수단(75, 95)을 보다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 형상 부재(124, 134)는 프레임부(20)의 앞다리(22) 내 또는 뒷다리(26) 내를 연장하고 있다. 이러한 유모차(10)에 의하면, 전달 수단(120, 130)의 외부로의 노출을 대폭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유모차(10)를 접첩할 때 등에, 전달 수단(120, 130)이 다른 구성 부재나 외부에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변경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앞다리용 캐스터 기구(60) 및 뒷다리용 캐스터 기구(80)의 양쪽에 록 수단(75, 95)이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한 쪽에만 설치되게 해도 된다. 이때, 록 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캐스터 기구의 바퀴는,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해도 되고,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동시에 선회 불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유모차(10)의 전체 구성은, 단순한 예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절첩 불가능하게 프레임부(20)를 구성하게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캐스터 기구의 구성은, 단순한 예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제2002-284015호 공보에 개시된 캐스터 기구의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튜브 형상 부재(124, 134)가 프레임부(20)의 앞다리(22) 내 또는 뒷다리(24) 내를 연장하고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튜브 형상 부재(124, 134)가 프레임부(20)의 앞다리(22)의 외면 상 또는 뒷다리(24)의 외면 상에 유지되게 해도 된다. 이러한 유모차에 의하면, 전달 수단(120, 130)의 배치 경로의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전달 수단(120, 130)의 배치 경로를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122, 132)가 튜브 형상 부재(124, 134) 내를 원활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앞다리용 캐스터 기구(60)에 제 1 스위치 기구(100a)가 접속되고, 뒷다리용 캐스터 기구(80)에 제 2 스위치 기구(100b)가 접속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앞다리용 캐스터 기구(60)에 제 2 스위치 기구(100b)가 접속되고, 뒷다리용 캐스터 기구(80)에 제 1 스위치 기구(100a)가 접속되게 해도 된다. 또한, 각 스위치 기구(100a, 100b)의 록 전환 부재(110)가, 압축 스프링(106)에 의해 리드 와이어(122, 132)를 암레스트측으로 끌어내도록, 가압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스위치 기구(100a, 100b)의 록 전환 부재(110)가, 압축 스프링(106)에 의해, 캐스터 기구측을 향해서 리드 와이어(122, 132)를 튜브 형상 부재(124, 134) 내에 압입하도록, 가압되어도 된다.

Claims (10)

  1. 암레스트(armrest)와, 상기 암레스트에 연결된 앞다리 및 뒷다리를 가지는 프레임부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를 요동할 수 있게 프레임부에 연결된 핸들과,
    상기 앞다리 및 상기 뒷다리 중 적어도 한 쪽에 설치된 캐스터 기구로서, 바퀴와, 상기 바퀴를 회전 가능하고 또한 선회 가능하게 유지하는 바퀴 홀더와, 상기 바퀴의 선회를 규제하는 록 위치와 상기 바퀴의 선회를 가능하게 하는 록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록 수단을 가지는 캐스터 기구(caster mechanism)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암레스트에 지지된 스위치 기구로서, 상기 제 1 위치 또는 상기 제 2 위치로 요동하는 상기 핸들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 가능한 록 전환 부재를 가지는 스위치 기구와,
    상기 스위치 기구와 상기 캐스터 기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록 전환 부재의 이동 동작을 상기 록 수단에 전달하고, 상기 록 수단을 상기 록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록 위치로 또는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록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 전환 부재의 이동 가능한 방향은, 상기 핸들이 요동해서 상기 록 전환 부재에 접촉할 때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의 상기 록 전환 부재로의 접촉부의 이 동 궤적을 대략 따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다리의 하단(下端)에 앞다리용의 상기 캐스터 기구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뒷다리의 하단에 뒷다리용의 상기 캐스터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암레스트에, 상기 제 1 위치에 있는 상기 핸들과 걸어맞추는 제 1의 상기 스위치 기구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 상기 핸들과 걸어맞추는 제 2의 상기 스위치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앞다리용의 캐스터 기구 및 상기 뒷다리용의 캐스터 기구 중 한 쪽과 상기 제 1 스위치 기구 사이에 제 1의 상기 전달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앞다리용의 캐스터 기구 및 상기 뒷다리용의 캐스터 기구 중 다른 쪽과 상기 제 2 스위치 기구 사이에 제 2의 상기 전달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뒷다리용의 캐스터 기구의 상기 바퀴의 선회가 규제되고,
    상기 핸들이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앞다리용의 캐스터 기구의 상기 바퀴의 선회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 2 위치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과 걸어맞춰서 상기 핸들을 상기 제 1 위치에 걸리게 하는 걸어맞춤 부재가 암레스트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스위치 기구의 상기 록 전환 부재는, 상기 걸어맞춤 부재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과 걸어맞춰서 상기 핸들을 상기 제 2 위치에 걸리게 하는 걸어맞춤 부재가 암레스트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스위치 기구의 상기 록 전환 부재는, 상기 걸어맞춤 부재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수단은, 상기 스위치 기구의 상기 록 전환 부재 및 상기 캐스터 기구의 상기 록 수단에 양단이 각각 장착된 와이어와, 상기 프레임부에 유지된 튜브 형상 부재를 가지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튜브 형상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튜브 형상 부재 내를 삽입 관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형상 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의 앞다리 내 또는 뒷다리 내를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형상 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의 앞다리의 외면 상 또는 뒷다리의 외면 상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20097020088A 2007-04-09 2008-04-02 유모차 KR101553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01717A JP4994925B2 (ja) 2007-04-09 2007-04-09 ベビーカー
JPJP-P-2007-101717 2007-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595A true KR20100014595A (ko) 2010-02-10
KR101553309B1 KR101553309B1 (ko) 2015-09-16

Family

ID=3986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088A KR101553309B1 (ko) 2007-04-09 2008-04-02 유모차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297643B2 (ko)
EP (1) EP2138375B1 (ko)
JP (1) JP4994925B2 (ko)
KR (1) KR101553309B1 (ko)
CN (2) CN102390422B (ko)
BR (1) BRPI0809660A2 (ko)
CA (1) CA2682801C (ko)
ES (1) ES2389827T3 (ko)
HK (2) HK1142044A1 (ko)
RU (1) RU2471665C2 (ko)
TW (1) TWI464084B (ko)
WO (1) WO20081267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480B1 (ko) * 2011-10-18 2013-10-29 김정근 유모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4926B2 (ja) * 2007-04-09 2012-08-08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5498810B2 (ja) * 2009-02-03 2014-05-21 明門香港股▲フェン▼有限公司 反転可能ハンドルベビーカー用のベビーカー部品アセンブリ
US8141895B2 (en) * 2009-03-23 2012-03-27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Collapsible s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5436911B2 (ja) 2009-03-31 2014-03-05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5410312B2 (ja) 2010-01-22 2014-02-05 コンビ株式会社 折り畳み可能なベビーカー
FR2956641B1 (fr) * 2010-02-23 2012-07-13 Jean-Michel Francois Chaudeurge Chassis de poussette, notamment pour transporter un enfant
JP5889551B2 (ja) * 2011-06-27 2016-03-22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乳母車
JP5897281B2 (ja) 2011-08-25 2016-03-30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用の車輪保持機構およびベビーカー
JP6026118B2 (ja) * 2012-03-16 2016-11-16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6017184B2 (ja) 2012-05-29 2016-10-26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6469333B2 (ja) * 2012-05-30 2019-02-13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用のガード部材およびベビーカー
CN103909960B (zh) 2013-01-07 2016-05-25 考可拉夫特公司 容易操纵的婴儿车
US8882134B2 (en) 2013-01-07 2014-11-11 Kolcraft Enterprises, Inc. Maneuverable strollers
CN104044623B (zh) * 2013-03-15 2016-08-10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车轮定向机构及具有该机构的儿童载具
US8991854B2 (en) 2013-05-02 2015-03-31 Artsana Usa, Inc. Folding travel stroller latch and wheel positioning system
JP6239283B2 (ja) 2013-07-05 2017-11-29 コンビ株式会社 キャスター及び乳母車
JP6400914B2 (ja) * 2014-01-31 2018-10-03 ピジョン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6378991B2 (ja) * 2014-09-22 2018-08-22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JP6374749B2 (ja) * 2014-09-30 2018-08-15 ピジョン株式会社 ベビーカー
US10183542B1 (en) * 2017-12-11 2019-01-22 Cnh Industrial America Llc Suspension control system providing orientation control for an agricultural machine
DE202018105345U1 (de) * 2018-09-18 2019-12-19 Cybex Gmbh Kinderwagengestell und Kinderwagen
CN113501044B (zh) * 2019-04-26 2023-08-04 康贝株式会社 婴儿车
WO2021048302A1 (en) * 2019-09-11 2021-03-18 Wonderland Switzerland Ag Wheeled carry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4567A (ja) * 1986-09-02 1988-07-30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
US4779879A (en) 1986-09-02 1988-10-25 Aprica Kassai Kabushikikaisha Baby carriage
JP2520008Y2 (ja) 1990-09-27 1996-12-11 コンビ 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キャスター機構
AUPP059097A0 (en) * 1997-11-27 1997-12-18 Igc (Australia) Pty Ltd Improvements in load carrying assemblies
JP5100930B2 (ja) * 2001-03-23 2012-12-19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US6508605B1 (en) * 2001-09-25 2003-01-21 Pao-Hsien Cheng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a stroller handle
JP2006117012A (ja) 2004-10-19 2006-05-11 Combi Corp 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
TWM288611U (en) * 2005-10-19 2006-03-11 Link Treasure Ltd Manual brake structure for infant jogging strol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480B1 (ko) * 2011-10-18 2013-10-29 김정근 유모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254688A (ja) 2008-10-23
EP2138375A4 (en) 2011-03-30
TWI464084B (zh) 2014-12-11
CN101678852A (zh) 2010-03-24
CN102390422A (zh) 2012-03-28
WO2008126734A1 (ja) 2008-10-23
HK1142044A1 (en) 2010-11-26
CA2682801C (en) 2015-03-17
HK1168577A1 (en) 2013-01-04
RU2009141165A (ru) 2011-05-20
EP2138375B1 (en) 2012-06-20
KR101553309B1 (ko) 2015-09-16
CN102390422B (zh) 2014-03-05
RU2471665C2 (ru) 2013-01-10
EP2138375A1 (en) 2009-12-30
CN101678852B (zh) 2011-11-16
JP4994925B2 (ja) 2012-08-08
US20100127481A1 (en) 2010-05-27
CA2682801A1 (en) 2008-10-23
BRPI0809660A2 (pt) 2014-10-14
ES2389827T3 (es) 2012-11-02
US8297643B2 (en) 2012-10-30
TW200927558A (en)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4595A (ko) 유모차
KR101435540B1 (ko) 유모차
KR101750774B1 (ko) 유모차
JP2013006553A (ja) 乳母車
WO2008059919A1 (fr) Poussette
KR100923261B1 (ko) 유모차
KR20120121393A (ko) 접이 가능한 베이비 카
KR20170058371A (ko) 유모차
JP5798890B2 (ja) ベビーカー用の制動機構、ベビーカー用の車輪保持機構、および、ベビーカー
JP6957051B2 (ja) 乳母車
JP6915935B2 (ja) 乳母車
KR20200014211A (ko) 유모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