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4511A - 파프제 및 파프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파프제 및 파프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4511A
KR20100014511A KR1020097019714A KR20097019714A KR20100014511A KR 20100014511 A KR20100014511 A KR 20100014511A KR 1020097019714 A KR1020097019714 A KR 1020097019714A KR 20097019714 A KR20097019714 A KR 20097019714A KR 20100014511 A KR20100014511 A KR 20100014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solid layer
agent
less
uni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니치 노구치
Original Assignee
니프로 패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프로 패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프로 패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4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10Stiffening bandage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고체층의 비어져 나옴 및 사용 대상으로부터의 이탈을 모두 억제할 수 있는 파프제 및 파프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파프제(10)는, 지지체(20)와, 이 지지체(20) 상에 위치하며 고체로 이루어지는 고체층(30)을 구비한다. 고체층(30)은, 그 외주로부터 안쪽으로 5mm 이내의 부분인 가장자리부(31)와, 이 가장자리부(31) 사이에 유지된 중앙부(33)를 갖는다. 고체층(30) 전체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은 0.10g/cm2 이하이고, 가장자리부(31)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은 중앙부(33)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의 70% 이상이다.

Description

파프제 및 파프제 제조 방법{POULTIC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POULTICE}
본 발명은 파프제 및 파프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다양한 약제 성분을 함유하는 파프제가 개발되어 제품화되어 있다. 도 6은 종래예에 따른 파프제(500)의 주연부(周緣部)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프제(500)는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510)와, 이 지지체(510) 상에 위치하는 고체층(膏體層)(520)을 구비하며, 이 고체층(520)에 약제 성분이 배합되어 있다.
이러한 파프제(500)는 고체층(520)을 박리 시트(530)로 피복한 다음, 여러 장 포개진 상태로 유통된다. 이 때문에, 각 파프제(500)에는 다대한 압력(P)이 부하되어 고체층(520)이 파프제(500)의 외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비어져 나온 고체층(520)이 사용자 등에 부착되는 현상이 생기기 때문에 파프제(500)의 취급성이 나쁘다.
도 7은 다른 종래예에 따른 파프제(600)의 주연부의 단면도이다.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일본 특허 공개 평 9-110679호 공보에 개시된 파프제(600)에는 지지체(610)의 단부 상에 고체층(620)의 비형성부(615)가 마련되어 있다. 이 파프 제(600)에 의하면, 압력(P)의 부하에 의해 뭉개진 고체층(620)이 비형성부(615)에 유지되기 때문에 파프제(600)의 외주로부터 고체층(620)이 비어져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전술한 파프제(600)에서는, 비형성부(615)에는 고체층(620)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시에 있어서 비형성부(615)가 사용자의 피부(S)로부터 이간된다(도 8(A) 참조). 이 때문에, 파프제(600)에 문질림 등으로 인한 외력(Q)이 가해지면, 파프제(600)는 비형성부(615)를 시작점으로 하여 피부(S)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어 버린다(도 8(B) 참조). 이러한 문제는 취침시 등의 장시간에 걸친 사용에 있어서 특히 걸림돌이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고체층의 비어져 나옴 및 사용 대상으로부터의 이탈을 모두 억제할 수 있는 파프제 및 파프제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지지체 상의 전체에 걸쳐 소량씩 대략 균등하게 고체(膏體)를 배치함으로써, 고체층의 비어져 나옴 및 사용 대상으로부터의 이탈을 모두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지지체와, 이 지지체 상에 위치하며 고체로 이루어지는 고체층을 구비하는 파프제로서,
상기 고체층은 그 외주로부터 안쪽으로 5mm 이내의 부분인 가장자리부와, 이 가장자리부 사이에 유지된 중앙부를 가지며,
상기 고체층 전체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은 0.10g/cm2 이하이고,
상기 가장자리부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은 상기 중앙부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의 70% 이상인 파프제.
가장자리부의 고체 질량이 중앙부의 고체 질량에 대하여 너무 작으면, 가장자리부 및 중앙부간의 두께차가 과잉해진다. 따라서, 사용시에 있어서 중앙부는 사용 대상에 맞닿는 한편, 가장자리부는 사용 대상으로부터 이간되는 상황이 되기 쉽다.
그래서 (1)의 발명에 따르면, 가장자리부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을 중앙부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의 70% 이상으로 하였으므로, 가장자리부 및 중앙부간의 두께차가 허용 범위 내로 억제되어, 사용시에 가장자리부가 사용 대상으로부터 이간되는 상황이 억제된다.
한편, 가장자리부 및 중앙부간의 두께차가 작으므로, 유통 과정 등에서 고체층이 뭉개졌을 때, 중앙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이행(移行)되는 고체를 유지할 수 있는 허용량은 한정된다. 이 허용량을 초과하는 고체가 이행된 경우에는, 파프제의 외주로부터의 고체층의 비어져 나옴이 발생한다.
그래서 (1)의 발명에 따르면, 고체층 전체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을 0.10g/cm2 이하라는 필요 충분한 양으로 하였으므로, 고체층의 비어져 나옴을 억제할 수 있으면서 점착력 부족으로 인한 적용 대상으로부터의 이탈을 억제할 수 있다.
(2) (1)에 있어서, 상기 고체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면서 점착력을 증강시키는 점착 증강 성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파프제.
Figure 112009057932751-PCT00001
(상기 식에서, m/n(몰비)은 55/45 이상 75/25 이하이다.)
고체층을 구성하는 고체 질량이 비교적 적기 때문에, 고체의 점착력이 부족하여 파프제가 적용 대상으로부터 이탈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2)의 발명에 의하면, 아크릴산 나트륨에 대한 아크릴산의 함유비가 55/45 이상(몰비)인 공중합체를 고체층에 첨가하였으므로, 점착력이 충분히 향상되어 파프제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적용 대상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아크릴산과 아크릴산 나트륨의 공중합체는 아크릴산 함유비가 너무 작으면(예컨대, m/n(몰비)이 50/50), 적용 대상에 대한 점착력이 불충분해진다.
또한, 점착력이 충분히 향상되어 있으므로, 고체층에 점착 증강 성분이 실질 적으로 함유되어 있지 않더라도 파프제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적용 대상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래서 (2)의 발명에 따르면, 점착 증강 성분(예컨대, 폴리부텐, 지환식 포화 탄화 수소 수지, 로진 유도체, 터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을 고체층에 실질적으로 함유시키지 않았으므로, 고체층의 부피가 저감된다. 이에 의해, 적용 대상에 대한 밀착성 및 적용 대상의 형상 변화 등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점착 증강 성분의 첨가량이 매우 저감되어 있으므로, 파프제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점착 증강 성분을 첨가하는 공정을 생략하면,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어 파프제를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아크릴산 함유비가 너무 커도(예컨대, m/n(몰비)이 80/20), 공중합체의 제조가 기술적으로 어려워져 수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1)의 발명에 의하면, 아크릴산 나트륨에 대한 아크릴산의 함유비가 75/25 이하(몰비)인 공중합체를 고체층에 첨가하였으므로, 공중합체를 용이하게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점착 증강 성분"이란, 점착력의 증강을 목적으로 하여 첨가되는 성분을 말하며, 다른 목적으로 첨가된 결과로서 점착력을 상승시키는 경우가 있는 성분(예컨대, 젤라틴 등의 결합 성분이나 글리세린 등의 습윤 성분)은 제외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함유하고 있지 않은"이란, 점착력 증강 작용이 발휘될 정도의 양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것을 말한다.
한편, 화학식 1에서의 m/n이란, 고체층에 함유되는 아크릴산과 아크릴산 나 트륨과의 전체 공중합체에서의 아크릴산 나트륨에 대한 아크릴산의 함유비를 말한다. 즉, 고체층에 첨가되는 공중합체는 1종일 수도 있고 복수종일 수도 있다.
(3) (2)에 있어서, 상기 점착 증강 성분은 폴리부텐, 지환식 포화 탄화 수소 수지, 로진 유도체, 터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파프제.
(4)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고체층은 상기 점착 증강 성분의 가소제를 실질적으로 더 함유하지 않는 파프제.
(4)의 발명에 의하면, 고체층에 가소제(예컨대, 유동 파라핀)를 실질적으로 함유시키지 않았으므로, 파프제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가소제를 첨가하는 공정을 생략하면, 제조 공정이 보다 간소화되어 파프제를 보다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한편, 고체층은 점착 증강 성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고체층에 가소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파프제는 강직화(剛直化)되지 않는다. 따라서, 적용 대상에 대한 추종성은 유지된다.
(5) (4)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가 유동 파라핀인 파프제.
(6)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체층은 pH 4.50 이상 5.50 이하인 파프제.
(6)의 발명에 의하면, 고체층의 pH를 4.50 이상 5.50 이하로 하였으므로, 점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적용 대상으로부터 떼어낸 후의 고체의 잔류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평량 100g/m2 이하인 파프제.
지지체의 평량은 너무 작으면 고체가 부직포를 통과하여 삼출될 우려가 있는 한편, 너무 크면 가소성이 저하되어 적용 대상의 형상 변화 등에 대한 추종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이에 관하여, 본 발명에서의 고체층은 0.10g/cm2 이하라는 소량의 고체만 갖기 때문에, 고체의 삼출과 같은 사태의 발생이 억제되고 있다. 그래서 (7)의 발명에 의하면, 평량을 100g/m2 이하라는 낮은 수준으로 하였으므로, 가소성이 뛰어나고 적용 대상의 형상 변화 등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고체의 삼출을 억제할 수 있다.
(8) 지지체와, 이 지지체 상에 위치하며 고체로 이루어지는 고체층을 구비하는 파프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고체층의 주연이 되는 부위를 가압하여,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은 가장자리부와, 이 가장자리부 사이에 유지되며 두께가 상대적으로 큰 중앙부를 형성하는 가압 순서를 가지며,
상기 가압 순서는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가장자리부의 두께와 상기 중앙부의 두께간의 차를 소정값 이하로 하는 조절 순서를 갖는 제조 방법.
(8)의 발명에 의하면, 가압 순서를 마련하였으므로,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은 가장자리부 및 상대적으로 큰 중앙부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유통 과정 등에서 고체층이 뭉개졌을 때, 중앙부로부터 이행된 고체가 두께의 차만큼 유지되어, 파프제의 외주로부터 고체층이 비어져 나오는 것이 억제되게 된다.
게다가, 가압 순서에 조절 순서를 마련하였으므로, 가장자리부 및 중앙부간의 두께차가 소정값 이하로 억제되어, 사용시에 가장자리부가 사용 대상으로부터 이간되는 상황이 억제된다.
따라서, 고체층의 비어져 나옴 및 사용 대상으로부터의 이탈을 모두 억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장자리부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을 중앙부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의 70% 이상으로 하였으므로, 가장자리부 및 중앙부간의 두께차가 허용 범위 내로 억제되어, 사용시에 가장자리부가 사용 대상으로부터 이간되는 상황이 억제된다.
게다가, 고체층 전체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을 0.10g/cm2 이하라는 필요 충분한 양으로 하였으므로, 고체층의 비어져 나옴을 억제할 수 있으면서 점착력 부족으로 인한 적용 대상으로부터의 이탈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파프제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프제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파프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프제의 일부 단면의 사진이다.
도 5는 종래예에 따른 파프제의 일부 단면의 사진이다.
도 6은 종래예에 따른 파프제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종래예에 따른 파프제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파프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파프제
20……지지체
30……고체층
31……가장자리부
33……중앙부
40……박리 시트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파프제(10) 단부의 단면도이다.
10은 지지체(20)와, 이 지지체(20) 상에 위치하는 고체층(30)을 구비한다. 또한, 도 1의 단계에서, 10은 30을 피복하는 박리 시트(40)를 더 구비하고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체>
지지체는 고체층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의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섬유 시트 또는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땀 등으로 인한 짓무름이나 피부 자극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증기 투과성을 갖는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섬유 시트가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염화 비닐리덴,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알루미늄 시트, 나일론, 아크릴, 면,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 혹은 이들 섬유를 복합하여 직포 또는 부직포로 만든 섬유 시트, 나아가서는 이들과 수증기 투과성을 갖는 필름과의 복합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섬유 시트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안전성, 범용성 및 신축성이라는 점에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직포 또는 부직포의 섬유 시트가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섬유 시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섬유 시트는 유연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적용 대상의 움직임을 추종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피부에 주는 자극이 작다. 또한, 섬유 시트를 사용하면 적당한 자기 지지성을 갖는 첩부제를 얻을 수 있다.
지지체의 평량은 너무 작으면 강도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는 한편, 너무 크면 적용자에게 커다란 위화감을 주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지지체의 평량은 70g/m2 이상 100g/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g/m2 이상 90g/m2 이하이다.
<고체층>
고체층(30)은 고체로 이루어지며, 사용시에 사용 대상(예컨대, 사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부분이다. 이러한 고체층(30)은 후술하는 가장자리부(31)와 이 가장자리부(31) 사이에 유지된 중앙부(33)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적층된 고체 질량에 있어서 특징적이다. 즉, 고체층(30) 전체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은 0.10g/cm2 이하임과 아울러, 가장자리부(31)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은 중앙부(33)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의 70% 이상이다. 비어져 나옴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자리부(31)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은 중앙부(33)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의 1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층(30) 전체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은 고체층의 비어져 나옴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0.07g/c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점착력 부족으로 인한 적용 대상으로부터의 이탈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0.05g/cm2 이상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체층(30) 전체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은 약 0.05g/cm2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고체층(30) 전체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과 중앙부(33)에 대한 가장자리부(31)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의 비는 서로 상관성을 갖는다. 즉, 고체층(30) 전체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이 작아짐에 따라 중앙부(33)에 대한 가장자 리부(31)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의 비의 허용 범위는 넓어진다. 구체적으로는, 가장자리부(31)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은, 고체층(30) 전체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이 0.07g/cm2인 경우, 중앙부(33)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의 1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고체층(30) 전체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이 0.05g/cm2인 경우, 중앙부(33)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의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고체층(30) 전체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이 0.035g/cm2인 경우, 중앙부(33)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의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사실은 고체층 전체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을 저감시킴으로써, 고체층이 비어져 나온 불량품의 출현 확률을 저감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고체층(30) 전체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이 0.07g/cm2 이하인 경우에는, 가장자리부(31)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은 통상적으로 중앙부(33)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의 70% 이상 150% 이하일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1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12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110% 이하이다.
이러한 고체는 종래의 공지된 조성물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단, 고체 질량을 억제하면서 충분한 점착력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이하와 같은 조성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고분자]
본 발명의 파프제에서의 고체층에는 수용성 고분자로서 아크릴산과 아크릴산 나트륨과의 공중합체가 첨가된다. 이 공중합체에 있어서, 아크릴산 나트륨에 대한 아크릴산의 함유비는 55/45 이상 75/25 이하(몰비)이다. 이러한 공중합체로서는, 예컨대 "NP-800(등록 상표)"(쇼와 덴코사 제품)을 들 수 있다.
이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점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적용 대상으로부터 떼어낸 후의 고체의 잔류를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파프제 전체에 대하여 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상 9질량% 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8질량% 이하이다. 다만,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파프제의 점착성, 응집성, 보형성, 흡수(吸水)성, 고체의 균일성, 가공성, 사용감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결정될 수 있다.
(pH)
고체층은 통상적으로 적용 대상에 주는 자극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pH 6~7 정도로 조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또한, 점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pH 4.50 이상 5.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60 이상 5.20 이하이다.
이 기구(機構)로서는 다음과 같은 기구가 추정된다. 즉, pH가 저하함에 따라 고체층 중의 아크릴산 함유비가 증가하여 점착력이 향상된다.
그 이외에, 파프제는 젤라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용성 고분자 중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할 수도 있다.
[물]
고체층에 첨가되는 물로는 정제수, 멸균수, 천연수 등을 들 수 있다. 물은 수용성 고분자 등의 분산제 또는 용해제로서 작용하며, 후술하는 보습제로서의 글리콜류나 다가 알코올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용해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욱이, 물은 사용감을 향상시키거나 적용 대상으로서의 피부에 이행되어 촉촉함이나 팽팽함을 부여한다.
물의 함유량은 너무 작으면 작업성이 저하되거나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는 한편, 너무 크면 보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물의 함유량은 고체층 전체에 대하여 3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질량% 이상 80질량% 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상 60질량% 이하이다. 다만, 물의 함유량은 제제의 점착성, 보수성, 작업성, 보형성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결정될 수 있다.
[임의 성분]
(다가 알코올)
고체층에 첨가되는 다가 알코올로서는, 예컨대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자일리톨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작업성이나 사용감 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글리세린이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은 너무 작으면 파프제 중의 수분이 휘산되어 점착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박리되기가 쉬워진다. 한편, 너무 커도 고체가 딱딱해져서 제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은 고체층 전체에 대하여 10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상 45질량%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 40질량% 이하이다.
(다가 금속염)
다가 금속염으로서는, 예컨대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알루미늄 겔, 물 함유 규산 알루미늄, 합성 규산 알루미늄, 카올린, 아세트산 알루미늄, 락트산 알루미늄, 스테아르산 알루미늄, 염화 칼슘, 염화 마그네슘, 염화 알루미늄,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 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합성 규산 알루미늄 및 메타규산 알루민산 마그네슘이 바람직하다.
다가 금속염의 함유량은 너무 적으면 가교의 정도가 불충분하여 겔 강도가 부족하게 되는 한편, 너무 많으면 제조시에서의 반응 속도가 너무 빨라 겔화가 불균일해져 작업성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다가 금속염의 함유량은 고체층 전체에 대하여 0.01질량% 이상 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질량% 이상 3질량%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03질량% 이상 2질량% 이하이다.
또한, 고체층에는 겔화의 속도 조정제로서, 금속 이온에 대한 킬레이트 작용을 갖는, EDTA, 아세트산, 락트산, 옥살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등의 유기산, EDTA-2 나트륨, 시트르산 칼슘, 시트르산 나트륨, 시트르산 2나트륨 등의 유기산염이 첨가될 수도 있다.
(계면 활성제)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컨대, 디옥틸술포숙신산 나트륨, 알킬설페이트염, 2-에틸헥실알킬황산 에스테르나트륨염, 노말도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 등의 음이온 계면 활성제;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옥타데실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옥시에틸렌도데실모노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양이온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모노스테아레이트,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솔비탄모노팔미네이트,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올레이트,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타데실아민 등의 비이온 계면 활성제;가 첨가될 수도 있다.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너무 작으면 블리딩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한편, 너무 크면 보형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은 고체층 전체에 대하여 0.01질량% 이상 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질량% 이상 4질량%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 3질량% 이하이다.
[기타]
더욱이, 본 발명의 고체층에는 산화 방지제, 가교제, 약제, 방부제, 점착 부여제, 용해제, 색소, 향료, 자외선 흡수제, 무기 충전제 및 pH 조정제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로서는, 아스코르빈산, 갈산 프로필,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트산, 토코페롤, 아세트산 토코페롤, 천연 비타민 E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
가교제로서는, 수난용성 알루미늄 화합물, 다작용성 에폭시 화합물, 아미노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알키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경화성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유기계 가교제,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 등의 무기계 가교제를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약제)
약제로서는, 약리활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소염 진통제(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플러르비프로펜, 페르비나크, 케토롤라크, 디클로페나크, 록소프로펜, 또는 이들의 염 등), 제토제(염산 글라니세트론, 염산 아자세트론, 염산 온단세트론, 염산 라모세트론 등), 호르몬제(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론, 에스트리올, 에퀼린, 에퀼레닌, 프로게스테론, 카프르산 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트산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디드로게스테론, 아세트산 클로르마디논, 에티스테론, 디메티스테론, 노르에티스테론, 아세트산 노르에티스테론, 에난트산 노르에티스테론, 아세트산 에티노디올, 아세트산 메게스트롤, 알릴에스트레놀 등), 빈뇨 치료제(염산 옥시부티닌 등), 칼슘 길항제(니페디핀, 니졸디핀, 니칼디핀, 니트레디핀 등),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류(히드로코르티존, 프레드니솔론, 프로피온산 클로베타졸 등), 최면 진정제(페노바르비탈, 트리아졸람, 니트라제팜, 로라제팜 등), 정신 안정제(플루페나딘, 디아제팜, 클로르프로마딘 등), 항고혈압제(클로니딘, 염산 클로니딘, 핀드롤, 프로프라노롤, 니트렌디핀, 메토프로롤 등), 강압 이뇨제(하이드로사이아자이드 등), 항생물질(페니실린, 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클로람페니콜 등), 마취제(리도카인, 염산 디부카인, 아미노벤조산 에틸 등), 항균성 물질(염산 벤잘코늄, 클로트리마졸 등), 비타민제(비타민 A 등), 항간질제(니트라제팜 등), 관혈관 확장제(니트로글리세린, 질산 이소솔비드 등), 항히스타민제(디펜히드라민, 클로르페닐라민 등), 진핵제(염산 툴로부테롤, 살부타몰, 푸말산 케토티펜, 트라니라스트, 염산 이소프로테레노롤 등), 항울제(염산 클로미프라민, 염산 아미트립틸린 등), 뇌순환 개선제(메실산 디히드로에르고톡신, 이펜프로딜 등), 항종양제(5-플루오로라우실 등), 근이완제(에페리존, 단트롤렌 등), 진통제(펜타닐, 모르핀 등), 폴리펩타이드계의 호르몬제(황체 형성 호르몬 방출 호르몬(LH-RH), 갑상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TRH) 등), 말초 혈관 확장제, 면역 조절제(폴리사카라이드류, 오라노핀, 로벤자리트 등), 이담제(우르소데스옥시콜산 등), 이뇨제(히드로플루메티아지드 등), 당뇨병용제(톨부타미드 등), 통풍 치료제(코르히틴 등), 항파킨슨제(아만타딘, 레보도파 등), 항어질증제(디페니돌, 베타히스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
방부제로서는, 파라옥시벤조산 에틸, 파라옥시벤조산 프로필, 파라옥시벤조산 부틸을 들 수 있다.
(보형제)
보형제로서는, 카제인, 플루란, 한천, 덱스트란, 알긴산 소다, 가용성 전분, 카르복시 전분, 덱스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에테르, 말레산 공중합체, 메톡시에틸렌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이소부틸렌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비닐알코올 부분 비누화물,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잔탄 검, N-비닐아세트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용해제)
용해제로서는,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아디프산 디이소프로필, 크로타미톤, 박하유, N-메틸-2-피롤리돈, 벤질알코올, 탄산 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색소)
색소로서는, 적색 2호(Amaranth), 적색 3호(Erythrosine), 적색 102호(New Coccine), 적색 104호의 (1)(Phloxine B), 적색 105호의 (1)(rose bengal), 적색 106호(Acid Red), 황색 4호(Tartrazine), 황색 5호(Sunset Yellow FCF), 녹색 3호(Fast Green FCF), 청색 1호(Brilliant Blue FCF), 청색 2호(Indigo carmine) 등의 법정 색소를 사용할 수 있다.
(향료)
향료로서는, 박카유, 계피유, 정향유, 회향유, 피마자유, 테레빈유, 유칼리 유, 오렌지유, 라벤다유, 레몬유, 로즈유, 레몬글래스유 등이나 로즈마리, 세이지 등의 식물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 에스테르,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 아밀, 살리실산 에스테르, 안트라닐산 메틸, 움벨리페론, 에스큘린, 신남산 벤질, 시녹세이트, 구아이아줄렌, 우로칸산,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디옥시벤존, 옥타벤존, 디히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 설리소벤존, 벤조레솔시놀, 옥틸디메틸파라아미노벤조에이트, 에틸헥실파라메톡시사이나메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충전제)
무기 충전제로서는,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규산염(예컨대, 규산 알루미늄, 규산 마그네슘 등), 규산, 황산 바륨, 황산 칼슘, 아황산 칼슘, 산화 아연, 산화 타이타늄, 카올린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
pH 조정제로서는, 아세트산, 폼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옥살산, 벤조산, 글리콜산, 말산, 시트르산, 염산, 질산, 황산,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슘, 메틸아민, 에틸아민, 프로필아민,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디프로필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모노메탄올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모노프로판올아민, 디메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디프로판올아민, 트리메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트리프로판올아민, 시트르산 완충액, 인산 완충액, 글리신 완충액, 아세트산 완충액 등을 들 수 있다.
<박리 시트>
박리 시트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 비닐, 폴리염화 비닐리덴 등의 필름, 상질지와 폴리올레핀과의 라미네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박리 시트에는, 박리 시트의 박리가 용이해진다는 점에서 고체층과의 대향면에 실리콘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파프제 제조 방법을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기제(基劑)(고체 원료)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조제하고, 이 기제를 지지체 또는 박리 시트 상에 도포함으로써 고체 예비층을 형성한다. 계속하여, 형성된 고체 예비층에 박리 시트 또는 지지체를 붙여 복합체(10')를 제작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체(10')에 최종적인 파프제의 가장자리부(31)와 합치하는 형상의 프레임(F)을 가압함으로써, 프레임(F)에 압입되어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은 예비 가장자리부(31')와, 이 예비 가장자리부(31') 사이에 유지되며 두께가 상대적으로 큰 예비 중앙부(33')를 형성한다(가압 순서). 구체적으로는, 프레임(F)이 표면에 마련된 회전 롤러를 복합체(10')의 반송로에 대향 배치한다(도시하지 않음). 이 상태에서 복합체(10')를 반송하면, 복합체(10')가 회전 롤러를 통과할 때 프레임(F)이 복합체(10')에 눌러진다.
가압 순서에서는,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써 가장자리부(31)의 두께와 중앙부(33)의 두께간의 차를 소정값 이하로 하는(조절 순서)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력 은 복합체(10')의 두께에 따라 프레임(F) 및 반송로의 간격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즉, 프레임(F) 및 반송로의 간격을 증가시키면 가압력이 저하되는 한편, 간격을 감소시키면 가압력이 증가한다.
이어서, 복합체(10')를 예비 가장자리부(31')의 중앙에서 재단한 후, 실온에서 수일간 보관하고, 고체 예비층(30')에서 가교 반응이 충분히 행해지게 하여 파프제(10)를 얻는다.
도 3은 도 1의 파프제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F)의 형상이 폭 10mm이고 140mm×100mm인 격자체로 하였기 때문에 파프제(10)는 140mm×100mm의 직사각형이며, 가장자리부(31)가 파프제(10)의 외주로부터 안쪽으로 5mm 이내의 부분이다. 다만, 파프제(10)의 형상이나 치수는 이들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제조 방법에서, 용이하고 저렴하게 파프제를 제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제를 조제하는 순서에 점착 증강 성분을 첨가하는 순서를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실시예 1~6>
표 1에 나타낸 처방에 의해, 통상의 방법에 따라 고체를 제조하였다. 이 고체를 부직포제의 지지체 상에 적층하고, 다시 박리 필름으로 피복한 후, 프레임을 이용하여 적당한 압력으로 가압하였다. 그 후, 라미네이트제 봉지 안에 넣고, 다 시 이 봉지를 여러 장 포갠 상태에서 수일간 방치하였다. 방치 후의 파프제를 이하의 평가 시험에 사용하였다.
Figure 112009057932751-PCT00002
(수치는 모두 질량부)
〔비교예 1~7〕
비교예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파프제는 모두 140mm×100mm의 직사각형이었다. 이들 파프제의 각각의 외주로부터 안쪽으로 5mm의 부분을 가위로 재단하고, 그 내측 부분인 중앙부, 외측 부분인 가장자리부를 분리하였다. 이들 중앙부 및 가장자리부의 각각에 부착된 고체를 긁어내어 질량을 측정하고, 측정값을 각 표면적으로 나눔으로써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을 산출하였다. 이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57932751-PCT00003
Figure 112009057932751-PCT00004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6의 파프제는 모두 가장자리부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이 중앙부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의 70% 이상이었다. 실제로 어느 파프제에서도 고체층의 비어져 나옴은 관찰되지 않았다.
[평가 1]
먼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파프제 각각을 5명의 패널의 손등의 관절부분에 붙였다. 이어서, 각 패널로 하여금 긴소매의 와이셔츠를 착용하게 하고, 파프제의 가장자리부가 와이셔츠의 소매에 걸리기 쉬운 상태로 하였다. 그 후, 각 패널이 일상 생활을 하며 지내는 동안에 소정 시간마다 첩부 상태를 관찰하였다. 관찰된 상태를 이하의 기준에 의거하여 수치화하였다. 이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3: 박리나 말림이 없고, 완전히 접착되어 있었다.
2: 가장자리부가 약간 박리되었으나, 거의 완전히 접착되어 있었다.
1: 가장자리부에서의 박리가 눈에 띄지 않았다.
0: 이탈되었다.
Figure 112009057932751-PCT00005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6의 파프제는 첩부 8시간 후에도 완전히 접착되어 있었다. 한편, 비교예 1~7의 파프제는 첩부 6시간 후에는 박리가 발생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만든 고체를 지지체 상에 단위 면적 당 0.035g/cm2의 비율로 도포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파프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
고체를 지지체 상에 단위 면적 당 0.05g/cm2의 비율로 도포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순서로 파프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9>
고체를 지지체 상에 단위 면적 당 0.07g/cm2의 비율로 도포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순서로 파프제를 제작하였다.
[평가 2]
실시예 7~9의 첩부제를 5명의 패널의 허리 부분에 첩부하였다. 그 12시간 후의 첩부 상태를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이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 완전히 접착되어 있었다.
○: 일부가 박리되었으나, 거의 완전히 접착되어 있었다.
△: 대부분이 박리되었다.
×: 이탈되었다.
Figure 112009057932751-PCT00006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7~9에 따른 첩부제는 모두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이 0.07g/cm2 이하라는 낮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Claims (8)

  1. 지지체와, 이 지지체 상에 위치하며 고체(膏(體)로 이루어지는 고체층(膏體層)을 구비하는 파프제로서,
    상기 고체층은 그 외주로부터 안쪽으로 5mm 이내의 부분인 가장자리부와, 이 가장자리부 사이에 유지된 중앙부를 가지며,
    상기 고체층 전체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은 0.10g/cm2 이하이고,
    상기 가장자리부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은 상기 중앙부에서의 단위 면적 당 고체 질량의 70% 이상인 파프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면서 점착력을 증강시키는 점착 증강 성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파프제.
    Figure 112009057932751-PCT00007
    ...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m/n(몰비)은 55/45 이상 75/25 이하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증강 성분은, 폴리부텐, 지환식 포화 탄화 수소 수지, 로진 유도체, 터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파프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층은 상기 점착 증강 성분의 가소제를 실질적으로 더 함유하지 않는 파프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가 유동 파라핀인 파프제.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층은 pH 4.50 이상 5.50 이하인 파프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평량 100g/m2 이하인 파프제.
  8. 지지체와, 이 지지체 상에 위치하며 고체로 이루어지는 고체층을 구비하는 파프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고체층의 주연이 되는 부위를 가압하여,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은 가장자리부와 이 가장자리부 사이에 유지되며 두께가 상대적으로 큰 중앙부를 형성하는 가압 순서를 가지며,
    상기 가압 순서는,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가장자리부의 두께와 상기 중앙부의 두께간의 차를 소정값 이하로 하는 조절 순서를 갖는 제조 방법.
KR1020097019714A 2007-05-17 2008-03-05 파프제 및 파프제 제조 방법 KR201000145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32218 2007-05-17
JPJP-P-2007-132218 2007-05-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511A true KR20100014511A (ko) 2010-02-10

Family

ID=40031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714A KR20100014511A (ko) 2007-05-17 2008-03-05 파프제 및 파프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00215721A1 (ko)
EP (1) EP2156827A4 (ko)
JP (1) JP5722539B2 (ko)
KR (1) KR20100014511A (ko)
CN (1) CN101686950B (ko)
CA (1) CA2687239A1 (ko)
TW (1) TW200900097A (ko)
WO (1) WO20081428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9862B2 (ja) 2008-08-28 2013-09-11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剤
JP5396208B2 (ja) * 2009-09-08 2014-01-22 日東電工株式会社 耐水性貼付製剤
JP5688121B2 (ja) * 2013-06-05 2015-03-25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剤
JP6332784B2 (ja) * 2013-10-03 2018-05-30 花王株式会社 含水ゲルシート材の製造方法
US20160045634A1 (en) * 2014-08-15 2016-02-18 Wayne Caleb Williams Analgesic Formulation and Delivery Bandage
MA41266A (fr) * 2014-12-22 2017-10-31 Hisamitsu Pharmaceutical Co Cataplas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54747C (da) * 1986-10-17 1989-05-08 Coloplast As Bandage med en hudvenlig, vandabsorberende klaebeskive der paa den ene flade er fast forbundet med en ikke-klaebende daekfilm og paa den anden med et aftageligt beskyttelsesdaekke
US5591447A (en) * 1990-10-01 1997-01-07 Hollister Incorporated Wound dressing having a contoured adhesive layer
US5133821A (en) * 1990-11-19 1992-07-28 Jensen Ole R Method for contouring hydrocolloid wound dressings
JP3308593B2 (ja) * 1992-06-19 2002-07-29 日東電工株式会社 機能性外用材及びその製造方法
DK44193D0 (da) * 1993-04-20 1993-04-20 Euromed I S Saarforbinding og klaebemiddel til en saarforbinding eller lignende
US5704905A (en) * 1995-10-10 1998-01-06 Jensen; Ole R. Wound dressing having film-backed hydrocolloid-containing adhesive layer with linear depressions
JPH09110679A (ja) * 1995-10-13 1997-04-28 Nitto Denko Corp ハップ剤
US5827213A (en) * 1995-10-19 1998-10-27 Ole R. Jensen Heel and elbow dressing
US5730736A (en) * 1996-04-30 1998-03-24 Dansac A/S Ostomy appliance and contoured adhesive wafer therefor
GB9725169D0 (en) * 1997-11-27 1998-01-28 The Technology Partnership Plc Wound dressing
US6878385B2 (en) * 1999-01-12 2005-04-12 Jentec, Inc. Wrinkle-resistant dressing and gently adhesive composition thereof
JP4596751B2 (ja) * 2003-06-11 2010-12-15 帝國製薬株式会社 消炎鎮痛貼付剤
CN1314386C (zh) * 2004-04-27 2007-05-09 陈明元 昆明山海棠巴布剂及其制备方法
WO2006090782A1 (ja) * 2005-02-23 2006-08-31 Saitama Daiichi Pharmaceutical Co., Ltd. 含水系外用貼付剤用組成物及びこの組成物を用いた貼付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56827A4 (en) 2012-11-07
WO2008142896A1 (ja) 2008-11-27
JP5722539B2 (ja) 2015-05-20
TW200900097A (en) 2009-01-01
CA2687239A1 (en) 2008-11-27
US20100215721A1 (en) 2010-08-26
CN101686950B (zh) 2014-01-01
EP2156827A1 (en) 2010-02-24
JPWO2008142896A1 (ja) 2010-08-05
CN101686950A (zh)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3559B2 (ja) 貼付剤
JP4467437B2 (ja) 温感パップ剤
JPH07138153A (ja) 有効薬剤の経皮供給
KR20080015120A (ko) 첩부제
JP4856808B2 (ja) シート状貼付剤
JP2004174202A (ja) 貼付剤
WO2006090782A1 (ja) 含水系外用貼付剤用組成物及びこの組成物を用いた貼付剤
KR20100014511A (ko) 파프제 및 파프제 제조 방법
JPH08188527A (ja) シート状パック剤
IL157692A (en) A method of creating a transdermal drug system that contains nicotine
JP4744439B2 (ja) 貼付剤
JP2001302502A (ja) インドメタシン貼付剤
EP2865377B1 (en) Percutaneous absorption promoter and skin patch comprising same
JP5243158B2 (ja) 貼付材並びに貼付製剤
CN112689505A (zh) 含水贴剂
JP5160742B2 (ja) 透明又は半透明含水系外用貼付剤用組成物、及び、この組成物を用いた透明又は半透明外用貼付剤
JP2011012015A (ja) 貼付剤
JP5497298B2 (ja) シート状貼付剤
JP3193161B2 (ja) 経皮吸収性製剤
JP4536844B2 (ja) シート状パック剤
CZ171198A3 (cs) Plošně stabilisovaný farmaceutický přípravek k použití na pokožku
JP5842304B2 (ja) 外用貼付剤
JP2008094748A (ja) パップ剤、及びパップ剤の製造方法
JP4592326B2 (ja) 貼付剤
JP4274951B2 (ja) 異型断面繊維を使用した支持体を有するテーピング型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