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743A - 센서 레벨링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센서 레벨링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자동화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743A
KR20100011743A KR1020080073081A KR20080073081A KR20100011743A KR 20100011743 A KR20100011743 A KR 20100011743A KR 1020080073081 A KR1020080073081 A KR 1020080073081A KR 20080073081 A KR20080073081 A KR 20080073081A KR 20100011743 A KR20100011743 A KR 20100011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ing
sensor
light emitting
light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6245B1 (ko
Inventor
조한철
이효욱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80073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245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레벨링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발광소자(11)와 수광소자(12)로 구성되는 적외선센서(10)가 구비된다. 상기 발광소자(11)에는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다수 개의 저항(16) 중 어느 하나의 저항이 연결된다. 상기 발광소자(11)가 적외선을 방사하면, 상기 방사된 적외선을 감지한 수광소자(12)에서 출력되는 광량값에 기초하여 레벨링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24)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제어부(24)의 제어동작에 따라 레벨링이 필요한 상기 적외선센서(10)의 발광소자(11)에 일정 값의 저항(16)을 선택하여 연결하는 선택부(14)가 구비된다. 상기 선택부(14)에는 레벨링을 수행할 발광소자(11)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센서선택부(14a)와, 상기 선택된 발광소자(11)별로 레벨링에 필요한 일정 값을 가지는 저항(16)을 선택하는 저항선택부(14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센서(10)는 일정 개수가 모여 복수의 센서그룹을 이루고, 각 센서그룹에 대해 동시에 레벨링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레벨링 제어부(20)가 구비된다. 상기 레벨링 제어부(20)는 메인제어부(24)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레벨링 시간을 단축하고, 데이터오류로 인한 시스템의 고장 및 오작동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적외선센서, 레벨링, 발광소자, MUX

Description

센서 레벨링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자동화기기{METHOD AND APPARATU FOR SENSOR LEVELING, AND AUTOMATIC MACHIN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신호레벨링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외선센서의 수신감도를 조절하여 신호세기를 레벨링하도록 하는 센서 레벨링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매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지폐, 수표, 티켓, 증명서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폭이나 길이에 비해 두께가 매우 얇은 것으로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매체출납장치는 지폐입출금기, 자동판매기, 환전기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와, 증명서 발급기, 티켓발권기와 같은 매체취급기에 적용되어 매체의 수납, 출납, 교환, 발급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매체출납장치 중에서 지폐입출금기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지폐입출금기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지폐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가 구비된다. 상기 적외선센서는 적외선을 방사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적외선을 감지하여 그 감지된 양에 따른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소자로 구비된다. 상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는 이송되는 지폐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폐의 위치 감지시 상기 적외선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광량값은 일정 기준값 이상이어야 한다. 상기 기준값은 지폐를 감지할 수 있는 최적값 이상을 말한다. 상기 기준값은 기기 사양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적외선센서는 지분(紙粉)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제품의 수명이 다해갈수록, 상기 수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광량값이 점차 저하된다. 만약, 상기 광량값이 기준값보다 저하되는 경우, 상기 지폐입출금기의 센서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고, 이는 지폐입출금기의 오작동 원인이 된다.
그래서, 상기 지폐입출금기에는 상기 수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광량값의 저하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 예컨대 4단계의 레벨로 구비되는 저항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연결하여 상기 적외선센서의 수신감도, 즉 광량값을 레벨링하는 레벨링 회로가 구비된다. 상기 '레벨링'이라는 용어는 적외선센서의 광량값을 기준값보다 높게 유지하도록 상기 적외선센서에 일정 레벨의 저항을 선택하여 연결하는 과정을 말한다. 하지만, 상기 레벨링 회로는 상기 적외선센서마다 구비되어야 한다. 그래서, 상기 적외선센서가 구비되는 개수가 늘어날수록 회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사용되는 소자의 개수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지폐입출금기는 상기 수광소자에 2개의 아날로그 멀티플렉서(Analog Multiplexer)가 구비된 레벨링 회로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적외선센서가 하나의 레벨링 회로를 공유하도록 구성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레벨링 회로는 상기 적외선센서의 레벨링 수행시 각 수광소자를 하나씩 순차 적으로 선택하고, 그에 대응되는 레벨의 저항을 선택하여 연결한다. 이때, 상기 수광소자와 저항이 안정화되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상기 레벨링 회로는 일정 지연시간(delay time) 동안 대기해야만 한다. 상기 지연시간은 적외선센서를 변경하고 변경된 적외선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안정화시간이 포함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적외선센서를 순차적으로 레벨링하는 직렬방식을 사용하는 종래의 레벨링회로를 이용하는 지폐입출금기는 센서 개수만큼의 지연시간으로 인해 레벨링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레벨링 회로를 사용하는 지폐입출금기는 각 적외선센서의 모든 레벨링과정을 제어장치가 전체적으로 제어해야 하므로, 제어장치가 수행해야 하는 부하의 증가로 인해 시스템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외선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세기, 즉 광량값을 일정 기준 이상 유지하도록 적외선센서의 레벨링을 수행하는 센서 레벨링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자동화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외선센서의 레벨링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센서 레벨링 장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레벨링소자; 상기 발광소자에 대응하고, 그 발광소자에 대한 광량값을 출력하는 수광소자; 그리고 상기 수광소자의 광량값에 기초하여 레벨링이 필요한 발광소자에 대하여 상기 레벨링소자를 연결하여 레벨링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레벨링소자는, 각각 서로 다른 저항레벨을 갖는 저항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센서 레벨링 장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복수 개의 센서그룹; 상기 수광소자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레벨링 과정을 수행하는 제 1제어부; 그리고 상기 발광소자의 레벨링 과정을 상기 센서그룹에 대해 동시에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 2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발광소자를 선택하는 제 1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발광소자에 소정 저항레벨의 저항을 선택하는 제 2선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제어부는,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집적회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센서 레벨링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기기는 매체를 출납하는 매체출납모듈과; 상기 매체의 이송시 이송되는 상기 매체를 감지하도록 상기 매체출납모듈에 구비된 센서의 레벨링을 수행하는 상기 제 1항 또는 제 3항으로 이루어진 센서 레벨링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센세 레벨링 방법은 발광소자와 대응되는 수광소자의 광량값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소자에 대한 레벨링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레벨링이 필요하면 상기 발광소자에 대한 레벨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센서 레벨링 방법은 발광소자가 둘 이상 포함된 복수의 센서그룹을 동시에 구동하는 단계; 상기 각 센서그룹에 대해 첫 번째 발광소자부터 동시에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발광소자에 대해 레벨링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레벨링이 필요한 경우, 해당 발광소자에 대한 레벨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감지된 광량값과 기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광량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발광소자의 레벨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레벨링 수행단계는, 상기 발광소자에 현재 연결된 저항과 다른 레벨의 저항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광량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 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개수의 적외선센서를 구비한 복수의 센서그룹에 대하여 동시에 레벨링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은 적외선센서의 발광소자와 저항을 선택해서 연결하여 레벨링을 수행하므로, 적외선센서 데이터오류로 인한 오작동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적외선센서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적외선센서 레벨링에 소요되는 최대시간이 하나의 센서그룹으로 지정되는 적외선센서 개수의 레벨링 시간만큼만 필요로 하므로, 전체 레벨링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벨링 제어부를 이용하여 적외선센서 레벨링을 수행하므로, 종래에 각 적외선센서 레벨링을 제어하던 중앙제어장치의 부하를 감소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벨링회로에 구성되는 회로소자의 수를 감소시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레벨링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자동화기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지폐입출금기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수표, 상품권, 티켓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매체를 취급하는 매체취급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레벨링 장치를 포함하는 지폐입출금기의 블록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적외선센서와 선택부의 상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 및 도 3b에는 도 1에 도시된 저장부에 저장되는 각 센서그룹별 센서레벨데이터 테이블과 센서데이터 테이블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폐입출금기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지폐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10)가 구비된다. 상기 적외선센서(10)는 이송되는 지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적외선센서(10)에는 적외선을 방사하는 발광소자(11)와, 상기 적외선을 감지하는 수광소자(12)가 구비된다. 상기 발광소자(11)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Infrared Light Emitting Diode)로 구비되어, 상기 지폐의 이송이 시작되면 적외선을 방사한다. 상기 수광소자(12)는 방사된 적외선 중에서 프리즘(도면 미도시) 또는 상기 지폐에 의해 반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그 감지되는 양에 따라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적외선센서(10)가 설치된 위치에 상기 이송되는 지폐가 도달하면, 상기 적외선이 상기 지폐에 흡수되거나 산란되므로, 상기 지폐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의 광량값이 현저하게 작아진다. 이에 따라, 상기 지폐입출금기는 상기 적외선센서(10)의 광량값이 일정 레벨보다 작은 값으로 변화되는 지점을 상기 지폐가 이송되는 현재 위치로 인식하고 있다.
상기 발광소자(11)와 수광소자(12)는 동일한 소정 개수가 구비되어 하나의 센서그룹을 이룬다. 예컨대, 상기 발광소자(11)는 8개(D0 내지 D7)가 제 1센서그룹(G1)으로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수광소자(12)도 8개(T0 내지 T7)가 제 1센서그룹(G1)으로 설정된다. 미도시되어 있지만, 제 2센서그룹(G2)과 제 3센서그룹(G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광소자(12)에는 상기 발광소자(11)와의 거리에 따라 미리 계산된 값을 가지는 저항(RT)이 직렬연결된다.
상기 적외선센서(10)의 레벨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다수 개의 저항이 구비되는 저항부(16)가 구비된다. 상기 저항부(16)에는 각 센서그룹별(G1, G2, G3)로 8개의 저항(R0 내지 R7)이 각각 구비되어, 총 24개가 구비되고 있다. 상기 저항은 가장 낮은 레벨인 제 '0'레벨의 제 1저항(R0) 내지 가장 높은 레벨인 제 '7'레벨의 제 8저항(R7)까지 순서대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11)에 저항값이 가장 작은 제 '0'레벨의 제 1저항(R0)을 연결하면, 분압기의 원리에 따라 상기 수광소자(12)에 걸리는 전압이 높아지면서 상기 수광소자(12)로부터 출력되는 광량값이 최대로 커진다. 반면, 상기 발광소자(11)에 저항값이 가장 높은 제 '7'레벨의 제 8저항(R7)을 연결하면, 상기 수광소자(12)로부터 출력되는 광량값은 최소로 작아진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즉, 제 1저항(R0)이 가장 높은 저항레벨(제 7레벨)로 구비되고, 제 8저항(R7)이 가장 낮은 저항레벨(제 0레벨)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소자(11)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발광소자(11)에 상기 저항부(16)의 저항(R0 내지 R7)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하는 선택부(14)가 구비된다. 상기 선택부(14)는 상기 센서그룹별(G1, G2, G3)로 하나씩 구 비된다. 예컨대, 상기 제 1센서그룹(G1)과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선택부(14)는 상기 제 1센서그룹(G1)의 발광소자(D0 내지 D7)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센서선택부(14a)와, 상기 저항(R0 내지 R7)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저항선택부(14b)로 구비된다. 상기 센서선택부(14a)와 저항선택부(14b)는 다수의 입력신호 중에서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도록 동작되는 아날로그 멀티플렉서(analog multiplexer, MUX)를 사용한다. 특히 상기 센서선택부(14a)는 아래에서 설명될 메인제어부(24)의 클럭신호 에지상태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D0 내지 D7)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있다.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선택부(14)를 제어하는 레벨링 제어부(20)가 구비된다. 상기 레벨링 제어부(20)는 상기 클럭신호의 에지상태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D0 내지 D7)를 선택하고, 상기 수광소자(T0 내지 T7)에서 출력되는 광량값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D0 내지 D7)의 레벨링을 수행한다. 또, 상기 레벨링 제어부(20)는 상기 센서그룹(G1, G2, G3)과 대응해서 구비되는 제 1 내지 제 3레벨링 모듈(22a, 22b, 22c)을 동시에 제어하도록 씨피엘디(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가 이용된다. 물론, 상기 레벨링 제어부(22)는 피롬(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피엘에이(Programmable Logic Array), 피에이엘(Programmable Array Logic), 에스피엘디(Simple Programmable Logic Device), 에프피지에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가능 논리 집적회로(Programmable Logic Device)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레벨링 제어부(20)은 상기 메인제어부(24)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신호의 에지상태가 하강에지 상태이면, 각 센서그룹별(G1, G2, G3)로 동시에 각 적외선센서(10)를 순차적으로 레벨링하도록 적외선센서(10)의 순서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카운트된 순서에 따라 레벨링이 수행될 센서 및 저항을 선택하도록 상기 선택부(14)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레벨링 제어부(20)은 상기 클럭신호가 상승에지 상태이면, 상기 각 센서그룹별(G1, G2, G3)로 상기 발광소자(11)에 대응되는 수광소자(12)로부터 출력되는 광량값을 아래에서 설명할 저장부(21)에 저장한다.
상기 레벨링 제어부(20)에는 상기 발광소자(11)에 연결되는 저항(R0 내지 R7)의 센서레벨데이터와 상기 수광소자(12)의 센서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1)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부(21)에는 주소(address)가 할당되어 있고, 상기 주소는 어느 센서그룹의 어느 센서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됨을 알려준다. 상기 센서레벨데이터는 상기 발광소자(11)에 연결되는 저항(16)의 레벨값이다. 상기 저장부(21)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제어부(24)로부터 입력되는 각 센서그룹별(G1, G2, G3) 센서레벨데이터를 저장하는 A영역과, 상기 수광소자(12)로부터 출력되는 광량값, 즉 각 센서그룹별(G1, G2, G3) 센서데이터를 저장하는 B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A영역과 B영역은 1bit의 크기로 할당된 각각의 번지에 각 센서의 정보를 저장하므로, 각 센서그룹은 8bit, 즉 1byte의 크기로 할당된다.
상기 수광소자(12)의 광량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 되도록 상기 레벨링 제어부(20)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24)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제어부(24)는 상기 저장부(21)의 센서별 주소(address)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적외선센서(10)의 센서레벨데이터와 센서데이터, 즉 상기 발광소자(11)에 연결된 저항(16)의 레벨과 상기 수 광소자(12)로부터 출력되는 광량값을 리드한다. 상기 메인제어부(24)는 상기 리드된 광량값과 상기 기준값을 비교한다. 비교결과, 상기 광량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메인제어부(124)는 상기 광량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으로 출력될 때까지, 상기 리드된 센서레벨데이터를 한 단계씩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메인제어부(24)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신호 형태의 클럭신호를 상기 발광소자(11)에 인가하여 상기 적외선센서(10)를 구동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클럭신호는 약 3%의 듀티(duty)와, 약 100㎲의 주기를 갖는다. 상기 메인제어부(24)는 상기 지폐입출금기의 최초 구동시와, 상기 적외선센서(10)의 이상발생시에 상기 적외선센서(10)의 레벨링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메인제어부(24)는 상기 지폐입출금기 전체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로서, 상기 적외선센서(10)의 레벨링 동작뿐만 아니라 입출금을 위한 이송동작, 적재동작, 연산동작 등 다양한 처리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폐입출금기의 센서 레벨링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지폐입출금기가 초기 구동할 때 적외선센서의 상태를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른 적외선센서의 레벨링 과정과, 정상동작시 이상 발생한 적외선센서의 레벨링 과정을 각각 설명한다.
먼저, 지폐입출금기의 초기 구동시 적외선센서의 레벨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지폐입출금기의 센서 레벨링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센서 레벨링 방법의 동작방식을 설명하는 동작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제 10단계(S10)에서 지폐입출금기에 전원이 인가되어 최초 구동되면, 메인제어부(24)에도 전원이 인가되고, 메인제어부(24)는 소정 클럭신호를 출력하면서 지폐입출금기를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시작한다. 상기 클럭신호는 약 3%의 듀티와 약 100㎲의 주기를 갖는다. 그리고, 제 12단계(S12)에서 메인제어부(24)는 현재 발광소자에 연결된 저항의 레벨값, 즉 센서레벨데이터를 리드하여 저장부(21)에 저장한다. 상기 센서레벨데이터는 지폐입출금기가 구동될 때 발광소자에 연결된 저항의 센서레벨값, 또는 지폐입출금기가 초기 구동시 부팅될 때 연결된 저항의 레벨값이 될 수 있다.
일단 발광소자에 대한 센서레벨데이터가 저장되면, 제 14단계(S14)에서 메인제어부(24)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 1 내지 제 3레벨링 모듈(22a, 22b, 22c)이 구동된다. 제 1 내지 제 3레벨링 모듈(22a, 22b, 22c)의 구동은 이와 대응되는 제 1 내지 제 3센서그룹(G1, G2, G3)이 구동됨을 의미한다. 즉 제 1 내지 제 3센서그룹(G1, G2, G3)이 동시에 구동되는 것이다.
제 1 내지 제 3센서그룹(G1, G2, G3)도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어된다. 그래서 제 1 내지 제 3센서그룹(G1, G2, G3)에 구비된 발광소자는 메인제어부의 클럭신호 에지상태에 따라 다른 동작을 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 16단계(S16)에서 상기 클럭신호가 하강에지 상태인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제 18단계(S18)에서 센서선택부(14a)가 제 1내지 제 3센서그 룹(G1, G2, G3)에 구비된 첫 번째 발광소자, 즉 도 5의 첫 번째 센서블록(S1)의 센서0, 센서8, 센서15가 선택되게 한다. 그리고, 제 20단계(S20)에서 저항선택부(14b)는 상기 센서0, 센서8, 센서15에 상기 제 12단계(S12)에서 저장된 센서레벨데이터에 해당하는 레벨의 저항을 선택하여 연결한다. 이어서, 제 22단계(S22)에서 상기 센서0, 센서8, 센서15와 그에 연결된 저항이 안정화되는데 필요한 지연시간 동안 대기한다.
다음, 제24단계(S24)에서 상기 클럭신호가 상승에지인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클럭신호가 상승에지 상태가 되면, 제 26단계(S26)에서 상기 센서0, 센서8, 센서15는 적외선을 방사하고, 상기 적외선은 상기 첫 번째 발광소자에 대응되는 첫 번째 수광소자로 전달된다. 상기 첫 번째 수광소자는 상기 센서0, 센서8, 센서15로부터 방사된 적외선을 감지하고, 그 감지된 양에 따른 광량값을 출력한다.
그러면, 제 26단계(S26)에서 제 1 내지 제 3레벨링 모듈(22a, 22b, 22c)은 상기 첫 번째 수광소자의 광량값을 각각 인가받아 저장부(21)에 저장한다. 이어서, 제 28단계(S28)에서 메인제어부는 상기 첫 번째 수광소자의 광량값을 상기 기준값과 비교한다. 비교결과, 상기 첫 번째 센서그룹(G1)의 첫 번째 수광소자의 광량값 중 적어도 하나의 광량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로 판단되면, 제 29단계(S29)에서 메인제어부(24)는 상기 기준값 이하로 판단된 발광소자에 연결된 저항의 레벨값, 즉 센서레벨데이터를 한 단계 변경한다. 그러면, 제 1레벨링 모듈(22a)은 상기 변경된 센서레벨데이터를 이용하여 제 20단계(S20) 내지 제 28단계(S28)를 반복함으로써, 해당 발광소자에 대한 레벨링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제 2 및 제 3레벨링 모 듈(22b, 22c)은 각 센서그룹(G2, G3)의 첫 번째 수광소자의 광량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 되더라도 바로 두 번째 발광소자로 넘어가지 않고, 제 1레벨링 모듈(22a)의 첫 번째 발광소자 레벨링 과정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
비교결과, 상기 첫 번째 수광소자의 광량값이 모두 상기 기준값 이상으로 출력되어 적합한 광량값을 가지는 것을 판단되면, 제 1 내지 제 3레벨링 모듈(22a, 22b, 22c)는 다음 두 번째 발광소자, 즉 도 5의 두 번째 센서블록(S2)의 센서1, 센서9, 센서17을 선택하기 위하여 센서카운트를 설정한다. 그리고, 제 30단계(S30)에서 레벨링할 적외선센서가 남았는가를 검사하여 메인제어부(24)는 상기 설정된 센서카운트에 따라 제 16단계(S16) 내지 제 30단계(S30)를 반복함으로써, 상기 두 번째 발광소자(S2)부터 여덟 번째 발광소자(S8)까지 반복 수행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하나의 적외선센서(10)를 레벨링하는 시간은 상기 클럭신호의 주기와 동일하므로 최대 100㎲이 소요된다. 8개의 적외선센서(10)가 직렬로 구성되는 하나의 센서그룹 레벨링 시간은 약 800㎲이 소요된다. 또한, 각 센서그룹(G1, G2, G3)은 병렬로 구성되어 동시에 레벨링을 수행하므로, 전체 적외선센서(10)의 레벨링은 약 800㎲이므로, 최대 약 1㎳ 이내에 종료된다. 결국,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적외선센서(10)가 8개씩 직렬로 연결됨과 동시에 3개의 센서그룹(G1, G2, G3)으로 병렬구성된다. 이에 따라, 전체 적외선센서 레벨링 시간은 하나의 센서그룹에 포함되는 적외선센서 개수의 레벨링시간, 예컨대 약 800㎲로, 센서 개수에 따라 늘어나는 종래의 직렬방식을 이용한 센서 레벨링 시간보다 단축된다.
다음,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 이상이 발생한 적외선센서의 레벨링 과정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지폐입출금기의 지폐 입금거래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폐입출금기의 이상이 발생된 적외선센서의 레벨링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제 40단계(S40)에서 각 적외선센서(10)가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지폐를 정상적으로 감지한다.
이때, 제 42단계(S42)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적외선센서(10)로부터 출력되는 광량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작거나, 또는 적외선센서(10)로부터 광량값이 출력되지 않으면, 제 44단계(S44)에서 메인제어부(24)는 표시부(도면 미도시)에 적외선센서(10)의 이상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어서, 제 46단계(S46)에서 메인제어부(24)는 이상이 발생된 적외선센서의 센서레벨데이터를 한 단계씩 변경하여 레벨링을 수행한다.
제 48단계(S48)에서 해당 적외선센서의 수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광량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 되어 상기 적외선센서(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될 때까지 제 46단계(S46) 내지 제 48단계(S48)를 반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적외선센서가 구비된 복수 개의 센서그룹을 동시에 구동하여 레벨링 과정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지폐입출금기 및 그의 지폐입금거래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지폐뿐만 아니라 수표, 지로용지 등의 수납을 담당하는 금융자동화기기, 자동판매기, 환전기, 그리고 각종 증명서나 티켓을 취급하는 매체발행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외선센서의 개수에 따라 센서그룹별 적외선센서의 개수, 센서그룹의 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저항부의 레벨 또한 매체취급장치에서 요구되는 정확도에 따라 다양한 단계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선택부가 발광소자에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선택부는 수광소자에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선택부를 발광소자에 연결하는 경우, 수광소자에 연결하는 경우에 비하여, 적외선센서의 안정화속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선택부는 발광소자에 연결구성되어 전체 레벨링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 예에서는 반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도록 수광소자를 발광소자와 동일한 측면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투과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수광소자는 발광소자의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각 센서그룹을 동시에 구동하여 각 센서의 광량값이 기준값 이상이 되도록 즉시 레벨링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전체 적외센센서에 대하여 기설정된 센서레벨데이터를 이용한 레벨링을 수행한 이후에, 광량값이 기준값 이하인 적외선센서에 대해서만 센서레벨데이터를 변경하여 레벨링을 추가로 수행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지폐입출금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적외선센서 및 선택부의 상세 구성도.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저장부에 저장되는 센서그룹별 센서레벨데이터 테이블.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저장부에 저장되는 센서그룹별 센서데이터 테이블.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폐입출금기의 센서 레벨링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센서 레벨링 방법을 설명하는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폐입출금기의 적외선센서 이상발생시 센서 레벨링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적외선센서 11 : 발광소자
12 : 수광소자 14 : 선택부
16 : 저항부 20 : 레벨링 제어부
21 : 저장부 22 : 레벨링 모듈
24 : 메인제어부

Claims (10)

  1. 복수 개의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레벨링소자;
    상기 발광소자에 대응하고, 그 발광소자에 대한 광량값을 출력하는 수광소자; 그리고
    상기 수광소자의 광량값에 기초하여 레벨링이 필요한 발광소자에 대하여 상기 레벨링소자를 연결하여 레벨링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레벨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레벨링소자는,
    각각 서로 다른 저항레벨을 갖는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레벨링 장치.
  3. 복수 개의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복수 개의 센서그룹;
    상기 수광소자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레벨링 과정을 수행하는 제 1제어부; 그리고
    상기 발광소자의 레벨링 과정을 상기 센서그룹에 대해 동시에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 2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레벨링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를 선택하는 제 1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발광소자에 소정 저항레벨의 저항을 선택하는 제 2선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레벨링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제어부는,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집적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레벨링 장치.
  6. 매체를 출납하는 매체출납모듈과;
    상기 매체의 이송시 이송되는 상기 매체를 감지하도록 상기 매체출납모듈에 구비된 센서의 레벨링을 수행하는 상기 제 1항 또는 제 3항으로 이루어진 센서 레벨링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레벨링 장치를 이용한 자동화기기.
  7. 발광소자와 대응되는 수광소자의 광량값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소자에 대한 레벨링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레벨링이 필요하면 상기 발광소자에 대한 레벨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레벨링 방법.
  8. 발광소자가 둘 이상 포함된 복수의 센서그룹을 동시에 구동하는 단계;
    상기 각 센서그룹에 대해 첫 번째 발광소자부터 동시에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발광소자에 대해 레벨링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레벨링이 필요한 경우, 해당 발광소자에 대한 레벨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레벨링 방법.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감지된 광량값과 기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광량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발광소자의 레벨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레벨링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수행단계는,
    상기 발광소자에 현재 연결된 저항과 다른 레벨의 저항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광량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레벨링 방법.
KR1020080073081A 2008-07-25 2008-07-25 센서 레벨링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자동화기기 KR100976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081A KR100976245B1 (ko) 2008-07-25 2008-07-25 센서 레벨링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자동화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081A KR100976245B1 (ko) 2008-07-25 2008-07-25 센서 레벨링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자동화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743A true KR20100011743A (ko) 2010-02-03
KR100976245B1 KR100976245B1 (ko) 2010-08-18

Family

ID=42086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081A KR100976245B1 (ko) 2008-07-25 2008-07-25 센서 레벨링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자동화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2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0636A (zh) * 2012-11-15 2013-02-13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号码识别装置和识别方法
CN114220212A (zh) * 2021-11-29 2022-03-22 武汉卓目科技有限公司 点验钞机红外对管校准方法、装置和点验钞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1400B2 (ja) 2003-02-20 2009-11-25 コニカミノルタエムジー株式会社 認証記録媒体作成方法
JP4964408B2 (ja) 2003-07-14 2012-06-27 フレックス プロダク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顕在的および/または隠在的パターン化層を有する真空ロール被覆偽造防止薄膜干渉品
JP2007063403A (ja) 2005-08-31 2007-03-15 Dainippon Ink & Chem Inc インキ組成物、印刷物および検知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0636A (zh) * 2012-11-15 2013-02-13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号码识别装置和识别方法
CN102930636B (zh) * 2012-11-15 2014-10-22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号码识别装置和识别方法
US9741193B2 (en) 2012-11-15 2017-08-22 Grg Banking Equipment Co., Ltd. Paper currency number recognition apparatus and recognition method
CN114220212A (zh) * 2021-11-29 2022-03-22 武汉卓目科技有限公司 点验钞机红外对管校准方法、装置和点验钞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6245B1 (ko)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2732A (en) System for detecting superposed sheets
US8434676B2 (en) Banknote handling system
KR101238357B1 (ko) 지엽류 처리 시스템 및 지엽류 판별 장치
KR100976245B1 (ko) 센서 레벨링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자동화기기
US20170221294A1 (en) Coin processing apparatus
US9817043B2 (en) Cassette mounting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ounting of a cassette
KR100997236B1 (ko) 센서 검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
EP1739634A1 (en) Banknote handling apparatus
KR20070088951A (ko) 지폐 입출금 장치에서의 모터 구동 제어 장치 및 그동작방법
US11164168B2 (en) Method of operating automated teller machine in multi-sheet withdrawals
JP2008158900A (ja) 自動取引装置
JPS5853798B2 (ja) 紙幣真偽判別装置におけるテストデ−タ表示方式
JP2761177B2 (ja) 貨幣集積状態判定装置
KR100976244B1 (ko) 매체취급장치 및 그 매체이송속도 공유방법
KR101127318B1 (ko) 센서 레벨링 장치 및 그 레벨링 방법
JP3054908B2 (ja) 硬貨払出装置
JP2001155226A (ja) 自動販売機
KR101022432B1 (ko) 매체수납장치 및 그의 매체이송 제어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
JP5658984B2 (ja) 硬貨処理装置
JP5271807B2 (ja) 紙幣処理装置および取引処理装置
EP2199987B1 (en) Optical sensor
JP2004013364A (ja) 硬貨処理装置
JPH0749579Y2 (ja) 硬貨払い出し機
KR100767130B1 (ko) 은행거래 자동입출금기에서의 지폐두께 측정방법
JP2019185509A (ja) 硬貨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