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810B1 - 매체감지 장치, 그를 이용한 금융기기 - Google Patents

매체감지 장치, 그를 이용한 금융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810B1
KR101251810B1 KR1020110106076A KR20110106076A KR101251810B1 KR 101251810 B1 KR101251810 B1 KR 101251810B1 KR 1020110106076 A KR1020110106076 A KR 1020110106076A KR 20110106076 A KR20110106076 A KR 20110106076A KR 101251810 B1 KR101251810 B1 KR 101251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power supply
long
unit
finan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복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10106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9Monitoring, auditing or diagnose of functioning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감지 장치, 그를 이용한 금융기기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기는, 매체를 입출납하는 매체입출납부와, 상기 매체입출납부로의 매체 입출상태를 감지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매체입출납부의 매체 수납상태를 감지하는 제 2 센서와,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를 구동하는 통합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체감지 장치, 그를 이용한 금융기기{DEVICE FOR DETECTING A MEDIA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매체감지 장치, 그를 이용한 금융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금융거래를 위한 금융기기는 기본적으로 은행, 마을금고 등의 금융기관에서 수행하는 많은 금융 업무를 제공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계좌이체, 잔액조회, 예금인출 및 통장정리 등에 있어서, 은행의 계원을 통하지 않고 은행에 설치된 금융자동화기기를 간단히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금융거래를 빠른 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금융기기는 이송되는 매체(예를 들면, 수표, 현금 등)를 감지하기 위한 단거리 센서와 장거리 센서를 포함한다. 이때, 단거리 센서 및 장거리 센서는 광을 출력하는 발광부와 발광부에서 출력된 광을 수광하여 출력신호를 변환시켜 출력하는 수광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거리 센서는 짧은 거리에서의 매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 전원이 항상 켜져 있어야 하고, 장거리 센서는 먼 거리에서 매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것으로 전원이 항상 켜있지 않고 주기적으로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것만으로 감지가 가능하다.
이와같이, 단거리 센서와 장거리 센서는 구동방식이 달라 각각의 구동부를 구비해야 한다. 이에, 각각의 구동부로 인한 면적소모 및 비용 소모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단거리 센서와 장거리 센서를 구동하는 단일 구동부를 포함하는 매체감지 장치, 그를 이용한 금융기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기는, 매체를 입출납하는 매체입출납부와, 상기 매체입출납부로의 매체 입출상태를 감지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매체입출납부의 매체 수납상태를 감지하는 제 2 센서와,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를 구동하는 통합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센서는, 단거리 센서로서 상기 금융기기 구동 기간 동안 전원이 항상 온(ON) 상태이다.
또한, 상기 제 2 센서는, 장거리 센서로서 상기 금융기기 구동 기간 동안 전원이 온오프를 반복한다.
또한, 상기 통합구동부는,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의 접지전압단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센서 접지전압단 구동부와, 상기 제 2 센서의 전원전압단으로의 전압 인가를 제어하는 장거리센서 전원인가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거리센서 전원인가 구동부는, PWM(pulse width modulation)에 의해 제어되어 전원전압을 접지전압단으로 흘려버리는 제 1 스위칭소자와, 상기 제 1 스위칭소자가 턴온되면 상기 전원전압을 상기 장거리센서의 전원전압단으로 인가하는 제 2 스위칭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스위칭소자 및 상기 제 2 스위칭소자는, 상기 PWM신호가 로우레벨인 경우 턴오프되어 상기 전원전압을 상기 장거리센서의 전원전압단에 인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체감지 장치는, 단거리에서 물체 이송상태를 감지하는 제 1 센서와, 장거리에서 상기 물체의 수납 상태를 감지하는 제 2 센서와,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를 구동하는 통합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체감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단일화하여 면적소모 및 비용소모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입출납부에 설치되는 단거리센서와 장거리센서의 예를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감지 장치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매체감지장치의 세부 회로도,
도 4는 도 3의 센서 접지전압단 구동부의 세부 회로도,
도 5는 도 3의 센서 접지전압단 구동부의 타이밍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예로 지폐, 증권,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처리, 지로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CD: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업무를 자동화하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매체감지 장치, 그를 이용한 금융기기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입출납부에 설치되는 단거리센서와 장거리센서의 예를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 입출납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매체를 수납하고 출납하기 위한 공간인 매체입출납부(카세트;10)를 포함한다. 이때, 매체입출납부(10)는 매체의 입출납 상태, 수납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단거리센서(100) 및 장거리센서(200)를 포함한다. 이때, 매체는 현금, 수표, 티켓, 증명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거리센서(100)는 매체입출납부(10)의 매체가 입출금되는 통로쪽 롤러(미도시)에 발광부(110)와 수광부(120)를 설치하여 매체가 입금 또는 출금되는 것을 감지한다.
장거리센서(200)는 매체입출납부(10)의 상단 양측에 발광부(210)와 수광부(220)를 설치하여 매체가 수납된 정도를 감지한다.
발광부(110, 210)는 매체를 감지하기 위한 광을 출력하고, 매체의 종류 및 통합구동부(300)의 출력신호에 따라 발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수광부(120, 220)는 발광부(110, 210)에서 출력된 광을 각각 수광한다. 이에, 수광부(120, 220)는 수광된 광량값에 따라 매체의 이송여부 또는 존재여부를 감지한다. 이때, 수광부(120)와 수광부(220)는 서로 상이한 수광 스펙트럼을 가지도록 한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체감지 장치는 단거리센서(100), 장거리센서(200), 통합구동부(300) 및 제어부(400)를 구비한다.
단거리센서(100)는 매체입출납부(10)의 매체 입출상태를 단거리에서 감지하고, 장거리센서(200)는 매체입출납부(10)의 매체 수납정도를 장거리에서 감지한다.
단거리센서(100)의 발광부(110)는 금융자동화기기가 동작하는 동안 매체입출납부(10)로 수시로 입출납되는 매체를 감지하기 위해 항상 온(on)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장거리센서(200)의 발광부(210)는 주기적으로 온(on) 되어 매체입출납부(10)의 매체 수납 상태를 체크하게 된다. 이에, 단거리센서(100)의 발광부(110)에는 전원전압이 계속 공급되나 장거리센서(200)의 발광부(210)에는 일정한 펄스형태의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통합구동부(200)는 단거리센서(100)와 장거리센서(200)의 센싱 레벨링을 제어한다.
제어부(400)는 통합구동부(2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 SIN, SCLK, XLAT MODE, BLANK 및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출력한다.
통합구동부(200)는 도 3과 같이, 센서 접지전압단 구동부(310) 및 장거리센서 전원인가 구동부(320)를 포함한다.
센서 접지전압단 구동부(310)는 제어부(400)로부터 제어신호 SCLK, SIN, XLAT, MODE, BLANK를 수신하여 단거리센서(100)의 발광부(110)의 접지전압단에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센서 접지전압단 구동부(310)의 세부 회로 구성은 도 4와 같이 복수개의 레지스터(314~319, 321, 322)와 전류구동부(311~313)를 포함한다. 이때, 각 전류구동부(311~313)는 제어신호 BLANK에 의해 구동되어 단거리센서 제어신호 또는 장거리센서 제어신호(OUT0~OUT15)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신호 SCLK는 데이터 쉬프트 클럭(Data Shift Clock)으로서 상승 엣지일 때 데이터가 쉬프트되도록 제어한다. 제어신호 SIN는 다수의 구동부(LED driver)를 사용하는 경우 구동부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신호이다. 제어신호 XLAT는 데이터 래치(Data Latch)신호로서 상승 엣지일 때 새로운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제어한다. 제어신호 MODE는 모드 선택신호(Mode Select)로서, 하이레벨일 때 제어신호 SIN, SOUT, SCLK, XLAT의 온오프되고 로우레벨일 때 도트코렉션 로직(Dot-Correction logic)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어신호 BLANK는 전원전압이 온되면 하이레벨이 되고 전원전압이 오프되면 로우레벨이 된다.
여기서, 제어부(40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 SCLK, SIN, XLAT, MODE, BLANK와 센서 접지전압단 구동부(310)의 출력신호 OUT0, OUT1는 도 5와 같은 타이밍도를 가진다.
장거리센서 전원인가 구동부(320)는 저항 R1~R4 및 트랜지스터 T1, T2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 T1는 제어부(400)로부터 수신한 PWM(pulse width modulation)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PWM신호가 하이레벨인 경우 턴온되어 전원전압 VDD 5V를 접지전압단으로 흘려버린다.
이에, 로우레벨신호가 트랜지스터 T2의 베이스단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 T2가 턴온되면 전원전압 VDD이 장거리센서(200)의 전원전압단에 인가된다.
도 3에서는 센서 접지전압단 구동부(310)가 각각 한 개의 단거리센서 제어신호와 장거리센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복수개의 단거리센서와 복수개의 장거리센서를 구비한 경우 복수개의 단거리센서 제어신호 및 복수개의 장거리센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제어신호 BLANK 신호는 전원전압이 5V인 경우 하이레벨이 되어 전류구동부(310)를 구동시켜 센서제어신호 OUT0~OUT15를 출력하게 되는데, 장거리센서(200)의 발광부(210)는 전원전압을 계속 5V를 유지하지 않고 온오프를 반복적으로 제공해야한다. 그러나, 장거리센서(200)의 발광부(210)의 오프를 위해 전원전압을 0V로 만들면 BLANK신호가 로우레벨이 되어 모든 전류구동부(311~313)가 오프되어 단거리센서(100)도 오프되게 된다. 이에, BLANK신호가 계속 하이레벨이 되도록 전원전압 5V를 제공하되, 장거리센서(200)의 발광부(210)의 전원전압단에는 장거리센서 전원인가 구동부(320)가 별도의 펄스신호를 인가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센서 접지전압단 구동부(310)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단거리센서 제어신호 및 장거리센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발광부(110, 210)의 접지전압단을 각각 제어하되, 장거리센서(200)의 발광부(210)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별도의 장거리센서 전원인가 구동부(320)를 통해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단거리센서(100)를 계속 온이 되도록 하면서 장거리센서 전원인가 구동부(320)가 장거리센서(200)의 발광부(210)의 전원을 주기적으로 온오프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본 발명은 단거리센서(100)의 발광부(110)는 금융자동화기기가 동작하는 동안 매체입출납부(10)에 수시로 입출납되는 매체를 감지하기 위해 항상 온(on)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장거리센서(200)의 발광부(210)는 주기적으로 온(on) 되어 매체입출납부(10)의 매체 수납 상태를 체크하게 되므로, 단거리센서(100)와 장거리센서(200)가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해야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 통합된 하나의 통합구동부(300)를 통해 단거리센서(100)와 장거리센서(200)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단거리 센서 200 : 장거리 센서
110, 210 : 발광부 120, 220 : 수광부
300 : 통합구동부 400 : 제어부
310 : 센서 접지전압단 구동부
320 : 장거리센서 전원인가 구동부

Claims (7)

  1.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기기에 있어서,
    매체를 입출납하는 매체입출납부;
    상기 매체입출납부로의 매체 입출상태를 감지하는 제 1 센서;
    상기 매체입출납부의 매체 수납상태를 감지하는 제 2 센서; 및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를 구동하는 통합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는 전원 구동방식이 서로 다른 센서인 금융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센서는,
    단거리 센서로서 상기 금융기기 구동 기간 동안 전원이 항상 온(ON) 상태인 금융기기.
  3. 제 1항 또는 제 2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서는,
    장거리 센서로서 상기 금융기기 구동 기간 동안 전원이 온오프를 반복하는 금융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구동부는,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의 접지전압단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센서 접지전압단 구동부; 및
    상기 제 2 센서의 전원전압단으로의 전압 인가를 제어하는 장거리센서 전원인가 구동부
    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거리센서 전원인가 구동부는,
    PWM(pulse width modulation)에 의해 제어되어 전원전압을 접지전압단으로 흘려버리는 제 1 스위칭소자; 및
    상기 제 1 스위칭소자가 턴온되면 상기 전원전압을 상기 장거리센서의 전원전압단으로 인가하는 제 2 스위칭소자
    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소자 및 상기 제 2 스위칭소자는,
    상기 PWM신호가 로우레벨인 경우 턴오프되어 상기 전원전압을 상기 장거리센서의 전원전압단에 인가하는 금융기기.
  7. 단거리에서 물체 이송상태를 감지하는 제 1 센서;
    장거리에서 상기 물체의 수납 상태를 감지하는 제 2 센서; 및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를 구동하는 통합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는 전원 구동방식이 서로 다른 센서인 매체감지장치.
KR1020110106076A 2011-10-17 2011-10-17 매체감지 장치, 그를 이용한 금융기기 KR101251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076A KR101251810B1 (ko) 2011-10-17 2011-10-17 매체감지 장치, 그를 이용한 금융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076A KR101251810B1 (ko) 2011-10-17 2011-10-17 매체감지 장치, 그를 이용한 금융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810B1 true KR101251810B1 (ko) 2013-04-09

Family

ID=4844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076A KR101251810B1 (ko) 2011-10-17 2011-10-17 매체감지 장치, 그를 이용한 금융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8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703A (ko) * 2000-07-18 2002-01-29 구자홍 지폐박스 및 그 내부의 잔류지폐를 이용한 가동제어방법
KR20100050903A (ko) * 2008-11-06 2010-05-14 엘지엔시스(주) 센서 검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
KR20100058208A (ko) * 2008-11-24 2010-06-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입출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78203A (ko) * 2009-12-30 2011-07-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묶음지폐 로딩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703A (ko) * 2000-07-18 2002-01-29 구자홍 지폐박스 및 그 내부의 잔류지폐를 이용한 가동제어방법
KR20100050903A (ko) * 2008-11-06 2010-05-14 엘지엔시스(주) 센서 검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
KR20100058208A (ko) * 2008-11-24 2010-06-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입출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78203A (ko) * 2009-12-30 2011-07-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묶음지폐 입출금기의 묶음지폐 로딩 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7491A (ko) Rfid 판독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송신 파워를 제어하기 위한 rfid 판독 장치, rfid 시스템 및 방법
US92021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edium image, and financial device
KR20070080739A (ko) Rfid 태그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251810B1 (ko) 매체감지 장치, 그를 이용한 금융기기
CN102903175B (zh) 金融设备
US8789751B2 (en) Medium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US7633605B1 (en) Prism sensor and method of operating a prism sensor for a check processing module of a self-service check depositing terminal
US9280881B2 (en) Cassette detecting device and medium processing device using the same
US9438446B2 (en)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financial device using same
US11217056B2 (en) Single-stage active integrator with multiplication of photodiode current
EP1510976A2 (en) An optical senso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0976245B1 (ko) 센서 레벨링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자동화기기
KR20100050903A (ko) 센서 검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
KR20130012817A (ko) 절전형 금융기기, 그를 이용한 절전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111484A (zh) 自动柜员机
JP5658984B2 (ja) 硬貨処理装置
KR101343740B1 (ko) 장애물 감지를 통한 도어 제어장치, 그를 이용한 금융기기 및 그의 도어 제어방법
JP2019036011A (ja) 電子マネー端末装置、電子マネー管理システム及び電子マネーチャージ方法
KR101672624B1 (ko) 금융 자동화기기의 초기화 장치 및 방법
JP4942982B2 (ja) 紙葉類識別装置の識別仕様変更方法
KR20070113707A (ko) 동절기 장애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금융 자동화 장치 및방법
KR20130019944A (ko) 매체의 이송오류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기기
JP2014142850A (ja) 自動取引装置及び自己発電電力供給方法
KR20190016319A (ko) 센서 자동 레벨링 장치 및 방법
JP2016177408A (ja) ユニット制御装置及び誤動作防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