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9494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9494A
KR20100009494A KR1020090064780A KR20090064780A KR20100009494A KR 20100009494 A KR20100009494 A KR 20100009494A KR 1020090064780 A KR1020090064780 A KR 1020090064780A KR 20090064780 A KR20090064780 A KR 20090064780A KR 20100009494 A KR20100009494 A KR 20100009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pecific
contacts
movable contact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5217B1 (ko
Inventor
토시하루 미요시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9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체(3)에 고정콘택트(5)가 복수 병설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콘택트(5)로부터 후측에 캔틸레버형상의 가동콘택트(8)가 선단부측을 전측에 배치해서 복수 병설되고, 상기 고정콘택트(5) 중 적어도 1개의 특정 고정콘택트(5b)와 상기 가동콘택트(8) 중 적어도 1개의 특정 가동콘택트(8b)가 전후로 접근한 상태에서 대략 일렬로 나열되어 있는 커넥터에는, 가동콘택트(8)의 선단부를 절연체(3)에 걸리게 해서 접촉위치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접촉부(11)로부터 전방에 상기 접촉부(11)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으로 위치 어긋난 선단부(15b)를 형성하고,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15b)를 특정 고정콘택트(5b)의 사이에서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절연체(3)에 걸리게 해서, 가동콘택트(5)의 선단부를 절연체(3)에 걸리게 하고, 접촉위치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와 키보드나 마우스, 조이스틱, 모뎀, 프린터, 외장 HDD(Hard Disk Drive) 등의 주변기기를 접속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USB 접속용의 USB 커넥터는,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의 프린트 배선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 소켓과, 주변기기의 접속케이블의 말단부에 장착되는 커넥터 플러그로 구성되고, 커넥터 플러그가 전단부(선단부)로부터 커넥터 소켓에 삽입되어, 접속된다.
커넥터 소켓은, 금속판의 타발 및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된 사각 통형상의 실드케이스와, 실드케이스 내에 장착되는 판형상의 절연체를 가지고, 절연체의 하부 표면에 4개의 콘택트수납홈이 좌우방향으로 나열되어서 형성되고, 캔틸레버형상의 가동콘택트가 선단부측을 전측에 배치해서 각 콘택트 수용홈에 1개씩 장착되고, 절연체에 4개의 가동콘택트가 좌우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가동콘택트는 금속판의 타발 및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된 폭이 좁은 단자(판스프링)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단부측에는 상부면이 오목, 하부면이 볼록하게 되는 하향의 산형상의 접촉부가 구부러져 형성되며, 접촉부가 절연체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커넥터 플러그는, 금속판의 타발 및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된 사각 통형상의 실드케이스와, 실드케이스 내에 장착되는 판형상의 절연체를 가지고, 절연체의 상부 표면에 4개의 고정콘택트가 좌우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고정콘택트는 금속판의 타발 및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된 폭이 좁은 단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 표면이 절연체의 상부 표면에 대략 동일면으로 노출되어 있다.
커넥터 플러그를 커넥터 소켓에 삽입하면, 커넥터 소켓의 실드케이스의 내측에 커넥터 플러그의 실드케이스가 끼워 맞춰져, 커넥터 소켓의 절연체의 하측에 커넥터 플러그의 절연체가 중첩된다. 이때, 커넥터 플러그에 형성된 4개의 고정콘택트가 커넥터 소켓에 형성된 4개의 가동콘택트의 접촉부를 상측방향으로 밀어 올리면서 접촉되어, 전기적인 접속이 실행된다.
USB 커넥터의 가동콘택트(커넥터 소켓에 형성된 4개의 가동콘택트)에 있어서, 커넥터 플러그 미삽입 시, 접촉부로부터 보다 더 전방으로 연신한 선단부를, 가동콘택트가 자유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절연체에 거는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0-223215호 공보
USB 접속에서의 전송속도의 고속화를 목표로, USB 커넥터의 콘택트수를 종래의 4개에서 예를 들면 5개 증가시켜서 9개로 하는 경우, USB 커넥터로서는 하위호환성을 유지하는, 즉 지금까지의 USB 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커넥터로 할 필요가 있다.
도 1에 콘택트수를 증가시킨 USB 커넥터에 있어서의 커넥터 플러그의 콘택트 배치를 나타낸다(본 발명의 과제를 나타냄). 도 1에 있어서, (100)은 콘택트수를 증가시키기 전의 커넥터 플러그에 있어서의 판형상의 절연체에 상당하는 판형상의 절연체, (101)은 콘택트수를 증가시키기 전의 커넥터 플러그에 있어서의 4개의 고정콘택트에 상당하는 4개의 고정콘택트, (102)가 증가된 5개의 콘택트로서, 여기에서는 캔틸레버형상의 가동콘택트이다.
고정콘택트(1O1)는, 콘택트수를 증가시키기 전의 커넥터 플러그에 있어서의 4개의 고정콘택트와 마찬가지로, 금속판의 타발 및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된 폭이 좁은 단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 표면이 절연체(100)의 상부 표면에 대략 동일면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절연체(100)에 좌우방향으로 4개 병설되어 있다. 가동콘택트(102)는, 절연체(100)의 고정콘택트(101)로부터 후측인 상부 표면에 좌우방향으로 나열되어서 형성된 5개의 콘택트수납홈(103)에 선단부측을 전측에 배치해서 1개씩 장착되고, 절연체의 고정콘택트(101)로부터 후측에 좌우방향으로 5개 병설되어 있다. 가동콘택트(102)는, 금속판의 타발 및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된 폭이 좁 은 단자(판스프링)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단부측에는 상부면이 오목, 하부면이 볼록하게 되는 하향의 산형상의 접촉부(104)가 구부러져 형성되며, 접촉부(104)가 절연체(10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콘택트수를 증가시킨 USB 커넥터에서는, 커넥터 플러그를 커넥터 소켓에 삽입함으로써, 콘택트수를 증가시키기 전의 USB 커넥터와 마찬가지로, 커넥터 소켓의 실드케이스의 내측에 커넥터 플러그의 실드케이스가 끼워 맞춰지고, 커넥터 소켓의 절연체의 하측에 커넥터 플러그의 절연체(100)가 중첩된다. 이때, 커넥터 플러그에 형성된 4개의 고정콘택트(101)가 커넥터 소켓에 형성된 4개의 가동콘택트의 접촉부를 밀어 올리면서 접촉된 후에, 커넥터 플러그에 증가된 5개의 가동콘택트(102)의 접촉부(104)가 커넥터 소켓에 증가된 5개의 고정콘택트에 의해 밀려 내려가면서 접촉되어, 전기적인 접속이 실행된다.
콘택트수를 증가시킨 USB 커넥터에 있어서의 커넥터플러그의 가동콘택트에 있어서, 내측의 3개의 가동콘택트(102)는, 4개의 고정콘택트(101)의 상호간의 후측에 배치되어, 어느 고정콘택트(101)와도 전후로 접근한 상태에서 대략 일렬로 나열되지 않는다. 그러나, 외측(좌우 양측단부)의 2개의 가동콘택트(102)는, 절연체(100)의 가로폭과의 관계에서 외측(좌우 양측단부)의 2개의 고정콘택트(101)의 후측에 배치되어, 외측의 2개의 고정콘택트(101)와 전후로 접근한 상태에서 대략 일렬로 나열하게 된다.
이 경우, 콘택트수를 증가시키기 전의 USB 커넥터의 가동콘택트와 같이, 커넥터 플러그 미삽입 시, 접촉부(104)로부터 보다 더 전방으로 연신한 선단부를 절 연체(100)에 걸리게 하고자 하면, 외측의 2개의 가동콘택트(102)와 외측의 2개의 고정콘택트(101)의 사이에서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가동콘택트의 선단부가 절연체에 걸리게 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이런 연유로, 가동콘택트(102)의 초기상태(커넥터 플러그 미삽입 시, 즉 커넥터를 아직 끼워 맞추기 전)의 접촉부(104)의 높이가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에, 커넥터 플러그 삽입 시, 즉 커넥터 끼워맞춤 시, 안정된 접촉압력을 얻을 수 없다. 또, 커넥터 플러그 미삽입 시, 가동콘택트(102)에 프리로드(preload)(초기하중)를 가할 수 없기 때문에, 선단부를 절연체에 건 가동콘택트에 비해서 초기상태의 접촉부(104)의 높이를 높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동일한 높이, 즉 동일한 휨량으로는 동일한 접촉압력을 얻지 못하고 작아짐), 커넥터 플러그 삽입 시, 가동콘택트(102)에 좌굴(座屈)을 일으키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절연체에 고정콘택트가 복수 병설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콘택트로부터 후측에 캔틸레버형상의 가동콘택트가 선단부측을 전측에 배치해서 복수 병설되고, 상기 고정콘택트 중 적어도 1개의 특정 고정콘택트와 상기 가동콘택트 중 적어도 1개의 특정 가동콘택트가 전후로 접근한 상태에서 대략 일렬로 나열되어 있어도, 모든 가동콘택트의 선단부를 절연체에 걸리게 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커넥터는, 청구항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절연체에 고정콘택트가 복수 병설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콘택트로부터 후측에 캔틸레버형상의 가동콘택트가 선단부측을 전측으로 해서 복수 병설되고, 상기 고정콘택트 중 적어도 1개의 특정 고정콘택트와 상기 가동콘택트 중 적어도 1개의 특정 가동콘택트가 전후로 접근한 상태에서 대략 일렬로 나열되어 있으며, 상기 특정 가동콘택트가 접촉부로부터 전방에 상기 접촉부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으로 위치 어긋난 선단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청구항 2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가동콘택트의 선단부는, 상기 특정 가동콘택트의 접촉부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으로 경사지게 하측방향으로 연신하는 연설부를 경유해서, 상기 특정 고정콘택트로부터 하측에서, 상기 특정 고정콘택트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절연체에 형성된 콘택트 걸림부에 상기 특정 가동콘택트가 자유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걸리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고정콘택트의 후단부는, 상기 특정 가동콘택트의 연설부와는 좌우 반대로 경사지게 하측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고정콘택트에는 적어도 1개의 각락(角落)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락부의 각락 영역이 상기 특정 가동콘택트의 접촉부의 전측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콘택트를 4개와 상기 가동콘택트를 5개 형성하고, USB 커넥터, 즉 콘택트수를 증가시킨 USB 커넥터에 있어서의 커넥터플러그를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 의하면, 절연체에 고정콘택트가 복수 병설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콘택트로부터 후측에 캔틸레버형상의 가동콘택트가 선단부측을 전측에 배치해서 복수 병설되고, 상기 고정콘택트 중 적어도 1개의 특정 고정콘택트와 상기 가동콘택트 중 적어도 1개의 특정 가동콘택트가 전후로 접근한 상태에서 대략 일렬로 나열되어 있어도, 상기 특정 가동콘택트가 접촉부로부터 전방에 상기 접촉부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으로 위치 어긋난 선단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특정 가동콘택트의 선단부가 특정 고정콘택트의 사이에서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절연체에 걸리게 할 수 있어서, 모든 가동콘택트의 선단부를 절연체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이런 연유로, 가동콘택트의 초기상태의 접촉부의 높이가 안정되기 때문에, 안정된 접촉압력을 얻을 수 있다. 또, 가동콘택트에 프리로드를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선단부를 절연체에 걸리게 하지 않은 가동콘택트에 비해서 초기상태의 접촉부의 높이를 낮게 억제하여, 가동콘택트에 좌굴을 일으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히 서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콘택트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고정콘택트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가동콘택트부의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콘택트수를 증가시키기 전의 USB 커넥터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콘택트수를 증가시킨 USB 커넥터로서, 전단부(선단부)로부터 커넥터 소켓에 삽입되고, 접속되는 커넥터 플러그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있어서, 커넥터 플러그(1)는, 콘택트수를 증가시키기 전의 커넥터 플러그에 있어서의 사각 통형상의 실드케이스에 상당하는, 금속판의 타발 및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된 사각 통형상의 실드케이스(2)와, 콘택트수를 증가시키기 전의 커넥터 플러그에 있어서의 판형상의 절연체에 상당하는, 실드케이스(2) 내에 장착되는 판형상의 절연체(3)를 가지고, 실드케이스(2)의 천장판부와 절연체(3)의 상부 표면의 사이에 공간(4)이 형성되고, 공간(4)에서 커넥터 플러그(1)의 전측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절연체(3)의 상부 표면 앞부분에는, 콘택트수를 증가시키기 전의 커넥터 플러그에 있어서의 4개의 고정콘택트에 상당하는, 4개의 고정콘택트(5)가 좌우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고정콘택트(5)는, 금속판의 타발 및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된 폭이 좁은 단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인서트성형에 의해 절연체(3)에 일체화되고, 상부 표면이 절연체(3)의 상부 표면에 대략 동일면으로 노출되고, 절연체(3)의 상부 표면 앞부분에 전후방향으로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접촉부(고정접점)를 좌우방향으로 4개 나열해서 형성되어 있다. 고정콘택트(5)는, 전단부로부터 절연체(3) 내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신된 후, 또한 절연체(3)의 전단부까지 전측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고정콘택트(5)는, 후단부로부터 절연체(3) 내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신된 후, 또한 후측방향으로 연신되어서, 절연체(3)의 후단부로부터 후측방향으 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부에 의해 외부접속단자(6)를 형성하고 있다.
절연체(3)의 상부 표면에 있어서의 고정콘택트(5)로부터 후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신되고, 전측으로 감에 따라서 홈 깊이가 깊어지는 폭이 좁은 콘택트 수용홈(7)이 좌우방향으로 5개 나열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방향으로 연신하는 캔틸레버형상의 가동콘택트(8)가 선단부측을 전측으로 해서 각 콘택트 수용홈(7)에 1개씩 장착되어서, 절연체(3)의 고정콘택트(5)로부터 후측에 가동콘택트(8)가 좌우방향으로 5개 병설되어 있다. 가동콘택트(8)는, 금속판의 타발 및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된 폭이 좁은 단자(판스프링)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부(基部)(뒷부분)가 콘택트 수용홈(7)의 뒷부분에서 고정되어 있다. 가동콘택트(8)는, 기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신된 후, 또한 후방으로 연신되어서, 절연체(3)의 후단부로부터 후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부에 의해 외부접속단자(9)를 형성하고 있다. 가동콘택트(8)는, 기부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지게 상측방향으로 연신되어 있으며, 그곳에서 상하로 휨 변형되는 스프링부(10)를 형성하고 있다. 가동콘택트(8)는, 스프링부(10)의 선단부에 상부면이 볼록, 하부면이 오목하게 되는 상향의 산형상으로서 상하로 변위 가능한 접촉부(가동접점)(11)가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으며, 접촉부(11)가 콘택트 수용홈(7)의 전단부로부터 절연체(3)의 상부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커넥터 플러그(1)는 커넥터 소켓에 삽입함으로써, 콘택트수를 증가시키기 전의 USB 커넥터와 마찬가지로, 커넥터 소켓의 실드케이스의 내측에 커넥터 플러그(1)의 실드케이스(2)가 끼워 맞춰지고, 커넥터 플러그(1)의 공간(4)에 커넥터 소 켓의 절연체가 삽입되어, 커넥터 소켓의 절연체의 하측에 커넥터 플러그(1)의 절연체(3)가 중첩된다. 이때, 커넥터 플러그(1)에 형성된 4개의 고정콘택트(5)가 커넥터 소켓에 형성된 4개의 가동콘택트의 접촉부를 밀어 올리면서 접촉된 후에, 커넥터 플러그(1)에 증가된 5개의 가동콘택트(8)의 접촉부(11)가 커넥터 소켓에 증가된 5개의 고정콘택트에 의해 밀려 내려가면서(콘택트 수용홈(7)에 압압되면서) 접촉되고, 전기적인 접속이 실행된다.
커넥터 플러그(1)의 가동콘택트(8)에 있어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의 3개의 콘택트 수용홈(7) 및 가동콘택트(8)는, 4개의 고정콘택트(5)의 상호간의 후측에 배치되고, 어느 고정콘택트(5)와도 전후로 접근한 상태에서 대략 일렬로 나열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외측(좌우 양측단부)의 2개의 콘택트 수용홈(7) 및 가동콘택트(8)는, 절연체(3)의 가로폭과의 관계에서 외측(좌우 양측단부)의 2개의 고정콘택트(5)의 후측에 배치되고, 외측의 2개의 고정콘택트(5)와 전후로 접근한 상태에서 대략 일렬로 나열되어 있다.
커넥터 플러그(1)는, 절연체(3)에 고정콘택트(5)가 복수(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4개) 병설되는 동시에, 절연체(3)의 고정콘택트(5)로부터 후측에 콘택트 수용홈(7)이 복수(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5개) 병설되고, 각 콘택트 수용홈(7)에 캔틸레버형상의 가동콘택트(8)가 1개씩 선단부를 전측으로 해서 장착되어서, 절연체(3)의 고정콘택트(5)로부터 후측에 캔틸레버형상의 가동콘택트(8)가 선단부를 전측으로 해서 복수(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5개) 병설되어 있으며, 고정콘택트(5)와 콘택트 수용홈(7) 및 가동콘택트(8)가, 전후로 접근한 상태에서 대략 일렬로 나열되어 있 지 않은 적어도 1개의 고정콘택트(5a)(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내측의 2개의 고정콘택트(5))와 적어도 1개의 콘택트 수용홈(7a) 및 가동콘택트(8a)(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내측의 3개의 콘택트 수용홈(7) 및 가동콘택트(8))와, 전후로 접근한 상태에서 대략 일렬로 나열되어 있는 적어도 1개의 특정 고정콘택트(5b)(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외측의 2개의 고정콘택트(5))와 적어도 1개의 특정 콘택트 수용홈(7b) 및 특정 가동콘택트(8b)(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외측의 2개의 콘택트 수용홈(7) 및 가동콘택트(8))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로 접근한 상태에서 대략 일렬로 나열되어 있지 않은 고정콘택트(5a)와 콘택트 수용홈(7a) 및 가동콘택트(8a)를 각각, 전후로 접근한 상태에서 대략 일렬로 나열하고 있는 특정 고정콘택트(5b)와 특정 콘택트 수용홈(7b) 및 특정 가동콘택트(8b)에 대해서, 「통상 고정콘택트(5a)」, 「통상 콘택트 수용홈(7a)」, 「통상 가동콘택트(8a)」라고 하며, 통상 고정콘택트(5a)와 특정 고정콘택트(5b)를 총칭해서 「고정콘택트(5)」라고 하고, 마찬가지로 통상 콘택트 수용홈(7a)과 특정 콘택트 수용홈(7b)을 총칭해서 「콘택트 수용홈(7)」이라고 하고, 또 통상 가동콘택트(8a)와 특정 가동콘택트(8b)를 총칭해서 「가동콘택트(8)」라고 한다.
그리고, 모든 가동콘택트(5)의 선단부(전단부)를 절연체(3)에 거는 것으로서, 다음에, 이 걸림 구조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통상 고정콘택트부의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특정 고정콘택트부의 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통상 가동콘택트부의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특정 가동콘택트부의 단면도이고, 도면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통상 고정콘택트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특정 고정콘택트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통상 가동콘택트의 선단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통상 가동콘택트의 선단부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 도 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특정 가동콘택트의 선단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7(d)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특정 가동콘택트의 선단부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통상 가동콘택트의 걸림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특정 가동콘택트가 걸림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우선, 통상 가동콘택트(8a)의 걸림 구조를 도 4(a), 도 5(a), 도 6(a), 도 7(a), 도 7(b) 및 도 8(a)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통상 콘택트 수용홈(7a) 및 통상 가동콘택트(8a)는, 상기와 같이, 고정콘택트(5)의 상호간의 후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통상 가동콘택트(8a)를 접촉부(11)로부터 전방으로, 접촉부(11)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으로도 위치 어긋나지 않고 전측방향으로 연신해도, 어느 고정콘택트(5)와도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도 5(a) 및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콘택트 수용홈(7a)에 대해서는, 해당 전단부에 있 는 홈벽면 하부를, 통상 가동콘택트(8a)의 접촉부(11)에 있어서의 중심선(CL1)과 대략 동축선상에서 보다 더 전측방향으로 파고들어서, 고정콘택트(5)의 후단부 상호간에서, 고정콘택트(5)로부터 하측에 배치하는 천장이 붙어 있는 콘택트 선단부 수용홈(12a)을 형성하고 있다.
도 5(a), 도 7(a), 도 7(b) 및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가동콘택트(8a)에 대해서는, 해당 접촉부(11)로부터 전방으로 보다 더 단면 L형으로 연신되어 있으며, 접촉부(11)로부터 전방으로, 접촉부(11)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으로도 위치 어긋나지 않고, 통상 콘택트 수용홈(7a) 내에서 콘택트 선단부 수용홈(12a)의 후측까지 하측방향으로 연신하는 연설부(13a)를 형성하는 동시에, 연설부(13a)를 경유해서, 접촉부(11)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으로도 위치 어긋나지 않고, 콘택트 선단부 수용홈(12a) 내에서 콘택트 선단부 수용홈(12a)의 천장면을 따라서 전측방향으로 연신하고, 해당 천장면에 의해서 절연체(3)에 형성된 콘택트 걸림부(14a)에 하측에서 대향하는 선단부(15a)를 형성하고 있다.
통상 가동콘택트(8a)의 선단부(15a)는, 중심선(CL1)과 대략 동축상에서, 어느 고정콘택트(5)와도 간섭하지 않고, 커넥터 플러그(1) 미삽입 시, 스프링부(10)의 탄성에 의해서 통상 가동콘택트(8a)가 자유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절연체(3)에 형성되어서 콘택트 걸림부(14a)에 하측에서 걸리게 되어, 통상 가동콘택트(8a)에 프리로드를 가한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플러그(1) 삽입 시, 통상 가동콘택트(8a)의 접촉부(11)가 통상 콘택트 수용홈(7a)에 압압된 경우, 통상 가동콘택 트(8a)의 선단부(15a)가 절연체(3)에 간섭하지 않도록, 통상 콘택트 수용홈(7a) 및 상기 콘택트 선단부 수용홈(12a)은, 통상 가동콘택트(8a)의 선단부(15a)의 하측에서 절연체(3)의 하부 표면에 관통되어 있다.
통상 고정콘택트(5a)는, 통상 콘택트 수용홈(7a) 및 통상 가동콘택트(8a)의 상호간의 전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통상 고정콘택트(5a)의 후단부가, 통상 콘택트 수용홈(7a)의 콘택트 선단부 수용홈(12a)과, 해당 콘택트 선단부 수용홈(12a)의 천장면에 의해서 절연체(3)에 형성된 콘택트 걸림부(14a)와, 통상 가동콘택트(8a)의 선단부(15a)로 구성되는, 절연체(3)에의 통상 가동콘택트(8a)의 걸림부의 상호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통상 고정콘택트(5a)는, 통상 고정콘택트(5a)로부터 좌우 어느 쪽으로도 위치 어긋나지 않고, 후단부로부터 절연체(3) 내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신해도, 어느 쪽의, 절연체(3)에의 통상 가동콘택트(8a)의 걸림부와도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도 4(a), 도 6(a) 및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고정콘택트(5a)에는, 통상 고정콘택트(5a)로부터 좌우 어느 쪽으로도 위치 어긋나지 않고, 즉 통상 고정콘택트(5a)의 중심선(CL2)을 중심으로서, 후단부로부터 절연체(3) 내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신하는 굴곡부(16a)를 형성하고 있다.
계속해서, 특정 가동콘택트(8a)의 걸림 구조를 도 4(b), 도 5(b), 도 6(b), 도 7(c), 도 7(d) 및 도 8(b)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특정 콘택트 수용홈(7b) 및 특정 가동콘택트(8b)는, 상기와 같이, 특정 고정콘택트(5b)의 후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특정 콘택트 수용홈(7b) 및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좌우 위치에 관한 것이며,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접촉 부(11)에 있어서의 중심선(CL3)으로부터 외측 절반부는 특정 고정콘택트(5b)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나 있지만, 내측 절반부가 특정 고정콘택트(5b)와 겹쳐져 있으며, 접촉부(11)로부터 외측으로 위치 어긋나지 않고, 즉 중심선(CL3)과 대략 동축선상에서 전측방향으로 연신하면, 중심선(CL3)으로부터 내측 절반부가 특정 고정콘택트(5b)와 간섭하기 때문에, 도 5(b)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콘택트 수용홈(7b)에 대해서는, 해당 전단부에 있는 홈벽면 하부를, 중심선(CL3)으로부터 외측 절반부(좌단부의 특정 콘택트 수용홈(7b)은 좌측 절반부, 우단부의 특정 콘택트 수용홈(7b)은 우측 절반부), 즉 중심선(CL3)으로부터 외측으로 편심한 위치에서, 보다 더 전측방향으로 파고들어서, 특정 고정콘택트(5b)의 후단부 외측에서, 특정 고정콘택트(5b)로부터 하측에 배치하는 천장이 붙어 있는 콘택트 선단부 수용홈(12b)을 형성하고 있다.
도 5(b), 도 7(c), 도 7(d)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가동콘택트(8b)에 대해서는, 해당 접촉부(11)로부터 보다 더 전방으로 단면 L형으로 연신되어 있으며, 접촉부(11)로부터 전방에, 특정 콘택트 수용홈(7b) 내에서 콘택트 선단부 수용홈(12b)의 후측까지 경사지게 하측방향(좌단부의 특정 가동콘택트(8b)에서는 좌측으로 경사지게 아래쪽, 우단부의 특정 가동콘택트(8b)에서는 우측으로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연신하는 연설부(13b)를 형성하는 동시에, 연설부(13b)를 경유해서, 콘택트 선단부 수용홈(12b) 내에서 콘택트 선단부 수용홈(12b)의 천장면을 따라서 전측방향으로 연신하고, 해당 천장면에 의해서 절연체(3)에 형성된 콘택트 걸림부(14b)에 하측에서 대향하는 선단부(15b)를 형성하고 있다.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15b)는, 접촉부(11)로부터 외측으로 위치 어긋나져 있으며, 중심선(CL3)으로부터 외측으로 편심한 위치에서, 특정 고정콘택트(5b)와 간섭하지 않고, 커넥터 플러그(1) 미삽입 시, 스프링부(10)의 탄성에 의해서 특정 가동콘택트(8b)가 자유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절연체(3)에 형성된 콘택트 걸림부(14b)에 하측에서 걸리게 되어, 특정 가동콘택트(8b)에 프리로드를 가한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 플러그(1) 삽입 시,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접촉부(11)가 특정 콘택트 수용홈(7b)에 압압된 경우,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15b)가 절연체(3)에 간섭하지 않도록, 특정 콘택트 수용홈(7b) 및 해당 콘택트 선단부 수용홈(12b)은,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15b)의 하측에서 절연체(3)의 하부 표면에 관통되어 있다.
특정 고정콘택트(5b)는, 특정 콘택트 수용홈(7b) 및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전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특정 고정콘택트(5b)의 좌우 위치에 관한 것이며, 특정 고정콘택트(5b)의 중심선(CL4)으로부터 대략 내측 절반부는 특정 콘택트 수용홈(7b) 및 특정 가동콘택트(8b)로부터 내측으로 벗어나 있지만, 대략 외측 절반부가 특정 콘택트 수용홈(7b) 및 특정 가동콘택트(8b)와 겹쳐져 있으며, 또한, 특정 고정콘택트(5b)의 후단부 외측에는, 특정 콘택트 수용홈(7b)의 콘택트 선단부 수용홈(12b)과, 해당 콘택트 선단부 수용홈(12b)의 천장면에 의해서 절연체(3)에 형성된 콘택트 걸림부(14b)와,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15b)로 구성되는, 절연체(3)에의 특정 가동콘택트(8b)의 걸림부가 접근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특정 고정콘택트(5b)는, 특정 콘택트(5b)로부터 내측으로 위치 어긋나지 않고, 즉 중심선(CL4)을 중심으로서, 후단부로부터 절연체(3) 내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신하면, 절연체(3)에의 특정 가동콘택트(8b)의 걸림부와 간섭하기 때문에, 도 4(b), 도 6(b)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고정콘택트(5b)에는, 하측으로 감에 따라서 절연체(3)에의 특정 가동콘택트(8b)의 걸림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후단부로부터 절연체(3) 내에서 경사지게 아래쪽(좌단부의 특정 고정콘택트(5b)에서는 우측으로 경사지게 아래쪽, 우단부의 특정 가동콘택트(5b)에서는 좌측으로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연신하는 굴곡부(16b)를 형성하고 있다. 즉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연설부(13b)와 특정 고정콘택트(5b)의 굴곡부(16b)는, 내외(좌우) 반대로 경사지게 하측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특정 고정콘택트(5b)의 후단부에는,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접촉부(11)의 전측에 있는 모서리부분을 경사지게 없애서 각락부(17)를 형성하고, 각락부(17)의 각락 영역에 절연체(3)에의 특정 가동콘택트(8b)의 걸림부의 일부를 침범해서 위치시키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통상 가동콘택트(8a)의 선단부(15a) 및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15b), 즉 모든 가동콘택트(8b)의 접촉부(11)로부터 전방의 선단부는, 어느 고정콘택트(5)와도 간섭하지 않고, 커넥터 플러그(1) 미삽입 시, 스프링부(10)의 탄성에 의해서 가동콘택트(8)가 자유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절연체(3)에 형성된 콘택트 걸림부(14a, 14b)에 하측에서 걸리게 되어서, 가동콘택트(8)에 프리로드를 가한다.
이상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커넥터 플러그(1)는, 절연체(3)에 고정콘택트(5)가 복수 병설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콘택트(5)로부터 후측에 캔틸레버형상의 가동콘택트(8)가 선단부측을 전측에 배치해서 복수 병설되고, 상기 고정콘택트(5) 중 적어도 1개의 특정 고정콘택트(5b)와 상기 가동콘택트(8) 중 적어도 1개의 특정 가동콘택트(8b)가 전후로 접근한 상태에서 대략 일렬로 나열되어 있으며, 상기 특정 가동콘택트(8b)가 접촉부(11)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접촉부(11)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으로 위치 어긋난 선단부(15b)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15b)가 특정 고정콘택트(5b)의 사이에서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절연체(3)에 걸리게 할 수 있어서, 모든 가동콘택트(5)의 선단부를 절연체(3)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이런 연유로, 가동콘택트(5)의 초기상태의 접촉부(11)의 높이가 안정되기 때문에, 안정된 접촉압력을 얻을 수 있다. 또, 가동콘택트(5)에 프리로드를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선단부를 절연체에 걸리게 하지 않은 가동콘택트에 비해서 초기상태의 접촉부(11)의 높이를 낮게 억제하여, 가동콘택트(8)에 좌굴을 좀처럼 일으키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15b)는, 상기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접촉부(11)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으로 경사지게 하측방향으로 연신하는 연설부(13b)를 경유해서, 상기 특정 고정콘택트(5b)로부터 하측에서, 상기 특정 고정콘택트(5b)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절연체(3)에 형성된 콘택트 걸림부(14b)에 상기 특정 가동콘택트(8b)가 자유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걸리게 되기 때문에,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15b)를 특정 고정콘택트(5b)의 사 이에서의 간섭을 적당히 회피해서 절연체(3)에 안정된 상태로 걸리게 할 수 있다.
상기 특정 고정콘택트(5b)의 후단부는, 상기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연설부(13b)와는 좌우 반대로 경사지게 하측방향으로 연신하기 때문에,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15b)에의 간섭을 적당히 회피할 수 있어서, 절연체(3)에의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15b)의 걸림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특정 고정콘택트(5b)에는 적어도 1개의 각락부(17)가 형성되고, 상기 각락부(17)의 각락 영역이 상기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접촉부(11)의 전측에 있기 때문에, 상기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접촉부(11)에 대한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15b)의 위치어긋남의 양을 억제하면서, 절연체(3)에의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15b)의 걸림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콘택트(5)를 4개와 상기 가동 커넥터(8)를 5개 설치하고, USB 커넥터, 즉 콘택트수를 증가시킨 USB 커넥터에 있어서의 커넥터 플러그(1)를 구성하기 때문에, USB 커넥터의 접점위치의 안정화를 도모하면서, USB 접속에서의 전송속도의 고속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 형상의 변형예를 예시한다. 도 9(a), 도 9(b)에 예시한 제 1의 변형예는,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접촉부(11)로부터 전방으로 하측방향, 횡방향의 순서로 정면에서 보면 L형으로 연신하는 연설부(13c)를 형성하고, 이 연설부(13a)의 하측방향으로 연신하는 부분을 경유해서 횡방향으로 연신하는 부분(선단부)에 의해서, 접촉부(11)로부터 외측으로 위치 어긋나져 있으며, 중심선(CL3)으로부터 외측으로 편심한 위치에서, 절연체(3)에 형성된 콘택트 걸림부에 하측에서 걸리는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15c)를 형성하고 있다.
도 10(a), 도 10(b)에 예시한 제 2의 변형예는,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접촉부(11)로부터 전방으로 하측방향, 횡방향의 순서로 정면에서 보면 L형으로 연신하는 연설부(13d)를 형성하는 동시에, 연설부(13b)의 하측방향으로 연신하는 부분을 도중에 원호형상으로 구부려서 접촉부(11)의 하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연신하고, 이 연설부(13d)의 후측방향으로 연신하는 부분을 경유해서 횡방향으로 연신하는 부분(선단부)에 의해서, 접촉부(11)로부터 외측으로 위치 어긋나져 있으며, 중심선(CL3)으로부터 외측으로 편심한 위치에서, 절연체(3)에 형성된 콘택트 걸림부에 하측에서 걸리는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15d)를 형성하고 있다.
도 11(a), 도 11(b)에 예시한 제 3의 변형예는,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접촉부(11)로부터 전방으로 하측방향, 횡방향의 순서로 정면에서 보면 L형으로 연신하는 연설부(13e)를 형성하는 동시에, 연설부(13b)의 횡방향으로 연신하는 부분을 직각으로 구부려서 전측방향으로 연신하고, 이 연설부(13e)의 하측방향으로 연신하는 부분을 경유해서 전측방향으로 연신하는 부분(선단부)에 의해서, 접촉부(11)로부터 외측으로 위치 어긋나져 있으며, 중심선(CL3)으로부터 외측으로 편심한 위치에서, 절연체(3)에 형성된 콘택트 걸림부에 하측에서 걸리는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15e)를 형성하고 있다.
도 12(a), 도 12(b)에 예시한 제 4의 변형예는,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접촉부(11)로부터 전방으로 하측방향, 횡방향, 하측방향의 순서로 정면에서 보면 크랭 크형으로 연신하는 연설부(13f)를 형성하는 동시에, 연설부(13f)의 횡방향으로 연신하는 부분을 경유해서 하측방향으로 연신하는 부분을 직각으로 구부려서 전측방향으로 연신하고, 이 연설부(13f)의 횡방향으로 연신하는 부분을 경유해서 전측방향으로 연신하는 부분(선단부)에 의해서, 접촉부(11)로부터 외측으로 위치 어긋나져 있으며, 중심선(CL3)으로부터 외측으로 편심한 위치에서, 절연체(3)에 형성된 콘택트 걸림부에 하측에서 걸리는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15e)를 형성하고 있다.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 형상에 대해서, 도 9 내지 도 12에 예시한 제 1 내지 제 4의 변형예가, 연설부(13c, 13d, 13e, 13f)를 접촉부(11)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신시키는 데에 대해서, 도 7(c), 도 7(d)에 예시한 본 예가, 연설부(13b)를 접촉부(11)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으로 경사지게 하측방향으로 연신하기 때문에, 특정 고정콘택트(5b)의 후단부를 연설부(13b)와는 좌우 반대로 경사지게 하측방향으로 연신하는 굴곡부(16b)를 경유해서 후측방향으로 연신해서 외부접속단자(6)를 형성하는 경우, 굴곡부(16b)의 경사각도(절연체(3)에의 특정 가동콘택트(8b)의 걸림부에 대한 도피각)를, 도 9 내지 도 12에 예시한 제 1 내지 제 4의 변형예의 연설부(13c, 13d, 13e, 13f)에 비해서 작게 할 수 있으며,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15b)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쉽다.
도 9 및 도 11에 예시한 제 1 및 제 3의 변형예가,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얇은 측단부면에서 절연체(3)에 형성된 콘택트 걸림부에 걸리는 데에 대해서, 도 7(c), 도 7(d)에 예시한 본 예가,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주요면에서 절연체(3)에 형성된 콘택트 걸림부에 걸리기 때문에,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절연체(3)에 형성되는 콘택트 걸림부에 요면이나 이 요면에 의한 걸림(특정 가동콘택트(8b)의 동작불량)이 생기지 않고,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15b)를 안정되게 절연체(3)에 형성되는 콘택트 걸림부에 걸리게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예시한 제 2 및 제 3의 변형예가,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선단부 형상을 성형할 때에 여러 차례의 굽힘 공정을 필요로 하는 데에 대해서, 도 7(c), 도 7(d)에 예시한 본 예는, 도 10 및 도 11에 예시한 제 2 및 제 3의 변형예에 비해서 적은 공정수의 굽힘 공정으로 완료되어, 가동콘택트(8)의 생산성이 우수하다.
특정 가동콘택트(8b)의 타발형상에 있어서, 도 9 내지 도 12에 예시한 제 1 내지 제 4의 변형예가, 연설부(13c, 13d, 13e, 13f)에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연신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연신하는 부분을 가지는 데에 대해서, 도 7(c), 도 7(d)에 예시한 본 예는, 연설부(13b) 및 선단부(15b)가 특정 가동콘택트(8b)의 연신방향으로 대체로 연신되어 있으며, 연신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연신하는 부분을 가지고 있지 않아, 도 9 내지 도 12에 예시한 제 1 내지 제 4의 변형예에 비해서 가동콘택트(8)의 블랭킹 수율이 높아진다.
이상, 본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매우 적합한 일실시의 형태를 콘택트수를 종래의 4개에서 5개 증가해서 9개로 한 USB 커넥터의 커넥터 플러그(1)에 의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콘택트수를 증가시킨 USB 커넥터에 있어서의 커넥터 플러그의 콘택트 배치를 도시한 도면(본 발명의 과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콘택트수를 증가시킨 USB 커넥터에 있어서의 커넥터 플러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콘택트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통상 고정콘택트부의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특정 고정콘택트부의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통상 가동콘택트부의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특정 가동콘택트부의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통상 고정콘택트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특정 고정콘택트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통상 가동콘택트의 선단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통상 가동콘택트의 선단부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 도 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특정 가동콘택트의 선단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7(d)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특정 가동콘택트의 선단부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통상 가동콘택트의 걸림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특정 가동콘택트의 걸림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특정 가동콘택트의 선단부 형상의 제 1의 변형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특정 가동콘택트의 선단부 형상의 제 1의 변형예를 예시한 정면도;
도 1O(a)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특정 가동콘택트의 선단부 형상의 제 2의 변형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특정 가동콘택트의 선단부 형상의 제 2의 변형예를 예시한 정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특정 가동콘택트의 선단부 형상의 제 3의 변형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특정 가동콘택트의 선단부 형상의 제 3의 변형예를 예시한 정면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특정 가동콘택트의 선단부 형상의 제 4의 변형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1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특정 가동콘택트의 선단부 형상의 제 4의 변형예를 예시한 정면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커넥터 플러그(USB 커넥터) 3: 절연체
5: 고정콘택트 5b: 특정 고정콘택트
8: 가동콘택트 8b: 특정 가동콘택트
11: 접촉부 13b: 연설부
14b: 콘택트 걸림부 15b: 선단부
16b: 굴곡부 17: 각락부
CL1~CL4: 중심선

Claims (5)

  1. 절연체에 고정콘택트가 복수 병설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콘택트로부터 후측에 캔틸레버형상의 가동콘택트가 선단부측을 전측으로 해서 복수 병설되고, 상기 고정콘택트 중 적어도 1개의 특정 고정콘택트와 상기 가동콘택트 중 적어도 1개의 특정 가동콘택트가 전후로 접근한 상태에서 대략 일렬로 나열되어 있으며, 상기 특정 가동콘택트가 접촉부로부터 전방에 상기 접촉부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으로 위치 어긋난 선단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가동콘택트의 선단부는, 상기 특정 가동콘택트의 접촉부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으로 경사지게 하측방향으로 연신하는 연설부를 경유해서, 상기 특정 고정콘택트로부터 하측에서, 상기 특정 고정콘택트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절연체에 형성된 콘택트 걸림부에 상기 특정 가동콘택트가 자유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고정콘택트의 후단부는, 상기 특정 가동콘택트의 연설부와는 좌우 반대로 경사지게 하측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고정콘택트에는 적어도 1개의 각락(角落)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락부의 각락 영역이 상기 특정 가동콘택트의 접촉부의 전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콘택트를 4개와 상기 가동콘택트를 5개 형성하고, USB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90064780A 2008-07-18 2009-07-16 커넥터 KR1012152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87129 2008-07-18
JP2008187129A JP4977659B2 (ja) 2008-07-18 2008-07-18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494A true KR20100009494A (ko) 2010-01-27
KR101215217B1 KR101215217B1 (ko) 2012-12-24

Family

ID=4106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780A KR101215217B1 (ko) 2008-07-18 2009-07-16 커넥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967641B2 (ko)
EP (1) EP2146398B1 (ko)
JP (1) JP4977659B2 (ko)
KR (1) KR101215217B1 (ko)
CN (1) CN101630784B (ko)
AT (1) ATE507597T1 (ko)
DE (1) DE602009001151D1 (ko)
DK (1) DK2146398T3 (ko)
ES (1) ES2364738T3 (ko)
TW (1) TWI4246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7659B2 (ja) * 2008-07-18 2012-07-18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647675B2 (ja) * 2008-07-22 2011-03-09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2025053B (zh) * 2009-09-15 2014-06-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TWM398226U (en) * 2010-08-24 2011-02-11 Power Quotient Int Co Ltd USB connector
KR20120101909A (ko) * 2011-03-07 2012-09-17 타이코에이엠피(유)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CN202121180U (zh) * 2011-04-29 2012-01-18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插头连接器和连接器组件
US8545276B2 (en) * 2011-11-03 2013-10-01 Fereidoun A. Farahani Multi-pin breakaway connector with fixed and retractable pins
TWI455420B (zh) * 2012-01-10 2014-10-01 Taiwin Electronics Co Ltd 電連接器插座及其偵測方法
JP5943823B2 (ja) 2012-12-06 2016-07-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086141B2 (en) * 2013-01-29 2018-10-02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Electronic module and drug delivery device
CN203242790U (zh) * 2013-03-19 2013-10-1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US10460151B2 (en) * 2013-09-17 2019-10-29 Cloudspotter Technologies, Inc. Private photo sharing system, method and network
CN204205097U (zh) * 2014-11-11 2015-03-11 东莞讯滔电子有限公司 Usb插头
JP6585475B2 (ja) * 2015-11-16 2019-10-0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チェックアウト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5765A (en) * 1964-01-10 1966-09-27 Amp Inc Electrical connecting and switch device
US3474380A (en) * 1968-02-19 1969-10-21 Edwin A Miller Electrical connectors
JP3233843B2 (ja) * 1995-11-09 2001-12-0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コンタクト
US6086401A (en) * 1997-10-27 2000-07-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Terminal having low insertion force
JP2000223215A (ja) 1999-01-27 2000-08-11 Mitsumi Electric Co Ltd 小型コネクタ
JP2001006785A (ja) * 1999-06-23 2001-01-12 Hirose Electric Co Ltd 活線挿抜用端子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4841756B2 (ja) * 2001-06-08 2011-12-2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ンタクトとこれを装着した電気コネクタ
JP4157760B2 (ja) * 2002-12-13 2008-10-01 任天堂株式会社 バッテリー用コネクタ
TWI282645B (en) * 2004-04-16 2007-06-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tact
TWM310488U (en) * 2006-08-08 2007-04-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M311087U (en) * 2006-11-03 2007-05-01 Tai Twun Entpr Co Ltd Card-reading machine used for memory card
US7534143B1 (en) * 2007-11-16 2009-05-1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wire termination arrangement
US7578675B2 (en) * 2007-12-12 2009-08-2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tact used in electrical connector
TWM336609U (en) * 2008-03-11 2008-07-11 Taiwin Electronics Co Ltd 2-in-1 electric connector socket capable of actuating power-on of computer
JP3150384U (ja) * 2008-04-09 2009-05-07 鴻海精密工業股▲ふん▼有限公司 電気コネクタ
JP4977659B2 (ja) * 2008-07-18 2012-07-18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647675B2 (ja) * 2008-07-22 2011-03-09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64738T3 (es) 2011-09-13
US20100015831A1 (en) 2010-01-21
US7967641B2 (en) 2011-06-28
ATE507597T1 (de) 2011-05-15
TW201006069A (en) 2010-02-01
DK2146398T3 (da) 2011-08-15
EP2146398A1 (en) 2010-01-20
TWI424639B (zh) 2014-01-21
EP2146398B1 (en) 2011-04-27
KR101215217B1 (ko) 2012-12-24
JP2010027374A (ja) 2010-02-04
CN101630784A (zh) 2010-01-20
DE602009001151D1 (de) 2011-06-09
CN101630784B (zh) 2013-01-09
JP4977659B2 (ja)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217B1 (ko) 커넥터
US999163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housing side wall with resilient inner arm and stationary outer arm
US742246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US727339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EP1235301B1 (en) A connector assembly for a flat wire member
JP4651521B2 (ja) コネクタ用シールドケース
US8147269B2 (en) Connector assembly
US8182284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fastening device
JP2022179756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2243542A (ja) 端子金具
KR101680180B1 (ko) 커넥터
JP2008192474A (ja) 外導体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US7525810B2 (en) Connector fixing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0092742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16157643A (ja) コネクタ組立体
US11146004B2 (en) Connector assembly
EP1804344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JP5473638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7212098A (ja) 電気コネクタ
US7607945B2 (en) Connector
JP7396841B2 (ja) コネクタ用雌側端子片及び端子片対
JP2010153313A (ja) 電気コネクタの導通検査方法
KR101356077B1 (ko) 고전압용 커넥터
KR200477957Y1 (ko) Ffc 커넥터
JP5779004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