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077B1 - 고전압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전압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077B1
KR101356077B1 KR1020120092137A KR20120092137A KR101356077B1 KR 101356077 B1 KR101356077 B1 KR 101356077B1 KR 1020120092137 A KR1020120092137 A KR 1020120092137A KR 20120092137 A KR20120092137 A KR 20120092137A KR 101356077 B1 KR101356077 B1 KR 101356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connector
flexible cable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연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20092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H01R33/7678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having a separated part for spark preventing mean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면에 단자부를 구비한 플렉시블 케이블이 설치되는 제 1 하우징을 구비한 제 1 커넥터와, 제 1 커넥터와 접속되며 플렉시블 케이블과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이루기 위한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 고정되는 제 2 하우징을 구비한 제 2 커넥터로 이루어진 고전압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플렉시블 케이블의 단자부가 형성된 반대면을 지지하며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각 단자부 사이를 지지하는 단자부 격벽과, 플렉시블 케이블의 선단을 폭 방향으로 지지하는 선단 지지부를 구비하며;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제 2 하우징의 바닥측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삽입홈과, 상기 단자 삽입홈 사이에서 상기 단자 삽입홈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단자부 격벽이 삽입되게 되는 격벽 삽입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전압용 커넥터{Connector For High Voltage}
본 발명은 고전압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케이블을 통하여 고전압을 공급할 때 사용될 수 있는 고전압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각종 전자기기에서 고전압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동축 케이블을 주로 사용하며, 이와 같은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1-25707호와 같은 커넥터를 사용하게 된다. 도 1과 같은 종래기술의 커넥터는 고전압을 전송하기 위한 동축 케이블이 제 1 하우징(10) 내부의 격벽(101)에 의해 각각 둘러싸인 동축 케이블 연결용 접속터미널(20)에 연결되며, 동축 케이블 연결용 접속터미널(20)이 제 2 하우징(30) 내부의 인쇄회로기판 연결용 접속터미널(40)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서로 접속된다. 동축 케이블 연결용 접속터미널(20)과 인쇄회로기판 연결용 접속터미널(40)은 제 1 하우징(10)의 내부 격벽(101)에 의해 인접 접속단자와 완벽하게 분리되므로, 결합시 과전류에 의해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최근, 각종 전자기기가 소형/경량화되고 있어 동축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많이 있으며, 또한 동축 케이블을 대신하여 고전압을 전송할 수 있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개발되었으나, 도 2에 도시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16401호와 같이 단자부(50) 사이의 피치가 좁은 플렉시블 케이블(F)을 접속하기 위한 종래의 커넥터는 접속단자 간 피치 역시 좁기 때문에 단자부 또는 접속단자간 스파크에 의한 쇼트 등이 발생할 염려가 높아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서에서의 플렉시블 케이블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 또는 플렉시블 프린티드 서키트(Flexible Printed Circuit)를 모두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73047호에는 도 3과 같이 플렉시블 케이블(F)의 단자부(50)사이에 단자부 격벽(14)을 설치한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격벽은 결합되는 상대방 커넥터의 접속단자와 접속시 플렉시블 케이블이 밀려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그 높이가 낮아, 스파크의 발생 등을 방지하기에 충분치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1-0025707 A, 2011.3.11., 도면 4 KR 10-0716401 B, 2007.5.11., 도면 3 KR 10-1073047 B, 2011.10.14., 도면 6(c)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좁은 피치의 플렉시블 케이블을 사용하더라도, 플렉시블 케이블의 단자부 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접속단자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완벽하게 절연을 이루는 고전압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하면에 단자부를 구비한 플렉시블 케이블이 설치되는 제 1 하우징을 구비한 제 1 커넥터와, 제 1 커넥터와 접속되며 플렉시블 케이블과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이루기 위한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 고정되는 제 2 하우징을 구비한 제 2 커넥터로 이루어진 고전압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플렉시블 케이블의 단자부가 형성된 반대면을 지지하며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플렉시블 케이블의 선단을 폭 방향으로 지지하는 선단 지지부와,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각 단자부 사이를 지지하며 선단지지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단자부 격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제 2 하우징의 바닥측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삽입홈과, 상기 단자 삽입홈 사이에서 상기 단자 삽입홈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단자부 격벽이 삽입되게 되는 격벽 삽입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 삽입홈 보다 격벽 삽입홈의 깊이가 깊은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은 상호 체결을 유지할 수 있는 제 1,2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하우징은 선단지지부의 양 측면에서 전방으로 각각 돌출된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제 2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 부를 수납할 수 있는 가이드 수납구를 더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단자부 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접속단자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완벽하게 절연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좁은 피치의 플렉시블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의 커넥터를 나타낸 도.
도 4,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제 1 커넥터를 나타낸 도.
도 6,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제 2 커넥터를 나타낸 도.
도 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접속단자를 나타낸 도.
도 9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제 1,2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제 1,2 커넥터를 나타낸 도.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설치된 제 1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제 1 커넥터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제 1 커넥터와 플렉시블 케이블을 분해한 저면 사시도이다.
제 1 커넥터(1)는 하면에 단자부를 구비한 플렉시블 케이블(F)이 제 1 커넥터(1) 후방의 케이블 삽입구(11)를 통해 플렉시블 케이블(F)의 선단을 폭 방향으로 지지하는 선단지지부(12)까지 삽입된다.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F)의 단자부(50)가 형성된 반대면은 전방으로 돌출된 제 1 하우징(10)의 돌출부(13)에 의해 지지되며, 플렉시블 케이블(F)의 각 단자부(50) 사이는 단자부 격벽(14)에 의해 지지된다.
플렉시블 케이블(F)은 그 양 측면에 가공된 측면 홈(F1)에 끼워지는 래치부(71)를 구비한 케이블 고정부재(70)에 의해 제 1 하우징(10)의 래치 결합홈(15)과 결합되어 제 1 하우징(10)에 고정된다.
또한, 제 1 하우징(10)은 선단지지부(12)의 양 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가이드부(16)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 1 하우징(10)의 상면에는 제 2 하우징과 상호 체결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체결부(17)가 구비되어 있다.
도 6은 제 2 커넥터를 나타낸 전방 및 후방 사시도이며, 도 7은 제 2 하우징의 상측을 일부 절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접속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 2 커넥터(2)는 제 1 커넥터(1)와 접속되며 플렉시블 케이블(F)과 인쇄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이루기 위한 접속단자(80)와, 상기 접속단자(80)가 삽입 고정되는 제 2 하우징(30)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하우징(30)은 제 1 하우징(10)의 돌출부(13)가 삽입되는 삽입구(31)와, 바닥측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80)가 삽입되는 단자 삽입홈(32)과, 상기 단자 삽입홈(32) 사이에서 상기 단자 삽입홈(32)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단자부 격벽(14)이 삽입되게 되는 격벽 삽입홈(3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30)은 상기 제 1 하우징(10)의 제 1 체결부(17)와 협동하여 제 1,2,커넥터의 상호체결을 유지할 수 있는 제 2 체결부(34)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 1 하우징(10)의 가이드부(16)를 수납할 수 있는 가이드 수납구(35)도 구비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제 1,2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평면도에 표시된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단면도는 단면을 나타내는 해칭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제 1 커넥터(1)와 제 2 커넥터(2)가 결합되면, 제 1 커넥터(1)의 단자부 격벽(14)은 제 2 커넥터(2)의 격벽 삽입홈(33)으로 끼워 들어가 인접한 접속단자(80) 및 단자부(50)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완벽하게 절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단자 삽입홈(32) 보다 격벽 삽입홈(33)의 깊이가 깊이가 깊을수록 절연효과가 뛰어나긴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도 서로 끼워지는 격벽 삽입홈(33)과 단자부 격벽(14)에 의해 절연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제 1,2 커넥터를 나타낸 도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비하여, 제 1, 2 체결부(17,34)가 각 커넥터의 측면에 형성된 점과,단자 삽입홈(32)와 격벽 삽입홈(33)의 깊이가 서로 동일한 점에서 차이가 있지만, 각 기술적 구성이 이루는 작용관계 등은 양 실시예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플렉시블 케이블이 그 측면홈과 케이블 고정부재의 래치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케이블 고정부재는 제 1 하우징에 플렉시블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는 한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또는 제 1 하우징에 걸림돌기등을 구비하여 플렉시블 케이블을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 : 제 1 커넥터 2 : 제 2 커넥터 10 : 제 1 하우징 11 : 케이블 삽입구
12 : 선단 지지부 13 : 돌출부 14 : 단자부 격벽 15 : 래치 결합홈
16 : 가이드부 17 : 제 1 체결부 30 : 제 2 하우징 31 : 삽입구
32 : 단자삽입홈 33 : 격벽삽입홈 34 : 제 2 체결부 35 : 가이드 수납구
F : 플렉시블 케이블 F1 : 측면홈 50 : 단자부 70 : 케이블 고정부재
71 : 래치부 80 : 접속단자

Claims (4)

  1. 하면에 단자부를 구비한 플렉시블 케이블이 설치되는 제 1 하우징을 구비한 제 1 커넥터와, 제 1 커넥터와 접속되며 플렉시블 케이블과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이루기 위한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 고정되는 제 2 하우징을 구비한 제 2 커넥터로 이루어진 고전압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플렉시블 케이블의 단자부가 형성된 반대면을 지지하며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플렉시블 케이블의 선단을 폭 방향으로 지지하는 선단 지지부와,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각 단자부 사이를 지지하며 선단지지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단자부 격벽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하우징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제 2 하우징의 바닥측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삽입홈과, 상기 단자 삽입홈 사이에서 상기 단자 삽입홈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상기 단자부 격벽이 삽입되게 되는 격벽 삽입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삽입홈 보다 격벽 삽입홈의 깊이가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용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은 상호 체결을 유지할 수 있는 제 1,2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용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선단지지부의 양 측면에서 전방으로 각각 돌출된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제 2 하우징은 상기 가이드 부를 수납할 수 있는 가이드 수납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용 커넥터.
KR1020120092137A 2012-08-23 2012-08-23 고전압용 커넥터 KR101356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137A KR101356077B1 (ko) 2012-08-23 2012-08-23 고전압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137A KR101356077B1 (ko) 2012-08-23 2012-08-23 고전압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6077B1 true KR101356077B1 (ko) 2014-01-29

Family

ID=5014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137A KR101356077B1 (ko) 2012-08-23 2012-08-23 고전압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0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6111B2 (ja) * 1993-01-18 2001-05-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KR101121506B1 (ko) * 2010-08-10 2012-05-30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 및 이를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6111B2 (ja) * 1993-01-18 2001-05-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KR101121506B1 (ko) * 2010-08-10 2012-05-30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 및 이를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8697U (ja) 電気コネクタ
KR102111728B1 (ko) 전기 커넥터
JP7245892B2 (ja) 表面実装型コネクタ
JP4970981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0267548A (ja) 電気コネクタ
JP2010040526A (ja) 電気コネクタ
JP2007180008A (ja) コネクタプラグ
JP2012190799A (ja) 電気コネクタ
JP2015041449A (ja) 電気コネクタ
US9997867B2 (en) Connector
CN100559658C (zh) 端接至电路板的安装在配电盘上的模块插座
US20090170354A1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KR20160017624A (ko) 컨택트 및 그 컨택트를 사용하는 커넥터
KR100771348B1 (ko) 기판용 커넥터
JP2008192474A (ja) 外導体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JP4623735B2 (ja) コネクタ
JP5049619B2 (ja) プラグ接続アダプタ
TWI628881B (zh) Connector device for substrate connection
US20140335720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aximized circuit-to-circuit isolation distance
JP2012084501A (ja) 電気コネクタ
JP2015216068A (ja) コネクタ
KR101356077B1 (ko) 고전압용 커넥터
WO2015072153A1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るコネクタ装置
KR101301625B1 (ko) 전자기기용 커넥터의 터미널
US9685748B2 (en) Adapter and electrical terminal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