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1909A -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1909A
KR20120101909A KR1020110020017A KR20110020017A KR20120101909A KR 20120101909 A KR20120101909 A KR 20120101909A KR 1020110020017 A KR1020110020017 A KR 1020110020017A KR 20110020017 A KR20110020017 A KR 20110020017A KR 20120101909 A KR20120101909 A KR 20120101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plug connection
terminal
case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유)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to KR1020110020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1909A/ko
Priority to TW101202095U priority patent/TWM442621U/zh
Priority to CN2012100716629A priority patent/CN102723630A/zh
Priority to US13/414,141 priority patent/US9225132B2/en
Publication of KR20120101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1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접속단자들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소켓에 삽입되어 접속되도록 케이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와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가 각각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와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로 전기신호를 전송하거나 전기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와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와 연결되는 회로기판부가 설치되되, 상기 회로기판부는 상면에 상기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의 후단이 연결되고, 하면에 상기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의 후단이 연결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하나의 케이스에 서로 다른 종류의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와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가 각각 설치됨에 따라, 하나의 접속 플러그로 서로 다른 종류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한 접속 플러그의 수를 줄여 접속 플러그의 휴대가 용이하고, 하나의 플러그에 서로 다른 종류의 플러그 접속단자부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됨에 따라, 전체 접속 플러그의 크기를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 Connecting plug for portable terminal }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두 종류의 플러그 접속단자부가 하나의 케이스에 설치되어 하나의 접속 플러그를 접속모듈과 접속시키면 동시에 두 종류의 플러그 접속부가 접속되도록 형성되어 그 크기가 더욱 슬림하게 형성되고, 동시에 두 종류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한 음성을 통한 통화기능뿐만 아니라, 영상통화의 기능이나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이 탑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근자에는 그 기능이 더욱 다양화되어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Contents)가 적용되면서 통화는 물론 개인정보나 신용결재 등을 할 수 있는 저장매체의 기능은 물론,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을 수신하는 등의 복잡한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은 종합적으로 탑재되어 멀티미디어 기기를 구현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는 전술한 여러 가지 추가적인 기능으로 인하여 필요로 하는 접속구와 대응되는 여러 형태의 접속모듈이 구비된다. 이러한 접속구와 접속모듈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자료들을 인출입시키도록 접속하는 유에스비 포트(Universal Serial Bus Port)나 이어폰, 리모트 콘트롤, TV 등의 신호를 인터페이스(Interface)하는 용도의 입/출력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입출력 포트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대한민국특허 출원번호 제2007-54532호(명칭: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에는 하나의 케이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서로 다른 접속단자들이 설치되어 하나의 접속모듈에 서로 다른 플러그들이 각각 접속될 수 있도록 두 종류의 접속모듈이 일체로 형성된 접속모듈이 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접속모듈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갈수록 그 크기가 슬림화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맞추어 더욱 슬림하게 형성되고 있으나, 플러그는 그에 맞게 슬림하게 형성하기 위한 방안이 없는 실정이다.
즉, 플러그는 사용되는 단자들의 수를 줄이거나 그 크기를 줄여서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으나, 이는 다른 종류의 접속모듈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과 같이 그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없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에는 각 기능별로 여러 종류의 플러그가 사용되므로 플러그는 기능별로 각각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를 테면, 유에스비 접속모듈에 연결되는 유에스비 플러그나, 입출력 접속모듈에 연결되는 입출력 플러그 등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여러 종류의 플러그가 사용되어 지므로 사용자는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플러그를 모두 가지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종류의 플러그가 하나의 케이스에 설치된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종류의 플러그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종류의 플러그가 하나의 케이스에 설치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러그의 접속단자들의 위치가 고정되되 접속되는 면이 노출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소의 공간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플러그가 서로 간섭됨을 방지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됨을 안내함과 아울러, 플러그와 소켓이 접속되었을 때 분리됨을 방지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러그의 접속단자들을 보호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러그가 소켓에 결합되는 위치를 안내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접속단자들이 최소의 공간에 설치되어 플러그의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접속단자들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소켓에 삽입되어 접속되도록 케이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와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가 각각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와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로 전기신호를 전송하거나 전기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와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와 연결되는 회로기판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로기판부는 상면에 상기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의 후단이 연결되고, 하면에 상기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의 후단이 연결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을 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와 상기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가 각각 설치되는 단자 설치케이스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 설치케이스는 하부에 상기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를 구성하는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들의 상면이 노출되게 조립되도록 하부 설치홈이 형성된 하부 설치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 설치케이스는 상기 하부 설치부의 상부에 상기 하부 설치부 보다 짧은 길이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푸 플러그 접속단자부를 구성하는 상기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를 구성하는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들의 상면이 노출되게 상부 설치홈이 형성되도록 인서트 사출되는 상부 설치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설치홈은 상기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들이 승강되거나 하강되어도 상기 하부 설치홈에 삽입된 상기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들과 접하지 않도록 상기 상부 설치홈과 어긋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 설치케이스의 상부 설치부에는 소켓 결합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소켓 결합돌기는 상기 접속 플러그가 상기 소켓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소켓에 형성된 소켓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 결합돌기는 전방 측이 상기 결합돌기 노출홀로 노출되도록 상부를 향해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단자 설치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단자 설치케이스의 전방을 커버하고 일부가 접속되어야 할 상기 소켓에 삽입되는 삽입 케이스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 케이스에는 상기 소켓에 삽입되는 간격을 안내하는 삽입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를 구성하는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들과 상기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를 구성하는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들은 서로 승강되거나 하강되더라도 접촉되지 않도록 엇갈리게 배치되어 동일선 상에 위치되면 서로 맞물리는 형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접속단자들의 배치 간격은 상기 하부 접속단자들의 폭에 대응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하나의 케이스에 서로 다른 종류의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와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가 각각 설치됨에 따라, 하나의 접속 플러그로 서로 다른 종류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한 접속 플러그의 수를 줄여 접속 플러그의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플러그 접속단자부들과 연결된 회로기판부가 구비되되, 각 플러그 접속단자부들 사이에 설치됨에 따라, 회로기판부가 설치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하나의 접속 플러그로 각각의 플러그 단자부들이 독립적으로 작동하거나,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플러그 접속단자부들이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설치홀이 형성된 케이스가 구비되고, 각각의 플러그 접속단자부가 소켓의 접속단자들과 접속되는 상면이 노출되게 설치됨에 따라, 소켓과 연결됨이 서로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안정적으로 플러그와 소켓을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단자 설치 케이스에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들이 인서트 사출되고,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들이 단자 설치케이스에 삽입되어 조립됨에 따라, 전체 접속 플러그의 조립이 간단해지므로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되었을 때 접속 플러그와 소켓을 결합시키는 소켓 결합돌기가 설치됨에 따라, 접속 플러그가 소켓에 삽입되면 이들이 결합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졌을 때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접속 플러그와 소켓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켓 결합돌기가 상부를 향해 절곡되게 형성됨에 따라 소켓 결합돌기가 탄성력을 가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속 플러그와 소켓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 케이스가 단자 설치케이스의 전방을 감싸도록 설치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플러그 단자부들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 케이스에 삽입 안내홈이 형성됨에 따라, 접속 플러그가 삽입 케이스에 지나치게 삽입되거나 충분히 삽입되지 않아 각 단자들의 접속불량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플러그에 서로 다른 종류의 플러그 접속단자부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됨에 따라, 전체 접속 플러그의 크기를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플러그 접속단자부들이 엇갈리게 배치될 때 일측 플러그 접속단자들의 폭이 타측 플러그 접속단자들의 배치 간격에 맞게 형성되고, 일측 플러그 접속단자부의 길이가 타측 플러그 접속단자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에 따라, 단자들끼리 서로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접속 플러그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의 소켓 결합돌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의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의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와 접속 플러그용 소켓을 도시한 도면.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와 접속 플러그용 소켓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200)는 하나의 케이스(210)에 서로 다른 종류의 플러그 접속단자부(220,230)가 설치되어 하나의 접속 플러그로 두 종류의 접속 플러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상부와 하부에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20)와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30)가 이격되게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20)를 구성하는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들(221)과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30)를 구성하는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들(231)은 그 위치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221)들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등간격으로 배치되면,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231)들은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221)들의 배치간격만큼의 폭이거나 배치간격보다 짧은 길이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221)들의 배치간격 사이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결국,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221)들과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221)들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므로 이격되게 설치되면,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들(221)과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231)들이 서로 마주보지 않게 배치되어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221)들이 하강되더라도 하 플러그 접속단자(231)들과 접촉되지 않는 것이다.
이것은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들(231)과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들(231)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것보다 각 접속단자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전체 접속 플러그(2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케이스(21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221)들의 길이는 케이스(210)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231)들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것은 접속 플러그(200)가 소켓(100)과 접속될 때 접속되는 위치가 상이하여 서로 간섭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반드시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221)들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소켓(100)에 따라서 접속 플러그(100)의 형태에 따라서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231)들의 길이가 짧아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221)들은 그 단부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소켓(100)의 단자들과 접속되기 용이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스(210)는 상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20,230)의 전방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전방이 소켓(100)에 삽입되면서 소켓의 접속단자부들과 상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들이 접속되는 것을 안내하는 삽입 케이스(211)와, 상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30)이 설치되는 단자 설치케이스(215)로 이루어진다.
삽입 케이스(211)는 단자 설치케이스(215)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20,230)들의 전방을 감싸도록 전후방이 개구된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이 후방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연장되게 형성된 부분에 단자 설치 케이스(215)에 형성된 상부 결합돌기(217a)가 삽입되는 상부 결합홀(214a)이 형성되고, 삽입 케이스(211)의 하면에는 단자 설치 케이스(215)에 형성된 하부 결합홀(214b)에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돌출되게 하부 결합돌기(217b)가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 케이스(211)의 상면에는 삽입 케이스(211)가 소켓(100)에 삽입될 때 삽입되는 간격을 안내하도록 소켓(100)에 형성된 삽입안내돌기(119)가 삽입되는 삽입 안내홈(211c)이 형성된다.
또한, 삽입 케이스(211)의 배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삽입 탄성편(211a)이 형성된다. 삽입 탄성편(211a)은 전방 케이스(211)의 배면을 절개하여 외측으로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됨에 따라 탄성력을 갖게 된다. 이때, 삽입 탄성편(211a)의 돌출된 단부면은 하부 측으로 돌출되게 곡면(211b)을 갖도록 절곡되게 형성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의 소켓 결합돌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자 설치케이스(215)는 내부에 상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20,230)들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단자 설치 케이스(215)의 후방에는 상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들(221,231)이 각각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상부 설치홀(216a)과 하부 설치홀(216b)이 형성되고, 상부 설치홀(216a)과 하부 설치홀(216b)의 위치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들(221)과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들(231)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자 설치 케이스(215)는 하부에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30)가 삽입되는 하부 삽입홈(212a)이 형성된 플레이트형 하부 설치부(212)가 설치된다. 여기서. 하부 설치부(212)의 하부 삽입홈(212a)은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30)의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들(231)은 그 상면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하부 설치부(212)의 상부에는 하부 설치부(212)보다 그 길이가 짧게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20)와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20)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되,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20)가 삽입되는 상부 삽입홈(213a)이 형성된 상부 설치부(213)가 마련된다. 상부 설치부(213)는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30)의 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삽입홈(213a)은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30)의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들(231)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삽입홈(213a)과 하부 설치홈(212a)은 전술한 상부 설치홀(216a)과 하부 설치홀(216b)과 연장되게 형성되어 그 위치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단자 설치케이스(215)에는 상면에 삽입 케이스(211)와 결합되도록 상부 결합돌기(217a)가 형성되고, 삽입 케이스(211)와 단자 설치케이스(215)가 접하는 단자 설치케이스(215)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하부 결합돌기(217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단자 설치케이스(215)는 사출되어 형성될 때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30)가 인서트 사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30)가 위치되어야 하는 위치에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231)들이 배치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231)들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하부 설치부(212)와 상부 설치부(213)가 사출된다. 그 후, 단자 설치 케이스(215)의 후단에 형성된 상부 설치부(231)의 상부 설치홈(213a)을 통해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231)들을 삽입시켜 단자 설치케이스(215)가 조립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20,230)들의 양측에는 일측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소켓 결합돌기(218)가 설치된다.
소켓 결합돌기(21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설치부(213)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돌기 설치홈(219a)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삽입 케이스(211)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삽입 케이스(211)에는 소켓 결합돌기(218)의 돌출된 타단이 노출되도록 상면에 결합돌기 노출홀(219b)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소켓 결합돌기(218)는 결합돌기 노출홀(219b)로 노출되기 용이하고, 접속 플러그(200)와 소켓(100)이 결합되었을 때 소켓(100)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되기 용이하거나 결합홀로부터 분리되기 용이하도록 상측으로 완만하게 절곡되게 형성되어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소켓 결합돌기(218)는 결합돌기 노출홀(219b)로 노출된 상부가 소켓 결합돌기(218)가 소켓(100)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양쪽 방향으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소켓 결합돌기(218)가 소켓의 결합홀에 용이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한다.
한편, 단자 설치케이스(215)의 후방에는 상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20,230)와 연결되어 각각의 플러그 접속단자부들이 플러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하는 회로기판부(240)가 설치되고, 회로기판부(240)를 커버하는 회로기판 커버(241)가 더 설치됨은 물론이다.
회로기판부(240)는 공지된 기술로서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상면이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20)와 연결되고, 하면이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30)가 연결된다.
그러므로, 접속 플러그(200)가 소켓(100)에 삽입되면 각각의 접속단자부들이 소켓의 접속단자부들과 접속되고, 소켓의 접속단자부와 접속된 플러그 접속단자부는 회로기판부(240)의 회로패턴을 통해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20) 또는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30)가 플러그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동시에 서로 다른 플러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5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의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의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와 접속 플러그용 소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의 조립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5a,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설치 케이스(215)는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231)들이 배치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된다. 이때,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231)들은 사출된 하부 설치부(212)의 하부 설치홈(212a)에 상면이 노출되도록 인서트 사출된다.
다음, 사출된 단자 설치 케이스(215)의 후단에 형성된 상부 설치홀(216a)을 통해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221)들이 삽입되되, 상부 설치부(213)에 형성된 상부 설치홈(213a)에 상면이 노출되도록 삽입된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20,230)들의 전방을 감싸도록 단자 설치케이스(215)에 삽입 케이스(211)를 결합시킨다. 즉, 삽입 케이스(211)의 상부 결합홀(214a)에 단자 설치케이스(215)의 상부 결합돌기(217a)가 삽입되고, 단자 설치케이스(215)의 하부 결합돌기(217b)가 삽입 케이스(211)의 하부 결합홀(214b)에 각각 삽입되어 삽입 케이스(211)와 단자 설치케이스(215)가 조립되어진다.
이와 동시에, 단자 설치케이스(215)에 설치된 소켓 결합돌기(218)는 삽입 케이스(211)에 형성된 결합돌기 노출홀(219b)을 통해 상측으로 돌출된다.
다음, 단자 설치 케이스(215)의 후방에 위치된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221)들과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231)들 사이에 회로기판부(240)를 설치하고, 회로기판 커버(241)로 단자 설치 케이스(215)의 후방을 커버하여 완성한다.
그러므로, 삽입 케이스(211)와 단자 설치케이스(215)는 각각 사출되고, 단자 설치 케이스(215)는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30)가 인서트 사출되어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220)가 삽입되어 단자 설치 케이스(215)가 조립되면, 그 외측에 삽입 케이스(211)가 조립되어 간단하게 조립된다.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와 접속 플러그용 소켓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와 접속되는 소켓과, 접속 플러그와 소켓의 결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00)은 휴대 단말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접속 플러그(200)가 삽입되면, 전자기기가 접속 플러그(200)를 통해 다른 기기와 접속되어 배터리를 충전시키거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접속 플러그(20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접속 플러그(200) 전용 소켓(100)이 될 수 있으며, 외부 케이스(115)의 내부에 상부 접속단자(121)들과 하부 접속단자(131)들이 설치되되, 상부 접속단자(121)들과 하부 접속 단자(131)들은 접속 플러그(200)의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221)들과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231)과 각각 접속되도록 설치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하부 접속단자(121,131)들은 상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들(221,231)과 같이 각 단자들이 서로 마주 보지 않도록 엇갈리게 설치되되, 상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들(221,231)과 반대로 상부 접속단자(121)들의 길이가 하부 접속단자(131)들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외부 케이스(115)의 상면에는 접속 플러그(200)의 소켓 결합돌기(218)가 삽입되는 플러그 결합홀(101)이 형성되고, 외부 케이스(115)이 내부에는 삽입 케이스(211)에 형성된 삽입 안내홈(211c)에 삽입되도록 삽입 안내돌기(119)가 형성된다.
도 7a를 참조하여 접속 플러그(200)와 소켓(100)의 결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접속 플러그(200)의 삽입 케이스(211) 측이 소켓(100)의 내부를 향하도록 하여 삽입 케이스(211)를 소켓(100)의 내부로 인입시킨다.
이때, 삽입 케이스(211)의 하면에 형성되어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삽입 탄성편(211a)은 삽입 케이스(211)의 하면 측으로 가압되면서 소켓(100)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러한 삽입 탄성편(211a)은 단부에 형성된 곡면(211b)은 접속 플러그(200)와 소켓(100)을 접지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삽입 케이스(211)가 소켓(100)으로 인입될 때 삽입 케이스(211)와 소켓(100)이 완전 밀착되면서 밀착면 전체에 마찰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곡면(211b)은 외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형성됨에 따라, 삽입 케이스(211)가 소켓(100)에 삽입될 때에는 주로 곡면(211b)과 소켓(100)이 접하게 되므로 마찰력의 발생이 최소화됨에 따라, 삽입 케이스(211)는 최소의 마찰력을 발생시키며 안정적으로 소켓(100)에 인입되도록 하고, 탄성력에 의해 접속 플러그(200)와 소켓(100)의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도 7b를 참조하면, 삽입 케이스(211)가 소켓(100)에 인입되어 단자 설치 케이스(215)에 설치된 소켓 결합돌기(218)가 소켓(100)의 상면에 형성된 플러그 결합홀(101)에 삽입되면서 접속 플러그(200)와 소켓(100)이 결합되게 된다. 이때, 삽입 탄성편(211a)은 삽입 케이스(211)의 하면으로 가압된 반력이 작용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려고 하면서 접속 플러그(200)와 소켓(10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접속 플러그(200)의 상하부 플러그 접속단자(221,231)들은 상하부 플러그 접속단자(221,231)들과 대응되게 배치된 각각 소켓(100)의 상하부 접속단자(121,131)들과 각각 접속되어 접속 플러그(200)는 휴대 단말기와 다른 전자기기를 연결한다.
이때, 단부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221)들은 소켓(100)의 상부 접속단자(121)들과 접속되면서 하측으로 가압되지만,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221)들과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들(231)들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었으므로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이에, 접속 플러그(200)는 소켓(100)과 결합됨과 동시에 서로 다른 종류의 플러그 접속단자들이 동시에 모두 소켓(100)의 접속단자들과 접속되고, 각 플러그 접속단자들과 연결된 회로기판부(240)는 서로 다른 종류의 플러그 접속단자들을 선택하여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하거나, 동시에 서로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는 하나의 케이스에 서로 다른 종류의 플러그가 설치되고, 각각의 플러그는 소켓에 삽입됨과 동시에 접속되어 하나의 접속 플러그로 두 가지의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100 : 소켓
200 : 접속플러그 210 : 케이스
211 : 삽입 케이스 211a : 삽입 탄성편
211b : 곡면 212 : 하부 설치부
212a : 하부 삽입홈 213 : 상부 설치부
213a : 상부 삽입홈 214a : 상부 결합홀
214b : 하부 결합홀 215 : 단자 설치케이스
216a : 상부 설치홀 216b : 하부 설치홀
217a : 상부 결합돌기 217b : 하부 결합돌기
218 : 소켓 결합돌기 219a : 결합돌기 설치홈
219b : 결합돌기 노출홀
220 :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 221 :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
230 :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 231 :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
240 : 회로기판부

Claims (13)

  1. 서로 다른 종류의 접속단자들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소켓에 삽입되어 접속되도록 케이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와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가 각각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와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로 전기신호를 전송하거나 전기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와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와 연결되는 회로기판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부는 상면에 상기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의 후단이 연결되고, 하면에 상기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의 후단이 연결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을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와 상기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가 각각 설치되는 단자 설치케이스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설치케이스는 하부에 상기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를 구성하는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들의 상면이 노출되게 조립되도록 하부 설치홈이 형성된 하부 설치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설치케이스는 상기 하부 설치부의 상부에 상기 하부 설치부 보다 짧은 길이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를 구성하는 상기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를 구성하는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들의 상면이 노출되게 상부 설치홈이 형성되도록 인서트 사출되는 상부 설치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7. 제 5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설치홈은 상기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들이 승강되거나 하강되어도 상기 하부 설치홈에 삽입된 상기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들과 접하지 않도록 상기 상부 설치홈과 어긋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설치케이스의 상부 설치부에는 소켓 결합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소켓 결합돌기는 상기 접속 플러그가 상기 소켓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소켓에 형성된 소켓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결합돌기는 전방 측이 상기 결합돌기 노출홀로 노출되도록 상부를 향해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플러그.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단자 설치케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단자 설치케이스의 전방을 커버하고 일부가 접속되어야 할 상기 소켓에 삽입되는 삽입 케이스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케이스에는 상기 소켓에 삽입되는 간격을 안내하는 삽입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부를 구성하는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들과 상기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부를 구성하는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들은 서로 승강되거나 하강되더라도 접촉되지 않도록 엇갈리게 배치되어 동일선 상에 위치되면 서로 맞물리는 형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플러그.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속단자들의 배치 간격은 상기 하부 접속단자들의 폭에 대응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플러그.
KR1020110020017A 2011-03-07 2011-03-07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KR20120101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017A KR20120101909A (ko) 2011-03-07 2011-03-07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TW101202095U TWM442621U (en) 2011-03-07 2012-02-06 Connection plug for portable device
CN2012100716629A CN102723630A (zh) 2011-03-07 2012-03-07 用于便携式装置的连接插头
US13/414,141 US9225132B2 (en) 2011-03-07 2012-03-07 Connection plug for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017A KR20120101909A (ko) 2011-03-07 2011-03-07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909A true KR20120101909A (ko) 2012-09-17

Family

ID=46795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017A KR20120101909A (ko) 2011-03-07 2011-03-07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25132B2 (ko)
KR (1) KR20120101909A (ko)
CN (1) CN102723630A (ko)
TW (1) TWM44262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48729A (zh) * 2017-02-22 2017-06-13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1908A (ko) * 2011-03-07 2012-09-17 타이코에이엠피(유)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
KR20130059111A (ko) 2011-11-28 2013-06-05 타이코에이엠피(유)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TWM450094U (zh) * 2012-08-31 2013-04-01 Molex Taiwan Ltd 插頭連接器、電連接裝置及電子裝置
CN104218408A (zh) * 2013-05-02 2014-12-17 安普泰科电子韩国有限公司 连接设备
CN106558796B (zh) * 2015-09-29 2019-07-02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CN105655826B (zh) * 2016-03-11 2018-02-02 中山都美威特电子有限公司 一种可双面插接的lightning和Micro‑B型两用连接器
CN105914515B (zh) * 2016-06-01 2018-07-10 建讯域有限公司 两用连接器插头及其组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3117B1 (ko) * 1970-02-27 1979-08-11
KR101315475B1 (ko) * 2007-06-04 2013-10-04 타이코에이엠피(유)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US7618293B2 (en) * 2007-11-02 2009-11-1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xtension to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structures
TWM346928U (en) * 2008-07-17 2008-12-11 Taiwin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socket
JP4977659B2 (ja) * 2008-07-18 2012-07-18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7572071B1 (en) * 2008-08-01 2009-08-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assembly utilized for different kinds of signal transmission
US7651379B1 (en) 2008-10-23 2010-01-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termination disposition
US8118497B2 (en) * 2008-12-23 2012-02-2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utilized for different kinds of signal transmition
TWM357080U (en) * 2008-12-24 2009-05-11 Advanced Connectek Inc Socket connector
US8083546B2 (en) * 2009-07-27 2011-12-27 Via Technologies, Inc.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assembly
US7794279B1 (en) * 2009-08-28 2010-09-14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Plug connector
TWI404269B (zh) * 2009-09-18 2013-08-01 Advanced Connectek Inc High speed plug connector
US8113865B1 (en) * 2010-08-27 2012-02-14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Plug connector
KR20120101908A (ko) * 2011-03-07 2012-09-17 타이코에이엠피(유)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
US8371882B1 (en) * 2011-08-03 2013-02-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traddle mount connector for a pluggable transceiver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48729A (zh) * 2017-02-22 2017-06-13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31643A1 (en) 2012-09-13
CN102723630A (zh) 2012-10-10
US9225132B2 (en) 2015-12-29
TWM442621U (en) 201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1909A (ko)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US8747165B2 (en) Connection module for portable device
US7748997B2 (en) Receptacle for electrical connectors
US8579519B2 (en) Cable assembly transmitting with electrical and optical signals
KR1013154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US7806722B2 (en) Cable assembly with grounding pieces
KR20130059112A (ko) 휴대 단말기용 접속 소켓
CN104518321B (zh) 插头电连接器
KR101328321B1 (ko) 복수개의 전송 인터페이스를 가진 전기 커넥터
US7527525B2 (en) Jack connector
US8961242B2 (en) Connection plug for portable terminal
US6273749B1 (en) Connector
KR101552916B1 (ko) 멀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적용되는 플러그 커넥터
KR100963886B1 (ko) 멀티형 유에스비 젠더 조립체
KR101773502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0802617B1 (ko)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101807759B (zh) 电连接器组件
KR102286609B1 (ko) 유에스비 커넥터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N204067734U (zh) 插头连接器
US20070230877A1 (en) Coexistent optical-electrical connector
KR100565777B1 (ko) 전기접속용 커넥터 조립방법
KR20140131241A (ko) 접속장치
KR20140029647A (ko) 접속모듈
EP1811610A1 (en) Pin holder structure of input/output plug
TWM273865U (en) Electrical socket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