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475B1 -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475B1
KR101315475B1 KR1020070054532A KR20070054532A KR101315475B1 KR 101315475 B1 KR101315475 B1 KR 101315475B1 KR 1020070054532 A KR1020070054532 A KR 1020070054532A KR 20070054532 A KR20070054532 A KR 20070054532A KR 101315475 B1 KR101315475 B1 KR 101315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case
input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6730A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유)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to KR1020070054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475B1/ko
Priority to EP08156051A priority patent/EP2001087A3/en
Priority to TW097208181U priority patent/TWM346932U/zh
Priority to JP2008141245A priority patent/JP4972034B2/ja
Priority to CN2008101103461A priority patent/CN101321345B/zh
Priority to US12/132,821 priority patent/US7713093B2/en
Publication of KR20080106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8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 pin snapping into a re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접속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속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유에스비 포트(Universal Serial Bus Port)나 입/출기를 각각의 접속모듈이 아닌 하나의 접속모듈에 필요로 하는 유에스비 포트나 입/출력기를 선택적으로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에스비 포트나 입/출력기를 접속시키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접속모듈에 있어서, 상기 접속모듈은 케이스 내부에 상기 유에스비 포트 또는 입/출력기의 각 접속단자가 삽입되어 접속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와 길이를 갖는 각각의 접속단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접속모듈, 유에스비, 입/출력기, 접속단자,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a connecting module of mobile comm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정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유에스비 포트가 결합된 상태의 요부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입/출력기가 접속된 상태의 요부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속모듈
10 : 케이스
20 : 가이드 케이스
21 : 안내편 22 : 걸림홀
25 : 고정부 25a : 고정편
25b : 고정홈
30 : 접속단자 케이스
40 : 접속단자부
42 : 유에스비 접속단자부 44 : 유에스비 접속단자
44a : 접속부 44b : 연결부
45 : 삽입홀 46 : 입/출력기 접속단자부
48 : 입/출력기 접속단자 49 : 걸림부
49a : 걸림돌기 49b : 걸림요홈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접속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속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유에스비 포트(Universal Serial Bus Port)나 입/출력기를 각각의 접속모듈이 아닌 하나의 접속모듈에 필요로 하는 유에스비 포트나 입/출력기를 선택적으로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최초 단순한 통화수단으로만 사용하던 것이 기술진보에 따른 다양한 콘텐츠(contents)가 적용되어 보다 다양한 용도로 진화하면서 통화는 물론 개인정보나 신용결재 등을 할 수 있는 저장매체나 또는 MP3, 카메라, 게임, 이동영상매체 및 영상통화 등 하루가 다르게 더욱더 다양한 형태의 추가적인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상기한 여러 추가적인 기능으로 인하여 필요로 하는 접속구와 대응되는 여러 형태의 접속모듈이 여러 개가 구비되는 데, 이렇게 여러 개로 구비되는 접속모듈 중에서도 최근에 들어 사용자가 많이 소지하고 다니면서 필요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시로 접속시켜 사용하는 유에스비나 이어폰, 리모트 콘트롤, TV 등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용도의 입/출력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유에스비 포트와 입/출력기와 대응되는 접속모듈 또한 구비하였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유에스비 포트와 입/출력기를 접속하기 위한 종래의 접속모듈은 그 이동통신 단말기에 유에스비 포트 접속모듈과 입/출력기 접속모듈을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성상 소형화와 슬립형으로 제조되고 있는 추세에서 각각의 접속모듈을 구비하기에는 설치공간의 제약은 물론 소형화와 슬립형으로 제조하기 부적합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속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유에스비 포트나 입/출력기를 각각의 접속모듈이 아닌 하나의 접속모듈에 필요로 하는 유에스비 포트나 입/출력기를 선택적으로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를 구성하는 가이드 케이스와 접속단자 케이스의 결합이 간단하면서 용이하게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속단자 케이스에 결합되는 입/출력기 접속단자가 긴밀하게 결합 고정되어 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에스비 포트나 입/출력기를 접속시키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접속모듈에 있어서, 상기 접속모듈은 케이스 내부에 상기 유에스비 포트 또는 입/출력기의 각 접속단자가 삽입되어 접속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와 길이를 갖는 각각의 접속단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일측에 형성된 걸림홀로 유에스비 포트 또는 입/출력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이드 케이스와, 상기 가이드 케이스의 타측으로 고정부에 의해 상기 접속단자부가 형성되어 삽입 고정되는 접속단자 케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가이드 케이스에 형성되는 고정편과, 상기 접속단자 케이스에 상기 고정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단자부는 접속단자 케이스에 유에스비 포트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도록 내장되는 유에스비 접속단자부와, 상기 유에스비 접속단자부의 하부로 입/출력기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도록 접속단자 케이스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입/출력기 접속단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에스비 접속단자부는 접속단자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위치하여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내장되는 다수의 유에스비 접속단자로 구성되되, 선단은 밑면이 개방되는 접속부가, 후단은 상기 접속부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양측으로 벌어져 그 접속단자 케이스의 후면 양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출력기 접속단자부는 그 유에스비 접속단자부의 하부 접속단자 케이스에 형성되는 수개의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과 대응되는 다수의 입/출력기 접속단자가 걸림부에 의해 삽입홀로 삽입 고정되되, 그 입/출력기 접속단자의 선단은 상기 유에스비 접속단자 보다 짧은 길이를 가져 입/출력기의 접속단자와 접속되어 지고, 후단은 상기 연결부와 같은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는 입/출력기 접속단자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그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삽입홀에 형성되는 걸림요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에스비 포트나 이어폰, 리모트 콘트롤 및 TV 등과 같은 신호를 인터패이스하는 용도의 입/출력기를 접속시키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접속모듈(1)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속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유에스비 포트나 입/출력기를 각각의 접속모듈이 아닌 하나의 접속모듈에 필요로 하는 유에스비 포트나 입/출력기를 선택적으로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모듈(1)은 케이스(10) 내부에 상기 유에스비 포트 또는 입/출력기의 각 접속단자가 삽입되어 접속되도록 서로 다른 높이와 길이를 갖는 각각의 접속단자부(40)가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케이스(10)는 일측에 형성된 걸림홀(22)로 유에스비 포트 또는 입/출력기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이드 케이스(20)와, 상기 가이드 케이스의 타측으로 고정부(25)에 의해 상기 접속단자부(40)가 형성되어 삽입 고정되는 접속단자 케이스(3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가이드 케이스의 유에스비 포트 또는 입/출력기가 삽입되는 인출구 측의 외측면에는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측으로 벌어진 형태의 안내편(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25)는 가이드 케이스(20)에 형성되는 고정편(25a)과, 상기 접속단자 케이스(30)에 상기 고정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고정홈(25b)으로 구성됨으로써, 가이드 케이스로 접속단자 케이스를 삽입하여 고정시 상기 고정부의 고정편와 고정홈이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접속단자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 케이스를 제작시 유에스비 포트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도록 통상의 인서트 사출공법에 의해 내장되는 제1 접속단자부인 유에스비 접속단자부(42)와, 상기 유에스비 접속단자부(42)의 하부로 단차져 입/출력기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도록 접속단자 케이스(30)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 접속단자부인 입/출력기 접속단자부(46)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에스비 접속단자부(42)는 접속단자 케이스(30)의 내부 상측에 위치하 여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내장되는 다수의 유에스비 접속단자(44)로 구성되되, 선단은 밑면이 개방되어 유에스비 포트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부(44a)가, 후단은 상기 접속부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양측으로 벌어져 그 접속단자 케이스(30)의 후면 양측으로 돌출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와 연결되는 연결부(44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출력기 접속단자부(46)에는 그 유에스비 접속단자부의 하부 접속단자 케이스(30)에 형성되는 수개의 삽입홀(45)이 마련되며, 상기 삽입홀과 대응되는 다수의 입/출력기 접속단자(48)가 걸림부(49)에 의해 삽입홀(45)로 삽입 고정되되, 그 입/출력기 접속단자의 선단은 상기 유에스비 접속단자 보다 짧은 길이를 가져 입/출력기의 접속단자와 접속되어 지고, 후단은 상기 연결부와 같은 선상에 위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49)는 입/출력기 접속단자(48)에 형성되는 걸림돌기(49a)와, 그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삽입홀(45)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걸림요홈(49b)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는 다수 개로 형성하고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접속모듈(1)에 유에스비 포트(100)를 접속시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가이드 케이스(20)에 삽입되는 접속단자 케이스(30)의 유에스비 접속단자부(42)로 삽입하여 접속시킨다.
다시말해서, 유에스비 포트(100)의 접속단자(102)를 가이드 케이스(20)의 인출구로 삽입함에 따라 그 접속단자 케이스(30)의 상부측에 위치한 유에스비 접속단 자부(42)의 유에스비 접속단자(44)인 접속부(44a)와 접속되는 데, 이때 입/출력기 접속단자부는 상기 유에스비 접속단자부의 하부에 위치함과 아울러 그 선단의 길이가 유에스비 접속단자 보다 짧기 때문에 접속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에스비 포트가 가이드 케이스와 접속단자 케이스로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은 상기 가이드 케이스에 형성된 걸림홀로 유에스비 포트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면서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유에스비 포트의 접속단자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는 연결부(44b)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로 송신되어 필요로 하는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의 접속모듈에 유에스비 포트를 접속시켜 사용이 완료되면 유에스비 포트를 인출하고, 사용자가 입/출력기(200)를 접속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유에스비 포트가 빠진 접속모듈(1)의 가이드 케이스(20)의 인출구로 입/출력기를 삽입시켜 그 입/출력기(200)의 접속단자(202)가 접속단자 케이스(30)에 구비된 입/출력기 접속단자부(46)에 접속시킨다.
다시말해서, 입/출력기(200)를 가이드 케이스(20)의 인출구로 삽입시킴에 따라 그 접속단자 케이스(30)에 구비되는 입/출력기 접속단자부(46)로 입/출력기(200)의 접속단자(202)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것으로, 즉 상기 입/출력기 접속단자부는 유에스비 접속단자부 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그 입/출력기 접속단자의 선단은 유에스비 접속단자의 선단 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관계로, 상기 유에스비 접속단자와는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입/출력기 접속단자부의 입/출력기 접 속단자로만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입/출력기 접속단자와 접속된 입/출력기의 접속단자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테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접속모듈에 서로 다른 높이와 길이를 갖는 접속단자부에 의해 필요로 하는 유에스비 포트나 입/출력기를 선택적으로 접속시켜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속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유에스비 포트나 입/출력기를 각각의 접속모듈이 아닌 하나의 접속모듈에 서로 다른 높이와 길이를 갖는 단자부에 의해 필요로 하는 유에스비 포트나 입/출력기를 선택적으로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최소한의 설치공간에도 용이하게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와 슬립형으로의 제작 또한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를 구성하는 가이드 케이스와 접속단자 케이스의 결합이 고정부에 의해 간단하면서 용이하게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조립작업이 단시간내에 이루어지면서 긴밀하게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또, 접속단자 케이스에 결합되는 입/출력기 접속단자가 걸림부에 의해 긴밀하게 결합 고정되어 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입/출력기 접속단자가 결합된 후에는 쉽게 분리되지 않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Claims (12)

  1. 케이스,
    유에스비 메모리의 연결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상부 영역에 마련된 제1 접속단자부,
    입/출력기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의 하부 영역에 마련된 제2 접속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단자부는 아래를 향한 면을 갖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속단자부는 상기 제1 접속단자부와 다른 길이를 갖고 아래를 향한 면을 가지며,
    상기 제2 접속단자부는 상기 제1 접속단자부보다 짧고 상기 제1 접속단자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선단에 위치한 제2 접속단자부의 접속부는 제1 접속단자부의접속부와 후방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에서 연결부로 배열된 제1 접속단자부의 후단은 측 방향으로 케이스에 배열된 제2 접속단자부의 후단과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접속단자부의 후단은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가이드 케이스(20)와 접속단자 케이스(3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속단자부와 제2 접속단자부는 상기 접속단자 케이스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케이스는 유에스비 메모리 또는 입/출력기가 삽입되는 인출구 측의 외측면에 외측으로 벌어진 형태의 안내편(2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단자부는 케이스 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단자부는 다수의 입/출력기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각각의 입/출력기 접속단자는 케이스 내의 삽입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입/출력기 접속단자(48)는 걸림부(49)에 의해 삽입홀로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49)는 입/출력기 접속단자에 형성되는 걸림돌기(49a)와 그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삽입홀에 형성되는 걸림요홈(49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케이스 내로 입/출력기 접속단자의 삽입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단자부는 다수의 유에스비 메모리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각각의 유에스비 메모리 접속단자는 단부에 형성되고 유에스비 메모리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개방된 밑면을 갖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유에스비 메모리 접속단자는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접속부에 대향하는 후방에 형성된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입/출력기 접속단자의 접속 부분보다 유에스비 메모리 및 입/출력기가 삽입되는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근접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KR1020070054532A 2007-06-04 2007-06-04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KR101315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532A KR101315475B1 (ko) 2007-06-04 2007-06-04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EP08156051A EP2001087A3 (en) 2007-06-04 2008-05-12 Connecting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W097208181U TWM346932U (en) 2007-06-04 2008-05-12 A connecting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8141245A JP4972034B2 (ja) 2007-06-04 2008-05-29 移動体通信端末用接続モジュール
CN2008101103461A CN101321345B (zh) 2007-06-04 2008-06-04 用于移动通信终端的连接模块
US12/132,821 US7713093B2 (en) 2007-06-04 2008-06-04 Connecting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532A KR101315475B1 (ko) 2007-06-04 2007-06-04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730A KR20080106730A (ko) 2008-12-09
KR101315475B1 true KR101315475B1 (ko) 2013-10-04

Family

ID=39673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532A KR101315475B1 (ko) 2007-06-04 2007-06-04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13093B2 (ko)
EP (1) EP2001087A3 (ko)
JP (1) JP4972034B2 (ko)
KR (1) KR101315475B1 (ko)
CN (1) CN101321345B (ko)
TW (1) TWM34693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0006B1 (en) 2016-04-07 2017-10-24 Lsis Co., Ltd. Downloader gender ca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4693B (zh) * 2009-07-07 2012-06-13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插座连接器与插头连接器
KR20120101909A (ko) * 2011-03-07 2012-09-17 타이코에이엠피(유)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KR20120101908A (ko) * 2011-03-07 2012-09-17 타이코에이엠피(유)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
CN202121180U (zh) * 2011-04-29 2012-01-18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插头连接器和连接器组件
KR20130059112A (ko) 2011-11-28 2013-06-05 타이코에이엠피(유) 휴대 단말기용 접속 소켓
TWM450094U (zh) * 2012-08-31 2013-04-01 Molex Taiwan Ltd 插頭連接器、電連接裝置及電子裝置
JP6133107B2 (ja) 2013-04-08 2017-05-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
CN104218408A (zh) * 2013-05-02 2014-12-17 安普泰科电子韩国有限公司 连接设备
US9318858B2 (en) 2014-02-03 2016-04-1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Receptacle connector, plug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04868290A (zh) * 2014-02-20 2015-08-26 安普泰科电子韩国有限公司 插座组件
JP2015225712A (ja) * 2014-05-26 2015-12-14 株式会社エクセル電子 電子機器の防水接続器具及び電子機器
CN105470707B (zh) * 2014-08-18 2019-05-1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CN106558796B (zh) * 2015-09-29 2019-07-02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2879A1 (en) 2001-01-31 2002-08-01 Hirokazu Hoshino Shielded connector assembly
US20030157836A1 (en) 2002-02-21 2003-08-21 Yazaki Corporation USB connector
JP2003317862A (ja) 2002-02-22 2003-11-07 Fujitsu Component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US20060134983A1 (en) * 2004-12-16 2006-06-22 Advanced Connection Technology Inc. Electrical socket assembly and plug connector coupled theret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1971B2 (en) * 2003-09-11 2006-04-04 Super Talent Electronics, Inc. Dual-personality extended-USB plug and receptacle with PCI-Express or Serial-At-Attachment extensions
TW460058U (en) * 2000-10-20 2001-10-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557006U (en) * 2002-11-15 2003-10-01 Hon Hai Prec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KR200327727Y1 (ko) * 2003-06-27 2003-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 단자 기구
JP4225942B2 (ja) 2004-04-26 2009-02-18 ユニオンマシナリ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4098302B2 (ja) * 2004-12-13 2008-06-11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JP4360364B2 (ja) * 2005-08-26 2009-11-1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TW200713717A (en) * 2005-09-27 2007-04-01 Lite On It Corp Integrated signal connecting por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2879A1 (en) 2001-01-31 2002-08-01 Hirokazu Hoshino Shielded connector assembly
US20030157836A1 (en) 2002-02-21 2003-08-21 Yazaki Corporation USB connector
JP2003317862A (ja) 2002-02-22 2003-11-07 Fujitsu Component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US20060134983A1 (en) * 2004-12-16 2006-06-22 Advanced Connection Technology Inc. Electrical socket assembly and plug connector coupled theret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0006B1 (en) 2016-04-07 2017-10-24 Lsis Co., Ltd. Downloader gender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01087A3 (en) 2010-09-01
JP2008301492A (ja) 2008-12-11
TWM346932U (en) 2008-12-11
CN101321345A (zh) 2008-12-10
US7713093B2 (en) 2010-05-11
US20080299831A1 (en) 2008-12-04
CN101321345B (zh) 2012-11-14
JP4972034B2 (ja) 2012-07-11
EP2001087A2 (en) 2008-12-10
KR20080106730A (ko) 2008-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4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US8747165B2 (en) Connection module for portable device
US7988495B2 (en) Connector
US7815460B2 (en) Connector with an anti-loose fastening device
US8864526B2 (en) Connection socket for mobile terminal
US20070232132A1 (en) Stacked connectors for high density external cable connections
US9225132B2 (en) Connection plug for portable device
JP2007096467A (ja) 携帯端末装置
US8961242B2 (en) Connection plug for portable terminal
KR101352788B1 (ko) 신호전달장치
US10992090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two plugs for providing a secure connection
US7090538B1 (en) Electrical adapter including first and second housing parts that define a recess therebetween
US6619994B1 (en) Jack plug of digital connector
US7744429B2 (en) Connector with plugging direction perpendicular to circuit boards
US20090142022A1 (en) Multi-port connector having esata connector and optical fiber transmitting connector
KR200449950Y1 (ko) 조립식 에이 플러그형 유에스비 메모리 장치
KR200406840Y1 (ko) 커넥터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액세서리
US6296511B1 (en) Electrical connector
US10411425B2 (en) Modular connector with printed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 to display device
KR100676370B1 (ko) 데이터 케이블 접속용 소켓의 쉘 커버
US20060046524A1 (en) [power switching module]
KR200208113Y1 (ko) 컴퓨터본체 하단부에 설치된 신호선제어장치
KR20030033403A (ko) 지에스엠 단말기의 심카드가 장착된 배터리 구조
KR100560197B1 (ko) 소형 전자기기용 커넥터
KR200248214Y1 (ko) 이동전화의 충전기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