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1908A -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1908A
KR20120101908A KR1020110020016A KR20110020016A KR20120101908A KR 20120101908 A KR20120101908 A KR 20120101908A KR 1020110020016 A KR1020110020016 A KR 1020110020016A KR 20110020016 A KR20110020016 A KR 20110020016A KR 20120101908 A KR20120101908 A KR 20120101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ase
plug
connection terminal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유)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to KR1020110020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1908A/ko
Priority to TW101202094U priority patent/TWM441257U/zh
Priority to CN2012100716563A priority patent/CN102722222A/zh
Priority to US13/414,160 priority patent/US8747165B2/en
Publication of KR20120101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1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의 상부와 하부에 접속 플러그들과 연결되는 접속단자부가 각각 이격되게 설치되되,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상기 접속단자부들이 동일선 상에 위치되면, 서로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접속단자부들이 설치되는 설치 케이스가 포함되며, 상기 설치 케이스는 상기 상부 접속단자들이 위치되는 상부 설치부에 상기 상부 접속단자의 하면이 노츨되도록 인서트 사출되고, 상기 하부 접속단자들이 위치되는 하부 설치부에 상기 하부 접속단자들의 하면이 노출되도록 조립되게 하부 설치홈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설치부는 상기 하부 설치부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부 접속단자들과 하부 접속단자들이 서로 마주보지 않고 엇갈리게 설치됨에 따라 각각의 단자들과 접속플러그의 접속단자들이 접속되는 지점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엇갈리게 접속되므로 단자들이 접속되는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접속모듈의 두께가 얇아져 더욱 슬림한 접속모듈을 형성할 수 있고, 설치 케이스를 사출할 때 상부 접속단자들이 인서트 사출되고, 하부 접속단자들이 조립되는 하부 설치홈이 형성됨에 따라 전체 접속모듈의 생산공정이 간단해지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 { Connect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두 종류의 플러그가 하나의 접속모듈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열되어 선택적으로 접속되며 접속단자들이 상부와 하부에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더욱 슬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한 음성을 통한 통화기능뿐만 아니라, 영상통화의 기능이나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이 탑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근자에는 그 기능이 더욱 다양화되어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Contents)가 적용되면서 통화는 물론 개인정보나 신용결재 등을 할 수 있는 저장매체의 기능은 물론,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을 수신하는 등의 복잡한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은 종합적으로 탑재되어 멀티미디어 기기를 구현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는 전술한 여러 가지 추가적인 기능으로 인하여 필요로 하는 접속구와 대응되는 여러 형태의 접속모듈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접속모듈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자료들을 인출입시키도록 접속하는 유에스비 포트(Universal Serial Bus Port)나 이어폰, 리모트 콘트롤, TV 등의 신호를 인터페이스(Interface)하는 용도의 입/출력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입출력 포트가 일체로 구비된다.
도 5는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것으로서 대한민국특허 출원번호 제2007-54532호(명칭: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이 도시된 것으로서, 접속모듈(1)은 케이스(20) 내부에 유에스비 접속단자부(42)와 입출력 접속단자부(46)의 플러그 접속단자들이 각각 서로 다른 높이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설치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접속단자부는 유에스비 플러그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유에스비 접속단자부(42)와, 유에스비 접속단자부(42)의 하부로 형성된 단차에 설치되어 입출력 플러그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입출력 접속단자부(46)로 이루어진다.
유에스비 접속단자부(42)는 케이스(20)의 내부 상측에 전방에서 후방을 관통하도록 내장되는 다수의 유에스비 접속단자(44)로 구성되며, 선단은 밑면이 개방되어 유에스 플러그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도록 이루어 진다.
입출력 접속단자부(46)는 케이스(2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홀(45)로 삽입되는 다수의 입출력 접속단자(48)로 구성되되, 그 길이는 유에스비 접속단자(44)보다 짧게 형성되어 유에스비 접속단자(44)의 선단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에스비 접속단자(44)보다 후방 측에 위치되어 입출력 플러그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접속단자부는 유에스비 접속단자부(42)와 입출력 접속단자부(44)가 일직선상에 위치됨에 따라, 유에스비 접속단자부(42)와 입출력 접속단자부(44)의 두께만큼 전체 접속모듈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접속모듈(1)은 갈수록 그 크기가 슬림화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맞추어 더욱 슬림하게 형성되는 것이 요구되는 것이다.
또한, 유에스비 접속단자부(42)는 유에스비 접속단자(44)의 수가 5핀으로 규격화되어 있으나, 입출력 접속단자부(48)는 제작사의 사정에 맞게 핀의 개수가 유동적이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유에스비 플러그가 접속모듈(1)에 삽입되어 유에스비 접속단자(44)와 연결될 경우, 유에스비 플러그는 케이스(20)의 상면에 양측에 형성된 걸림홀(22)에 삽입되도록 걸림돌기(도시 생략)를 형성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입출력 접속단자부(46)의 입출력 접속단자(48)들의 수가 많아질 경우, 입출력 플러그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을 형성할 수 없어 입출력 플러그가 입출력 접속단자부(46)와 연결될 때에는 그 연결됨을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은 입출력 플러그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케이스(20)의 내부에 입출력 접속단자(44)들의 양 측면으로 공간을 더 확보하여 확보된 공간을 통해 걸림홀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그러면 접속모듈(1)의 전체 폭이 커지게 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접속모듈(1)은 유에스비 접속단자(42)들이 케이스(20)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도록 위치됨에 따라 케이스(20)를 사출할 때 인서트 사출로 케이스(20)와 함께 일체로 사출 가능하다. 반면, 인출입 접속단자(46)들은 일단이 케이스(20)의 내측에 위치됨에 따라, 케이스(20)를 사출할 때 삽입홀(45)을 형성하기 위해 삽입홀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코어부재를 넣고 케이스(20)를 사출한 후 코어부재를 제거하고 코어부재에 의해 형성된 삽입홀(45)에 인출입 접속단자들을 삽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케이스(20)를 인서트 사출 후 코어부재를 제거하는 과정이 오래 걸리고 번거로우므로 작업공정이 오래 걸리고, 코어부재를 제거하는 비용이 추가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접속단자부가 설치되더라도 그 두께를 더욱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에 각각의 접속단자들의 배치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접속단자들의 길이에 대응되는 케이스를 형성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러그의 인입을 안내하고 접속 단자들을 보호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 플러그가 인입되어 각 접속단자들이 연결되어 특정 작업을 수행할 때 접속이 유지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속 모듈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위치를 안내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접속단자들이 접속 플러그와 접속되는 위치를 다르게 하여 서로 간섭됨을 방지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접속단자들의 단부가 일방향에 위치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모듈과 플러그가 결합되었을 때 각 단자들 특히, 하부 접속단자의 접속이 용이하게 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 접속단자들의 조립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은 케이스 내부의 상부와 하부에 접속 플러그들과 연결되는 접속단자부가 각각 이격되게 설치되되,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상기 접속단자부들이 동일선 상에 위치되면, 서로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접속단자부들이 설치되는 설치 케이스가 포함되며, 상기 설치 케이스는 상기 상부 접속단자들이 위치되는 상부 설치부에 상기 상부 접속단자의 하면이 노츨되도록 인서트 사출되고, 상기 하부 접속단자들이 위치되는 하부 설치부에 상기 하부 접속단자들의 하면이 노출되도록 조립되게 하부 설치홈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설치부는 상기 하부 설치부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설치 케이스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속 플러그들이 인출입되도록 하는 외부 케이스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에는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와 결합되도록 플러그 결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에는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위치를 제한하도록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와 접하는 삽입안내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접속단자들의 배치 간격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접속단자들의 폭에 대응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접속단자들의 길이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접속단자들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접속단자들의 후단은 상기 하부 접속단자들의 후단 양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접속단자들은 전방 측 단부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접속단자들은 후방 측 단부가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에 억지끼움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접속단자들과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접속단자들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면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어 상부 접속단자와 하부 접속단자가 서로 마주보지 않고 엇갈리게 설치됨에 따라, 각각의 단자들과 접속플러그의 접속단자들이 접속되는 지점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엇갈리게 접속되므로 단자들이 접속되는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접속모듈의 두께가 얇아져 더욱 슬림한 접속모듈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케이스를 사출할 때 상부 접속단자들이 인서트 사출되고, 하부 접속단자들이 조립되는 하부 설치홈이 형성됨에 따라 전체 접속모듈의 생산공정이 간단해지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케이스의 외측에 설치 케이스에 고정되는 외부 케이스가 더 설치됨에 따라, 각 접속단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케이스에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와 결합되는 플러그 결합홀이 형성됨에 따라, 접속모듈과 접속 플러그가 연결되어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접속 플러그가 케이스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 수행중 연결해제에 따른 정보 손실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삽입안내돌기가 형성됨에 따라, 플러그가 외부 케이스에 지나치게 삽입되거나 충분히 삽입되지 않아 각 단자들의 접속불량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접속단자의 배치 간격은 하부 접속단자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부 접속단자와 하부 접속단자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각각의 접속단자들이 접속될 때 서로 간섭됨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와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 접속단자들과 하부 접속단자들의 후단이 일측으로 위치됨에 따라, 각각의 접속단자들을 연결시키는 회로기판부와 용이하게 접속되어 각각의 접속단자들이 독립적으로 접속되거나 동시에 접속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므로 하나의 접속 모듈에 하나의 플러그가 연결되거나 동시에 두 개의 플러그가 연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접속단자의 전방 측 단부가 하측으로 돌출되는 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하부 접속단자가 플러그와 접속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접속단자의 후방 측 단부가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억지끼움에 의해 설치됨에 따라 하부 접속단자가 조립에 의해 설치되더라도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접속모듈과 플러그가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에 접속 플러그가 삽입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종래의 접속모듈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종래의 접속모듈을 도시한 정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100)은 하나의 케이스(110)에 서로 다른 종류의 접속 플러그들과 연결되는 각각의 접속단자부(120,130)들이 설치된 것으로서, 케이스(110)의 내부에 상부 접속단자부(120)와 하부 접속단자부(13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부 접속단자부(120)는 유에스비 플러그와 접속되는 유에스비 접속단자부로서 표준화 사이즈로 다섯 개의 접속단자로 이루어지고, 하부 접속단자부(130)가 입출력 플러그와 접속되며 여섯 개의 접속단자를 갖는 입출력 접속단자부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상부 접속단자부(120) 및 하부 접속단자부(130)와 접속되는 각각의 접속 플러그들은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부 접속단자부(120)는 다섯 개의 상부 접속단자(121)들로 이루어지고, 하부 접속단자부(130)는 여섯 개의 하부 접속단자(131)들로 이루어지되, 상부 접속단자(121)들과 하부 접속단자(131)들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10)는 상부 접속단자부(120)와 하부 접속단자부(130)가 각각 설치되는 설치 케이스(111)와 설치 케이스(111)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부 케이스(115)로 이루어진다.
설치 케이스(111)는 상부에 상부 접속단자부(120)가 설치되도록 상부 설치구(112)가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 접속단자부(130)가 설치되도록 하부 설치구(113)가 형성되되, 상부 설치구(112)와 하부 설치구(113)는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설치구(112)의 길이가 하부 설치구(113)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에 따라, 상부 설치구(112)와 하부 설치구(113)는 단차(113b)지게 형성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설치 케이스(111)는 상부 접속단자들(121)이 상부 설치구(112) 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설치 케이스(111)의 상부 설치구(112)는 상부 접속단자(121)들의 길이가 케이스(110)의 전방에서 후방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므로 그 길이 또한 상부 접속단자(121)들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접속 플러그(200)와 접속되는 하면이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부 접속단자(121)들의 하면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유에스비 포트가 되는 상부 설치구(112)의 하면에는 상부 접속단자(121)들의 개수에 대응되게 5개의 상부 접속단자(121)들이 배치된 상태로 상부단자 노출홈(112a)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설치 케이스(111)는 상부 설치구(112)의 하부에 하부 접속단자(131)이 설치되도록 하부 설치구(113)가 함께 사출되며, 하부 접속단자(131)들이 상부 접속단자(121)들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면에 6개의 하부 설치홈(113a)이 형성된다.
이때, 하부 설치구(113)의 길이는 상부 설치구(112)의 길이보다 짧으며 하부 접속단자(131)들의 길이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하부 접속단자(131)들은 하면이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설치홈(113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노출홈(112a)과 하부 설치홈(113a)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각 접속단자들이 마주 보지 않고 엇갈리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설치홈(113a)은 하부 접속단자(131)들이 억지끼움 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그 후단이 십자형(131b)으로 형성된 하부 접속단자(131)들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억지끼움된 하부 접속단자(131)들이 하부 설치홈(113a)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때, 하부 설치홈(113a)의 후단 형상은 십자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설치 케이스(111)의 상면에는 후술될 외부 케이스(115)와 결합되도록 결합홈(114)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설치 케이스(111)는 상부 접속단자(121)들이 별도의 조립과정 없이 설치 케이스(111)를 사출할 때 상부 설치구(112)에 위치되고, 하부 접속단자(131)들이 하부 설치홈(113a)에 조립되되 억지끼움되어 간단하게 형성되고, 외부 케이스(115)와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 케이스(115)는 전방이 개구된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설치 케이스(111)가 삽입되도록 하여 각 접속단자들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설치 케이스(111)가 고정되도록 상면에 하측으로 돌출되되 경사면을 이루도록 결합돌기(116)가 형성된다.
또한, 외부 케이스(115)의 상면에는 접속모듈(100)에 접속 플러그(200)가 삽입되었을 때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플러그 결합홀(10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접속모듈(100)에 접속 플러그(200)가 삽입되면, 각 접속단자들끼리 접속되어 각 플러그에 따른 작업 이를 테면,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휴대 단말기와 전자기기를 연결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접속 플러그(200)가 접속모듈(100)을 이탈하여 각 접속단자들의 접속이 해제되면서 갑자기 수행중이 작업이 중단되면서 정보가 손실되거나 접속단자들이 쇼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외부 케이스(115)의 상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삽입 안내돌기(119)가 형성되어 접속 모듈(100)에 접속 플러그(200)가 인입되는 위치를 안내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접속 플러그(200)가 지나치게 삽입되거나 충분히 삽입되지 않으면 각 접속단자들이 원활하게 접속될 수 없다.
이에, 삽입 안내돌기(119)는 접속 모듈(100)의 접속단자들과 접속 플러그(200)의 플러그 접속단자들이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위치까지 접속 플러그(200)가 삽입되도록 접속 플러그(200)의 전면과 접하여 접속 플러그(200)가 더 많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접속 플러그(200)를 삽입할 때 접속 플러그(200)가 삽입 안내돌기(119)와 접하는 것을 확인하여 접속 플러그(200)가 충분히 삽입되었음을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외부 케이스(115)에는 외부 케이스(115)의 상면과 연장되게 형성되어 후면 측으로 절곡되는 지지돌기(117)가 형성된다. 지지돌기(117)는 외부 케이스(115)의 후면이 되어 외부 케이스(115)의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 케이스(111)의 후면을 지지한다.
더하여, 외부 케이스(115)에는 접속 플러그(200)가 인입되는 측의 상부와 하부 및 양 측면에 접속 플러그(200)가 인입되는 것을 안내하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테이퍼지게 형성된 다수의 안내가이드부재(103a,103b)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외부 케이스(115)가 도시되지 않은 회로기판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105)이 형성된다.
한편, 상하부 접속단자부(120,130)들의 배치는 상부 접속단자부(120)가 다섯 개의 상부 접속단자(121)들이 등 간격으로 배치되면, 상부 접속단자(121)들의 배치 간격 사이 사이에 하부 접속단자(131)들이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므로, 하부 접속단자(131)들의 폭은 상부 접속단자(121)들의 배치 간격과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상부 접속단자(121)들과 하부 접속단자(131)들이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부 접속단자부(120)와 하부 접속단자부(130)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면서 접속 플러그(200)가 삽입되어 하부 접속단자(131)들과 접속되면서 하부 접속단자(131)가 상측으로 가압되게 되더라도 상부 접속단자(121)들 사이로 승강되게 됨에 따라 접속단자들이 접속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전체적인 접속모듈(100)의 높이가 줄어들어 전체적인 접속모듈(100)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마주보게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부 접속단자부(120)와 하부 접속단자부(130)가 간섭되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었으나, 상부 접속단자부(120)와 하부 접속단자부(130)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엇갈리게 배치됨에 따라 그 공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접속모듈(100)의 크기를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부 접속단자(121)들은 하부 접속단자(131)들보다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접속 플러그(220)와 접속되는 면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접속 플러그(220)와의 접속이 용이하게 형성된다.
하부 접속단자(131)들은 그 길이가 상부 접속단자(121)들보다 짧게 형성됨에 따라 접속 플러그(200)와 용이하게 접속되도록 그 단부가 하측으로 돌출되는 곡면(131a)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부 접속단자(131)들은 후단이 케이스(11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부 접속단자(121)들은 후단이 케이스(110)의 후방 측으로 갈수록 양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되어 하부 접속단자(131)들의 후단 양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부 접속단자(121)들과 하부 접속단자(131)들의 후단에는 도시되지 않은 회로기판부가 설치되어 각 접속단자들과 연결된다.
회로기판부는 접속모듈(100)에 접속된 접속 플러그가 상부 접속단자부(120) 및 하부 접속단자부(130)가 동시에 연결되거나, 상부 접속단자부(120)와 하부 접속단자부(130)가 각각 연결되어 연결된 단자부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케이스(115)의 개구 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하부 접속단자들이 접속 모듈(100)의 후단 측으로 위치되면 안정적으로 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에 접속 플러그가 삽입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속모듈의 사용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된 접속 모듈(100)에 접속 플러그(200)가 삽입되면, 전자기기가 접속 플러그(200)를 통해 다른 기기와 접속되어 배터리를 충전시키거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모듈(100)과 접속 플러그(200)가 접속된다.
그러면, 상부 접속 단자들(121)과 접속되는 접속 플러그(200)는 상부 접속 단자들(121)의 하면과 접속되도록 상면이 노출된 플러그 접속단자(221)들이 인입된다. 이때, 상면이 노출된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221)들은 비교적 그 길이 길게 형성된 상부 접속단자(121)들과 접속될 수 있도록 그 길이가 비교적 짧게 형성되고, 그 형상이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인입된 상부 접속단자(121)들과 접속되기가 용이하다.
또한, 하부 접속단자(131)들은 상부 접속 단자들(121)의 하부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부 접속 단자들(121)보다 그 길이가 짧게 형성됨에 따라, 하부 접속단자(131)들과 접속되는 접속 플러그(200)는 하부 접속 단자들(131)의 하면과 접속되게 상면이 노출된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231)들이 전술한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221)들 보다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접속 모듈(10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하부 접속단자(131)들과 접속된다.
이때, 하부 접속단자(131)들은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231)들과 접촉되는 단부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곡면(131a)으로 형성됨에 따라, 하측으로 가압되면서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231)들이 인입되기 용이하다. 즉,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231)들은 곡면(131a)과 접촉함에 따라 발생되는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인입과 동시에 하부 접속단자(131)들과 접속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부 접속단자(121)들과 하부 접속단자(131)들은 동일면에 위치되었을 때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어긋나게 배치됨에 따라, 각 단자들끼리 접속될 때 특히, 하부 접속단자(131)들과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231)들이 접속될 때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231)들이 인입되면서 하부 접속단자(131)를 상측으로 밀게 되어 하부 접속단자(131)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더라도 하부 접속단자(131)와 상부 접속단자(121)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종래에는 간섭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접속단자(121)와 하부 접속단자(131)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두었으나, 각 단자들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본 발명의 접속모듈(100)에서는 최소한의 공간을 두어도 되므로 상하부 접속 단자들끼리 간섭됨이 방지되므로 전체적인 접속모듈(100)의 크기가 줄어들어 보다 슬림한 접속모듈(1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접속모듈(100)의 상하부 접속단자들은 어긋나게 배치됨에 따라 접속 플러그(200)의 상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들 역시 어긋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상하부 접속단자들은 동시에 상하부 플러그 접속단자들과 접속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접속 플러그(200)가 접속 모듈(100)에 삽입되면서, 접속 플러그(200)에 설치된 걸림돌기(218)가 접속 모듈(100)의 플러그 결합홈(101)에 삽입된다.
이러한 플러그 결합홈(101)은 접속 플러그(200)가 접속 모듈(100)에 삽입되는 위치를 안내하여 접속 플러그(200)가 지나치게 깊게 접속 모듈(100)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접속 플러그(200)가 접속 모듈(100)에 삽입되어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정보를 송수신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접속 플러그(200)가 접속 모듈(100)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접속 플러그(200)는 외부 케이스(115)의 삽입안내돌기(119)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설치되는 위치가 안내된다.
이때, 본원 발명의 접속 모듈(100)은 상하부의 접속단자들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었을 뿐만 아니라, 상부 접속단자들의 수와 하부 접속단자들의 수가 동일하거나 1~2개의 차이를 두도록 설치하여 하나의 플러그 결합홈(101)에 상부 접속단자들과 접속되는 접속 플러그나 하부 접속단자들과 접속되는 접속 플러그를 모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접속 모듈은 하나의 케이스에 서로 다른 종류의 접속단자가 플러그와 접속될 때에 어긋나게 배치되어 플러그와 접속될 때 좁은 공간에서도 서로 간섭됨이 방지되므로 슬림하게 형성될 수 있다.
100 : 접속모듈 101 : 걸림홈
105 : 고정홈 110 : 케이스
111 : 설치 케이스 112 : 상부 설치구
113 : 하부 설치구 115 : 외부케이스
116 : 결합돌기 117 : 지지돌기
120 : 상부 접속단자부 121 : 상부 접속단자
130 : 하부 접속단자부 131 : 하부 접속단자
200 : 접속 플러그 221 : 상부 플러그 접속단자
231 : 하부 플러그 접속단자

Claims (10)

  1. 케이스 내부의 상부와 하부에 접속 플러그들과 연결되는 접속단자부가 각각 이격되게 설치되되,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상기 접속단자부들이 동일선 상에 위치되면, 서로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접속단자부들이 설치되는 설치 케이스가 포함되며,
    상기 설치 케이스는 상기 상부 접속단자들이 위치되는 상부 설치부에 상기 상부 접속단자의 하면이 노출되도록 인서트 사출되고, 상기 하부 접속단자들이 위치되는 하부 설치부에 상기 하부 접속단자들의 하면이 노출되도록 조립되게 하부 설치홈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설치부는 상기 하부 설치부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 모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설치 케이스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속 플러그들이 인출입되도록 하는 외부 케이스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에는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와 결합되도록 플러그 결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에는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위치를 제한하도록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와 접하는 삽입안내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접속단자들의 배치 간격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접속단자들의 폭에 대응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접속단자들의 길이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접속단자들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접속단자들의 후단은 상기 하부 접속단자들의 후단 양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접속단자들은 전방 측 단부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
  10. 제 2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접속단자들은 상기 케이스에 억지끼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접속 모듈.
KR1020110020016A 2011-03-07 2011-03-07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 KR20120101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016A KR20120101908A (ko) 2011-03-07 2011-03-07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
TW101202094U TWM441257U (en) 2011-03-07 2012-02-06 Connection module for portable device
CN2012100716563A CN102722222A (zh) 2011-03-07 2012-03-07 用于便携式装置的连接模块
US13/414,160 US8747165B2 (en) 2011-03-07 2012-03-07 Connection module for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016A KR20120101908A (ko) 2011-03-07 2011-03-07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908A true KR20120101908A (ko) 2012-09-17

Family

ID=46795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016A KR20120101908A (ko) 2011-03-07 2011-03-07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47165B2 (ko)
KR (1) KR20120101908A (ko)
CN (1) CN102722222A (ko)
TW (1) TWM44125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1986A (zh) * 2012-11-14 2015-11-11 安普泰科电子韩国有限公司 连接模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1908A (ko) * 2011-03-07 2012-09-17 타이코에이엠피(유)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
KR20120101909A (ko) * 2011-03-07 2012-09-17 타이코에이엠피(유)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KR20130059112A (ko) 2011-11-28 2013-06-05 타이코에이엠피(유) 휴대 단말기용 접속 소켓
CN202772376U (zh) * 2012-08-29 2013-03-0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TWI509907B (zh) * 2013-07-26 2015-11-21 Sheng Hsin Liao 具有保護套的組合式連接裝置
USD748321S1 (en) * 2014-05-27 2016-01-26 Illinois Tool Works Inc. Reflector housing
CN105470707B (zh) * 2014-08-18 2019-05-1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KR102372670B1 (ko) * 2015-04-29 2022-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컨넥터
CN106558796B (zh) * 2015-09-29 2019-07-02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USD840935S1 (en) * 2018-03-07 2019-02-19 Yong-Yue Cai Dual mode connector
CN109244710B (zh) * 2018-09-19 2024-04-19 深圳市信维通信股份有限公司 电池连接器
CN111326931A (zh) * 2020-03-30 2020-06-23 东莞市良讯电子科技有限公司 数据线端口装壳注塑一体式流水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49239U (en) * 2003-07-30 2004-11-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KR101315475B1 (ko) * 2007-06-04 2013-10-04 타이코에이엠피(유) 이동통신 단말기용 접속모듈
JP5001734B2 (ja) * 2007-07-13 2012-08-15 ホシデン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01117878Y (zh) * 2007-07-24 2008-09-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122731Y (zh) * 2007-10-25 2008-09-24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TWM330608U (en) * 2007-11-16 2008-04-11 Wonten Technology Co Ltd Electric connector
US8187039B2 (en) * 2009-01-07 2012-05-29 Chou Hsien Tsai Sharable socket structure
CN102067383A (zh) * 2009-07-01 2011-05-18 莫列斯公司 具有端子保持装置的连接器
TWI385878B (zh) * 2009-08-31 2013-02-11 Advanced Connectek Inc Anti-high-frequency signal interference plug connector
KR20120101908A (ko) * 2011-03-07 2012-09-17 타이코에이엠피(유)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
KR20120101909A (ko) * 2011-03-07 2012-09-17 타이코에이엠피(유) 휴대 단말기용 접속 플러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1986A (zh) * 2012-11-14 2015-11-11 安普泰科电子韩国有限公司 连接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441257U (en) 2012-11-11
US20120231671A1 (en) 2012-09-13
CN102722222A (zh) 2012-10-10
US8747165B2 (en)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1908A (ko) 휴대 단말기용 접속모듈
CN109616790B (zh) 一种连接器组件及其连接器
US7748997B2 (en) Receptacle for electrical connectors
CN100399637C (zh) 电连接器
TWI818686B (zh) 卡連接器、卡座及終端
US7713093B2 (en) Connecting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232149A1 (en) Audio jack connector
KR20130059112A (ko) 휴대 단말기용 접속 소켓
US9225132B2 (en) Connection plug for portable device
CN101989712B (zh) 卡用连接器
KR102345677B1 (ko) 수직 타입의 다이렉트 pcb 커넥터
US20130149915A1 (en) Connection Plug For Portable Terminal
CN111684669B (zh) 具有两排端子结构的pcb直接连接器
KR101552916B1 (ko) 멀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적용되는 플러그 커넥터
US10992090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two plugs for providing a secure connection
KR100963886B1 (ko) 멀티형 유에스비 젠더 조립체
JP2007115554A (ja) コネクタ
KR101348141B1 (ko) 멀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적용되는 플러그 커넥터
KR101773502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1381909B1 (ko) 멀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적용되는 플러그 커넥터
KR100802617B1 (ko)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40029647A (ko) 접속모듈
CN220291234U (zh) 一种卡座连接器
KR101916497B1 (ko) 멀티형 플러그 커넥터 및 이에 결합되는 멀티형 리셉터클 커넥터
KR100565777B1 (ko) 전기접속용 커넥터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