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818A -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818A
KR20100005818A KR1020080065874A KR20080065874A KR20100005818A KR 20100005818 A KR20100005818 A KR 20100005818A KR 1020080065874 A KR1020080065874 A KR 1020080065874A KR 20080065874 A KR20080065874 A KR 20080065874A KR 20100005818 A KR20100005818 A KR 20100005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module
buffer member
mounting structure
shock absorbing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1383B1 (ko
Inventor
소원섭
김재용
정광용
박성욱
공태윤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5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383B1/ko
Publication of KR20100005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4Radia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8Details of structures as upper supports for springs or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충격 시 쿨링모듈을 지지하는 완충부재가 캐리어로부터 이탈되어 쿨링모듈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는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는,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부 패널(upper panel); 상기 상부 패널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이드 패널(side panel); 및 상기 사이드 패널의 하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쿨링모듈(cooling moudle)의 하측 지지부가 완충부재를 통해 삽입 고정되는 로우어 마운트(lower mount)(20)가 형성된 하부 패널(lower panel); 을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로우어 마운트는 완충부재가 삽입되는 완충부재 삽입홀의 일측이 개방되어 일정충격 이상 시 상기 완충부재가 상기 완충부재 삽입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완충부재의 이탈방지돌기가 파손될 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완충부재가 로우어 마운트로부터 이탈되어 쿨링모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쿨링모듈이 로우어 마운트로부터 원활하게 이탈되어 로우어 마운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충격으로 인해 이탈방지돌기가 손상된 완충부재만을 교체하여 다시 쿨링모듈을 캐리어의 후면에 체결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비용의 지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쿨링모듈, 마운팅, 완충부재, 이탈방지돌기, 이탈방지부

Description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Cooling module Mounting structure of Front End Module}
본 발명은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충격 시 쿨링모듈을 지지하는 완충부재가 캐리어로부터 이탈되어 쿨링모듈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는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이란, 차량의 앞부분에 결합되는 조립체의 총칭으로서 캐리어에 헤드램프, 쿨링모듈 및 범퍼 등의 여러 부품이 설치된 구조물을 말하며, 구체적으로 좌우측의 서포트 패널, 전면패널, 범퍼빔 스테이 등에 헤드램프, 쿨링모듈 및 범퍼 등이 함께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프론트 엔드 모듈은 자동차 바디에 조립할 때 쉽고 정교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캐리어의 크기와 형상을 표준화하여 다양한 차종에 동일한 캐리어가 장착가능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에는 쿨링모듈을 캐리어(100)에 장착할 경우, 한 쌍의 로우어 마운트(110)가 상기 캐리어의 하부 패널(Lower Panel, 102)과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 되어 있어 쿨링모듈(12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충돌사고로 인해 캐리어(100)가 손상되는 경우 캐리어(100)에 일체로 형성된 로우어 마운트(110)에 쿨링모듈(120)이 지지되므로 쿨링모듈(120) 또한 손상을 피할 수가 없었다. 또한 쿨링모듈(120)에 직접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쿨링모듈(120)이 캐리어(100)에 고정되어 움직일 수 없으므로 충격을 완충시키지 못하고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캐리어(100)에 고정된 쿨링모듈(120)에 큰 충격이 가해져 로우어 마운트(110)가 손상되면 캐리어에 일체로 형성된 로우어 마운트(110)로 인해 캐리어(100)를 모두 교체해야 하는 문제로 인해 교체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쿨링모듈을 지지하는 로우어 마운트의 일측을 개방시키고, 쿨링모듈을 지지하는 완충부재가 일정충격 이상 시 상기 로우어 마운트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쿨링모듈의 손상을 방지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는,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부 패널(upper panel); 상기 상부 패널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이드 패널(side panel); 및 상기 사이드 패널의 하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쿨링모듈(cooling moudle)의 하측 지지부가 완충부재를 통해 삽입 고정되는 로우어 마운트(lower mount)(20)가 형성된 하부 패널(lower panel); 을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로우어 마운트는 완충부재가 삽입되는 완충부재 삽입홀의 일측이 개방되어 일정충격 이상 시 상기 완충부재가 상기 완충부재 삽입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완충부재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부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 삽입홀은 일측에 상기 이탈방지돌기의 직경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 이탈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재 삽입홀은 상기 이탈방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완충부재 삽입홀의 직경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 걸림턱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형상을 이루는 구조체인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외면을 둘러싸 충격을 흡수하는 수지제의 제2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삽입부의 외측으로 상기 제2부재에서 돌출되는 환형의 결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직경이 상기 완충부재 삽입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이탈방지돌기의 직경은 상기 걸림턱부의 너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삽입부의 외경이 상기 이탈방지부의 너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완충부재의 이탈방지돌기가 파손될 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완충부재가 로우어 마운트로부터 이탈되어 쿨링모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쿨링모듈이 로우어 마운트로부터 원활하게 이탈되어 로우어 마운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충격으로 인해 이탈방지돌기가 손상된 완충부재만을 교체하여 다시 쿨링모듈을 캐리어의 후면에 체결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비용의 지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과 완충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완충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로우어 마운트와 완충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로우와 마운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관계 일실시예 평면도이다
도 2내지 4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부 패널(upper panel)(12); 상기 상부 패널(12)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이드 패널(side panel)(14); 및 상기 사이드 패널(14)의 하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쿨링모듈(cooling moudle)(40)의 하측 지지부(42)가 완충부재(30)를 통해 삽입 고정되는 로우어 마운트(lower mount)(20)가 형성된 하부 패널(lower panel)(16); 을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로우어 마운트(20)는 완충부재(30)가 삽입되는 완충부재 삽입홀(22)의 일측이 개방되어 일정충격 이상 시 상기 완충부재(30)가 상기 완충부재 삽입홀로(22)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우어 마운트(20)는 캐리어(10)의 하부 패널(16) 후면에서 캐리어(10)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완충부재(30)가 삽입되는 완충부재 삽입홀(22)이 형성된다. 상기 완충부재 삽입홀(22)은 캐리어(10)의 후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도 5와 같이 완충부재 삽입홀(22)의 직경(A)보다 작은 너비(B)를 갖는 걸림턱 부(24)가 개방측을 향해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부(24)의 너비(B)보다 작은 너비(C)를 갖는 이탈방지부(26)가 상기 걸림턱부(24)에서 외측까지 형성된다.
상기 로우어 마운트(20)의 완충부재 삽입홀(22)에 삽입되어 쿨링모듈(40)을 지지하는 완충부재(30)는 도 3과 같이 형상을 이뤄 구조체로서 작용하는 내부의 제1부재(32)와 상기 제1부재(32)의 외면을 감싸 충격을 흡수하는 수지제의 제2부재(34)로 형성된다. 상기 제1부재(32)는 쿨링모듈(40)의 하중을 지지하는 완충부재(30)의 형상을 유지하는 구조체로서 작용하므로 경질의 수지제로 형성된다. 상기 제1부재(32)는 상기 로우어 마운트(20)의 상면과 접하는 원판형의 지지부(32a)와 상기 지지부(32a)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돌출부(32b)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32b)의 외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이탈방지돌기(32c)가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32c)는 수지제로 형성되므로 적은 충격 하에서는 만곡되며 큰 충격 하에서는 부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부재(32)의 외면에 연질의 수지제로 이루어진 제2부재(34)가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부재(34)로 인하여 상기 제1부재(32)가 직접 로우어 마운트(20) 및 쿨링모듈(40)과 접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2부재(34)의 신축성으로 인해 완충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제2부재(34)가 상기 제1부재(32)의 돌출부(32b)를 감싸게 되어 삽입부(36)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36)의 외측으로는 상기 제2부재(34)에서 상기 삽입부(36)의 돌출방향으로는 환형의 결합부(37)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7)의 직경(F)은 상기 완충부재 삽입홀(22)의 직경(A)보다 크게 형성(F>A)되어 상기 결합부(37)가 상기 완충부재 삽입홀(22)에 억지끼움되어 진동을 흡수하며, 1차적으로 상기 완충부재(30)가 완충부 재 삽입홀(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삽입부(36)의 직경(E)은 상기 이탈방지부(26)의 너비(C)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돌기(32c)가 파손되는 경우 상기 완충부재(30)가 로우어 마운트(20)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에서 대향되는 이탈방지돌기(32c)의 끝단 사이의 거리(D)는 상기 걸림턱부(24)의 너비(B)보다 작게 형성(B>D)되어, 이탈방지돌기(32c)가 부러지기 전의 충격하에서는, 완충부재(22)가 완충부재 삽입홀(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완충부재(30)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통공된 관통홀(38)에는 쿨링모듈(40)의 하측 지지부(42)가 끼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의 작동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로우어 마운트(20)의 완충부재 삽입홀(22)에 완충부재(30)의 결합부(37)가 억지끼움되어 고정된다. 상기 완충부재(30)의 관통홀(38)에 쿨링모듈(40)의 하단에서 연장된 하측 지지부(42)가 끼움되어 상기 쿨링모듈(40)이 고정되게 된다. 일반적인 차량의 운행 시 완충부재(30)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수지제의 제2부재(34)로부터 돌출 형성된 결합부(37)로 인하여 진동을 흡수하여 쿨링모듈(40)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쿨링모듈(4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차량의 운행 중 작은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결합부(37)의 직경(F)이 작아지며 완충부재가 이탈방지부(26)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완충부재(30)는 상기 이탈방지돌기(32c)의 직경(D)보다 작은 너비(B)를 갖는 이탈방지부(26)에 의해 걸림턱부(24)에 1차적으로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탈방지돌기(32c)로 인해 완 충부재(30)가 걸림턱부(24)에 걸린 상태에서 충격이 제거되면, 결합부(37)의 탄성으로 인해 완충부재(30)가 상기 완충부재 삽입홀(22)로 복귀하여 다시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작은 충격 시 결합부(37)의 직경(F)이 작아지며 완충부재 삽입홀(22)에서 이탈된 완충부재(30)가 이탈방지돌기(32c)로 인해 상기 걸림턱부(24)에 1차적으로 걸린 상태에서 보다 큰 충격이 가해지면, 걸림턱부(24)에 의해 지지되던 이탈방지돌기(32c)의 끝단이 절단됨에 따라 상기 이탈방지부(26)의 너비(C)보다 작은 직경(E)을 갖는 삽입부(36)로 인해 완충부재(30)가 로우어 마운트(20)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쿨링모듈(40)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완충부재(30)가 로우어 마운트(20)로부터 이탈하게 됨에 따라 상기 완충부재(30)의 관통홀(38)에 끼움되어 고정된 쿨링모듈(40)이 캐리어(10)로부터 이탈되어 차량의 후방으로 밀려나며 쿨링모듈(4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격 시 쿨링모듈(40)이 로우어 마운트로(20)부터 원활하게 이탈되므로 로우어 마운트(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충격으로 인해 이탈방지돌기(32c)가 손상된 완충부재(30)만을 교체하여 다시 쿨링모듈(40)을 캐리어(10)의 후면에 체결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비용의 지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후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프론트 엔드 모듈과 완충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완충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로우어 마운트와 완충부재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로우어 마운트와 완충부재의 결합관계 일실시예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캐리어 12: 상부 패널
14: 사이드 패널 16: 하부 패널
20: 로우어 마운트 22: 완충부재 삽입홀
24: 걸림턱부 26: 이탈방지부
30: 완충부재 32: 제1부재
32a: 지지부 32b: 돌출부
32c: 이탈방지돌기 34: 제2부재
36: 삽입부 37: 결합부
38: 관통홀
40: 쿨링모듈 42: 하측 지지부

Claims (7)

  1.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부 패널(upper panel)(12);
    상기 상부 패널(12)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이드 패널(side panel)(14); 및
    상기 사이드 패널(14)의 하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쿨링모듈(cooling moudle)(40)의 하측 지지부(42)가 완충부재(30)를 통해 삽입 고정되는 로우어 마운트(lower mount)(20)가 형성된 하부 패널(lower panel)(16); 을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로우어 마운트(20)는 완충부재(30)가 삽입되는 완충부재 삽입홀(22)의 일측이 개방되어 일정충격 이상 시 상기 완충부재(30)가 상기 완충부재 삽입홀(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0)는 상기 완충부재 삽입홀(22)에 삽입되는 삽입부(36)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이탈방지돌기(32c)가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 삽입홀(22)은 일측에 상기 이탈방지돌기(32c)의 직경(D)보다 작은 너비(C)를 갖는 이탈방지부(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 삽입홀(22)은 상기 이탈방지부(26)와의 사이에 상기 완충부재 삽입홀(22)의 직경(A)보다 작은 너비(B)를 갖는 걸림턱부(2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0)는 형상을 이루는 구조체인 제1부재(32)와 상기 제1부재(32)의 외면을 둘러싸 충격을 흡수하는 수지제의 제2부재(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0)는 상기 삽입부(36)의 외측으로 상기 제2부재(34)에서 돌출되는 환형의 결합부(37)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0)는 상기 결합부(37)의 직경(F)이 상기 완충부재 삽입홀(22)의 직경(A)보다 크고, 상기 이탈방지돌기(32c)의 직경(D)은 상기 걸림턱부(24)의 너비(B)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0)는 삽입부(36)의 외경(E)이 상기 이탈방지부(26)의 너비(C)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KR1020080065874A 2008-07-08 2008-07-08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KR101471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874A KR101471383B1 (ko) 2008-07-08 2008-07-08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874A KR101471383B1 (ko) 2008-07-08 2008-07-08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818A true KR20100005818A (ko) 2010-01-18
KR101471383B1 KR101471383B1 (ko) 2014-12-10

Family

ID=41815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874A KR101471383B1 (ko) 2008-07-08 2008-07-08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3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245B1 (ko) * 2017-11-06 2022-07-0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프론트 엔드 모듈 용 캐리어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9133B2 (ja) * 2006-11-01 2010-07-0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熱交換器の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383B1 (ko)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3964B2 (en) Stay drop-off structure in case of impact load input
JP6183136B2 (ja) 車体前部構造
KR20100005818A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WO2009081694A1 (ja) ヘッドランプ取付構造
JP2007145149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の支持構造
KR101497312B1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JP6555476B2 (ja) 車両の前部構造
KR20160063853A (ko) 차량 차륜부의 스몰 오버 랩 충돌 대응구조
KR101471395B1 (ko) 캐리어
KR200357611Y1 (ko) 차량용 프론트 엔드 모듈
JP2020199921A (ja) ヘッドランプ衝撃吸収構造
KR20060134425A (ko) 차량의 범퍼 조립구조
WO2008140269A1 (en) Protection system for digital multimedia movement
KR101265837B1 (ko) 자동차의 범퍼커버와 헤드램프의 결합구조
KR200458114Y1 (ko) 범퍼 고정용 어셈블리
KR20080024689A (ko) 자동차의 범퍼커버 장착구조
JP2010208388A (ja) 車両部品の取付構造および該部品の取付方法
KR20070082734A (ko) 차량용 판스프링 서스펜션
KR20120029938A (ko) 차량용 범퍼의 바디킷 결합장치
KR200271277Y1 (ko) 차량용 전방보조범퍼
KR101464822B1 (ko) 외관 품질을 향상한 범퍼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 조립체
JP2009035231A (ja) 車体の客室マウント構造
KR101550148B1 (ko) 자동차의 쿨링 모듈 파손 방지용 마운팅 구조
KR101355459B1 (ko) 차량용 리어 범퍼
KR100457075B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