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822B1 - 외관 품질을 향상한 범퍼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 조립체 - Google Patents

외관 품질을 향상한 범퍼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822B1
KR101464822B1 KR1020120033585A KR20120033585A KR101464822B1 KR 101464822 B1 KR101464822 B1 KR 101464822B1 KR 1020120033585 A KR1020120033585 A KR 1020120033585A KR 20120033585 A KR20120033585 A KR 20120033585A KR 101464822 B1 KR101464822 B1 KR 101464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cover
thickness
mounting flange
cover body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1079A (ko
Inventor
고태완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20033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82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1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exterior fittings, e.g. bumpers, lights, wipers, exhau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차량 범퍼의 외관을 형성하는 범퍼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너지 압소바가 거치되는 마운팅 플랜지부가 형성된 외부면에 외관 결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관 품질을 향상시킨 범퍼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 조립체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범퍼의 외관을 형성하는 범퍼 커버 몸체; 에너지 압소바를 거치하기 위하여 상기 범퍼 커버 몸체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마운팅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팅 플랜지는 상기 범퍼 커버 몸체와 연결되는 입입부와, 상기 에너지 압소바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입부의 두께가 상기 체결부의 두께 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커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외관 품질을 향상한 범퍼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 조립체{BUMOER COVER REDUCED OUTTER DESIGN DEFECT}
본 발명은 차량 범퍼의 외관을 형성하는 범퍼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너지 압소바가 거치되는 마운팅 플랜지부가 형성된 외부면에 외관 결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관 품질을 향상시킨 범퍼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방과 후방에 장착되는 범퍼는 차량의 충돌 사고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와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켜, 차량의 손상과 탑승자의 부상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범퍼는 외관을 형성하는 범퍼 커버와, 범퍼 커버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충돌시에 발생하는 충격량을 흡수하며 형상 복원 기능을 갖는 에너지 압소바와, 에너지 압소바와 접촉 또는 연결되어 충돌시의 에너지를 탄성변형 또는 소성변형을 통하여 흡수하는 백빔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범퍼 커버의 내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마운팅 플랜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범퍼 커버 몸체(10)의 내측면에는 에너지 압소바(미도시)를 거치 고정하기 위한 마운팅 플랜지(2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마운팅 플랜지는 에너지 압소바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마운팅 플랜지(20)를 에너지 압소바를 관통하여 반대편에서 고정 클립등이 체결되어 에너지 압소바를 범퍼 커버 몸체(10)의 내측면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마운팅 플랜지(20)는 범퍼 커버 몸체(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이나, 범퍼 커버(10)와 일체로 사출성형되기 때문에 마운팅 플랜지(20)가 형성된 부분의 외면에 영향을 주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플랜지가(20)가 형성된 부분의 외장면(12)에 싱크(sink)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싱크는 외면이 미세하게 요입된 형태가 되는데, 범퍼의 외면이 도장되어도 그대로 시인되어 외관 품질 불량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마운팅 플랜지로 발생하는 외관 품질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범퍼 커버 몸체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마운팅 플랜지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축소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범퍼 커버 몸체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은 불필요한 원가와 중량 증가 요인으로 작용하게되며, 마운팅 플랜지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축소하게 되면 스프링 클립과 같은 체결부재의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 압소바를 거치하기 위한 마운팅 플랜지를 구비하는 범퍼 커버에 있어서, 마운팅 플랜지가 형성된 외장면에 외관 품질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범퍼 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범퍼의 외관을 형성하는 범퍼 커버 몸체; 에너지 압소바를 거치하기 위하여 상기 범퍼 커버 몸체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마운팅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팅 플랜지는 상기 범퍼 커버 몸체와 연결되는 입입부와, 상기 에너지 압소바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입부의 두께가 상기 체결부의 두께 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인입부의 두께는 0.8~1.0m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인입부의 두께는 상기 체결부 두께의 60~80% 범위가 되고, 범퍼 커버 몸체 두께의 40~60% 범위가 된다.
또한, 상기 인입부는 상면의 길이가 하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체결부는 체결돌기 또는 체결홈을 구비하여, 체결수단과의 결합을 견고하게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범퍼의 외관을 형성하는 범퍼 커버 몸체와, 에너지 압소바를 거치하기 위하여 상기 범퍼 커버 몸체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마운팅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팅 플랜지는 상기 범퍼 커버 몸체와 연결되는 입입부와, 상기 에너지 압소바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입부의 두께가 상기 체결부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된 범퍼 커버; 상기 범퍼 커버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에너지 압소바; 및 상기 마운팅 플랜지의 체결부에 결합하여 상기 에너지 압소바를 상기 범퍼 커버에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범퍼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커버는 범퍼 커버 몸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마운팅 플랜지의 인입부 두께만을 축소함으로써 범퍼 커버의 외관 품질 불량 발생을 저감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종래의 범퍼 커버의 내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마운팅 플랜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 커버의 마운팅 플랜지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 커버의 마운팅 플랜지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퍼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퍼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관 품질을 향상한 범퍼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 조립체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에서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기술된 것이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접하여 설치될 수 있고,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경우엔 상기 어떤 구성요소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3의 수단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 커버의 마운팅 플랜지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 커버의 마운팅 플랜지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커버는 범퍼의 외관을 형성하는 범퍼 커버 몸체(110)와, 에너지 압소바(미도시)를 거치하기 위하여 상기 범퍼 커버 몸체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마운팅 플랜지(120)를 포함한다.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운팅 플랜지(120)는 범퍼 커버 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는데, 마운팅 플랜지(120)가 형성된 범퍼 커버 몸체(110)의 외장면에 표면 결함이 유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마운팅 플랜지를 상기 범퍼 커버 몸체와 연결되는 입입부(122)와, 상기 에너지 압소바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결합되는 체결부(124)로 구획하고, 범퍼 커버 몸체(110)에 영향을 주게 되는 인입부(122)의 두께(t1)만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스프링 클립과 같은 체결수단의 조립과 관련되는 체결부(124)의 두께(t2)는 유지하면서, 인입부(122)의 두께(t1)가 체결부(124)의 두께(t2)보다 얇게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체결부(124)의 두께(t1)가 유지됨으로써 체결수단의 조립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인입부(122)의 두께(t1)를 감소시킴으로써 외장면에 싱크(sink)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인입부(122)의 두께(t1)는 0.8mm~1.0m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체결부(124) 두께(t2)가 1.2mm~1.4 mm 범위인 것을 감안하면 인입부(122)의 두께는 상기 체결부(124) 두께(t2)의 60~80% 범위가 된다.
인입부(122)의 두께는 일정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범퍼 커버 몸체(110)에서 멀어질 수록 두꺼워지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입부의 두께가 변화하는 경우 본 명세서에 의미하는 인입부(112) 두께(t1)는 범퍼 커버 몸체(110)와 연결되는 부분의 두께, 즉 가장 얇은 부분의 두께를 의미한다.
인입부(122)의 두께가 0.8mm 미만인 경우 마운팅 플랜지(120)의 강도가 취약하여 백화 품질 문제 및 파손의 우려가 있고, 인입부(122)의 두께가 1.0mm를 초과하는 경우 외관에 싱크 발생을 유발하게 된다.
인입부(122)의 두께는 범퍼 커버 몸체(110)의 두께와도 관련 있는데, 범퍼 커버 몸체(110)의 두께(t3)가 2.3mm~3.0mm 범위인 것을 감안하면, 인입부(122)의 두께는 범퍼 커버 몸체 두께의 40~60 % 범위가 된다.
또한, 상기 인입부(122)는 상면의 길이가 하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입부(122)는 범퍼 커버 몸체(110)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두꺼워 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면의 길이를 하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하면이 수평하게 형성될 경우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하면보다 상면이 급격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마운팅 플랜지(120)에 에너지 압소바가 고정될 경우 마운팅 플랜지(120)가 아래쪽으로 하중을 받게 되므로, 하중에 의하여 마운팅 플랜지(120)가 아래쪽으로 휘어지게될 때 외장면에서 싱크 발생을 더욱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외장면이 마운팅 플랜지(120)의 변형으로 유발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멸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 조립체는 범퍼의 외관을 형성하는 범퍼 커버 몸체(110)와, 에너지 압소바(130)를 거치하기 위하여 상기 범퍼 커버 몸체(110)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마운팅 플랜지(120)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팅 플랜지(120)는 상기 범퍼 커버 몸체(110)와 연결되는 입입부와, 상기 에너지 압소바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입부의 두께가 상기 체결부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된 범퍼 커버와, 상기 범퍼 커버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에너지 압소바(130)와, 상기 마운팅 플랜지(120)의 체결부에 결합하여 상기 에너지 압소바를 상기 범퍼 커버에 고정하는 체결수단(140)을 포함한다. 체결수단(140)으로는 스프링 클립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에너지 압소바(130)에는 마운팅 플랜지(12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132)이 형성된다.
에너지 압소바(130)는 체결수단(120)에 의하여 범퍼 커버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퍼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퍼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의 실시예는 마운팅 플랜지(120)에 체결홈(125)을 구비하여, 체결수단(120)이 마운팅 플랜지(120)의 일정 위치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도 7의 실시예는 마운팅 플랜지(120)에 체결돌기(127)를 구비하여, 체결수단(120)이 마운팅 플랜지(120)의 일정 위치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시한 형태 이외에도, 마운팅 플랜지(120)의 체결부는 결합되는 체결수단의 형태와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 범퍼 커버 몸체
120 : 마운팅 플랜지
122 : 인입부
124 : 체결부

Claims (8)

  1. 범퍼의 외관을 형성하는 범퍼 커버 몸체;
    에너지 압소바를 거치하기 위하여 상기 범퍼 커버 몸체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마운팅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팅 플랜지는 상기 범퍼 커버 몸체와 연결되는 인입부와, 상기 에너지 압소바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인입부의 두께는 상기 체결부 두께의 60~80% 이고 상기 범퍼 커버 몸체 두께의 40~60 % 이며, 상기 인입부는 상면의 길이가 하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범퍼 커버 몸체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인입부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커버.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의 두께는 0.8~1.0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커버.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체결돌기 또는 체결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커버.
  8. 범퍼의 외관을 형성하는 범퍼 커버 몸체와, 에너지 압소바를 거치하기 위하여 상기 범퍼 커버 몸체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마운팅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팅 플랜지는 상기 범퍼 커버 몸체와 연결되는 인입부와, 상기 에너지 압소바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입부의 두께는 상기 체결부 두께의 60~80% 이고 상기 범퍼 커버 몸체 두께의 40~60 % 이며, 상기 인입부는 상면의 길이가 하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범퍼 커버 몸체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인입부의 두께가 증가하도록 형성된 범퍼 커버;
    상기 범퍼 커버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에너지 압소바; 및
    상기 마운팅 플랜지의 체결부에 결합하여 상기 에너지 압소바를 상기 범퍼 커버에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범퍼 조립체.
KR1020120033585A 2012-03-30 2012-03-30 외관 품질을 향상한 범퍼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 조립체 KR101464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585A KR101464822B1 (ko) 2012-03-30 2012-03-30 외관 품질을 향상한 범퍼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585A KR101464822B1 (ko) 2012-03-30 2012-03-30 외관 품질을 향상한 범퍼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079A KR20130111079A (ko) 2013-10-10
KR101464822B1 true KR101464822B1 (ko) 2014-12-04

Family

ID=49632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585A KR101464822B1 (ko) 2012-03-30 2012-03-30 외관 품질을 향상한 범퍼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8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259U (ja) * 1984-06-26 1986-01-21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自動車用バンパ−
JPH08169035A (ja) * 1994-07-28 1996-07-02 Asahi Chem Ind Co Ltd 合成樹脂の射出成形法
KR100610956B1 (ko) * 2005-07-06 2006-08-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싱크마크 현상을 방지하는 보스
KR200439348Y1 (ko) * 2007-04-16 2008-04-03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범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259U (ja) * 1984-06-26 1986-01-21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自動車用バンパ−
JPH08169035A (ja) * 1994-07-28 1996-07-02 Asahi Chem Ind Co Ltd 合成樹脂の射出成形法
KR100610956B1 (ko) * 2005-07-06 2006-08-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싱크마크 현상을 방지하는 보스
KR200439348Y1 (ko) * 2007-04-16 2008-04-03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범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079A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1059B2 (en) Impact absorbing device for vehicle
JP3920257B2 (ja) サイドシル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JP6443469B2 (ja) 車両の前部構造
JP5370822B2 (ja) 車両の前部構造
KR101382334B1 (ko)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구조
US20130181475A1 (en) Vehicle door trim
US10632935B2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JP2004210040A (ja) 衝撃吸収部材の取付構造
US9321405B2 (en) Roof rail
US7740293B2 (en) Combination bumper cover and stiffener for vehicles
US9738241B2 (en) Bumper absorber attachment structure
JP2010018252A (ja) 車両用ドアトリム
KR101464822B1 (ko) 외관 품질을 향상한 범퍼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 조립체
JP6481731B1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200483740Y1 (ko) 슬라이딩 도어의 측면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도어
JP2013244851A (ja) 車体前部構造
JP6555476B2 (ja) 車両の前部構造
KR102256872B1 (ko) 자동차의 범퍼 마운팅구조
JP6558384B2 (ja) 車両の前部構造
KR101322475B1 (ko) 차량의 에너지 흡수장치
JP5486423B2 (ja) 部材の取付構造
KR100745165B1 (ko) 차량의 범퍼구조
JP2008074264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20100021795A (ko) 범퍼용 에너지 업소버
KR20100005818A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