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095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095A
KR20100005095A KR1020097022531A KR20097022531A KR20100005095A KR 20100005095 A KR20100005095 A KR 20100005095A KR 1020097022531 A KR1020097022531 A KR 1020097022531A KR 20097022531 A KR20097022531 A KR 20097022531A KR 20100005095 A KR20100005095 A KR 20100005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peed
encoder
electric motor
magnetic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5729B1 (ko
Inventor
도시유키 바바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5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285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with the use of a speed pattern gen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권상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각 전동기의 회전 속도 및 회전시 자극 위치를 추정하는 회전 속도ㆍ회전시 자극 위치 추정부를 가지고 있다. 인코더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칸을 주행시키는 경우, 소정의 회전 속도 이하의 저속 영역에서는 정상의 인코더가 마련된 권상기의 전동기만이 구동된다. 소정의 회전 속도보다 고속의 저속외 영역에서는 정상의 인코더가 마련된 권상기의 전동기가 구동됨과 아울러, 고장난 인코더가 마련된 권상기의 전동기가, 회전 속도ㆍ회전시 자극 위치 추정부에 의한 추정값에 기초하여 구동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칸을 승강시키기 위한 복수의 권상기(卷上機)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복수의 구동부 중 어느 하나의 고장이 검출된 경우, 통합 지령부에 의해, 정상인 구동부의 발생 가능 구동력과, 엘리베이터칸을 승강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필요 구동력과의 차가 연산되어, 정상인 구동부에 대해서만 운전 지령이 출력된다. 이에 의해, 발생 가능 구동력의 범위 내에서 저속 운전 또는 통상 운전이 행해진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6-199395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구동부가 고장난 경우에는 그 고장 개소에 관계없이 정상인 구동부만이 구동되므로, 구동부 중의 인코더만이 고장나서, 인코더 이외의 기기가 정상인 경우에도, 그 구동부는 사용되지 않게 되어 구동력이 상당히 제한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인코더가 고장난 경우에, 고장난 인코더가 마련된 권상기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여, 충분한 구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칸; 전동기와, 전동기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인코더를 각각 가지고, 엘리베이터칸을 승강시키는 복수의 권상기; 및 권상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각 전동기의 회전 속도 및 회전시 자극 위치를 추정하는 회전 속도ㆍ회전시 자극 위치 추정부를 가지고, 인코더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칸을 주행시키는 경우, 소정의 회전 속도 이하의 저속 영역에서는 정상의 인코더가 마련된 권상기의 전동기만을 구동하고, 소정의 회전 속도보다 고속의 저속외 영역에서는 정상의 인코더가 마련된 권상기의 전동기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고장난 인코더가 마련된 권상기의 전동기를 회전 속도ㆍ회전시 자극 위치 추정부에 의한 추정값에 기초하여 구동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및 제2 제어 장치 본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인코더가 고장난 경우 제1 및 제2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도 1의 제2 인코더가 고장난 경우 엘리베이터칸 속도, 제1 전동기의 구동 상태, 및 제2 전동기의 구동 상태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 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의 상부에는 제1 권상기(1)가 마련되어 있다. 제1 권상기(1)는 제1 전동기(2), 제1 전동기(2)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구동 쉬브(3), 제1 구동 쉬브(3)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1 브레이크(4), 및 제1 구동 쉬브(3)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인코더(5)를 가지고 있다. 제1 구동 쉬브(3)는 제1 전동기(2)와 동축에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의 하부에는 제2 권상기(6)가 마련되어 있다. 제2 권상기(6)는 제2 전동기(7), 제2 전동기(7)에 의해 회전되는 제2 구동 쉬브(8), 제2 구동 쉬브(8)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2 브레이크(9), 및 제2 구동 쉬브(8)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인코더(10)를 가지고 있다. 제2 구동 쉬브(8)는 제2 전동기(7)와 동축에 마련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전동기(2, 7)로는 각각 동기(同期) 전동기가 이용되고 있다.
제1 및 제2 구동 쉬브(3, 8)에는 현가(懸架) 수단인 복수 개(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메인 로프(11)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칸(12) 및 균형추(13)는 메인 로프(11)에 의해 승강로 내에 매달아져, 제1 및 제2 권상기(1, 6)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된다. 엘리베이터칸(12)의 하부에는 메인 로프(11)가 감겨진 복수의 엘리 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car suspending sheave; 14a, 14b)가 마련되어 있다. 균형추(13)의 상부에는 메인 로프(11)가 감겨진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15)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의 상부에는 메인 로프(11)가 감겨진 리턴 쉬브(return sheave; 16)가 마련되어 있다. 메인 로프(11)의 제1 단부(엘리베이터칸 측단부; 11a)는 승강로의 상부에 마련된 제1 로프 고정부(17)에 접속되어 있다. 메인 로프(11)의 제2 단부(균형추측 단부; 11b)는 승강로의 상부에 마련된 제2 로프 고정부(18)에 접속되어 있다.
메인 로프(11)는 제1 단부(11a)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엘리베이터칸 서스펜딩 쉬브(14a, 14b), 제1 구동 쉬브(3), 제2 구동 쉬브(8), 리턴 쉬브(16) 및 균형추 서스펜딩 쉬브(15)에 감겨져 있다. 즉, 엘리베이터칸(12) 및 균형추(13)는 2: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 내에 매달아져 있다.
제1 권상기(1)는 제1 제어 장치(19)에 의해 제어된다. 제1 제어 장치(19)는 제1 전동기(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력 변환기(20), 및 제1 전력 변환기(20)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장치 본체(제1 제어 블록; 21)를 가지고 있다.
제2 권상기(6)는 제2 제어 장치(22)에 의해 제어된다. 제2 제어 장치(22)는 제2 전동기(7)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전력 변환기(23), 및 제2 전력 변환기(23)를 제어하는 제2 제어 장치 본체(제2 제어 블록; 24)를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권상기(1, 6)는 통상은 서로 동기하여 구동, 즉 전속(matched speed) 제어된다.
제1 및 제2 제어 장치 본체(21, 24)는 각각 마이크로컴퓨터를 가지고 있다. 즉, 제1 및 제2 제어 장치 본체(21, 24)의 기능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한 연산 처리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의 제어 장치는 제1 및 제2 제어 장치(19, 22)를 가지고 있다.
도 2는 도 1의 제1 및 제2 제어 장치 본체(21, 24)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2에서는 제1 인코더(5)가 정상이고, 제2 인코더(10)가 고장난 경우 제1 및 제2 제어 장치 본체(21, 24)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1 제어 장치 본체(21)는 제1 회전 속도ㆍ자극 위치 검출부(25), 엘리베이터칸 위치 연산부(26), 엘리베이터칸 부하 검출부(27), 속도 패턴 생성부(28), 제1 속도 제어기(29) 및 제1 전류 제어기(30)를 가지고 있다.
제1 회전 속도ㆍ자극 위치 검출부(25)는 제1 인코더(5)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전동기(2)의 회전 속도 및 자극 위치를 연산한다. 엘리베이터칸 위치 연산부(26)는 제1 인코더(5)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12)의 위치를 연산한다. 엘리베이터칸 부하 검출부(27)는 저울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승객의 중량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칸(12)의 중량을 엘리베이터칸 부하로서 계측한다.
속도 패턴 생성부(28)는 엘리베이터칸 부하, 엘리베이터칸 위치 및 다음 번 정지 위치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12)의 속도 패턴을 생성하고, 속도 패턴에 따른 속도 지령을 출력한다. 제1 속도 제어기(29)는 속도 패턴 생성부(28)로부터 얻은 속도 지령과, 제1 회전 속도ㆍ자극 위치 검출부(25)로부터 얻은 회전 속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을 연산한다.
제1 전류 제어기(30)는 제1 속도 제어기(29)로부터 얻은 전류 지령과, 제1 전동기(2)에 흘러드는 전류의 값을 비교하고, 제1 회전 속도ㆍ자극 위치 검출부(25)로부터 얻은 자극 위치 검출값을 사용하여 적절한 전압 지령을 연산한다. 또, 제1 전류 제어기(30)로 연산된 전압 지령은 제1 전력 변환기(20)에 공급되며, 이에 의해 제1 권상기(1)가 최적으로 운전된다.
제2 제어 장치 본체(24)는 제2 회전 속도ㆍ자극 위치 검출부(31), 회전 속도ㆍ회전시 자극 위치 추정부(32), 제2 속도 제어기(33), 제2 전류 제어기(34) 및 권상기 구동 조건 연산부(35)를 가지고 있다.
제2 회전 속도ㆍ자극 위치 검출부(31)는 제2 인코더(1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전동기(7)의 회전 속도 및 자극 위치를 연산한다. 단, 제2 인코더(10)로부터의 신호가 고장난 경우, 제2 회전 속도ㆍ자극 위치 검출부(31)로부터의 정보는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회전 속도ㆍ회전시 자극 위치 추정부(32)로부터의 정보가 대신 사용된다.
회전 속도ㆍ회전시 자극 위치 추정부(32)는 제2 전동기(7)의 유기(誘起) 전압을 이용하여, 제2 전동기(7)의 회전 속도 및 회전시 자극 위치를 추정한다(예를 들어 「전기학회 기술보고 제719호」pp. 18 ~ 19「PMSM 센서리스 구동법(2) 모델 추종 방식」참조). 또한, 회전 속도 및 회전시 자극 위치는 제2 전동기(7)에 흘러드는 전류의 실측값과 전기자 전류 지령값 차분에 기초하여 추정할 수도 있다.
제2 속도 제어기(33)는 제2 인코더(10)의 정상시에 제1 제어 장치 본체(21)의 속도 패턴 생성부(28)로부터 얻은 속도 지령과, 제2 회전 속도ㆍ자극 위치 검출부(31)로부터 얻은 회전 속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을 연산한다.
이에 대해, 제2 인코더(10)의 고장시에 제2 속도 제어기(33)는 속도 패턴 생성부(28)로부터 얻은 속도 지령과, 회전 속도ㆍ회전시 자극 위치 추정부(32)로부터 얻은 회전 속도 추정값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을 연산한다.
제2 전류 제어기(34)는 제2 인코더(10)의 정상시에 제2 속도 제어기(33)로부터 얻은 전류 지령과, 제2 전동기(7)에 흘러드는 전류의 값을 비교하고, 제2 회전 속도ㆍ자극 위치 검출부(31)로부터 얻은 자극 위치 검출값을 사용하여, 적절한 전압 지령을 연산한다. 또, 제2 전류 제어기(34)로 연산된 전압 지령은 제2 전력 변환기(23)에 공급되며, 이에 의해 제2 권상기(6)가 최적으로 운전된다.
이에 대해, 제2 인코더(10)의 고장시에 제2 전류 제어기(34)는 제2 속도 제어기(33)로부터 얻은 전류 지령과, 제2 전동기(7)에 흘러드는 전류의 값을 비교하고, 회전 속도ㆍ회전시 자극 위치 추정부(32)로부터 얻은 회전시 자극 위치 추정값을 사용하여, 적절한 전압 지령을 연산한다.
권상기 구동 조건 연산부(35)는 구동ㆍ정지 지령을 제2 전력 변환기(23)에 출력하고, 고장난 제2 인코더(10)를 가지는 제2 권상기(6)의 구동ㆍ정지를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권상기 구동 조건 연산부(35)는 회전 속도ㆍ회전시 자극 위치 추정부(32)에 의한 회전 속도 추정값으로부터 구한 회전각 속도 ω와, 제2 전동기(7)에 흘러드는 전류의 검출값 I와, 제2 전동기(7)의 전기자 권선(卷線) 저항 R과, 제2 전동기(7)의 전기자 권선쇄교 자속수 최대값(일정값) φ로부터, 제2 전동기(7)의 회전 중의 유기 전압 ωφ와 전기자 권선 저항의 전압 강하 RI를 연산하여, ωφ>RI의 조건으로 제2 전동기(7)를 구동시키고, 그 이외의 조건에서는 제2 전동 기(7)를 정지시킨다.
여기서, 제2 전동기(7)의 고속 영역에서는 회전 속도와 함께 유기 전압이 커지기 때문에, 회전 속도ㆍ회전시 자극 위치 추정부(32)에 의한 자극 위치의 추정 정밀도도 높아진다. 이에 대해, 제2 전동기(7)의 저속 영역(ωφ
Figure 112009066008777-PCT00001
RI)에서는 유기 전압이 저항(R)에 의한 전압 강하보다 작고, 자극 위치 검출 정보가 되는 유기 전압이 묻혀, 자극 위치 추정값에 오차가 생긴다.
이와 같이, 제2 전동기(7)의 저속 영역에서는 회전 속도ㆍ회전시 자극 위치 추정부(32)에 의한 자극 위치 추정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속도 지령이나 전류 지령이 진동적으로 되거나 발진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권상기 구동 조건 연산부(35)에서는 저속 영역에 의한 제2 전동기(7)의 구동을 정지하여, 제2 전동기(7)의 불안정한 구동을 회피한다.
또, 전기자 전류의 지령값과 실측값 차분을 이용한 자극 위치 추정 방법에서는 저속 운전시의 전류 차분 정보가 작아지기 때문에, 저속 영역에 있어서의 자극 위치 추정값의 오차가 생기게 된다.
도 3은 도 1의 제2 인코더(10)가 고장난 경우 제1 및 제2 제어 장치(19, 22)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제1 및 제2 제어 장치 본체(21, 24)는 엘리베이터칸(12)의 주행 중에 제1 및 제2 인코더(5, 10)로부터 적정한 펄스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제2 인코더(10)로부터의 신호에 이상이 검출되면, 제2 인코더(10)에 고장이 발생했다고 판정한다.
제2 인코더(10)의 고장이 검출되면, 엘리베이터칸(12)이 긴급 정지된다(단계 S1). 긴급 정지 후, 제1 및 제2 제어 장치 본체(21, 24)가 감시하고 있는 기기 가운데, 제2 인코더(10) 이외의 기기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가 확인(안전 체크)된다(단계 S2).
제2 인코더(10) 이외가 정상이면, 엘리베이터칸 부하 검출부(27)에 의해 엘리베이터칸 부하가 검출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칸 위치 연산부(26)에 의해 현재 정지 중의 엘리베이터칸(12)의 위치가 검출된다(단계 S3). 그리고, 속도 패턴 생성부(28)에 의해, 가장 가까운 층 또는 긴급 정지 전에 지정된 층까지 엘리베이터칸(12)을 주행(구출 운전)시키기 위한 속도 패턴이 생성된다(단계 S4).
속도 패턴이 결정되면, 제1 및 제2 브레이크(4, 9)의 양쪽 모두가 개방되어, 제1 및 제2 구동 쉬브(3, 8)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된다(단계 S5). 그리고, 제1 전동기(2)만이 구동되어, 엘리베이터칸(12)의 주행이 개시된다(단계 S6). 이 때, 제2 전동기(7)는 구동되고 있지 않으나, 제2 구동 쉬브(8) 및 제2 전동기(7)의 회전자는 메인 로프(11)의 이동에 의해 회전된다.
제1 전동기(2)의 구동 후는 ωφ>RI의 조건이 만족되는지의 여부가 감시된다(단계 S7). 엘리베이터칸(12)의 주행 속도가 올라가서, 제2 전동기(7)에 있어서의 ωφ>RI의 조건이 만족되면, 회전 속도ㆍ회전시 자극 위치 추정부(32)에 의한 추정값의 신뢰성이 확보되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제2 전동기(7)의 구동이 개시된다(단계 S8). 제2 전동기(7)는 회전 속도ㆍ회전시 자극 위치 추정부(32)로부터 얻어지는 회전 속도 추정값 및 자극 위치 추정값을 이용하여 제어되어, 엘리베이터칸(12)은 제1 및 제2 전동기(2, 7)의 양쪽 모두의 구동력에 의해 통상 운전과 동등 하게 주행된다.
이 후, 목적층이 가까워져 엘리베이터칸(12)의 속도가 내려가서, 제2 전동기(7)에 있어서의 유기 전압이 ωφ
Figure 112009066008777-PCT00002
RI가 되면(단계 S9), 권상기 구동 조건 연산부(35)에 의해 제2 전동기(7)가 정지된다(단계 S10). 그리고, 제1 전동기(2)만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2)이 착상된다(단계 S11).
엘리베이터칸(12)이 목적층에 착상되면, 제1 및 제2 브레이크(4, 9)가 제동 동작되어, 엘리베이터칸 도어 및 승강장 도어가 도어 열림된다(단계 S12).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2) 내 승객의 승강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도 1의 제2 인코더(10)가 고장난 경우 엘리베이터칸 속도, 제1 전동기(2)의 구동 상태, 및 제2 전동기(7)의 구동 상태의 관계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4에 있어서, 시간 영역 t1은 구출 운전 전(前)처리 모드 구간이고, 도 3의 단계 S1 ~ 단계 S4에 상당한다. 또, 시간 영역 t2는 시동(始動) 모드 구간이고, 도 3의 단계 S5 ~ 단계 S7에 상당한다. 이 시동 모드 구간에서는 제2 전동기(7)의 회전 속도가 저속이기 때문에, 제1 전동기(2)만이 구동되고 있다.
또한, 시간 영역 t3은 저속외 모드 구간이고, 도 3의 단계 S8 ~ 단계 S9에 상당한다. 이 저속외 모드 구간에서는 ωφ>RI의 조건이 만족되고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전동기(2, 7)의 양쪽 모두가 구동되고 있다. 또한, 시간 영역 t4는 정지 모드 구간이고, 도 3의 단계 S10 ~ 단계 S12에 상당한다. 이 정지 모드 구간에서는 제2 전동기(7)가 정지되어, 제1 전동기(2)만에 의해 속도 패턴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칸(12)이 감속 정지된다.
또한, 여기서는 제2 인코더(10)가 고장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제1 인코더(5)의 고장에도 대응되기 때문에, 제1 제어 장치 본체(21)에도 회전 속도ㆍ회전시 자극 위치 추정부(32) 및 권상기 구동 조건 연산부(35)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제1 인코더(5)가 고장난 경우에도 속도 패턴을 생성하기 위하여, 제2 제어 장치 본체(24)에도 엘리베이터칸 위치 연산부(26)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전동기(2, 7)의 회전 속도 및 회전시 자극 위치를 추정하는 회전 속도ㆍ회전시 자극 위치 추정부(32)를 제어 장치 본체(21, 24)에 마련하고, 예를 들어 제2 인코더(10)의 고장이 검출된 경우, 소정의 회전 속도 이하의 저속 영역에서는 제1 권상기(1)만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2)을 주행시키고, 소정의 회전 속도보다 고속의 저속외 영역(ωφ>RI)에서는 제1 및 제2 권상기(1, 6)의 양쪽 모두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2)을 주행시키므로, 제2 인코더(10)가 고장난 경우에도, 제2 권상기(6)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여 충분한 구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제1 인코더(5)가 고장난 경우에도, 동양(同樣)으로 제1 권상기(1)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여 충분한 구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제어 장치 본체(21, 24)는 권상기 구동 조건 연산부(35)에 의해 ωφ>RI일 때에 저속외 영역이라고 판정하므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권상기(1, 6)의 회전 속도가 저속외 영역에 도달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실시 형태 1에서는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었으 나, 실시 형태 2에서는 1: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의 상부에는 제1 및 제2 권상기(1, 6)가 마련되어 있다. 제1 구동 쉬브(3)에는 현가 수단인 복수 개(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제1 메인 로프(41)가 감겨져 있다. 제2 구동 쉬브(8)에는 현가 수단인 복수 개(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제2 메인 로프(42)가 감겨져 있다. 제1 메인 로프(41)의 일단부 및 제2 메인 로프(42)의 일단부에는 엘리베이터칸(12)이 접속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칸(12)은 제1 및 제2 메인 로프(41, 42)에 의해 매달아져 있다.
제1 메인 로프(41)의 타단부에는 제1 균형추(43)가 접속되어 있다. 제2 메인 로프(42)의 타단부에는 제2 균형추(44)가 접속되어 있다. 제1 권상기(1)의 근방에는 제1 메인 로프가 감겨진 제1 디플렉팅 쉬브(deflecting sheave; 45)가 배치되어 있다. 제2 권상기(6)의 근방에는 제2 메인 로프(42)가 감겨진 제2 디플렉팅 쉬브(46)가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12)과 제1 균형추(43)의 사이에는 제1 보상 로프(47)가 매달아져 있다. 제1 보상 로프(47)의 하단부는 승강로의 하부에 마련된 제1 텐션 쉬브(tension sheave; 48)에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칸(12)과 제2 균형추(44) 사이에는 제2 보상 로프(49)가 매달아져 있다. 제2 보상 로프(49)의 하단부는 승강로의 하부에 마련된 제2 텐션 쉬브(50)에 감겨져 있다. 다른 구성 및 권상기(1, 6)의 구동 방법은 실시 형태 1과 동양이다.
이와 같은 1: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이어도, 인코더(5, 10)의 고장시에 실시 형태 1과 동양의 운전 방식을 적용할 수 있고, 충분한 구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고장난 인코더를 가지는 권상기의 구동 조건을 ωφ>RI로 하였으나, 저속외 영역의 판정 기준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고장난 인코더를 가지는 권상기의 회전 속도의 추정값이 소정값 V 이상인 것을 구동 조건으로 해도 된다. 권상기(1, 6)의 용량이나 정격 속도 등의 조건에 따라서는 ωφ>RI의 조건을 만족해도 자극 위치 추정값에 오차가 포함되는 경우가 있으나, 회전 속도의 추정값이 V 이상이라고 하는 조건 설정으로 하면, 추정 오차가 포함되는 속도 영역을 보다 확실하게 제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긴급 정지 후의 구출 운전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구출 운전 후의 본(本)복구(인코더 교환)할 때까지의 가(假)복구 운전에 상기의 운전 방식을 계속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트랙션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었으나, 권동식(卷胴式)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2대의 권상기(1, 6)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3대 이상의 권상기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권상기(1, 6)마다 제어 장치 본체(21, 24)를 마련하였으나, 복수의 권상기의 제어를 공통의 제어 장치 본체에 의해 처리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전동기(2, 7)로서 동기 전동기를 이용하였으나, 유도 전동기를 이용해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코더가 고장난 경우에, 고장난 인코더가 마련된 권상기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여, 충분한 구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엘리베이터칸,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인코더를 각각 가지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승강시키는 복수의 권상기, 및
    상기 권상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각 전동기의 회전 속도 및 회전시 자극 위치를 추정하는 회전 속도ㆍ회전시 자극 위치 추정부를 가지고,
    상기 인코더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난 상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주행시키는 경우, 소정의 회전 속도 이하의 저속 영역에서는 정상의 상기 인코더가 마련된 상기 권상기의 상기 전동기만을 구동하고, 소정의 회전 속도보다 고속의 저속외 영역에서는 정상의 상기 인코더가 마련된 상기 권상기의 전동기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고장난 상기 인코더가 마련된 상기 권상기의 전동기를, 상기 회전 속도ㆍ회전시 자극 위치 추정부에 의한 추정값에 기초하여 구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제어 장치는 상기 회전 속도ㆍ회전시 자극 위치 추정부에 의한 회전 속도 추정값으로부터 구한 회전각 속도 ω와, 상기 전동기에 흘러드는 전류의 검출값 I와, 상기 전동기의 전기자 권선(卷線) 저항 R과, 상기 전동기의 전기자 권선쇄 교 자속수 최대값 φ로부터, 고장난 상기 인코더가 마련된 상기 전동기의 회전 중의 유기(誘起) 전압 ωφ와 상기 전기자 권선 저항의 전압 강하 RI를 연산하여, ωφ>RI일 때에 저속외 영역이라고 판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97022531A 2007-07-09 2007-07-09 엘리베이터 장치 KR101075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3658 WO2009008049A1 (ja) 2007-07-09 2007-07-09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095A true KR20100005095A (ko) 2010-01-13
KR101075729B1 KR101075729B1 (ko) 2011-10-21

Family

ID=40228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531A KR101075729B1 (ko) 2007-07-09 2007-07-09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089695B2 (ko)
KR (1) KR101075729B1 (ko)
CN (1) CN101674996B (ko)
DE (1) DE112007003580B4 (ko)
WO (1) WO20090080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63961B1 (en) * 2008-04-15 2015-10-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device
JP5536267B1 (ja) * 2013-10-18 2014-07-02 文男 濱田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4627756A (zh) * 2013-11-08 2015-05-20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曳引机不间断驱动装置及其驱动方法
JP6297942B2 (ja) * 2014-07-25 2018-03-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6579736B2 (ja) * 2014-08-12 2019-09-25 三菱電機株式会社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及び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CN105572591B (zh) * 2015-12-23 2018-10-26 日立电梯(上海)有限公司 电梯电机磁极偏角偏差检测系统及检测方法
JP6589831B2 (ja) * 2016-11-16 2019-10-16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駆動装置及びエレベータ
EP3978405A1 (en) * 2020-10-02 2022-04-0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458B2 (ja) 1987-09-09 1994-04-27 石垣機工株式会社 電解装置における電極板の間隔調節装置
HUT69773A (en) 1990-10-26 1995-09-28 Koezponti Elelmiszeripari Process for manufacture of protein based dietetic produces by l-methionine covalence edriched
JPH0686596A (ja) * 1992-07-17 1994-03-25 Fuji Electric Co Ltd 交流可変速駆動装置
JPH102451A (ja) 1996-06-19 1998-01-06 Kubota Corp 弁類出荷梱包時の開口部蓋
JP3550003B2 (ja) * 1997-08-22 2004-08-0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4146172B2 (ja) * 2002-06-24 2008-09-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4127027B2 (ja) * 2002-11-20 2008-07-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
WO2004050523A1 (ja) * 2002-11-29 2004-06-1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JP4488708B2 (ja) * 2003-09-26 2010-06-23 株式会社東芝 回転機制御装置および洗濯機
JP2006160384A (ja) * 2004-12-02 2006-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4754833B2 (ja) 2005-01-18 2011-08-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74996A (zh) 2010-03-17
JPWO2009008049A1 (ja) 2010-09-02
WO2009008049A1 (ja) 2009-01-15
CN101674996B (zh) 2012-04-25
JP5089695B2 (ja) 2012-12-05
DE112007003580T5 (de) 2010-05-20
KR101075729B1 (ko) 2011-10-21
DE112007003580B4 (de)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572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FI125316B (fi) Menetelmä hätäpysäytyksen suorittamiseksi sekä hissin turvajärjestely
KR100994582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JP5196914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511497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111591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2532078A (ja) 電力が制限されているエレベータ救出作動における重力駆動による始動段階
KR20100005073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00129340A (ko) 엘리베이터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JP3936578B2 (ja) エレベータ巻上機・制御システム
JP2009154988A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システム
US20200024105A1 (en) Elevator
KR10112134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297942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5098376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5143454B2 (ja) エレベータ用制御装置
WO2018016061A1 (ja) エレベーター
JP6950809B1 (ja) エレベーターおよび制御装置
JP6351391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5511810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3808691A1 (en) A method for monitoring brake dragging of an elevator
JP2008162766A (ja) エレベータ
KR10095323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6206196A (ja) エレベーターの改修工法
WO2023139690A1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