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049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049A
KR20100005049A KR1020097019991A KR20097019991A KR20100005049A KR 20100005049 A KR20100005049 A KR 20100005049A KR 1020097019991 A KR1020097019991 A KR 1020097019991A KR 20097019991 A KR20097019991 A KR 20097019991A KR 20100005049 A KR20100005049 A KR 20100005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floor
button
input mode
operation inpu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7106B1 (ko
Inventor
도모노리 주
소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5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0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with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mounted in the car or cage or in the lift well or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칸 내에는 복수의 조작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제어 수단에는 각 조작 버튼 중에서, 복수의 조작 버튼이 전환 대상 버튼으로서 설정된다. 또, 제어 수단에서는 복수의 조작 입력 모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전환 대상 버튼의 조작에 기초하는 제어 수단의 제어는 조작 입력 모드마다 다른 제어로 된다. 엘리베이터칸 내에는 조작되는 것에 의해 조작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시프트 조작부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칸 내에 마련된 복수의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제어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0 및 1 ~ 9의 숫자 버튼을 가지는 텐 키를 엘리베이터칸 내 조작반의 하방부에 마련한 엘리베이터의 행선 호출 등록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내 조작반의 상방부에는 복수의 행선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행선층의 호출 등록은 텐 키의 숫자 버튼이 조작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행선층의 호출 등록이 행해지면, 각 행선 버튼 중에서, 호출 등록의 대상으로 된 행선 버튼이 점등된다. 이로 인해, 행선층의 호출 등록을 위해 엘리베이터칸 내 조작반의 상방부의 행선 버튼을 조작할 필요가 없어져, 윗쪽의 버튼에 손이 닿지 않는 아이나 노인은 행선층의 호출 등록을 행할 수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3-221172 호공보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행선 호출 등록 장치에서는 행선층의 수와 같은 수의 행선 버튼이 엘리베이터칸 내 조작반에 마련되어 있다. 또, 텐 키에는 복수의 숫자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각 행선 버튼이나 텐 키를 설치하기 위해 넓은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어, 엘리베이터칸 내 조작반이 대형화되어 버린다. 또, 텐 키의 구조가 복잡하므로 제조 비용이 증대된다. 또한, 숫자 버튼의 조작이 복잡하므로, 행선층의 호출 등록을 위한 조작에 수고가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칸 조작반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관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칸 내에 마련된 복수의 조작 버튼; 복수의 조작 입력 모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고, 각 조작 버튼 중에서, 복수의 조작 버튼을 전환 대상 버튼으로서 설정하고, 각 전환 대상 버튼의 조작에 기초하는 제어를 조작 입력 모드마다 다른 제어로 하는 제어 수단; 및 엘리베이터칸 내에서 조작되는 것에 의해, 조작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시프트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어 수단의 조작 입력 모드가 시프트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전환되는 동시에, 각 조작 버튼 중에서, 복수의 조작 버튼이 전환 대상 버튼으로서 설정되고, 각 전환 대상 버튼의 조작에 기초하는 제어 수단의 제어가 조작 입력 모드마다 다른 제어로 되므로, 조작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것에 의해, 복수 종의 다른 제어를 공통의 전환 대상 버튼의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버튼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 조작반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시프트 조작부에 의해 조작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구조가 복잡한 텐 키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져서,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조작 버튼을 전환 대상 버튼으로서 설정하므로, 각 전환 대상 버튼의 조작에 의한 제어를 동시에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시프트 조작부의 조작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관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 조작반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 장치의 행선층 표시가 전환되었을 때 엘리베이터칸 조작반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확장 조작 입력 모드로 되어 있을 때 도 1의 운전 제어 장치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5는 도 1의 운전 제어 장치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칸 조작반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전환 후의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로 되어 있을 때 도 6의 엘리베이터칸 조작반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건물에는 복수의 층에 정지 가능한 엘리베이터칸(1)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1) 내에는 엘리베이터칸 조작반(2)이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조작반(2)에는 엘리베이터칸(1) 내에서 각각 조작 가능한 복수의 행선층 버튼(3), 도어 열림 버튼(4), 도어 닫힘 버튼(5) 및 시프트 버튼(6)과 각 행선층 버튼(3)에 대응하는 행선층을 특정하기 위한 표시(행선층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7)가 마련되어 있다. 각 행선층 버튼(3)은 엘리베이터칸(1)의 행선층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다. 또, 도어 열림 버튼(4)은 엘리베이터칸(1)의 출입구(도시하지 않음)를 열기 위한 조작 버튼이고, 도어 닫힘 버튼(5)은 엘리베이터칸(1)의 출입구를 닫기 위한 조작 버튼이다. 시프트 버튼(6)은 엘리베이터칸 조작반(2)으로부터의 조작에 의한 제어를 전환하기 위한 시프트 조작부로 되어 있다.
표시 장치(7)는 규칙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LED를 가지고 있고, 각 LED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키는 것에 의해 행선층 표시를 행한다. 따라서, 표시 장치(7)는 각 LED 점등의 선택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행선층 표시의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조작반(2) 내에는 각 행선층 버튼(3), 도어 열림 버튼(4), 도어 닫힘 버튼(5) 및 시프트 버튼(6) 각각으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받는 조작 검출부(8)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 검출부(8)는 각 행선층 버튼(3), 도어 열림 버튼(4), 도어 닫힘 버튼(5) 및 시프트 버튼(6) 각각의 조작에 따른 정보를 발생한다.
또, 엘리베이터칸(1)에는 엘리베이터칸(1)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장치(9)와,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1)의 정지층의 정보 등)를 엘리베이터칸(1) 내로 음성에 의해 알리는 아나운스 장치(10)와, 엘리베이터칸(1) 내의 조명을 행하는 조명 장치(11)와, 표시 장치(7), 도어 장치(9), 아나운스 장치(10) 및 조명 장치(11) 각각의 동작을 개별로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칸 탑재 제어 장치(12)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1)이 승강되는 승강로 내에는 조작 검출부(8)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 장치(13)가 마련되어 있다. 운전 제어 장치(13)는 조작 검출부(8)로부터의 정보에 따른 제어 지령을 발생한다. 엘리베이터칸 탑재 제어 장치(12)는 운전 제어 장치(13)로부터의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7), 도어 장치(9), 아나운스 장치(10) 및 조명 장치(11) 각각의 동작을 제어한다.
운전 제어 장치(13)의 제어는 복수의 조작 입력 모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 입력 모드의 전환은 복수의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 및 복수의 확장 조작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조작 입력 모드의 선택은 시프트 버튼(6)의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운전 제어 장치(13)가 각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로 되어 있을 때는 각 행선층 버튼(3)만이 전환 대상 버튼으로서 운전 제어 장치(13)에 설정된다. 운전 제어 장치(13)가 각 확장 조작 입력 모드로 되어 있을 때는 각 행선층 버튼(3), 도어 열 림 버튼(4) 및 도어 닫힘 버튼(5)이 전환 대상 버튼으로서 운전 제어 장치(13)에 설정된다.
각 전환 대상 버튼의 조작에 기초하는 운전 제어 장치(13)의 제어는 조작 입력 모드마다 다르게 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 제어 장치(13)의 조작 입력 모드가 각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 사이에서 전환되는 경우에는 각 행선층 버튼(3)의 조작에 기초하는 제어가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마다 전환된다. 또, 운전 제어 장치(13)의 조작 입력 모드가 각 확장 조작 입력 모드 사이에서 전환되는 경우에는 각 행선층 버튼(3), 도어 열림 버튼(4) 및 도어 닫힘 버튼(5) 각각의 조작에 기초하는 제어가 확장 조작 입력 모드마다 각각 전환된다.
운전 제어 장치(13)는 메모리(14) 및 운전 처리부(15)를 가지고 있다. 메모리(14)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의 제어에 관한 설정 파라미터가 격납되어 있다. 운전 처리부(15)는 메모리(14)에 격납된 설정 파라미터 중에서, 조작 검출부(8)로부터의 정보에 따른 파라미터를 선택하고, 선택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어 지령을 발생한다. 즉, 운전 제어 장치(13)는 시프트 버튼(6)의 조작에 따라 조작 입력 모드가 전환되고, 전환된 조작 입력 모드에 따른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한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 조작반(2)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3은도 2의 표시 장치(7)의 행선층 표시가 전환되었을 때의 엘리베이터칸 조작반(2)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어 열림 버튼(4) 및 도어 닫힘 버튼(5)은 각 행선층 버튼(3)의 아랫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시프트 버튼(6)은 도어 열림 버 튼(4) 및 도어 닫힘 버튼(5)의 아랫쪽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7)는 각 행선층 버튼(3)에 개별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7)는 행선층 표시를 행선층 버튼(3)마다 표시한다. 즉, 행선층 버튼(3)마다 표시된 행선층 표시에 의해 엘리베이터칸(1)의 행선층이 특정된다.
또, 표시 장치(7)는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마다 다른 층이 행선층으로서 특정되도록 엘리베이터칸 탑재 제어 장치(12)에 의해 제어된다. 즉, 표시 장치(7)는 운전 제어 장치(13)로부터의 제어 지령에 따른 정보에 기초하여,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마다 행선층 표시의 전환을 행한다.
운전 제어 장치(13)에는 서로 다른 기준값이 행선층 버튼(3)마다 개별로 설정되어 있다. 행선층 표시는 각 행선층 버튼(3)에 대해 개별로 설정된 기준값에 공통의 계수(정수)
Figure 112009058791711-PCT00001
를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마다 차례로 가산하는 것에 의해 산출된다. 계수
Figure 112009058791711-PCT00002
는 행선층 버튼(3)의 개수로 된다.
이 예에서는 20층 건물의 각 층에 엘리베이터칸(1)이 정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 조작반(2)에 마련된 행선층 버튼(3)의 개수는 10개로 되어 있다. 또한, 표시 장치(7)는 전환 전의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로 되어 있을 때, 각 행선층 버튼(3)에 대해 1층 ~ 10층을 개별로 특정하는 행선층 표시를 행하고(도 2), 전환 후의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로 됐을 때에, 각 행선층 버튼(3)에 대해 11층 ~ 20층을 개별로 특정하는 행선층 표시를 행한다(도 3). 즉, 전환 후의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에서 표시 장치(7)의 행선층 표시는 전환 전의 행선층 조작 입력 모 드에서 행선층 표시에 10층분의 계수
Figure 112009058791711-PCT00003
를 각각 가산한 표시로 된다.
각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 사이의 전환은 시프트 버튼(6)을 조작하여(눌러) 시프트 버튼(6)의 조작(누름)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즉, 각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 사이의 전환은 시프트 버튼(6)을 눌렀다 떼는 것으로 행해진다. 전환 후의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는 시프트 버튼(6) 조작의 해제 후에도 유지된다.
따라서, 시프트 버튼(6)을 눌렀다 뗄 때마다,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가 전환되고, 표시 장치(7)의 행선층 표시가 전환된다.
도 4는 확장 조작 입력 모드로 되어 있을 때 도 1의 운전 제어 장치(13)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이 예에서는 시프트 버튼(6)의 조작(누름)이 계속되고 있을 때에만 전환 후의 확장 조작 입력 모드가 유지되고, 시프트 버튼(6)의 조작(누름)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전환 전의 확장 조작 입력 모드로 전환된다.
운전 제어 장치(13)는 시프트 버튼(6)의 조작이 계속되고 있는 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경과했을 때에(즉, 전환 후의 확장 조작 입력 모드의 계속 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경과했을 때에), 아나운스 장치(10)에 마련된 방범 버저에 의한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어 지령을 엘리베이터칸 탑재 제어 장치(12)로 출력한다.
또, 시프트 버튼(6)의 조작이 계속되고 있을 때(즉, 전환 후의 확장 조작 입력 모드로 되어 있을 때)의 운전 제어 장치(13)는 도어 열림 버튼(4), 도어 닫힘 버튼(5) 및 행선층 버튼(3)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는 것에 의해, 조작된 조작 버튼에 따른 제어 지령을 엘리베이터칸 탑재 제어 장치(12)로 출력한다. 이 예에서, 전환 후의 확장 조작 입력 모드로 되어 있을 때 운전 제어 장치(13)는 도어 열림 버 튼(4)이 조작되면 도어 열림 상태의 연장을 행하는 제어 지령을 출력하고, 도어 닫힘 버튼(5)이 조작되면 조명 장치(11)의 온/오프 동작의 전환을 행하는 제어 지령을 출력하고, 행선층 버튼(3)이 조작되면 아나운스 장치(10)에 의한 알림(아나운스)을 행하는 제어 지령을 출력한다.
또한, 전환 후의 확장 조작 입력 모드로 되어 있을 때 운전 제어 장치(13)는 도어 열림 버튼(4) 및 도어 닫힘 버튼(5)이 모두 조작되는 것에 의해, 도어 열림 상태에서의 대기와, 대기 상태의 해제의 전환을 행하는 제어 지령을 엘리베이터칸 탑재 제어 장치(12)로 출력한다.
따라서, 시프트 버튼(6)을 누르면서 행선층 버튼(3), 도어 열림 버튼(4) 및 도어 닫힘 버튼(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각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한 통상 동작과 다른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제어 수단은 조작 검출부(8), 엘리베이터칸 탑재 제어 장치(12) 및 운전 제어 장치(13)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운전 제어 장치(13)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운전 제어 장치(13)는 조작 검출부(8)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시프트 버튼(6)이 조작됐는지의 여부를 상시 판정하고 있다(S1). 시프트 버튼(6)이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시프트 버튼(6) 조작의 유무가 운전 제어 장치(13)에 의해 반복 판정된다.
시프트 버튼(6)이 조작된 경우에 운전 제어 장치(13)는 시프트 버튼(6) 조작의 계속 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 소정의 시간을 경과하기 전에 시프트 버튼(6)의 조작이 해제된 경우에 운전 제어 장치(13)는 모드수 N을 1로 하는 것에 의해, 기준의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로부터, 다른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로 전환된다(S3).
이 후, 운전 제어 장치(13)는 시프트 버튼(6)이 재차 조작됐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 시프트 버튼(6)이 재차 조작된 경우에 운전 제어 장치(13)는 모드수 N이 미리 설정된 최대값(정수값) P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5).
모드수 N이 최대값 P가 아닌 경우에 운전 제어 장치(13)는 모드수 N을 (N+1)로 하는 것에 의해, 다시 다른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로 전환된다(S6). 모드수 N이 최대값 P인 경우에 운전 제어 장치(13)는 모드수 N을 0으로 하는 것에 의해, 기준의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로 전환된다(S7).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의 전환 후, 운전 제어 장치(13)는 시프트 버튼(6)이 재차 조작됐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
시프트 버튼(6)의 재차 조작이 없는 경우에 운전 제어 장치(13)는 미리 설정된 계수(정수)
Figure 112009058791711-PCT00004
에 모드수 N을 곱하는 것에 의해 가산값 (
Figure 112009058791711-PCT00005
×N)을 산출한다(S8). 이 후, 운전 제어 장치(13)는 행선층 버튼(3)마다 설정된 각 기준값에 가산값 (
Figure 112009058791711-PCT00006
×N)을 각각 가산한 값을 행선층 표시로서 표시 장치(7)에 표시하는 제어 지령을 엘리베이터칸 탑재 제어 장치(12)로 출력한다(S9).
이 후, 표시 장치(7)는 운전 제어 장치(13)로부터의 제어 지령에 따른 행선층 표시를 행선층 버튼(3)마다 행한다. 이 후, 각 행선층 버튼(3)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면, 조작된 행선층 버튼(3)에 대응하는 행선층의 호출 등록이 행해진다. 이 예에서는 행선층의 호출 등록이 행해지지 않을 때에 행선층 표시의 색이 녹색으로 되고, 호출 등록이 행해지면 행선층 표시의 색이 적색으로 변화한다. 행선층의 호 출 등록이 행해지면, 엘리베이터칸(1)은 운전 제어 장치(13)의 제어에 의해, 호출 등록이 행해진 행선층으로 이동된다.
한편, 소정 시간이 경과해도 시프트 버튼(6)의 조작이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 운전 제어 장치(13)는 확장 조작 입력 모드로 된다. 이 때, 운전 제어 장치(13)는 미리 설정된 확장 기능 조작 시간 내에 각 행선층 버튼(3), 도어 열림 버튼(4) 및 도어 닫힘 버튼(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조작됐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0).
각 행선층 버튼(3), 도어 열림 버튼(4) 및 도어 닫힘 버튼(5) 중 어떤 조작도 없는 경우에 운전 제어 장치(13)는 시프트 버튼(6)의 길게 누름으로 판정하고(S11), 방범 버저에 의한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어 지령을 출력한다(S12).
각 행선층 버튼(3), 도어 열림 버튼(4) 및 도어 닫힘 버튼(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확장 기능 조작 시간 내에 조작된 경우에 운전 제어 장치(13)는 각 조작 버튼(3 ~ 5)의 조작에 따른 제어 지령을 출력한다(S13).
이 후, 운전 제어 장치(13)로부터의 제어 지령에 따른 제어가 도어 장치(9), 아나운스 장치(10) 및 조명 장치(11) 각각에 대해 행해진다. 즉, 행선층 버튼(3)이 조작되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관한 알림이 아나운스 장치(10)에 의해 행해지고, 도어 열림 버튼(4)이 조작되었을 때에는 도어 열림 상태의 연장이 도어 장치(9)에 의해 행해지고, 도어 닫힘 버튼(5)이 조작되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칸(1) 내 조명의 온/오프 동작의 전환이 조명 장치(11)에 의해 행해진다. 또, 도어 열림 버튼(4) 및 도어 닫힘 버튼(5)이 동시에 조작되었을 때에는 도어 열림 상태의 대기와 대기 상태의 해제 사이의 전환이 도어 장치(9)에 의해 행해진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운전 제어 장치(13)의 조작 입력 모드가 시프트 버튼(6)의 조작에 의해 전환되는 동시에, 각 조작 버튼(3 ~ 5) 중에서, 복수의 조작 버튼이 전환 대상 버튼으로서 설정되고, 각 전환 대상 버튼의 조작에 기초하는 운전 제어 장치(13)의 제어가 조작 입력 모드마다 다른 제어로 되므로, 조작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것에 의해, 복수 종의 다른 제어를 공통의 전환 대상 버튼의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버튼(3 ~ 5)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엘리베이터칸 조작반(2)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고층 건축물의 다수 층에 정지 가능한 엘리베이터칸(1)이어도 행선층 버튼(3)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아이나 노인의 손이 닿는 낮은 위치에 행선층 버튼(3)을 배치할 수 있다. 또, 시프트 버튼(6)에 의해 조작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한 텐 키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져,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조작 버튼을 전환 대상 버튼으로서 설정하므로, 각 전환 대상 버튼의 조작에 의한 제어를 동시에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시프트 버튼(6)의 조작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관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1)의 행선층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7)가 엘리베이터칸 조작반(2)에 마련되고, 운전 제어 장치(13)는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마다 행선층 표시를 전환하므로, 각 행선 버튼(3)에 의해 선택되는 행선층이 전환되어도, 각 행선층 버튼(3)에 대응하는 행선층을 엘리베이터칸(1) 내의 승객에게 잘못 인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표시 장치(7)가 각 행선층 버튼(3)에 개별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행선층 버튼(3)마다 행선층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칸(1) 내의 승객은 각 행선층 버튼(3)에 대응하는 행선층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확장 조작 입력 모드에서는 도어 열림 버튼(4) 및 도어 닫힘 버튼(5)이 전환 대상 버튼으로서 설정되므로, 행선층 버튼(3)뿐만 아니라, 도어 열림 버튼(4)나 도어 닫힘 버튼(5)의 조작에 의해 복수가 다른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 운전 제어 장치(13)에서는 시프트 버튼(6)의 조작이 계속되고 있을 때에만 전환 후의 확장 조작 입력 모드가 유지되고, 시프트 버튼(6)의 조작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전환 전의 확장 조작 입력 모드로 전환되므로, 확장 조작 입력 모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시프트 버튼(6) 조작의 해제에 의해 확장 조작 입력 모드가 전환 후로부터 전환 전으로 자동적으로 돌아오므로, 표시를 하지 않아도 확장 조작 입력 모드의 잘못된 인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운전 제어 장치(13) 에서는 시프트 버튼(6)의 조작이 해제되어도 전환 후의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가 유지되므로, 3 이상의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 사이에서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3종 이상의 제어를 공통의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고, 조작 버튼의 개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칸 조작반(2)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7은 전환 후의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로 되어 있을 때 도 6의 엘리베이터칸 조작반(2)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각 행선층 버 튼(3)에는 서로 다른 기준값이 기준 표시로서 개별로 표시되어 있다. 각 행선층 버튼(3)의 기준 표시는 고정 표시이다. 이 예에서 각 행선층 버튼(3)에는 기준의 행선층을 나타내는 1 ~ 10의 숫자가 기준 표시로서 표시되어 있다.
표시 장치(21)는 각 행선층 버튼(3)과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시프트 버튼(6)의 아랫쪽에 표시 장치(21)가 배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21)는기준 표시에 가산되는 가산값을 공통의 행선층 표시로서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마다 표시한다. 즉, 표시 장치(21)는 기준의 행선층의 숫자에 가산되는 층수를 공통의 행선층 표시로서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마다 표시한다.
운전 제어 장치(13)에는 기준 표시로서 표시된 각 기준값이 행선층 버튼(3)마다 설정되어 있다. 또, 운전 제어 장치(13)에는 서로 다른 모드수(정수) N이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마다 설정되어 있다. 운전 제어 장치(13)는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에 대응하는 모드수 N에 계수
Figure 112009058791711-PCT00007
를 곱하는 것에 의해 공통의 가산값 (
Figure 112009058791711-PCT00008
×N)을 산출한다. 표시 장치(21)에는 운전 제어 장치(13)에 의해 산출된 공통의 가산값 (
Figure 112009058791711-PCT00009
×N)이 행선층 표시로서 표시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계수
Figure 112009058791711-PCT00010
가 10으로 되어 있다. 또, 전환 전의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에서 모드수 N이 0으로 되고, 전환 후의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에서 모드수 N이 1로 되어 있다. 즉, 전환 전의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일 때에는 표시 장치(21)에 의해 +0이 행선층 표시로서 표시되고(도 6), 전환 후의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일 때에는 표시 장치(21)에 의해 +10이 행선층 표시로서 표시된다(도 7).
운전 제어 장치(13)는 각 행선층 버튼(3)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면, 조작된 행선층 버튼(3)의 기준 표시에 공통의 가산값 (
Figure 112009058791711-PCT00011
×N)의 층수분을 가산하여 특정되는 층을 행선층으로서 호출 등록한다. 예를 들어, +10이 행선층 표시로서 표시되어 있을 때, 2층의 기준 표시의 행선층 버튼(3)이 조작되면, 12층이 행선층으로서 호출 등록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양(同樣)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운전 제어 장치(13)가 공통의 가산값 (
Figure 112009058791711-PCT00012
×N)을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마다 산출하게 되어 있고, 각 행선층 버튼(3)과 다른 위치에 배치된 표시 장치(21)가 공통의 가산값 (
Figure 112009058791711-PCT00013
×N)의 표시를 공통의 행선층 표시로서 표시하게 되어 있으므로, 각 행선층 버튼(3)에 대해 행선층을 특정할 수 있는 동시에, 표시 장치(21)의 설치수를 1개로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시프트 버튼(6)의 조작에 의해 전환된 전환 후의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는 시프트 버튼(6)이 재차 조작될 때까지 유지되도록 되어 있지만, 재차의 조작이 없어도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전환 후의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의 유지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전환 후의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의 유지가 해제된 후, 기준의 행선층 조작 입력 모드로 전환된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시프트 버튼(6)의 개수가 1개만으로 되어 있지만, 시프트 버튼(6)의 개수를 복수개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각 시프트 버 튼(6) 조작의 조합에 의해, 더욱 많은 조작 입력 모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고, 공통의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한 제어의 종류를 더욱 많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시프트 버튼이 동시에 조작되면서 도어 열림 버튼(4)이 조작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의 출입구의 도어 열림 동작이 개시되고 나서 도어 닫힘 동작이 완료할 때까지 시간인 불간섭 시간의 연장과, 연장의 해제와의 전환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각 행선층 버튼(3)의 모두가 전환 대상 버튼으로서 설정되어 있지만, 각 행선층 버튼(3)의 일부만을 전환 대상 버튼으로서 설정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칸 조작반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관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엘리베이터칸 내에 마련된 복수의 조작 버튼,
    복수의 조작 입력 모드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고, 각 상기 조작 버튼 중에서, 복수의 상기 조작 버튼을 전환 대상 버튼으로서 설정하고, 각 상기 전환 대상 버튼의 조작에 기초하는 제어를 상기 조작 입력 모드마다 다른 제어로 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에서 조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작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시프트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상기 전환 대상 버튼은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행선층을 선택하기 위한 행선층 버튼이고,
    상기 엘리베이터칸 내에 마련되고, 각 상기 행선층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행선층을 특정하기 위한 행선층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행선층 표시를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조작 입력 모드마다 다른 층이 상기 행선층으로서 특정되도록 상기 행선층 표시를 상기 조작 입력 모드마다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각 상기 행선층 버튼에 개별로 마련되고, 상기 행선층 버튼마다 상기 행선층 표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는 서로 다른 기준값이 상기 행선층 버튼마다 설정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각 상기 기준값에 가산되는 공통의 가산값을 상기 조작 입력 모드마다 산출하게 되어 있고,
    상기 표시 장치는 각 상기 행선층 버튼와 다른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공통의 가산값의 표시를 공통의 상기 행선층 표시로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상기 전환 대상 버튼은 엘리베이터칸의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열림 버튼 및 도어 닫힘 버튼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서는 상기 시프트 조작부의 조작이 계속되고 있을 때에만 전환 후의 상기 조작 입력 모드가 유지되고, 상기 시프트 조작부의 조작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 전환 전의 상기 조작 입력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서는 상기 시프트 조작부의 조작이 해제되어도 전환 후의 상기 조작 입력 모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전환 후의 상기 조작 입력 모드의 유지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97019991A 2007-04-19 2007-04-19 엘리베이터 장치 KR101137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58505 WO2008136063A1 (ja) 2007-04-19 2007-04-19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049A true KR20100005049A (ko) 2010-01-13
KR101137106B1 KR101137106B1 (ko) 2012-04-20

Family

ID=39943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991A KR101137106B1 (ko) 2007-04-19 2007-04-19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35831B1 (ko)
JP (1) JPWO2008136063A1 (ko)
KR (1) KR101137106B1 (ko)
CN (1) CN101646620A (ko)
WO (1) WO20081360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62887B (zh) * 2012-10-24 2014-09-17 上海新时达电气股份有限公司 键盘式电梯操纵箱
CN104760864A (zh) * 2015-03-31 2015-07-08 朱凌恺 一种电梯内灯光控制系统及方法
CN107954286A (zh) * 2017-11-01 2018-04-24 永大电梯设备(中国)有限公司 一种基于人机交互界面的电梯轿厢操作盒的开关控制方法
CN107826915B (zh) * 2017-11-01 2021-04-02 永大电梯设备(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操作盒的开关控制方法
DE102019212093A1 (de) * 2019-08-13 2021-02-18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Ag Steuereinrichtung für eine Aufzugsanlage
JP7119172B1 (ja) * 2021-05-26 2022-08-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3501397B (zh) * 2021-07-30 2023-03-31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按钮登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4306B2 (ja) * 1987-01-26 1995-09-13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かご内操作装置
JPH01288584A (ja) * 1988-05-16 1989-11-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タッチパネル式呼釦装置
MY137800A (en) 2001-12-19 2009-03-31 Inventio Ag Control panel and method for using a control panel in an elevator
JP2003221172A (ja) 2002-01-31 2003-08-05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の行先呼び登録装置
JP2005162344A (ja) 2003-11-28 2005-06-23 Mitsubishi Electric Corp 呼び登録装置及び呼び登録方法
CN100519384C (zh) * 2004-02-13 2009-07-2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呼叫登记装置
JP4566633B2 (ja) * 2004-07-01 2010-10-2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35831B1 (en) 2014-10-01
CN101646620A (zh) 2010-02-10
JPWO2008136063A1 (ja) 2010-07-29
WO2008136063A1 (ja) 2008-11-13
EP2135831A4 (en) 2013-10-23
KR101137106B1 (ko) 2012-04-20
EP2135831A1 (en) 200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10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H06144726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操作盤
JP2001348170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表示装置
JP2010275102A (ja) エレベータの戸開制御装置
CN108861916B (zh) 用于具有至少两个轿厢门的电梯轿厢的轿厢操作面板
JP2009137684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9215013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3035632A (ja)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
JPH05162927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乗場操作盤
JP552349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810140B2 (ja)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2003335471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1162347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20100137761A (ko) 엘리베이터 호출신호 제어방법 및, 그 엘리베이터 시스템
JP7495004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該エレベータシステムを備えたエレベータ
JP2010018418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2008290825A (ja) エレベータのかご操作盤
JP2544493B2 (ja) エレベ―タ―の非常時運転装置
JP2002053277A (ja) エレベータのかご操作盤
JP2024111865A (ja) エレベータの再戸開可否案内装置
JP2005112484A (ja) エレベータ階床表示装置
JP4523135B2 (ja) エレベータ
JPH07247062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3335464A (ja) エレベータ操作盤及び該エレベータ操作盤を備えたエレベータ
KR20000026216A (ko) 엘리베이터의 방문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