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849U - 차량 시트레일용 고정레일의 엔드 캡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레일용 고정레일의 엔드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849U
KR20100004849U KR2020080014622U KR20080014622U KR20100004849U KR 20100004849 U KR20100004849 U KR 20100004849U KR 2020080014622 U KR2020080014622 U KR 2020080014622U KR 20080014622 U KR20080014622 U KR 20080014622U KR 20100004849 U KR20100004849 U KR 201000048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cap
rail
fixed rail
hook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7775Y1 (ko
Inventor
정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2020080014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77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8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8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7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15C or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3Reinforcement members preventing slide dislo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시트레일용 고정레일의 엔드 캡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엔드 캡(40)은 갈고리 형상의 후크(45)와 조립가이드돌기(46)로 인하여 상기 엔드 캡(20)에 외력(F1)이 가해지더라도 고정레일(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효과가 있고, 아울러 고정레일(10)과의 조립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레일(30)과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시트레일, 고정레일, 로워레일, 엔드 캡

Description

차량 시트레일용 고정레일의 엔드 캡{End cap of fixed rail for seat rail}
본 고안은 고정레일에 조립이 용이하고, 고정레일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쉽게 분리되지 않는 차량 시트레일용 고정레일의 엔드 캡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차체의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는데, 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시트레일이다.
상기 시트레일은 차실내의 플로어패널에 결합되는 고정레일과, 시트쿠션프레임과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레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레일(10)의 끝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한 엔드 캡(20)이 조립된다.
즉, 상기 고정레일(10)의 끝단부 양측면에는 조립구멍(11)이 서로 마주 대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엔드 캡(20)의 안쪽 양측면에는 상기 조립구멍(11)으로 끼워지는 후크(21)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21)가 상기 조립구멍(11)으로 끼워짐으로 인해 상기 고정레일(10)의 끝에 상기 엔드 캡(20)이 조립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후크(21)는, 상기 조립구멍(11)으로 끼워졌을 때 상기 조립구 멍(11)의 한쪽 측면과 면접촉을 하여 상기 고정레일(10)로부터 상기 엔드 캡(20)의 분리를 예방하는 수직면(21a)과, 상기 수직면(21a)에서 상기 엔드 캡(20)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경사면(21b)을 구비한 형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엔드 캡(20)은 상기 고정레일(10)과 조립된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상단 끝에 외력(F1)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후크(21)를 중심으로 후방쪽이 들어올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레일(10)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후방 시트 착석자의 발에 의해 엔드 캡(20)의 상단 끝에 외력(F1)이 가해지면, 상기 후크(21)의 경사부(21b)가 상기 조립구멍(11)을 쉽게 타고 넘어감으로 인해 상기 엔드 캡(20)의 후방쪽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엔드 캡(20)이 상기 고정레일(10)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고정레일과의 조립이 용이하고, 아울러 고정레일과 조립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고정레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차량 시트레일용 고정레일의 엔드 캡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엔드 캡은, 고정레일의 끝단에 조립되는 차량 시트레일용 고정레일의 엔드 캡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의 양쪽 측면을 감싸는 측면부의 안쪽면에서 상기 고정레일의 상단곡면을 감싸는 상단덮개부 를 향하여 갈고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레일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조립구멍으로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후크와; 상기 상단덮개부의 아래쪽에서 상기 상단덮개부와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고정레일의 상단곡면 안쪽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조립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엔드 캡은, 갈고리 형상의 후크와 조립가이드돌기로 인하여 상기 엔드 캡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고정레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효과가 있고, 아울러 고정레일과의 조립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레일과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의 시트는 시트레일을 통해 차체의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시트레일은 차실내의 플로어패널에 결합되는 고정레일과, 시트쿠션프레임과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이동레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레일(30)의 끝에는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한 엔드 캡(40)이 조립된다.
즉, 상기 고정레일(30)은 수직하게 세워진 양쪽의 측면(31)과, 상기 측면(31)을 연결하는 바닥면(32)과, 상기 측면(31)의 각 상단에서 상기 바닥면(32)을 향하여 안쪽으로 ∩모양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상단곡면(33)과, 상기 양쪽의 측면(31)에 각각 관통 형성된 조립구멍(3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엔드 캡(40)은 상기 고정레일(30)의 양쪽의 측면(31)을 각각 감싸는 한 쌍의 측면부(41)와, 상기 측면부(41)를 연결하면서 상기 고정레일(30)의 바닥면(32)의 전면에 덧대여지는 하단연결부(42)와, 상기 측면부(41)의 각 상단에서 상기 고정레일(30)의 상단곡면(33)을 감싸도록 굴곡 형성된 한 쌍의 상단덮개부(43)와, 상기 상단덮개부(43)와 연결되도록 상기 엔드 캡(40)의 전방쪽 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단덮개플랜지(44)와, 상기 측면부(41)의 안쪽면에서 상기 상단덮개부(43)를 향하여 갈고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레일(30)의 양쪽 측면(31)에 형성된 조립구멍(34)으로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후크(45)와, 상기 상단덮개부(43)의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일단은 상기 상단덮개플랜지(44)로부터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엔드 캡(40)의 후방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레일(30)의 상단곡면(33) 안쪽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조립가이드돌기(46)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엔드 캡(40)은 한 쌍의 조립가이드돌기(46)가 고정레일(30)의 상단곡면(33) 안쪽으로 각각 삽입되고, 한 쌍의 후크(45)가 상기 고정레일(30)의 양쪽 측면(31)에 형성된 조립구멍(34)으로 각각 끼워짐으로 인해 상기 고정레일(30)의 끝에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45)는, 상기 조립구멍(34)으로 끼워졌을 때 상기 엔드 캡(40)의 전방을 향하는 전면은 수직면(45a)으로 형성되고, 상기 엔드 캡(40)의 후 방을 향하는 후면은 상기 후크(45)의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엔드 캡(40)의 전방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45b)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엔드 캡(40)에 구비된 상기 조립가이드돌기(46)는, 상기 엔드 캡(40)의 후방을 향하여 상기 상부덮개부(43)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엔드 캡(40)은 상기 고정레일(30)과 조립된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전방쪽 상단 끝에 외력(F1)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엔드 캡(40)이 후크(45)를 중심으로 후방쪽이 들어올려지는 현상이 없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레일(3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즉, 후방 시트 착석자의 발에 의해 엔드 캡(40)의 전방쪽 상단 끝에 외력(F1)이 가해질 경우, 상기 엔드 캡(40)의 측면부(41)와 갈고리 형상의 후크(45)사이의 공간에 고정레일(30)의 측면(31)이 끼이게 됨으로써 상기 엔드 캡(40)은 후방쪽이 들어올려지지 않게 되고, 또한 상기 엔드 캡(40)의 조립가이드돌기(46)가 상기 고정레일(30)의 상단곡면(33) 안쪽면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엔드 캡(40)은 후방쪽이 더욱 더 들어올려지지 않게 된다.
이 결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전술한 종래의 엔드 캡(20)은 외력(F1)에 의해 후방쪽이 들어올려지면서 고정레일(10)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단점이 있었지만, 본 고안의 엔드 캡(40)은 이러한 현상이 없어지게 됨으로써 고정레일(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엔드 캡(40)은 고정레일(10)과의 조립시 조립가이드돌 기(46)가 상기 고정레일(30)의 상단곡면(33) 안쪽면으로 삽입되면서 조립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즉 상기 고정레일(30)의 상단곡면(33)이 상기 엔드 캡(40)의 상단덮개부(43)와 상기 조립가이드돌기(46)사이로 삽입되면서 조립이 이루어지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조립가이드돌기(46)로 인해 상기 엔드 캡(40)의 조립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레일(30)과 조립된 상기 엔드 캡(4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엔드 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엔드 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고정레일 31 - 측면
33 - 상단곡면 34 - 조립구멍
40 - 엔드 캡 41 - 측면부
43 - 상단덮개부 45 - 후크
46 - 조립가이드돌기

Claims (3)

  1. 고정레일의 끝단에 조립되는 차량 시트레일용 고정레일의 엔드 캡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30)의 양쪽 측면(31)을 감싸는 측면부(41)의 안쪽면에서 상기 고정레일(30)의 상단곡면(33)을 감싸는 상단덮개부(43)를 향하여 갈고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레일(30)의 양쪽 측면(31)에 형성된 조립구멍(34)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한 쌍의 후크(45)와;
    상기 상단덮개부(43)의 아래쪽에서 상기 상단덮개부(43)와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고정레일(30)의 상단곡면(33) 안쪽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조립가이드돌기(4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레일용 고정레일의 엔드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45)에서 상기 엔드 캡(40)의 전방을 향하는 전면은 수직면(45a)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45)에서 상기 엔드 캡(40)의 후방을 향하는 후면은 상기 후크(45)의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엔드 캡(40)의 전방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45b)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레일용 고정레일의 엔드 캡.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가이드돌기(46)는,
    상기 엔드 캡(40)의 후방을 향하여 상기 상부덮개부(43)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레일용 고정레일의 엔드 캡.
KR2020080014622U 2008-10-31 2008-10-31 차량 시트레일용 고정레일의 엔드 캡 KR200467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622U KR200467775Y1 (ko) 2008-10-31 2008-10-31 차량 시트레일용 고정레일의 엔드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622U KR200467775Y1 (ko) 2008-10-31 2008-10-31 차량 시트레일용 고정레일의 엔드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849U true KR20100004849U (ko) 2010-05-11
KR200467775Y1 KR200467775Y1 (ko) 2013-07-03

Family

ID=44450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622U KR200467775Y1 (ko) 2008-10-31 2008-10-31 차량 시트레일용 고정레일의 엔드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77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450B1 (ko) * 2012-12-05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직하마운팅 타입 시트레일의 레일커버 및 조립방법
KR101522192B1 (ko) * 2013-12-29 2015-05-2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레일용 레일커버 장치
KR101522191B1 (ko) * 2013-12-29 2015-05-2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레일용 레일커버 장치
DE102022115359B4 (de) 2022-06-21 2024-05-1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 sowie Schienenabdeckung, Abdeckelement und/oder Schraubenkopfabdecku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3440B2 (ja) * 1992-10-14 1998-03-09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シートスライドのレール用キャップ
JPH115467A (ja) * 1997-06-16 1999-01-12 Oi Seisakusho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11129789A (ja) * 1997-10-27 1999-05-18 Ikeda Bussan Co Ltd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0559462B1 (ko) * 2004-04-06 2006-03-10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레일의 스토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450B1 (ko) * 2012-12-05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직하마운팅 타입 시트레일의 레일커버 및 조립방법
KR101522192B1 (ko) * 2013-12-29 2015-05-2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레일용 레일커버 장치
KR101522191B1 (ko) * 2013-12-29 2015-05-2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레일용 레일커버 장치
DE102022115359B4 (de) 2022-06-21 2024-05-1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 sowie Schienenabdeckung, Abdeckelement und/oder Schraubenkopfabdeck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775Y1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6159B2 (ja) ウインドウガラスの支持構造
JP2013001149A (ja) 車両用シートのサイドシールド構造
KR200467775Y1 (ko) 차량 시트레일용 고정레일의 엔드 캡
KR101439147B1 (ko) 사이드 스트럭처와 루프레일의 결합 구조 및 방법
WO2013125524A1 (ja) 車両用ドアのサッシュ組付構造及び車両用ドアのサッシュ組付方法
EP3181411A1 (en) Automobile steering wheel
JP5733001B2 (ja) 車両後部構造
JP4633541B2 (ja) 車体のルーフ構造
KR101493568B1 (ko) 자동차용 사이드 실 몰딩
JP5691405B2 (ja) ルーフモール
JP2008194368A (ja) 自動車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に用いるバック・ボード
KR101250577B1 (ko) 자동차용 마운팅클립
CN205395726U (zh) 中门内蒙皮上加强件
KR101283021B1 (ko) 차량용 도어프레임
KR101991779B1 (ko) 캐리어 플레이트 조립체
KR200473599Y1 (ko) 레일보강장치
JP5389375B2 (ja) シート支持構造
KR20170119959A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JP5594765B2 (ja) シートベルト誘導装置
CA2893911A1 (en) Vehicle-use resin cover
JP6733272B2 (ja) 車両のフロア構造
KR101219994B1 (ko) 시트 벨트 마운팅 구조
KR101593526B1 (ko) 헤드레스트 슬리브 일체형 전자식 액티브 헤드레스트 엘리베이터 시스템
CN215622427U (zh) 一种电动车覆盖件安装配合结构及电动车
JP5853435B2 (ja) バンパー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