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047U -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 Google Patents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047U
KR20100003047U KR2020080012196U KR20080012196U KR20100003047U KR 20100003047 U KR20100003047 U KR 20100003047U KR 2020080012196 U KR2020080012196 U KR 2020080012196U KR 20080012196 U KR20080012196 U KR 20080012196U KR 20100003047 U KR20100003047 U KR 201000030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s
tablet
supply module
control modu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4178Y1 (ko
Inventor
김호연
Original Assignee
(주)크레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레템 filed Critical (주)크레템
Priority to KR2020080012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178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0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0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1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1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agitators or vib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2Jigging conveyors comprising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for elevation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41Quantity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8Supports or mountings for load-carriers, e.g. framework, bases, sp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3Vibrating conveyors
    • B65G2812/0348Supporting or guiding means for troug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로터리형 정제공급기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정제를 포장하는 약제 포장장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납된 정제를 진동 작용에 의해 나선 방향으로 상부로 이송시켜 배출하고, 하부에 다수의 다리들이 형성된 정제공급모듈; 정제공급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정제의 개수를 설정된 개수로 제어하여 약제 포장장치의 호퍼측으로 공급하는 수량조절모듈; 및 정제공급모듈과 수량조절모듈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수량조절모듈이 고정되고, 다리들이 각각 삽입되어 정제공급모듈을 설정된 위치에 정확히 설치하게 하는 정렬 홈들이 형성된 받침대;를 구비한다.
정제, 공급기, 약제 포장장치, 정렬

Description

로터리형 정제공급기{Rotary type tablet dispenser}
본 고안은 약제 포장장치에 구비되는 로터리형 정제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을 이용해서 정제를 자동 공급시켜 포장될 수 있게 하는 로터리형 정제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약제 포장장치는 병원, 약국 등에서 의사 또는 약사에 의해 처방된 처방전에 근거하여 약을 조제할 때, 사람이 직접 약을 포장하지 않고 자동으로 포장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약제 포장장치는 다단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카세트들을 상부에 배치하고, 카세트들에는 다양한 종류의 서로 다른 알약(정제)을 수납시킨다. 카세트들에 수납된 정제는 컴퓨터와 인터페이스 되어 사용자의 컴퓨터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카세트로부터 배출되며, 이와 같이 배출된 정제는 호퍼에 집결되어 약제 포장장치의 하부에 마련된 포장부에서 포장된다.
다수의 카세트들에 정제를 수납하고 컴퓨터의 조작으로 정제를 카세트로부터 배출하여 포장하는 방식을 자동타입이라 하며, 사람이 직접 손으로 다수의 트레이에 약을 넣고 포장하는 방식을 반자동타입이라 한다. 한편, 자동타입과 반자동타 입을 혼합한 형태의 약제 포장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
근래에는 과거에 없었던 새로운 질병에 의한 신약 개발과 의약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약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진통제와 항생제와 같은 일반 약품에 있어서도 약에 함유된 성분의 차이에 의해, 그 종류는 수백 가지에 이른다.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정제를 제한된 수의 카세트에 모두 수용하기는 불가능한 실정이다. 또한, 신경안정제와 같은 마약류에 해당되는 특수약물은 별도의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평상시 약제 포장장치의 카세트에 보관할 수도 없다. 그리고, 정제를 반 조각 또는 여러 조각으로 쪼개어 처방하는 경우에는 이를 모두 카세트에 수납하기에는 카세트의 수가 현저히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약제 포장장치에는 카세트에 수납되지 못하는 정제(이하 특수 정제라 함)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정제공급기를 내장 또는 외장 설치하기도 한다. 즉, 카세트에 수납된 정제(이하 일반 정제라 함)와 정제공급기에 수납된 특수 정제를 함께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타입과 반자동타입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정제공급기는 약조제자가 특수 정제를 일일이 직접 투여하여 카세트로부터 공급된 일반 정제와 함께 포장되게 하는 반자동형태의 방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약의 조제시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약조제자의 실수로 인해 약이 누락되거나 초과되어 포장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즉, 종래의 정제공급기는 사람의 수작업에 의해 정제를 투여하였기 때문에, 약의 조제 시간이 지연되어 대량의 약을 조제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고, 약을 초과 투여하거나 미투여하는 실수로 인해 조제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람이 약통에 들어있는 약을 직접 손으로 집어 분배하였기 때문에, 사람의 손 또는 매개체에 의해 세균 감염의 위험이 있었다. 이와 같이 약을 옮기는 과정에서 오염되는 미량의 세균은 사람의 입을 통해 체내로 흡수되기 때문에, 면역이 떨어지는 중환자에게는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정제공급모듈을 정확한 위치에 정렬할 수 있게 함에 아울러, 진동 작용에 의해 특수 정제를 자동 공급할 때 정제공급모듈로부터 받침대를 경유하여 수량조절모듈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켜 수량조절모듈로 특수 정제가 정확하게 투입될 수 있게 하는 로터리형 정제공급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형 정제공급기는, 정제를 포장하는 약제 포장장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납된 정제를 진동 작용에 의해 나선 방향으로 상부로 이송시켜 배출하고, 하부에 다수의 다리들이 형성된 정제공급모듈; 상기 정제공급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정제의 개수를 설정된 개수로 제어하여 상기 약제 포장장치의 호퍼측으로 공급하는 수량조절모듈; 및 상기 정제공급모듈과 상기 수량조절모듈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량조절모듈이 고정되고, 상기 다리들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정제공급모듈을 설정된 위치에 정확히 설치하게 하는 정렬 홈들이 형성된 받침대;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진동 작용에 의해 약제 포장장치의 포장부로 정제를 자동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함에 있어서, 정제공급모듈을 정확한 위치에 정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진동 작용에 의해 정제가 자동 공급될 때, 정제공급모듈로부터 받침대를 경유하여 수량조절모듈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제공급모듈로부터 이송되는 정제가 수량조절모듈의 투입구 밖으로 빠져 나가지 않고 투입구 내로 정확하게 투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형 정제공급기가 채용되는 약제 포장장치의 일 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약제 포장장치(10)는, 상부에 다단으로 다수 배열되고 각각 일반 정제들이 수납되는 카세트(11)와, 카세트(11)의 하부에서 정제가 집결되는 호퍼(12), 및 호퍼(12)에 집결되어 배출되는 정제를 포장하는 포장부(13)를 구비한다.
상기 약제 포장장치(10)의 일측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형 정제공급기(100)가 설치된다. 로터리형 정제공급기(100)는 카세트(11)에 수납되지 못하는 특수 정제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즉, 로터리형 정제공급기(100)는 특수 정제를 호퍼(12)로 자동 공급하여, 카세트(11)에서 공급되는 일반 정제와 함께 포장부(13)에서 포장될 수 있게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형 정제공급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로터리형 정제공급기(100)는 정제공급모듈(110)과, 수량조절모듈(120), 및 받침대(130)를 구비한다.
정제공급모듈(110)은 공급모듈 본체(111)와 진동부(116)를 구비한다. 공급모듈 본체(111)는 약조제자에 의해 특수 정제가 수납될 수 있게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다. 공급모듈 본체(111)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간부의 내주면에 공급모듈 본체(111)의 바닥으로부터 상부까지 연속적으로 나선형의 안내트랙(112)이 형성된다.
안내트랙(112)은 공급모듈 본체(111)에 수납된 특수 정제를 정렬시켜 나선 방향을 따라 상부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안내트랙(112)에는 특수 정제를 한 알씩 일렬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협소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협소부(113)는 폭 방향으로 요입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안내트랙(112)의 상부측 단부에는 특수 정제가 배출되는 트랙출구(114)를 구비할 수 있다.
진동부(116)는 공급모듈 본체(111)의 하측에 설치되고, 공급모듈 본체(111)를 진동시켜 공급모듈 본체(111) 내의 특수 정제가 안내트랙(112)을 따라 상부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진동부(116)는 화살표로 나타낸 A 방향으로 일정 각도씩 정,역 회전하여 공급모듈 본체(111)를 진동시킨다. 진동부(116)는 약제 포장장치(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진동부(116)로는 진동코일과 진동자가 이용되거나, 회전 모터가 이용될 수 있다.
수량조절모듈(120)은 약제 포장장치(10)의 호퍼(12) 측으로 공급되는 특수 정제의 개수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수량조절모듈(120)은 안내트랙(112)의 트랙출구(114)로부터 낙하하는 특수 정제의 개수를 카운트한다. 수량조절모듈(120)은 카운트 된 특수 정제의 수가 한 알 또는 설정된 수량을 만족하면 호퍼(12)측으로 배출시켜 공급하고, 카운트 된 특수 정제의 수가 한 알 또는 설정된 수량을 만족하지 못하면 회수시켜 재사용하거나 외부로 배출시킨다.
수량조절모듈(120)은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수량조절모듈(120)은 조절모듈 본체(121)와, 검출 센서(123)와, 회전 부재(124), 및 모터(126)를 구비한다. 조절모듈 본체(121)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투입구(12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절모듈 본체(121)의 하부 양측에는 호퍼측 공급부(127)와 회수부(128)가 마련된다. 호퍼측 공급부(127)는 특수 정제를 호퍼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고, 회수부(128)는 특수 정제를 정제공급모듈(110)의 회수통(115)으로 회수시키기 위한 것이다.
검출 센서(123)는 투입구(122)로부터 투입되는 특수 정제의 개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 부재(124)는 조절모듈 본체(12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 부재(124)는 방사형으로 배열된 날개(125)들을 구비한다. 회전 부재(124)는 투입구(122)로부터 낙하하는 특수 정제를 날개(125)들 사이의 공간에 수용한 다음, 회전 방향에 따라 호퍼측 공급부(127)와 회수부(128) 중 어느 한쪽으로 특수 정제를 선택적으로 배출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날개(125)들은 120ㅀ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126)는 회전 부재(124)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모터(126)는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회전 부재(124)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모터(126)는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서 호퍼측 공급부(127)와 회수부(128) 중 어느 한쪽으로 특수 정제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구동된다.
받침대(130)는 바닥으로부터 정제공급모듈(110)과 수량조절모듈(120)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수량조절모듈(120)은 받침대(130)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나, 정제공급모듈(110)은 받침대(130)에 고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정제공급모듈(110)이 받침대(130)에 고정되면, 회전 진동할 때 수량조절모듈(120)이 함께 진동하여, 정제공급모듈(110)로부터 수량조절모듈(120)로 특수 정제가 정확하게 투입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받침대(130) 위에 정제공급모듈(110)과 수량조절모듈(120)을 초기 설치할 때, 공급모듈 본체(111)의 트랙출구(114)와 조절모듈 본체(121)의 투입구(122)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게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는 트랙출구(114)로부터 특수 정제가 배출될 때, 투입구(122)로 투입되지 않는 투입 불량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받침대(130)에는 정제공급모듈(110)을 설정된 위치에 정확히 설치할 수 있게 다수의 정렬 홈(131)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진동부(116)의 하면에는 상기 정렬 홈(131)들에 일대일 대응되어 각각 삽입될 수 있는 다리(117)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정렬 홈(131)은 받침대(130)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출부(132)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출부(132)는 받침대(13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제조되어 받침대(130)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정렬 홈(131)은 받침대(130)에 진동부(116)가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게 하측이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렬 홈(13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117)와의 사이에 유격을 둘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진동부(116)에 의해 공급모듈 본체(111)가 진동할 때, 정렬 홈(131)에 다리(117)가 유격 없이 끼워지는 것보다 수량조절모듈(120)로 전달되는 진동 량을 줄이기 위함이다. 정렬 홈(131)과 다리(117) 사이의 유격은 트랙출구(114)와 투입구(122)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을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진동부(116)의 하면에 형성되는 다리(117)는 방진 소재로 이루어진다. 다리(117)가 방진 소재로 이루어지게 되면, 진동부(116)로부터 받침대로 전달되는 진동이 저감될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받침대(130)를 경유하여 수량조절모듈(120)로 전달되는 진동도 저감될 수 있다. 방진 소재로는 고무 소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로터리형 정제공급기(100)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로터리형 정제공급기(100)의 조립에 관해 설명하면, 받침대(130) 위에 수량조절모듈(120)을 설정된 위치에 고정한다. 그리고, 정제공급모듈(110)의 다리(117)들을 받침대(130)의 정렬 홈(131)들에 각각 삽입한다. 여기서, 정렬 홈(131)들은 공급모듈 본체(111)의 트랙출구(114)와 조절모듈 본체(121)의 투입구(122)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게 정제공급모듈(110)을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게 한다. 이에 따라, 트랙출구(114)로부터 특수 정제가 배출될 때, 투입구(122) 밖으로 빠져 나가지 않고 투입구(122) 내로 정확하게 투입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으로 로터리형 정제공급기(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포장하고자 하는 특수 정제를 공급모듈 본체(111) 내에 수납해 둔다. 이후, 처방 신호에 근거하여 특수 정제의 공급이 요청되면, 진동부(116)가 구동하여 공급모듈 본체(111)가 회전 진동한다. 이때, 진동부(116)의 하면에 형성된 다리(117)들이 방진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 받침대(130)로 전달되는 진동이 저감되므로, 받침대(130)를 경유하여 수량조절모듈(120)로 전달되는 진동도 저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랙출구(114)와 투입구(122) 사이의 간격이 설정된 범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트랙출구(114)로부터 투입구(122) 내로 특수 정제가 정확히 투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급모듈 본체(111)가 회전 진동하게 되면, 공급모듈 본체(111) 내에 수납된 특수 정제는 원심력을 받게 되며, 안내트랙(112)의 안내를 받아서 상부로 이송된다. 상부로 이송된 특수 정제는 트랙출구(114)를 통해 수량조절모듈(120)로 배출된다. 그러면, 수량조절모듈(120)은 카운트 된 특수 정제의 수가 한 알 또는 설정된 수량을 만족하면 호퍼측 공급부(127)를 통해 호퍼측으로 배출한다. 만일, 수량조절모듈(120)은 카운트 된 특수 정제의 수가 한 알 또는 설정된 수량을 만족하지 못하면, 회수부(128)를 통해 회수시켜 재사용하거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형 정제공급기(100)에 의하면, 사람의 손으로 특수 정제를 한 알씩 일일이 투여하지 않고, 특수 정제를 자동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 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진동 작용을 이용하여 정제를 자동 포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약제 포장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형 정제공급기가 채용되는 약제 포장장치의 일 예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형 정제공급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수량조절모듈에 대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 있어서, 정제공급모듈이 받침대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정제공급모듈 111..공급모듈 본체
112..안내트랙 114..트랙출구
116..진동부 117..다리
120..수량조절모듈 121..조절모듈 본체
122..투입구 130..받침대
131..정렬홈

Claims (5)

  1. 정제를 포장하는 약제 포장장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납된 정제를 진동 작용에 의해 나선 방향으로 상부로 이송시켜 배출하고, 하부에 다수의 다리들이 형성된 정제공급모듈;
    상기 정제공급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정제의 개수를 설정된 개수로 제어하여 상기 약제 포장장치의 호퍼측으로 공급하는 수량조절모듈; 및
    상기 정제공급모듈과 상기 수량조절모듈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량조절모듈이 고정되고, 상기 다리들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정제공급모듈을 설정된 위치에 정확히 설치하게 하는 정렬 홈들이 형성된 받침대;
    를 구비하는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홈은 상기 정제공급모듈로부터 상기 수량조절모듈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게 상기 다리와의 사이에 유격을 둘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방진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공급모듈은:
    내부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공급모듈 본체와,
    상기 공급모듈 본체의 내주면에 바닥으로부터 상부까지 나선형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정제의 이송을 안내하는 안내트랙, 및
    상기 공급모듈 본체를 진동시켜 상기 안내트랙을 따라 정제가 상부로 이송될 수 있게 하는 진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량조절모듈은:
    내부 공간을 갖고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된 조절모듈 본체와,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입되는 정제의 개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검출 센서와,
    상기 조절모듈 본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호퍼측 공급부와 회수부 중 어느 한쪽으로 정제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KR2020080012196U 2008-09-08 2008-09-08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KR2004541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196U KR200454178Y1 (ko) 2008-09-08 2008-09-08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196U KR200454178Y1 (ko) 2008-09-08 2008-09-08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398U Division KR200459198Y1 (ko) 2010-12-24 2010-12-24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047U true KR20100003047U (ko) 2010-03-17
KR200454178Y1 KR200454178Y1 (ko) 2011-06-20

Family

ID=4419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196U KR200454178Y1 (ko) 2008-09-08 2008-09-08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17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584A (ko) * 2018-05-09 2018-05-18 (주)제이브이엠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20180095788A (ko) * 2018-08-16 2018-08-28 (주)제이브이엠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20190057260A (ko) * 2019-05-21 2019-05-28 (주)제이브이엠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5563B2 (ja) * 1990-11-19 2001-02-19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振動フィーダ
KR100817704B1 (ko) 2007-05-16 2008-03-27 김호연 정제자동분배기용 특수정제 투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584A (ko) * 2018-05-09 2018-05-18 (주)제이브이엠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20180095788A (ko) * 2018-08-16 2018-08-28 (주)제이브이엠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20190057260A (ko) * 2019-05-21 2019-05-28 (주)제이브이엠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178Y1 (ko) 2011-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19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KR100910395B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US8386073B2 (en) Module for regulating quantity of various-shaped tablets in automatic tablet dispenser, and tablet dispensing method thereof
TWI623312B (zh) 藥劑饋送器
KR101032128B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US8393495B2 (en) Dispenser of automatically distributing various shaped tablets in medicine packing machine and tablet dispensing method thereof
BR112015017664B1 (pt) dispositivo de dispensação
KR20100059644A (ko)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20045417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KR20070109998A (ko) 약제 포장 장치
KR101014874B1 (ko)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배출기 및 정제공급방법
KR100886493B1 (ko) 정제공급기의 수량조절모듈
KR100966621B1 (ko)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공급기 및 이의 정제공급방법
KR10133349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KR20160068769A (ko) 약제 충전 장치
KR102215154B1 (ko) 약제 디스펜싱 장치 및 약제 디스펜싱 방법
KR10135696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KR100955946B1 (ko) 약제포장기의 이송장치
FI83033B (fi) Medicinutportioneringsanordning.
KR101014873B1 (ko) 약제포장장치
KR100386321B1 (ko) 약제 포장기의 산제 분배 장치
KR20150145859A (ko) 약제 불출 장치
KR102051801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107664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KR200247470Y1 (ko) 정제및산제자동포장기용정제및산제분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