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956A -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956A
KR20100002956A KR1020080063022A KR20080063022A KR20100002956A KR 20100002956 A KR20100002956 A KR 20100002956A KR 1020080063022 A KR1020080063022 A KR 1020080063022A KR 20080063022 A KR20080063022 A KR 20080063022A KR 20100002956 A KR20100002956 A KR 20100002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transfer
retainer
lower mold
progres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3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2956A/ko
Publication of KR20100002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9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30B15/026Mounting of dies, platens or press 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형리테이너(20)가 구비되는 하형홀더(10)와, 상기 하형홀더(10)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하형홀더(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상형리테이너(55)가 구비되는 상형홀더(50)와, 그리고,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모재를 이송시키는 피더(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는 하형리테이너(20)의 상면으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게 스토퍼(40)가 설치되어 상기 모재의 일측을 걸어 상기 모재가 상기 피더(30)에 의해 이송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피더(30)가 원위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모재가 피더(30)에 딸려 가는 것이 방지되므로 모재가 다이(48) 상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된 상태로 가공될 수 있어 제품의 가공성 및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프로그레시브금형, 모재이송장치, 스토퍼

Description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Feed device of Base material for progressive mold}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연속적인 공정을 위해 모재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모재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띠 모양의 작업물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순차적으로 가공을 수행하여 원하는 제품을 만들게 된다. 즉,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각각의 위치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다이와 펀치의 쌍에서 각각의 가공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제품이 만들어진다.
도 1에는 프로그레시브금형에서 가공되는 모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모재는 금속재질의 얇은 판상으로 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스트랩이다 칭한다. 참고로 상기 모재는 도면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가공된다.
상기 모재는 일종의 틀이 되는 캐리어부(1)와, 상기 캐리어부(1)를 따라 이송되면서 가공되는 제품형상부(3), 그리고 상기 캐리어부(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5)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부(1)는 총 세개가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5)는 그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5)는 실질적으로 상기 캐리어부(1)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연결부(5) 중 두 개에 각각 도면부호 5a 및 도 5b를 부여하고, 캐리어부(1) 중 가운데 위치하는 캐리어부(1)를 중앙캐리어부(1')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모재가 이송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제1연결부(5a)의 일단(도면의 ①부분)을 밀어 도면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재는 한 피치(P) 만큼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모재이송장치는 원위치로 복귀하여 제2연결부(5b)를 이송시키기 위한 준비를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모재이송장치는 도면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이동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모재이송장치는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제2연결부(5b)를 타고 넘어 상기 제2연결부(5b)의 일단(도면의 ②부분)에 걸어진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모재이송장치는 다시 우측으로 이동하여 모재를 다시 한 피치만큼 이송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어 모재는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가공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모재이송장치는 상기 제1연결부(5a)를 걸어 이송시킨 후에 상기 제2연결부(5b)의 일단을 걸어 다음 이송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연결부(5b)를 타고 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모재이송장치의 선단은 상기 모재의 제2연결부(5b)를 끌고 이동하여 도면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모재를 이송시킬 우려가 있다.
이는 상기 모재이송장치의 선단이 제2연결부(5b)를 타고 넘는 과정에서 제2연결부(5b)의 타단(도면의 ③부분)에 걸어져 모재를 원위치되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끌고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모재는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지 못하므로, 모재의 가공 역시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스토퍼를 설치하여 모재의 일단을 걸어 모재가 원위치되는 방향으로 모재이송장치에 딸려 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품형상부와 상기 제품형상부를 연결하는 캐리어부로 구성되는 긴 띠 형상의 모재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모재이송장치에 있어서, 하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모재를 이송시키는 피더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형리테이너를 향해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모재의 일측을 걸어 상기 모재가 상기 피더에 의해 이송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스토퍼의 상면에는 상기 모재의 이송방향을 따라 그 돌출된 높이가 높아지도록 가이드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하형리테이너의 상면으 로부터 상기 상형리테이너를 향해 돌출되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걸이부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걸이부의 상면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쌍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면의 사이에는 상기 하형리테이너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면이 형성되어, 상기 모재의 캐리어부는 상기 이송면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모재의 캐리어부와 인접한 부분은 상기 가이드면을 타고 넘어 이동된다.
상기 이송면의 폭은 상기 캐리어부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의 일단은 스토퍼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모재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상기 피더는 상기 하형리테이너 상을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모재를 걸어 이송시키는 이송걸이편과,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송걸이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걸이편의 선단이 상기 모재를 향하도록 상기 이송걸이편을 탄성지지하는 회동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에는 이송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모재의 이동방향으로 밀어주고, 상기 상형리테이너에는 구동캠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캠의 경사면이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밀어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원위치시킨다.
상기 하형리테이너에는 누름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모재를 상기 하형리테이너방향으로 탄성으로 눌러준다.
상기 누름장치는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관 통하여 설치되고 그 선단이 상기 모재를 향해 돌출되는 누름장치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장치를 상기 모재방향으로 눌러주는 누름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피더에 의해 이송되는 모재가 한 피지 이송된 후에 그 일단이스토퍼에 의해 걸어지게 되므로, 피더가 원위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모재가 피더에 딸려 가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모재가 다이 상의 정확위치에서 가공될 수 있어 제품의 가공성 및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상면에 이송면과 가이드면이 각각 형성되어 각각 모재의 캐리어부와 캐리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별하여 안내하게 되므로, 모재의 이송이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모재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하형측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걸이편의 구성이 각각 평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 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토퍼의 구성이 각각 평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 모재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배경기술의 내용 및 도 1을 참고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형홀더(10) 상에는 백킹플레이트(12)와 하형리테이너(20)가 장착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12)와 하형리테이너(20)는 상기 하형홀더(10) 상에 함께 체결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12)는 실질적으로 하형리테이너(20)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상기 하형홀더(10) 와 상기 백킹플레이트(12), 그리고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는 각각 서로 연통되는 배출공(11,13,21)이 형성되어 모재로부터 분리된 제품형상부(3)가 취출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는 밀핀(22)이 구비되고, 상기 밀핀(22)은 이송탄성부재(23)에 의해 그 일단이 지지되어 도 2를 중심으로 우측, 즉 모재의 이송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게 된다. 상기 밀핀(22)은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플레이트(31)를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는 누름장치(24)가 구비된다. 상기 누름장치(24)는 상기 모재를 상기 하형리테이너(20)방향으로 눌러주어, 모재가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누름장치(24)는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 고정되는 몸체부(25)와, 상기 몸체부(25)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선단이 상기 모재를 향해 돌출되는 누름부(2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25)의 내부에는 누름탄성부재(26)가 설치되어 상기 누름부(28)를 상기 모재방향으로 눌러주게 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는 피더(30)가 구비된다. 상기 피더(30)는 상기 모 재를 이송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모재를 한 피치 씩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연속적인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더(30)의 골격은 이동플레이트(31)가 구성한다. 상기 이동플레이트(31)는 상기 하형리테이너(20) 상을 직선왕복운동하는 것으로, 그 일측이 상기 밀핀(22)에 지지되어 상기 모재의 이송방향으로 이동되려는 힘을 받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31)는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 설치되나,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 형성된 도피부(도면부호 부여 않음), 즉 상기 백킹플레이트(12)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플레이트(31)의 외면에는 롤러(31')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31')는 후술할 구동캠(60)의 구동면(62)에 접하여 회전되는 부분으로, 상기 이동플레이트(31)를 상기 도 2를 기준으로 좌측, 즉 상기 모재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피더(30)가 원위치 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도 2는 피더(30)가 아직 모재를 이송키기 전의 모습이다.
상기 이동플레이트(31)에는 회전중심블록(32)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중심블록(32)에는 이송걸이편(35)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이송걸이편(35)은 상기 모재를 실질적으로 걸어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걸이편(35)에는 회전중심공(36)이 형성되어 그 내부로 회전축(미도시)이 삽입되어 이송걸이편(35)이 상기 회전중심블록(3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걸이편(35)의 양측 선단에는 이송레그(37)가 구비되어 상기 모재의 연결부(5)를 걸어 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이송레그(37)의 선단이 모재의 연결부(5)를 걸어준 상태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31)가 이동하여 상기 모재가 이송되는 것이다.
이때,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이송걸이편(35)의 일측과 상기 이동플레이트(31) 사이에는 회동탄성부재(S1)가 구비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회동탄성부재(S1)는 상기 이송걸이편(35)의 포켓(38)에 삽입되어, 상기 이송레그(37)가 상기 모재 방향으로 회전되는 힘을 받도록 상기 이송걸이편(35)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레그(37)의 선단은 상기 모재의 연결부(5)를 확실하게 걸어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는 스토퍼(40)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모재의 일측, 보다 정확하게는 모재의 연결부(5)를 걸어, 상기 피더(30)가 원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모재가 상기 이송걸이편(35)에 딸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40)의 골격은 고정부(41)가 형성한다. 상기 고정부(41)는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부(41)에는 걸이부(42)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부(42)는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하형리테이너(2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모재를 실질적으로 걸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부(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기둥형상으로 그 선단에는 가이드면(4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42')은 상기 걸이부(42)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재의 이송방향을 따라 그 돌출된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42')은 상기 모재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모재의 연결부(5)가 용이하게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면(42')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이를 타고 넘은 모재가 상기 걸이부(42)의 외면에 걸어져 이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아가지 못하도록 걸어주는 역할을 하게 도니다.
상기 가이드면(42')은 상기 걸이부(42)의 상면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쌍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면(42') 사이에는 이송면(43)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면(43)은 상기 모재의 중앙캐리어부(1')가 접하여 이동되는 면으로, 상기 하형리테이너(2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송면(43)의 폭(L1)은 상기 모재의 중앙캐리어부(1')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이송면(43)은 모재의 중앙캐리어부(1')가 지나가게 되는 부분이고, 상기 가이드면(42')은 상기 중앙캐리어부(1')와 인접한 연결부(5)의 일부가 안내되어 타고 넘어가게 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스토퍼(40)의 일단은 스토퍼탄성부재(S2)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상기 스토퍼탄성부재(S2)는 상기 스토퍼(40)를 상기 모재 방향으로 탄성으로 눌러주어, 상기 스토퍼(40)가 어느 정도 하형리테이너(20) 내외부로 입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모재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스토퍼(40)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는 펀치다이(48)가 구비된다. 상기 펀치다이(48)는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 삽입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펀치와 협력하여 모재의 제품형상부(3)를 상기 중앙캐리어부(1')로부터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형홀더(50)의 하면에는 백킹플레이트(52)와 상형리테이너(55)가 설치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52)와 상형리테이너(55)는 상기 상형홀더(50)에 함께 장착된다. 실제로 상기 백킹플레이트(52)는 상기 상형리테이너(55)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상형리테이너(55)에는 상기 하형리테이너(20)의 펀치다이(48)와 대응되는 위치에 펀치(57)가 설치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55)에는 구동캠(60)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캠(60)은 상기 상형리테이너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31)의 롤러(31')를 밀어 상기 이동플레이트(31)가 원위치(도 2의 좌측방향)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캠(60)에는 구동면(62)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피더(30)의 이동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모재가 상기 하형리테이너(20)를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형홀더(50) 및 펀치(57)가 하강하여 상기 모재의 제품형상부(3) 주변을 타격하여 상기 제품형상부(3)가 모재의 중앙캐리어부(1')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분리된 제품형상부(3)는 배출공(11,13,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형홀더(5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구동캠(60)은 상기 피더(30)의 롤러(31')를 밀어주어 상기 피더(30)가 도면을 중심으로 좌측, 즉 모재의 이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모재를 이송시킬 준비를 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형홀더(50)가 상승되면, 상기 구동캠(60)이 상기 피더(30)의 롤러(31')를 밀고 있던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피더(30)는 상기 모재의 이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는 상기 피더(30)의 이동플레이트(31)가 상기 이송탄성부재(23)에 의해 모재의 이송방향으로 탄성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피더(30)의 이송걸이편(35)은 상기 모재의 연결부(5)를 걸어준 상태이므로 상기 피더(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모재를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이송걸이편(35)에 의해 상기 모재가 이송되고, 상기 이송걸이편(35)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이송걸이편(35)의 선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재의 제1연결부(5a)의 일측(도 3의 ①지점)을 걸어준 상태이다. 이때 상기 구동캠(60)은 하강하여 피더(30)를 좌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캠(60)이 상승되면, 상기 피더(30)는 우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송걸이편(35)은 상기 모재의 제1연결부(5a)를 걸어준 상태로 이동하여 모재를 이송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모재의 중앙캐리어부(1')는 상기 스토퍼(40)의 이송면(43)을 타고 넘어가게 되고, 상기 제1연결부(5a) 보다 좌측에 위치하는 제2연결부(5b)는 상기 걸이부(42)의 가이드면(42')을 타고 넘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면(43)은 상기 하형리테이너(20)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상태이고, 상기 가이드면(42')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모재는 상기 스토퍼(40)에 의해 방해받지 않 고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모재가 한 피치만큼 이송되면, 상기 구동캠(60)이 하강하여 상기 피더(30)의 롤러(31')를 밀어 상기 피더(30)를 원위치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이송걸이편(35)의 선단은 상기 모재의 제2연결부(5b)를 타고 넘어 제2연결부(5b)의 일측(도 3의 ②지점)을 걸어주어 다음 이송을 준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재의 제2연결부(5b)는 상기 스토퍼(40)를 넘어가게 되면 상기 스토퍼(40)의 걸이부(42)에 지지되어 상기 이송걸이편(35)에 딸려가는 것이 방지된다. 즉, 도 3의 제1연결부(5a)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5b)는 상기 스토퍼(40)의 걸이부(42)에 걸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모재는 스토퍼(40)에 의해 피더(30)에 딸려가는 것이 방지되므로 모재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하형리테이너(20)와 별개물로 구성되었으나, 상기 하형리테이너(2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피더(30)의 구성 역시 반드시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유압실린더와 같은 장치에 의해 모재가 일정한 피치만큼 이송될 수도 있다.
도 1은 프로그레시브금형에서 가공되는 모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재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하형측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걸이편의 구성을 각각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토퍼의 구성을 각각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이송플레이트가 이동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형홀더 12: 백킹플레이트
20: 하형리테이너 22: 밀핀
24: 누름장치 30: 피더
31: 이동플레이트 31': 롤러
32: 회전중심블록 35: 이송걸이편
37: 이송레그 40: 스토퍼
41: 고정부 42: 걸이부
42': 가이드면 43: 이송면
48: 펀치다이 50: 상형홀더
52: 백킹플레이트 55: 상형리테이너
57: 펀치 60: 구동캠
62: 구동면

Claims (10)

  1. 제품형상부와 상기 제품형상부를 연결하는 캐리어부로 구성되는 긴 띠 형상의 모재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모재이송장치에 있어서,
    하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모재를 이송시키는 피더와,
    상기 하형리테이너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형리테이너를 향해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모재의 일측을 걸어 상기 모재가 상기 피더에 의해 이송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리테이너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스토퍼의 상면에는 상기 모재의 이송방향을 따라 그 돌출된 높이가 높아지도록 가이드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하형리테이너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형리테이너를 향해 돌출되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걸이부의 상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걸이부의 상면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쌍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면의 사이에는 상기 하형리테이너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송면이 형성되어, 상기 모재의 캐리어부는 상기 이송면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모재의 캐리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는 상기 가이드면을 타고 넘어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면의 폭은 상기 캐리어부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일단은 스토퍼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모재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는
    상기 하형리테이너 상을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모재를 걸어 이송시키는 이송걸이편과,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송걸이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걸이편의 선단이 상기 모재를 향하도록 상기 이송걸이편을 탄성지지하는 회동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리테이너에는 이송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모재의 이동방향으로 밀어주고, 상기 상형리테이너에는 구동캠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캠의 경사면이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밀어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원위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리테이너에는 누름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모재를 상기 하형리테이너방향으로 탄성으로 눌러줌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장치는
    상기 하형리테이너에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선단이 상기 모재를 향해 돌출되는 누름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부를 상기 모재방향으로 눌러주는 누름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
KR1020080063022A 2008-06-30 2008-06-30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 KR201000029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022A KR20100002956A (ko) 2008-06-30 2008-06-30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022A KR20100002956A (ko) 2008-06-30 2008-06-30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956A true KR20100002956A (ko) 2010-01-07

Family

ID=4181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022A KR20100002956A (ko) 2008-06-30 2008-06-30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295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712B1 (ko) * 2010-05-04 2013-01-09 이종진 펀칭 치수분배기
KR20160097990A (ko) 2015-02-09 2016-08-18 (주)진진이앤티 2열 이송장치가 구비된 복합금형 장치
CN106378393A (zh) * 2016-08-31 2017-02-08 今朝联合有限公司 一种冲压模具拉料装置
KR101968603B1 (ko) * 2017-11-29 2019-04-15 주식회사 지테크 연료탱크 지지밴드 절곡 성형장치
CN113145719A (zh) * 2021-04-25 2021-07-23 广州中益机械有限公司 一种高精密高效自动送料机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712B1 (ko) * 2010-05-04 2013-01-09 이종진 펀칭 치수분배기
KR20160097990A (ko) 2015-02-09 2016-08-18 (주)진진이앤티 2열 이송장치가 구비된 복합금형 장치
CN106378393A (zh) * 2016-08-31 2017-02-08 今朝联合有限公司 一种冲压模具拉料装置
KR101968603B1 (ko) * 2017-11-29 2019-04-15 주식회사 지테크 연료탱크 지지밴드 절곡 성형장치
CN113145719A (zh) * 2021-04-25 2021-07-23 广州中益机械有限公司 一种高精密高效自动送料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2956A (ko)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
EP3756784B1 (en) Workpiece taking-out apparatus and transfer press machine
US8727196B2 (en) Feeder apparatus for metal strip
EP1306307A1 (en) Cover feeder
KR100943802B1 (ko) 트랙 슈 노치 금형 설비 장치
KR20100013635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벤딩장치
CN106136484B (zh) 拉链拉头组装装置的拉片供给装置
US3528575A (en) Feed and transfer systems
KR20100001491U (ko)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모재이송장치
JPS6011577B2 (ja) 物品搬送装置
EP1243357B1 (en) Material transport device
US3770150A (en) Work carrier lift and transfer mechanism
CN104552416B (zh) 高周波模切机的叼纸牙装置
CN106734552A (zh) 用两个不同的凸轮机构同时冲切五方向孔的冲孔模及其工作方法
KR20170073334A (ko) 다열 프로그래시브 성형이 가능한 트랜스퍼 금형
CN211569136U (zh) 一种等间距物料传输流水线
CN102825904A (zh) 压痕烫金机的正纸装置
TW201907768A (zh) 表面處理裝置及搬運支架
CN217576858U (zh) 一种铸坯上料装置
KR20090133028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KR20190045485A (ko) 벨트컨베이어용 자동 보수장치
KR200289022Y1 (ko) 그립퍼 피더의 피스톤 승, 하강 장치
KR101394599B1 (ko) 금형 위치 조정이 가능한 프레스 가공장치
SU1207576A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комплекс дл многопереходной штамповки
KR100838779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스트립 안내장치 및 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