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387A -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잔류오일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잔류오일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387A
KR20100002387A KR1020080062255A KR20080062255A KR20100002387A KR 20100002387 A KR20100002387 A KR 20100002387A KR 1020080062255 A KR1020080062255 A KR 1020080062255A KR 20080062255 A KR20080062255 A KR 20080062255A KR 20100002387 A KR20100002387 A KR 20100002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oil
housing
drai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학주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2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2387A/ko
Publication of KR20100002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58Lubricant filling and dra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F01M2011/031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잔류오일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오일필터의 하우징내에 별도의 드레인밸브를 설치하여 오일필터를 교환시 하우징에 남아있는 잔류오일을 오일팬으로 배출하였으나 여과엘리먼트가 소형화됨에 따라 하우징도 소형화되어 하우징내에서 드레인밸브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많아 그만큼 작업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드레인밸브를 설치함에 따른 부품비가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앙에 드레인코어(110)를 구비한 여과엘리먼트(120)가 캡(100)에 의해 하우징(200)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잔류오일 배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드레인코어(110)는 여과엘리먼트(120) 저면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코어하단부(111)를 연장하여 형성하고, 돌출된 코어하단부(111)의 외주면 상하에는 일정간격으로 오링(112)(113)을 설치하며, 하우징(200)의 내부 바닥에는 돌출된 코어하단부(111)가 오링(112)(113)에 의해 기밀력있게 끼워지는 코어삽입부(210)를 형성하고, 하우징(200)의 코어삽입부(210) 일 측벽에는 오일필터 교환시 잔류된 오일을 오일팬과 연결된 실린더블록으로 배출되게 하는 드레인통로(220)의 입구(221)를 형성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드레인코어(110)의 코어하단부(111)가 드레인통로(220)의 입구(221)를 막아 오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오일필터를 교환하고자 하우징(200)에서 캡(100)을 분리하면 캡(100)과 함께 드레인코어(110)가 들어 올려지면서 드레인통로(220)의 입구(221)가 개방됨에 따라 하우징(200)에 남아있던 잔류오일이 드레인통로(220)의 입구(221)를 통해 빠져나가게 됨에 따라 별도의 드레인밸브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잔류오일을 배출할 수 있으므로 협소한 하우징(200)내에서 드레인밸브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확보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만큼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이며, 또한 드레인밸브 삭제에 따른 부품비를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오일필터, 캡, 여과엘리먼트,하우징,드레인코어,오링,드레인통로

Description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잔류오일 배출장치{Drain device of remaining oil in oilfilt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잔류오일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하우징내에 별도의 드레인밸브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하우징내의 잔류오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음에 따라 드레인밸브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확보를 할 필요가 없어 그만큼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드레인밸브 삭제에 따른 부품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잔류오일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은 실린더 내에서 연료가 연소될때의 연소가스 온도는 2000℃ 이상에 달하지만 이열의 상당량이 실린더, 실린더헤드, 피스톤등에 흡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온도에 따른 각 기능의 원활한 윤활작용을 위하여 오일이 주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오일은 실린더와 피스톤간의 접동부분, 크랭크 샤프트 및 캠 샤프트와 같이 회전운동을 하는 부분 등의 마찰부분은 금속끼리 직접 접촉하면서 마찰열이 발생하여 결국 접촉면이 마모되거나 눌러붙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므로 이를 방 지하고자 엔진의 각 마찰부나 습동부에 오일이 공급/순환된다.
이때 오일펌프에서 펌핑되는 오일은 오일필터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다음에 엔진의 각 윤활부로 공급되는데 이 과정에서 오일필터는 엔진의 각 접동부분에서 발생된 쇳가루나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카본 등을 여과하게 된다.
따라서 오일은 불순물이 없는 깨끗한 오일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오일필터를 장착해서 이물질을 제거하여 순수오일만이 공급되도록 하고 있는데, 오일필터는 윤활유의 여과방식에 따라 풀플로우식, 바이패스식플로우식,컴비네이션식으로 대별된다.
풀폴로우식은 오일펌프에서 토출된 오일을 전량 여과하는 방식으로 자동차용 엔진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바이패스식플로우식은 오일펌프에서 토출된 오일의 일부를 여과해서 오일팬으로 되돌리고, 나머지 오일은 엔진의 각부로 공급하는 방식이고, 컴비네이션식은 앞에서 말한 플로우식,바이패스플로우식의 2방식을 짜맞춘 방식으로서 오일의 대부분은 풀플로우식의 필터에서 여과되어 엔진각부로 공급된다.
이러한 오일필터는 크게 하우징과 여과엘리먼트로 구분되는데 즉, 금속캔 형상의 하우징 내측에 오일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여과 엘리먼트가 설치되고, 하우징의 상부에는 여과 엘리먼트의 탈,장착을 위한 캡이 형성되고 그 캡의 하부에는 여과 엘리먼트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코어가 설치되어 캡과 여과 엘리먼트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캡을 하우징으로 부터 분리하면 여과 엘리먼트도 하우징으로 부터 분리되어 진다.
그리고 하우징의 하부에는 여과엘리먼트에서 여과된 오일이 엔진의 메인 갤러리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한 메인 갤러리 연결통로가 형성되고, 오일필터의 정비시에 오일이 오일팬으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한 드레인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오일팬 연결통로의 도중에는 여과엘리먼트를 탈착하는 경우에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잔류오일이 오일팬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오일팬 연결통로를 개방하기 위한 드레인밸브가 설치되어 잔류오일이 드레인밸브를 통해 실린더블록을 거쳐 오일팬으로 유입된다.
이러한 드레인밸브는 오일필터가 정상상태일 경우에는 여과엘리먼트의 하단에 눌리어 닫힌 상태가 되므로서 여과엘리먼트에서 정화된 오일은 메인갤러리 연결통로로만 유도되도록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 드레인밸브를 설치하는 잔류오일 배출장치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근래에는 오일필터에 내장되는 여과엘리먼트의 재질이 향상됨에 따라 크기가 작아도 오일을 여과시키는 기능이 탁월하여 그만큼 여과엘리먼트를 작게 제작할 수 있음에 따라 여과엘리먼트가 설치되는 하우징도 그만큼 작게 제작할 수 있다.
그런데 하우징내에는 여과엘리먼트를 하우징에서 분리할 경우 잔류하는 오일을 오일팬으로 배출하기 위해서 드레인밸브를 별도로 설치되는 것인데, 이처럼 하 우징을 작게 제작하면 드레인밸브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가 상당히 어려워 그만큼 작업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드레인밸브를 설치하는 비용도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내 잔류오일을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드레인밸브를 설치 않고서도 잔류오일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으므로 드레인밸브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확보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만큼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드레인밸브 설치에 따른 부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잔류오일 배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앙에 드레인코어를 구비한 여과엘리먼트가 캡에 의해 하우징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잔류오일 배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드레인코어는 여과엘리먼트 저면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코어하단부를 연장하여 형성하고, 돌출된 코어하단부의 외주면 상하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오링을 설치하며, 하우징의 내부 바닥에는 돌출된 코어하단부가 오링에 의해 기밀력있게 끼워지는 코어삽입부를 형성하고, 하우징의 코어삽입부 일 측벽에는 오일필터 교환시 잔류된 오일을 오일팬과 연결된 실린더블록으로 배출되게 하는 드레인통로의 입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별도의 드레인밸브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하우징에 남아있는 잔류오일을 드레인통로를 통해 오일팬으로 배출되게 하므로서 하우징내에서 드레인밸브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확보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만큼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드레인밸브 삭제에 따른 부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코어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서 드레인코어와 여과엘리먼트가 장착된 캡이 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서 드레인코어와 여과엘리먼트가 장착된 캡이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앙에 드레인코어(110)를 구비한 여과엘리먼트(120)가 캡(100)에 의해 하우징(200)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잔류오일 배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드레인코어(110)는 여과엘리먼트(120) 저면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코어하단부(111)를 연장하여 형성하고, 돌출된 코어하단부(111)의 외주면 상하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오링(112)(113)을 설치한다.
그리고 하우징(200)의 내부 바닥에는 돌출된 코어하단부(111)가 오링(112)(113)에 의해 기밀력있게 끼워지는 코어삽입부(210)를 형성하고, 하우 징(200)의 코어삽입부(210) 일 측벽에는 오일필터 교환시 잔류된 오일을 오일팬과 연결된 실린더블록으로 배출되게 하는 드레인통로(220)의 입구(2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오일필터를 교환하고자 여과엘리먼트(120)가 설치된 캡(100)을 하우징(200)에서 분리할 경우 이때 하우징(200)에 남아있는 잔류오일이 하우징(200)에서 빠져나가 오일팬(도면중 미도시)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별도의 드레인밸브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잔류오일을 오일팬으로 배출할 수 있음에 따라 종전처럼 드레인밸브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그만큼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드레인밸브를 설치하기 위한 부품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드레인코어(110)를 여과엘리먼트(120)보다 돌출되게 코어하단부(111)를 연장 형성하고, 코어하단부(111)의 외주면 상하측에는 서로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오링(112)(113)을 각각 설치하고, 하우징(200)의 바닥 내면에는 코어하단부(111)가 끼워질 수 있는 코어삽입부(210)를 형성하였다.
여기서 코어하단부(111)는 하우징(200)의 코어삽입부(210)에 끼워질때 오링(112)(113)에 의해 기밀력 있게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여과엘리먼트(120)를 교환하기 위해서 여과엘리먼트(120)가 설치된 캡(100)을 하우징(200)에서 분리하면 하우징(200)의 코어삽입부(210)에 삽입되어 있는 드레인코어(110)의 코어하단부(111)가 코어삽입부(210)에서 이탈되면서 여과 엘리먼트(120), 드레인코어(110), 캡(100)이 동시에 하우징(200)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이처럼 하우징(200)의 코어삽입부(210)에서 드레인코어(110)의 코어하단부(111)가 빠지게 되면 코어하단부(111)에 의해 막혀있던 드레인통로(220)의 입구(221)가 개방됨에 따라 하우징(200)의 코어삽입부(210)에 남아있던 잔류오일은 드레인통로(220)의 개방된 입구(221)로 들어가 드레인통로(220)의 끝단에 연결된 실린더블록(도면중 미도시)을 통해 오일팬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새로운 여과엘리먼트(120)와 드레인코어(110)가 설치된 캡(100)을 하우징(200)에 결합하면 드레인코어(110)의 코어하단부(111)는 하우징(200)의 코어삽입부(210)로 들어가 드레인통로(220)의 입구(221)를 막아줌에 따라 오일이 드레인통로(220)로는 흘러나가지 않는다.
이렇게 본 발명은 드레인코어(110)의 코어하단부(111)에 의해 드레인통로(220)의 입구(221)가 개폐되는 것이므로 평상시에는 오일이 드레인통로(220)로 흘러들어갈 우려가 없는 것이고, 하우징(200)에서 캡(100)을 분리할 경우에만 드레인통로(220)의 입구(221)가 개방되어 오일이 드레인통로(220)로 빠져나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코어삽입부(210)에 삽입된 코어하단부(111)의 오링(112)과 오링(113) 사이에는 드레인통로(220)의 입구(221)가 위치되게 하므로서 더욱 밀폐력이 좋아져 즉, 오링(112)과 오링(113)에 의해 기밀력이 더욱 좋아져 오일필터를 교환하기 위해 캡(100)을 하우징(200)에서 분리하지 않는 이상 오일이 드 레인통로(220)로 들어갈 우려가 없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코어를 예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서 드레인코어와 여과엘리먼트가 장착된 캡이 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서 드레인코어와 여과엘리먼트가 장착된 캡이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캡 110 : 드레인코어
111 : 코어하단부 112,113 : 오링
120 : 여과엘리먼트 200 : 하우징
210 : 코어삽입부 220 : 드레인통로
221 : 입구

Claims (2)

  1. 중앙에 드레인코어(110)를 구비한 여과엘리먼트(120)가 캡(100)에 의해 하우징(200)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잔류오일 배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드레인코어(110)는 여과엘리먼트(120) 저면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코어하단부(111)를 연장하여 형성하고,
    돌출된 코어하단부(111)의 외주면 상하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오링(112)(113)을 설치하며,
    하우징(200)의 내부 바닥에는 돌출된 코어하단부(111)가 오링(112)(113)에 의해 기밀력있게 끼워지는 코어삽입부(210)를 형성하고,
    하우징(200)의 코어삽입부(210) 일 측벽에는 오일필터 교환시 잔류된 오일을오일팬과 연결된 실린더블록으로 배출되게 하는 드레인통로(220)의 입구(2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잔류오일 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코어삽입부(210)에 삽입된 코어하단부(111)의 오링(112)과 오링(113) 사이에는 드레인통로(220)의 입구(221)가 위치되게 하여 코어하단부(111)의 탈착에 따라 드레인통로(220)의 입구(221)가 개폐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잔류오일 배출장치.
KR1020080062255A 2008-06-30 2008-06-30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잔류오일 배출장치 KR20100002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255A KR20100002387A (ko) 2008-06-30 2008-06-30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잔류오일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255A KR20100002387A (ko) 2008-06-30 2008-06-30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잔류오일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387A true KR20100002387A (ko) 2010-01-07

Family

ID=41812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255A KR20100002387A (ko) 2008-06-30 2008-06-30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잔류오일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23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0853A (zh) * 2018-01-26 2019-08-02 科勒公司 用于更换发动机油过滤器的残余油排出系统及相关方法
US11274757B2 (en) 2017-11-30 2022-03-15 Kohler Co. Fuel cap with duckbill valv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4757B2 (en) 2017-11-30 2022-03-15 Kohler Co. Fuel cap with duckbill valve
US11644115B2 (en) 2017-11-30 2023-05-09 Kohler Co. Fuel cap with duckbill valve
CN110080853A (zh) * 2018-01-26 2019-08-02 科勒公司 用于更换发动机油过滤器的残余油排出系统及相关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6054C2 (ru) Канистровая система фильтрации со стоком, взаимодействующим с фильтрующим элементом
EP1515786B1 (en) Oilfilter assembly
RU2700058C2 (ru) Перепускная крышка и способ направле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через фильтр
US20170043285A1 (en) Oil-filter assembly
KR20050032337A (ko) 내연기관의 오일 필터 어셈블리
KR101190220B1 (ko) 오일필터모듈
KR100972518B1 (ko)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잔류오일 배출장치
KR20100002387A (ko) 자동차용 오일필터의 잔류오일 배출장치
US8534424B2 (en) Automotive turbocharger with integral lubricating oil filter
JP2005201080A (ja) 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
WO2016170716A1 (ja) 燃料フィルタ
KR20200042726A (ko) 차량용 오일필터 체결기구
CN204060850U (zh) 机油冷却滤清装置
IT201800011124A1 (it) Assieme di filtrazione dei gas di blow-by con gruppo di supporto
ITTO990605A1 (it) Motore endotermico provvisto di un dispositivo di depurazione dei gasdi sfiato del basamento.
KR100250054B1 (ko) 엔진오일 여과용 오일필터
KR100906840B1 (ko) 차량 오일쿨러의 오일필터 접속구조
JPH0227111A (ja) 油冷エンジンの油冷装置
KR200464387Y1 (ko) 엔진오일 냉각 및 노폐물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엔진오일 유동시스템
KR200182402Y1 (ko) 오일필터헤드를 이용한 파손된 오일여과지의흡입방지장치
KR100775046B1 (ko) 차량용 오일필터의 오일드레인구조
KR20110085570A (ko) 자동차용 드레인코어 일체형 오일필터
KR19980033477U (ko) 자석 흡착식 이중 오일 여과기
KR100916424B1 (ko) 오일 필터의 드레인 구조
KR100397694B1 (ko) 오일클리너 마운팅용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