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144A -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금속 리테이너 - Google Patents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금속 리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144A
KR20100002144A KR1020090055992A KR20090055992A KR20100002144A KR 20100002144 A KR20100002144 A KR 20100002144A KR 1020090055992 A KR1020090055992 A KR 1020090055992A KR 20090055992 A KR20090055992 A KR 20090055992A KR 20100002144 A KR20100002144 A KR 20100002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clamping body
way clutch
pocket
annula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8986B1 (ko
Inventor
노르베르트 라딩어
프랑크 슈트라우프
귄터 슈밋트
마르틴 할라마
프리더 알트만
헬무트 칼프
Original Assignee
섀플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카게
Publication of KR20100002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9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pivoting or rocking, e.g. sprags
    • F16D41/07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pivoting or rocking, e.g. sprags between two cylindrical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8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with provision for altering the freewheel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2041/0605Spring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50/00Manufacturing;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pring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에 관한 것이며, 클램핑 본체(6)는 내부 링(1)과 상기 내부 링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된 외부 링 사이에서 포켓 림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정지부에 의해 리테이너(2)의 포켓(3)에 안내되며, 이 경우 포켓(3)은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달아 배치되고, 클램핑 본체(6)는 리테이너(2)의 내부에 반경 방향으로 접해 있는 판 스프링(4)으로부터 스프링 텅(5)의 작용을 받으며, 판 스프링(4)은 리테이너(2)의 포켓(3)에 상응하게 배치된 펀칭부를 포함하고, 리테이너(2)는 강제 밴드(steel band)로 제조되며 상기 강제 밴드는 프로파일 형성 및/또는 펀칭 및/또는 재단 및/또는 굽힘 이후 단부들에서 서로 용접되거나, 리테이너(2)는 강 파이프 섹션으로부터 프레스 및/또는 드로잉 및/또는 프로파일 형성 및/또는 펀칭에 의해 제조된다.
리테이너, 포켓, 판 스프링, 환형 플랜지, 섀클

Description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금속 리테이너{METAL RETAINER FOR AN CLAMPING BODY-ONE WAY CLUTCH}
본 발명은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에 관한 것이며, 클램핑 본체는 내부 링과 상기 내부 링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된 외부 링 사이에서 포켓 림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정지부에 의해 리테이너의 포켓 내에 안내되며, 이 경우 포켓은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달아 배치되고, 클램핑 본체는 리테이너의 내부에 반경 방향으로 접해 있는 판 스프링으로부터 스프링 텅의 작용을 받으며, 판 스프링은 리테이너의 포켓에 상응하게 배치된 펀칭부를 포함한다.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를 위한 상기 유형의 범용의 리테이너는 독일 공개 공보 DE 10 2004 028 669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판 스프링은 강으로 제조되며 리테이너 재료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재료(PA46GF, PA66GF, PPS 등)이다. 리테이너는 축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어, 축방향으로 그리고 그 릴리스 상태 및 클램핑 상태에서 정지부를 이용하여 클램핑 본체를 안내한다.
리테이너를 위해 제안된 플라스틱 재료가 200℃까지의 온도 안정성을 가질 수 있더라도, 리테이너에 사용된 플라스틱 재료로 인해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가 전반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점이 단점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 높은 회전수 그리고 공격성 매체 하에서 사용될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를, 플라스틱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도 전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를 개선하는 것이다. 리테이너는 낮은 제조 공차와 가이드 공차를 가져야 하며 작동 시 형태 및 크기 변동이 적어야 한다. 리테이너는 간단하게 그리고 비용면에서 유리하게 제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테이너가 밴드재로 제조되고 상기 밴드가 프로파일 형성 및/또는 펀칭 및/또는 재단 및/또는 굽힘 이후 단부들에서 서로 용접됨으로써 달성된다.
대안적으로, 리테이너는 강 파이프 섹션으로부터 프레스 및/또는 드로잉 및/또는 프로파일 형성 및/또는 펀칭에 의해 제조된다.
독일 공개 공보 DE 31 51 727 C2호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강으로 구성된 프리휠 리테이너 링은 기본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제안된 리테이너는 다수의 부품들, 즉 2개의 측방향 환형 플레이트와, 클램핑 본체를 위한 개별 포켓 리테이너로 구성된다. 이 경우 포켓 리테이너는 U형으로 형성되어 스탬핑되며, 플레이트 링의 개구에 삽입되어 플레이트 링에 연결된다. 이 경우에는 다수의 부품들로 구성됨으로써 비용이 많이 들고 복잡한 리테이너가 된다.
이에 반해 리테이너가 강제 밴드(steel band)로 제조되고 프로파일 형성과, 펀칭과, 재단과, 굽힘 이후에 그 단부들이 용접되는 본원에 제안된 해결책은 비용면에서 유리하며 양산에도 적합하다.
리테이너의 형태에 따라, 파이프 섹션으로 리테이너를 제조하는 것도 비용면에서 유리할 수 있는데, 이는 양산이 아닌 경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리테이너는 반경 방향 외부를 향해 있는 환형 플랜지가 측면에 형성된, 실질적으로 W형 프로파일 횡단면을 갖는다. 상기 프로파일은 판 스프링의 스프링 횡방향 연결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환형 플랜지들 사이에 반경 방향 외부 쪽으로 오프셋된 유극을 갖는다.
상기 프로파일은, 포켓들 사이의 중간 영역에 외부 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클램핑 본체에 대한 정지부로서 사용되는 섀클을 또한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클램핑 본체를 섀클에 보다 양호하게 지지하기 위해 스탬핑부가 제공될 수 있다. 볼록한 섀클의 내부 공간은 판 스프링의 스프링 텅을 위한 자유 공간으로도 사용된다.
섀클과 환형 플랜지 사이에는 클램핑 본체에 대한, 즉 클램핑 본체의 반대편에 대한 추가의 정지부를 포함하는 중간 영역이 제공되고, 이 경우 정지부는 스탬핑부로서 또는 브래킷으로서 형성된다.
환형 플랜지와 중간 영역 또는 오프셋된 유극 사이의 전환부는 판 스프링을 위한 가이드면으로서 형성된다. 이 경우 판 스프링이 양호한 지지면을 갖도록, 환형의 면이 된다. 판 스프링은 실시예에 따라 상기의 가이드면에 고정될 수도 있 다.
본원에 제안된 W형 프로파일 횡단면은 특히 리테이너의 외부 링에서의 외부 안내를 위해 제공되기 때문에, 환형 플랜지의 외부 림에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환형 플랜지의 외부 림에는 축방향으로 정렬된 연장부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장부는 측면에 추가로 장착된 미끄럼판에 대한 지지부로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리테이너는 반경 방향 내부를 향해 있는 환형 플랜지를 측면에 구비한, 실질적으로 A형 프로파일 횡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A형 프로파일도 포켓들 사이의 중간 영역에, 외부 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섀클을 포함한다. 환형 플랜지와 섀클 사이에 중간 영역이 다시 제공된다. 중간 영역에는 내부를 향해 있으며 클램핑 본체에 대한 정지부로서 사용되는 펀칭 브래킷이 섀클 옆에 형성된다. 이 경우 포켓의 림은 마찬가지로 클램핑 본체에 대한 정지부로서 사용되는 스탬핑면을 중간 영역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A형 프로파일의 경우에도, 클램핑 본체가 경우에 따라 외부 링의 내부면에 지지되면서 그리고 판 스프링의 스프링 텅의 보조를 받으면서 안정적 위치, 즉 상기 클램핑 본체가 내부 링으로부터 상승해서 마찰이 없는 프리휠 상태에 이르는 위치에 도달하도록, 클램핑 본체를 위해 포켓의 양 측면 상에 정지부가 있다.
A형 프로파일의 경우에도 판 스프링이 리테이너의 내부면에 균등하게 그리고 정확한 위치에 위치/지지되도록, 중간 영역에는 내부를 향해 있는 융기부가 측방향으로 포켓 옆에 형성되며 융기부는 판 스프링을 위한 가이드 베어링으로서 사용된 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리테이너는 마찬가지로 반경 방향 내부를 향해 있는 환형 플랜지를 측면에 구비한, 실질적으로 M형 프로파일 횡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프로파일은 전술한 2개의 프로파일과 달리 외부 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섀클이 아니라, 내부 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직접적으로 또는 스탬핑부에 의해 클램핑 본체에 대한 정지부로서 사용되는 함몰부를 중간 영역에 포함한다. 이 경우 중간 영역에는 내부를 향해 있는 펀칭/굽힘 브래킷이 함몰부 옆에 형성되며, 상기 브래킷은 클램핑 본체에 대한 추가의 정지부로서 사용된다. M형 프로파일 역시 중간 영역에서 포켓 옆에, 판 스프링의 안내와 지지를 위한 융기부를 포함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의 내부 링 또는 외부 링에서의 내부 안내 또는 외부 안내도 맡을 수 있으며 노즈, 훅 등에 의해 리테이너에 고정될 수 있는 미끄럼판을 리테이너의 측면에 제공하는 점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미끄럼판은 특히 저항 용접에 의해 환형 플랜지와, 또는 환형 플랜지의 가이드 플랜지와 용접되거나 연장부와 용접될 수 있다. 지정된 용접점에 이르기 위해, 상호 용접될 부품들에 용접 러그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테이너가 강제 밴드로 제조되고 프로파일 형성, 펀칭, 재단 및 굽힘 이후 단부들이 용접되므로 비용이 적게 들고 양산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1에서는 상세도일 경우에 한해, 단지 외피면이 섹션별로 도시 되어 있는 내부 링이 "1"로 표시되어 있다. 내부 링 둘레에는 W형 강 프로파일로서 구현된 리테이너(2)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리테이너(2)는 바람직하게는 펀칭된 포켓(3)을 포함한다. 리테이너(2) 내에는 스프링 텅(5)을 포함하는 판 스프링(4)이 장착된다. 포켓(3) 내에는 클램핑 본체(6)가 삽입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2)는 측면에 형성된 2개의 환형 플랜지(7)를 포함하며, 환형 플랜지는 측방향으로 반경 방향 외부를 향해 있다. 환형 플랜지(7)의 내부 쪽으로는 중간 영역(8)이 이어지며, 중간 영역은 "9"로 표시된 섀클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W형 프로파일은 중간 영역(8)과 섀클(9) 내에 유극(10)을 가지며, 유극은 판 스프링(4)의, 특히 판 스프링(4)의 스프링 텅(5)의 기능 자유도에 사용된다.
도 1에 따른 클램핑 본체(6)는 뚜렷한 클램핑 본체 위치를 가지며, 시계 방향으로 좌측 클램핑 본체(6)는 접촉되지 않은 위치에 있다. 클램핑 본체(6)의 지지면은 중간 영역(8)의 내부 림에 형태 결합식으로 접하며, 대향 배치된 측면은 섀클(9)의 림에 접하면서, 도시되지 않은 외부 링의 내부 레일에 접한다. 해당 스프링 텅(5)을 변형시키기도 하는 원심력 상태가 다루어진다. 시계 방향으로 도시된 후속 클램핑 본체(6)는, 클램핑 본체(6)가 섀클(9)과, 스프링 텅(5)과, 내부 링(1) 및 외부 링의 내벽 및 외벽 사이에 배치된 장착 위치에 있다. 우측 장착 위치에 있는 클램핑 본체(6)는, 클램핑 본체(6)가 내부 링(1)과 외부 링 사이에서만 클램핑되는 최대 토크 하중을 한정한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중간 영역(8)에는 실질적으로 리테이너(2)의 원주 방향으로 정렬되며 "11"로 표시된 브래킷이 형성된다. 브래킷은, 접촉되지 않는 원심력 상태일 때 클램핑 본체가 섀클(9)과 브래킷(11)에 지지되어 스프링 텅(5)의 하중을 받도록, 클램핑 본체(6)에 대한 정지부로서 사용된다.
도 6에 따른 단면도에서 리테이너(2)는 A형 프로파일로서 형성된다. 중간 영역(8)으로부터는,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 내부 쪽으로 돌출하며 경사진 정지부를 갖는 펀칭 브래킷(12)이 형성된다. 중간 영역(8)의 림은 스탬핑면(13)을 또한 포함하므로, 클램핑 본체(6)는 스탬핑면(13) 뿐만 아니라 펀칭 브래킷(12)에도 지지될 수 있다. 중간 영역에는 내부를 향해 있는 융기부(14)가 측방향으로 포켓(3) 옆에 형성되며, 융기부는 판 스프링(4)을 위한 가이드 베어링으로서 사용된다. 판 스프링은 융기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10에 따른 단면도에서 리테이너(2)는 M형 프로파일로서 구현되며, 이 경우 측면의 환형 플랜지(7)는 외부가 아니라 내부를 향해 있다. 환형 플랜지(7)에는 함몰부(15)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중간 영역들(8)이 다시 연결된다. 함몰부(15)는 클램핑 본체(6)에 대한 정지부로서 사용되는 측방향 스탬핑면(13)을 포함한다. 반경 방향 내부 쪽으로 정렬되며 경사부(18)를 갖는 펀칭/굽힘 브래킷(16)이 중간 영역(8)에 또한 형성되며, 상기 브래킷은 클램핑 본체(6)에 대한 정지부로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 걸러 하나의 포켓(3) 옆에, 판 스프링(4)을 위한 가이드 베어링으로서 사용되는 융기부(14)가 형성된다. 판 스프링(4)이 하나 걸러 하나의 포켓(3)에 측방향으로 지지되고 모든 포켓에 지지되지 않아도 충분할 수 있다. 이는 물론 판 스프링(4)의 구성에 따라 좌우된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에도 도 6 내지 도9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모든 포켓(3) 옆에 각각 하나의 융기부(14)가 제공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플랜지(7) 옆에 미끄럼판(17)이 구성될 수 있으며, 미끄럼판은 내부 및/또는 외부 쪽으로 환형 플랜지(7)를 보완하므로 내부로부터 외부로 또는 외부로부터 내부로 안내가 전환될 수 있다. 미끄럼판(17)은 형태 결합식으로 또는 재료 결합식으로 리테이너(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5에서 환형 플랜지(7)는 용접점(20)에 의해 미끄럼판(17)에 연결되는 연장부(19)를 포함한다. 해당 리테이너(2)는 도 16에 도시된다. 저항 용접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해 좌측 연장부(19)에는 용접 러그(21)가 형성된다. 대향 배치된 연장부(19)의 측면에는, 환형 플랜지(7)를 외부 링에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면(22)으로서 형성된 차단부가 있다.
도 17에서 미끄럼판(17)의 내부면에는 내부를 향해 있는 환형 플랜지(7)에 미끄럼판(17)이 확실히 고정되도록 하는 훅(23)이 장착된다. 상기 유형의 훅(23)은 도 14와 도 20에도 도시된다.
훅(23)은 미끄럼판(17)의 외부 림에도 배치되어, 외부를 향해 있는 환형 플랜지(7)를 둘러쌀 수 있다(도 18).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플랜지(7)의 연장부(19)에는 개구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 내에 노브가 맞물려서 미끄럼판(17)을 고정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도 20에는 내부를 향해 있는, 도시되지 않은 환형 플랜지가 고정되어 있는 훅(23)을 구비한 미끄럼판(17)의 전체가 도시될 수 있다.
도 21에는 미끄럼판(17)을 리테이너(2)에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용접점(20)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간단히 도시되어 있는 도면들이 본원의 추가 설명을 위해 참조된다.
도 1은 판 스프링을 구비하며 클램핑 본체가 삽입된, W형 프로파일의 리테이너의 단면도.
도 2는 리테이너가 변형된 도1의 단면도.
도 3은 도2에 따른 리테이너의 단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상응하게 클램핑 본체가 삽입된 리테이너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판 스프링을 구비한, W형 리테이너의 횡단면도.
도 6은 판 스프링을 구비한, A형 프로파일의 리테이너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따른 리테이너의 단면도.
도 8은 도 6에 상응하는 리테이너의 외관 사시도.
도 9는 도6에 상응하게 클램핑 본체가 삽입된 리테이너의 외관 사시도.
도 10은 판 스프링을 구비한, M형 프로파일의 리테이너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리테이너의 외관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 따른 리테이너의 단면도.
도 13은 도 10에 상응하게 판 스프링을 구비하며 클램핑 본체가 삽입된 리테이너의 외관 사시도의 컷아웃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미끄럼판이 부착되어 있는, 도 13과 유사한 컷아웃의 도면.
도 15는 판 스프링과, 클램핑 본체와, 용접된 미끄럼판을 구비한 리테이너의 부분 횡단면도.
도 16은 연장부를 구비한 W형 리테이너의 횡단면도.
도 17은 내부를 향해 있는 환형 플랜지와, 훅 연결된 미끄럼판을 구비한, 도 15와 유사한 부분 횡단면도.
도 18은 외부를 향해 있는 환형 플랜지를 구비한, 도 17에 상응하는 부분 횡단면도.
도 19는 클립핑된 미끄럼판을 구비한, 도 15와 유사한 부분 횡단면도.
도 20은 판 스프링과, 클램핑 본체와, 양측에 훅 연결된 미끄럼판을 갖는 리테이너의 사시도.
도 21은 용접된 미끄럼판과 외부를 향해 있는 환형 플랜지를 구비한, 도 20과 유사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부 링
2 : 리테이너
3 : 포켓
4 : 판 스프링
5 : 스프링 텅
6 : 클램프 바디
7 : 환형 플랜지
8 : 중간 영역
9 : 섀클
10 : 유극
11 : 브래킷
12 : 펀칭 브래킷
13 : 스탬핑면
14 : 융기부
15 : 함몰부
16 : 펀칭/굽힘 브래킷
17 : 미끄럼판
18 : 경사부
19 : 연장부
20 : 용접점
21 : 용접 러그
22 : 가이드면
23 : 훅

Claims (18)

  1.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이며, 클램핑 본체(6)는 내부 링(1)과 상기 내부 링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된 외부 링 사이에서 포켓 림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정지부에 의해 리테이너(2)의 포켓(3)에 안내되며, 이 경우 포켓(3)은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달아 배치되고, 클램핑 본체(6)는 리테이너(2)의 내부에 반경 방향으로 접해 있는 판 스프링(4)으로부터 스프링 텅(5)의 작용을 받으며, 판 스프링(4)은 리테이너(2)의 포켓(3)에 상응하게 배치된 펀칭부를 포함하는,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에 있어서,
    리테이너(2)는 강제 밴드(steel band)로 제조되며 상기 강제 밴드는 프로파일 형성 및/또는 펀칭 및/또는 재단 및/또는 굽힘 이후 단부에서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
  2.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이며, 클램핑 본체(6)는 내부 링(1)과 상기 내부 링에 대해 동심으로 배치된 외부 링 사이에서 포켓 림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정지부에 의해 리테이너(2)의 포켓(3)에 안내되며, 이 경우 포켓(3)은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달아 배치되고, 클램핑 본체(6)는 리테이너(2)의 내부에 반경 방향으로 접해 있는 판 스프링(4)으로부터 스프링 텅(5)의 작용을 받으며, 판 스프링(4)은 리테이너(2)의 포켓(3)에 상응하게 배치된 펀칭부를 포함하는,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에 있어서,
    리테이너(2)는 강 파이프 섹션으로부터 프레스 및/또는 드로잉 및/또는 프로파일 형성 및/또는 펀칭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리테이너(2)는 반경 방향 외부를 향해 있는 환형 플랜지(7)를 측면에 구비한, 실질적으로 W형 프로파일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환형 플랜지들(7)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외부 쪽으로 오프셋된 유극(1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포켓들(3) 사이의 중간 영역에 외부 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클램핑 본체(6)에 대한 정지부로서 사용되는 섀클(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형 플랜지(7)와 섀클(9) 사이에는, 직접적으로 또는 스탬핑부 또는 브래킷(11)에 의해 클램핑 본체(6)에 대한 정지부로서 사용되는 중간 영역(8)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형 플랜지(7)와 중간 영역(8) 사이의 전환부는 판 스프링(4)을 위한 가이드 베어링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형 플랜지(7)의 외부 림에 가이드면(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형 플랜지(7)의 외부 림은 축방향으로 정렬된 연장부(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테이너(2)는 반경 방향 내부를 향해 있는 환형 플랜지(7)를 측면에 구비한, 실질적으로 A형 프로파일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영역(8)에는 내부를 향해 있으며 클램핑 본체(6)에 대한 정지부로서 사용되는 펀칭 브래킷(12)이 섀클(9) 옆 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켓(3)의 림은 클램핑 본체(6)에 대한 정지부로서 사용되는 스탬핑면(13)을 중간 영역(8)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영역(8)에는 내부를 향해 있는 융기부(14)가 측방향으로 포켓 옆에 형성되며, 융기부는 판 스프링(4)을 위한 가이드 베어링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테이너(2)는 반경 방향 내부를 향해 있는 환형 플랜지(7)를 측면에 구비한, 실질적으로 M형 프로파일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내부 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직접적으로 또는 스탬핑면(13)에 의해 클램핑 본체(6)에 대한 정지부로서 사용되는 함몰부(15)를 포켓들(3) 사이의 중간 영역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중간 영역(8)에서 함몰부(15) 옆에 내부를 향해 형성되고 클램핑 본체(6)에 대한 정지부로서 사용되는 펀칭/굽힘 브래킷(16)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테이너(2)의 측면에는 형태 결합식으로 또는 재료 결합식으로 리테이너(2)에 고정된 미끄럼판(17)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
  18. 제17항에 있어서, 미끄럼판(17)은 저항 용접에 의해 리테이너(2)에, 특히 환형 플랜지(7)에 또는 가이드면에 또는 연장부(1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리테이너(2).
KR1020090055992A 2008-06-24 2009-06-23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금속 리테이너 KR101608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30017.9 2008-06-24
DE102008030017.9A DE102008030017B4 (de) 2008-06-24 2008-06-24 Metallkäfige für Klemmkörperfreilaufkupplun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144A true KR20100002144A (ko) 2010-01-06
KR101608986B1 KR101608986B1 (ko) 2016-04-04

Family

ID=41396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992A KR101608986B1 (ko) 2008-06-24 2009-06-23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금속 리테이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08986B1 (ko)
CN (1) CN101614252B (ko)
DE (1) DE10200803001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21717A1 (de) 2012-11-28 2014-05-2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Freilaufkäfig
DE102013206669A1 (de) 2013-04-15 2014-10-30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Freilaufkäfig
JP6069270B2 (ja) * 2014-08-28 2017-02-01 株式会社一戸 クラッチドラムコンプリー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06947A (en) * 1950-12-22 1954-04-07 Borg Warn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ne-way engaging device
DE1142254B (de) * 1951-12-24 1963-01-10 Borg Warner Freilaufkupplung
GB852314A (en) * 1959-03-16 1960-10-26 Formsprag Co Sprag and retainer assembly for one-way clutches
US3207278A (en) * 1962-02-08 1965-09-21 Albert Titt & Co One-way sprag clutch with spring means
US3219163A (en) * 1963-06-24 1965-11-23 Formsprag Co Sprag and retainer structure
FR2093188A5 (ko) * 1970-06-04 1972-01-28 Skf Cie Applic Mecanique
DE3151727C2 (de) 1981-12-29 1986-11-27 Ringspann Albrecht Maurer Kg, 6380 Bad Homburg Freilauf-Käfigring
DE3729632A1 (de) * 1987-09-04 1989-03-16 Schaeffler Waelzlager Kg Freilaufkupplung mit klemmkoerpern
US5070976A (en) * 1990-12-27 1991-12-10 Dana Corporation Sprag retainer
US5285950A (en) * 1991-06-19 1994-02-15 Dana Corporation Wire sprag retainer
JP3869067B2 (ja) * 1996-07-09 2007-01-17 株式会社ユニバンス 一方向クラッチ
DE10310225A1 (de) * 2003-03-08 2004-09-16 Ina-Schaeffler Kg Freilaufkupplung
DE102004028669A1 (de) 2004-06-12 2005-12-29 Ina-Schaeffler Kg Freilaufkupplung
DE102005046800A1 (de) * 2005-09-30 2007-04-05 Schaeffler Kg Freilaufkäfigring
DE102006023564A1 (de) * 2006-05-19 2007-11-22 Schaeffler Kg Freilaufkupplung
FR2906858B1 (fr) * 2006-10-04 2008-12-05 Skf Ab Dispositif de poulie debrayable.
DE102006057896A1 (de) * 2006-12-08 2008-06-12 Schaeffler Kg Federband für eine Freilaufkupp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30017B4 (de) 2016-07-21
CN101614252B (zh) 2016-02-17
CN101614252A (zh) 2009-12-30
KR101608986B1 (ko) 2016-04-04
DE102008030017A1 (de)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3191B2 (en) Multi-part axial cage for a large-diameter roller bearing
CN107532660B (zh) 滚柱型单向离合器
US7987957B2 (en) Bushing-type roller overrunning clutch with a cage for needles or rollers
US20070119676A1 (en) Overrunning clutch
US20120000741A1 (en) Freewheel clutch
JP4943915B2 (ja) 一方向クラッチ
US8348040B2 (en) Freewheel coupling
JP2014505848A (ja) 転がり軸受けケージセグメント、転がり軸受けケージおよび転がり軸受けケージの組立て法
JP2013032842A (ja) 軸受け保持器セグメント、軸受け保持器および該軸受け保持器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CN107687482B (zh) 机动车的摩擦离合器和/或制动器用的按压板
KR20100002144A (ko) 클램핑 본체 원웨이 클러치용 금속 리테이너
KR20090010062A (ko) 프리휠 클러치
EP3187756A1 (en) Mechanical seal
JP4739181B2 (ja) オーバーラニングクラッチ
US7503442B2 (en) Freewheel coupling
CN106369083A (zh) 活塞回位用弹簧组装体
EP3354944B1 (en) Metal bellows
US20160333944A1 (en) Clutch carrier assembly
US20180259011A1 (en) Sprag one-way clutch
JP3881100B2 (ja) 一方向クラッチ
CN104813055A (zh) 自由轮机构保持架
KR20120013939A (ko) 프리휠 클러치
US20240003474A1 (en) Fluid connection unit
CN113874635B (zh) 液压活塞组件
KR101851449B1 (ko) 클러치 릴리즈 베어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