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121A - 회동체의 동작기구 - Google Patents
회동체의 동작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2121A KR20100002121A KR1020090053345A KR20090053345A KR20100002121A KR 20100002121 A KR20100002121 A KR 20100002121A KR 1020090053345 A KR1020090053345 A KR 1020090053345A KR 20090053345 A KR20090053345 A KR 20090053345A KR 20100002121 A KR20100002121 A KR 201000021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gear
- rotating body
- operating mechanism
- link member
- gear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revolv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과제) 정해진 1개의 축에 의하지 않고 회동체를 회동시키도록 한 기구에 있어서, 각별한 배려를 하는 일 없이 회동체를 지지체에 대해서 요동 적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지지체(1)에는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라서 형성됨과 아울러 이 가상의 원의 원심 측으로 이끝면을 향하게 한 고정측 기어부(10h)가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회동체(2)의 피지지부(20)에는 상기 고정측 기어부(10h)에 맞물리는 가동측 기어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상의 원의 대략 원심위치에 있어서 제 1 축(4)에 의해서 지지체(1)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제 2 축(5)에 의해서 상기 가동측 기어부(23)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링크부재(3)에 의해서 고정측 기어부(10h)에 가동측 기어부(23)가 맞물려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해진 1개의 축에 의하지 않고 기준위치와 전개위치에 걸려서 회동 가능하게 회동체를 동작시키는 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도어체의 암부에 설치된 원호형상 기어부에 맞물리는 제 1 고정 기어부를 상자형상 기체(基體)에 설치함과 아울러, 도어체의 암부에 설치된 회전기어에 맞물리는 제 2 고정 기어부를 상자형상 기체에 설치하고, 이것에 의해서 도어체를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에 걸쳐서 회동 가능하게 상자형상 기체에 조립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기구에서는, 도어체를 정해진 1개의 축에 의하지 않고 회동시킬 수 있는 반면, 상기 원호형상 기어부와 제 1 고정 기어부의 맞물림과 상기 회전기어와 제 2 고정 기어부의 맞물림에 의해서 도어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므로, 도어체를 상자형상 기체에 대해서 요동 적게 지지시키기 어려운 것이었다. 또, 양자의 위치맞춤도 하기 어렵고, 예정하지 않은 틈새가 양자 사이에 생기거나 양자 의 의장면의 부정합을 일으키키 쉬운 것이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 제3833925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러한 종류의 기구, 즉 정해진 1개의 축에 의하지 않고 회동체(특허문헌 1에서의 도어체)를 회동시키도록 한 기구에 있어서, 각별한 배려를 하는 일이 없이 회동체를 지지체(특허문헌 1에서의 상자형상 기체)에 대해서 요동 적게, 또한 예정하지 않은 틈새가 양자 사이에 생기거나 양자의 의장 면의 부정합을 일으키는 일이 없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회동체의 동작기구를 다음의 (1)∼(4)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1) 피지지부에 의해서 지지체에 기준위치와 전개위치에 걸쳐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회동체의 동작기구에 있어서,
(2) 지지체에는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라서 형성됨과 아울러 이 가상의 원의 원심 측으로 이끝면을 향하게 한 고정측 기어부가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3) 회동체의 피지지부에는 상기 고정측 기어부에 맞물리는 가동측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4) 상기 가상의 원의 원심위치에 있어서 제 1 축에 의해서 지지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제 2 축에 의해서 상기 가동측 기어부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링크부재에 의해서 고정측 기어부에 가동측 기어부가 맞물려 있다.
회동체의 회동과정에 있어서는 상기 링크부재에 의해서 항시 가동측 기어부가 고정측 기어부에 맞물림과 아울러, 이 맞물림 상태는 상기 회동과정에 있어서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깊어지거나 얕아지거나 하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해서, 회동체는 지지체에 대해서 요동 적게 조립되며, 예정하지 않은 틈새가 양자 사이에 생기거나 양자의 의장면의 부정합을 일으키는 사태를 가능한 한 방지할 수 있다. 또, 회동체는 고정측 기어부의 형성방향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이동하면서 링크부재에 대해서 제 2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이므로, 정해진 1개의 축에 의하지 않고 기준위치와 전개위치에 걸쳐서 회동 가능하게 회동체를 규칙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의 회동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수단을 구비하여 두면, 회동체가 기준위치와 전개위치에 걸쳐서 천천히 회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링크부재에는 제 1 축의 축중심을 원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라서 링크측 기어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지지체에는 제동수단의 제동력의 작용을 받으며 상기 링크측 기어부에 맞물리는 제동수단측 기어를 구비시켜 둔다.
제동수단측 기어를 정회전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에 의해서 회동체가 전개위치를 향해서 회동되도록 하여 두면, 기준위치에 있는 회동체를 전개위치까지 강제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측 기어부를, 지지체의 측부와의 사이에 가동측 기어부를 수납하는 커버체의 상기 지지체의 측부로 향하는 면측에 형성하여 두며, 회동체의 피지지부의 그 축선방향으로의 요동을 상기 커버체에 의해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해진 1개의 축에 의하지 않고 회동체를 회동시키도록 한 기구에 있어서, 각별한 배려를 하는 일이 없이 회동체를 지지체에 대해서 요동 적게, 또한 예정하지 않은 틈새가 양자 사이에 생기거나 양자의 의장면의 부정합을 일으키는 일이 없이 조립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구성된 회동체(2)로서의 리드(2')를 구비한 수납장치의 각 구성부품을 분리시킨 상태로 나타내고, 도 2 내지 도 4는 리드(2')가 기준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 5는 리드(2')가 전개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2는 지지체(1)로서의 케이스(1')의 우측 측판(10d)의 후방에 구비되는 동작기구를, 도 3은 케이스(1')의 좌측 측판(10d)의 후방에 구비되는 동작기구를 각각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회동체(2)의 동작기구는, 회동체(2)를 정해진 1개의 축에 의하지 않고 기준위치와 전개위치에 걸쳐서 회동 가능하게 규칙적으로 동작시킴과 아울러, 이와 같은 동작을 확보하면서 회동체(2)를 지지체(1)에 대해서 요동 적게, 또한 예정하지 않은 틈새가 양자 사이에 생기거나 양자의 의장면의 부정합을 일으키는 일이 없이 조립시키는 것이다.
상기 동작기구는 예를 들면 리드, 도어, 암 등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리드 등의 동작기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동작기구를, 지지체(1)로서의 케이스(1')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0a)를 기준위치에서 거의 수평하게 위치되어 상측에서 폐색하는 회동체(2)로서의 리드(2')의 동작기구로서 이용하고 있다.
회동체(2)는 피지지부(20)에 의해서 지지체(1)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지지체(1)로서의 케이스(1')는 전판(10b)과 후판(10c)과 좌우 측판(10d,10d)과 저판(10e)을 가지며, 전후방향(x)으로 좁고 좌우방향(y)으로 넓은 개구부(10a)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회동체(2)로서의 리드(2')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을 이루는 리드 본체(21)를 가짐과 아울러, 이 리드 본체(21)의 좌우 양측에 피지지부(20)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좌우 피지지부(20,20)는 그 판면을 상기 리드 본체(21)의 표면에 대해서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또한 전후방향(x)을 따라서 배치한 판형상을 이루도록 각각 구성되어 있다. 또, 좌우 피지지부(20,20)는 기준위치에 있어서의 리드 본체(2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좌우 피지지부(20,20)는 기준위치에 있어서의 리드 본체(21)의 측변부(21a)의 후변부(21b) 측에 일체로 연접되며, 상기 측변부(21a)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브래킷 상부(20b)와 이 브래킷 상부(20b)의 돌출단부에서 거의 90도를 이루면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브래킷 하부(20c)로 이루어지는 브래킷(20a)을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좌측 피지지부(20)가 지지체(1)의 좌측 측판(10d)의 외측에 위치 하고 또한 우측 피지지부(20)가 지지체(1)의 우측 측판(10d)의 외측에 위치하며, 각각의 측에서 지지체(1)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브래킷(20a)의 외면부(20d)에는 원판형상을 이루며 그 주연부에 톱니를 구비한 가동측 기어부(23)로서의 기어 형상체(23a)가 이 기어 형상체(23a)의 일측면을 상기 외면부(20d)에 맞댄 상태로 나사고정되어 있다. 즉, 회동체(2)의 피지지부(20)에는 후술하는 고정측 기어부(10h)에 맞물리는 가동측 기어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측 기어부(23)의 중심에는 브래킷 하부(20c)에 형성된 원형의 관통구멍(20e)에 연이어 통하는 원형의 축구멍(23b)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관통구멍(20e)과 축구멍(23b)에 끼워지는 슬리브 형상부를 구비한 부시(5a)에 후술하는 링크부재(3)의 일단부에 형성된 보스부(31)가 끼워져 나사고정되며, 상기 부시(5a)를 후술하는 제 2 축(5)으로 하여 가동측 기어부(23){즉, 회동체(2)}와 링크부재(3)가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회동체(2)의 우측 피지지부(20)에는, 이 회동체(2)가 기준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0a)의 브래킷 하부(20c)에 상단측을 연접시킴과 아울러 하단측에 후방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스트라이커부(22a)를 구비한 연장 암부(22)가 구비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지지체(1)로서의 케이스(1')의 우측 측판(10d)의 외측에는 상기 연장 암부(22)의 스트라이커부(22a)를 전방으로부터 받아들여서 이것을 캐처(10g)에 의해서 포착하는 래치장치(10f)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래치장치(10f)에 의해서 회동체(2)가 기준위치에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래치장치(10f)가 스트라이커부(22a)를 포착한 상태에서 이 스트라이커부(22a)를 래치장치(10f)의 내측으로 더 압입하면, 캐처(10g)가 스트라이커부(22a)를 해방하도록 되어 있다(이 '압입'을 '제 1 압입'이라 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회동체(2)로서의 리드(2')가 기준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리드 본체(21)의 전단부(21c)를 하측으로 압입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압입에 의해서 스트라이커부(22a)가 래치장치(10f)의 내측으로 압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리드 본체(21)의 전단부(21c)의 압입조작에 의해서 래치장치(10f)에 의한 스트라이커부(22a)의 포착이 해제되면, 후술하는 탄지수단(8)의 탄지에 의해서 회동체(2)로서의 리드(2')가 전개위치(도 5의 위치)까지 강제적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케이스(1')를 구성하는 측판(10d)의 후단부와 후판(10c)과의 사이에는 리드(2')의 전개위치로의 회동과정에서 브래킷(20a)의 브래킷 상부(20b)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전개위치까지 회동된 리드(2')를 기준위치까지 복동(復動)회동시키면, 이 복동회동의 종료시점에서 스트라이커부(22a)가 래치장치(10f) 내에 다시 삽입된다. 상기 제 1 압입에 의해서 스트라이커부(22a)를 해방시킨 래치장치(10f)의 캐처(10g)는, 상기 스트라이커부(22a)의 상기 래치장치(10f) 내로의 재삽입에 의해서 압입되게 되면(이 '압입'을 '제 2 압입'이라 한다), 상기 스트라이커부(22a)를 다시 포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회동체(2)가 기준위치에 있는 상태를 다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리드(2')의 좌측의 지지구조는 후술하는 제동수단(6), 제동수단측 기어(7), 이 제동수단측 기어(7)를 탄지하는 탄지수단(8) 및 상기 래치장치(10f)와 연장 암부(22)가 없는 점을 제외하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리드(2')의 우측의 지지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지지체(1)로서의 상기 케이스(1')에는 동작기구를 구성하는 고정측 기어부(10h)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고정측 기어부(10h)가 지지체(1)의 측부{즉, 케이스(1')의 측판(10d)의 외면(10d')}와의 사이에 가동측 기어부(23)를 수납하는 커버체(10i)의 상기 지지체(1)의 측부로 향하는 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도시한 예에서는, 회동체(2)의 피지지부(20)의 그 축선방향으로의 요동을 상기 커버체(10i)에 의해서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커버체(10i)는 판형상을 이루며, 케이스(1')의 측판(10d)의 외면(10d')에 형성된 받침대(10k)를 이용하여 상기 외면(10d')과의 사이에 상기 가동측 기어부(23)를 수납하는 간격을 두고서 나사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버체(10i)에는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라서 형성됨과 아울러 이 가상의 원의 원심 측으로 이끝면을 향하게 한 래크형상을 이루는 고정측 기어부(10h)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고정측 기어부(10h)는, 상기 가상의 원의 원심이 케이스(1')의 후판(10c) 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1')의 전후방향 대략 중 간정도의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체(10i)에 있어서의 케이스(1')의 후판(10c) 측으로 향하여 있는 내측 가장자리부(10j)와 고정측 기어부(10h)의 이끝면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개소는, 회동체(2)의 회동과정에 있어서 항시 가동측 기어부(23)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측 기어부(23)는 회동체(2)의 회동과정에 있어서 링크부재(3)에 의해서 항시 상기 고정측 기어부(10h)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링크부재(3)는 상기 가상의 원의 거의 원심위치에 있어서 제 1 축(4)에 의해서 지지체(1)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이것과 함께 제 2 축(5)에 의해서, 즉 상기 부시(5a)를 통해서 상기 가동측 기어부(23)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링크부재(3)는, 작은 지름의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르는 일단부(30a)와 이것보다 큰 지름의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르는 타단부(30b)를 구비한 판형상 링크 본체(30)와, 이 판형상 링크 본체(30)의 일단부(30a)에 있어서 상기 작은 지름의 가상의 원의 원심위치에서 판형상 링크 본체(30)의 판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보스부(31)와, 이 판형상 링크 본체(30)의 타단부(30b)에 있어서 상기 큰 직경의 가상의 원의 원심위치를 기어 중심으로 하도록 이 타단부(30b)에 일체로 형성된 후술하는 링크측 기어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링크측 기어부(32)는 링크부재(3)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스(1')의 측판(10d)으로 향하는 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스부(31)는 이것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부재(3)의 타단부(30b)에는 상기 링크측 기어부(32)의 기어 중심을 구멍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축구멍(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1')의 측판(10d)에 형성 된 보스(10m)가 끼워지는 슬리브 형상부를 구비한 부시(4a)를 상기 축구멍(33)을 통해서 나사고정함으로써, 링크부재(3)가 지지체(1)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부시(4a)가 상기 제 1 축(4)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회동체(2)의 회동과정에 있어서는 상기 링크부재(3)에 의해서 항시 가동측 기어부(23)가 고정측 기어부(10h)에 맞물림과 아울러, 이 맞물림 상태는 상기 회동과정에 있어서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깊어지거나 얕아지거나 하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해서, 회동체(2)는 지지체(1)에 대해서 요동 적게 조립되며, 예정하지 않은 틈새가 양자 사이에 생기거나 양자의 의장면의 부정합을 일으키는 사태를 가능한 한 방지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도시한 예에 의거하여 말하면, 리드(2')가 기준위치에 있을 때에, 케이스(1')의 개구부(10a)와 이것을 폐색하는 리드 본체(21)의 외주연과의 사이에 어느 위치에서나 균일한 틈새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 회동체(2)는 고정측 기어부(10h)의 형성방향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이동하면서 링크부재(3)에 대해서 제 2 축(5)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이므로, 정해진 1개의 축에 의하지 않고 기준위치와 전개위치에 걸려서 회동 가능하게 회동체(2)를 규칙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회동체(2)로서의 리드(2')가 기준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 서, 고정측 기어부(10h)의 상단 측에 가동측 기어부(23)가 맞물려 있다. 이 때, 링크부재(3)는 제 1 축(4)의 직상에 제 2 축(5)을 위치시키고 있다. 후술하는 제동수단측 기어(7)의 작용에 의해서 링크부재(3)가 제 1 축(4)을 케이스(1')의 전판(10b) 측으로 접근시키는 방향{도 4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이것에 수반하여 가동측 기어부(23)가 고정측 기어부(10h)를 따라서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리드(2')는 전체적으로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가동측 기어부(23)가 고정측 기어부(10h)에 맞물리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리드(2')는 제 2 축(5)을 중심으로 하여 리드 본체(21)의 전단부(21c)를 케이스(1')의 개구부(10a)에서 격리시키는 방향{도 4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서, 정해진 1개의 축을 중심으로 리드(2')를 회동시키는 경우에 비해서, 개방동작의 과정에 있어서 리드 본체(21)의 전단부(21c)의 이동궤적을 낮은 레벨로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동작기구는 상기 링크부재(3)의 회동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수단(6)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링크부재(3)에는 상기 제 1 축(4)의 축중심을 원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라서 상기 링크측 기어부(32)를 형성함과 아울러, 지지체(1)에는 제동수단(6)에 의한 제동력의 작용을 받으며 상기 링크측 기어부(32)에 맞물리는 제동수단측 기어(7)를 구비시키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링크부재(3)의 전방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측 기어부(10h)를 구비하는 커버체(10i)와 상기 케이스(1')의 측판(10d)과의 사이에 있어 서 상기 제동수단측 기어(7)가 케이스(1')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상기 제동수단측 기어(7)의 회전축은 제 1 축(4)과 거의 같은 레벨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축(4) 및 제 2 축(5)과 평행하게 축선을 좌우방향으로 따르게 하고 있다. 또, 상기 제동수단측 기어(7)보다도 전방에는 이 제동수단측 기어(7)에 상측에서 피니언(6a)을 항시 맞물리게 하는 제동수단(6)으로서의 댐퍼장치(6')가 케이스(1')의 측판(10d)에 부착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댐퍼장치(6')의 도시하지 않은 로터체에 상기 피니언(6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댐퍼장치(6')는 로터체와 고정체(6b)로 이루어지며, 로터체의 회전에 제동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이른바 로터리 덤퍼). 상기 제동의 부여는, 예를 들면 고정체(6b) 내에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유체를 봉입함에 의해서 확보된다. 피니언(6a)은 상기 댐퍼장치(6')에 있어서의 고정체(6b)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로터체의 출력축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댐퍼장치(6')에 구비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동수단측 기어(7)를 정회전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8)에 의해서 회동체(2)가 전개위치를 향해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제동수단측 기어(7)의 회전축을 에워싸도록 이 제동수단측 기어(7)의 외면측에 형성된 보스부(7a)에 스프링 코일부(8a)를 외측끼움함으로써 세트됨과 아울러, 일단부(8b)를 상기 제동수단측 기어(7)에 고정하고 타단부(8c)를 케이스(1')의 측판(10d) 측에 고정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8')에 의해서 도 4에 있어서의 시계반대방향으로 제동수단측 기어(7)가 항시 탄지되도록 되어 있 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래치장치(10f)에 의한 상기 스트라이커부(22a)의 포착을 상기한 바와 같이 해제하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8')의 탄지에 의한 제동수단측 기어(7)의 정회전에 의해서 링크부재(3)를 통해서 회동체(2)로서의 리드(2')가 기준위치에서 전개위치까지 강제적으로 회동하게 된다. 제동수단측 기어(7)의 정회전에는 상기 제동수단(6)의 제동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제 1 축(4)을 중심으로 한 링크부재(3)의 회동 및 상기 회동체(2)의 회동이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전개위치에 있는 리드(2')를 기준위치로 복동회동시키면, 이것에 수반하는 링크부재(3)의 도 4에 나타내는 위치로의 회동에 의해서 제동수단측 기어(7)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8')에 탄지력을 축적시키면서 역회전하게 된다.
도 1은 동작기구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동작기구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동작기구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동작기구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동작기구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지체 10h - 고정측 기어부
2 - 회동체 20 - 피지지부
23 - 가동측 기어부 3 - 링크부재
4 - 제 1 축 5 - 제 2 축
Claims (7)
- 피지지부(20)에 의해서 지지체(1)에 기준위치와 전개위치에 걸쳐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회동체(2)의 동작기구에 있어서,지지체(1)에는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라서 형성됨과 아울러 이 가상의 원의 원심 측으로 이끝면을 향하게 한 고정측 기어부(10h)가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회동체(2)의 피지지부(20)에는 상기 고정측 기어부(10h)에 맞물리는 가동측 기어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가상의 원의 원심위치에 있어서 제 1 축(4)에 의해서 지지체(1)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제 2 축(5)에 의해서 상기 가동측 기어부(23)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링크부재(3)에 의해서 고정측 기어부(10h)에 가동측 기어부(23)가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동작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링크부재(3)의 회동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수단(6)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동작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링크부재(3)에는 제 1 축(4)의 축중심을 원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라서 링크측 기어부(32)를 형성함과 아울러, 지지체(1)에는 제동수단(6)에 의한 제동력의 작용을 받으며 상기 링크측 기어부(32)에 맞물리는 제동수단측 기어(7)를 구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동작기구.
- 청구항 2에 있어서, 링크부재(3)에는 제 1 축(4)의 축중심을 원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의 원호를 따라서 링크측 기어부(32)를 형성함과 아울러, 지지체(1)에는 제동수단(6)에 의한 제동력의 작용을 받으며 상기 링크측 기어부(32)에 맞물리는 제동수단측 기어(7)를 구비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동작기구.
- 청구항 3에 있어서, 제동수단측 기어(7)를 정회전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8)에 의해서 회동체(2)가 전개위치를 향해서 회동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동작기구.
- 청구항 4에 있어서, 제동수단측 기어(7)를 정회전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8)에 의해서 회동체(2)가 전개위치를 향해서 회동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동작기구.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측 기어부(10h)가 지지체(1)의 측부와의 사이에 가동측 기어부(23)를 수납하는 커버체(10i)의 상기 지지체(1)의 측부로 향하는 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체의 동작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166064 | 2008-06-25 | ||
JP2008166064A JP5002545B2 (ja) | 2008-06-25 | 2008-06-25 | 回動体の動作機構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2121A true KR20100002121A (ko) | 2010-01-06 |
KR101114136B1 KR101114136B1 (ko) | 2012-02-20 |
Family
ID=4158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3345A KR101114136B1 (ko) | 2008-06-25 | 2009-06-16 | 회동체의 동작기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5002545B2 (ko) |
KR (1) | KR10111413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532529A (zh) * | 2015-04-16 | 2018-01-02 | 法国大陆汽车公司 | 用于检测内燃发动机的反向旋转的方法和装置 |
US11483905B2 (en) | 2016-01-08 | 2022-10-25 | Whirlpool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eating strategi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46308A (ja) | 2010-01-15 | 2011-07-28 | Fujitsu Ltd | カードコネクタの取付構造 |
JP2015182616A (ja) * | 2014-03-25 | 2015-10-22 | 豊田合成株式会社 | 蓋体の開閉機構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7812U (ja) * | 1993-12-24 | 1995-07-14 | 株式会社ニフコ | 車両用小物収納装置 |
JP3314903B2 (ja) * | 1995-07-04 | 2002-08-19 | 株式会社ニフコ | 車両用小物収納装置 |
JP3833925B2 (ja) * | 2001-10-29 | 2006-10-18 | 株式会社ニフコ | 扉体の開閉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開閉装置 |
JP4445900B2 (ja) * | 2005-05-26 | 2010-04-07 | 株式会社ニフコ | 支持ユニット |
-
2008
- 2008-06-25 JP JP2008166064A patent/JP5002545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
- 2009-06-16 KR KR1020090053345A patent/KR10111413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532529A (zh) * | 2015-04-16 | 2018-01-02 | 法国大陆汽车公司 | 用于检测内燃发动机的反向旋转的方法和装置 |
US10371072B2 (en) | 2015-04-16 | 2019-08-06 |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reverse rotatio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CN107532529B (zh) * | 2015-04-16 | 2019-11-26 | 法国大陆汽车公司 | 用于检测内燃发动机的反向旋转的方法和装置 |
US11483905B2 (en) | 2016-01-08 | 2022-10-25 | Whirlpool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eating strategi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14136B1 (ko) | 2012-02-20 |
JP2010007304A (ja) | 2010-01-14 |
JP5002545B2 (ja) | 2012-08-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193115B2 (ja) | 可動体の動作機構 | |
KR100535763B1 (ko) | 글로브박스의 로드 작동장치 | |
KR101114136B1 (ko) | 회동체의 동작기구 | |
JP5965166B2 (ja) | 収納装置 | |
CN101311483A (zh) | 把手装置 | |
JP2006232262A (ja) | コンソールリッドの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コンソール | |
JP4718898B2 (ja) | 可動体の動作機構、および、自動車用収納装置 | |
KR20180037467A (ko) | 차량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 |
JP2019048550A (ja) | 両開き収納装置 | |
JP5836281B2 (ja) | ダンパー装置 | |
JP5459167B2 (ja) | 車両用収納装置 | |
JP2008285100A (ja) | 収納ボックス | |
JP2009249945A (ja) | 回動体の動作機構 | |
KR100412439B1 (ko) | 듀얼 댐퍼를 갖는 힌지 구조 | |
JP4445900B2 (ja) | 支持ユニット | |
KR101416465B1 (ko) | 차량의 후드 리프터 | |
JP2015068118A (ja) | ドアチェック装置 | |
JP2013129272A (ja) | 蓋体遅延作動機構 | |
JP2013189774A (ja) | リッドの動作機構 | |
JP2008152885A (ja) | ディスクプレイヤの扉開閉装置 | |
KR100795525B1 (ko) | 차량용 오일댐퍼 | |
JP6432354B2 (ja) | 車両ドアチェック装置 | |
JP4049019B2 (ja) | カップホルダ | |
JP3895626B2 (ja) | 収容ボックス | |
KR20050101970A (ko) | 자동차 필러 도어의 개폐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