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832U - S자형 날을 갖는 가위 - Google Patents

S자형 날을 갖는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832U
KR20100001832U KR2020090017186U KR20090017186U KR20100001832U KR 20100001832 U KR20100001832 U KR 20100001832U KR 2020090017186 U KR2020090017186 U KR 2020090017186U KR 20090017186 U KR20090017186 U KR 20090017186U KR 20100001832 U KR20100001832 U KR 201000018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cissors
shape
hair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7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래
Original Assignee
서정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래 filed Critical 서정래
Priority to KR2020090017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832U/ko
Publication of KR201000018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8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26B13/08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with cutting edges wavy or toothed in the plane of the bla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S자형 날을 갖는 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가위의 한쪽날이 직선형날, 오목형날, 볼록형날을 갖고 그와 맞닿는 날 또한 그에 따른 외곽선을 갖는 단순한 형태를 갖고 있었으나 이러한 가위는 끊임없이 발전하고 변화하는 헤어스타일의 유행을 따라 가기 힘들었다. 특히 가위의 날선과 날각이 어떤 모양이고 이러한 가위를 어떻게 다루는냐에 따라 모발의 잘리는 모양과 단면의 모양 등이 많이 달라지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가위를 사용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있어서는 한 개의 가위를 사용함에 있어서도 헤어커팅을 할때 날선,날각에 따라 모발이 밀리는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커팅이 가능한 S자형 날을 갖는 가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S자형 날을 갖는 가위{SISSORS HAVING S-TYPE BLADE}
본 고안은 S자형태의 날을 갖는 가위에 관한 것이다.
가위는 두개의 날사이에 자르려는 물건을 넣고 한 개의 날을 받치고 나머지 한개의 날을 움직여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물건을 자르게 되는데 두개의 날중에서 움직이며 자르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을 이동날편(동인,moving blade)라고 하며 가만히 있으며 움직이는 날을 받아 지탱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을 고정날편(정인, still blade)이라고 한다. 통상의 가위에서는 엄지손가락에 끼워져 연결된 날이 이동날편이며 다른손가락 연결된 날이 고정날편이 된다. 헤어커팅을 하는 경우 고정날편은 검지나 중지에 끼우는 것이 아니라 약지에 끼워 커팅시의 미세한 느낌을 손가락으로 감지해낼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가위에서 가위의 날선(blade edge)은 일직선으로 생긴 형태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일직선 형태의 날선 이외에도 오목한 형태(겸인날), 살짝볼록한 형태(유인날), 상당히 볼록한 형태(세인날)로 크게 4가지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각각의 날선을 가진 가위를 사용할 때 컷팅 되는 느낌과 잘라지는 단면이 확연히 다르게 표현된다.
이중에서 직인날선(straight)은 말그대로 날선이 일자 형태인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는 형태이다. 겸인날선(concave)은 자르는 역할을 하는 가위의 날선이 오목하게 들어가고 힘을 받는 역할을 하는 고정날편이 이에 맞춰 볼록하게 나와 있는 모양을 갖는데 백컷트와 파워있는 블런트 컷에 유리하다.
유인날선(semi-convex)은 자르는 역할을 하는 이동날편의 날선이 약간 볼록하게 나와 있는 형태를 말하는데 가위의 모발을 일직선으로 자르거나 개폐시 절단날에 모발이 살짝씩 미끄러지게 약간의 곡선처리를 가미하여 만든 날이다.
세인날선(convex)는 가위날선이 상당히 배가 나온 유선형 모형으로 절단날에 모발이 미끄러지면서 커트되도록 하여 일직선 단면의 커트가 어렵지만 모발이 밀리면서 잘리게 되어 모발이 한꺼번에 많이 잘리지 않게 조금식 잘리도록 곡선처리를 가미하여 만든 절단날이다. 스트록 테크닉과 슬라이드 테크닉을 구사할 때 많이 사용된다.
모발이 밀리는 정도는 가위날선의 배가 많이 나올수록 많이 밀리게 되어 이동날편과 고정날편이 모두 볼록할수록 잘 밀리며 양쪽이 겸인날선인 것은 이보다 덜 밀리며 직인날선인 것은 이보다 더 적게 밀린다. 그런데 본 고안과 같은 S자형 날은 모발을 자를 때 모발이 직인날선의 경우보다 덜 밀리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가위들은 각각의 용도에 따라 알맞은 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위에 언급한것과 같이 그 모양에 따라 그 기능이 정해져 있어 어느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잘라지는 모발의 전체적인 모양이나 그 끝의 단면이 다르게 된다. 예전에는 직인날의 가위만을 사용해서 모발을 다듬었지만 최근에는 겸인날, 유인날등 여러개의 가위를 이용하여 헤어스타일을 만들어 가기 때문에 여러가지의 가위가 필요할 뿐 아니라 새로운 형태의 헤어스타일을 창조해 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가위 또한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새로운 장르의 모형과 기능의 절단날을 가진 미용가위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에 표현하지 못하거나 표현하기 어려웠던 모발의 질감연출기법 및 헤어스타일 연출에 필요한 가위의 기능을 보안하여 헤어디자이너가 보다 더 쉽고 편하게 헤어스타일을 연출하도록 도와주는 새로운 개념의 날을 가진 가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 S자형 날을 갖는 가위를 제공하는데, 상기 가위는 고정날편과 이동날편의 두개의 날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두개의 날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날은 상기 날의 안쪽이 볼록하고 날의 끝쪽으로 갈수록 오목해지는 S자형의 형태와 상기 날의 안쪽이 오목하고 상기 날의 끝쪽으로 갈수록 볼록해지는 역S자형의 형태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위의 고정날편과 이동날편중 어느하나는 상기 날의 안쪽이 볼록하고 날의 끝쪽으로 갈수록 오목해지는 S자형의 형태로서 상기 날안쪽에서의 곡률반경은 60내지 5이며 상기 날 끝쪽에서의 곡률반경도 60내지 5일 수 있다.
상기 가위의 고정날편과 이동날편중 어느하나는 상기 날의 안쪽이 볼록하고 날의 끝쪽으로 갈수록 오목해지는 S자형의 형태로서 상기 날안쪽에서의 곡률반경은 60내지 5이며 상기 날 끝쪽에서의 곡률반경도 60내지 5일 수 있다.
상기 가위의 고정날편과 이동날편중 어느하나는 직인날, 겸인날, 세인날, 유인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S자형 날을 갖는 가위를 제공함으로써 한 개의 가위로 여러가지 형태의 단면과 모양을 갖도록 자를 수 있으며 또한 한번의 커팅으로 기존과 다른 형태의 커팅이 되도록 하는 가위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종래의 직인날선, 겸인날선, 유인날선, 세인날선의 가위날을 도시한다. 가위로 모발을 커팅할 때 직인날선은 가위에 닿은 모발이 모두 같은 단면으로 잘리지만 겸인날선 등의 다른 날선을 갖는 가위는 외곽선의 모양이 변하기 때문에 그에 따라 다른 단면으로 잘리게 된다. 여기에 가위를 사용하는 사람이 가위날의 어떤 부분에 가위를 어떤 각도로 모발과 위치시키고 힘을 어떻게 주느냐하는 것 또한 잘라지는 모발의 단면 혹은 모발의 끝부분의 모양이 많이 달라지게 되며 이에 따라 다른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하여 도시한 것과 같은 가위를 사용하여 왔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된 s자형날의 가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듯이 고정날편과 이동날편을 가진 가위로서 이동날편과 고정날편이 직선이나 단순한 곡선이 아닌 s자형태로 되어 있다. s자 형태를 이루기 위하여 날의 안쪽이 오목하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볼록한 형태가 있을 수 있으며 거꾸로 날의 안쪽이 볼록한 형태이고 날의 바깥쪽으로 갈수록 오목해지는 형태가 있을 수 있다. 기존의 가위는 이동날편과 고정날편이 모두 볼록하거나 오목한 형태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상기 도2에 도시된 가위는 어느 부분에서 기존의 가위와 비교하여도 기존의 가위와는 다른 특징을 갖게 된다.
또한 이동날편과 고정날편이 서로 다른 형태일 수 있는데 즉 이동날편이 S자형이라고 하더라도 고정날편은 오목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이 이동날편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동날편과 고정날편의 형태에 따라 커팅시에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조합에 의하여 다양한 헤어스타일의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날편과 이동날편중 어느 한쪽만 s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나머지 날은 종래의 직인날, 겸인날, 유인날, 세인날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s자형태의 날이 들어가는 경우에는 두 개의 곡선인 에스곡선으로 인하여 일직선날 가위에 비해 모발이 현저히 밀리지 않고 자를수있으며 일반 가위는 가위를 모발의 사선으로 자르는 경우 즉, 어긋나게 꺽어 가위질하여 모발을 꺽어 자를 경우에도 일반적으로는 가위의 날끝이 벌어져 잘리지 않고 접히는 현상이 많이 발생하나 에스라인의 가위의 경우 두 개의 곡선인 에스곡선 으로 인하여 모발을 누르는 하중이 분산되어 가위의 마찰력이 줄어들어 모발이 접히는 현상이 현저히 줄어든다
즉, 본 고안에 따른 s자형 날을 가진 가위로 모발을 자르는 경우 모발이 곡선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곡선을 타고 넘어야 하기 때문에 좌우 이동이 잘 안되며 고정날편과 이동날편의 외곽의 모양이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모발이 고정날편에 모인 그대로 자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모발이 밀리지 않고 원하는 형태로의 커팅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아주 세밀한 표현도 가능하다.
또한, 모발을 사선으로 자르는 경우에도 모발이 덜밀리는 만큼 모발이 접히는 현상이 줄어들어 커팅이 한결 편해진다. 기존의 가위는 한쪽이 직인날, 겸인날, 세인날, 유인날인 경우 나머지도 그에 따른 모양을 갖도록 하였지만 본 고안에 따른 가위는 양쪽날의 형태가 모두 다르며 자르는 부분에 있어서 이동날편이 겸인날인지 고정날편이 세인날인지등 그 날의 조합에 따라 모두 다른 커팅이 가능하며 공통적으로 모발의 밀림이 적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s자형태를 이루기 위하여는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불연속적으로 만나서는 안되며 그 외곽선이 연속적인 형태를 이루어야만 한다. 따라서 외곽선의 곡률반경이 계속해서 줄어들어거나 늘어나는 형태를 이루어야 하는데 도2에 도시된 가위의 경우 고정날편은 안쪽에서는 오목한 형태였다가 가위의 끝으로 나올수록 볼록한 형태로 되는데 오목한 부분에서는 날의 외곽선의 곡률반경이 작을때는 5(cm)정도가 되며 중앙으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커지는데 가장 클때는 60정도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곡률반경이 너무 커지게 되어 직인날선과 차이가 없어지며 곡률반경이 이보다 작아지는 경우에는 외곽선이 너무 둥글게 되어 잘리는 모발의 단면의 편차가 너무 커지게 된다. 이러한 가위는 특별한 목적을 위해서만 사용하게 되며 이렇게 자르려고 한다면 시술자가 가위를 움직여 단순히 둥글게 자를 수 있기 때문에 이보다 작은 곡률반경의 가위는 필요가 없게 된다. 도2에 도시된 가위의 고정날편에서 오목한 부분은 약 35정도의 곡률반경을 가지며 볼록한 부분은 그 보다 더 큰 곡률 반경을 갖는다. 이때 이동날편은 같은 정도의 곡률반경을 가지지만 고정날편에서 오목한 부분과 맞닿는 부분은 볼록한 형태를 가지며 볼록한 부분과 맞닿는 부분은 오목한 형태를 갖는다. 이부분은 고정날편 안쪽부분(14), 고정날편 바깥쪽부분(15), 이동날편 안쪽부분(16), 이동날편 바깥쪽부분(17)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부분에 곡선형태의 날이 형성된다. 상기 도면부호로 표시된 부분은 그 필요에따라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다.
도3은 도2의 가위를 닫았을때의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가위를 닫았을 때 가위의 오목하고 볼록한 부분이 좀 더 잘 드러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가위의 날의 곡률은 전체적으로 연속인 선을 이루기 위하여 그 위치마다 변할 수 있지만 각각의 위치에서의 곡률반경(R)은 아래의 방법으로 구한다. h는 곡률이 있는 부분에서의 높이이며 r은 그 위치에서의 반지름이다.
Figure 112009082240212-UTM00001
도4는 고정날편의 안쪽이 볼록하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된 가위를 도시한다. 또한 이와 맞닿는 이동날편은 안쪽이 오목하다가 바깥쪽으로 갈수록 볼록하게 형성된다. 잘리는 모발의 외곽선이 가위의 고정날편에 따라 그 모양이 달라지 며 단면은 이동날편의 모양과 가위 날등의 모양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고정날편과 이동날편이 뒤바뀌게 형성되면 커팅되는 모양이 달라지며 시술자에 따라 가위의 안쪽부분과 바깥쪽 부분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개의 가위를 사용할 필요가 줄어들게 된다.
날등은 날이 선쪽으로 갈수록 얇아지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형태가 있을 수 있으며 중심이 가장 높고 양옆으로 갈수록 같은 정도로 낮아질 수 가 있는데 이러한 날각과 날선의 모양의 조합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가위로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도5는 고정날편은 전체적으로 세인날선형태를 띠지만 이동날편은 날 안쪽이 불룩하며 바깥쪽으로 갈수록 오목한 형태를 띤다. 이러한 형태의 가위는 날안쪽은 기존의 세인날선 가위와 같은 형태로 사용가능하지만 날중간과 날바깥쪽을 이용해서는 기존과 다른 형태의 커팅을 할 수 있으며 날안쪽부터 바깥쪽을 이용해 한번에 자르는 경우에는 기존과 전혀 다른 형태의 커팅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모발이 밀리는 정도는 양쪽이 모두 s자형인 날에 비해서 더 크게 된다.
도6은 도5와 비슷하게 고정날편이 불룩하게 세인날선형태를 띠지만 이동날편은 날안쪽이 오목하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불룩해져 전체적으로 S자형태를 띠게 된다. 날안쪽에서의 곡률반경은 약 50정도이며 날끝쪽에서의 곡률반경은 이보다 더 크다. 오목한쪽의 곡률반경을 양으로 보아 50이라고 하면 볼록한쪽의 곡률반경은 음수가 되어 -60 정도가 된다.
도7은 고정날편이 직인날선형태이며 이동날편이 안쪽이 불룩한 S자형태를 가지며 도8은 고정날편이 직인날선형태이며 이동날편은 안쪽이 오목한 S자형태를 갖는다.
도9는 고정날편이 전체적으로 오목한 겸인날선형태인데 이동날편은 안쪽이 불룩한 S자형태이며 도10은 고정날편이 겸인날선형태를 갖되 이동날편은 안쪽이 오목한 S자형태를 갖는다.
도1은 종래의가위의 날종류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s자형 날을 갖는 가위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위의 곡률반경을 표시하는 도면.
도4내지 도10은 본고안에 따른 s자형 날을 갖는 가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Claims (4)

  1. S자형 날을 갖는 가위로서
    상기 가위는 고정날편과 이동날편의 두 개의 날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두 개의 날 중 어느 하나의 날은 상기 날의 안쪽이 볼록하고 날의 끝쪽으로 갈수록 오목해지는 S자 형태와 상기 날의 안쪽이 오목하고 상기 날의 끝쪽으로 갈수록 볼록해지는 역S자형태의 형태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며
    s자형태를 이루기 위하여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연속적으로 이어지기 위해 날의 외곽선의 곡률반경이 계속해서 줄어들거나 늘어나는 형태이며 날의 외곽선의 곡률반경은 5(cm)내지 60(cm)인, S자형 날을 갖는 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날 중 나머지 하나의 날 또한 상기 날의 안쪽이 볼록하고 날의 끝쪽으로 갈수록 오목해지는 S자 형태와 상기 날의 안쪽이 오목하고 상기 날의 끝쪽으로 갈수록 볼록해지는 역S자형의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S자형 날을 갖는 가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위의 고정날편과 이동날편중 어느 하나는 상기 날의 안쪽이 볼록하고 날의 끝쪽으로 갈수록 오목해지는 S자형의 형태로서 상기 날안쪽에서의 곡률반경은 60(cm)내지 5(cm)이며 상기 날 끝쪽에서의 곡선은 그와 곡선이 반대로 형성되 지만 그 곡률반경도 60(cm)내지 5(cm)인, S자형 날을 갖는 가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위의 고정날편과 이동날편중 어느 하나는 직인날, 겸인날, 세인날, 유인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자형 날을 갖는 가위
KR2020090017186U 2006-11-04 2009-12-31 S자형 날을 갖는 가위 KR201000018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7186U KR20100001832U (ko) 2006-11-04 2009-12-31 S자형 날을 갖는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949 2006-11-04
KR2020090017186U KR20100001832U (ko) 2006-11-04 2009-12-31 S자형 날을 갖는 가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6282 Division 2009-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832U true KR20100001832U (ko) 2010-02-19

Family

ID=4444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7186U KR20100001832U (ko) 2006-11-04 2009-12-31 S자형 날을 갖는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832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700B1 (ko) * 2015-09-24 2016-06-07 존 중원 김 칼 겸용 가위
JP2017217519A (ja) * 2013-12-26 2017-12-14 株式会社レイメイ藤井 ハサミ
WO2018088623A1 (ko) * 2016-11-08 2018-05-17 한경희 곡선가위
KR20180001856U (ko) 2016-12-13 2018-06-21 임종합 밀림방지가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17519A (ja) * 2013-12-26 2017-12-14 株式会社レイメイ藤井 ハサミ
KR101623700B1 (ko) * 2015-09-24 2016-06-07 존 중원 김 칼 겸용 가위
WO2018088623A1 (ko) * 2016-11-08 2018-05-17 한경희 곡선가위
KR20180001856U (ko) 2016-12-13 2018-06-21 임종합 밀림방지가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1832U (ko) S자형 날을 갖는 가위
KR20080041138A (ko) S자형 날을 갖는 가위
GB2413980A (en) Razor head
KR200214261Y1 (ko) 미용가위
KR200173666Y1 (ko) 헤어 스타일링용 가위
KR101125729B1 (ko) 다기능 미용가위
JP5372393B2 (ja) 理美容鋏
KR200337267Y1 (ko) 가위
JP3095199U (ja) 理美容鋏
KR200215524Y1 (ko) 미용가위
JP3218292U (ja)
JP3742990B2 (ja) ヘアカット用かみそり
CN209615575U (zh) 一种带有阶梯状齿刃的牙剪
KR100938213B1 (ko) 슬라이드 미용가위
JP2009005816A (ja) ハサミ
JP3047242U (ja) 美理容はさみ
TWM628476U (zh) 弧形剪髮刀
TWM371069U (en) Hair clippers with combing function
KR200295724Y1 (ko) 헤어컷트용 가위
JP3086965U (ja) 梳 鋏
JP3139583U (ja) ハサミ
JP3138280U (ja) ハサミ
JP3068046U (ja) シザ―ズカット用複式はさみ
JPS6014443Y2 (ja) 理容用梳鋏
KR200277774Y1 (ko) 눈썹 면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