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524Y1 - 미용가위 - Google Patents

미용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524Y1
KR200215524Y1 KR2020000021488U KR20000021488U KR200215524Y1 KR 200215524 Y1 KR200215524 Y1 KR 200215524Y1 KR 2020000021488 U KR2020000021488 U KR 2020000021488U KR 20000021488 U KR20000021488 U KR 20000021488U KR 200215524 Y1 KR200215524 Y1 KR 200215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cissors
blade member
hai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이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철 filed Critical 이영철
Priority to KR2020000021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5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524Y1/ko

Link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1날부재와 제2날부재가 서로 맞물리면서 머리카락을 자르는 미용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날부재 및 제2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머리카락을 다듬질하는 칼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하나의 가위를 이용하여 머리를 자르고 다듬을 수 있으며 머리 카락을 다듬는 칼날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용가위 {HAIR CUTTING SCISSORS WITH RAZOR KNIFE}
본 고안은, 미용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용가위에 머리카락을 다듬는 칼을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킨 미용가위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헤어컷트 가위로는 매끈한 날이 형성된 일반적인 가위와, 날부분에 빗살형의 홈이 형성된 티닝(Thinning)가위가 사용되고 있다. 전자의 일반적인 가위는 주로 머리카락을 완전 절단하는데 사용되고, 후자의 티닝가위는 머리카락을 중간중간 절단하여 머리숱을 줄이거나 머리 모양을 다듬는데 주로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모발의 부분절단을 위해 가위형태가 아닌 모발절단용 레이져(Razor)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가위 및 레이져는 각기 별도로 제조되며, 각각의 기구를 따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면에서 부담이 크고, 미용사나 이발사가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머리를 자를 때와 다듬을 때 가위와 레이져를 교체해 가면서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시키기 위해, 하나의 가위로 머리를 자르고 다듬을 수 있는 미용가위(특허출원공개 제2000-0000097호)가 제시되기도 하였다. 이 기술에 따르면, 통상의 미용가위의 가위날 중 어느 한쪽 날의 등부분에 빗살홈을 형성하여, 가위의 양날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는 빗살홈을 통해 노출되는 상대측 가위날을 이용하여 머리카락을 다듬을 수 있도록 하는 미용가위가 제공된다.
하지만, 상기한 미용가위의 경우 가위날이 면도를 할 수 있을 만큼 예리하기 때문에 보통의 가위날보다 수명이 짧아지게 된다. 또한, 가위날이 망가지면 가위 전체를 다시 구입해야 하므로 비용 부담이 크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가위로 머리를 자르고 다듬도록 하는 한편, 가위의 수명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머리를 다듬는 칼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미용가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용가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의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칼날부 12 : 칼날
14 : 제1지지부재 16 : 제2지지부재
50 : 가위 52 : 제1날부재
54 : 제2날부재 18, 28, 38: 결합부재
20, 30, 40 : 수용홈 58, 59 : 결합돌기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1날부재와 제2날부재가 서로 맞물리면서 머리카락을 자르는 미용가위에 있어서, 상기 제1날부재와 제2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머리카락을 다듬질하는 칼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칼날부는 절단을 위한 칼날부재와, 상기 칼날부재를 고정하는 지지부와, 상기 제1날부재와 제2날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에 따라, 상기 제1날부재 및 제2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칼날부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수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날부재 및 제2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칼날부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기위한 수용홈을 갖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은 단면이 더브테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용가위(50)는 종래의 미용가위와 같이 제1날부재(52)와 제2날부재(54)가 맞물리면서 머리카락을 자르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가위(50)의 제1날부재(52)의 등부분에 머리를 다듬을 수 있는 칼날부(10)를 결합시킨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용가위(50)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용가위의 제1날부재(52)에는 머리카락을 자르는 날부분의 반대 방향인 등부분에 칼날부(10)를 결합시키기 위한 수용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20)은 단면이 더브테일(dovetail) 형상으로 제1날부재(52)의 등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칼날부(10)가 삽입될 수 있을 만한 깊이와 길이로 형성된다.
수용홈(20)에 삽입되는 칼날부(10)는 칼날(12)과 칼날(12)의 몸체를 고정시키는 결합부재(18) 및 제1, 2지지부재(14,16)로 구성된다. 칼날(12)은 머리카락을 자를수 있도록 날이 선 부분과 날이 서지 않은 칼등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결합부재(18)는 칼등 부분을 중심으로 칼날(12)의 표면을 감싸며 수용홈(56)에 결합될 수 있도록 단면이 더브테일 형상을 갖도록 한다. 결합부재(18)의 양단에서 연장된 제1, 2지지부재(14,16)는 칼날(12)을 중심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마름모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칼날(12)의 날을 완전히 노출시키는 제1지지부재(14)와 칼날(12)보다 연장된 길이를 갖는 제2지지부재(16)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여기서 칼날(12)보다 연장된 길이를 갖는 제2지지부재(16)의 단부는 물결모양으로 형성하여 칼날(12)의 날이 일부만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머리카락의 일부만 절단하여 머리모양을 다듬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5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위(50)의 제1날부재(52)의 등부분에 더브테일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결합돌기(58)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58)는 제1날부재(52)의 등을 따라 칼날부(10)의 길이에 맞춰 형성된다. 칼날(12)은 칼날(12)의 몸체를 중심으로 마름모 형상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제1 및 제2지지부재(14,16)에 의해 고정되는데, 제1지지부재(14)는 칼날(12)의 날이 노출되도록 형성하고, 제2지지부재(16)는 물결모양의 단부를 통해 칼날(12)의 날부분이 일부만 노출되도록 형성한다. 칼날부(10)의 결합부재(28)는 칼날(12)의 칼등과 접한 제1 및 제2지지부재(14,16)의 시작점으로부터 외측에서 내측으로 좌우대칭으로 하향 절곡되어 연장된 돌기를 가짐으로서 단면이 도브테일 형상인 수용홈(30)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가위(50)의 결합돌기(58)와 칼날부(10)의 결합부재(28)가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의 단면도이다. 제 3실시예에 따르면 가위(50)의 제1날부재(52)의 외측 표면에 결합돌기(59)를 형성하여 칼날부(10)를 결합시킨다. 칼날부(10)의 칼날(12)과 칼날(12)을 고정시키는 제1, 제2지지부재(14,16)의 형상은 제 2실시예와 동일하나, 제3 실시예에서의 결합부재(38)는 제1내지 제2지지부재(14,16)의 외측표면에 형성된다. 결합부재(38)는 제2지지부재(16)의 절곡된 모서리를 중심으로 상하대칭으로 연장된 돌기가 단면이 도브테일 형상인 수용홈(40)을 형성함으로써 가위(50)의 결합돌기와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칼날부(10)는 가위(50)의 제1날부재(52)의 표면을 따라 나란히 결합되어 사용된다.
한편, 이상 상술한 칼날부(10)에 속하는 제1 및 제2지지부재(14,16)와 결합부재(18, 28, 38)의 제질은 탄성이 있는 스프링강을 사용함으로써 가위(50)와 칼날부(10)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미용가위(50)의 제1날부재(52) 및 제2날부재(54)를 서로 맞물려 머리카락을 자른 후, 제1 및 제2날부재(52,54)에 결합되어 있는 칼날부(10)의 칼날(12)을 이용하여 머리를 다듬을 수 있다. 또한, 칼날(12)을 교체해야 할 경우 가위(50)에서 칼날부(10)를 탈착하여 갈아 끼울 수 있으므로 가위날을 칼의 용도로 사용할 때보다 가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의 가위로 머리를 자르고 다듬을 수 있는 한편, 머리를 다듬는 칼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미용가위가 제공된다.

Claims (5)

  1. 제1날부재와 제2날부재가 서로 맞물리면서 머리카락을 자르는 미용가위에 있어서,
    상기 제1날부재와 제2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머리카락을 다듬질하는 칼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절단을 위한 칼날부재와, 상기 칼날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상부날부재 및 하부날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부재 및 제2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칼날부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수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4.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부재 및 제2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칼날부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기위한 수용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5.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단면이 더브테일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KR2020000021488U 2000-07-27 2000-07-27 미용가위 KR200215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488U KR200215524Y1 (ko) 2000-07-27 2000-07-27 미용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488U KR200215524Y1 (ko) 2000-07-27 2000-07-27 미용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524Y1 true KR200215524Y1 (ko) 2001-03-15

Family

ID=73086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488U KR200215524Y1 (ko) 2000-07-27 2000-07-27 미용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5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120A (ko) * 2001-10-16 2001-11-23 (주) 한국인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
KR100854434B1 (ko) * 2006-11-01 2008-08-26 김용철 미용가위
KR101953134B1 (ko) * 2017-08-21 2019-02-2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칼이 포함된 가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120A (ko) * 2001-10-16 2001-11-23 (주) 한국인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
KR100854434B1 (ko) * 2006-11-01 2008-08-26 김용철 미용가위
KR101953134B1 (ko) * 2017-08-21 2019-02-2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칼이 포함된 가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7413B2 (en) Electric handheld hair trimmer including blade with beveled portions
US9969093B2 (en) Dry shaver
KR101499287B1 (ko) 빗살가드 면도기 카트리지
US9327414B2 (en) Pivoting razor
JP4790267B2 (ja) 複数の毛剃り動作を実行する毛剃りシステム
US20170021512A1 (en) Cutter blade assembly and dry shaver for variable height of cut
US5568688A (en) Hair shaving device with curved razor blade strip
JP2021176519A (ja) 電気髭トリマー
JP4775240B2 (ja) ヘアカッター
JPH033510B2 (ko)
AR000872A1 (es) Elemento de contacto cutaneo para afeitadoras y unidad de hojas de afeitar que lo incluye
KR200215524Y1 (ko) 미용가위
JP2005160915A (ja) カミソリのための眉剃用カバー
US11999071B2 (en) Electric handheld hair trimmer including transverse edge portions
KR200430058Y1 (ko) 미용가위
KR200166315Y1 (ko) 면도날이경사진면도기
KR200277774Y1 (ko) 눈썹 면도기
KR200283755Y1 (ko) 눈썹 면도기
KR200250208Y1 (ko) 눈썹 면도기
JPH1157246A (ja) 刈り上げ用アタッチメント
JPS6117730Y2 (ko)
KR200283753Y1 (ko) 눈썹 면도기
JP2006346181A (ja) ヘアカット用カミソリ
KR200283754Y1 (ko) 눈썹 면도기
JPS634524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8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