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755Y1 - 눈썹 면도기 - Google Patents

눈썹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755Y1
KR200283755Y1 KR2020020000297U KR20020000297U KR200283755Y1 KR 200283755 Y1 KR200283755 Y1 KR 200283755Y1 KR 2020020000297 U KR2020020000297 U KR 2020020000297U KR 20020000297 U KR20020000297 U KR 20020000297U KR 200283755 Y1 KR200283755 Y1 KR 200283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eyebrows
eyebrow
fixing part
raz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용
Original Assignee
김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용 filed Critical 김상용
Priority to KR2020020000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7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755Y1/ko

Link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눈썹 화장시 눈썹을 깎아내고 잘라내며 다듬을 수 있는 눈썹 면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호형상의 칼날과, 상기 칼날이 고정되는 고정부와, 칼날의 양면사이의 중심선과 손잡이의 중심선사이의 각이 예각이고, 상기 원호의 접선 안쪽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와 연결된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칼날은 상기 칼날의 칼날 끝부가 상기 고정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칼날의 길이는 상기 고정부의 길이보다 작거나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썹 면도기를 제공함으로써, 눈썹 밖으로 늘어진 털을 자르거나, 눈꺼플이나 피부의 오목한 부분에 난 털을 깎아 낼 수 있고, 눈썹 경계부분의 털을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모습이 되도록 다듬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눈썹 면도기{Eyebrows shaver}
본 고안은 눈썹 화장시 사용하는 눈썹 면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눈썹을 깎아내고 잘라내며 다듬을 수 있는 눈썹 면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얼굴의 인상에서 눈썹의 모양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눈썹 모양의 변화는 얼굴의 인상을 경이롭게 변화시킨다. 이 눈썹의 모양은 얼굴의 각 부분중 변화를 쉽게 줄 수 있는 부분이다. 그 변화는 시대와 유행, 본인의 개성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는 것이기도 하지만, 본인의 얼굴 인상을 고려하여 눈썹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여성들은 화장을 하면서 눈썹화장을 별도로 하게 된다. 이 화장법에는 아이 브로우펜슬로 눈썹을 그리는 화장법, 눈썹이식 수술에 의한 화장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은 화장은 눈썹을 완전히 깎아낸 후에 하거나, 눈썹이 없거나 부족한 경우에 하는 화장법이다. 본 고안의 눈썹 면도기는 눈썹을 깎아내고, 잘라내며, 다듬는 화장법에 적용되는 것이다.
눈썹은 눈썹머리, 눈썹산, 눈썹꼬리 부분으로 되어 있다.
여성들의 균형잡힌 눈썹의 눈썹산은 눈썹머리에서 눈썹코리쪽으로 2/3되는 지점에 있다. 또한 이 지점은 검은 눈동자의 바깥선을 수직으로 연장하여 눈썹과 만나는 부분이다. 눈썹의 길이는 눈앞의 눈썹머리에서 시작하여 콧방울(鼻翼)과 눈꼬리를 잇는 연장선상까지 눈썹꼬리가 이어지는 것이 균형있게 보인다.
또한, 눈썹은 얼굴의 형에 따라 가장 잘 어울리는 눈썹형이 있다.
얼굴이 사각형인 경우에는 눈썹산에 조금 커브를 주면서 직선적으로 표현하면서 곡선으로 매끄러운 아치형이 되도록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얼굴형이 달걀형인 경우에는 눈썹산을 둥글게 연결시켜 아치형으로 표현하면서 자연스러운 굵기로 눈썹산을 조금 강조하는 표현이 바람직하다.
얼굴형이 역삼각형인 경우에는 눈썹길이의 1/2정도의 위치에 눈썹산을 주면서 아치형으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얼굴형이 둥근형인 경우에는 눈썹산에 커브를 주고 적당한 굵기와 길이로 눈썹산을 각지게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얼굴형이 긴형인 경우에는 눈썹산에 약간의 커브를 주고 자연스러운 굵기로 약간 직선적인 느낌으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눈썹 모양을 상기와 같이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서는 눈썹을 깎고 잘라내며 다듬을 수 있는 도구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도구로서는 2001. 1. 16.자에 일본국에서 공개된 특개 2001-9175호에 기재된 가위가 있다.
도1은 상기 공보에 기재된 눈썹을 자를 수 있는 종래 가위의 사시도이다.
이 가위는 눈썹 등 미세한 부분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자르는 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탄성 재질로 된 한 쌍의 각 칼부(1)를 판형상인 손잡이부(2)의 끝단에 수직으로 설치한 것이다.
이 가위는 눈썹을 자르는 데에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눈썹을 깎아내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2000. 1. 25.자에 일본국에서 공개된 특개 2000-24338호에 기재된 면도기가 있다.
도2는 상기 공보에 기재된 눈썹을 깎아 낼 수 있는 종래 면도기의 평면도이다.
이 면도기는 빗살체(11)와 빗칼날(12)을 가지는 칼부(13)는 칼 취부부재(15)에 고정되어 있고, 칼 취부부재(15)는 손잡이부(14)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이다.
이 절단 면도기는 눈썹을 깎아낼 수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눈썹의 밑부분과 눈꺼플부분은 그 피부면이 오목하게 되어 있어 이 부분에 난 털을 깎아내는데 어려움이 있고, 눈썹의 경계부분의 모습을 부드럽계 표현하기는 곤란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이하게 눈썹을 깎아내고 잘라내며 다듬을 수 있는 눈썹 면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칼날에 의하여 피부에 손상을 주지 않는 눈썹 면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눈썹을 자를 수 있는 종래 가위의 사시도
도2는 눈썹을 깎아 낼 수 있는 종래 면도기의 평면도
도3은 본 고안 눈썹 면도기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 눈썹 면도기의 평면도
도5는 본 고안 눈썹 면도기의 도4에서의 A-A'단면도
도6은 본 고안 눈썹 면도기의 도5에서의 고정부와 칼날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 : 손잡이 52 : 고정부
53 : 전면 고정부 53a : 하부면
54 : 후면 고정부 56 : 칼날
57 : 홈 58 : 보호망
61 : 칼날 단부 62 : 칼날 중앙부
71 : 손잡이 중심선 72 : 칼날 중심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눈썹 면도기는 원호형상의 칼날과, 상기 칼날이 고정되는 고정부와, 칼날의 양면사이의 중심선과 손잡이의 중심선사이의 각이 예각이고 상기 원호의 접선 안쪽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와 연결된 손잡이를포함하고, 상기 칼날은 상기 칼날의 칼날 끝부가 상기 고정부의 하부면 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칼날의 길이는 상기 고정부의 길이보다 작거나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썹 면도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칼날의 칼날 끝부는 고정부의 하부면으로부터 0.1mm 이상 3.0mm이하의 높이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썹 면도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칼날의 양면사이의 중심선과 손잡이의 중심선사이의 각은 70°이상 8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썹 면도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칼날은 빗살 안전망이 덮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썹 면도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 눈썹 면도기의 사시도이다.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회용 면도기의 구조와 유사하지만 칼날은 큰 곡률을 갖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눈썹 면도기(50)에는 손잡이(51)와 칼날(56)을 고정하는 고정부(52)가 있고, 손잡이(51)와 고정부(52)는 연결되어 있다. 고정부(52)에 고정된 칼날(56)은 고정부(52)와 함께 손잡이(51)쪽을 향하여 구부러져 원호형상을 하고 있다.
도4는 본 고안 눈썹 면도기의 평면도이다.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52)는 전면 고정부(53)와 후면 고정부(54)로이루어져 있다.
전면 고정부(53)와 후면 고정부(54)사이에 칼날(56)이 삽입되어 있고, 칼날(56)은 점P를 중심으로 원호를 이루고 있다. 그 원호의 길이는 대략 30mm가 되고, 점P에 대하여 원호가 이루는 각(θ2)은 대략 115°정도 된다.
도4에 있어서는 고정부(52)와 칼날(56)이 일체화되어 원호를 이루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고정부(52)가 칼날(56)과 함께 원호의 형태를 꼭 가질 필요는 없다. 고정부(52)는 칼날(56)과 함께 원호일 수도 있고, 칼날(56)을 원호 형태로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칼날(56)은 고정부(52)에 의하여 고정되지만 칼날(56)의 길이는 고 정부(52)의 길이와 같던가 고정부(52)의 길이보다 긴 것을 필요로 한다.
본 도면에 의하면 원호 형태의 칼날(56)은 대략 양 단부 부분이 칼날 단부(61)로 도시되어 있고, 양쪽의 칼날 단부(61)사이의 중앙 부분이 칼날 중앙부(62)로 도시되어 있다. 칼날(56) 양쪽의 칼날 단부(61)와 칼날 중앙부(62)는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본 고안의 작용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다.
칼날(56)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부(52)는 손잡이(51)와 연결되어 있다. 이 손잡이(51)는 칼날(56)을 고정하는 고정부(52)의 중심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도5는 본 고안 눈썹 면도기의 도4에서의 A-A'단면도이다.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51)에는 손잡이 중심선(71)이 있고, 칼날(56)에는 칼날 중심선(72)이 도시되어 있다.
손잡이 중심선(71)과 칼날 중심선(72)사이는 예각인 일정 각(61)을 갖고 있으며, 이 각은 대략 50°이상 직각 미만의 각을 이루고, 70°이상 80°이하의 각인 경우에 본 고안의 눈썹 면도기를 일반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52)와 손잡이(51)는 직접 연결될 수 있지만, 고정부(52)와 손잡이(51)사이에 목부(55)를 거쳐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에도 손잡이 중심선(71)과 칼날 중심선(72)사이의 각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예각을 갖도록 구성된다.
도6은 본 고안 눈썹 면도기의 도5에서의 고정부(52)와 칼날(56)이 고정되는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52)는 전면 고정부(53)와 후면 고정부(54)사이에 칼날(56)이 삽입될 수 있는 홈(57)을 가지고 있다.
전면 고정부(53)와 후면 고정부(54)는 별개의 부품일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별개의 부품인 경우에는 전면 고정부(53)와 후면 고정부(54)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접착에 의한 방법, 열압착에 의한 방법, 기계적인 방법 등 공지의 수단이므로 상세한 기술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면 고정부(53)는 하부면(53a)을 가질 수 있고, 이 하부면(53a)은 피부 보호면으로서 작용한다.
칼날(56)은 상기 하부면(53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되는 높이(h)는 0.1mm이상 3.0mm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날(56)이 하부면(53a)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h)가 낮은 경우에는 전면 고정부(53)의 하부면(53a)이 피부 보호면으로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칼날(56)의 양면중 전면 고정부(53)와 접촉되는 면에 빗살 형태의 보호망(58)을 가질 수 있다. 이 보호망(58)의 빗살은 칼날(56)의 칼날 끝부(56a)를 살짝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칼날(56)이 하부면(53a)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h)가 높은 경우에는 전면 고정부(53)의 하부면(53a)이 피부 보호면으로서 작용할 수 없으므로 빗살 형태의 보호망(58)이 피부를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 눈썹 면도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눈썹의 털끝이 눈썹머리 부분의 밖이나, 눈썹머리에서 눈썹꼬리에 이어지는 눈썹하단의 경계 밖으로 눈썹이 늘어져 있는 경우, 피부위에 늘어지거나 덮인 눈썹 털을 본 고안 눈썹 면도기의 칼날 중앙부(62)를 이용하여 칼날(56)을 피부면 으로 살짝 누르면서 손잡이를 당김으로써 피부위에 늘어지거나 덮인 눈썹 털을 용이하게 자를 수 있다.
눈썹머리에서 눈썹꼬리에 이어지는 눈썹하단 경계의 밑 부분은 눈꺼플이거나 피부가 오목한 부분이므로 칼날 중앙부(62)를 사용하여 일반 면도기를 사용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털을 깎으면 칼날 중앙부(62)가 둥글기 때문에 눈꺼플이나 오목한 피부에 난 털을 용이하게 깎아 낼 수 있다.
눈썹머리에서 눈썹산을 통하여 눈썹꼬리에 이어지는 눈썹상단의 경계 부분과 눈썹머리에서 눈썹꼬리에 이어지는 눈썹하단의 경계 부분은 칼날 중앙부(62)를 사용하여 칼날 중앙부(62)가 눈썹과 수직이 되도록 세워 눈썹의 털을 깎는 듯이 다듬어낸다. 이렇게 깎으면 피부면과 칼날 중앙부(62)의 둥근 부분이 접촉되어 떨이 깎이므로 눈썹 경계부분의 털이 선명하게 깎이지 않고, 눈썹의 경계부분을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모양이 되도록 용이하게 다듬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눈썹 면도기는 눈썹 밖으로 늘어진 털을 용이하게 자르거나, 눈꺼플이나 피부의 오목한 부분에 난 털을 용이하게 깎아낼 수 있고, 눈썹 경계부분의 털은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모습이 되도록 용이하게 다듬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눈썹 면도기는 고정부의 하면부에 있는 하부면이나 칼날의 한 쪽 면에 형성된 빗살 모양의 보호망에 의하여 피부에 손상을 주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원호형상의 칼날과,
    상기 칼날을 고정하는 전면 고정부와 후면 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정부와,
    칼날의 양면사이의 중심선과 손잡이의 중심선 사이의 각이 예각이고, 상기원호의 접선 안쪽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와 연결된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칼날은 상기 칼날의 칼날 끝부가 고정부의 하부면으로부터 0.1㎜ 이상 3.0㎜ 이하의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칼날의 길이는 상기 고정부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썹면도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의 면과 인접한 부분에 피부 보호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썹 면도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보호수단은 상기 칼날의 면에 덮인 빗살 형태의 보호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썹 면도기.
KR2020020000297U 2002-01-04 2002-01-04 눈썹 면도기 KR200283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297U KR200283755Y1 (ko) 2002-01-04 2002-01-04 눈썹 면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297U KR200283755Y1 (ko) 2002-01-04 2002-01-04 눈썹 면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755Y1 true KR200283755Y1 (ko) 2002-07-27

Family

ID=7311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297U KR200283755Y1 (ko) 2002-01-04 2002-01-04 눈썹 면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7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4435A (zh) * 2021-05-14 2021-09-03 泰州市顶锋剃须刀制造有限公司 便携式修眉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4435A (zh) * 2021-05-14 2021-09-03 泰州市顶锋剃须刀制造有限公司 便携式修眉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7689B2 (en) Personal styling razor
EP0015084B1 (en) Arcuate razor head
US4977672A (en) Hair-sculpturing structure and method
ATE229871T1 (de) Haarasiervorrichtung mit u-förmiger rasierklinge
EP3030386B1 (en) Electric hair clipper
KR200283755Y1 (ko) 눈썹 면도기
US4514903A (en) Personal grooming device
KR200250208Y1 (ko) 눈썹 면도기
KR200277774Y1 (ko) 눈썹 면도기
KR200283754Y1 (ko) 눈썹 면도기
KR200283753Y1 (ko) 눈썹 면도기
KR20020081177A (ko) 눈썹 면도기
ES2864204T3 (es) Cortapelos eléctrico
KR200215524Y1 (ko) 미용가위
JP2005160915A (ja) カミソリのための眉剃用カバー
JP2743304B2 (ja) 理髪補助具
CN210256248U (zh) 理发用削刀
US20230373116A1 (en) Razor cartridge
KR19990007227U (ko) 면도날
KR20100010776U (ko) 이발용 가위
KR20090003767U (ko) 코털깍이
JPH0928458A (ja) 化粧用プレート
JP3119191U (ja) シャギーカット櫛
JP3742990B2 (ja) ヘアカット用かみそり
KR200270348Y1 (ko) 눈썹화장용 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