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261Y1 - 미용가위 - Google Patents

미용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261Y1
KR200214261Y1 KR2020000016788U KR20000016788U KR200214261Y1 KR 200214261 Y1 KR200214261 Y1 KR 200214261Y1 KR 2020000016788 U KR2020000016788 U KR 2020000016788U KR 20000016788 U KR20000016788 U KR 20000016788U KR 200214261 Y1 KR200214261 Y1 KR 2002142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ring
cutting
bearing
beau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범
Original Assignee
이계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범 filed Critical 이계범
Priority to KR2020000016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2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261Y1/ko

Link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지는 2종류의 미용가위를 한 조로 연결하여 미용사의 손동작에 의하여 하나씩 선택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용시 미용가위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모발절단을 보다 안정적이며 편리하게 이루는 미용가위에 관한 것이다. 본 미용가위는 부분절단용가위의 약지끼움링과 완전절단용가위의 약지끼움링 사이에 베어링을 배치하고 베어링의 외경링과 내경링에 상기 약지끼움링을 각각 부착하여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2종류의 미용가위를 한 손에서 필요에 따라 손쉽게 바꾸어서 사용하므로 미용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보관 및 관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초보미용사라도 손쉽게 가위의 교체작업을 행하여 편리하게 모발을 부분적으로 절단하거나 완전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미용가위{Beauty Scissors}
본 고안은 미용가위에 관한 것으로 , 더욱 상세하게는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지는 2가지의 미용가위를 한 조로 연결하여 미용사의 손동작에 의하여 하나씩 선택사용함으로써 미용시 미용가위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모발절단을 보다 안정적이며 편리하게 이루는 미용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가위는 두개의 칼날을 서로 교차하여 모발을 절단하는 기기로서 다양한 스타일을 표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가위가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위의 손잡이 부위는 원형으로 되어 손가락이 삽이되도록 되어 있으며,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추구할 수 있도록 모발의 절단정도에 따라 모발이 완전이 절단될 수 있는 완전절단용 가위와 모발을 부분적으로 절단하는 부분절단용가위를 교대로 사용하여 요구하는 헤어스타일로 미용을 하고 있다.
그러나 완전절단용 가위와 부분절단용 가위를 수시로 바꿔 사용해야하는 불편한 있어, 숙력된 미용사의 경우에는 2종류의 가위를 한 손가락에 같이 끼워 숙련된 손동작으로 하나의 가위만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편리한 교대작업으로 미용작업시간을 단축하면서 불편함을 해소하고 있다.
그러나 2종류의 가위를 하나의 손가락에 끼워 돌리는 손동작은 숙련된 미용사만 가능하고 숙력되지 못한 미용사는 그 동작이 어려울 뿐만이 아니라 동작과정에서 가위가 손가락으로 부터 이탈될 우려가 많고, 이로 인하여 안전의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개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2종류의 미용가위를 일체성 있게 연결하여 미숙력 미용사도 간편한 손동작에 의하여 부분절달용 또는 완전 절단용 가위로 간편하게 바꾸어 미용작업을 간소화 하면서 편리할 수 있도록 한 미용가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은, 일정한 각도로 교차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부분절단용가위와, 완전절단용가위에 있어서,
상기 부분절단용가위의 약지끼움링과 완전절단용가위의 약지끼움링 사이에 베어링을 배치하고 베어링의 외경링과 내경링에 상기 약지끼움링을 각각 부착하여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미용가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용가위의 연결부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완전절단용 가위 20; 부분절단용 가위
12,22; 힌지 14,24; 제1가위부
16,26; 제2가위부 18,28; 엄지끼움링
18a,28a; 약지끼움링 30; 베어링
32; 외경링 34; 내경링
40; 커터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미용가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용가위의 연결부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미용가위는 모발을 완전히 절단하는 완전절단용 가위(10)와, 모발을 부분적으로 절단하는 부분절단용 가위(20)와, 상기 가위(10)(20)를 연결하는 베어링(30)으로 이루어진다.
완전절단용 가위(10)는, 일정한 각도로 교차가능하게 힌지(12)결합되는 제1가위부(14)와 제2가위부(16)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가위부(14)에는 엄지끼움링(18)이 제2가위부(16)에는 약지끼움링(18a)이 마련되어 있다.
부분절단용 가위(20)는, 일정한 각도로 교차가능하게 힌지(22)결합되는 제1가위부(24)와 제2가위부(26)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가위부(24)에는 엄지끼움링(28)이 제2가위부(26)에는 약지끼움링(28a)이 부착되어 있으며, 제1가위부(24)의 소정영역에는 톱니형태의 커터부(40)가 마련되어 있다.
베어링(30)은 외경링(32)과 내경링(34)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기 약지끼움링(18)(18a)의 사이에 배치되며 외경링(32)은 하나의 약지끼움링(18)을 부착하고, 내경링(34)은 다른 약지끼움링(18a)을 부착하여서 약지끼움링(18)(18a)각기 회동이 자유롭게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도 4에서와 같이 베어링(40)으로 연결되어 있는 약지끼움링(18a)(28a)과 약지에 끼우면 완전절단용가위(10)와 부분절단용가위(20)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 완전절단용가위(10)를 사용하다가 부분절단용가위(20)를 사용하려면 손목힘을 이용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완전절단용가위를 내리도 역동작(시계방향)으로 손을 돌려주면 내려가 있던 부분절단용가위를 잡을 수 있게 되어 손쉽게 바구어주어 부분절단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엄지끼움링(18)(28)이 하나의 베어링(40)에 형성되어 있는 외경링(32)과 내경링(34)에 각각 일체성 있도록 부착되고 있어 약지에 끼워진 상태에서 미숙련자라도 손목힘을 이용 시계방향으나 역동작을 취하면 교체적으로 하나씩 사용하여 모발절단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각기 분리 보관과 바꾸어 사용하는 불편을 배제하면서 초보미용사일 경우에도 간편하고 편리하게 한 손에 2종류의 가위를 걸어 간단한 조작으로 모발의 완전 절단 및 부분절단의 기능을 이루게 한다.
본 고안은 완전절단가위와 부분절단가위외에도 다른 어떠한 형태의 가위를 적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2종류의 미용가위를 한 손에서 필요에 따라 손쉽게 바꾸어서 사용하므로 미용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보관 및 관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초보미용사라도 손쉽게 교체작업을 행하여 편리하게 모발을 부분적으로 절단하거나 완전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일정한 각도로 교차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부분절단용가위와, 완전절단용가위에 있어서,
    상기 부분절단용가위의 약지끼움링과 완전절단용가위의 약지끼움링 사이에 베어링을 배치하고 베어링의 외경링과 내경링에 상기 약지끼움링을 각각 부착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KR2020000016788U 2000-06-13 2000-06-13 미용가위 KR200214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788U KR200214261Y1 (ko) 2000-06-13 2000-06-13 미용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788U KR200214261Y1 (ko) 2000-06-13 2000-06-13 미용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261Y1 true KR200214261Y1 (ko) 2001-02-15

Family

ID=73056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788U KR200214261Y1 (ko) 2000-06-13 2000-06-13 미용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2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1845B2 (ja) 整髪用鋏組合せ構造
KR200214261Y1 (ko) 미용가위
KR20100001832U (ko) S자형 날을 갖는 가위
KR20170081819A (ko) 미용가위
KR200337267Y1 (ko) 가위
KR200195231Y1 (ko) 미용가위
JP2004073817A (ja) 指間刈り用髪切りばさみ及び櫛
KR200436168Y1 (ko) 조발용 가위
KR200232105Y1 (ko) 헤어커트용 가위
KR200430058Y1 (ko) 미용가위
KR200307577Y1 (ko) 미용가위
KR20090011790A (ko) 다중 절단기능을 갖는 미용가위
KR200418639Y1 (ko) 미용 가위
KR100938213B1 (ko) 슬라이드 미용가위
JPWO2002062537A1 (ja)
KR200404380Y1 (ko) 미용가위
KR200320278Y1 (ko) 미용가위
JP3029505U (ja) 櫛刈り器
KR200219660Y1 (ko) 미용가위
KR20080041138A (ko) S자형 날을 갖는 가위
JP4980513B2 (ja)
JP2005198848A (ja) 指間刈り用髪切りばさみ
TWM526474U (zh) 剃剪兩用美髮剪刀
KR200283755Y1 (ko) 눈썹 면도기
KR200283754Y1 (ko) 눈썹 면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