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105Y1 - 헤어커트용 가위 - Google Patents

헤어커트용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105Y1
KR200232105Y1 KR2020010001487U KR20010001487U KR200232105Y1 KR 200232105 Y1 KR200232105 Y1 KR 200232105Y1 KR 2020010001487 U KR2020010001487 U KR 2020010001487U KR 20010001487 U KR20010001487 U KR 20010001487U KR 200232105 Y1 KR200232105 Y1 KR 200232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sides
auxiliary
centra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근
Original Assignee
김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근 filed Critical 김경근
Priority to KR2020010001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1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105Y1/ko

Link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어커트시 사용되는 가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회전손잡이를 갖는 중심가위의 연결부와 양측 보조가위에 형성된 연결부를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게 구성함으로써 보다 빠른 시간에 헤어커트 작업을 수행하고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가위에 관한 것인바,
즉, 본 고안은 고정손잡이(23)와 연결부(21)를 갖는 중심가위(2) 양측에 보조가위(3,4)가 형성되어 힌지(5)로서 결합되는 통상의 헤어커트용 가위(1)에 있어서,
중심가위(2) 양측으로 연결부(31,41)만 갖는 보조가위(3,4)를 형성하여 중심가위(2)와 양측 보조가위(3,4)의 각 상, 하 연결부(21,31,41)를 힌지 등의 고정수단(6)으로 고정하여 중심가위(2)에 형성된 상,하측 손잡이(22,23)에 손가락을 끼워 작동할 경우 양측에 형성된 보조가위(3,4)가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중심가위(2) 상측 연결부(21)에 마련된 관통공(223)에 보울트부(222)가 끼움되어 너트(221)로 체결된 회전손잡이(22)를 형성하여 너트(221)의 조작에 의해 손잡이가 자재로이 회전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헤어커트용 가위{SCISSORS FOR HAIR CUT}
본 고안은 헤어커트시 사용되는 가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회전손잡이를 갖는 중심가위의 연결부와 양측 보조가위에 형성된 연결부를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게 구성함으로써 보다 빠른 시간에 헤어커트 작업을 수행하고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위는 지레의 원리를 응용한 것으로 힌지를 중심으로 날이 교차하여 절단물을 절단하는 기기로서, 특히 헤어커트용 가위의 경우 여러가지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가위는 전문적인 기술을 요하는 헤어커트 작업에 사용되므로 보다 편리한 기능을 필요로 하는데, 근래에는 보다 빠른 시간에 헤어커트 작업을 수행하고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 중심가위 양측에 보조가위가 결합된 형태의 가위가 보편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중심가위 양측에 보조가위가 결합된 형태의 헤어커트용 가위는 날이 상하 한쌍으로 구성된 헤어커트용 가위 보다 빠른시간에 헤어커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비숙련자일 경우 사용하기가 상당히 까다롭고 숙련자라 하더라도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즉, 중심가위 외에 양측으로 2개의 보조가위가 결합됨에 따라 고리형태의 손잡이 부위가 상하 3쌍이 형성되고 여기에 엄지 손가락과 약지 손가락을 삽입하여 헤어커트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럴경우 각각의 손가락에 3개의 고리형태의 손잡이가 끼워지게 되어 손가락에 균일한 힘을 동시에 가하지 않을 경우(상하로 2쌍의 손잡이에는 힘이 가해지고 나머지 1쌍의 손잡이에는 동일한 힘이 가해지지 않았을 경우)머리카락이 고르게 절단되지 않아 모발에 손상을 주게되고 심지어는 머리카락 집힘 현상이 일어나 헤어샵을 찾은 손님들에게 불쾌감을 주게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또한 이러한 중심가위 양측에 보조가위가 결합된 형태의 헤어커트용 가위는 상당한 커팅기술을 요하므로 헤어디자이너가 항상 긴장감을 가지게 되고 일반가위보다 손가락을 깊숙이 삽입하여 사용하다 보니 손과 팔에 과도한 근육 피로가 누적되어 작업능률 저하의 요인을 안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고리형 손잡이가 대부분 고정형 이므로 헤어커트 작업시 손가락을 끼운상태에서 손가락을 움직일 수 없게되어 있어 가위의 날 부위를 세우거나 틀어서 헤어커트 작업을 할 경우 손잡이에 끼워진 손가락이 불안정한 상태가 되기 쉬우므로 작업이 능률적이지 못하고 원하는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기 힘들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손잡이와 연결부를 가진 중심가위와 연결부만으로 형성된 양측의 보조가위의 각 연결부를 고정수단으로 고정하여 중심가위에 형성된 손잡이의 작동만으로 양측의 보조가위가 동시에 작동되어 헤어커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중심가위의 손잡이를 회전 가능한 회전손잡이로 형성 함으로써, 날이 상하 한쌍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가위 처럼 헤어디자이너가 헤어커트 작업을 손쉽게할 수 있게하고, 단시간에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헤어커트용 가위를 제공코져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헤어 커트용 가위 2:중심가위
3,4:보조가위 5:힌지
6:고정수단 21,31,41:연결부
22:회전손잡이 23:고정손잡이
221:너트 222:보울트부
223:관통공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을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구성을 설명키로 한다.
일반적으로 상하로 형성되는 원형고리 형태의 고정손잡이(23)와 연결부(21)를 가지는 중심가위(2)양측에 보조가위(3,4)가 형성되어 힌지(5)로서 결합되는 통상의 헤어커트용 가위(1)에 있어서,
즉, 본 고안은 중심가위(2) 상측 연결부(21)에는 회전손잡이(22)를 하측 연결부(21)에는 일반적인 고정손잡이(23)를 형성하되, 중심가위(2)의 상측 연결부(21)에는 관통공(223)을 형성하고 여기에 회전손잡이(22) 하측에 마련된 보울트부(222)를 끼워 너트(221)로 체결한다.
그리고 중심가위(2) 양측에는 보조가위(3,4)를 결합한다.
이때 중심가위(2) 양측에 형성되는 보조가위(3,4)는 중심가위(2)의 형태와는 달리 연결부(31,41)만을 갖는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일실시예로 회전손잡이(22)를 중심가위(2) 상, 하측 연결부(21)에 이중으로 형성하여 상, 하 손잡이가 동시에 연결부(21) 상에서 자재로이 회전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같이 중심가위(2)와 양측에 보조가위(3,4)로 구성되게 한 다음 각각의 상하 연결부(21,31,41)를 힌지 등의 고정수단(6)으로 고정하여 중심가위(2)에 형성된 원형고리 형태의 회전손잡이(22)와 고정손잡이(23)에 엄지와 약지 손가락을 삽입하여 작동할 경우 중심가위(2)는 물론 양측에 형성된 보조가위(3,4)의 날이 동시에 균일한 힘으로 작동되어 모발이 커트되게 한다.
중심가위(2)와 보조가위(3,4)에 형성된 연결부(21,31,41)를 고정하는 방법을 용접식으로 할 수도 있으나 무디어진 가위의 날을 갈수 있도록 분리가 가능한 보울트, 힌지 등의 고정수단(6)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회전,고정손잡이(22,23)와 연결부(21)를 갖는 중심가위(2)와 연결부(31,41)만으로 형성된 양측의 보조가위(3,4)의 각 연결부(21,31,41)를 고정수단(6)으로 고정하여 중심가위(2)에 형성된 회전,고정손잡이(22,23)의 작동만으로 양측의 보조가위(3,4)가 동시에 작동되어 헤어커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키로 한다.
헤어커트 작업시 중심가위(2)에 형성된 회전,고정손잡이(22,23)에 엄지와 약지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에서 가위질을 하게되면 힌지(5)를 중심으로 각 가위들이 지레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중심가위(2) 양측에 형성된 보조가위(3,4)의 연결부(21,31,41)가 고정수단(6)으로 고정된 상태이므로 중심가위(2)는 물론 보조가위(3,4)도 동시에 작동되며, 또한 중심가위(2)에 형성된 한쌍의 회전,고정손잡이(22,23)만 작동하면 되므로 헤어커트 작업시 모발에 손상을 주거나 집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오랜사용으로 가위들의 날이 무디어질 경우에는 힌지(5)와 고정수단(6)을 풀어서 날을 갈아주면 재사용이 가능하며, 고정수단(6)의 길이를 조절하여 가위를 3개이상 결합한 형태로도 구성 할 수도 있다.
한편 헤어커트 작업시 헤어디자이너의 표현하고자 하는 헤어스타일 연출 방법에 따라 가위의 날을 세우거나 틀어서 헤어커팅 작업을 행할시 너트(221)를 풀어서 회전손잡이(22)를 적당히 회전시킨 다음 다시 너트(221)를 조여 고정시킨 후 해어커트 작업을 하면 양측 손잡이에 삽입되는 손가락이 편안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 하므로 헤어커트 작업을 보다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회전,고정손잡이(22,23)와 연결부(21)를 가진 중심가위(2)와 연결부(31,41)만으로 형성되는 양측의 보조가위(3,4)의 각 연결부(21,31,41)를 고정수단(6)으로 고정하여 중심가위(2)에 형성된 고정, 회전손잡이(22,23)의 작동만으로 양측의 보조가위(3,4)가 동시에 작동되어 헤어커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비숙련자일 경우에도 손쉽게 헤어커트용 가위(1)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단 시간내에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대부분 독일이나 일본등 외국의 수입에 의존하는 고가의 헤어커트용 가위와 견주어 손색이 없으므로 수입대처 효과는 물론 저렴한 가격으로 국내에 보급할 경우 국가경제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가치가 다대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고정손잡이(23)와 연결부(21)를 갖는 중심가위(2) 양측에 보조가위(3,4)가 형성되어 힌지(5)로서 결합되는 통상의 헤어커트용 가위(1)에 있어서,
    중심가위(2) 양측으로 연결부(31,41)만 갖는 보조가위(3,4)를 형성하여 중심가위(2)와 양측 보조가위(3,4)의 각 상, 하 연결부(21,31,41)를 힌지 등의 고정수단(6)으로 고정하고, 상기 중심가위(2) 상측 연결부(21)에 마련된 관통공(223)에 보울트부(222)가 끼움되어 너트(221)로 체결된 회전손잡이(22)를 형성하여 너트(221)의 조작에 의해 손잡이가 자재로이 회전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커트용 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
    중심가위(2) 상, 하측 연결부(21)에 회전손잡이(22)를 이중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커트용 가위.
KR2020010001487U 2001-01-16 2001-01-16 헤어커트용 가위 KR2002321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487U KR200232105Y1 (ko) 2001-01-16 2001-01-16 헤어커트용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487U KR200232105Y1 (ko) 2001-01-16 2001-01-16 헤어커트용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2105Y1 true KR200232105Y1 (ko) 2001-07-19

Family

ID=73095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487U KR200232105Y1 (ko) 2001-01-16 2001-01-16 헤어커트용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10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150A (ko) * 2002-03-08 2002-04-03 김형복 이·미용 가위
KR100869874B1 (ko) 2006-10-17 2008-11-24 이대범 복수개의 가위가 3군데 지점에서 결합되는 미용가위조립체
KR200445368Y1 (ko) 2009-02-06 2009-07-22 박동식 다중날 미용가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150A (ko) * 2002-03-08 2002-04-03 김형복 이·미용 가위
KR100869874B1 (ko) 2006-10-17 2008-11-24 이대범 복수개의 가위가 3군데 지점에서 결합되는 미용가위조립체
KR200445368Y1 (ko) 2009-02-06 2009-07-22 박동식 다중날 미용가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4832B1 (en) Hair-cutting tool
CA2390460C (en) Hairdressing scissor assembly having detachable dovetail connection
US6434833B1 (en) Hairdressing scissor assembly
KR200232105Y1 (ko) 헤어커트용 가위
KR200195231Y1 (ko) 미용가위
KR102284772B1 (ko) 코털깎이
WO2004045810A3 (en) Snips with removable blades
KR100433455B1 (ko) 머리손질용 가위 조립체
KR200337267Y1 (ko) 가위
KR200284239Y1 (ko) 이·미용 가위
KR200214261Y1 (ko) 미용가위
KR200240224Y1 (ko) 이미용 가위
KR100433456B1 (ko) 분리가능한 더브테일 결합부를 가진 머리손질용 가위 조립체
KR101125729B1 (ko) 다기능 미용가위
KR200295724Y1 (ko) 헤어컷트용 가위
GB2414955A (en) Hairdressing scissors having multiple blades
KR200418639Y1 (ko) 미용 가위
JP2009005816A (ja) ハサミ
CN217597149U (zh) 一种能够改变刀具长度以及宽度的刀具
KR200173666Y1 (ko) 헤어 스타일링용 가위
JPH11104365A (ja) 理美容用鋏
JP3082323U (ja) 組替自在鋏
JP3068046U (ja) シザ―ズカット用複式はさみ
JP4980513B2 (ja)
KR200344669Y1 (ko) 다중의 절단날을 갖는 이미용 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