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724Y1 - 헤어컷트용 가위 - Google Patents

헤어컷트용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724Y1
KR200295724Y1 KR2020020025792U KR20020025792U KR200295724Y1 KR 200295724 Y1 KR200295724 Y1 KR 200295724Y1 KR 2020020025792 U KR2020020025792 U KR 2020020025792U KR 20020025792 U KR20020025792 U KR 20020025792U KR 200295724 Y1 KR200295724 Y1 KR 2002957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scissors
cutter
cu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범
Original Assignee
이대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범 filed Critical 이대범
Priority to KR2020020025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7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7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724Y1/ko

Link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보다 가벼우면서도 모발 절단시 절단 부하가 적게 걸리고 잘려진 모발이 가위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는 헤어컷트용 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제1,2커터부재(10,20)와 손잡이(11,21)가 일체로 형성되어 힌지축부(30)를 중심으로 회동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커터부재(10)는 내,외단부(12a,12b)보다 중간부(12c)가 볼록하게 돌출되는 활꼴형 커터날(12)을 형성하고, 제2커터부재(20)는 다수의 커터날부(22)와 모발홈부(23)가 교대로 형성되게 하되 상기 모발홈부(23)의 입구(23a) 보다 중간부(23b)가 넓은 공간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헤어컷트용 가위 {Scissor that use to cut hair}
본 고안은 모발을 속아내는 방식으로 커트할 때 쓰이는 헤어컷트용 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발을 자르는 부하가 적게 걸리도록 하는 동시에 잘려진 모발이 가위로부터 잘 이탈될 수 있도록 개선된 헤어컷트용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을 속아내는 방식으로 커트할 때 쓰이는 헤어컷트용 가위는 미장원에서 미용사들이 주로 사용하게 되는 전문가용 가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가위는 직업용으로 쓰이는 것이기 때문에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기능성이 월등할 필요가 있다.
가령, 가위가 무겁고 절단력이 좋지 않은 가위를 사용하게 되면 오랜시간 또는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어깨걸림과 같은 직업병이 초래될 뿐만 아니라 커트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커트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종래의 헤어컷트용 가위는 모발을 절단시키는 커터날이 일자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모발 절단시에 여러가닥의 모발이 거의 일시적으로 절단되게 되기 때문에 절단 부하가 일시적이면서 큰 절단 부하가 걸리게 됨으로써 장시간 커트 작업을 하는 직업인에게는 힘이 드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또한, 모발홈부가 단순히 일자형태로 되어 있어서 일시에 많은 량의 절단된 모발이 끼어 들어감으로써 잘 빠지지 않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따라서, 가급적 가벼우면서도 모발 절단시 절단 부하가 적게 걸리고 잘려진 모발이 가위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는 헤어컷트용 가위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보다 가벼우면서도 모발 절단시 절단 부하가 적게 걸리고 잘려진 모발이 가위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는 헤어컷트용 가위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1,2커터부재와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어 힌지축부를 중심으로 회동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커터부재는 내,외단부보다 중간부가 볼록하게 돌출되는 활꼴형 커터날을 형성하고, 제2커터부재는 다수의 커터날부와 모발홈부가 교대로 형성되게 하되 상기 모발홈부의 입구 보다 중간부가 넓은 공간을 갖도록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위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위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위의 배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따른 가위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커터부재 11,21 : 손잡이
12 : 활꼴형 커터날 12a, 12b : 내,외단부
12c : 중간부 20 : 제2커터부재
22 : 커터날부 23 : 모발홈부
23a : 입구 23b : 중간부
30 : 힌지축부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컷트용 가위의 전체 사시도르 보인 것이고, 도 2 및 도 3은 그 정면도와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제1,2커터부재(10,20)와 손잡이(11,21)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힌지축부(30)를 중심으로 회동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커터부재(10)는 내,외단부(12a,12b)보다 중간부(12c)가 볼록하게 돌출되는 활꼴형 커터날(12)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커터부재(20)는 다수의 커터날부(22)와 모발홈부(23)가 교대로 형성되게하되 상기 모발홈부(23)의 입구(23a) 보다 중간부(23b)가 넓은 공간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커터부재(10)의 커터날(12)은 활꼴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모발(h) 절단시 수많은 모발(h)이 한꺼번에 잘리는 것이 아니고 1개씩 차례대로 절단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모발(h) 절단부하가 예전보다 휠씬 적게 걸리게 되므로 미용사가 장시간 사용하여도 피로함이 적어지게 된다.
또한, 활꼴형 커터날(12)과 커터날부(22)가 교차하여 절단된 모발(h)은 앞쪽 방향으로 밀려나서 입구(23a)를 통해 모발홈부(23)로 낙하되게 되고, 이어서 가위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때, 입구(23a)로 들어가게 되는 모발(h)은 중간부(23b)가 넓어지기 때문에 걸림이 없이 외부로 이탈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중간부(23b)가 넓어지게 형성되므로 그 넓어지는 면적 만큼의 소재 중량이 경감되게 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가위가 가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은 보다 가벼우면서도 모발 절단시 절단 부하가 적게 걸리고 잘려진 모발이 가위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하므로 전문가용 헤어컷트 가위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장시간 사용하므로서 야기되는 직업병을 최소한으로 줄이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제1,2커터부재(10,20)와 손잡이(11,21)가 일체로 형성되어 힌지축부(30)를 중심으로 회동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커터부재(10)는 내,외단부(12a,12b)보다 중간부(12c)가 볼록하게 돌출되는 활꼴형 커터날(12)을 형성하고, 제2커터부재(20)는 다수의 커터날부(22)와 모발홈부(23)가 교대로 형성되게 하되 상기 모발홈부(23)의 입구(23a) 보다 중간부(23b)가 넓은 공간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컷트용 가위.
KR2020020025792U 2002-08-29 2002-08-29 헤어컷트용 가위 KR2002957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792U KR200295724Y1 (ko) 2002-08-29 2002-08-29 헤어컷트용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792U KR200295724Y1 (ko) 2002-08-29 2002-08-29 헤어컷트용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724Y1 true KR200295724Y1 (ko) 2002-11-18

Family

ID=73128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792U KR200295724Y1 (ko) 2002-08-29 2002-08-29 헤어컷트용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7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9743B2 (en) Electric hair clipper
US6434833B1 (en) Hairdressing scissor assembly
RU96520U1 (ru) Парикмахерские ножницы
KR200295724Y1 (ko) 헤어컷트용 가위
US2558264A (en) Tapering and thinning shears
DK1270154T3 (da) Fremgangsmåde til hårklipning med to hænder
KR20100001832U (ko) S자형 날을 갖는 가위
US20050044724A1 (en) Structure of hair scissors
KR200195231Y1 (ko) 미용가위
KR101125729B1 (ko) 다기능 미용가위
KR200240224Y1 (ko) 이미용 가위
KR200232105Y1 (ko) 헤어커트용 가위
GB2414955A (en) Hairdressing scissors having multiple blades
WO2004101234A1 (ja) 理美容具
JP4596993B2 (ja) ヘアカット用カミソリ
KR200337267Y1 (ko) 가위
KR20080065845A (ko) 이발용 통합가위
KR20100010776U (ko) 이발용 가위
KR200418645Y1 (ko) 미용가위
KR20090011790A (ko) 다중 절단기능을 갖는 미용가위
KR200305233Y1 (ko) 미용가위
KR200382980Y1 (ko) 존 앤드 섹션 가위
KR200404380Y1 (ko) 미용가위
KR100330944B1 (ko) 미용가위
KR20080005499U (ko) 틴닝 기능이 개선된 미용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