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267Y1 - 가위 - Google Patents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267Y1
KR200337267Y1 KR20-2003-0014734U KR20030014734U KR200337267Y1 KR 200337267 Y1 KR200337267 Y1 KR 200337267Y1 KR 20030014734 U KR20030014734 U KR 20030014734U KR 200337267 Y1 KR200337267 Y1 KR 2003372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teeth
blade
hair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복순
Original Assignee
한복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복순 filed Critical 한복순
Priority to KR20-2003-0014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2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2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2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26B13/08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with cutting edges wavy or toothed in the plane of the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발시에 사용하는 가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위의 양 칼날면에 국부적으로 상어의 입 형태로 구성된 이빨부를 형성하여 이 이빨부의 작용에 의해 모량의 조절시 깊은 단차를 줄 수 있음은 물론 조발과정에서 머리카락이 외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삭발되는 모량의 양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위는 가위(30)를 구성하는 양 칼날부(20)(20a)의 중앙에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이빨부(22)를 각각 형성시키되, 이 이빨부(22)는 칼날부(20)(20a)의 입구쪽에 각각 형성되는 톱니부(2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가위(30)의 양 칼날부(20)가 상호 접혔을 경우에는 상기 양 이빨부(22)의 공간(22a)이 서로 일치되도록 하여, 양 이빨부(22)의 칼날면(23a)에 의해 머리카락이 잘리는 부분이 생김과 동시에 상기 양 이빨부(22)사이에 형성된 공간(22a)내에 수용된 머리카락은 잘리지 않게 되어 모량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위{SCISSORS}
본 고안은 가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위의 양 칼날면에 국부적으로 상어의 입 형태로 구성된 이빨부를 형성하여 이 이빨부의 작용에 의해 모량의 조절시 깊은 단차를 줄 수 있음은 물론 조발과정에서 머리카락이 외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삭발되는 모량의 양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일반적으로 미용실에서 사용하는 가위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이를 대별하면 단순히 머리카락을 자르기 위한 가위와 머리카락을 다 자른 후 모량을 조절하기 위한 가위로 나뉠수 있다.
상기 머리카락을 자르기 위한 가위는 가위날이 서 있어야 머리카락을 용이하게 자를 수 있는 반면, 모량 조절용 가위는 가위날이 무디어야 모량 조절을 할 수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모량 조절용 가위에 있어서는, 단순히 가위날이 무딘 것을 사용하여 모량을 조절하므로 조발과정에서 가위날에 머리카락이 낄 수도 있고, 또한 가위의 끝부분이 민자날로 이루어져 있어 머리카락이 이러한 민자날부분으로 쉽게 미끄러져 빠져 모발을 조절하기가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위의 형태를 개선하되, 가위의 칼날부 안쪽은 민자날이 되도록 하고, 가위의 칼날부 중심에는 이빨부를 형성하여 모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이빨부의 외측에서 끝단부까지는 모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톱니부를 각각 형성하여 모량 조절시 머리카락이 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가위로 3가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위의 사시도,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위의 양 칼날부가 상호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손잡이부 20, 20a :칼날부
21:톱니부 22:이빨부22a: 공간 23:민자날부30:가위 40:모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손잡이부와 칼날부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가위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칼날부의 끝단쪽에 형성되어 머리카락이 외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톱니부와, 상기 칼날부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모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빨부와, 상기 이빨부의 내측부터 교차점까지 형성되어 깊은 단차를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민자날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구성상 다른 특징은, 상기 양 이빨부는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들 공간은 양 칼날부가 접혔을 때 서로 일치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위의 양 칼날부가 상호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위는 크게 손잡이부(10)와 양 칼날부(20)(20a)로 이루어진다.또한, 상기 양 칼날부(20)(20a)는 칼날부(20)(20a)의 끝단부쪽에 형성되어 머리카락이 외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톱니부(21)와, 상기 양 칼날부(20)(20a)의 중심부분에 형성되어 모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빨부(22)와, 상기 이빨부(22)의 내측부터 교차점까지 형성되어 조발시 깊은 단차를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민자날부(23)로 각각 구성된다.
상기 이빨부(22)는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그 경계면 사이에 공간(22a)이 형성되고 이들 공간(22a)은 칼날부(20)(20a)의 양날이 상호 접혔을 때 서로 일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각각의 톱니부(21)는 칼날부(20)(20a)의 양 끝단, 즉 서로 접촉되는 면에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칼날부(20)(20a)에 형성되어진 이빨부(22)가 상기 칼날부(20)(20a)의 입구쪽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칼날부의 입구쪽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들어와 중심부쪽에 형성되어 있고, 아울러 칼날부(20)(20a)의 교차점부터 이빨부(22)까지는 이빨이 형성되지 않은 민자날부(23)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가위(30)를 부여 잡고 가위질을 할 때 손가락의 악력이 상기 민자날부(23)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되면서 이러한 민자날부(23)로 인하여 모발에 깊은 단차를 줄 때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가위(30)의 양 칼날부(20)(20a) 중간부분에 형성된 이빨부(22)를 사용하여 머리카락을 자른 후 모량 조절시 용이하게 마무리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이빨부(22)는 양 칼날부(20)의 중앙에 형성되는 칼날면(23a)에 각각 형성되고 아울러, 이들 이빨부(22)는 가위(30)의 양 칼날부(20)(20a)가 상호 접혔을 경우에 그 사이에 형성된 공간(22a)이 일치하게 되면서 가위(30)의 손잡이부(10)를 상호 완전히 밀착시켜도 일정부분의 겹쳐지지 아니하는 공간이 마련됨으로서 결국, 이 사각의 공간부에 위치하게 되는 머리카락은 잘려나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모발(40)의 조발시 머리카락이 집중적으로 이빨부(22)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양 칼날부(20)(20a)를 일치시키면 모발의 일부는 양 이빨부(22)에 형성된 겹쳐지는 칼날부(20a)에 의해 일부분이 잘려짐과 동시에 맞물린 톱니부(21) 사이의 공간(22a)에 위치되는 머리카락들은 잘리지 않게 되므로 모량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칼날부(20)(20a)의 끝부분에 머리카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면형태의 톱니부(21)가 형성되어 있어, 모발(40)를 자를 때 양 칼날면(20) 사이로 수용된 머리카락이 상기 톱니부(21)의 작용에 의해 외측으로 밀리지는 않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가위의 끝단에는 톱니부가 형성되어 머리카락이 밀리지 않게 하면서 이빨부에 의해 모발조절을 할 수 있고, 아울러 이빨부의 내측은 민자날부로 이루어져 있어 깊은 단차를 줄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가위로서 3가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발조절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가위(30)를 구성하는 양 칼날부(20)(20a)의 중앙에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이빨부(22)를 각각 형성시키되, 이들 이빨부(22)는 칼날부(20)(20a)의 입구쪽에 각각 형성되는 톱니부(2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가위(30)의 양 칼날부(20)가 상호 접혔을 경우에는 상기 양 이빨부(22)의 공간(22a)이 서로 일치되도록 하여, 이들 양 이빨부(22)의 칼날면(23a)에 의해 머리카락이 잘리는 부분이 생김과 동시에 상기 양 이빨부(22)사이에 형성된 공간(22a)내에 수용된 머리카락은 잘리지 않게 되어 모량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20)(20a)의 중앙부에 각각 형성되어진 이빨부(22)는 그 내측부터 칼날부(20)(20a)의 교차점까지 민자날부(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3. 삭제
KR20-2003-0014734U 2003-05-13 2003-05-13 가위 KR2003372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734U KR200337267Y1 (ko) 2003-05-13 2003-05-13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734U KR200337267Y1 (ko) 2003-05-13 2003-05-13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267Y1 true KR200337267Y1 (ko) 2003-12-31

Family

ID=4942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734U KR200337267Y1 (ko) 2003-05-13 2003-05-13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26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796B1 (ko) 2006-08-23 2007-12-07 유은자 미용가위
KR200461955Y1 (ko) 2009-02-13 2012-08-22 대한민국 화분채취기구
WO2016047873A1 (ko) * 2014-09-23 2016-03-31 주식회사 피스코리아 곡선형의 톱니를 갖는 가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796B1 (ko) 2006-08-23 2007-12-07 유은자 미용가위
KR200461955Y1 (ko) 2009-02-13 2012-08-22 대한민국 화분채취기구
WO2016047873A1 (ko) * 2014-09-23 2016-03-31 주식회사 피스코리아 곡선형의 톱니를 갖는 가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1845B2 (ja) 整髪用鋏組合せ構造
KR200337267Y1 (ko) 가위
JP2011115526A (ja) 散髪用櫛
KR200195231Y1 (ko) 미용가위
KR200214261Y1 (ko) 미용가위
JPH06105968A (ja) チョッピングカット用鋏
JPH0510783Y2 (ko)
KR200173666Y1 (ko) 헤어 스타일링용 가위
KR200232105Y1 (ko) 헤어커트용 가위
JP2005034577A (ja) 理髪用梳鋏
KR200430058Y1 (ko) 미용가위
KR200418645Y1 (ko) 미용가위
JP3095199U (ja) 理美容鋏
KR200166352Y1 (ko) 빗이 달린 가위
JP3029505U (ja) 櫛刈り器
JPS64211Y2 (ko)
KR102254590B1 (ko) 반자동 가위
KR100938213B1 (ko) 슬라이드 미용가위
KR200404380Y1 (ko) 미용가위
JP3053384U (ja) 美容鋏
KR20000000492A (ko) 빗이 달린 가위
JP3962128B2 (ja) 刈り上げ用アタッチメント
KR200344669Y1 (ko) 다중의 절단날을 갖는 이미용 가위
JP3086965U (ja) 梳 鋏
KR200295724Y1 (ko) 헤어컷트용 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