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723A -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723A
KR20100001723A KR1020080061745A KR20080061745A KR20100001723A KR 20100001723 A KR20100001723 A KR 20100001723A KR 1020080061745 A KR1020080061745 A KR 1020080061745A KR 20080061745 A KR20080061745 A KR 20080061745A KR 20100001723 A KR20100001723 A KR 20100001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heet
diisocyanate
vacuum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길
손창완
조양래
문수언
이상락
주상률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동성하이켐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동성하이켐,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1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723A/ko
Publication of KR20100001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72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44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08G18/4247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derived from polyols containing at least one ether group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18/425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derived from polyols containing at least one ether group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ols containing polyether group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6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prepar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and/or lactones
    • C08G18/4269Lactones
    • C08G18/4277Caprolactone and/or substituted caprolact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다관능 카르복실산 화합물 및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다관능 알코올 화합물을 포함하며, 히드록실 값이 11.22 내지 224.11mgKOH/g 인 에테르 함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30 내지 70 중량부; (B)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 diphenyl methane diisocyanate),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tolunene diisocyanate),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hexamethylene diisocyanate),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Isoporone diisocya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5 내지 60 중량부; (C) 2.1~12가 하이퍼브랜치 폴리올 1 내지 10 중량부; 및 (D)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부탄디올(butane diol), 및 헥산디올(hexane diol)을 포함하는 디올류; 트리메틸올프로판(trimethylol propane)을 포함하는 트리올류; 및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쇄연장제 10 내지 40중량부를 포함하는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진공성형,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시트, 크래쉬 패드

Description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 composition for vacuum forming}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진공성형이 가능한 소재로는 PVC/ABS 및 TPO(Thermoplastic Polyolefine)가 있다.
상기 PVC/ABS는 가소제가 함유되어 장기노화성에 취약하며, 조수석 에어백의 인비저블(Invisible)을 구현할수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 TPO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 Propylene Terpolymers)와 폴리프로필렌수지(Polypropylene)를 컴파운드하여 칩 상태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TPO(Thermoplastic Polyolefine) 카렌다(Calendar)성형시 스크래치, 내마모, 장기내구성 등에 문제가 발생하며, 상/하층에 유성프라이머를 적용하고 상층 표면에 용제가 함유된 코팅제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2차 가공에 의한 비용상승 및 환경문제를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자동차용 크래쉬 패드의 제조를 위한 진공성형 소재는 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카렌다성형성, T-DIE압출성, 및 블론(Blown)성형성; 자동차 표피제로서 엠보전 사력, 광택, 감성품질 등의 성능; 및 불쾌한 냄새의 부존재, 담가(Anti-fogging), 내가수분해성, 내열노화성, 내광노화성, 에어백 전개성능 등을 충족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자동차 내장재로서 요구하는 물성을 충족하고 시트 성형이 우수한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및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타입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는 기계적 물성을 충족시키지만 시트 성형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타입은 진공성형은 우수하나 물성이 높아 인비저블(invisible) 에어백을 구비하기 어렵고 장기 내구성을 갖추기 위해 요구되는 물성을 충족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공성형(Vacuum Forming Molding)을 위한 카렌다성형성, T-DIE압출성, 및 블론(Blown)성형성이 우수하고; 표면촉감, 시트성형성, 치수안정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며;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내표면석출성(Blooming), 내약품성, 내열노화, 내광노화, 내가수분해성 등의 내구성능이 우수하며; 에어백 전개성능, 담가(Anti-fogging), 내수침적 후 표면석출 등의 물성이 우수한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다관능 카르복실산 화합물 및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다관능 알코올 화합물을 포함하며, 히드록실 값이 11.22 내지 224.11mgKOH/g 인 에테르 함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30 내지 70 중량부;
(B)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 diphenyl methane diisocyanate),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tolunene diisocyanate),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hexamethylene diisocyanate),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 트(IPDI; Isoporone diisocya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5 내지 60 중량부;
(C) 2.1~12가 하이퍼브랜치 폴리올 1 내지 10 중량부; 및
(D)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부탄디올(butane diol), 및 헥산디올(hexane diol)을 포함하는 디올류; 트리메틸올프로판(trimethylol propane)을 포함하는 트리올류; 및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쇄연장제 10 내지 40중량부를 포함하는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진공성형용 시트 및 상기의 진공성형용 시트를 포함하는 2층의 진공성형용 복합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진공성형(Vacuum Forming Molding)을 위한 카렌다성형성, T-DIE압출성, 및 블론(Blown)성형성이 우수하고; 표면촉감, 시트성형성, 치수안정성 등의 상품성능이 우수하며;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내표면석출성(Blooming), 내약품성, 내열노화, 내광노화, 내가수분해성 등의 내구성능이 우수하며; 에어백 전개성능, 담가(Anti-fogging), 내수침적 후 표면석출 등의 물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성능이 뛰어난 자동차용 크래쉬 패드 표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A)다관능 카르복실산 화합물 및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다관능 알코올 화합물을 포함하며, 히드록실 값이 11.22 내지 224.11mgKOH/g 인 에테르 함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30 내지 70 중량부;
(B)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 diphenyl methane diisocyanate),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tolunene diisocyanate),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hexamethylene diisocyanate),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Isoporone diisocya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5 내지 60 중량부;
(C) 2.1~12가 하이퍼브랜치 폴리올 1 내지 10 중량부; 및
(D)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부탄디올(butane diol), 및 헥산디올(hexane diol)을 포함하는 디올류; 트리메틸올프로판(trimethylol propane)을 포함하는 트리올류; 및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쇄연장제 10 내지 40중량부를 포함하는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A)에테르 함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아디프산(adipic acid), 스베릭산(sbelic acid), 아벨릭산(abelic acid), 아젤릭산(azelic acid), 세바스산(sebacic acid), 도데칸디온산(dodecandioic acid), 트리메릭산(trimeric acid) 및 이들 중 2종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다관능 카르복실산 화합물 40 내지 80중량부 및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다관능 알코올 화합물 20 내지 100중량부를 혼합 및 반응시켜 히드록실값이 11.22 내지 224.11mgKOH/g이 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에서 다관능 알코올 화합물로는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부탄디올(butane diol), 헥산디올(hexane diol) 등의 디올류, 트리메틸올프로판(trimethylol propane) 등의 트리올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테르 함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상기 다관능 카르복실산 화합물과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다관능 알코올 화합물을 혼합하고, 상온에서 140℃ 내지 160℃ 까지 승온시킨 후, 1차 승온온도인 150℃에서 약 60분 내지 120분간 유지시킨 후, 다시 150℃에서 210℃ 내지 230℃까지 승온시킨 후, 2차 승온온도인 220℃에서 약 10분 내지 120분간 유지시킨 후, 상기 2차 유지온도에서 650㎜Hg 내지 760㎜Hg 진공에 적용시킨 후, 산값이 1mgKOH/g 이하가 되면 반응을 종료시켜 11.22 내지 224.1111.22mgKOH/g의 히드록실값을 갖는 것으로 제조 될 수 있다.
본원발명에서 상기 (C) 2.1~12가 하이퍼브랜치 폴리올은 열가소성 폴리우 레탄 수지가 진공성형에 적합한 물성을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진공성형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열을 가했을 때, 카렌다(Calendar) 및 T-DIE 압출성형에 적합한 물성을 가져야 하는데 2.1~12가 하이퍼브랜치 폴리올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열을 가했을 때, 너무 소프트 해지기 때문에 가공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2.1~12가 하이퍼브랜치 폴리올을 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1~12가 하이퍼브랜치 폴리올이 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효과가 미흡하게 나타나고, 1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게 되면 가공 후에 상온에서 성형물의 고정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2.1~12가 하이퍼브랜치 폴리올로는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테르 함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에테르 함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30 내지 70 중량부, 2.1~12가 하이퍼브랜치 폴리올 1 내지 10 중량부 및 쇄연장제 5 내지 40중량부를 30 내지 100℃에서 1 내지 10분간 교반하면서 혼합시키는 1차 혼합단계; 상기 1차 혼합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에 이소시아네이트 15 내지 60 중량부를 가하고, 1 내지 10분 동안 300 내지 1,000rpm의 속도로 혼합시키는 2차 혼합단계; 상기 2차 혼합단계에서 수득된 생성물을 60 내지 140℃의 온도범위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숙성단계; 상기 숙성단계에서 수득된 생성물을 0℃ 이하의 온도에서 분쇄시키는 분쇄단계; 및 상기 분쇄단계에서 수득된 분쇄물을 150 내지 300℃의 온도범위에서 압출시키는 압출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1차 혼합단계에서는 폴리올 화합물과 쇄연장제들을 먼저 고르게 혼합하는 단계이며, 상기 2차 혼합단계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에테르 함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혼합하여 실질적으로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상기 에테르 함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혼합 직후 급속히 반응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상기 2차 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반응생성물로서의 폴리우레탄을 숙성시켜 수득되는 반응생성물로서의 폴리우레탄의 분자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반응생성물로서의 폴리우레탄은 공지의 분쇄 및 압출공정 등을 통하여 적절한 크기 등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분쇄 및 압출공정에 의하여 제품으로 가공될 수 있는 펠릿(pellet)으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카렌다(Calendar) 및 T-DIE 압출성형시 안티블로킹성 및 평활도 개선을 위해 외부활제 5 내지 10중량부와 내부활제 1 내지 5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진공성형용 시트 및 상기의 진공성형용 시트를 포함하는 2층(layer)의 진공성형용 복합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카렌다(Calendar) 및 T-DIE 성형법으로 가공하여 진공성형용 시트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T-DIE 시트(Sheet) 성형기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I)압출기 형태: 단축 압출기, L/D-36/1, 압축비 ◎3/1, 스크류 직경 -120mm, 모터 용량 ◎DC 200HP, T-DIE 폭: 47인치
II)건취 형태
- 언와인딩(UNWINDING): 2샤프트(Shaft stand type)
- 포밍 파트(Forming Part): 냉각 포밍(Forming) 롤러, 포밍 고무 롤러, 냉각 스무드(Smooth) 롤러, 터치 고무 롤러로 구성
- 테이크 업(Take Up) 장치: 가이드 롤러, 스무딩(Smoothing) 장치, 테이크 업 스틸 롤러, 고무 압력 롤
- 와인딩 장치: 2 샤프트 터릿 타입(SHAFT TURRET TYPE), 와인딩 폭 1500mm
- 부대설비: 제습 드라이어(Dryer), 칠러(Chiller)
III) 실린더(Cylinder) 온도: 150~180℃
IV) 헤드(Head), 스크린체인저(Screen Changer), 멜트 펌프(Melt Pump): 150~170℃
V) 티다이스(T-DIES) 히터(Heater) 1~8: 160~18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진공성형이 가능한 시트는 1Layer와 2Layer로 구분하고 있는데 1Layer는 자동차 내장재로서 곡면이 완만한 디자인을 위한 것이며, 2Layer는 각을 많이 살리기 위한 제품으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복합수지로 구성한다. 본 발명의 진공성형 용 시트와 함께 2Layer를 구성하는 수지로는 에비에스(AB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세탈(POM), 피브씨(PVC), 피비티(PBT), 폴리에스터엘라스토머, TPU 복합수지(TPU 85A/ABS=70/30) 및 폴리에스터에테르 엘라스토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진공성형용 시트 및 2층의 진공성형용 복합 시트는 내마모, 내수침적 후 블루밍(Blooming), 내스크래치성, 장기내구성인 내열노화, 내광노화,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하여 자동차의 크래쉬 패드 표피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수정,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1.
아디프산 49.6kg, 1,4-부틸렌글리콜 22.0kg, 히드록시값이 448.8mgKOH/g인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40.7kg, 상온에서 150℃까지 승온시킨 후, 1차 승온온도인 150℃에서 약 90분간 유지시킨 후, 다시 150℃에서 220℃까지 승온시킨 후, 2차 승온온도인 220℃에서 약 30분간 유지시킨 후, 상기 2차 승온온도에서 720㎜Hg 의 진공에 적용시킨 후, 산값이 1mgKOH/g 이하가 되면 반응을 종료시켜 축합수 12.2%, 히드록실값 74.8mgKOH/g의 히드록실값을 갖는 에테르 함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제조하였다. 상기 에테르 함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61kg, 12가 하이퍼브랜치 폴리올 2kg 및 1,4-BG 6kg을 60℃에서 3분간 교반시킨 후,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43kg을 투입하고, 500rpm의 속도로 3분간 혼합시켜 중합물을 수득하고, 이 중합물을 80℃에서 8시간 숙성시켰다. 계속해서, 이 중합물을 0℃ 이하의 온도에서 분쇄하여 칩(flake 형태) 형태로 만들고, 이를 180℃에서 압출하여 분쇄된 형태의 펠릿으로 성형시켰다. 계속해서 상기에서 수득된 펠릿 형태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카렌다나 T-DIE 성형하여 진공성형용 시트를 얻고 진공성형공법에 따라 코어재, 패드재 및 표피재로 구성되는 성형품을 제조하여 그 일부를 시료로 취하였다.
비교예 1 내지 2
비교예 1 및 2는 현재 상용화된 크래쉬 패드 표피 일부를 시료로 채취하였다. 비교예 1은 한화종합화학의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hermoplastic Polyolefin)을 표피재로 하여 진공성형법에 따라 제조한 성형품의 일부를 시료로 채취하였다. 비교예 2는 LG화학의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을 표피재로 하여 진공성형법에 따라 제조한 성형품의 일부를 시료로 채취하였다.
실시예 2
T-DIE 압출성형 시 실린더 온도를 140~165℃로 하여 두께가 0.5~0.9mm인 시트를 제조하고, TPU 복합수지(TPU 85A/ABS=70/30) 0.5~0.1mm 시트를 합포하여 2Layer 형태의 진공성형용 시트를 수득하여 진공성형법으로 표피재의 성형품을 제조하고 일부를 시료로 채취하였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진공성형공정 공정 온도(℃) 160 140 170~180 170~180
가열시간(초) 40 35 35~40 35~40
진공성형시간 5 5 5 5
싸이클시간(초) 90 80 80~100 80~100
특이사항 탈형 양호 탈형 양호 탈형 양호 탈형 양호
성형품 물성 경도(shore A) 74 74 74 74
인장강도(kgf/cm2) 145 135 133 134
인열강도(kgf/cm) 90 85 83 85
신장률(%) 772 758 789 798
MI(g/10min) 20 30 12 14
내수침적 후 블루밍 없음 없음 없음 없음
I)진공성형(Vacuum forming) 공정 조건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시트를 사용하여 진공성형(Vacuum forming) 시험을 진행하였다. 각각의 시험에 대한 값은 5회 평균치이다.
i)공정온도: 성형 직전 시트가열 온도 기준
ii)가열시간: 열판에 시트를 가열하는데 필요한 시간
iii)진공성형시간: 가열된 시트를 금형에 진공성형하는데 필요한 시간
iiii)싸이클 시간: 1회 성형분의 예열, 성형, 냉각, 탈형의 공정 단계를 거치는데 소요되는 총 시간
II)성형품 물성 측정 조건 및 규격
각각의 시험에 대한 값은 5회 평균치이다.
i)경도: ASTM D 2240
ii)인장강도 및 신장률: ASTM D 412
iii)인열강도: ASTM D 624
iv)MI(Melt Index): ASTM D 1238(165℃ / 2.16kg)
v)블루밍(Blooming)
30℃ * 상대습도 70% 방치 120일 경과시, 시험편 표면의 육안 관찰

Claims (10)

  1. (A)다관능 카르복실산 화합물 및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다관능 알코올 화합물을 포함하며, 히드록실 값이 11.22 내지 224.11mgKOH/g 인 에테르 함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30 내지 70 중량부;
    (B)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 diphenyl methane diisocyanate),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tolunene diisocyanate),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hexamethylene diisocyanate),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Isoporone diisocya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5 내지 60 중량부;
    (C) 2.1~12가 하이퍼브랜치 폴리올 1 내지 10 중량부; 및
    (D)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부탄디올(butane diol), 및 헥산디올(hexane diol)을 포함하는 디올류; 트리메틸올프로판(trimethylol propane)을 포함하는 트리올류; 및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쇄연장제 10 내지 40중량부를 포함하는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A)에테르 함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 아디프 산(adipic acid), 스베릭산(sbelic acid), 아벨릭산(abelic acid), 아젤릭산(azelic acid), 세바스산(sebacic acid), 도데칸디온산(dodecandioic acid), 트리메릭산(trimeric acid)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다관능 카르복실산 화합물 40 내지 80중량부 및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다관능 알코올 화합물 20 내지 100중량부를 혼합 및 반응시켜 히드록실값이 11.22 내지 224.11mgKOH/g이 되도록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1~12가 하이퍼브랜치 폴리올이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활제 5 내지 10중량부와 내부활제 1 내지 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의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진공성형용 시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자동차 크래쉬 패드의 표피재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성형용 시트.
  7. 청구항 5의 진공성형용 시트를 포함하는 2층의 진공성형용 복합 시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진공성형용 시트를 제외한 나머지 1층을 구성하는 시트가 에비에스(AB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세탈(POM), 피브씨(PVC), 피비티(PBT), 폴리에스터엘라스토머, TPU 복합수지(TPU 85A/ABS=70/30) 및 폴리에스터에테르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제조된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의 진공성형용 복합 시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자동차 크래쉬 패드의 표피재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의 진공성형용 복합 시트.
  10. 청구항 5의 진공성형용 시트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자동차 크래쉬 패드.
KR1020080061745A 2008-06-27 2008-06-27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KR20100001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745A KR20100001723A (ko) 2008-06-27 2008-06-27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745A KR20100001723A (ko) 2008-06-27 2008-06-27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723A true KR20100001723A (ko) 2010-01-06

Family

ID=4181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745A KR20100001723A (ko) 2008-06-27 2008-06-27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72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611B1 (ko) * 2011-01-25 2013-09-11 주식회사 동성하이켐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5037756A1 (ko) * 2013-09-12 2015-03-19 주식회사 동성하이켐 골프공 제조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75165B1 (ko) * 2016-12-12 2018-07-09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기계적 강도가 개선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CN109851836A (zh) * 2018-12-29 2019-06-07 浙江华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以超支化聚酯多元醇为交联剂的高强度环保轻质聚氨酯泡沫及其制备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611B1 (ko) * 2011-01-25 2013-09-11 주식회사 동성하이켐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5037756A1 (ko) * 2013-09-12 2015-03-19 주식회사 동성하이켐 골프공 제조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75165B1 (ko) * 2016-12-12 2018-07-09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기계적 강도가 개선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CN109851836A (zh) * 2018-12-29 2019-06-07 浙江华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以超支化聚酯多元醇为交联剂的高强度环保轻质聚氨酯泡沫及其制备方法
CN109851836B (zh) * 2018-12-29 2021-06-15 浙江华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以超支化聚酯多元醇为交联剂的高强度环保轻质聚氨酯泡沫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7646B1 (ko)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TWI267524B (en) High molecular weight thermoplastic polyurethanes made from polyols having high secondary hydroxyl content
US20100255317A1 (en) Polyurethane composition
KR101719489B1 (ko) 폴리우레탄 및 이의 제조 방법, 마스터 배치, 잉크용 바인더, 잉크 조성물, 성형용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성형체, 복합 성형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42218B1 (ko) 접착제용 및 보호층용 열가소성폴리우레탄 수지와 이를이용하여 제조된 적층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306611B1 (ko)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8633283B2 (en) Process for producing blends made of polylactides (PLAS) and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s (TPUS)
KR100674798B1 (ko) 파우더 슬러쉬 몰딩 공정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제조용 조성물
KR20100001723A (ko) 진공성형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KR102339304B1 (ko) 자동차 내장 표피재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EP1127685B1 (de) Druck- und vakuumverformbare, genarbte Verbundfol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5536497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該熱可塑性樹脂組成物からなる部材を含む複合成形体
US10556982B2 (en) Thermoplastic polyurethane resin composition having enhanced texture and durabilit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WO2009093480A1 (ja) キーパッド用フィルム、キーパッドおよびキーシート
US11377552B2 (en) Hard-phase-modified thermoplastic polyurethane
JP2008189834A (ja) ポリウレタン樹脂用ポリエステル、並びにそれを用いたポリウレタン樹脂成形体及び合成皮革
JP2011183573A (ja) 複合成形体
JPH09291130A (ja) 優れた耐摩耗性を有する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樹脂用組成物、並びに該組成物を用いた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物
WO2010113908A1 (ja) 複合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