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2873A -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및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및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2873A
KR20090132873A KR1020080059061A KR20080059061A KR20090132873A KR 20090132873 A KR20090132873 A KR 20090132873A KR 1020080059061 A KR1020080059061 A KR 1020080059061A KR 20080059061 A KR20080059061 A KR 20080059061A KR 20090132873 A KR20090132873 A KR 20090132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device
virtual
function
folder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9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2873A/ko
Priority to US12/255,909 priority patent/US20090319696A1/en
Publication of KR20090132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8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7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by using pre-stored settings, e.g. job templates, presets, print sty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76Architectures of general purpose stored program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06F3/0607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by facilitating the process of upgrading existing storage systems, e.g. for improving compatibility between host and storag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62Virtualisation aspects
    • G06F3/0664Virtualisation aspects at device level, e.g. emulation of a storage device o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4Disk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4Automatic configuration, e.g. by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와 같은 호스트 장치에서 가상 저장장치 및 가상 폴더를 이용하여 프린터와 같은 클라이언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클라이언트 장치 모드가 가상 저장장치로 설정된 경우, 호스트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한 후, 호스트 장치에 가상 저장장치로 인식되면, 파일을 복사하는 사용자 오퍼레이션에 의해 가상 폴더로 수신된 파일을 가상 폴더에 연결된 기능을 수행하여 처리함으로써 간편하게 클라이언트 장치를 연결하고 사용할 수 있다.
가상 저장장치, 가상 폴더, USB, 클라이언트 장치 제어

Description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및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configuring and controlling client device and apparatus therefore}
본 발명은 PC와 같은 호스트 장치에 프린터와 같은 클라이언트 장치를 장치 전용 드라이버 설치 없이 간편하게 연결하고 사용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 장치를 호스트 장치에 가상의 저장장치로 인식시키고 이후 클라이언트 장치 내에 설정된 가상 폴더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PC 또는 다른 장치(이하 호스트 장치)에 프린터와 같은 주변 장치(이하 클라이언트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호스트 장치에서 클라이언트 장치 전용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등의 장치 인식 및 사용을 위한 준비 과정이 필요하다.
즉, 종래 클라이언트 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호스트 장치에 클라이언트 장치를 연결하면 호스트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클라이언트 장치에 장치명과 장치 클래스 정보를 요청하고, 클라이언트 장치는 장치명과 장치 클래스 정보로 응답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장치 클래스에 해당하는 본래의 장치로서 호스트에 인식(예. 프린터의 경우 프린터로서 인식)된다. 이후 호스트 장치는 장치 전용 드라이버 설치를 사용자에게 요구하고,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 내에 클라이언트 장치 제조업체 가 제공하는 장치 전용 드라이버(예.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사용자는 장치 전용 드라이버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장치의 기능(예. 인쇄 기능)들을 이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호스트 장치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 전용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는 부수적인 시간, 설치에 대한 최소한의 지식 및 번거로운 설치 과정에서의 각종 입력(인터랙션)을 요구하는 복잡한 과정이다. 또한 기능이 많은 드라이버 및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은 일반인이 사용하기에 어렵고 복잡한 측면이 있다.
본 발명은 PC와 같은 호스트 장치에 프린터와 같은 클라이언트 장치를 장치 전용 드라이버 설치 없이 간편하게 연결하고 사용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 장치를 호스트 장치에 가상의 저장장치로 인식시키고, 이후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장치 내에 미리 설정된 가상 폴더를 조작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이용될 가상 폴더와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방법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장치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이용될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장치 클래스에 해당하는 본래의 장치 모드와 가상 저장장치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는 복수 개의 상기 가상 폴더를 가질 수 있고, 상기 가상 폴더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갖는 복수 개의 상기 기능들 중 하나에 각각 대 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이고; 상기 가상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수동 편집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폴더명 자동 생성 규칙에 따른 폴더명으로 상기 가상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상기 폴더명 자동 생성 규칙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기능 명칭으로 상기 폴더명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는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은 인쇄기능, 저장기능 및 외부 재전송 기능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기능은 출력용지와 출력모드로 구성된 옵션 사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옵션 사항은 여백설정, 해상도설정, 인쇄품질 설정 및 양면인쇄 설정으로 구성된 세부 옵션 사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 제어 방법은 호스트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상기 호스트 장치에 인식시키기 위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설정된 장치 모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상기 클라이언 트 장치에 생성된 가상 폴더로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파일이 속하는 상기 가상 폴더에 연결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스트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하는 단계는, USB(Universal Serial Bus), UPnP(Universal Plug and Play), Bluetooth 및 IEEE 1394 중 하나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설정된 장치 모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장치 모드가 가상 저장장치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장치명과 장치 클래스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호스트 장치에게 저장장치에 해당하는 장치명과 장치클래스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상기 가상 폴더에 상기 파일을 복사하는 사용자 오퍼레이션에 따라 상기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 구성부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구성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장치 모드를 설정하는 장치 모드 설정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이용될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가상 폴더를 생성하는 가상 폴더 및 기능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제어부는, 호스트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하는 네 트워크 연결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상기 호스트 장치에 인식시키기 위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설정된 상기 장치 모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장치 인식부;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생성된 상기 가상 폴더로 파일을 수신하는 파일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파일이 속하는 상기 가상 폴더에 연결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장치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이용될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호스트 장치와 클라이언트 장치 간의 장치 인식 및 드라이버 설치 과정을 사용자 입장에서 최대한 생략할 수 있어, 장치 연결 과정이 간단해지고 이에 따라 기기 이동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가상 폴더에 파일을 복사함으로써 가상 폴더에 연결된 기능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장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 및 옵션을 미리 편집하여 가상 폴더 단위로 저장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장치 사용 시 자주 쓰는 기능과 옵션을 손쉽게 관리하고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호스트 장치와 클라이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PC와 같은 호스트 장치는 운영체제 (Operating System: OS)가 제공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인식 기능 (예. 플러그 앤 플레이)을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결되는 순간 클라이언트 장치를 인식한다. 구체적으로 호스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와 연결되는 순간 클라이언트 장치에 장치명과 장치 클래스 정보 요청을 송신하는데, 클라이언트 장치는 본래의 장치명(예. 프린터)과 장치 클래스로 응답하는 대신 저장장치에 해당하는 장치명과 장치 클래스로 응답함으로써 호스트 장치에 가상의 저장장치로서 인식된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장치 고유 기능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상 폴더를 복수 개보유하는데, 이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장치가 프린터라면 'Print'라는 폴더명이 저장장치 내 가상 폴더로서 존재한다. 사용자는 그 외 'Print_Photo', 'Print_Landscape' 및 'Print_Color' 등 클라이언트 장치의 다양한 기능에 대응되는 폴더명을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이제 호스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통상의 저장 장치로서 인식하기 때문에, 호스트 장치의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가상 폴더를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탐색기를 통해 검색하고, 폴더에 복사함으로써 사전에 설정된, 폴더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장치의 가상 폴더 'Print'에 인쇄하고자 하는 파일을 복사하는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면, 클라이언트 장치는 해당 파일을 저장장치에 복사하듯이 전송받되, 해당 폴더에 사전에 연결된, 인쇄 기능까지 수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 상에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과정은 클라이언트 장치를 처음 사용하는 경우에 필요할 것이며, 또한 사용 중이라도 사용자는 원하는 때에 언제라도 이러한 구성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 설정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110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의 장치모드가 설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장치의 장치모드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클라이언트 장치의 장치 클래스에 해당하는 본래의 장치 모드와 가상 저장장치 모드 중 하나로 설정된다. 이로써, 종래 클라이언트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즉, 클라이언트 장치가 호스트 장치에 본래의 장치(예. 프린터)로 인식되어, 호스트 장치에서 장치 전용 드라이버 설치를 요구하는 종래 방법도 사용자 선택에 의해 이용 가능하다. 장치 모드가 본래의 장치 모드로 설정된 경우, 호스트 장치에서 클라이언트 장치 전용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등의 장치 인식 및 사용을 위한 준비 프로세스가 요구된다. 장치 모드가 가상장치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호스트 장치에서 장치 전용 드라이버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이, 사용자는 가상 저장장치 및 가상 폴더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장치 모드를 메뉴 및 외부 버튼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단계 120에서, 호스트 장치와 연결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기능이 가상 폴더의 형태로 설정되고 저장된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장치 기능 및 옵션의 조합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상 폴더를 복수 개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 폴더를 메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2)를 통해 편집할 수 있고, 이 때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의 세부적인 특징도 옵션으로써 함께 선택 가능하다.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은 도 2를 통해 기술할 것이다.
단계 130에서, 가상 폴더가 사용자의 수동 편집 또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폴더명 자동 생성 규칙에 따른 폴더명으로 생성된다. 예를 들어, 기능 및 옵션의 결합을 자동 생성 규칙으로 하는 경우, 사용자가 'Print' 기능에 'Photo' 출력 모드를 옵션으로 결합하면 'Print_Photo'라는 이름으로 가상 폴더명이 자동 생성된다. 사용자는 자동 생성된 폴더명을 이용하거나, 이름 수동 변경 오퍼레이션을 통해 폴더명을 수동으로 편집할 수 있다. 생성된 가상 폴더명은 이후 가상 저장 장치 검색 시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이하 도 5를 통해 기술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가상 폴더와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제공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이후 호스트 장치와 연결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가상 폴더의 형태로 사전에 설정 및 저장한다.
화면 210은 메뉴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생성된 가상 폴더 리스트(211)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가상 폴더를 신규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신규 생성 버튼(214)을 입력한 후, 화면 220을 통해 기능(예. 인쇄 기능(221))을 선택하고, 이후 선택된 기능에 대한 옵션 사항을(화면 230, 화면 240) 편집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인쇄 기능(221)을 선택한 후, A4 크기의 사진(233) 및 토너절약모드의 인쇄 품질(243) 옵션 사항 등을 선택할 수 있다. 화면 220을 통해 설정되는 기능과, 화면 230, 화면 240을 통해 설정되는 기능에 대한 옵션 사항은 클라이언트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가상 폴더의 폴더명은 사용자의 수동 편집 또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자동 생성 규칙에 따라 생성된다. 예를 들어, 기능 및 옵션의 결합을 자동 생성 규칙으로 하는 경우, 사용자가 'Print' 기능에 'Photo' 출력 모드를 옵션으로 결합하면 'Print_Photo' (251)라는 이름으로 가상 폴더명이 자동 생성된다. 사용자는 확인 버튼(252)을 입력하여 자동 생성된 폴더명을 이용하거나, 이름 수동 변경 버튼(253)을 입력하여 폴더명을 수동으로 편집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입력한 경우(252), 생성된 가상 폴더명(251)은 이후 가상 저장 장치 검색 시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이하 도 5를 통해 기술된다. 화면 260은 신규 가상 폴더(예. Print_Photo (262)) 생성 후의 가상 폴더 리스트(261, 262)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가상 폴더 및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을 사전에 설정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성한다.
도 3은 도 1과 도 2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310에서, 호스트 장치와 클라이언트 장치가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이 경우 개인 영역 네트워크(Personal Area Network: PAN) 구축에 이용되는 USB (Universal Serial Bus), UPnP(Universal Plug and Play), Bluetooth 및 IEEE 1394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기술들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장치를 호스트 장치에 가상의 저장장치로 인식시켜 제어하는 데에 발명의 특징이 있으므로, 저장장치를 응용 디바이스의 한 유형으로 제공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표준을 이용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는 사용자 설정에 의한 장치 모드가 가상 저장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의 장치 모드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클라이언트 장치 클래스에 해당하는 본래의 장치 모드(예. 프린터)와 가상장치 모드 중 하나로 사전에 설정된다.
클라이언트 장치 모드가 가상 저장장치가 아닌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360으로 이동한다. 즉 종래 클라이언트 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장치 전용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등의 장치 인식 및 사용을 위한 준비 프로세스로 이동한다. 클라이언트 장치 모드가 가상 저장장치인 경우, 프로세스는 이하 단계 330으로 이동한다.
단계 330에서, 클라이언트 장치의 장치 모드가 가상 저장장치인 경우이므로, 호스트 장치로부터 장치명과 장치 클래스 정보 요청을 수신한 클라이언트 장치는, 저장장치에 해당하는 장치명과 장치클래스 응답을 송신한다. 이를 수신한 호스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저장장치로서 인식한다.
단계 340에서, 사용자가 저장장치로 인식된 클라이언트 장치의 가상폴더에 파일을 복사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장치는 가상 폴더 내로 파일을 수신한다. 가상폴더는 상기 도 2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 및 옵션을 편집함으로써 자동 생성될 수 있다.
단계 350에서, 수신된 파일이 속하는 가상 폴더에 연결된 기능(예. 프린트 기능)이 수행된다.
단계 360에서, 호스트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클라이언트 장치의 장치명과 장치 클래스 정보를 요청하고, 클라이언트 장치는 본래의 장치명과 장치 클래스 정보로 응답함으로써, 호스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클라이언트 장치 클래스에 해당하는 본래의 장치(예. 프린터의 경우 프린터로서 인식)로서 인식한다.
단계 370에서, 호스트 장치가 클라이언트 장치를 인식한 후 장치 전용 드라이버 설치를 사용자에게 요구한다.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에서 클라이언트 장치 제조업체가 제공하는 장치 전용 드라이버(예.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단계 380에서, 사용자는 장치 전용 드라이버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장치의 기능(예. 인쇄 기능)들을 이용하게 된다.
도 4는 장치 모드가 가상 저장장치인 경우에 있어서, 장치 인식을 위한 호스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장치 간 정보 교환을 도시한다.
호스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에게 장치명과 장치 클래스 정보를 요청(단계410)한다. 이를 수신한 클라이언트 장치는 저장장치에 해당하는 장치명과 장치 클래스 응답을 송신(단계 420)한다. 이를 수신한 호스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저장장치로서 인식하게 되고, 도 3으로 기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가상 폴더를 통해 장치 접근 및 제어가 이루어진다.
도 5는 호스트 장치가 클라이언트 장치를 저장장치로 인식한 경우, 호스트 장치에서 클라이언트 장치 내의 가상 폴더를 탐색한 결과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탐색되는 가상 폴더의 폴더명은, 도 2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편집한 기능 및 옵션이 결합되어 자동으로 생성된 것이나(화면 250),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편집된 것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장치 내에 설정된 각각의 가상 폴더들을 탐색하고, 가상 폴더에 파일을 복사함으로써 파일을 클라이언트 장치로 송신(단계 340)한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수신된 파일이 속하는 가상 폴더에 연결된 기능을 수행(단계 350)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장치는 가상 저장장치 및 가상 폴더를 이용하여 제어된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장치 구성부(610)와 장치 제어부(650), 저장부(640)를 포함하는데, 장치 구성부(610)는 장치모드 설정부(620)와 가상폴더 및 기능 설정부(630)를 포함하고, 장치 제어부(650)는 네트워크 연결부(660), 장치 인식부(670), 파일 통신부(680) 및 기능 처리부(690)를 포함한다.
장치모드 설정부(62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클라이언트 장치의 장치 모드를 장치 클래스에 해당하는 본래의 장치 모드(예. 프린터)와 가상장치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한다. 장치 모드가 본래의 장치 모드로 설정된 경우, 종래 클라이언트 장치를 사용하는 과정 즉, 클라이언트 장치 전용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등의 장치 인식 및 사용을 위한 준비 프로세스가 요구된다. 장치 모드가 가상장치 모드로 설정된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는 가상 저장장치 및 가상 폴더를 이용하여 제어된다.
가상폴더 및 기능 설정부(630)는 사용자로부터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 및 옵션을 입력 받은 후, 자동 생성 규칙 또는 사용자의 수동 편집에 의해 가상 폴더를 생성하고 관리한다. 예를 들어, 기능 및 옵션의 결합을 자동 생성 규칙으로 하는 경우, 기능 및 옵션을 결합한 폴더명을 자동 생성한다.
저장부(640)는 장치모드 설정부(620)에서 설정된 클라이언트 장치 모드와 가상 폴더 및 기능 설정부(530)에서 설정된 가상 폴더 리스트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은 저장부로는 플래시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 등의 저장 매체가 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부(660)는 호스트 장치와 클라이언트 장치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데, 개인 영역 네트워크(Personal Area Network: PAN) 구축에 이용되는 USB (Universal Serial Bus), UPnP(Universal Plug and Play), Bluetooth 및 IEEE 1394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다.
장치 인식부(670)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장치명과 장치 클래스 정보 요청(단계 410)을 수신한 후, 저장부(640)에 저장된 클라이언트 장치 모드를 읽어와서, 클라이언트 장치모드가 가상 저장장치 모드인 경우, 저장장치에 해당하는 장치명과 장치 클래스 응답(단계 420)을 송신한다.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한 호스 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저장장치로 인식한다. 한편 클라이언트 장치 모드가 본래의 장치 모드인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는 본래의 장치(예. 프린터)에 해당하는 장치명과 장치 클래스 응답을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호스트 장치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본래의 장치로 인식한다.
파일 통신부(680)는 저장장치로 인식된 클라이언트 장치의 가상폴더 내로 사용자 복사에 의해 파일을 수신한다.
기능 처리부(690)는 파일 통신부가 수신한 파일이 속하는 가상 폴더에 연결된 기능(예. 프린트 기능)을, 저장부(640)를 통해 인식하여 이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폴더를 생성하고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장치 모드가 가상 저장장치인 경우에 있어서, 장치 인식을 위한 호스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장치 간 정보 교환을 도시한다
도 5는 호스트 장치가 클라이언트 장치를 저장장치로 인식한 경우, 호스트 장치에서 클라이언트 장치 내의 가상 폴더를 탐색한 결과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Claims (26)

  1.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장치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이용될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장치 클래스에 해당하는 본래의 장치 모드와 가상 저장장치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는 복수 개의 상기 가상 폴더를 가질 수 있고, 상기 가상 폴더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갖는 복수 개의 상기 기능들 중 하나에 각각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이고;
    상기 가상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수동 편집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폴더명 자동 생성 규칙에 따른 폴더명으로 상기 가상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상기 폴더명 자동 생성 규칙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기능 명칭으로 상기 폴더명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는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은 인쇄기능, 저장기능 및 외부 재전송 기능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기능은 출력용지와 출력모드로 구성된 옵션 사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사항은 여백설정, 해상도설정, 인쇄품질 설정 및 양면인쇄 설정으로 구성된 세부 옵션 사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방법.
  10. 클라이언트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호스트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하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상기 호스트 장치에 인식시키기 위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설정된 장치 모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생성된 가상 폴더로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파일이 속하는 상기 가상 폴더에 연결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하는 단계는,
    USB(Universal Serial Bus), UPnP(Universal Plug and Play), Bluetooth 및 IEEE 1394 중 하나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제어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설정된 장치 모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장치 모드가 가상 저장장치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장치명과 장치 클래스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호스트 장치에게 저장장치에 해당하는 장치명과 장치클래스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제어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상기 가상 폴더에 상기 파일을 복사하는 사용자 오퍼레이션에 따라 상기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제어 방법.
  14. 클라이언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 구성부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구성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장치 모드를 설정하는 장치 모 드 설정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서 이용될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가상 폴더를 생성하는 가상 폴더 및 기능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제어부는, 호스트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하는 네트워크 연결부;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를 상기 호스트 장치에 인식시키기 위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설정된 상기 장치 모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장치 인식부;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생성된 상기 가상 폴더로 파일을 수신하는 파일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파일이 속하는 상기 가상 폴더에 연결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모드 설정부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장치 클래스에 해당하는 본래의 장치 모드와 가상 저장장치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는 복수 개의 상기 가상 폴더를 가질 수 있고, 상기 가상 폴더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가 갖는 복수 개의 상기 기능들 중 하나에 각각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설정부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수동 편집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폴더명 자동 생성 규칙에 따른 폴더명으로 상기 가상 폴더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상기 폴더명 자동 생성 규칙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기능 명칭으로 상기 폴더명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는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폴더에 연결되는 기능은 인쇄기능, 저장기능 및 외부 재전송 기능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기능은 출력용지와 출력모드로 구성된 옵션 사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사항은 여백설정, 해상도설정, 인쇄품질 설정 및 양면인쇄 설정으로 구성된 세부 옵션 사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23.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UPnP(Universal Plug and Play), Bluetooth 및 IEEE 1394 중 하나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24.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인식부는, 상기 장치 모드가 가상 저장장치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장치명과 장치 클래스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에게 저장장치에 해당하는 장치명과 장치클래스 응답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2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통신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상기 가상 폴더에 상기 파일을 복사하는 사용자 오 퍼레이션에 따라 상기 파일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26.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80059061A 2008-06-23 2008-06-23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및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090132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061A KR20090132873A (ko) 2008-06-23 2008-06-23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및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2/255,909 US20090319696A1 (en) 2008-06-23 2008-10-2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d controlling cli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061A KR20090132873A (ko) 2008-06-23 2008-06-23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및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873A true KR20090132873A (ko) 2009-12-31

Family

ID=41432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061A KR20090132873A (ko) 2008-06-23 2008-06-23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및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319696A1 (ko)
KR (1) KR200901328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773A (ko) * 2014-03-12 2015-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933487A (en) * 2008-01-30 2009-08-01 Ralink Technology Corp External device auto-run a driver installation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2402A (en) * 1997-04-09 1999-12-14 Symante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drag-and-drop object from a popup menu item
AUPP702198A0 (en) * 1998-11-09 1998-12-0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mage creation method and apparatus (ART79)
JP3266146B2 (ja) * 1999-01-20 2002-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及びネットワーク印刷システム
JP3818269B2 (ja) * 2003-03-28 2006-09-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381891B2 (ja) * 2003-11-11 2009-12-09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データファイル処理装置、データファイル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439472B2 (ja) * 2003-12-19 2010-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記憶装置、情報送信装置、データ記憶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060018223A1 (en) * 2004-07-26 2006-01-26 Ji Jong-Heo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o print a plurality of files stored in portable recording medium
JP4613109B2 (ja) * 2004-07-29 2011-01-12 オセ−テクノロジーズ・ベー・ヴエー ディジタルプリントファイルを印刷する方法および上記方法を適用したプリンタ
JP4822732B2 (ja) * 2005-04-07 201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5025165B2 (ja) * 2006-05-12 2012-09-12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090130B2 (en) * 2006-09-11 2012-01-03 Apple Inc. Highly portable media devices
JP4811589B2 (ja) * 2006-10-30 2011-1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リンタドライバ
JP4886529B2 (ja) * 2007-01-22 2012-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773A (ko) * 2014-03-12 2015-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319696A1 (en)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22558B2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と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550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1337160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JP2007041976A (ja) データ処理装置、ファイル処理方法、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26609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WO2015151527A1 (en) Printer list generator, mobile terminal, and printer list generation method
JP2011238136A (ja) 情報処理装置、連携機能設定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28654B2 (ja) 情報処理装置、印刷プラグイン、印刷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2024020380A (ja) サーバ、制御方法、プログラム、印刷システム
JP2008165654A (ja)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ドライバ更新方法、記憶媒体、プログラム
WO2019123899A1 (ja) 無線端末、管理サーバ、意図解釈サーバ、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90132873A (ko) 클라이언트 장치 구성 및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7383444B2 (ja)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71909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50309A (ko) Dlna 장치, 화상형성방법 및 화상형성시스템
JP624590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8250868A (ja) 画像形成システム、サーバ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同制御プログラム
JP6460665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52060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6962151B2 (ja) 設定値複製方法、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021537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2020087062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端末装置
JP2002182885A (ja) 画像形成装置と端末装置を備えたネットワーク
JP2019055568A (ja)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61875B2 (ja) 印刷システム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