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7335A -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7335A
KR20090127335A KR1020097020644A KR20097020644A KR20090127335A KR 20090127335 A KR20090127335 A KR 20090127335A KR 1020097020644 A KR1020097020644 A KR 1020097020644A KR 20097020644 A KR20097020644 A KR 20097020644A KR 20090127335 A KR20090127335 A KR 20090127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tal
metal wire
aluminum
p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오 구보우치
마코토 오타
Original Assignee
니폰 케미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93957A external-priority patent/JP49523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64464A external-priority patent/JP487709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81703A external-priority patent/JP4877110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케미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케미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7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G4/00 - H01G11/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G4/00 - H01G11/00
    • H01G13/006Apparatus or processes for apply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42Terminals the capacitive element surrounding the terminal
    • H01G4/245Tabs between the layers of a rolled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08Terminals

Abstract

납을 포함하지 않는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에서, 위스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석을 주체로 한 금속 도금층(2)을 형성한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을 맞닿게 하여, 금속선(1)과 알루미늄 선(5)을 아크 용접하는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에서, 금속 선(1)의 일단에 금속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설치하고, 금속 선(1)의 일단과 알루미늄 선(5)의 일단을 서로 맞닿게 하여, 아크 용접을 행한다.
콘덴서용 리드 단자, 금속 도금층이 없는 부분, 금속 선, 알루미늄 선

Description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PROCESS FOR MANUFACTURING LEAD TERMINAL FOR CAPACITOR}
본 발명은 콘덴서 소자에 접속되는 알루미늄 선에, 주석을 주체로 한 금속 도금층을 형성한 금속 선을 아크 용접하여 구성되는 콘덴서용 리드 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부품의 리드 단자에서는, 납 도금층을 형성한 동(銅) 피복 강선(鋼線)을, 알루미늄 선에 아크 용접으로서 접합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납을 포함하는 동 피복 강선에서는, 납은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자연 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물질이며, 최근, 환경 보호의 관점으로부터, 납을 일체 사용하지 않는 전자 부품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도시하는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와 같이, 주석 100%로 이루어지는 주석 도금을 한 동 피복 강선을, 알루미늄 선의 일단에 마련한 오목부에 삽입하여 아크 용접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이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에서는, 동 피복 강선과 알루미늄 선의 접합부에, 동 피복 강선과 주석 도금과 알루미늄 선이 가열되는 것으로 생성되는 동과 주석과 알루미늄의 합금층이 형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특개2000-124073호 공보(제 3 쪽, 도 1)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로서는, 납을 사용하지 않는 리드선에서는, 알루미늄 선과 주석 도금 동 피복 강선의 접속부(용접부)에 생성된 합금층에는, 알루미늄과 주석의 혼합층이 포함되고, 이 혼합층의 존재에 의해 주석의 위스커(whisker)가 발생해버릴 우려가 있다. 이 위스커는 직경 1 ㎛에 대하여 1 ㎜ 이상의 길이에 달하는 것이 있고, 이 위스커가 콘덴서 등 전자 부품의 단자 사이를 단락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납을 포함하지 않는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에서, 위스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은,
주석을 주체로 한 금속 도금층을 형성한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을 맞닿게 하여, 상기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을 아크 용접하는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선의 일단(一端)에 금속 도금층이 없는 부분을 마련하고, 상기 금속 선의 일단과 상기 알루미늄 선의 일단을 서로 맞닿게 하여, 상기 아크 용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아크 용접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부에는, 알루미늄과 주석이 혼합되지 않고 끝나게 되어, 용접부의 위스커의 발생이 억제된다.
한편, 금속 선에 금속 도금층이 없는 부분을 형성할 때에는, 마스킹 등에 의해 미리 금속 도금층을 형성하지 않도록 해도 좋고, 금속 선의 전체 면에 금속 도금층을 형성하고, 기계적 제거 등의 수단에 의해, 금속 도금층을 제거해도 좋다. 특히, 기계적 제거에 의해, 금속 선의 표면의 금속 도금층이 확실하게 제거되기 때문에, 용접부에서 금속 도금층과 알루미늄의 혼합층이 형성되지 않게 되고, 용접부의 위스커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제 2 항에 기재된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은,
주석을 주체로 한 금속 도금층을 형성한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을 맞닿게 하여, 상기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을 아크 용접하는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선의 일단보다 금속 도금층 및 금속 도금층이 없는 부분을 연속하여 마련하고, 상기 금속 선의 일단과 상기 알루미늄 선의 일단을 서로 맞닿게 하여, 상기 아크 용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에 의하면,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이 맞닿게 되어 아크 용접될 때에, 금속 도금층을 통하여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이 맞닿게 함으로써,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접촉 저항이 낮은 상태에서 전류를 흘리는 것이 가능하고, 그 때문에 용접 불량이 저감되도록 됨과 동시에, 아크 용접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부는, 주석의 혼합 비율이 낮아지고, 리드 단자에서의 용접부의 위스커의 발생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된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은,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금속 선의 일단에 마련된 금속 도금층이, 상기 아크 용접에 의해 형성되는 용접부에 의해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주석이 포함되는 금속 선의 일단에 마련된 금속 도금층이 용접부 내에 매몰되고, 용접부의 표면 근방에는, 주석이 혼합되지 않고 끝나게 되어, 리드 단자에서의 용접부의 위스커의 발생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제 4 항에 기재된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은,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부는, 금속 선의 금속 도금층이 없는 부분을 넘어서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용접부의 표면 근방에는, 금속 선의 금속 도금층과의 혼합층이 형성되지 않고, 위스커의 억제가 가능해 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제 5 항에 기재된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은,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금속 선은, 그 선단을 향해서 테이퍼 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금속 선을 알루미늄 선에 압입하기 쉬운 동시에,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을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어, 안정한 아크의 발생이 가능해 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제 6 항에 기재된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은,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알루미늄 선의 일 단면에 오목부를 마련하고, 그 오목부 내에 금속 선을 맞닿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오목부에 의해 금속 선을 알루미늄 선에 정밀도 좋게 안내시킬 수 있고, 용접의 안정화가 도모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제 7 항에 기재된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은,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아크 용접을 행할 때에,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부를 금형에서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금속 선의 용접부의 표면에는, 금속 도금층이 거의 없기 때문에 표면의 젖음성이 저하하고 있기 때문에, 용접시에 용융한 알루미늄 선의 일부가 금속 선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용접부를 안정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없을 경우가 있지만,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부를 금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원하는 용접부 형상을 안정하여 형성할 수 있고, 리드 단자의 용접부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제 8 항에 기재된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은, 청구항 제 7 항에 기재된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금형이, 상기 금속 선을 유지하는 척(chuck)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리드 단자의 제조시에, 금속 선의 유지 작업과 금형의 배치 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아크 용접시의 통전구(通電具)로서도 이용할 수 있고, 아크 용접 작업을 조속히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제 9 항에 기재된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은,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아크 용접을 행할 때에,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부를 금형에서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금형이, 상기 금속 도금층이 없는 부분을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금형에 의해서 상기 아크 용접에 의해 형성되는 용접부와 상기 금속 도금층이 사이를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금속 도금층의 주석이 아크 용접에 의해 용융된 용접부에 섞이지 않게 되어, 용접부에 주석이 혼합되지 않고, 리드 단자에서의 용접부의 위스커의 발생이 억제된다.
도 1의 (a)는 실시예 1에서의 금속 선의 표면에 형성된 주석 도금층의 제거 공정을 도시하는 대략 단면도이며, (b)는, 주석 도금층이 제거된 금속 선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2의 (a)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b)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c)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3의 (a)는 변형예에서의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대략 단면도이며, (b)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c)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4의 (a)는 실시예 2에서의 금속 선의 표면에 형성된 주석 도금층의 제거 공정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b)는, 주석 도금층이 제거된 금속 선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5의 (a)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b)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c)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6의 (a)는, 변형예에서의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b)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c)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7의 (a)는, 실시예 3에서의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b)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시의 상태를 도시 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c)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8의 (a)는, 변형예에서의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b)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c)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부호의 설명
1 : 금속 선
2 : 주석 도금층(금속 도금층)
2a, 2b : 주석 도금부(금속 도금층)
3 : 동 피복층
4 : 강선(鋼線)
5 : 알루미늄 선
6 : 환봉부(丸棒部)
7 : 편평부
8 : 커터
9 :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금속 도금층이 없는 부분)
10 : 용접부
11 : 테이퍼 면
12 : 오목부
13 : 고정 척
14 : 가동 척
14a : 금형부
본 발명에 관한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最良)의 형태를 실시예에 의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1의 (a)는, 실시예 1에서의 금속 선의 표면에 형성된 주석 도금층의 제거 공정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1의 (b)는, 주석 도금층이 제거된 금속 선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2의 (a)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2의 (b)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2의 (c)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3의 (a)는, 변형예에서의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3의 (b)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3의 (c)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콘덴서로서, 전해 콘덴서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이 전해 콘덴서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복수의 전극 박(箔)을 세퍼레이터(separator)를 통하여 권회(卷回) 또는 적층한 콘덴서 소자를, 구동용 전해액과 함께 유저통(有低筒) 형 상의 외장 케이스에 수납하고, 이 외장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를 봉구체(封口體)로 밀봉하는 동시에, 콘덴서 소자로부터 유도한 리드 단자를 봉구체에 관통시켜서 외부에 도출시키고 있다.
리드 단자는, 콘덴서 소자에 접속되는 알루미늄 선(5)과, 연강선(軟鋼線)(4)을 심재(心材)로 하는 금속 선(1)(CP 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도 2의 (c) 참조). 도 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 선(1)은 연강선(4)을 심재로 하여 그 외주(外周)에 금속 재료로서의 동을 두텁게 도금한 동 피복층(3)을 형성하고, 더 그 외주에 금속 재료로서의 주석 100 %로 이루어지는 주석 도금층(2)을 형성한 것이다. 이 금속 선(1)을 구성하는 재질에는, 납이 일절 사용되지 않는 것과 함께, 알루미늄 선(5)이나 콘덴서 소자 등을 구성하는 재질에도, 납이 일절 사용되지 않고, 본 실시예에서의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는, 납을 포함하지 않고 자연 환경에 대하여 악영향을 주지 않는 납 프리(free)의 전자 부품으로 되어 있다.
도 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 선(1)은, 막대 형상체를 복수로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에서, 금속 선(1)의 선단부(일단)에 관한 부분에는, 커터(8) 등의 기계적 수단에 의해, 금속 선(1)의 표면의 주석 도금층(2)이 제거되어, 막대 형상체에 복수의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이 형성된다. 이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의 단부에서 막대 형상체를 절단함으로써(도 1의 (b)의 일점 쇄선 참조), 선단부(일단)에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형성한 금속 선(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터(8)를 주석 도금층(2)으로부터 동 피복층(3)의 일부에 도달하는 깊이까지 밀어넣고, 화살표 방향으로 커터(8)를 이동시킴으로써,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석 도금층(2) 및 동 피복층(3)의 일부를 제거하고,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동 피복층(3)도 포함하여 제거하고, 표면에 연강선(4)을 노출시킬 수도 있지만, 동 피복선(3)의 일부를 남김으로써, 후술의 알루미늄 선(5)과의 아크 용접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그 외, 연마나 연삭 등의 수단으로 주석 도금층(2)을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의 범위는, 후술의 알루미늄 선(5)과의 용접부(10)에 포함되지 않도록, 주석 도금층(2)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 ∼ 5 ㎜ 정도 주석 도금층(2)을 금속 선(1)의 선단부보다 제거하면 좋다. 콘덴서용 리드 단자에서의 위스커의 발생 부위는,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의 용접부(10)(도 2의 (c) 참조)이며, 이것은 금속 도금으로서 사용되는 주석과 알루미늄이 용접시에 혼합하고, 주석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위스커가 발생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때문에, 금속 선(1)의 선단부의 주석 도금층(2)은 확실하게 제거할 필요가 있고, 그를 위해 기계적 수단을 사용하고 있지만, 또한, 주석 도금층(2)에 더하여 동 피복층(3)의 일부를 포함하여 제거하는 것보다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금속 선(1)을 제조할 때의 알루미늄 선(5)과 금속 선(1)의 접속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선(5)은, 그 일단에 대략 원기둥 형상을 하는 환봉부(6)가 형성되고, 이 환봉부(6)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금속 선(1)에 접속된다. 또한, 알루미늄 선(5)의 타단에는, 대략 편평 형상을 하는 편평부(7)가 형성되고, 이 편평부(7)가 콘덴서 소자의 전극 박(箔)에 접속되어 있다. 이 알루미늄 선(5)의 단부 근방을 고정 척(13)에 의해 고정하는 동시에, 금속 선(1)의 단부 근방을 가동 척(14)에 의해 유지하고, 그 주석 도금층(2)을 제거한 선단부를 일정 간격으로 대향 배치한다. 이 경우, 금속 선(1) 및 알루미늄 선(5)에는, 아크 용접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고정 척(13)이나 가동 척(14)을 아크 용접 장치의 통전구로서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할(半割)로 구성된 고정 척(13) 및 가동 척(14)은, 각각 상하 방향으로부터 알루미늄 선(5) 및 금속 선(1)을 끼우도록 유지하게 되어 있다. 한편, 가동 척(14)에는, 대략 반구 형상을 하는 금형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동 척(14)은 금속 선(1)의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끼우도록 유지하게 되어 있고, 금형부(14a)가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된다. 한편, 가동 척(14)의 금형부(14a)에 의해,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과 주석 도금층(2)이 사이를 두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금속 선(1)을 가동 척(14)에 의해 알루미늄 선(5) 방향으로 이동시켜, 그 선단부를 알루미늄 선(5)의 단면의 소정 위치에 충돌시켜서 단면과 맞닿게 한다. 이 상태에서, 용접 장치를 동작시키면,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의 사이에 용접 전류가 흐르고,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의 접촉점, 즉 금속 선(1)의 선단부와 알루미늄 선(5)의 단면 사이에 아크 용접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다.
이러한 용접 전류의 통전 개시로부터, 금속 선(1)의 선단부를 알루미늄 선(5)의 단면으로부터 떼어 놓고, 양자 사이에 간격을 설정하면, 금속 선(1)의 선 단부와 알루미늄 선(5)의 단면 사이에 아크가 생기고, 대향하는 금속 선(1) 및 알루미늄 선(5)의 쌍방이 부분적으로 용융한다.
이 상태에서, 금속 선(1)을 알루미늄 선(5)의 단면 측으로 이동시켜서 맞닿게 하여, 더 밀어 넣으면, 용융한 금속 사이의 융합이 생기고,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의 단면이 용착한다. 이때에 가동 척(14)의 금형부(14a)가, 알루미늄 선(5)의 단면 측으로 이동하기 위해, 이 금형부(14a) 내의 형상에 따라, 상기 용해 금속이 성형되어서 반구 형상의 용접부(10)가 형성되고, 도 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이 일체화된 리드 단자가 형성된다. 이 경우, 용접부(10)는, 금속 선(1)을 구성하는 금속과 알루미늄 선(5)을 구성하는 금속의 융합에 의해 합금층을 형성하고 있다. 이 용접부(10)에는, 금속 선(1)의 표면에 형성된 주석 도금층(2)이 미리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이 용접부(10)에는, 주석 도금층(2)이 혼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주석 도금층(2)과 알루미늄의 혼합층에 의한 위스커의 발생은 억제된다. 또한, 여기에서, 용접부(10)에의 주석 도금층(2)의 혼재를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의 용접 이후에서의 노출한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의 길이 치수를 2 ㎜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로 하면 좋다. 또한, 이 노출한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에는, PP, PET, PPS, 불소 수지 등의 절연 수지층에 의해 피복하거나, 금속 선(1)의 주석 도금층(2)을 압연(壓延)하여 노출한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피복하거나 함으로써, 이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외기에 의한 산화 등으로부터 방지할 수 있다.
도 3의 변형예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형부(14a)를 마련하지 않음으로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을 아크 용접에 의해 접속해도 좋다. 커터(8) 등의 기계적 수단에 의해,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금속 선(1)으로 형성하고(도 3의 (a) 참조), 이 금속 선(1)의 주석 도금층(2)을 제거한 선단부를 일정 간격으로 알루미늄 선(5)과 대향 배치한다. 이 경우, 금속 선(1) 및 알루미늄 선(5)에는, 아크 용접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금속 선(1)을 알루미늄 선(5) 방향으로 이동시켜, 그 선단부를 알루미늄 선(5)의 단면의 소정 위체에 충돌시켜서 단면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용접 장치를 동작시킨다(도 3의 (b) 참조). 그리고, 금속 선(1)의 선단부를 알루미늄 선(5)의 단면으로부터 떼어 놓고, 양자 사이에 간격을 설정하면, 금속 선(1)의 선단부와 알루미늄 선(5)의 단면 사이에 아크가 생기고, 대향하는 금속 선(1) 및 알루미늄 선(5)의 쌍방이 부분적으로 용융한다. 이 상태에서, 금속 선(1)을 알루미늄 선(5)의 단면 측으로 이동시켜서 맞닿게 하여, 더 밀어 넣으면, 용융한 금속 사이의 융합이 생기고,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의 단면이 용착한다(도 3의 (c) 참조).
이상, 본 실시예에서의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에서는, 금속 선(1)의 일단에 주석 도금층(2)을 제거한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마련하고, 아크 용접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의 용접부(10)에는, 알루미늄(5)과 주석이 혼합되지 않고 끝나게 되어, 용접부(10)의 위스커의 발생이 억제된다.
한편, 특히 기계적 제거에 의해, 금속 선(1)의 표면의 주석 도금층(2)이 확 실하게 제거되기 때문에, 용접부(10)에서 주석 도금층(2)과 알루미늄(5)의 혼합층이 형성되지 않게 되고, 용접부(10)의 위스커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금속 선(1)의 일단과 알루미늄 선(5)의 일단을 서로 맞닿게 하여, 아크 용접을 행하는 동시에, 상기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의 용접부(10)를 금형부(14a)에서 성형하는 것으로 원하는 용접부 형상을 안정하여 형성할 수 있고, 리드 단자의 용접부(10)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금형부(14a)가, 금속 선(1)을 유지하는 가동 척(14)에 마련되어 있는 것에서, 리드 단자의 제조시에, 금속 선(1)의 유지 작업과 금형부(14a)의 배치 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아크 용접시의 통전구로서도 이용할 수 있어, 아크 용접 작업을 조속히 행할 수 있다.
또한, 금형부(14a)가,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덮도록 배치되고, 이 금형부(14a)에 의해서 아크 용접에 의해 형성되는 용접부(10)와 주석 도금층(2)이 사이를 두도록 함으로써, 주석 도금층(2)의 주석이 아크 용접에 의해 용융된 용접부(10)에 섞이지 않게 되고, 용접부(10)에 주석이 혼합되지 않고, 리드 단자에서의 용접부(10)의 위스커의 발생이 억제된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실시예 2에 관한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도 4로부터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도시되는 구성 부분과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의 (a)는, 실시예 2에서의 금속 선의 표면에 형성된 주석 도금층의 제거 공정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4의 (b)는, 주석 도금층이 제거된 금속 선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5의 (a)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5의 (b)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5의 (c)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6의 (a)는, 변형예에서의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6의 (b)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6의 (c)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금속 선(1)의 선단부(일단)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커터(8) 등의 기계적 수단에 의해서(도 4의 (a) 참조), 금속 선(1)을 구성하는 막대 형상체에 복수의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형성하고,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에 인접하는 금속 도금층(2) 위에서 절단함으로써, 금속 선(1)의 선단 근방의 외주 면에 주석 도금부(2a)를 남기고,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마련한 금속 선(1)이 형성된다(도 4의 (b) 참조). 다음으로,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선(5)을 고정 척(13)으로 고정하고, 금속 선(1)을 가동 척(14)으로 파지시켜서 주석 도금부(2a)를 부분적으로 남긴 선단부를 일정 간격으로 대향 배치한다. 이 경우,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에는, 아크 용접 장치가 접속된다.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척(13) 및 가동 척(14)은, 각각 상하 방향으로부터 알루미늄 선(5) 및 금속 선(1)을 끼우도록 유지하게 되어 있다. 한편, 가동 척(14)에는, 대략 반구 형상을 하는 금형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동 척(14)은 금속 선(1)의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끼우도록 유지하게 되어 있고, 금형부(14a)가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된다. 한편, 가동 척(14)의 금형부(14a)에 의해서,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과 주석 도금층(2)이 사이를 두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금속 선(1)을 가동 척에 의해 알루미늄 선(5) 방향으로 이동시켜, 그 선단부를 알루미늄 선(5)의 단면의 소정 위치에 충돌시켜서 단면과 맞닿게 한다. 여기에서, 금속 선(1)의 외주 면에 남겨진 주석 도금부(2a)가 알루미늄 선에 맞닿게 되고, 이 상태에서, 용접 장치를 동작시키면,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 사이에 용접 전류가 흐르고, 특히 상기 외주 면에 남겨진 주석 도금부(2a)를 통하여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이 도통 상태로 되어, 아크 용접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다. 그 후, 금속 선(1)의 선단부를 알루미늄 선(5)의 단면으로부터 떼어 놓고, 양자 사이에 간격을 설정하면, 금속 선(1)의 선단부와 알루미늄 선(5)의 단면 사이에 아크가 생기고, 대향하는 금속 선(1) 및 알루미늄 선(5)의 쌍방이 부분적으로 용융한다.
이 상태에서, 금속 선(1)을 알루미늄 선(5)의 단면 측으로 이동시켜서 맞닿게 하여, 더 밀어 넣으면, 용융한 금속 사이의 융합이 생기고,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의 단면이 용착한다. 이때에, 가동 척(14)의 금형부(14a)가 알루미늄 선(5)의 단면 측으로 이동하기 위해, 이 금형부(14a) 내의 형상에 따라, 상기 용해 금속이 성형되어서 반구 형상의 용접부(10)가 형성되어, 도 5의 (c)에 도시하는 바 와 같이,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이 일체화된 리드 단자가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 용접부(1O)에는, 금속 선(1)의 외주 면에 부분적으로 남겨진 장소를 제외하고, 주석 도금층(2)은 미리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이 용접부(10)에는 거의 주석 도금층(2)이 혼재되지 않게 된다. 더구나, 상기 금속 선(1)의 외주 면에 부분적으로 남겨진 주석 도금부(2a)는, 용접시에 알루미늄 선(5)의 내부에 매몰되기 때문에, 용접부의 표면 근방에는 주석 도금층(2)은 없고, 따라서 주석 도금층(2)과 알루미늄의 혼합층에 의한 위스커의 발생은 억제된다.
도 6의 변형예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형부(14a)를 마련하지 않음으로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을 아크 용접에 의해 접속해도 좋다. 커터(8) 등의 기계적 수단에 의해, 금속 선(1)의 선단 근방의 외주 면에 주석 도금부(2a)를 남겨서,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마련한 금속 선(1)을 형성하고(도 6의 (a) 참조), 이 금속 선(1)의 주석 도금층(2)을 제거한 선단부를 일정 간격으로 알루미늄 선(5)과 대향 배치한다. 이 경우, 금속 선(1) 및 알루미늄 선(5)에는, 아크 용접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금속 선(1)을 알루미늄 선(5) 방향으로 이동시켜, 그 선단부를 알루미늄 선(5)의 단면의 소정 위치에 충돌시켜서 단면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용접 장치를 동작시킨다(도 6의 (b) 참조). 그리고, 금속 선(1)의 선단부를 알루미늄 선(5)의 단면으로부터 떼어 놓고, 양자 사이에 간격을 설정하면, 금속 선(1)의 선단부와 알루미늄 선(5)의 단면 사이에 아크가 생기고, 대향하는 금속 선(1) 및 알루미늄 선(5)의 쌍방이 부분적으로 용융한다. 이 상태에서, 금속 선(1)을 알루미늄 선(5) 의 단면 측으로 이동시켜서 맞닿게 하여, 더 밀어 넣으면, 용융한 금속 사이의 융합이 생기고,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의 단면이 용착한다(도 6의 (c) 참조).
실시예 3
다음으로, 실시예 3에 관한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도시되는 구성 부분과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가하여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의 (a)는, 실시예 3에서의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7의 (b)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7의 (c)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8의 (a)는, 변형예에서의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8의 (b)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8의 (c)는,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 이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 선(1)은, 선단부(일단)를 향해서 테이퍼 면(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 면(11)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커터(8) 등의 기계적 수단에 의해(도 4 참조), 금속 선(1)을 구성하는 막대 형상체에 복수의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형성하고,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에 인접하는 금속 도금층(2) 위에서 절단함으로써, 금속 선(1)의 선단 근방의 외주 면에 주석 도금부(2b)를 남긴 금속 선(1)을 형성하고, 그 후 이 금속 선(1)의 주석 도금부(2b) 및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금형 등으로 압축함으로써 형성되고, 이 테이퍼 면(11)의 선단에는, 남긴 금속 도금층으로 이루어지는 주석 도금부(2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알루미늄 선(5)에는, 그 금속 선(1)과의 맞닿음 측의 단면에는, 상기 금속 선(1)의 테이퍼 면(11)에 적합하는 수납 공간을 갖는 오목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알루미늄 선(5)을 고정 척(13)으로 고정하고, 금속 선(1)을 가동 척(14)으로 파지시켜서 주석 도금부(2b)를 부분적으로 남긴 선단부를 일정 간격으로 대향 배치한다. 이 경우, 금속선(1)과 알루미늄 선(5)에는, 아크 용접 장치가 접속된다.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척(13) 및 가동 척(14)은 각각 상하 방향으로부터 알루미늄 선(5) 및 금속 선(1)을 끼우도록 유지하게 되어 있다. 한편, 가동 척(14)에는, 대략 반구 형상을 하는 금형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동 척(14)은 금속 선(1)의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끼우도록 유지하게 되어 있고, 금형부(14a)가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된다. 한편, 가동 척(14)의 금형부(14a)에 의해,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과 주석 도금층(2)이 사이를 두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금속 선(1)을 가동 척에 의해 알루미늄 선(5) 방향으로 이동시켜, 테이퍼 면(11)의 선단부를 알루미늄 선(5)에 충돌시키고, 이때에 알루미늄 선(5)의 오목부(12)에 의해 금속 선(1)은 소정 위치에 안내되어서 이동하여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이 접촉한다. 여기에서, 금속 선(1)의 외주 면에 남겨진 주석 도금부(2b)가 알루미늄 선(5)에 맞닿게 되고, 이 상태에서, 용접 장치를 동작시키면,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 사이에 용접 전류가 흐르고, 특히 상기 외주 면에 남 겨진 주석 도금부(2b)를 통하여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이 도통 상태로 되고, 아크 용접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다. 그 후, 금속 선(1)의 선단부를 알루미늄 선(5)의 단면으로부터 떼어 놓고, 양자 사이에 간격을 설정하면, 금속 선(1)의 선단부와 알루미늄 선(5)의 단면 사이에 아크가 생기고, 대향하는 금속 선(1) 및 알루미늄 선(5)의 쌍방이 부분적으로 용융한다.
이 상태에서, 금속 선(1)을 알루미늄 선(5)의 단면 측으로 이동시켜서 맞닿게 하여, 더 밀어 넣으면, 용융한 금속 사이의 융합이 생기고,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의 단면이 용착한다. 이때에 가동 척(14)의 금형부(14a)가, 알루미늄 선(5)의 단면 측으로 이동하기 위해, 이 금형부(14a) 내의 형상에 따라, 상기 용해 금속이 성형되어서 반구 형상의 용접부(10)가 형성되고,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이 일체화된 리드 단자가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이 용접부(10)에는, 금속 선(1)의 외주 면에 부분적으로 남겨진 장소를 제외하고, 주석 도금층(2)은 미리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이 용접부(10)에는 거의 주석 도금층(2)이 혼재되지 않게 된다. 더구나, 상기 금속 선(1)의 선단부에 부분적으로 남겨진 주석 도금부(2b)는, 용접시에 알루미늄 선(5)의 내부에 매몰되기 때문에, 용접부의 표면 근방에는 주석 도금층(2)은 없고, 따라서 주석 도금층(2)과 알루미늄의 혼합층에 의한 위스커의 발생은 억제된다.
도 8의 변형예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형부(14a)를 마련하지 않음으로,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을 아크 용접에 의해 접속해도 좋다. 커터(8) 등의 기계적 수단에 의해, 금속 선(1)의 선단 근방의 외주 면에 주석 도금부(2b)를 남겨 서,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마련한 금속 선(1)을 형성하고, 그 후 이 금속 선(1)의 주석 도금부(2b) 및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금형 등으로 압축함으로써 테이퍼 면(11)이 형성된다(도 8의 (a) 참조). 이 테이퍼 면(11)의 선단에는, 남긴 금속 도금층으로 이루어지는 주석 도금부(2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알루미늄 선(5)에는, 그 금속 선(1)과의 맞닿음 측의 단면에는, 상기 금속 선(1)의 테이퍼 면(11)에 적합하는 수납 공간을 갖는 오목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이 금속 선(1)의 주석 도금층(2)을 제거한 선단부를 일정 간격으로 알루미늄 선(5)과 대향 배치한다. 이 경우, 금속 선(1) 및 알루미늄 선(5)에는, 아크 용접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금속선(1)을 알루미늄 선(5) 방향으로 이동시켜, 그 선단부를 알루미늄 선(5)의 단면의 소정 위치에 충돌시켜서 단면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용접 장치를 동작시킨다(도 8의 (b) 참조). 그리고, 금속 선(1)의 선단부를 알루미늄 선(5)의 단면으로부터 떼어 놓고, 양자 사이에 간격을 설정하면, 금속 선(1)의 선단부와 알루미늄 선(5)의 단면 사이에 아크가 생기고, 대향하는 금속 선(1) 및 알루미늄 선(5)의 쌍방이 부분적으로 용융한다. 이 상태에서, 금속 선(1)을 알루미늄 선(5)의 단면 측으로 이동시켜서 맞닿게 하여, 더 밀어 넣으면, 용융한 금속 사이의 융합이 생기고,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의 단면이 용착한다(도 8의 (c) 참조).
이상 실시예 2, 3에서의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에서는, 금속 선(1)의 일단보다 주석 도금층(2a, 2b) 및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연속하여 마련하고, 금속 선(1)의 일단과 알루미늄 선(5)의 일단을 서로 맞닿게 하여, 아크 용접 을 행함으로써,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의 접촉 저항이 낮은 상태에서 전류를 흘릴 수 있고, 그 때문에 용접 불량이 저감되게 된다. 한편, 아크 용접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의 용접부(10)는, 주석의 혼합 비율이 낮게 되고, 리드 단자에서의 용접부(10)의 위스커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의 용접부(10)는, 금속 선(1)의 금속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넘어서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용접부(10)의 표면 근방에는, 금속 선(1)의 금속 도금층(2)과의 혼합층이 형성되지 않고, 위스커의 억제가 가능해진다.
또한, 주석 도금부(2a, 2b)가, 아크 용접에 의해 형성되는 용접부(10)에 의해 덮여짐으로써, 주석이 포함되는 주석 도금부(2a, 2b)가 용접부(10) 내에 매몰되어, 용접부(10)의 표면 근방에는, 주석이 혼합되지 않고 끝나게 되어, 리드 단자에서의 용접부(10)의 위스커의 발생이 억제된다.
한편, 금속 선(1)의 선단부에 마련된 주석 도금부(2a, 2b)로서는,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에 후로부터 주석 도금을 하는 등으로 하여, 금속 선(1)의 선단부에 주석 도금부(2a, 2b)를 마련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에서는, 금속 선(2)의 일단에 마련된 금속 도금층(2a)은, 금속 선(1)의 외주 면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금속 선(1)의 금속 도금층(2a)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3에서는, 금속 선(1)은, 그 선단을 향해서 테이퍼 면(11)을 형성함으로써, 금속 선(1)을 알루미늄 선(5)에 압입(壓入)하기 쉬운 동시에, 금 속 선과 알루미늄 선을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어, 안정한 아크의 발생이 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 3에서는, 알루미늄 선(5)의 일 단면에 오목부(12)를 마련하고, 오목부(12) 내에 금속 선(1)을 맞닿게 함으로써, 오목부(12)에 의해 금속 선(1)을 알루미늄 선(5)에 정밀도 좋게 안내시킬 수 있고, 용접의 안정화가 도모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할 수 있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변경이나 추가가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각 실시예에서는, 금속 선(1)의 전체 면에 주석 도금층(2)을 형성하고, 기계적 제거 등의 수단에 의해, 주석 도금층(2)을 제거하여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형성하고 있지만, 마스킹 등에 의해 주석 도금층(2)을 제거하여 금속 선(1)에 주석 도금층이 없는 부분(9)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주석 도금층(2)의 제거 수단으로서 커터(8) 등의 기계적 수단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용제에 의한 제거나, 레이저 조사에 의한 제거 등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금속 선(1)의 외주에 주석 100%로 이루어지는 주석 도금층(2)이 형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100%의 금속 재료에서 도금층을 형성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주석에 비스무스(Bismuth) 등의 금속을 첨가한 합금으로 도금층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금속 선(1)의 심재로서 연강선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 외에도 동선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이 동선(심재)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선(1)에 주석 도금층(2)을 직접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고정 척에서 알루미늄 선(5)을 유지하고, 가동 척에서 금속선(1)을 유지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고정 척에서 금속 선(1)을 유지하고, 가동 척에서 알루미늄 선(5)을 유지하고, 금속 선(1)에 가동 척에서 유지된 알루미늄 선(5)을 이동시켜서 용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아크 용접 방법으로서, 알루미늄 선(5)에 금속 선(1)을(또는 금속 선에 알루미늄 선(5)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용접 전류를 흘리고, 그 후, 금속 선(1)의 선단부를 알루미늄 선(5)의 단면으로부터 떼어 놓고, 양자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대향하는 금속 선(1) 및 알루미늄 선(5)의 쌍방을 부분적으로 용융시킨 후, 금속 선(1)을 알루미늄 선(5)의 단면 측에(또는 알루미늄 선(5)을 금속 선(1)의 단면 측에) 이동시켜서 맞닿게 하여, 더 밀어 넣음으로써, 용융한 금속 사이의 융합이 생겨,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을 용착(溶着)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알루미늄 선(5)에 금속 선(1)을(또는 금속 선(1)에 알루미늄 선(5)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용접 전류를 흘리고, 이 상태에서 아크를 발생시켜서 금속 선(1) 및 알루미늄 선(5)을 부분적으로 용융시켜, 더 금속 선(1)(또는 알루미늄 선(5))을 밀어 넣음으로써, 용융한 금속 사이의 융합이 생겨, 금속 선(1)과 알루미늄 선(5)을 용착해도 좋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가동 척(14)의 금형부(14a)가 금속 선(5)의 주석 도 금층이 없는 부분(9)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가동 척을 금속 선(5)의 주석 도금층(2) 위에 배치해도 좋다.
또한, 실시예 3에서는, 선단에 테이퍼 면(11)이 형성되는 동시에, 선단에 주석 도금부(2b)가 마련된 금속 선(1)의 선단을, 알루미늄 선(5)에 형성한 오목부(12)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지만, 선단에 테이퍼 면(11)을 형성하지 않는 금속 선(1)이나, 선단에 주석 도금부(2b)를 마련하지 않은 금속 선(1)의 선단을, 알루미늄 선(5)에 형성한 오목부(12)에 삽입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실시예 1 및 2에서는, 선단에 테이퍼 면(11)을 형성하지 않는 금속 선(1)이나, 오목부(12)를 갖지 않는 알루미늄 선(5)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실시예 3과 동일하게, 금속 선(1)의 선단에 테이퍼 면(11)을 형성하고, 알루미늄 선(5)에 형성한 오목부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9)

  1. 주석을 주체로 한 금속 도금층을 형성한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을 맞닿게 하여, 상기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을 아크 용접하는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선의 일단(一端)에 금속 도금층이 없는 부분을 마련하고, 상기 금속 선의 일단과 상기 알루미늄 선의 일단을 서로 맞닿게 하여, 상기 아크 용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
  2. 주석을 주체로 한 금속 도금층을 형성한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을 맞닿게 하여, 상기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을 아크 용접하는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선의 일단보다 금속 도금층 및 금속 도금층이 없는 부분을 연속하여 마련하고, 상기 금속 선의 일단과 상기 알루미늄 선의 일단을 서로 맞닿게 하여, 상기 아크 용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선의 일단에 마련된 금속 도금층이, 상기 아크 용접에 의해 형성되는 용접부에 의해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 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부는, 금속 선의 금속 도금층이 없는 부분을 넘어서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용 단자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선은, 그 선단을 향해서 테이퍼 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선의 일 단면에 오목부를 마련하고, 그 오목부 내(內)에 금속 선을 맞닿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용접을 행할 때에,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부를 금형에서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이, 상기 금속 선을 유지하는 척(chuck)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용접을 행할 때에, 금속 선과 알루미늄 선의 용접부를 금형에서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금형이, 상기 금속 도금층이 없는 부분을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금형에 의해서 상기 아크 용접에 의해 형성되는 용접부와 상기 금속 도금층이 사이를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
KR1020097020644A 2007-03-30 2007-12-25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 KR200901273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93957A JP4952336B2 (ja) 2007-03-30 2007-03-30 コンデンサ用リード端子の製造方法
JPJP-P-2007-093957 2007-03-30
JPJP-P-2007-164464 2007-06-22
JP2007164464A JP4877093B2 (ja) 2007-06-22 2007-06-22 コンデンサ用リード端子の製造方法
JPJP-P-2007-181703 2007-07-11
JP2007181703A JP4877110B2 (ja) 2007-07-11 2007-07-11 コンデンサ用リード端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335A true KR20090127335A (ko) 2009-12-10

Family

ID=39875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644A KR20090127335A (ko) 2007-03-30 2007-12-25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163541A1 (ko)
EP (1) EP2141711A4 (ko)
KR (1) KR20090127335A (ko)
TW (1) TWI442429B (ko)
WO (1) WO20081297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00727B (zh) * 2009-03-20 2013-07-01 Lelon Electronics Corp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ductive needle for suppressing tin whisker
JP2010239058A (ja) * 2009-03-31 2010-10-21 Nippon Chemicon Corp 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7550U (ko) * 1976-06-12 1977-12-19
JPS54176844U (ko) * 1978-06-02 1979-12-13
JP2748524B2 (ja) * 1989-04-05 1998-05-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リード線製造装置
JP2000124073A (ja) * 1998-10-14 2000-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ルミ電解コンデンサ
TWI319585B (en) * 2002-11-08 2010-01-11 Nippon Chemicon Electrolytic condenser
JP2004221179A (ja) * 2003-01-10 2004-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ルミ電解コンデンサ
JP4688406B2 (ja) * 2003-04-17 2011-05-2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端子付き電気化学セル
JP4401678B2 (ja) * 2003-05-09 2010-01-20 湖北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用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29739A1 (ja) 2008-10-30
EP2141711A1 (en) 2010-01-06
EP2141711A4 (en) 2014-10-22
TW200849298A (en) 2008-12-16
TWI442429B (zh) 2014-06-21
US20100163541A1 (en)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1718B1 (en) Pressure-fixing terminal,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or
JP3964116B2 (ja) 回転電機の固定子
JP4654068B2 (ja) 接合電線と接合電線の加工方法,回転電機の固定子と回転電機の固定子の製造方法及び接合電線製造装置
KR101576784B1 (ko) 압착 단자, 압착 단자의 제조방법, 전선 접속 구조체, 및 전선 접속 구조체의 제조방법
US9160080B2 (en) Electric cable,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 cable, and welding device for producing an electric cable
US10978815B2 (en) Joining a terminal element with a stranded conductor
JP2006190662A (ja) 配線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に用いる抵抗溶接機
JP4952336B2 (ja) コンデンサ用リード端子の製造方法
JP4877110B2 (ja) コンデンサ用リード端子の製造方法
EP3382806B1 (en) Crimp terminal, connecting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rimp terminal, and laser welding method
KR20090127335A (ko) 콘덴서용 리드 단자의 제조 방법
JP2017084600A (ja) 端子付電線及び端子付電線の製造方法
JP4401678B2 (ja) 電子部品用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564820B (zh) 具有断开保险功能的电气连接装置
JP4877093B2 (ja) コンデンサ用リード端子の製造方法
TWI419185B (zh) Electronic parts and their wir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JP2009246223A (ja) コンデンサ用リード端子
JP5548877B2 (ja) コンデンサ用リード端子の製造方法
JP5515391B2 (ja) 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及び電解コンデンサ
JP2010239058A (ja) 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7245062B2 (ja) コイル部品、電子機器、及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H1154361A (ja) コンデンサ端子構造
JP2010258219A (ja) 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及び電解コンデンサ
JP2014164835A (ja) 電線圧着装置、及び電線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2010283064A (ja) コンデンサ用リード端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