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5765A - 데이터 제공 시스템, 게임기, 데이터 제공 방법, 정보기록매체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데이터 제공 시스템, 게임기, 데이터 제공 방법, 정보기록매체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5765A
KR20090125765A KR1020097018882A KR20097018882A KR20090125765A KR 20090125765 A KR20090125765 A KR 20090125765A KR 1020097018882 A KR1020097018882 A KR 1020097018882A KR 20097018882 A KR20097018882 A KR 20097018882A KR 20090125765 A KR20090125765 A KR 20090125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device
additional data
main
unit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8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5763B1 (ko
Inventor
야스히로 카와바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ublication of KR20090125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3F13/12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4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peer-to-peer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 A63F13/327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using wireless networks, e.g. Wi-Fi® or pico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3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 A63F13/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using wireless networks, e.g. cellular phone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3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 A63F13/335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using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7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data related to game devices or game servers, e.g. configuration data,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6Game information storage, e.g. cartridges, CD ROM's, DVD's, smart c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4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platform network
    • A63F2300/404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platform network characterized by a local network connection
    • A63F2300/40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platform network characterized by a local network connection being a wireless ad hoc network, e.g. Bluetooth, Wi-Fi, Pico 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4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platform network
    • A63F2300/408Peer to peer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5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 A63F2300/552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for downloading to client devices, e.g. using OS version, hardware or software profile of the client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5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 A63F2300/5526Game data structure
    • A63F2300/5533Game data structure using program state or machine event data, e.g. server keeps track of the state of multiple players on in a multiple player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09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unlocking hidden game elements, e.g. features, items,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주기기(100)의 데이터 기억부(130)에는 다운로드 완료한 추가 데이터(131)가 격납되어 있다. 주기기(100)와 보조기기(200)가 무선접속하고, 보조기기(200)로부터 주기기(100)에 보조기기 정보가 송신되면, 주기기(100)의 처리제어부(120)는, 수신한 보조기기 정보에 의거해서, 제공 가능하게 되는 추가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부(130)로부터 검색한다. 즉, 보조기기(200)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 상황에 따른 추가 데이터를, 추가 데이터(131)로부터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한 추가 데이터를 주기기(100)로부터 보조기기(200)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서버에 접속할 수 없는 보조기기(200)더라도, 주기기(100)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기기, 보조기기, 데이터 제공 시스템, 처리제어부, 기억부, 검색부

Description

데이터 제공 시스템, 게임기, 데이터 제공 방법, 정보기록매체 및 프로그램{DATA PROVIDING SYSTEM, GAME MACHINE, DATA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본 발명은 적정한 데이터 제공을 확보하면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 제공 시스템, 게임기, 데이터 제공 방법, 정보기록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휴대형 게임기(배터리로 가동하는 소형의 게임장치 등)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 휴대형 게임기는, 휴대가 용이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출 장소 등에서도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 이러한 휴대형 게임기는, 다른 휴대형 게임기와 통신을 행하여, 데이터의 교환이나 대전 게임 등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일례로서, 트레이딩 카드 게임을 실행하는 휴대형 게임기(휴대 비디오 게임장치)가, 통신케이블을 거쳐서 다른 휴대형 게임기와 접속하여, 새로운 카드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2-52251호 공보(제5-7쪽, 제1도)
최근에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휴대형 게임기도 보급되고 있으며, 전술한 바 와 같은 통신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근방의 휴대형 게임기끼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이러한 휴대형 게임기는, 다른 무선기능으로서, 무선 LAN 규격에 준거한 통신이 가능하며, 근방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등을 거쳐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인터넷상의 서버(일례로서, 웹 서버나 파일 서버 등)와 적절하게 통신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게임 메이커 등은, 예를 들어, 발매 시점의 소프트웨어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추가 데이터(일례로서, 추가 아이템, 추가 캐릭터, 추가 시나리오 및 추가 음악 등의 데이터)를 서버에 격납하고, 인터넷을 통해서 휴대형 게임기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게임 카트리지(게임의 소프트웨어)를 장진한 휴대형 게임기를 인터넷에 접속하고, 그 게임의 안내 등에 따라서, 목적의 서버에 액세스하여,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다운로드한 추가 데이터를 사용해서, 그 게임을 더 한층 즐길 수 있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전술한 바와 같이, 제공되는 추가 데이터가 인터넷상의 서버에 적절하게 준비(격납)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가정 등에 인터넷에의 접속 환경이 갖추어져 있지 않으면, 그러한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없다.
또, 인터넷에의 접속 환경이 갖추어져 있다고 해도, 사용자가 어린이 등이면, 다른 요인(브라우저에 의한 유해 사이트에의 액세스 등)이 염려되어, 부모 등이 옆에 없을 때에는, 인터넷에의 접속을 허용하고 있지 않도록 하는 가정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는,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인터넷에의 접속을 행할 수 있는 친구집이나 게임 샵 등으로 나갈 필요가 있어, 매우 불편한 상황이었다.
그 때문에,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 완료한 다른 휴대형 게임기로부터, 간접적으로 그 추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고려된다. 즉, 다른 휴대형 게임기(다운로드 완료)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면,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없는 환경의 사용자더라도, 예를 들어, 친구가 놀러 왔을 때나, 사람이 모이는 임의의 장소에 갔을 때 등에, 이러한 추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이 각별히 높아지게 된다.
그래도, 다른 휴대형 게임기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무조건으로 얻어지도록 하면, 이하와 같은 문제가 생겨버리는 일도 염려된다.
예를 들어, 게임을 클리어했을 경우에만, 서버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고 하는 다운로드 조건(필요조건)이 정해져 있는 상황에서는, 게임이 클리어되어 있지 않은 휴대형 게임기가, 다른 휴대형 게임기(클리어해서 다운로드 완료)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되면, 게임 메이커 등의 의도나 생각에 반하는 것으로 된다.
이 밖에도, 게임 중인 스테이지나 필드를 클리어할 때마다, 대응하는 추가 데이터(다른 추가 데이터 등)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고 하는 다운로드 조건이 정해져 있는 상황에서는, 게임의 진행과 일치하지 않는 추가 데이터를, 다른 휴대형 게임기로부터 얻게 되면, 그 후의 게임 진행에 모순이 생기거나, 재미가 결여되는 것으로 되어버릴 우려도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일으키는 일없이, 추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정한 데이터 제공을 확보하면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데이터 제공 시스템, 게임기, 데이터 제공 방법, 정보기록매체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제1관점에 관한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무선통신가능한 복수의 게임기로 구성되어, 각 게임기가 주기기(main apparatus) 또는 보조기기(subsidiary apparatus)의 어느 것으로도 될 수 있으며, 주기기로 된 게임기로부터 보조기기로 된 게임기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시스템으로서, 주기기가, 다운로드부, 추가 데이터 기억부, 보조기기 정보 수신부, 검색부 및 추가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고, 또, 보조기기가 보조기기 정보 생성부, 보조기기 정보 송신부, 추가 데이터 수신부 및 데이터 기억부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우선, 주기기에 있어서, 다운로드부는, 복수 종류의 추가 데이터를 관리하는 외부장치(예를 들어 인터넷 상의 서버)로부터, 게임의 진행 상황에 따른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추가 데이터 기억부는, 다운로드한 추가 데이터를 기억한다.
한편, 보조기기에 있어서, 보조기기 정보 생성부는, 게임의 진행 상황을 포함하는 보조기기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보조기기 정보 송신부는, 생성한 상기 보조기기 정보를 주기기에 송신한다.
주기기에 있어서, 보조기기 정보 수신부는, 보조기기부터 송신되는 보조기기 정보를 수신한다. 검색부는, 수신한 보조기기 정보에 의거해서, 제공 가능하게 되는 추가 데이터를 추가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검색한다. 그리고, 추가 데이터 송신부는, 검색한 추가 데이터를 보조기기에 송신한다.
한편, 보조기기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수신부는, 송신한 보조기기 정보에 응답해서, 주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추가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데이터 기억부는 수신한 추가 데이터를 기억한다.
이와 같이,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한 주기기로부터 보조기기에, 간접적으로 추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보조기기더라도,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 완료한 주기기의 부근(무선통신가능한 범위)에 위치하면, 그 보조기기는 주기기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그때, 보조기기 정보에 의해서 제공 가능하게 되는 추가 데이터만이 주기기로부터 보조기기로 제공된다.
이 결과, 적정한 데이터 제공을 확보하면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주기기의 상기 검색부는, 상기 보조기기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 상황에 따른 추가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주기기의 상기 추가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검색부에서 추가 데이터가 검색된 경우에만, 상기 추가 데이터를 상기 보조기기에 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 보조기기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 상황에 따른 추가 데이터만이 주기기로부터 제공되므로, 게임 메이커 등의 의도나 생각에 반하는 일없이, 또한 보조기기에 있어서의 게임 진행에 모순이 생기거나, 재미가 결여되는 것으로 되어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일으키는 일없이 해결되게 된다.
상기 주기기 및 상기 보조기기는, 취득한 추가 데이터의 송신원을 포함하는 취득 실적을 관리하는 취득 실적관리부와, 관리하는 상기 취득 실적으로부터 얻어진 송신원이 상기 외부장치인지 상기 주기기인지에 의거해서 게임 내용을 변화시키는 게임내용 변경부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추가 데이터의 송신원이 외부장치(서버)인지 주기기(게임기)인지 체크하고, 그것에 따라서, 게임 내용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게임내용 변경부는, 취득 실적으로부터 얻어진 송신원이 상기 외부장치일 경우에, 인터넷 접속을 행할 수 있는 환경에 대응한 게임 내용으로 변화시키고, 송신원이 상기 주기기일 경우에, 인터넷 접속을 행할 수 없는 환경에 대응한 게임 내용으로 변화시켜도 된다.
이 경우, 취득 실적으로부터 게임 내용을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주기기는, 상기 보조기기에 대해서 추가 데이터의 송신을 행한 송신실적을 관리하는 송신실적관리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다운로드부는, 관리하는 당해 수신실적에 의거해서 특전으로 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해도 된다.
이 경우, 추가 데이터의 송신에 공헌한 주기기(게임기)에 특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관련되는 게임기는, 주기기 또는 보조기기의 어느 것으로도 될 수 있고, 자기가 주기기로 되었을 때에, 보조기기로 된 다른 게임기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게임기로서, 다운로드부, 추가 데이터 기억부, 보조기기 정보 수신부, 검색부 및 추가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우선, 다운로드부는, 복수 종류의 추가 데이터를 관리하는 외부장치(예를 들어 인터넷상의 서버)로부터, 게임의 진행 상황에 따른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추가 데이터 기억부는 다운로드한 추가 데이터를 기억한다.
보조기기 정보 수신부는, 보조기기로부터 송신되는, 게임의 진행 상황을 포함하는 보조기기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검색부는, 수신한 보조기기 정보에 의거해서, 제공 가능하게 되는 추가 데이터를 추가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검색한다. 그리고, 추가 데이터 송신부는 검색한 추가 데이터를 보조기기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한 주기기로부터 보조기기에 간접적으로 추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보조기기더라도,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 완료한 주기기의 부근(무선통신가능한 범위)에 위치하면, 그 보조기기는 주기기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그때, 보조기기 정보에 의해서 제공 가능하게 되는 추가 데이터만이 주기기로부터 보조기기로 제공된다.
이 결과, 적정한 데이터 제공을 확보하면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게임기는, 자기가 보조기기로 되었을 때에, 게임의 진행 상황을 포함하는 보조기기 정보를 생성하는 보조기기 정보 생성부와, 생성한 상기 보조기기 정보를 상기 주기기에 송신하는 보조기기 정보 송신부와, 송신한 상기 보조기기 정보에 응답해서, 상기 주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추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추가 데이터 수신부와, 수신한 상기 추가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주기기였던 게임기가 이번에는 보조기기로 되었을 때에, 주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추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관점에 관한 데이터 제공 방법은, 무선통신가능한 복수의 게임기로부터 구성되어, 각 게임기가 주기기 또는 보조기기의 어느 것으로도 될 수 있으며, 주기기로 된 게임기로부터 보조기기로 된 게임기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제공 방법으로서, 다운로드 스텝, 추가 데이터 격납 스텝, 보조기기 정보 생성 스텝, 보조기기 정보 송신 스텝, 보조기기 정보 수신 스텝, 검색 스텝, 추가 데이터 송신 스텝 및 추가 데이터 수신 스텝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우선, 주기기에 있어서, 다운로드 스텝에서는, 복수 종류의 추가 데이터를 관리하는 외부장치(예를 들어 인터넷상의 서버)로부터, 게임의 진행 상황에 따른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추가 데이터 격납 스텝에서는, 다운로드한 추가 데이터를 기억부에 격납한다.
한편, 보조기기에 있어서, 보조기기 정보 생성 스텝에서는, 게임의 진행 상황을 포함하는 보조기기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보조기기 정보 송신 스텝에서는, 생성한 상기 보조기기 정보를 주기기에 송신한다.
주기기에 있어서, 검색 스텝에서는, 수신한 보조기기 정보에 의거해서, 제공가능하게 되는 추가 데이터를 기억부에서 검색한다. 그리고, 추가 데이터 송신 스텝에서는, 검색한 추가 데이터를 보조기기에 송신한다.
한편, 보조기기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수신부 스텝에서는, 송신한 보조기기 정보에 응답해서, 주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추가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한 주기기로부터 보조기기에 간접적으로 추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보조기기더라도,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 완료한 주기기의 부근(무선통신 가능한 범위)에 위치하면, 그 보조기기는 주기기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그때, 보조기기 정보에 의해서 제공 가능하게 되는 추가 데이터만이 주기기로부터 보조기기에 제공된다.
이 결과, 적정한 데이터 제공을 확보하면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관점에 관한 정보기록 매체는, 컴퓨터(전자기기를 포함함)를, 상기의 게임기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본 발명의 제5관점에 관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전자기기를 포함함)를, 상기의 게임기로서 기능시키도록 구성한다.
이 프로그램은, 컴팩트 디스크, 가요성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자기 테이프, 반도체 메모리 등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정보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당해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컴퓨터와는 독립해서, 컴퓨터 통신망을 경유해서 배포·판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기록매체는 상기 컴퓨터와는 독립해서 배포·판매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적정한 데이터 제공을 확보하면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게임기의 개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A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휴대형 게임기의 상황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2B는 휴대형 게임기끼리 통신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3은 주기기 및 보조기기의 개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주기기에서 생성되는 주기기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
도 5A는 주기기에서 추가 데이터가 검색되는 상황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5B는 주기기에서 추가 데이터가 검색되는 상황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6A는 주기기의 데이터 기록부에 기억되는 추가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6B는 주기기의 데이터 기록부에 기억되는 송신실적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6C는 주기기의 데이터 기록부에 기억되는 게임 관리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7은 보조기기에서 생성되는 보조기기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 제공 처리 및 데이터 수신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
<부호의 설명>
1: 휴대형 게임기 10: 처리제어부
11: 커넥터 12: 카트리지
13: 무선통신부 14: 통신 컨트롤러
15: 사운드 앰프 16: 스피커
17: 조작 키 18: 제1표시부
19: 제2표시부 20: 터치 패널
100: 주기기 110: 통신부
120: 처리제어부 130: 데이터 기억부
200: 보조기기 210: 통신부
220: 처리제어부 230: 데이터 기억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휴대형 게임기(게임 장치)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각종 컴퓨터, PDA, 휴대전화 등의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형태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원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이러한 각 요소 또는 전체 요소를 이것과 균등한 것으로 치환한 실시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들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게임기의 개요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휴대형 게임기(1)는 처리제어부(10), 커넥터(11), 카트리지(12), 무선통신부(13), 통신 컨트롤러(14), 사운드 앰프(15), 스피커(16), 조작 키(17), 제1표시부(18), 제2표시부(19) 및 터치 패널(20)을 구비한다.
처리제어부(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코어(core)(10a), 화상처리부(10b), VRAM(Video Random Access Memory)(10c), WRAM(Work RAM)(10d), LCD(Liquid Crystal Display) 컨트롤러(10e) 및 터치 패널 컨트롤러(10f)를 구비한다.
CPU 코어(10a)는, 휴대형 게임기(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여, 각 구성요소와 접속되어 제어신호나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12)가 커넥터(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12) 내의 ROM(Read Only Memory)(12a)에 기억 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읽어내어(즉, 독출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화상처리부(10b)는, 카트리지(12) 내의 ROM(12a)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나, CPU 코어(10a)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가공 처리한 후, 이것을 VRAM(10c)에 격납한다.
VRAM(10c)은 표시용의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이며, 화상처리부(10b) 등에 의해 가공된 화상정보를 기억한다.
WRAM(10d)은, CPU 코어(10a)가 프로그램에 따른 각종 처리를 실행할 때에 필요로 되는 워크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LCD 컨트롤러(10e)는, 제1표시부(18) 및 제2표시부(19)을 제어하여, 소정의 표시용 화상을 표시시킨다. 예를 들어, LCD컨트롤러(10e)는, VRAM(10c)에 기억된 화상정보를, 소정의 동기 타이밍에서 표시 신호로 변환하고, 제1표시부(18)에 출력한다. 또, LCD컨트롤러(10e)는 제2표시부(19)에 소정의 지시 아이콘 등을 표시한다.
터치 패널 컨트롤러(10f)는 터치 펜이나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터치 패널(20)에의 접촉(터치)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제2표시부(19)에 소정의 지시 아이콘 등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터치 패널(20) 상의 접촉 및 그 위치 등을 검출한다.
커넥터(11)는 카트리지(12)와 탈착 자유롭게 접속가능한 단자이며, 카트리지(12)가 접속되었을 때에, 카트리지(12)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카트리지(12)는 ROM(12a)과 RAM(12b)을 포함한다.
ROM(12a)에는 게임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게임에 부수되는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이 기록된다.
RAM(12b)에는 게임의 진행 상황 등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데이터가 기억된다.
무선통신부(13)는, 다른 휴대형 게임기(1)의 무선통신부(13)와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을 행하는 유닛이며,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내장 안테나 등)를 거쳐서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 무선통신부(13)는 소정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무선통신부(13)에는 고유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가 채용되어 있다.
통신 컨트롤러(14)는, 무선통신부(13)를 제어하고,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처리제어부(10)와 다른 휴대형 게임기(1)의 처리제어부(10)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무선통신의 중개를 한다.
또한, 휴대형 게임기(1)가, 근방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등을 거쳐서 인터넷에 접속할 때에는, 무선 LAN에 준거한 프로토콜에 따라서, 처리제어부(10)와 무선 액세스 포인트 등과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무선통신의 중개를 한다.
사운드 앰프(15)는 처리제어부(10)에서 생성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6)에 공급한다.
스피커(16)는 예를 들어 스테레오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고, 사운드 앰 프(15)에서 증폭된 음성신호에 따라서, 소정의 악곡음이나 효과음 등을 출력한다.
조작 키(17)는 휴대형 게임기(1)에 적절하게 배치된 복수의 키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소정의 지시 입력을 접수한다.
제1표시부(18) 및 제2표시부(19)는 LCD 등으로 이루어지고, LCD 컨트롤러(10e)에 의해 제어되어, 게임 화상 등을 적절하게 표시한다.
또, 제2표시부(19)는 터치 패널(20)의 접촉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조작 지시를 입력시키기 위한 지시 아이콘 등을 표시한다.
터치 패널(20)은, 제2표시부(19)의 전면에 중첩해서 배치되어, 터치 펜이나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에 의한 입력을 접수한다.
터치 패널(20)은, 예를 들어, 감압(感壓)식의 터치 센서 패널 등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압력을 검출하여, 접촉 상태, 및 접촉 상태로부터 비접촉 상태로의 이행 등을 검출한다. 또, 터치 패널(20)은, 이외에 정전용량의 변화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접촉을 검출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휴대형 게임기(1)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등을 거쳐서 인터넷에 접속가능하며, 인터넷상의 서버(웹 서버나 파일 서버 등)와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형 게임기(1)는, 무선 LAN 규격에 의해서, 근방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30)에 접속하고, 이 무선 액세스 포인트(30)로부터 모뎀(40) 또는 회선 종단 장치(50) 등을 거쳐서 인터넷(90)에 접속한다. 그리고, 게임에 있어서의 복수의 추가 데이터(일례로서, 추가 아이템, 추가 캐릭터, 추가 시나리오 및 추가 음악 등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있는 서버(60)에 액세스하여, 추가 데이터를 적절하게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각 추가 데이터에는, 다운로드 조건(필요조건)이 규정되어 있고, 휴대형 게임기(1)는, 게임의 진행 상황에 따라서, 그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 추가 데이터만을 다운로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운로드 조건으로서, 예를 들어 게임 중에 있어서의 소정의 스테이지, 필드, 던전(dungeon) 등을 클리어하고 있는 것, 게임 중에 있어서의 주인공 캐릭터의 레벨수, 경험치, 소지금 등이 규정값 이상인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것 이외에도, 다운로드 조건을 적절하게 규정할 수 있다. 즉,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소정의 정보를 다운로드 조건으로서 규정하면, 그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 휴대형 게임기(1)(게임이 그것 이상으로 진행되어 있는 휴대형 게임기(1))만이 다운로드 가능해진다.
또, 휴대형 게임기(1)는, 복수대가 통신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할 경우에,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대의 휴대형 게임기(1)가 통신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고 있으면, 한쪽이 주기기로 되고, 다른 한편이 보조기기로 되어서,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가능하다.
그리고, 주기기로 되는 휴대형 게임기(1)가, 전술한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버(60)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 완료한 경우에, 보조기기로 되는 휴대형 게임기(1)에 그 추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휴대형 게임기(1)더라도, 보조기기로 되어서, 주기기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주기기 및 보조기기의 개요 구성)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형 게임기(1)가 주기기로 될 경우 및 보조기기로 될 경우의 개요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 주기기로 되는 휴대형 게임기(1)(주기기(100))는, 전술한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환경에서, 서버(60)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 완료한 것으로 한다. 또, 보조기기로 되는 휴대형 게임기(1)(보조기기(200))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환경에 있었기 때문에,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없는 것으로 한다.
우선, 주기기(1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부(110), 처리제어부(120) 및 데이터 기억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110)는 주기기 정보 송신부(111), 보조기기 정보 수신부(112), 추가 데이터 송신부(113) 및 다운로드부(114)를 포함하고 있고, 처리제어부(120)에 의해 제어되어, 보조기기(200) 등과의 무선통신을 행한다.
주기기 정보 송신부(111)는, 처리제어부(120)(주기기 정보 생성부(121))에 의해 생성된 주기기 정보를, 보조기기(200)를 향해서 송신한다.
이 주기기 정보에는, 주기기(100)에 있어서의 게임의 명칭이나 다운로드 완료한 추가 데이터 ID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 주기기 정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보조기기 정보 수신부(112)는 보조기기(200)로부터 송신되는 보조기기 정보를 수신한다. 이 보조기기 정보에는, 보조기기(200)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 상황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보조기기 정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추가 데이터 송신부(113)는, 다운로드 완료한 추가 데이터(후술하는 데이터 기억부(130)의 추가 데이터(131)) 중, 보조기기(200)에 대해서 제공 가능하게 되는 추가 데이터를 보조기기(200)에 송신한다.
다운로드부(114)는, 주기기(100)가 인터넷에 접속한 때에, 서버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적절하게 다운로드한다.
즉, 전술한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환경에 있어서, 휴대형 게임기(1)가 서버(60)로부터 게임의 진행 상황에 따른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일례로서, 7 스테이지까지 있는 게임에 있어서, 각 스테이지를 클리어할 때마다 다른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 가능하게 하고 있을 경우에는, 서버(60)에 7종류의 추가 데이터가 준비되어 있다. 또, 각 추가 데이터에는, 대응하는 스테이지 수(클리어한 스테이지 값)가 다운로드 조건으로서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휴대형 게임기(1)에서 게임이 실행되어, 사용자가 게임 중에서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예를 들어, 인터넷에의 자동접속이 이루어지고, 다운로드부(114)는 서버(60)에 액세스하여, 클리어한 스테이지에 대응하는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또한, 보조기기(200)와 무선통신할 때에는, 이러한 다운로드를 할 수 없는 상황(옥외 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전술한 무선통신부(13)나 통신 컨트롤러(14)가 이러한 통신부(110)로서 기능할 수 있다.
처리제어부(120)는, 주기기 정보 생성부(121), 갱신부(122) 및 검색부(123)를 포함하고 있고, 주기기(100) 전체를 제어한다.
주기기 정보 생성부(121)는, 게임의 명칭이나 다운로드 완료한 추가 데이터 ID 등을 포함하는 주기기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주기기 정보 생성부(121)는, 데이터 기억부(130)에 격납하고 있는 게임 관리 정보(133)나 추가 데이터(131) 등에 의거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주기기 정보(OJ)를 생성한다.
이 주기기 정보(OJ)에는, 일례로서, 주기기 ID(MAC 어드레스 등), 게임 명(게임 ID) 및 다운로드 완료한 추가 데이터 ID가 포함되어 있다.
도 3으로 돌아가, 갱신부(122)는, 보조기기(200)와의 통신을 행하기 이전에 있어서, 다운로드부(114)가 다운로드한 추가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부(130)에 격납한다.
또, 갱신부(122)는, 추가 데이터 송신부(113)가 보조기기(200)에 대해서 추가 데이터의 송신을 행한 때에, 그 실적(후술하는 송신실적(132))을 데이터 기억부(130)에 격납(갱신)한다.
검색부(123)는, 보조기기 정보 수신부(112)가 수신한 보조기기 정보에 의거해서, 제공 가능하게 되는 추가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부(130)로부터 검색한다.
예를 들어, 검색부(123)는, 보조기기 정보에 따라서, 보조기기(200)에 있어 서의 게임의 진행 상황에 따른 추가 데이터(조건을 충족시키는 추가 데이터)를, 추가 데이터(131)로부터 검색한다.
일례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다운로드 조건으로서 스테이지 수(클리어한 스테이지의 최고치)가 추가 데이터에 규정되어 있을 경우에, 검색부(123)는, 게임의 진행 상황으로부터 클리어 완료한 스테이지 수를 얻고, 그 값에 따라서 제공가능하게 되는 추가 데이터를 검색한다.
구체적으로는, 주기기(100)에서 7 스테이지가 있는 게임이 5 스테이지까지 클리어되어,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5 스테이지까지의 추가 데이터(131a)∼(131e)가 데이터 기억부(130)에 격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수신한 보조기기 정보에 의해, 보조기기(200)가 클리어한 스테이지의 값이 1인 것으로 했을 경우, 검색부(123)는, 다운로드 조건이 스테이지 1로 규정되어 있는 추가 데이터(131a)를 검색한다.
즉, 주기기(100) 쪽이 보조기기(200)보다도 게임이 진행되어 있을 경우에는, 다운로드 완료한 추가 데이터 중, 보조기기(200)의 진행 상황에 따른 추가 데이터를 검색한다.
한편, 주기기(100)에서 게임이 3 스테이지까지 클리어되어,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3 스테이지까지의 추가 데이터(131a)∼(131c)가 데이터 기억부(130)에 격납되어 있고, 보조기기 정보에 의해 보조기기(200)가 클리어한 스테이지의 값이 5인 것으로 한 경우, 검색부(123)는 추가 데이터(131a)∼(131c)를 검색한다.
즉, 보조기기(200) 쪽이 주기기(100)보다도 진행되어 있을 경우(또는, 동등 할 경우)에는, 다운로드 완료한 추가 데이터를 모두 검색한다.
또한, 상기 도 5A 및 도 5B는 보조기기(200) 쪽에서 추가 데이터를 전혀 취득하지 않고 있을 경우의 일례이며, 보조기기(200) 쪽에서 이미 몇 개인가의 추가 데이터를 얻고 있을 경우에는, 검색부(123)는 취득 완료한 추가 데이터를 제외해서 검색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CPU 코어(10a)가 이러한 처리제어부(120)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3으로 되돌려, 데이터 기억부(130)는 추가 데이터(131), 송신실적(132) 및 게임 관리 정보(133) 등을 기억한다.
추가 데이터(131)는 다운로드부(114)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데이터이다.
구체적으로 추가 데이터(131)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더부(H)를 가지고 있고, 여기서, ID(식별 정보)(H1), 다운로드 조건(H2) 및 다운로드원 구분(H3) 등의 정보가 세트된다.
또, 다운로드 조건(H2)은, 일례로서, 클리어한 스테이지의 값이며, 다운로드원 구분(H3)은, 다운로드한 것이 서버로부터인지, 다른 휴대형 게임기로부터인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송신실적(132)은 보조기기(200)에 대해서 추가 데이터의 송신을 행한 송신실적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구체적인 송신실적(132)으로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 대상인 보조기기(200)의 수(보조기기 수)나 송신을 행한 추가 데이터의 수(총 수) 등을 들 수 있다.
게임 관리 정보(133)는 주기기(100)에서 실행된 게임에 대한 관리 정보이다.
구체적인 게임 관리 정보(133)로서,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게임명, 클리어 완료한 스테이지(필드, 던전)의 값, 플레이한 시간 수, 주인공 캐릭터의 레벨수(경험치, 소지금)를 들 수 있다.
또, 데이터 기억부(130)는, 이들 정보 이외에,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를 행한 실적을 관리하는 정보(다운로드 실적)를 기억해도 된다. 이 정보로서, 예를 들어, 다운로드 일시, 송신원의 서버명(또는 어드레스 등)이나 다운로드한 추가 데이터의 수(총 수)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RAM(12b)이 이러한 데이터 기억부(130)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보조기기(2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부(210), 처리제어부(220) 및 데이터 기억부(230)를 구비한다.
통신부(210)는, 주기기 정보 수신부(211), 보조기기 정보 송신부(212) 및 추가 데이터 수신부(213)를 포함하고 있고, 처리제어부(220)에 의해 제어되어, 주기기(100) 등과의 무선통신을 행한다.
주기기 정보 수신부(211)는 주기기(100)로부터 송신되는 주기기 정보를 수신한다. 이 주기기 정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기기(100)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 완료한 게임의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보조기기 정보 송신부(212)는 처리제어부(220)(보조기기 정보 생성부(221))에 의해 생성된 보조기기 정보를 주기기(100)에 송신한다.
이 보조기기 정보에는 보조기기(200)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 상황이 포함되어 있다.
추가 데이터 수신부(213)는 주기기(100)로부터 송신된 추가 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보조기기 정보 송신부(212)가 송신한 보조기기 정보에 응답해서, 주기기(100)의 추가 데이터 송신부(113)로부터 송신되는 추가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 보조기기(200) 쪽에도, 주기기(100)의 다운로드부(114)에 상당하는 다운로드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지만,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여기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무선통신부(13)나 통신 컨트롤러(14)가 이러한 통신부(210)로서 기능할 수 있다.
처리제어부(220)는 보조기기 정보 생성부(221)와 갱신부(222)를 포함하고 있고, 보조기기(200) 전체를 제어한다.
보조기기 정보 생성부(221)는 보조기기(200)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 상황을 포함하는 보조기기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보조기기 정보 생성부(221)는, 데이터 기억부(230)에 기억되는 게임 관리 정보(233) 등에 의거해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보조기기 정보(KJ)를 생성한다.
이 보조기기 정보(KJ)에는, 일례로서, 보조기기 ID(MAC 어드레스 등), 클리어 스테이지 수(클리어한 스테이지의 최고치) 및 취득완료 추가 데이터 ID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취득완료 추가 데이터 ID는, 이전에, 주기기(100) 등으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취득하고 있을 경우에는, 그 추가 데이터의 ID가 세트된다.
갱신부(222)는, 추가 데이터 수신부(213)가 주기기(100)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그 실적(수신 실적(232))을 데이터 기억부(230)에 격납(갱신)한다.
그리고, 전술한 CPU 코어(10a)가 이러한 처리제어부(220)로서 기능할 수 있다.
데이터 기억부(230)는 추가 데이터(231), 수신 실적(232) 및 게임 관리 정보(233) 등을 기억한다.
추가 데이터(231)는 추가 데이터 수신부(213)가 주기기(100)로부터 다운로드한 데이터이다.
이 추가 데이터(231)는 전술한 도 6A에 나타낸 추가 데이터(131)와 마찬가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수신 실적(232)은 주기기(100)로부터 추가 데이터의 수신을 행한 수신 실적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구체적인 수신 실적(232)으로서, 수신 일시, 송신원의 주기기(100)의 수(주기기 수)나 수신한 추가 데이터의 수(총 수) 등을 들 수 있다.
게임 관리 정보(233)는 보조기기(200)에서 실행된 게임에 관한 관리 정보이다.
이 게임 관리 정보(233)는 전술한 도 6C에 나타낸 게임 관리 정보(133)와 마 찬가지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RAM(12b)이 이러한 데이터 기억부(230)로서 기능할 수 있다.
(주기기 및 보조기기의 동작 개요)
도 8은 전술한 구성의 주기기(100)에 있어서 실행되는 데이터 제공 처리 및 보조기기(200)에 있어서 실행되는 데이터 수신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도면을 참조해서 주기기(100) 및 보조기기(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주기기(100)와 보조기기(200)가 상호 무선통신가능한 범위에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해서 설명한다.
우선, 주기기(100)는 게임의 명칭이나 추가 데이터 ID 등을 포함하는 주기기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301). 즉, 주기기 정보 생성부(121)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주기기 정보(OJ)를 생성한다.
주기기(100)는 생성한 주기기 정보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한다(스텝 S302). 즉, 주기기 정보 송신부(111)가 주기기 정보를 근방의 보조기기(200)를 향해서 일제히 송신한다.
그리고, 주기기(100)는 보조기기(200)로부터의 접속 요구의 유무를 판별한다(스텝 S303).
여기서, 접속 요구가 없으면(스텝 S303: 아니오), 주기기(100)는, 스텝 S302로 처리를 되돌려, 예를 들어,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다시 주기기 정보의 일제 송신을 반복한다.
이에 대해서, 보조기기(200)는 주기기(100)로부터 송신되는 주기기 정보를 수신한다(스텝 S401). 즉, 주기기 정보 수신부(211)가 주기기 정보를 수신한다.
보조기기(200)는, 수신한 주기기 정보로부터, 게임이 동일하며, 취득하고 있지 않은 추가 데이터가 있는지를 검증한다(스텝 S402). 즉, 처리제어부(220)는, 데이터 기억부(230)를 참조하여, 보조기기(200)와 주기기(100)에 의해 실행하는 게임이 동일하고, 또한, 보조기기(200)가 취득하고 있지 않은 추가 데이터를 주기기(100)가 다운로드 완료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보조기기(200)는, 미취득의 추가 데이터가 있었던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403). 여기서, 미취득의 추가 데이터가 없었던(게임이 다른 경우도 포함함) 경우에(스텝 S403: 아니오), 보조기기(200)는, 예를 들어,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스텝 S401로 처리를 되돌려, 전술한 스텝 S401∼S403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다른 주기기(100)로부터 송신될 수 있는 주기기 정보를 대기한다.
한편, 미취득의 추가 데이터가 있었다고 판별된 경우에(스텝 S403: 예), 보조기기(200)는 주기기에 접속 요구한다(스텝 S404). 즉, 통신부(210)는, 주기기(100)와의 통신 확립을 행하기 위해서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접속 요구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주기기(100)는, 보조기기(200)로부터의 접속 요구가 있었던 것으로 판별하여(스텝 S303: 예), 보조기기(200)에 보조기기 정보의 회신을 요구한다(스텝 S304).
그리고, 보조기기(200)는, 게임의 진행 상황을 포함하는 보조기기 정보를 생 성한다(스텝 S405). 즉, 보조기기 정보 생성부(221)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보조기기 정보(KJ)를 생성한다.
보조기기(200)는, 생성한 보조기기 정보를 주기기(100)에 송신한다(스텝 S406). 즉, 보조기기 정보 송신부(212)가 보조기기 정보를 주기기(100)에 회신한다.
주기기(100)는, 보조기기 정보를 수신하고, 당해 수신한 보조기기 정보 등에 의거해서, 제공가능하게 되는 추가 데이터를 검색한다(스텝 S305). 즉, 검색부(123)가, 보조기기 정보에 따라서, 보조기기(200)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 상황에 따른 추가 데이터(조건을 충족시키는 추가 데이터)를, 추가 데이터(131)로부터 검색한다.
주기기(100)는 추가 데이터가 검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306). 즉, 보조기기(200)에 제공가능한 추가 데이터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서, 추가 데이터가 없었던 것으로 판별한 경우에(스텝 S306: 아니오), 주기기(100)는, 예를 들어, 제공가능한 추가 데이터가 없다고 하는 취지의 정보를 회신 하는 등 한 후에, 데이터 제공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추가 데이터가 있었다고 판별한 경우에(스텝 S306: 예), 주기기(100)는, 그 추가 데이터를 보조기기(200)에 송신하여, 송신실적에 반영한다(스텝 S307).
즉, 추가 데이터 송신부(113)가, 제공 가능하게 되는 추가 데이터를 보조기기(200)에 송신하고, 또한 갱신부(122)가 데이터 기억부(130)의 송신실적(132)을 갱신한다.
보조기기(200)는, 전술한 스텝 S406에서 보조기기 정보를 송신한 후, 주기기(100)로부터의 송신의 유무를 판별한다(스텝 S407). 또, 제공가능한 추가 데이터가 없다는 취지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주기기(100)로부터의 송신이 없는 것으로 판별한다.
여기서, 주기기(100)로부터의 송신이 없었던 것으로 판별하면(스텝 S407: 아니오), 보조기기(200)는, 스텝 S401로 처리를 되돌려, 전술한 스텝 S401∼S407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송신이 있었던 것으로 판별한 경우(스텝 S407: 예), 보조기기(200)는 주기기(100)로부터 송신되는 추가 데이터를 수신해서 격납하는 동시에, 수신 실적에 반영한다(스텝 S408).
즉, 추가 데이터 수신부(213)가 추가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기억부(230)에 격납한다. 또, 갱신부(222)가 데이터 기억부(230)의 수신 실적(232)을 갱신한다.
이러한 데이터 제공 처리 및 데이터 수신 처리에 의해서,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한 주기기(100)로부터 보조기기(200)에, 간접적으로 추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보조기기(200)더라도,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 완료한 주기기(100)의 부근(무선통신가능한 범위)에 위치하면, 주기기(100)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그때, 보조기기(200)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 상황에 따른 추가 데이터만이 주기기(100)로부터 제공되기 때문에, 게임 메이커 등의 의도나 생각에 반하는 일없이, 또한 보조기기(200)에 있어서의 게임 진행에 모순이 생기거나, 재미가 결여되는 것으로 되어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일으키는 일없이 해결된다.
이 결과, 적정한 데이터 제공을 확보하면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기기(100)로부터 보조기기(200)로의 데이터 제공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보조기기(200) 쪽에 수신 실적(232)이 갱신되고, 주기기(100) 쪽에 송신실적(132)이 갱신될 때까지 기재를 남기고 있다.
이들 수신 실적(232) 및 송신실적(132)은 보조기기(200) 및 주기기(100)에서 적절하게 활용되게 된다.
이하, 수신 실적(232) 및 송신실적(132)의 활용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조기기(200)의 데이터 기억부(230)에서 갱신되는 수신 실적(232)에 의해, 보조기기(200)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환경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이 명확해진다.
즉, 수신 실적(232)을 참조함으로써 인터넷상의 서버로부터가 아니라, 주기기(100)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취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조기기(200)에서 게임을 할 때에,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상황으로 될 것이 예상된다.
그리고, 보조기기(200)는, 인터넷 접속을 행할 수 없는 환경에 대응한 게임 내용으로 변화시키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보조기기(200)의 처리제어부(220)는, 게임을 실행할 때에, 수신 실적(232)을 참조하여, 인터넷 접속을 행할 수 없는 환경에 있는 것으로 판별하면, 스테이지 클리어 후에 인터넷에의 접속을 행하지 않도록 해서, 배터리의 소비를 적게 한다.
그 밖에도, 추가 데이터를 얻기 어려운 것을 고려해서, 주기기(100)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얻을 때까지, 주인공 캐릭터에 가상의 장비를 부여하는 등 해서, 인터넷 접속을 행할 수 없는 환경의 사용자가 불리해지지 않도록, 게임 내용을 적절하게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주기기(100)의 처리제어부(120)도, 게임을 실행할 때에, 데이터 기억부(130)에 기억되는 다운로드 실적을 참조해서, 인터넷 접속을 행할 수 있는 환경에 있는 것으로 판별하면, 그 환경에 대응한 게임 내용으로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어, 실행되는 게임 중에서 추가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일례로서, 공략 힌트나 메시지 등)를 서버에 액세스해서 수신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주기기(100)의 데이터 기억부(130)에서 갱신되는 송신실적(132)에 의해, 서버 대신에, 어느 정도의 보조기기(200)에 어느 정도의 추가 데이터를 송신한 것인지가 명확해진다.
즉, 송신실적(132)을 참조함으로써 추가 데이터를 송신한 주기기(100)의 공헌도가 판명되게 된다.
그리고, 주기기(100)는, 송신실적(132)에 의거해서 특전으로 되는 데이터(일 례로서, 레어 데이터나 쿠폰 데이터 등)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주기기(100)의 다운로드부(114)는, 인터넷에 접속해서 서버에 액세스할 때에, 송신실적(132)을 독출해서 서버에 송신한다. 서버는, 송신실적(132)으로부터 정해지는 공헌도를 판정하여, 공헌도에 따른 레어 데이터 등을 다운로드 가능하게 준비한다. 그리고, 다운로드부(114)는 준비된 레어 데이터 등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주기기(100)와 보조기기(200)를 명확하게 나누어, 각각의 역할에 따른 기능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휴대형 게임기(1)는, 상황에 따라서, 주기기(100) 및 보조기기(200)의 어느 곳에도 적합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기기(100)로부터 추가 데이터의 송신을 받은 보조기기(200)가, 별도의 장면에서, 이번에는 주기기(100)로 되고, 다른 보조기기(200)에 대해서 자기의 추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보조기기(200) 쪽이 게임이 먼저 진행되고 있었던 등에 의해, 주기기(100)로부터 필요한 만큼의 추가 데이터의 송신을 받을 수 없었던 보조기기(200)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되면, 주기기(100)로서 서버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그리고, 마찬가지로 다른 보조기기(200)에 대해서 자기의 추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그때까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던 주기기(100)가, 예를 들어, 여행처 등에서 플레이되는 등에 의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상황인 채로 게임이 진행되었을 경우 등에, 이번에는 보조기기(200)로 되고, 근방의 주기기(100)로부터 송신되는 추가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휴대형 게임기(1)는, 주기기(100) 및 보조기기(200)의 어느 쪽인가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 어느 쪽으로도 될 수 있다. 그리고, 주기기(100)로 되어서 보조기기(200)에 추가 데이터를 송신한 실적은, 전술한 도 6B에 나타낸 송신실적으로서 관리된다. 또, 수신한(다운로드한) 추가 데이터에는, 도 6A에 나타낸 다운로드원 구분이 적절하게 세트된다. 이 때문에, 주기기(100)(휴대형 게임기(1))로부터 얻어진 것인지 혹은 서버(인터넷)로부터 얻어진 것인지가, 추가 데이터 단위로 판별가능하게 관리되게 된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2대의 휴대형 게임기(1)가 무선통신할 경우를 일례로서 설명했지만, 3대 이상의 휴대형 게임기(1) 중, 1대가 주기기(100)로 되고, 나머지가 보조기기(200)로 된 경우에도 적절하게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휴대형 게임기(1)끼리 무선통신을 행할 경우를 일례로서 설명했지만, 통신케이블을 거쳐서 행하는 유선통신의 경우에도 적절하게 적용가능하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체감형 게임을 일례로서 설명했지만, 이러한 체감형 게임에 한정되지 않고, 컨트롤러의 위치 등을 측정해서 입력에 사용하는 게임이면 적절하게 적용가능하다.
또, 본원에 대해서는,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7-083672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기초출원의 내용을 모두 본원에 원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적정한 데이터 제공을 확보하면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데이터 제공 시스템, 게임기, 데이터 제공 방법, 정보기록매체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무선통신가능한 복수의 게임기(1)로 구성되어, 각 게임기(1)가 주기기(100) 또는 보조기기(200)의 어느 것으로도 될 수 있으며, 주기기(100)로 된 게임기(1)로부터 보조기기(200)로 된 게임기(1)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주기기(100)는,
    복수 종류의 추가 데이터를 관리하는 외부장치(60)로부터, 게임의 진행 상황에 따른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드부(119);
    다운로드한 상기 추가 데이터를 기억하는 추가 데이터 기억부(130);
    상기 보조기기(200)로부터 송신되는 보조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보조기기 정보 수신부(112);
    수신한 상기 보조기기 정보에 의거해서, 제공 가능하게 되는 추가 데이터를 상기 추가 데이터 기억부(130)로부터 검색하는 검색부(123); 및
    검색한 상기 추가 데이터를 상기 보조기기(200)에 송신하는 추가 데이터 송신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기기(200)는,
    게임의 진행 상황을 포함하는 보조기기 정보를 생성하는 보조기기 정보 생성부(221);
    생성한 상기 보조기기 정보를 상기 주기기(100)에 송신하는 보조기기 정보 송신부(212);
    송신한 상기 보조기기 정보에 응답해서, 상기 주기기(100)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추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추가 데이터 수신부(213); 및
    수신한 상기 추가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기(100)의 상기 검색부(123)는, 상기 보조기기(200)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 상황에 따른 추가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주기기(100)의 상기 추가 데이터 송신부(113)는, 상기 검색부(123)에서 추가 데이터가 검색된 경우에만, 상기 추가 데이터를 상기 보조기기(200)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기(100) 및 상기 보조기기(200)는,
    취득한 추가 데이터의 송신원을 포함하는 취득 실적을 관리하는 취득 실적관리부(130, 230)와,
    관리하는 상기 취득 실적으로부터 얻어진 송신원이 상기 외부장치(60)인지 상기 주기기(100)인지에 의거해서, 게임 내용을 변화시키는 게임내용 변경부(120, 22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내용 변경부(120, 220)는, 취득 실적으로부터 얻 어진 송신원이 상기 외부장치(60)일 경우에, 인터넷 접속을 행할 수 있는 환경에 대응한 게임 내용으로 변화시키고, 송신원이 상기 주기기(100)일 경우에, 인터넷 접속을 행할 수 없는 환경에 대응한 게임 내용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기(100)는, 상기 보조기기(200)에 대해서 추가 데이터의 송신을 행한 송신실적을 관리하는 송신실적관리부(13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다운로드부(114)는, 관리하는 상기 수신실적에 의거해서, 특전으로 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공 시스템.
  6. 주기기(100) 또는 보조기기(200)의 어느 것으로도 될 수 있고, 자기가 주기기(100)로 되었을 때에, 보조기기(200)로 된 다른 게임기(1)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게임기로서,
    복수 종류의 추가 데이터를 관리하는 외부장치(60)로부터, 게임의 진행 상황에 따른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드부(114);
    다운로드한 상기 추가 데이터를 기억하는 추가 데이터 기억부(130);
    상기 보조기기(200)로부터 송신되는 보조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보조기기 정보 수신부(112);
    수신한 상기 보조기기 정보에 의거해서, 제공 가능하게 되는 추가 데이터를 상기 추가 데이터 기억부(130)로부터 검색하는 검색부(123); 및
    검색한 상기 추가 데이터를 상기 보조기기(200)에 송신하는 추가 데이터 송신부(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7. 제6항에 있어서, 자기가 보조기기(200)로 되었을 때에,
    게임의 진행 상황을 포함하는 보조기기 정보를 생성하는 보조기기 정보 생성부(221);
    생성한 상기 보조기기 정보를 상기 주기기에 송신하는 보조기기 정보 송신부(212);
    송신한 상기 보조기기 정보에 응답해서, 상기 주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추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추가 데이터 수신부(213); 및
    수신한 상기 추가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부(23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8. 무선통신가능한 복수의 게임기(1)로 구성되어, 각 게임기(1)가 주기기(100) 또는 보조기기(200)의 어느 것으로도 될 수 있으며, 주기기(100)로 된 게임기(1)로부터 보조기기(200)로 된 게임기(1)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주기기(100)가 행하는, 복수 종류의 추가 데이터를 관리하는 외부장치(60)로부터, 게임의 진행 상황에 따른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드 스텝;
    상기 주기기(100)가 행하는, 다운로드한 상기 추가 데이터를 소정의 기억부(130)에 격납하는 추가 데이터 격납 스텝;
    상기 보조기기(200)가 행하는, 게임의 진행 상황을 포함하는 보조기기 정보를 생성하는 보조기기 정보 생성 스텝;
    상기 보조기기(200)가 행하는, 생성한 상기 보조기기 정보를 상기 주기기(100)에 송신하는 보조기기 정보 송신 스텝;
    상기 주기기(100)가 행하는, 상기 보조기기(200)로부터 송신되는 보조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보조기기 정보 수신 스텝;
    상기 주기기(100)가 행하는, 수신한 상기 보조기기 정보에 의거해서, 제공가능하게 되는 추가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130)로부터 검색하는 검색 스텝;
    상기 주기기(100)가 행하는, 검색한 상기 추가 데이터를 상기 보조기기(200)에 송신하는 추가 데이터 송신 스텝; 및
    상기 보조기기(200)가 행하는, 상기 주기기(100)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추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추가 데이터 수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공 방법.
  9. 주기기(100) 또는 보조기기(200)의 어느 것으로도 될 수 있고, 자기가 주기기(100)로 되었을 때에, 보조기기(200)로 된 다른 게임기(1)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컴퓨터를,
    복수 종류의 추가 데이터를 관리하는 외부장치(60)로부터, 게임의 진행 상황 에 따른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드부(114);
    다운로드한 상기 추가 데이터를 기억하는 추가 데이터 기억부(130);
    상기 보조기기(200)로부터 송신되는 보조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보조기기 정보 수신부(112);
    수신한 상기 보조기기 정보에 의거해서, 제공 가능하게 되는 추가 데이터를 상기 추가 데이터 기억부(130)로부터 검색하는 검색부(123); 및
    검색한 상기 추가 데이터를 상기 보조기기(200)에 송신하는 추가 데이터 송신부(130)
    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정보기록 매체.
  10. 주기기(100) 또는 보조기기(200)의 어느 것으로도 될 수 있고, 자기가 주기기(100)로 되었을 때에, 보조기기(200)로 된 다른 게임기(1)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컴퓨터를,
    복수 종류의 추가 데이터를 관리하는 외부장치(60)로부터, 게임의 진행상황에 따른 추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드부(114);
    다운로드한 상기 추가 데이터를 기억하는 추가 데이터 기억부(130);
    상기 보조기기(200)로부터 송신되는 보조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보조기기 정보 수신부(112);
    수신한 상기 보조기기 정보에 의거해서, 제공 가능하게 되는 추가 데이터를 상기 추가 데이터 기억부(130)로부터 검색하는 검색부(123); 및
    검색한 상기 추가 데이터를 상기 보조기기(200)에 송신하는 추가 데이터 송신부(130)
    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97018882A 2007-03-28 2008-03-24 데이터 제공 시스템, 게임기,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정보기록매체 KR101195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83672A JP4358253B2 (ja) 2007-03-28 2007-03-28 データ提供システム、ゲーム機、データ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07-083672 2007-03-28
PCT/JP2008/055429 WO2008123192A1 (ja) 2007-03-28 2008-03-24 データ提供システム、ゲーム機、データ提供方法、情報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765A true KR20090125765A (ko) 2009-12-07
KR101195763B1 KR101195763B1 (ko) 2012-11-05

Family

ID=39830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8882A KR101195763B1 (ko) 2007-03-28 2008-03-24 데이터 제공 시스템, 게임기,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정보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075759A1 (ko)
EP (1) EP2133127A4 (ko)
JP (1) JP4358253B2 (ko)
KR (1) KR101195763B1 (ko)
CN (1) CN101641142A (ko)
TW (1) TW200843823A (ko)
WO (1) WO20081231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8153B2 (ja) * 2008-10-10 2013-12-04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5242711B2 (ja) 2011-01-26 2013-07-24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5959810B2 (ja) * 2011-07-13 2016-08-02 株式会社三共 携帯端末
JP2013058076A (ja) * 2011-09-08 2013-03-2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US9999832B2 (en) * 2012-04-19 2018-06-19 Nintendo Co., Ltd. Game system,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game processing method and game apparatus
JP6647855B2 (ja) * 2015-12-22 2020-02-14 任天堂株式会社 データ交換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データ交換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交換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6161B2 (ja) * 1996-12-05 2007-08-08 株式会社セガ 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制御装置、ゲーム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H11188180A (ja) * 1997-04-07 1999-07-13 Snk:Kk ゲームシステム
JP2000157724A (ja) * 1998-11-24 2000-06-13 Sega Enterp Ltd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ゲーム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に接続可能なゲーム機及びこのゲーム機のため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媒体
JP2000279645A (ja) * 1999-01-29 2000-10-10 Namco Ltd ゲーム機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2002052251A (ja) 2000-08-09 2002-02-19 Konami Co Ltd データ書き込み方法、記録媒体、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4610726B2 (ja) 2000-12-13 2011-01-12 任天堂株式会社 通信連動ゲームシステム
JP2002200359A (ja) * 2000-12-27 2002-07-16 Pioneer Electronic Corp ネットワークゲーム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ゲームの提供方法
JP3702283B2 (ja) * 2003-12-26 2005-10-05 株式会社バンダイ 通信ゲーム装置
JP3888558B2 (ja) * 2004-11-18 2007-03-07 任天堂株式会社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JP5078238B2 (ja) 2005-06-15 2012-11-21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JP4889080B2 (ja) 2005-07-13 2012-02-29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ゲーム機および通信ゲームシステム
JP4889081B2 (ja) * 2005-07-13 2012-02-29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ゲーム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4706414B2 (ja) 2005-09-26 2011-06-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337301B2 (en) * 2006-11-10 2012-12-25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td Casino game download system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43823A (en) 2008-11-16
US20100075759A1 (en) 2010-03-25
CN101641142A (zh) 2010-02-03
KR101195763B1 (ko) 2012-11-05
WO2008123192A1 (ja) 2008-10-16
EP2133127A4 (en) 2010-07-14
JP4358253B2 (ja) 2009-11-04
JP2008237648A (ja) 2008-10-09
EP2133127A1 (en)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763B1 (ko) 데이터 제공 시스템, 게임기,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정보기록매체
US6986712B1 (en) Score management system, score management server, and data recording medium
JP5580854B2 (ja)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CN104379224A (zh) 服务器系统
US20080320041A1 (en) Adding virtual features via real world accessories
US20120252582A1 (en) Metagame Translation
AU201220322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er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400311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gaming elements between peer devices
KR101920293B1 (ko)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푸시하기 위한 방법 그리고 관련 장치 및 시스템
EP1310068A2 (en)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program production means
JP2009119146A (ja) サーバシステム、ゲーム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WO2020086666A1 (en) Cross-platform consumption of in-game objects
CN103647755A (zh) 一种广告播放方法、服务器、客户端及系统
JP6046893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47850B1 (ko) 실시간 대전 게임을 위한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1374576B (zh) 游戏系统和游戏系统控制方法
KR101289720B1 (ko) 온라인 게임 통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355442B1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게임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게임 서비스 방법
KR20130083023A (ko) 복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US20070207859A1 (en) Method for providing online game which changes pilot data and unit data in gear and system thereof
KR20050118103A (ko) 게임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게임 진행 방법
JP6176864B2 (ja) ゲーム制御装置、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JP5860510B2 (ja) ゲーム制御装置、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JP3451255B1 (ja) ネットワークゲームシステム、ポイント管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6815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