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5205A -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 Google Patents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5205A
KR20090125205A KR1020097022433A KR20097022433A KR20090125205A KR 20090125205 A KR20090125205 A KR 20090125205A KR 1020097022433 A KR1020097022433 A KR 1020097022433A KR 20097022433 A KR20097022433 A KR 20097022433A KR 20090125205 A KR20090125205 A KR 20090125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layer
electric double
carbonate
electrolyte solution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6513B1 (ko
Inventor
히로아키 시마
쇼지 히케타
요시노부 아베
아키히로 나베시마
타이지 나카가와
마사토시 우에타니
Original Assignee
오츠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5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8Liqu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8Liquid electrolytes
    • H01G11/60Liqu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8Liquid electrolytes
    • H01G11/62Liqu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solute, e.g. salts, anions or cations there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8Liquid electrolytes
    • H01G11/64Liqu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addi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와 (b)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캐퍼시터용 전해액에 관한 것이다.
(a)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b)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 이외의 쇄상 카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환상 카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혼합 용매
<화학식 1>
Figure 112009065660242-PCT00005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메틸기, 에틸기, 메톡시메틸기, 에톡시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로 환 구조를 구성하고 있을 수도 있음)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 쇄상 카르보네이트, 환상 카르보네이트

Description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ELECTROLYTE SOLUTION FOR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본 발명은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에 관한 것이다.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으로서, 고체상 전해질을 용매에 용해시킨 비수전해액이 알려져 있지만, 전해액의 전기 전도성은 전해질의 농도와 함께 변화한다. 농도의 상승과 함께 전해액 내의 이온 농도가 증가함으로써 전기 전도도가 증가하지만 이윽고 극대점에 달한다. 전기 전도도가 극대점에 달하여 감소하기 시작하는 것은 전해액 내에 이온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서, 용매-이온, 이온-이온 사이의 상호 작용의 증대에 의해서 전해질이 해리되기 어려워지고, 동시에 전해액의 점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전해질 농도가 더욱 증가하면 그 이상 해리할 수 없게 되어, 전해질 농도가 포화된다. 따라서 전해질 농도를 높이려고 한 경우에는 전해질이 용해되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농도의 전해질을 용해시킨 전해액을 저온 환경하에서 사용하면 염의 석출이 생겨, 전해액의 전기 전도성이 나빠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도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다양한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전기 전도율이 높은 전해액을 얻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특허 문헌 1에 따르면, 분극성 전극과 전해액과의 계면에서 형성되는 전기 이중층을 이용하는 컨덴서에 이용되는 전해액에 있어서, 전해액을 쇄상 카르보네이트와 에틸렌카르보네이트와의 혼합 용매에 용질의 트리에틸메틸암모늄염이 용해된 것을 포함하는 전기 이중층 컨덴서용 전해액으로 함으로써, 용질의 트리에틸메틸암모늄염의 이온 해리도를 너무 저하시키지 않고, 이온 이동도가 향상되어 전기 전도율이 높은 전해액이 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따르면, 분극성 전극과 전해액과의 계면에서 형성되는 전기 이중층을 이용하는 컨덴서에 이용되는 전해액에 있어서, (a) 디메틸카르보네이트 10 내지 80 중량%와 (b)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 90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는 비수계 용매에, 용질의 트리에틸메틸암모늄염이 용해되어 이루어지는 전기 이중층 컨덴서용 전해액으로 함으로써, 용질의 트리에틸메틸암모늄염의 이온 해리도를 너무 저하시키지 않고, 이온 이동도가 향상되어 전기 전도율이 높은 전해액이 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따르면, 디메틸카르보네이트, 에틸렌카르보네이트 및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의 혼합 용매 중에, 스피로-(1,1')-비피롤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등의 테트라플루오로붕산 제4급 스피로암모늄이 전해질로서 함유됨으로써, 점성율이 낮고, 우수한 저온 특성, 즉 저온 영역에서도 전해액이 응고되지 않고, 혼합 용매의 비유전율이 높고, 낮은 온도 범위에서 높은 전도도를 나타내고, 또한 장기간 신뢰성이 우수한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과, 상기 전해액을 이용하여 제작되어 이루어지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에 따르면, 피롤리딘 골격과 N,O-아세탈 골격 구조를 분자 내에 갖는 제4급 암모늄염을 전해질로서 사용함으로써, 전기 전도성, 내전압이 높은 전해액이 얻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온(25 ℃)에서의 전기 전도율은 높지만, -30 ℃ 이하의 저온에서는 아직 충분하지 않고, 이러한 저온이라도 전기 전도도가 높은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이 요망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특허 제3440607호
[특허 문헌 2] 특허 제3156546호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2006-351915호 공보
[특허 문헌 4] WO2005/003108
본 발명의 목적은 -30 내지 -40 ℃의 저온이라도 점도가 낮고, 전기 전도도가 높은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및 그것을 이용한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에 관한 것이다.
1. (a)와 (b)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a)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b)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 이외의 쇄상 카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환상 카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혼합 용매
Figure 112009065660242-PCT00001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메틸기, 에틸기, 메톡시메틸기, 에톡시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로 환 구조를 구성하고 있을 수도 있음)
2. 상기 1에 있어서, 쇄상 카르보네이트가 디메틸카르보네이트인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3. 상기 1에 있어서, 환상 카르보네이트가 에틸렌카르보네이트인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4. 상기 1에 있어서, 쇄상 카르보네이트가 디메틸카르보네이트이고, 환상 카르보네이트가 에틸렌카르보네이트인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25 ℃에서 액체인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을 이용한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본 발명의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은 (a)와 (b)를 함유하는 전기 이 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이다.
(a)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b)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 쇄상 카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환상 카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혼합 용매
<화학식 1>
Figure 112009065660242-PCT00002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메틸기, 에틸기, 메톡시메틸기, 에톡시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로 환 구조를 구성하고 있을 수도 있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의 R1 및 R2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메톡시메틸기, 에톡시메틸기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R1 및 R2로 구성되는 환 구조로서는 피롤리딘환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은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N-에틸-N-메틸피롤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N,N-디에틸피롤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N-메틸-N-메톡시메틸피롤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N-에틸-N-메톡시메틸피롤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N-메틸-N-에톡시메틸피롤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N-에틸-N-에톡시메틸피롤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스피로-(1,1')-비피롤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25 ℃에서 액체인 화합물은 N-메틸-N-메톡시메틸피롤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N-메틸-N-에톡시메틸피롤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N-에틸-N-에톡시메틸피롤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쇄상 카르보네이트로서는 디메틸카르보네이트, 메틸n-프로필카르보네이트, 메틸이소프로필카르보네이트, n-부틸메틸카르보네이트, 디에틸카르보네이트, 에틸n-프로필카르보네이트, 에틸이소프로필카르보네이트, 플루오로디메틸카르보네이트, 디플루오로디메틸카르보네이트, 트리플루오로디메틸카르보네이트, 테트라플루오로디메틸카르보네이트, 플루오로디메틸카르보네이트, 플루오로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 디플루오로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 트리플루오로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프로피온산메틸, 플루오로아세트산메틸, 디플루오로아세트산메틸,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메틸, 플루오로아세트산에틸, 디플루오로아세트산에틸,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틸, 플루오로프로피온산메틸, 디플루오로프로피온산메틸, 트리플루오로프로피온산메틸을 예로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메틸카르보네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환상 카르보네이트로서는 에틸렌카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 부틸렌카르보네이트, 4-플루오로-1,3-디옥솔란-2-온, 4-(트리플루오로메틸)-1,3-디옥솔란-2-온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카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혼합 용매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 디메틸카르보네이트 및 에틸렌카르보네이트의 3종 혼합 용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해액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은 전해액에 있어서, 1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해액에 있어서, 3종 혼합 용매의 함유량은 전해액에 있어서, 4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3종 혼합 용매에 있어서,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의 함유량은 5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3종 혼합 용매에 있어서, 쇄상 카르보네이트의 함유량은 2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중량%일 수 있다.
3종 혼합 용매에 있어서, 환상 카르보네이트의 함유량은 1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 중량%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작업을 행하는 환경으로서는 수분이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기가 혼입되지 않는 환경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르곤이나 질소 등의 불활성 분위기의 글로브 박스(glove box) 내에서 제조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 환경의 수분은 노점계로 관리할 수 있고, -60 ℃ 이하인 것이 바 람직하다. -60 ℃를 넘으면,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 전해액이 분위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전해액 내의 수분이 상승하여 버린다. 전해액 내의 수분은 칼피셔(Karl Fischer)계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은 -30 내지 -40 ℃의 저온이라도 점도를 낮게 할 수 있고,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을 이용한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는 -30 내지 -40 ℃의 저온이라도 내부 저항을 낮게 할 수 있고,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얻어지는 본 발명의 전해액을 이용하여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를 바람직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일례로서는, 예를 들면 라미네이트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형상은 라미네이트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캔체 내에 전극을 적층하여 수납되어 이루어지는 적층형, 권회하여 수납되어 이루어지는 권회형, 또는 절연성의 가스켓(gasket)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된 금속제 캔을 포함하는 코인형으로 불리는 것일 수도 있다. 이하, 일례로서 라미네이트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라미네이트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극 (3)과 알루미늄 탭 (1)이 접착되어 있고, 세퍼레이터 (4)를 통해 대향 배치되어, 라미네이트 (2)에 수납되어 있다. 전극은 활성탄 등의 탄소 재료를 포함하는 분극성 전극 부분과, 집전체 부분을 포함한다. 라미네이트용 기체 (2)는 열 압착에 의해 밀봉되어, 용기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공기가 침입하지 않게 되어 있다.
분극성 전극 재료는 비표면적이 크고, 전기 전도성이 높은 재료인 것이 바람 직하고, 또한 사용하는 인가 전압의 범위 내에서 전해액에 대하여 전기 화학적으로 안정된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 재료, 금속 산화물 재료, 도전성 고분자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비용을 고려하면, 분극성 전극 재료는 탄소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재료로서는 활성탄 재료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톱밥 활성탄, 야시가라 활성탄, 피치ㆍ코크스(pich cokes)계 활성탄, 페놀 수지계 활성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활성탄, 셀룰로오스계 활성탄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산화물계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루테늄, 산화망간, 산화코발트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성 고분자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닐린막, 폴리피롤막, 폴리티오펜막,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막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전극은 상기 분극성 전극 재료를 결착제와 함께 가압 성형하거나, 또는 상기 분극성 전극 재료를 결착제와 함께 피롤리돈 등의 유기 용제에 혼합하여, 페이스트형으로 한 것을 알루미늄박 등 집전체에 도공 후, 건조하여 얻을 수 있다.
세퍼레이터로서는 전자 절연성이 높고, 전해액의 습윤성이 우수하여 이온 투과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인가 전압 범위 내에 있어서 전기 화학적으로 안정될 필요가 있다. 세퍼레이터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레이온이나 마닐라삼 등을 포함하는 초지; 폴리올레핀계 다공질 필름; 폴리에틸렌 부직포;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 다.
도 2는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를 나타내는 내부 구성도이다.
1 알루미늄 탭, 2 라미네이트, 3 전극, 4 세퍼레이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참고예, 실시예,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조금도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조금도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EMC), 에틸렌카르보네이트(EC), 디메틸카르보네이트(DMC),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PC)는 키시다 가가꾸사 제조의 리튬 배터리 등급품을 이용하였다.
(전극의 제조)
분극성 전극으로서, 활성탄 분말 80 중량%와 아세틸렌 블랙 10 중량부%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분말 10 중량부%를 롤로 혼련, 압연하여 두께 0.1 mm의 시트를 제조하고 0.03 mm의 식각된 알루미늄에 카본 페이스트 등의 도전성 페이스트로 접착하여, 전극 시트로 하였다. 이 시트를 금형으로 꿰뚫어 라미네이트형 전극을 제조하였다.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의 제조)
라미네이트형 전극, 셀룰로오스형 세퍼레이터, 먼저 제조한 전해액을 이용하 여, 정격 전압 2.5 V, 정전 용량 18 F의 라미네이트형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를 제조하였다.
(평가 방법)
25 ℃ 또는 -30 ℃로 설정된 항온조 내에서, 2.5 V의 정전압 충전을 24시간 행하고 0.0 V까지 방전하여 에이징 처리를 하였다. 그 후, 소정의 온도에서 수시간 정치하고, 재차 2.5 V의 정전압 충전을 30분간 행하여, 2.0 mA/㎠로 소정 전압까지 방전을 행하였다. 그의 전압 경사에 의해 정전 용량 및 내부 저항을 구하였다.
전기 전도도의 측정에는 라디오미터(Radiometer)사 제조 전기 전도도 미터를 사용하였다. 측정셀에는 라디오미터사 제조 CDC641T를 사용하였다. 전기 전도도는 측정셀 및 전해액을 넣은 용기를 온수욕(25 ℃) 또는 냉매(-30 ℃)에 침지시켜, 수치가 안정된 후의 값을 측정치로 하였다. 점도의 측정에는 CBC 머테리얼즈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비스코메이트(VISCOMATE) 점도계 VM-16-L을 사용하였다. 점도는 측정셀 및 전해액을 넣은 용기를 온수욕(25 ℃) 또는 냉매(-30 ℃)에 침지시켜, 수치가 안정된 후의 값을 추가로 전해액의 밀도로 나눈 값을 측정치로 하였다.
실시예 1
스피로-(1,1')-비피롤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SBPㆍBF4)(오오쓰카 가가꾸사 제조) 24 중량부, 에틸렌카르보네이트(EC) 24 중량부,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EMC) 23 중량부, 및 디메틸카르보네이트(DMC) 29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여 전 해액을 얻었다.
배합은 노점이 -60 ℃ 이하의 질소 분위기 드라이 박스 내에서 행하고, 용액의 수분을 칼피셔 수분계(히라누마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히라누마 미량 수분 측정 장치 AQ-7)로 측정하여, 30 ppm 이하인 것을 확인하였다.
각종 전해액의 전기 전도도, 점도,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에 있어서의 용량과 저항의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N-메톡시메틸-N-메틸피롤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MMMPㆍBF4)(오오쓰카 가가꾸사 제조) 25 중량부, 에틸렌카르보네이트(EC) 25 중량부,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EMC) 25 중량부, 및 디메틸카르보네이트(DMC) 25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해액을 얻었다.
각종 전해액의 전기 전도도, 점도,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에 있어서의 용량과 저항의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
N-메톡시메틸-N-메틸피롤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상기와 동일) 25 중량부, 에틸렌카르보네이트(EC) 30 중량부,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EMC) 25 중량부, 및 디메틸카르보네이트(DMC) 2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해액을 얻었다.
각종 전해액의 전기 전도도, 점도,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에 있어서의 용량과 저항의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4
N-메톡시메틸-N-메틸피롤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상기와 동일) 24 중량부, 에틸렌카르보네이트(EC) 24 중량부,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EMC) 23 중량부, 및 디메틸카르보네이트(DMC) 29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해액을 얻었다.
각종 전해액의 전기 전도도, 점도,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에 있어서의 용량과 저항의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5
N-메톡시메틸-N-메틸피롤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상기와 동일) 30 중량부, 에틸렌카르보네이트(EC)(상기와 동일) 30 중량부,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EMC)(상기와 동일) 15 중량부, 및 디메틸카르보네이트(DMC)(상기와 동일) 25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여 전해액을 얻었다.
각종 전해액의 전기 전도도, 점도,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에 있어서의 용량과 저항의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스피로-(1,1')-비피롤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상기와 동일) 24 중량부, 에틸렌카르보네이트(EC) 24 중량부,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PC) 29 중량부, 및 디메틸카르보네이트(DMC) 23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해액을 얻었다.
각종 전해액의 전기 전도도, 점도,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에 있어서의 용량과 저항의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2
N-메톡시메틸-N-메틸피롤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상기와 동일) 25 중량부, 에틸렌카르보네이트(EC) 25 중량부,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PC) 25 중량부, 및 디메틸카르보네이트(DMC) 25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전해액을 얻었다.
각종 전해액의 전기 전도도, 점도,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에 있어서의 용량과 저항의 측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9065660242-PCT00003
본 발명의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은 -30 내지 -40 ℃의 저온이라도 점도를 낮게 할 수 있고,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을 이용한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는 -30 내지 -40 ℃ 의 저온이라도 내부 저항을 낮게 할 수 있고,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a)와 (b)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a)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b)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 이외의 쇄상 카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환상 카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혼합 용매
    <화학식 1>
    Figure 112009065660242-PCT00004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고 메틸기, 에틸기, 메톡시메틸기, 에톡시메틸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로 환 구조를 구성하고 있을 수도 있음)
  2. 제1항에 있어서, 쇄상 카르보네이트가 디메틸카르보네이트인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3. 제1항에 있어서, 환상 카르보네이트가 에틸렌카르보네이트인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4. 제1항에 있어서, 쇄상 카르보네이트가 디메틸카르보네이트이고, 환상 카르보네이트가 에틸렌카르보네이트인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25 ℃에서 액체인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을 이용한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KR1020097022433A 2007-03-28 2008-03-26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KR101076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83395 2007-03-28
JPJP-P-2007-083395 2007-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205A true KR20090125205A (ko) 2009-12-03
KR101076513B1 KR101076513B1 (ko) 2011-10-24

Family

ID=39831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433A KR101076513B1 (ko) 2007-03-28 2008-03-26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118469A1 (ko)
JP (1) JPWO2008123529A1 (ko)
KR (1) KR101076513B1 (ko)
CN (2) CN101663720A (ko)
WO (1) WO20081235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3296B2 (ja) * 2008-11-04 2014-04-16 大塚化学株式会社 第4級アンモニウム塩
WO2012117794A1 (ja) 2011-02-28 2012-09-07 Jmエナジー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JP5650029B2 (ja) * 2011-03-28 2015-01-07 Jmエナジー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JP5921897B2 (ja) * 2011-02-28 2016-05-24 Jmエナジー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JP5948646B2 (ja) * 2011-06-15 2016-07-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用非水溶媒および非水電解液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蓄電デバイス、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5785014B2 (ja) * 2011-07-22 2015-09-24 旭化成株式会社 非水系リチウム型蓄電素子
CN104319109A (zh) * 2014-10-29 2015-01-28 江苏国泰超威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双层电容器用电解液及双层电容器
JP6449732B2 (ja) 2015-07-06 2019-01-09 太陽誘電株式会社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6576346B2 (ja) * 2016-03-31 2019-09-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キャパシタ及びキャパシタ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972B1 (ko) * 2001-03-26 2008-04-22 닛신보세키 가부시키 가이샤 이온성 액체, 축전 디바이스용 전해질염, 축전 디바이스용전해액, 전기 2중층 캐패시터, 및 2차 전지
JP4298246B2 (ja) * 2002-09-20 2009-07-15 日清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WO2005003108A1 (ja) * 2003-07-01 2005-01-13 Otsuka Chemical Co., Ltd. 第4級アンモニウム塩および電解質並びに電気化学デバイス
JP3996588B2 (ja) * 2004-03-30 2007-10-24 株式会社パワーシステム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KR100578158B1 (ko) * 2004-12-23 2006-05-10 비나텍주식회사 전기이중층 캐패시터
CN102731435B (zh) * 2005-01-12 2015-04-01 大塚化学株式会社 季铵盐、电解质、电解液以及电化学装置
JP2006286926A (ja) * 2005-03-31 2006-10-19 Fuji Heavy Ind Ltd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JP2006332627A (ja) * 2005-04-25 2006-12-07 Power System:Kk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正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60238958A1 (en) * 2005-04-25 2006-10-26 Power Systems Co., Ltd. Positive electrode for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7638243B2 (en) * 2006-03-22 2009-12-29 Novolyte Technologies Inc. Stabilized nonaqueous electrolytes for rechargeable batteries
US20080137265A1 (en) * 2006-12-12 2008-06-12 Venkateswaran Sagar N High voltage non-toxic electrolytes for ultracapac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23529A1 (ja) 2008-10-16
CN101663720A (zh) 2010-03-03
CN103794381A (zh) 2014-05-14
JPWO2008123529A1 (ja) 2010-07-15
US20100118469A1 (en) 2010-05-13
KR101076513B1 (ko) 201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513B1 (ko)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용 전해액
JP4802243B2 (ja) 電解液用添加剤及び電解液
KR100900132B1 (ko) 제4급 암모늄염, 전해질, 전해액 및 전기 화학 디바이스
KR100953999B1 (ko) 전해액
KR100869291B1 (ko) 전해질 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초고용량 커패시터
JP2012074541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電解液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
EP2511923A1 (e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US20040218347A1 (en) Flame-retardant electrolyte solution for electrochemical double-layer capacitors
JP6966276B2 (ja) 電気化学デバイス用電解液および電気化学デバイス
EP2833383B1 (en) Electrolyte solution for capacitors,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nd lithium ion capacitor
JP5063172B2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電解液
JP5430464B2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電解液およ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5473296B2 (ja) 第4級アンモニウム塩
JP2008091823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電解液及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WO2015069853A1 (en) Improvements for capacitors having conditioned carbon for electrodes
JP2019169564A (ja)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
JP4798609B2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電解液及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6314409B2 (ja) 電解液、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
JP5296637B2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電解液及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KR101583525B1 (ko) 슈퍼캐패시터용 전해액 및 이를 함유한 슈퍼캐패시터
JP7007830B2 (ja) 電解液用溶媒
JP2009218398A (ja) 電解液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
JP5305343B2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電解液及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2003324039A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用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KR101101695B1 (ko) 리튬 이온 커패시터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