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4996A - 제균 시스템 및 공기 조화 제균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균 시스템 및 공기 조화 제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4996A
KR20090124996A KR1020090047420A KR20090047420A KR20090124996A KR 20090124996 A KR20090124996 A KR 20090124996A KR 1020090047420 A KR1020090047420 A KR 1020090047420A KR 20090047420 A KR20090047420 A KR 20090047420A KR 20090124996 A KR20090124996 A KR 20090124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as
liquid contact
wat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쯔요시 라꾸마
쥰이찌 사이또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4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3Use of electrochemically treated water, e.g. electrolysed water or water treated by electrical dischar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대공간에 공급되는 공기를 간단한 구성으로 제균할 수 있는 제균 시스템 및 공기 조화 제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대공간으로서의 영화관(100)에 개방된 복수의 분출구(104)에 급기 덕트(105)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급기 덕트(105)를 통하여 각 분출구(104)에 조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조화기(110)를 설치하고, 이 공기 조화기(110)로부터 복수의 분출구(104)를 향하는 송풍로에 제균실(120)을 설치하고, 이 제균실(120) 내에 조화 공기와 전해수를 접촉시켜 상기 조화 공기를 제균하는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를 갖는 공기 제균부(4)를 설치하고,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에 각각 전해수를 공급하는 전해수 공급관(56)에 송수 펌프(53)를 통하여 접속되는 저수 탱크(51)를 설치하는 동시에,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 유닛(52)을 설치하고, 송수 펌프(53)에 의해 퍼내어져, 전해수 공급관(56)을 통하여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에 공급되는 저수 탱크(51) 내의 전해수의 일부를 전해 유닛(52)으로 유도하고, 전해 유닛(52)에서 전해수를 생성하여 저수 탱크(51) 내로 복귀시키는 기구를 구비한다.
열원측 유닛, 이용측 유닛, 공기 제균부, 전해수 순환 공급부, 압축기

Description

제균 시스템 및 공기 조화 제균 시스템 {STERILIZATION SYSTEM AND AIR CONDITIONING STERILIZATION SYSTEM}
본 발명은, 대공간에 공급되는 공기를 제균하는 제균 시스템 및 공기 조화 제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예를 들어 빌딩의 옥상에 배치되고, 상기 빌딩 내의 대공간에 개방된 복수의 분출구에 급기 덕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루프탑(roof top)형의 공기 조화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종류의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및 열원측 열 교환기를 갖는 열원측 유닛과, 송풍기 및 이용측 열 교환기를 갖는 이용측 유닛을 일체로 구비하고, 이 이용측 유닛에서 열 교환한 조화 공기를 상기 급기 덕트를 통하여 각 분출구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74414호 공보
그런데, 루프탑형의 공기 조화기는, 예를 들어 극장, 영화관, 병원 또는, 쇼핑 센터 등, 불특정 다수가 장시간 체류하는 대공간 시설에 설치되므로, 이 대공간에 청정화(제균)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급기 덕트를 통하여 각 분출구에 대량의 공기가 공급되므로, 이들 분출구를 통하여 대공간에 공급되는 대량의 공기를 제균하는 것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공간에 공급되는 공기를 간단한 구성으로 제균할 수 있는 제균 시스템 및 공기 조화 제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나의 대공간에 개방된 복수의 분출구에 급기 덕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챔버를 설치하고, 상기 챔버 내에 공기와 전해수를 접촉시켜 상기 공기를 제균하는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를 갖는 공기 제균부를 설치하고, 상기 공기 제균부의 각 기액 접촉 부재에 각각 상기 전해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에 송수 펌프를 통하여 접속되는 수조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 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송수 펌프에 의해 퍼내어져, 상기 공급관을 통하여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에 공급되는 수조 내의 전해수의 일부를 상기 전해 유닛으로 유도하고, 당해 전해 유닛에서 전해수를 생성하여 상기 수조 내로 복귀시키는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대공간에 개방된 복수의 분출구에 급기 덕트를 통하여 접 속되는 챔버를 설치하고, 상기 챔버 내에 공기와 전해수를 접촉시켜 상기 공기를 제균하는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를 갖는 공기 제균부를 설치함으로 인해, 이 공기 제균부의 각 기액 접촉 부재에서 제균된 공기가 급기 덕트를 통하여 분출구에 공급되고, 당해 제균된 공기를 분출구를 통하여 대공간 내에 넓게 퍼지게 할 수 있고, 당해 대공간에 공급되는 공기를 간단한 구성으로 제균할 수 있다. 또한, 챔버 내에 공기 제균부가 집중적으로 설치되므로, 이 공기 제균부의 기액 접촉 부재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제균부의 각 기액 접촉 부재에 각각 상기 전해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에 송수 펌프를 통하여 접속되는 수조를 설치하는 동시에,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 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송수 펌프에 의해 퍼내어져, 상기 공급관을 통하여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에 공급되는 수조 내의 전해수의 일부를 상기 전해 유닛으로 유도하고, 상기 전해 유닛에서 전해수를 생성하여 상기 수조 내로 복귀시키는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당해 수조 내의 전해수 농도의 변화 폭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안정된 농도의 전해수를 공기 제균부의 각 기액 접촉 부재에 공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기액 접촉 부재에서의 공기의 제균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분출구를 통하여 대공간에 공급되는 대량의 공기를 한결같이 제균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의 송풍로의 대략 전면을 덮고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를 배열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챔버 내의 송풍로를 통과하는 공기는, 당해 송풍로의 대략 전면을 덮어 배열되는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에 의해 한결같이 제균되므로, 분출구를 통하여 대공간에 공급되는 대량의 조화 공기를 한결같이 제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액 접촉 부재가 상하로 배열되고, 송풍로의 하방 영역을 덮는 기액 접촉 부재를, 상방 영역을 덮는 기액 접촉 부재보다도 상기 송풍로의 상류측에 어긋나게 배열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기액 접촉 부재가 상하로 배열되고, 송풍로의 하방 영역을 덮는 기액 접촉 부재를, 상방 영역을 덮는 기액 접촉 부재보다도 상기 송풍로의 상류측에 어긋나게 배열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들의 구성에 의하면, 송풍로의 개구 면적보다도 총 면적이 넓은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를, 송풍로에 정리되기 쉽게 배열할 수 있고, 송풍로에 배열된 기액 접촉 부재의 제균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대공간에 개방된 복수의 분출구에 급기 덕트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급기 덕트를 통하여 분출구에 조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조화기를 설치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로부터 복수의 분출구를 향하는 송풍로에 챔버를 설치하고, 상기 챔버 내에 조화 공기와 전해수를 접촉시키고 상기 조화 공기를 제균하는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를 갖는 공기 제균부를 설치하고, 상기 공기 제균부의 각 기액 접촉 부재에 각각 상기 전해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에 송수 펌프를 통하여 접속되는 수조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 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송수 펌프에 의해 퍼내어져, 상기 공급관을 통하여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에 공급되는 수조 내의 전해수의 일부를 상기 전해 유닛으로 유도하고, 상기 전해 유닛에서 전해수를 생성하여 상기 수조 내로 복귀시키는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 유닛을 직접 장착하고, 전해 유닛에서 생성되는 스케일류를, 상기 전해수와 함께 상기 수조 내로 복귀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기 분해 때에 전해 유닛에서 생성되는 스케일류는, 전해수와 함께 수조 내로 복귀되고, 상기 수조 내에서 퇴적되므로, 이 스케일이 공급관을 통하여 공기 제균부의 각 기액 접촉 부재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스케일류의 유입에 의한 공급관의 폐색이나, 각 기액 접촉 부재의 막힘이 방지됨으로써, 이들 공급관이나 기액 접촉 부재의 유지 보수 빈도가 적어지고, 유지 보수 작업의 경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가, 하우징 내를 분할하고, 하나의 실에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수납한 열교환실을 마련하고, 다른 실에 압축기를 수납한 기계실을 마련하고, 또한 다른 실에 상기 챔버를 마련하고, 상기 챔버를 통하여 조화 공기를 환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기 조화기의 하우징 내에 형성되는 챔버에 용이하게 공기 제균부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대형화를 도모할 필요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대공간에 공급되는 대량의 조화 공기를 제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에는 급기 덕트가 접속되고, 상기 급기 덕트를 향하는 챔버 내의 송풍로의 대략 전면을 덮어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를 배열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기액 접촉 부재가 상하로 배열되고, 송풍로의 하방 영역을 덮는 기액 접촉 부재를, 상방 영역을 덮는 기액 접촉 부재보다도 상기 송풍로의 상류측 에 어긋나게 배열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기액 접촉 부재가 상하로 배열되고, 송풍로의 하방 영역을 덮는 기액 접촉 부재를, 상방 영역을 덮는 기액 접촉 부재보다도 상기 송풍로의 하류측에 어긋나게 배열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출구를 통하여 대공간에 공급되는 대량의 조화 공기를 간단한 구성으로 제균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루프탑형 공기 조화기(이하, 공기 조화기라고 함)(110)가 배치되는 대공간 시설로서의 영화관(100)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화관(100)에는, 전방에 스크린(101)이 배치되고, 이 스크린(101)의 후방에 계단 형상으로 객석부(10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영화관(100)의 천장부(103)에는, 공기 조화기(110)로부터 공급된 조화 공기를 관내에 분출하는 복수의 분출구(10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분출구(104)는, 급기 덕트(105)를 통하여, 공기 조화기(110)의 공급구(111)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영화관(100)의 바닥부(106)에는, 이 바닥부(106) 부근의 관내 공기(내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07)가 설치되어 있다. 이 흡입구(107)는, 스크린(101)의 배면측에 설치되고, 이 스크린(101)의 배면 공간을 상방으로 연장하는 흡기 덕트(108)를 통하여, 공기 조화기(110)의 내기 도입구(11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110)에는, 이 공기 조화기(110) 내에 옥외의 공기(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 도입구(113)가 형성되어 있다.
영화관(100) 내의 공기(내기)는, 화살표 X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구(107)로부터 흡입되어, 흡기 덕트(108) 및 내기 도입구(112)를 통하여, 공기 조화기(110) 내로 유도된다. 여기서, 공기 조화기(110) 내에는, 외기 도입구(113)를 통하여 외기가 도입되고 있으므로, 이 외기와 상기 내기가 상기 공기 조화기(110) 내에서 혼합된다. 이 혼합된 공기는, 공기 조화기(110)가 구비하는 이용측 열교환기(후술함)에서 열 교환된 후, 공급구(111) 및 급기 덕트(105)를 통하여, 분출구(104)로부터 조화 공기로서 영화관(100) 내에 공급된다.
공기 조화기(110)는, 예를 들어 영화관, 극장, 병원 또는, 쇼핑 센터 등, 불특정 다수가 장시간 체류하는 대공간 시설을 갖는 구조물(빌딩)(200)의 옥상에 배치되는 것이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하우징(114) 내에 열원측 유닛(1)과 이용측 유닛(2)을 일체로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14) 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115)에 의해 구분되어 있고, 한쪽의 실(기계실)(116)에 열원측 유닛(1)이 배치되고, 다른 쪽의 실(117)에 이용측 유닛(2)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열원측 유닛(1) 및 이용측 유닛(2)은, 냉매 배관(10)으로 연결되어 냉매 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열원측 유닛(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 배관(10)에 설치된 압축기(11)를 구비하고, 이 압축기(11)의 흡입측에 어큐뮬레이터(12)가 접속되고, 그 토출측에는 사방 밸브(13)와 열원측 열교환기(14)와 전동 팽창 밸브(15)가 순서대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열원측 유닛(1)에는, 열원측 열교환기(14)를 향하여 송 풍하는 열원측 송풍기(16)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이용측 유닛(2)은, 상기 냉매 배관(10)을 통하여 전동 팽창 밸브(15)에 접속되는 이용측 열교환기(21)와 이 이용측 열교환기(21)를 향하여 송풍하는 이용측 송풍기(22)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당해 이용측 열교환기(21)는, 상기 냉매 배관(10)을 통하여 상기 사방 밸브(13)에 접속되어 있다.
냉방 운전시에는, 도 2에 나타내는 실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냉매가 흐르도록, 사방 밸브(13)가 절환된다.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어큐뮬레이터(12)를 거쳐 열원측 열교환기(14)에 도달하고, 이 열원측 열교환기(14)에 있어서 응축되어 전동 팽창 밸브(15)로 보내진다. 이 고압의 냉매는 전동 팽창 밸브(15)에서 팽창하여 이용측 열교환기(21)로 유입되고, 이 이용측 열교환기(21)에 있어서 증발됨으로써, 이용측 유닛(2) 내로 도입된 공기를 냉각한다. 이용측 열교환기(21)에서 증발한 냉매는 압축기(11)의 흡입측으로 복귀된다.
또한, 난방 운전시에는, 도면 중에 나타내는 파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냉매가 흐르도록, 사방 밸브(13)가 절환된다.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이용측 열교환기(21)로 보내어지고, 이 이용측 열교환기(21)에 있어서 응축됨으로써, 이용측 유닛(2) 내로 도입된 공기를 가온한다. 이용측 열교환기(21)에서 응축된 냉매는, 전동 팽창 밸브(15)에서 팽창하여 열원측 열교환기(14)로 유입되고, 이 열원측 열교환기(14)에서 증발한 후, 사방 밸브(13)를 통하여 어큐뮬레이터(12)로 보내어져, 압축기(11)의 흡입측에 복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 조화기(110)에는, 이용측 송풍기(22)의 운전에 의 해, 대공간 시설로서의 영화관(100) 내에 이용측 열교환기(21)에서 냉방 또는 난방된 조화 공기를 제균하는 제균 유닛(150)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 조화기(110)와, 이 공기 조화기(110) 내에 설치된 제균 유닛(150)을 구비하여 공기 조화 제균 시스템이 구성된다.
제균 유닛(15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측 유닛(2)에 도입된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부(4)와, 소정의 이온종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분해하여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당해 전해수를 생성하고, 이 전해수를 상기 공기 제균부(4)로 순환 공급하는 전해수 순환 공급부(5)를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용측 유닛(2)이 설치되는 다른 쪽의 실(117)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118)에 의해, 또한 열교환실(119)과 챔버로서의 제균실(120)로 구분되어 있다. 이 열교환실(119)에는, 상기 내기 도입구(112) 및 외기 도입구(113)가 형성되고, 이들 내기 도입구(112) 및 외기 도입구(113)의 하류측에 이용측 열교환기(21)가 비스듬한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획판(118)에는, 열교환실(119)과 제균실(120)을 연통하는 개구(118A)가 형성되고, 이 개구(118A)에 이용측 송풍기(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이용측 송풍기(22)의 운전에 의해, 열교환실(119) 내의 공기가 제균실(120)로 송풍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균실(120)에는 이용측 송풍기(22)의 하류측에 공기 제균부(4)가 배치되고, 이 공기 제균부(4)의 하류측에 공급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용측 유닛(2)에 도입된 공기는, 제균실(120)을 통과할 때에, 이 제균실(120)에 배치된 공기 제 균부(4)에서 전해수와 접촉함으로써 제균되고, 이 제균된 공기가 공급구(111) 및 급기 덕트(105)를 통하여, 분출구(104)로부터 영화관(100) 내로 순환 공급된다.
다음에, 제균 유닛(15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균 유닛(15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균실(120) 내에 배치되는 공기 제균부(4)와 상기 제균실(12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해수 순환 공급부(5)를 구비한다.
공기 제균부(4)는, 제균실(120) 내의 송풍로의 대략 전면을 덮어 배열하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12장)의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를 구비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균실(120)의 송풍로(120A)의 대략 한 폭에 횡배열로 배치된 한 쌍의 기액 접촉 부재[예를 들어,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를, 당해 제균실(120)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의 단(예를 들어, 6단)을 나열하여 배열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기액 접촉 부재(41A1 내지 41F2)는, 송풍로(120A)를 통과하는 공기에 전해수를 접촉시키기 위한 부재이며, 이들 기액 접촉 부재(41A1 내지 41F2)에 있어서 송풍로(120A)를 흐르는 공기가 소정의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에 접촉함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되는 바이러스 등이 비활성화되어 공기의 제균이 행하여진다.
기액 접촉 부재(41A1 내지 41F2)는, 벌집 구조와 비슷한 3차원 구조를 갖는 필터 부재이며, 기체에 접촉하는 엘리먼트부를 프레임에 의해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엘리먼트부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파형판 형상의 파형판 부재와 평판 형상의 평판 부재가 적층되어 구성되고, 이들 파형판 부재와 평판 부재의 사이에 대략 삼각 형상의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먼트부에 공기를 통과시킬 때의 기체 접촉 면적이 넓게 확보되고, 전해수의 적하가 가능하여 막힘이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엘리먼트부에는, 전해수에 의한 열화가 적은 소재,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염화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PTFE, PFA, ETFE 등) 또는 세라믹스계 재료 등의 소재가 사용되고, 본 구성에서는, PET 수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엘리먼트부에는 친수성 처리가 실시되어, 전해수에 대한 친화성을 높일 수 있고, 이에 의해, 기액 접촉 부재(41A1 내지 41F2)의 전해수의 보수성(습윤성)이 유지되고, 후술하는 활성 산소종(활성 산소 물질)과 공기의 접촉이 장시간 지속된다.
기액 접촉 부재의 수는, 제균실(120)을 통과하는 공기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균실(120)의 송풍로(120A)를 통과하는 공기량과 1장당의 기액 접촉 부재의 제균 능력(기체 접촉 면적)으로부터 산출되어, 당해 공기를 충분히 제균할 수 있는 수의 기액 접촉 부재가 제균실(120)에 배치된다. 또한, 이들 기액 접촉 부재(41A1 내지 41F2)의 하방에는, 상기 기액 접촉 부재(41A1 내지 41F2)로부터 배출된 물을 받는 드레인팬(44)이 배치되어 있다.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의 상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에 균일하게 전해수를 분산시키기 위한 살수 박스(42A1, 42A2)가 부착되어 있다. 이 살수 박스(42A1, 42A2)는, 전해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트레이 부재를 구비하고, 이 트레이 부재의 측면에 복수의 살수 구멍(도시 생 략)이 개방되고, 이 살수 구멍으로부터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에 대해 전해수를 적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의 상면에는, 살수 박스(42A1, 42A2)로부터 흘러내린 전해수를 엘리먼트부에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분류 시트(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이 분류 시트는, 액체의 침투성을 갖는 섬유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직물, 부직포 등)이며,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의 두께 방향 단면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 개 설치된다.
또한,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의 하부에는, 이들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로부터 흘러내린 물을 받는 전해수 트레이(43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해수 트레이(43A)의 저면에는, 상기 전해수 트레이(43A)로 받은 물을 드레인팬(44)(도 4)으로 유도하는 드레인 호스(45A)가 설치되어 있다. 각 단에 배치된 기액 접촉 부재는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므로, 최상단의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이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기액 접촉 부재(41B1, 41B2 내지 41F1, 41F2)에 대해서는 동종의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의 배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에 나란히 배열되고, 송풍로(120A)의 하방 영역 A를 덮는 기액 접촉 부재[예를 들어, 기액 접촉 부재(41F1, 41F2)]는, 상방 영역 B를 덮는 기액 접촉 부재[예를 들어,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보다도 송풍로(120A)의 상류측에 순차 어긋나게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하에 인접하는 기액 접촉 부 재끼리는, 측면에서 보아 상하로 겹치도록 배치하는 동시에, 상방에 위치하는 기액 접촉 부재[예를 들어,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의 하단부와, 그 바로 근처 하방에 위치하는 기액 접촉 부재[예를 들어, 기액 접촉 부재(41B1, 41B2)]의 상단부의 사이는, 도풍판(導風板)(47A 내지 47E)에 의해 각각 폐색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송풍로(120A)의 면적보다도 총 면적이 넓은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를, 송풍로(120A)에 정리되기 쉽게 배열할 수 있고, 송풍로(120A)에 배열된 당해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의 제균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방에 위치하는 기액 접촉 부재의 하단부와, 그 바로 근처 하방에 위치하는 기액 접촉 부재의 상단부 사이는 도풍판으로 폐색되어 있으므로,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를 통과하지 않고 송풍로(120A) 내로 공기가 흐르는 것이 방지된다.
전해수 순환 공급부(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 탱크(51)(수조)와, 이 저수 탱크(51) 내의 물을 전기 분해하여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 유닛(52)과, 당해 저수 탱크(51) 내의 전해수를 상기 공기 제균부(4)의 각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에 각각 공급하기 위한 전해수 공급관(공급관)(56)과, 이 전해수 공급관(56) 상에 설치된 송수 펌프(53)와, 이 송수 펌프(53)의 하류측에서 상기 전해수 공급관(56)으로부터 분기되어 전해 유닛(52)에 접속되는 분기관(54)과, 상기 드레인팬(44)에 흘러내린 물을 저수 탱크(51)로 유도하는 순환로(55)와, 상기 전해 유닛(52), 송수 펌프(53)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5)를 구비한다.
저수 탱크(51)에는, 이 저수 탱크(51)에 시(市)의 물(수돗물) 등을 공급하는 급수관(57)과, 급수 밸브(58)가 접속되고, 이 급수 밸브(58)는, 저수 탱크(51) 내에 설치되는 플로트 스위치(FS)의 동작에 따라, 제어부(65)에 의해 개폐 제어된다. 여기서, 급수관(57)에 접속되어, 저수 탱크(51)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원은, 시의 물(수돗물) 혹은 급수조 등에 저류되는 물 등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이 급수조 등에 저류되는 물은, 수돗물 등과 같이 염화물 이온 등의 이온종이 미리 함유되어 있는 물이어도 좋고, 우물물 등의 염화물 이온의 농도가 희박한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이 물에 염화물 이온을 첨가하여 수돗물 상당으로 조정된 물이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을 총칭하여 물이라고 한다.
본 구성에서는, 저수 탱크(51)에는, 우물물 등의 염화물 이온 농도가 희박한 물을 사용하였을 경우라도, 이 물에 염화물 이온을 첨가하기 위하여, 미리 소정의 농도에 조정된 식염수 탱크(59)가 설치되고, 이 식염수 탱크(59)에 접속되는 식염수 공급관(60)에는, 공급 펌프(61)와 역지 밸브(62)를 통하여 저수 탱크(51)에 접속되어 있다. 이 공급 펌프(61)는, 예를 들어 전해 유닛(52)에서 검출되는 도전율을 기초로 하여 제어부(65)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수 탱크(51)의 접속구(51B)에 접속되는 전해수 공급관(56)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6개의 전해수 공급관(56A 내지 56F)으로 각각 분기되어, 송수 펌프(53)로부터 보내어진 전해수가 각 전해수 공급관(56A 내지 56F)에 대략 균등하게 분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해수 공급관(56A)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류측 단부에서 2개의 분기관(56A1, 56A2) 에 분기되고, 이들 분기관(56A1, 56A2)은, 각각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의 살수 박스(42A1, 42A2)에 접속되고, 이들 살수 박스(42A1, 42A2)를 통하여,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에 전해수를 공급한다. 다른 전해수 공급관(56B 내지 56F)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이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전해 유닛(5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 탱크(51)의 측면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해 유닛(52)은,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체(71)와, 이 케이스체(71) 내에 수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72, 73)을 구비하고, 이들 전극(72, 73)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물을 전기 분해하여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시킨다.
여기서, 활성 산소종은, 통상의 산소보다도 높은 산화 활성을 갖는 산소 분자와, 그 관련 물질이고,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일중항 산소, 히이드록실 래디칼, 혹은 과산화수소 등의, 소위 협의의 활성 산소에, 오존, 차아할로겐산 등과 같은, 소위 광의의 활성 산소를 포함시킨 것으로 한다.
전극(72, 73)은, 예를 들어 베이스가 티탄(Ti)이고 피막층이 이리듐(Ir), 백금(Pt)으로 구성된 2장의 전극판이다.
상기 전극(72, 73)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캐소드 전극(음극)에서는, 하기 식(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응한다.
Figure 112009032540243-PAT00001
애노드 전극(양극)에서는, 하기 식(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응한다.
Figure 112009032540243-PAT00002
이들 캐소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에서의 반응을 합하면, 하기 식(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이 전기 분해된다.
Figure 112009032540243-PAT00003
이 반응과 함께, 애노드 전극에 있어서는, 물에 포함되는 염소 이온(염화물 이온 : Cl-)이 하기 식(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응하고, 염소(Cl2)가 발생한다.
Figure 112009032540243-PAT00004
또한, 이 염소는 하기 식(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과 반응하고, 차아염소산(HClO)과 염화수소(HCl)가 발생한다.
Figure 112009032540243-PAT00005
애노드 전극에서 발생한 차아염소산(광의의 활성 산소종)은, 강력한 산화 작용이나 표백 작용을 갖는다. 차아염소산이 용해된 수용액, 즉 전해 유닛(52)에 의해 생성되는 전해수는, 바이러스 등의 비활성화, 살균, 유기 화합물의 분해 등, 여러가지 공기 청정 효과를 발휘한다. 이와 같이,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전해수 공급관(56A 내지 56F)을 흐르고, 살수 박스(42A1, 42A2 내지 42F1, 42F2)를 통하여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로 적하되면, 이용측 송풍기(22)에 의해 분출된 공기가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에 있어 서 차아염소산과 접촉한다. 이에 의해, 공기 중에 부유하는 바이러스 등이 비활성화되는 동시에, 당해 공기에 포함되는 악취 물질이 차아염소산과 반응하여 분해되고, 혹은 이온화하여 용해된다. 따라서, 공기의 제균 및 탈취가 이루어지고, 청정화된 공기가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로부터 배출된다.
활성 산소종에 의한 바이러스 등의 비활성화의 작용기서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예로 든다. 상술한 활성 산소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에 필수적인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스파이크)을 파괴, 소실(제거)하는 작용을 가진다. 이 표면 단백이 파괴되었을 경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감염하는데에 필요한 수용체(리셉터)가 결합하지 않고, 감염이 저지된다. 이로 인해, 공기 중에 부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에 있어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에 접촉함으로써, 감염력을 잃어버리게 되어, 감염이 저지된다.
따라서, 루프탑형 공기 조화기(110)의 제균실(120)에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를 배치함으로써, 이 제균실(120)을 통과하는 공기가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로 제균되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균된 공기를 영화관(100) 내에 넓게 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대공간 시설 내에서의 공기 제균 및 탈취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해 유닛(52) 내의 전극(72, 73) 중 임의의 측에 정전위를 부여하기 위한 전극의 절환은,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65)에 의해 전극(72, 73)에 인가하는 전압을 변화(반전)시킴으로 써, 실행 가능하다.
또한, 전해수 중의 활성 산소종의 농도는, 제어부(65)의 제어 하에, 제균하는 바이러스 등을 비활성화시키는 농도가 되도록 조정된다. 활성 산소종의 농도의 조정은, 전극(72, 73) 사이에 인가하는 전압을 조정하고, 전극(72, 73) 사이에 흐르는 전류값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행하여진다.
예를 들어, 전극(72)에 정(正)의 전위를 주고, 전극(72, 73) 사이에 흐르는 전류값을, 전류 밀도로 20㎃(밀리암페어)/㎠(평방센티미터)라고 하면, 소정의 유리 잔류 염소 농도[예를 들어, 1㎎(밀리그램)/l(리터)]를 발생시킨다. 또한, 전극(72, 73) 사이에 인가하는 전압을 변경하고, 전류값을 높게 함으로써, 전해수 중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높은 농도로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전해 유닛(52)의 설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전해 유닛(52)의 케이스체(71)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 주위에 플랜지(74)를 구비하고, 이 플랜지(74)는, 패킹(75)을 개재하여, 저수 탱크(51)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51A)에 볼트(76) 및 너트(77)로 고정되어 있다.
이 개구부(51A)는, 케이스체(71)와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저수 탱크(51)의 내측으로부터 개구부(51A)를 통하여, 케이스체(71) 내의 전극(72, 73)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기 분해시에 수중에 포함되는 물질이 전극(72, 73)에 스케일류로서 부착하였다고 해도, 저수 탱크(51)의 개구부(51A)를 통하여 당해 스케일류의 제거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체(71)에는, 플랜지(74)로부터 먼 측의 저면에 접속구(78)가 설 치되고, 이 접속구(78)에 상기 분기관(54)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서는, 송수 펌프(53)의 하류측에서 전해수 공급관(56)으로부터 분기되어 전해 유닛(52)에 접속되는 분기관(54)을 설치하고, 송수 펌프(53)에 의해 퍼내어져, 전해수 공급관(56)을 통하여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에 공급되는 저수 탱크(51) 내의 전해수의 일부를 전해 유닛(52)으로 유도하고, 이 전해 유닛(52)에서 전해수를 생성하여 저수 탱크(51) 내로 복귀시키는 구성을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저수 탱크(51) 내의 전해수 농도의 변화 폭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안정된 농도의 전해수를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로 공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에서의 공기의 제균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분출구(104)를 통하여 영화관(100) 내에 공급되는 대량의 공기를 한결같이 제균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따르면, 전극(72, 73)에 발생한 스케일류가, 이들 전극(72, 73)으로부터 제거되었을 경우, 이 스케일류는 전해수와 함께 저수 탱크(51) 내에 복귀되고, 당해 저수 탱크(51) 내에서 퇴적되므로, 이 스케일류가 전해수 공급관(56)을 통하여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스케일류의 유입에 의한 전해수 공급관(56)의 폐색이나, 각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의 막힘이 방지됨으로써, 이들 전해수 공급관(56)이나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의 유지 보수 빈도가 적어지고, 유지 보수 작업의 경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해 유닛(52)이 직접 장착 되는 저수 탱크(51)의 개구부(51A)와, 전해수 공급관(56)이 접속되는 접속구(51B) 사이에는, 상기 저수 탱크(51) 내를 구획하는 스케일 필터(6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저수 탱크(51) 내에 퇴적한 스케일류는, 이 스케일 필터(66)로 포집됨으로써, 저수 탱크(51)의 외부로 유출될 일이 없다.
또한, 저수 탱크(51)에는, 사이펀 방식으로 배수할 수 있는 배수관(6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배수관(67)은, 저수 탱크(51)의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제1 연직부(67A)와, 이 제1 연직부(67A)에 이어져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부(67B)와, 이 수평부(67B)에 이어져 탱크 밖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2 연직부(67C)를 구비한다. 이 수평부(67B)는, 통상의 저수 탱크(51) 내의 제어 수위보다도 약간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이 높이 위치까지 물을 공급함으로써, 배수관(67) 내에는 진공이 되므로, 사이펀의 원리에 의해 저수 탱크(51) 내의 물이 배출된다. 이 구성에서는, 배수 밸브가 불필요하므로, 비용 절감이 도모되는 동시에, 사이펀 방식에 의해 배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나의 대공간으로서의 영화관(100)에 개구된 복수의 분출구(104)에 급기 덕트(105)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급기 덕트(105)를 통하여 각 분출구(104)에 조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조화기(110)를 설치하고, 이 공기 조화기(110)로부터 복수의 분출구(104)를 향하는 송풍로에 제균실(120)을 설치하고, 이 제균실(120) 내에 조화 공기와 전해수를 접촉시켜 상기 조화 공기를 제균하는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를 갖는 공기 제균부(4)를 설치함으로 인해,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에서 제균 된 공기가 급기 덕트(105)를 통하여 분출구(104)에 공급되고, 상기 제균된 공기를 분출구(104)를 통하여 영화관(100) 내로 넓게 퍼지게 할 수 있고, 상기 영화관(100)에 공급되는 공기를 간단한 구성으로 제균할 수 있다. 또한, 제균실(120) 내에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가 집중적으로 설치되므로, 이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에 각각 전해수를 공급하는 전해수 공급관(56)에 송수 펌프(53)를 통하여 접속되는 저수 탱크(51)를 설치하는 동시에,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 유닛(52)을 설치하고, 송수 펌프(53)에 의해 퍼내어져, 전해수 공급관(56)을 통하여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에 공급되는 저수 탱크(51) 내의 전해수의 일부를 전해 유닛(52)으로 유도하고, 전해 유닛(52)에서 전해수를 생성하여 저수 탱크(51) 내로 복귀시키는 기구를 구비함으로 인해, 상기 저수 탱크(51) 내의 전해수 농도의 변화 폭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안정된 농도의 전해수를 각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로 공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에서의 공기의 제균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분출구(104)를 통하여 영화관(100)에 공급되는 대량의 공기를 한결같이 제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저수 탱크(51)에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 유닛(52)을 직접 장착하고, 전해 유닛(52)에서 생성되는 스케일류를, 전해수와 함께 저수 탱크(51) 내로 복귀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 인해, 전기 분해시에 전해 유 닛(52)에서 생성하는 스케일류는, 전해수와 함께 저수 탱크(51) 내로 복귀되고, 상기 저수 탱크(51) 내에서 퇴적하므로, 이 스케일류가 전해수 공급관(56)을 통하여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스케일류의 유입에 의한 전해수 공급관(56)의 폐색이나, 각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의 막힘이 방지됨으로써, 이들 전해수 공급관(56)이나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의 유지 보수 빈도가 적어지고, 유지 보수 작업의 경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공기 조화기(110)가, 하우징(114) 내를 3분할하고, 한쪽에 이용측 열교환기(21) 및 이용측 송풍기(22)를 수납한 열교환실(119)을 설치하고, 다른 쪽에 압축기(11)를 수납한 기계실(116)을 설치하고, 나머지에 제균실(120)을 설치하고, 이 제균실(120)을 통하여 조화 공기를 환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공기 조화기(110)의 하우징(114) 내에 형성된 제균실(120)에 용이하게 공기 제균부(4)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대형화를 도모하는 일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영화관(100)에 공급되는 대량의 조화 공기를 제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균실(120) 내의 송풍로(120A)의 대략 전면을 덮어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를 배열하므로, 제균실(120) 내의 송풍로(120A)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에 의해 한결같이 제균되므로, 분출구(104)를 통하여 영화관(100)에 공급되는 대량의 조화 공기를 한결같이 제균할 수 있다.
또한,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를 상하로 배열하고, 송 풍로(120A)의 하방 영역 A를 덮는 기액 접촉 부재(41F1, 41F2)를 상방 영역 B를 덮는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보다도 상기 송풍로(120A)의 상류측에 어긋나게 배열함으로 인해, 송풍로(120A)의 개구 면적보다도 총 면적이 넓은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를, 송풍로(120A)에 정리되기 쉽게 배열할 수 있고, 송풍로(120A)에 배열된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의 제균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드레인팬(44)에서 받은 물을 순환로(55)를 통하여 저수 탱크(51)로 복귀시키는 물 순환 방식을 채용하고 있어, 소량의 물을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장시간에 걸쳐 효율적으로 공기의 제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증발에 의해 저수 탱크(51) 내의 수위가 감소하므로, 플로트 스위치(FS)의 동작에 의해 급수 밸브(58)가 개방하여 급수구로부터 수돗물이 적당량 공급된다. 이와 같이,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드레인팬(44)에서 받은 물을 그대로 배출하는 방식에 비해, 물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고, 제균 유닛(150)을 운전할 때의 운전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와 같은 루프탑형의 공기 조화기(110)에서는, 빌딩(200) 내로 송풍되는 공기량이 많으므로, 이 공기를 제균하기 위하여 상기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로 공급되는 수량은, 상기 공기량에 따라 많아진다. 따라서, 루프탑형의 공기 조화기(110)에 있어서, 드레인팬(44)에서 받은 물을 순환로(55)를 통하여 저수 탱크(51)로 복귀시키는 것에 의한 절수 효과는 더욱 크다.
이상, 실시 형태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 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루프탑형의 공기 조화기(110) 내에 형성된 제균실(120)에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를 배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110)와 영화관(100)의 천장부(103)에 형성된 분출구(104)를 접속하는 급기 덕트(105)에 챔버를 설치하고, 이 챔버 내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드레인팬(44)에서 받은 물을 순환로(55)를 통하여 저수 탱크(51)로 복귀시키는 물 순환 방식으로 하고 있으나, 이 드레인팬(44)에서 받은 물을 그대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물 사용량이 물 순환 방식에 비해 증가하기는 하나, 순환로(63)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설비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 내지 41F1, 41F2)는, 상하로 나란히 배열되고, 송풍로(120A)의 하방 영역 A를 덮는 기액 접촉 부재(41F1, 41F2)는, 상방 영역 B를 덮는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보다도 송풍로(120A)의 상류측에 순차 어긋나게 배열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송풍로(120A)의 하방 영역 A를 덮는 기액 접촉 부재(41F1, 41F2)를, 상방 영역 B를 덮는 기액 접촉 부재(41A1, 41A2)보다도 송풍로(120A)의 하류측에 순차 어긋나게 배열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루프탑형 공기 조화기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공기 조화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공기 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 4는 공기 조화기에 설치된 제균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기액 접촉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기액 접촉 부재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전해 유닛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열원측 유닛
2 : 이용측 유닛
4 : 공기 제균부
5 : 전해수 순환 공급부
11 : 압축기
14 : 열원측 열교환기
21 : 이용측 열교환기
22 : 이용측 송풍기
41A1, 41A2, 41B1, 41B2, 41C1, 41C2, 41D1, 41D2, 41E1, 41E2, 41F1, 41F2 : 기액 접촉 부재
51 : 저수 탱크(수조)
51A : 개구부
52 : 전해 유닛
54 : 분기관
56 : 전해수 공급관(공급관)
71 : 케이스체
72 : 전극
74 : 플랜지
100 : 영화관(대공간)
104 : 분출구
105 : 급기 덕트
110 : 공기 조화기
116 : 한쪽의 실(기계실)
119 : 열교환실
120 : 제균실(챔버)
120A : 송풍로
150 : 제균 유닛
200 : 빌딩
A : 하방 영역
B : 상방 영역

Claims (10)

  1. 하나의 대공간에 개방된 복수의 분출구에 급기 덕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챔버를 설치하고,
    상기 챔버 내에 공기와 전해수를 접촉시켜 상기 공기를 제균하는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를 갖는 공기 제균부를 설치하고,
    상기 공기 제균부의 각 기액 접촉 부재에 각각 상기 전해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에 송수 펌프를 통하여 접속되는 수조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 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송수 펌프에 의해 퍼내어져, 상기 공급관을 통하여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에 공급되는 수조 내의 전해수의 일부를 상기 전해 유닛으로 유도하고, 당해 전해 유닛에서 전해수를 생성하여 상기 수조 내로 복귀시키는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의 송풍로의 대략 전면을 덮어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를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접촉 부재가 상하로 배열되고, 송풍로의 하방 영역을 덮는 기액 접촉 부재를, 상방 영역을 덮는 기액 접촉 부재보다도 상기 송풍로의 상류측에 어긋나게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접촉 부재가 상하로 배열되고, 송풍로의 하방 영역을 덮는 기액 접촉 부재를, 상방 영역을 덮는 기액 접촉 부재보다도 상기 송풍로의 하류측에 어긋나게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시스템.
  5. 하나의 대공간에 개방된 복수의 분출구에 급기 덕트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급기 덕트를 통하여 각 분출구에 조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조화기를 설치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로부터 복수의 분출구를 향하는 송풍로에 챔버를 설치하고,
    상기 챔버 내에 조화 공기와 전해수를 접촉시켜 상기 조화 공기를 제균하는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를 갖는 공기 제균부를 설치하고,
    상기 공기 제균부의 각 기액 접촉 부재에 각각 상기 전해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에 송수 펌프를 통하여 접속되는 수조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 유닛을 설치하고,
    상기 송수 펌프에 의해 퍼내어져, 상기 공급관을 통하여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에 공급되는 수조 내의 전해수의 일부를 상기 전해 유닛으로 유도하고, 상기 전해 유닛에서 전해수를 생성하여 상기 수조 내로 복귀시키는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제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 유닛을 직접 장 착하고, 전해 유닛에서 생성되는 스케일류를, 상기 전해수와 함께 상기 수조 내로 복귀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제균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가, 하우징 내를 분할하고, 하나의 실에 열교환기 및 송풍기를 수납한 열교환실을 마련하고, 다른 실에 압축기를 수납한 기계실을 마련하고, 또한 다른 실에 상기 챔버를 마련하고, 상기 챔버를 통하여 조화 공기를 환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제균 시스템.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는 급기 덕트가 접속되고, 상기 급기 덕트를 향하는 챔버 내의 송풍로의 대략 전면을 덮어 복수의 기액 접촉 부재를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제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접촉 부재가 상하로 배열되고, 송풍로의 하방 영역을 덮는 기액 접촉 부재를, 상방 영역을 덮는 기액 접촉 부재보다도 상기 송풍로의 상류측에 어긋나게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제균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접촉 부재가 상하로 배열되고, 송풍로의 하방 영역을 덮는 기액 접촉 부재를, 상방 영역을 덮는 기액 접촉 부재보다도 상기 송풍로의 하류측에 어긋나게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제균 시스템.
KR1020090047420A 2008-05-30 2009-05-29 제균 시스템 및 공기 조화 제균 시스템 KR200901249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42641A JP5227663B2 (ja) 2008-05-30 2008-05-30 空気調和除菌システム
JPJP-P-2008-142641 2008-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996A true KR20090124996A (ko) 2009-12-03

Family

ID=41405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420A KR20090124996A (ko) 2008-05-30 2009-05-29 제균 시스템 및 공기 조화 제균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227663B2 (ko)
KR (1) KR20090124996A (ko)
CN (1) CN1015902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0896B2 (ja) * 2009-12-21 2014-07-16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除菌装置
US9518749B2 (en) * 2011-09-14 2016-12-13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Forced evaporative humidifier using nano-vapor
JP5988091B2 (ja) * 2012-07-10 2016-09-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加湿装置
CN107190276B (zh) * 2017-06-05 2023-08-08 苏州卫捷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羟基自由基水分子团发生装置及其使用方法
JP7227447B2 (ja) * 2018-05-29 2023-02-22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洗浄装置、洗浄方法
CN112747529A (zh) * 2019-10-31 2021-05-04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1530254A (zh) * 2020-04-17 2020-08-14 苏州庚泽新材料科技有限公司 气体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4A (ja) * 1992-04-14 1994-01-11 Ee P S:Kk 室内空気消毒方法
JP3646541B2 (ja) * 1998-10-19 2005-05-11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解水供給装置における次亜塩素酸濃度管理方法
JP2000257914A (ja) * 1999-03-05 2000-09-22 Techno Ryowa Ltd 強酸性水を用いた除菌空調システム
JP2002186968A (ja) * 2000-12-22 2002-07-02 Asahi Glass Engineering Co Ltd 塩水タンク浮遊物除去装置
JP2005013714A (ja) * 2004-05-07 2005-01-20 Tatsuo Okazaki 屋内空間殺菌方法及び装置
JP2006334212A (ja) * 2005-06-03 2006-12-14 Sanyo Electric Co Ltd 除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MY149598A (en) * 2006-07-20 2013-09-13 Sanyo Electric Co Air filtering apparatus having foreign material removing mechanism
JP2008032370A (ja) * 2006-08-01 2008-02-14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JP4928869B2 (ja) * 2006-08-21 2012-05-09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除菌装置
JP4956092B2 (ja) * 2006-08-25 2012-06-20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2008109984A (ja) * 2006-10-30 2008-05-15 Sanyo Electric Co Ltd 空気除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90250A (zh) 2009-12-02
CN101590250B (zh) 2012-11-28
JP5227663B2 (ja) 2013-07-03
JP2009285293A (ja) 200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4996A (ko) 제균 시스템 및 공기 조화 제균 시스템
KR101095410B1 (ko) 공기제균장치
US8397523B2 (en)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ir filtering system, air conditioning and filter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ing and filtering system
JP2008183182A (ja) 空気除菌装置
JP5227710B2 (ja) 電解水生成装置、及び、除菌システム
JP5550896B2 (ja) 空気除菌装置
JP2010104895A (ja) 電解水生成装置、及び、除菌システム
JP5335623B2 (ja) 電解水生成装置、及び、除菌システム
JP2010019479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0830314B1 (ko) 공기 조화 장치
JP2010038402A (ja) 空気調和除菌システム
JP5317601B2 (ja) 除菌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除菌システム
JP5335217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5384169B2 (ja) 空気調和装置
JP5405072B2 (ja) 除菌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除菌システム
JP5450039B2 (ja) 電解水生成装置、及び、除菌システム
JP5108655B2 (ja) 大空間除菌システム
JP5199613B2 (ja) 除菌システム
KR20070091094A (ko) 공기 제균 장치
JP5311948B2 (ja) 電解水生成装置、及び、除菌システム
JP2009050722A (ja) 除菌システム
JP2008183187A (ja) 空気除菌装置
JP2010104888A (ja) 電解水生成装置、及び、除菌システム
JP2010101593A (ja) 除菌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除菌システム
JP2010233670A (ja) 空気除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