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448A - 발광영역이 확장된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 - Google Patents

발광영역이 확장된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448A
KR20090123448A KR20080049529A KR20080049529A KR20090123448A KR 20090123448 A KR20090123448 A KR 20090123448A KR 20080049529 A KR20080049529 A KR 20080049529A KR 20080049529 A KR20080049529 A KR 20080049529A KR 20090123448 A KR20090123448 A KR 20090123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housing
led package
length
le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49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7393B1 (ko
Inventor
이명희
Original Assignee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9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393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39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여기에서는, 캐비티 상측의 길이부 확장을 통해 발광 영역이 확장된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가 개시된다. 개시된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는, LED칩과 봉지재 수용을 위한 캐비티를 갖되, 상기 캐비티가 바닥 측의 제 1 길이부로부터 그보다 큰 상단 측의 제 2 길이부로 경사지게 확장된 하우징과; 상기 제 1 길이부에 의해, 상기 캐비티 내측에 위치하는 노출 부분과, 상기 캐비티 외측에 위치하는 가린 부분으로 구분되는 제 1 및 제 2 내부리드와;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리드의 가린 부분 각각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수직 연장된 제 1 및 제 2 외부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길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리드의 직상 영역까지 확장되어 있다.
사이드뷰, LED, 패키지, 내부리드, 외부리드, 캐비티, 절곡, 제 1 길이부, 제 2 길이부

Description

발광영역이 확장된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SIDE VIEW LED PACKAGE WITH ITS LIGHTING AREA EXPANDED}
본 발명은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캐비티 상측의 길이부 확장을 통해 발광 영역이 확장된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는 백라이트 모듈이 이용된다. 백라이트 모듈로는 도광판과 그 도광판의 측면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사이드뷰 타입의 LED 패키를 포함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LED 패키지는, 전류 인가에 의해 p-n 반도체 접합에서 전자와 정공이 만나 광을 발하는 발광소자인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패키지 구조의 광원이다. 또한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는, 실장영역과 발광영역이 상하 수평으로 위치하는 톱 타입(top type) LED 패키지와 구별되는 개념의 패키지로, 실장영역과 발광영역이 수직을 이루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는, LED칩(201), 그 LED칩(201)이 수용되는 캐비티(211)를 구비한 하우징(210), 그리고, 전력 입력 수단으로 하우징(210)에 설치되는 리드프레임 수단을 포함한다. 캐비티(211)는 하우징(210)의 전면(前面)에 형성되고, 리드프레임 수단은, 캐비티(211)를 통해 보여지는 하우징(210) 내측의 제 1 및 제 2 내부리드(212a, 212b)와, 그 제 1 및 제 2 내부리드(212a, 212b)로부터 하우징(210)의 좌우 양 외측으로 연장된, 다단 절곡 구조의 제 1 및 제 2 외부리드(214a, 214b)로 구성된다. 또한, 캐비티(211) 내에는 액상의 투광성 수지를 충전한 후 경화시켜 LED칩(201) 보호를 위한 투광성의 봉지재를 형성한다.
종래의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외부리드(214a, 214b)는 항상 캐비티(211)의 영역을 피하여 위치한다. 그 이유는 제 1 및 제 2 외부리드(214a, 214b)가 캐비티(211)의 존재 영역에서 하우징(210) 외부로 연장될 경우, 캐비티(211) 내에 채워지는 액상의 투광성 수지가 하우징(210) 밖으로 새어 나가는 누설, 즉, 수지 샘 현상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캐비티(211)의 길이를 작게 형성하고, 그 캐비티(211) 없는 하우징 영역을 늘려줄 수 밖에 없었다. 이는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의 발광영역 확장을 저해하므로 광 효율을 크게 떨어뜨린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하우징 외측으로 외부리드가 연장되는 캐비티 바닥 측의 캐비티 길이부는 작게 하고, 발광 영역의 크기를 좌우하는 캐비티 상단측의 캐비티 길이부는 크게 하여, 발광영역 확장을 통해 광 효율을 향상시킨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는, LED칩과 봉지재 수용을 위한 캐비티를 갖되, 상기 캐비티가 바닥 측의 제 1 길이부로부터 그보다 큰 상단 측의 제 2 길이부로 경사지게 확장된 하우징과; 상기 제 1 길이부에 의해, 상기 캐비티 내측에 위치하는 노출 부분과, 상기 캐비티 외측에 위치하는 가린 부분으로 구분되는 제 1 및 제 2 내부리드와;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리드의 가린 부분 각각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수직 연장된 제 1 및 제 2 외부리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길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리드의 직상 영역까지 확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리드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90도로 절곡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전면(前面)을 통해 상기 캐비티가 보이는 1 두께부와, 상기 제 1 두께부보다 작은 제 2 두께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리드는 상기 90도로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두께부에 의해 가려진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리드는 상기 90도로 절곡된 상태에서 그 바닥면이 상기 제 1 두께부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을 이룬다. 또한, 상기 제 1 길이부와 상기 제 2 길이부 사이를 잇는 상기 캐비티의 내벽은 경사진 반사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 외측으로 외부리드가 연장되는 캐비티 바닥 측의 캐비티 길이부는 작게 하고, 발광 영역의 크기를 좌우하는 캐비티 상단측의 캐비티 길이부는 크게 하여, 발광영역 확장을 통해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리드가 2회 이상으로 절곡되어 하우징 바닥에 위치하던 종래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와 달리, 내부리드와 외부리드 사이의 1회 절곡만으로, 외부리드가 하우징의 바닥에 위치하므로, 공정 수 감소에 따른 경제적 이익 또한 크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를 저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I-I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100)는 LED칩(101) 및 그 LED칩(101)에 전력을 입력하기 위한 리드프레임 수단, 그리고, LED칩(101)을 수용하는 캐비티(111)를 구비한 하우징(110) 등을 포함한다. 도 2의 관점에서,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前面)에 캐비티(111)가 일정 깊이로 형성 되고, 상기 전면에 수직인 바닥면에 리드프레임 수단의 일부인 제 1 및 제 2 외부리드(114a, 114b; 점선으로 표시됨)가 위치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리드(114a, 114b)는 상기 하우징(110) 내에 위치한 제 1 및 제 2 내부리드(112a, 112b)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후 90도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LED칩(101)은 상기 캐비티(111) 내에서 상기 제 1 내부리드(112a) 상에 실장된 채 본딩와이어들에 의해 제 1 및 제 2 내부리드(112a, 112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복잡함을 피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캐비티(111) 내에는 액상의 투광성 수지가 충전된 후 경화되어 형성된 투광성의 봉지재가 마련된다.
도 3의 관점에서, 상기 캐비티(111)는 자신의 바닥 측의 제 1 길이부(L1)로부터 그보다 큰 상단측의 제 2 길이부(L2)로 경사지게 확장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길이부(L1)와 상기 제 2 길이부(L2) 사이의 캐비티 내벽(111a)은 가파른 일정 기울기의 경사면이며, 그 경사면은 상기 LED칩(101)으로부터 발생한 광을 반사시켜 캐비티(111)의 외측으로 보내는 반사면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내부리드(112a, 112b) 각각은, 상기 제 1 길이부(L1)에 의해, 상기 캐비티(111)의 내측에 위치하는 노출 부분(1120, 1120)과, 상기 캐비티(111)의 외측에 위치하는 가린 부분(1121, 1121)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리드(114a, 114b)는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리드(112a, 112b)의 가린 부분(1121, 1121) 각각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수직 연장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리드(114a, 114b)는, 상기 캐비티(111)와 완전히 분리된 채 하우징(110)에 의해 완전히 묻혀 있는 가린 부분(1121, 1121)들로부터 하우징(110) 외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리드(114a, 114b)가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된다 하더라도, 캐비티(111)에는 외부리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어떠한 누설 경로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상기 캐비티(111) 내에 액상의 수지가 충전되는 공정에서 수지가 하우징 외부로 새는 현상이 전혀 없음을 의미한다.
도 3의 관점에서, 상기 제 2 길이부(L2)는, LED 패키지(100)의 발광영역 크기를 결정하는 캐비티(111)의 최 상단 길이 부분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리드(114a, 114b)의 직상 영역까지 확장된다. 상기 제 2 길이부(L2)는, 제 1 길이부(L1)가 고정된 상태에서, 캐비티의 내벽(111a) 기울기와 제 1 길이부(L1)로부터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제 2 길이부(L2)의 제 1 및 제 2 외부리드(114a, 114b)의 직상 영역까지 확장은,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리드(114a, 114b)가 하우징(110)에 의해 완전히 묻힌 제 1 및 제 2 내부리드(112a, 112b)의 가린 부분(1121, 1121)에서 하우징(110) 외측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의 내벽(111a) 기울기를 크게 할수록, 캐비티(111)의 길이 확장 및 그에 따른 발광 영역의 확장이 가능하다.
도 4의 관점에서, 상기 하우징(110)은 제 1 두께부(T1)와 제 2 두께부(T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두께부(T1)는, 전면(前面)을 통해 상기 캐비티(111)가 보이는 부분으로서, 내부리드를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 2 두께 부(T2)는 내부리드(112a 및 112b; 도 2 및 도 3 참조)를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 1 두께부(T1)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다. 또한, 제 1 및 제 2외부리드(114a 및 114b; 도 2 및 도 3 참조)는 상기 내부리드로부터 90도로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두께부(T1)에 의해 가려진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리드(114a, 114b)는 상기 90도로 절곡된 상태에서 그 바닥면이 상기 제 1 두께부(T1)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을 이룬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와 비교를 위해 도시된 비교예에 따른 LED 패키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내부리드(312)가 하우징(310)의 캐비티(311)와 면해 있으며, 그 내부리드(312)로부터 외부리드(314)가 90도로 절곡된 채 하우징(310)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부리드(312)와 외부리드(314) 사이의 절곡 부위에 의해, 상기 하우징(310)에는 액상의 수지(R)가 누설되는 틈(G)이 형성된다. 상기 틈(G)을 통해 액상의 수지(R)가 흘러나올 수 있다.
위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뷰 LED 패키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111)가 내부리드(112a)로부터 완전히 이격되어 있으며, 따라서, 내부리드(112a)와 외부리드(114a) 사이의 절곡의 의해서도 캐비티(111)와 연결될 수 있는 어떠한 틈도 하우징(110)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캐비티(111)의 구조, 즉, 내부리드(112a, 112b)를 노출 부분과 가린 부분으로 한정하는 제 1 길이부(L1)와, 캐비티 내벽의 급경사에 의해 발광영역을 확장시키는 제 2 길이부(L2)를 포함하는 캐비티(111)의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 다.
아래의 [표 1]은 캐비티의 크기 및 반사면으로서의 캐비티의 내벽 기울기에 따른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의 광 효율의 변화를 보여준다. 캐비티의 각 부분의 치수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다. [표 1]의 각 비교예와 실시예들에 사용된 LED칩은 동일한 것이며, 광효율은 LED칩의 광효율이 100%인 것으로 하여, LED칩에 대비한 광효율이다.
아래의 [표 1]로부터, x2로 표시된 캐비티의 제 2 길이부 길이가 클수록 광효율이 크게 증가되며, 제 2 길이부의 길이가 같은 경우에는, x1으로 표시된 캐비티의 제 1 길이부 길이가 클수록 광효율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Figure 112008038063619-PAT00001
도 1은 종래의 사이드뷰 LED 패키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를 저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I-I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5는 비교예로서 가상의 사이드뷰 LED 패키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광효율 테스트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5)

  1. LED칩과 봉지재 수용을 위한 캐비티를 갖되, 상기 캐비티가 바닥 측의 제 1 길이부로부터 그보다 큰 상단측의 제 2 길이부로 경사지게 확장된 하우징과;
    상기 제 1 길이부에 의해, 상기 캐비티 내측에 위치하는 노출 부분과, 상기 캐비티 외측에 위치하는 가린 부분으로 구분되는 제 1 및 제 2 내부리드와;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리드의 가린 부분 각각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수직 연장된 제 1 및 제 2 외부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길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리드의 직상 영역까지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리드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90도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면(前面)을 통해 상기 캐비티가 보이는 1 두께부와, 상기 제 1 두께부보다 작은 제 2 두께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리드는 상기 90도로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두께부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리드는 상기 90도로 절곡된 상 태에서 그 바닥면이 상기 제 1 두께부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길이부와 상기 제 2 길이부 사이를 잇는 상기 캐비티의 내벽은 경사진 반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
KR1020080049529A 2008-05-28 2008-05-28 발광영역이 확장된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 KR101017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529A KR101017393B1 (ko) 2008-05-28 2008-05-28 발광영역이 확장된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529A KR101017393B1 (ko) 2008-05-28 2008-05-28 발광영역이 확장된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448A true KR20090123448A (ko) 2009-12-02
KR101017393B1 KR101017393B1 (ko) 2011-02-28

Family

ID=4168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529A KR101017393B1 (ko) 2008-05-28 2008-05-28 발광영역이 확장된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3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6662B2 (en) 2010-01-15 2013-07-02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backlight unit
KR20130118552A (ko) * 2012-04-20 2013-10-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발광 장치
KR20160020637A (ko) * 2014-08-13 2016-0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엘이디 패키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721B1 (ko) * 2005-01-28 2006-10-30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지 흐름 개선용 리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측면형발광다이오드 패키지
TWI284433B (en) * 2006-02-23 2007-07-21 Novalite Optronics Corp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714628B1 (ko) 2006-03-17 2007-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20080062504A (ko) * 2006-12-29 2008-07-03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측면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6662B2 (en) 2010-01-15 2013-07-02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backlight unit
KR20130118552A (ko) * 2012-04-20 2013-10-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발광 장치
KR20160020637A (ko) * 2014-08-13 2016-0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엘이디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7393B1 (ko) 201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8233B2 (ja) スリム型ledパッケージ
KR20120099963A (ko)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KR101088910B1 (ko)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757826B1 (ko) 측면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101374897B1 (ko) 산란수단을 갖는 led 패키지
US9899587B2 (en) Lead frame an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having the same
US8319429B2 (en) Light emitting diode module having a ground lead
US20090189176A1 (en) Light-emitting diode package
KR20120096216A (ko) 발광소자 패키지
JP2014049764A (ja) 側面型発光ダイオード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17393B1 (ko) 발광영역이 확장된 사이드뷰 타입 led 패키지
CN101494264A (zh) 侧发光式发光二极管封装
JP2013219260A (ja) 発光装置、照明装置及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2011101019A (ja) エッジライト式発光素子のパッケージハウジング及びパッケージ構造体
TW201426966A (zh) 發光二極體燈條
US8945959B2 (en) LED with thin package stru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50283A (ko) Led 패키지
KR20100030942A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101121728B1 (ko) 방열 구조를 갖는 led 패키지
KR20130014755A (ko)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조명 시스템
JP3199100U (ja) 発光ダイオードブラケット
KR101433261B1 (ko) 발광소자
KR101078031B1 (ko) 측면 발광형 발광소자 패키지 및 백라이트 모듈
KR100877550B1 (ko) 엘이디리드패널을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KR101283579B1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