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7884A -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그 광학용 성형체 및 그 광확산 필름 - Google Patents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그 광학용 성형체 및 그 광확산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7884A
KR20090117884A KR1020097017976A KR20097017976A KR20090117884A KR 20090117884 A KR20090117884 A KR 20090117884A KR 1020097017976 A KR1020097017976 A KR 1020097017976A KR 20097017976 A KR20097017976 A KR 20097017976A KR 20090117884 A KR20090117884 A KR 20090117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ene
aromatic polycarbonate
polycarbonate resin
resin composition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미 고구레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17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88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07Of polycarbon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5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A)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99질량% 및 (B) 스타이렌계 수지 1~40질량%로 이루어지는 수지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방향족계 바이닐 단량체 단위 및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단위로 구성되는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상용화제 1~3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투명성 및 압출 안정성이 향상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그 광학용 성형체 및 그 광확산 필름{AROMATI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MOLDED BODY THEREOF FOR OPTICAL USE, AND LIGHT DIFFUSION FILM}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그 광학용 성형체 및 그 광확산성 필름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스타이렌계 수지 및 특정한 상용화제로 이루어지고, 특히 투명성, 압출 안정성, 내약품성, 난연성, 내열성, 내충격성이 우수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그 광학용 성형체 및 그 광확산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 특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내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기계적 강도나 내충격 강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 카보네이트 수지는 이들 성능에 더하여, 투명하거나, 난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자동차 부품, 가전 부품, OA 기기 부품, 그리고 정보기록매체를 비롯한 다방면의 분야에서 사용되기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을 갖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내약품성이 뒤떨어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지가 갖는 이러한 높은 여러 성능, 투명성 및 내약품성의 모두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것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신디오택틱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와의 블렌드(예컨대, 특허문헌 1 및 2 참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신디오택틱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의 2원계에서는, 신디오택틱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의 분산성이 불충분하여, 압출 성형 시에 폭, 두께 변동이 커서 생산성이 뒤떨어지는 것을 면할 수 없다.
또한, 작금,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LCD 분야로 대표되는 광학 기능 필름의 분야에도 사용되고 있지만,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광학 응력 계수가 높아, 압출 성형 시의 변형에 의해 복굴절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배향 제어를 행하는 위상차 필름 용도에서는 용제 캐스팅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빛은 복굴절성을 가지는 물질에 입사하면, 서로 수직한 진동 방향을 가지는 2개의 광으로 나누어져, 그 진행하는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결상점이 어긋난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확산 필름, 렌즈 필름의 베이스 필름으로서도 다용되고 있지만, 복굴절성에 의한 결상 성능 저하 때문에, 색 얼룩·번짐 등이 종종 과제가 된다. 그래서 확산 필름의 베이스 필름을 제조할 때는, 성형기의 라인 스피드를 느리게 함으로써 복굴절을 저감시키고 있지만, 이 방법으로는 현저히 생산성이 저하되어, 비용증가(cost-up) 및 공급 능력의 부족 등이 문제로 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상용화 기술 중 스타이렌/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하더라도 분산성은 향상할 수 있지만,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신디오택틱 폴리스타이렌계 수지에 대하여 굴절률차를 발생시켜, 첨가량을 늘리면 투명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4-21091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4-210916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투명성 및 압출안정성이 향상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 특정한 상용화제를 소정의 비율로 블렌드하는 것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도달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1. (A)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99질량% 및 (B) 스타이렌계 수지 1~40질량%로 이루어지는 수지 혼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C) 상용화제를 1~30질량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상용화제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방향족계 바이닐 단량체 단위 및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단위로 구성되는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Figure 112009052921495-PCT00001
Figure 112009052921495-PCT00002
[식중, R1은 할로젠 원자, 탄소 원자, 산소 원자 및 규소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a는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하기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단, R1이 복수 있는 경우는 그들은 서로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다.
Figure 112009052921495-PCT00003
[식중, R4는 할로젠 원자, 탄소 원자, 산소 원자 및 규소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b는 0~5의 정수를 나타낸다. 단, R4가 복수 있는 경우는 그들은 서로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다.]
2. 상기 스타이렌계 수지가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스타이렌계 (공)중합체인 상기 1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3. 상기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스타이렌계 (공)중합체가 스타이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스타이렌과 p-메틸스타이렌의 공중합체인 상기 2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4. 상기 1~3의 어느 하나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광학용 성형체.
5. 상기 1~3의 어느 하나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광확산층을 갖는 광확산성 필름.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혼합물에 있어서, 스타이렌계 수지의 분산성이 향상하여, 투명성 및 압출 안정성이 개량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A)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99질량%, 바람직하게는 65~9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90질량% 및 (B) 스타이렌계 수지 1~40질량%, 바람직하게는 5~3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질량%로 이루어지는 수지 혼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C) 상용화제를 1~3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3~25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20질량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상용화제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방향족계 바이닐 단량체 단위 및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단위로부터 구성되는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9052921495-PCT00004
[화학식 II]
Figure 112009052921495-PCT00005
[식중, R1은 할로젠 원자, 탄소 원자, 산소 원자 및 규소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a는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다음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단, R1이 복수 있는 경우는 그들은 서로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다.]
[화학식 III]
Figure 112009052921495-PCT00006
[식중, R4는 할로젠 원자, 탄소 원자, 산소 원자 및 규소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b는 0~5의 정수를 나타낸다. 단, R4가 복수 있는 경우는 그들은 서로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A)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B)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혼합물 중, (A)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60질량% 미만이면 성형하여 얻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의 인성이 저하되고, 99질량%를 초과하면 복굴절의 저감이 곤란해지고, (B) 스타이렌계 수지가 1질량% 미만이면 복굴절의 저감이 곤란해지고, 40질량%를 초과하면 성형하여 얻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의 인성이 저하된다. 또한, (C)의 상용화제에 관해서는, 그 양이 (A) 성분 및 (B)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혼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1질량부 미만이면, 상용성이 불충분해지고 인성이 저하되며, 게다가 두께 방향으로 층상 박리를 일으키고, 30질량부를 넘는 양을 배합하면 필름 성형 시의 점도가 저하되어, 드로다운(draw down)이 커진다.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사용하는 (A)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일반적으로 방향족 2가 하이드록시 화합물(2가 페놀류)과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반응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다음 화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52921495-PCT00007
여기서, R5 및 R6은, 각각 할로젠 원자(예컨대, 염소, 브롬, 불소, 요오드), 알콕시기, 에스터기, 카복실기, 하이드록실기,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전탄 소수 6~20의 방향환 상에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갖는 방향족기이며, o-위치, m-위치의 어디에 결합하고 있더라도 좋으며, 이 R5가 복수 있는 경우, 그들은 동일하더라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고, R6이 복수 있는 경우, 그들은 동일하더라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d 및 e는 각각 0~4의 정수이다. n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10~400이다. 그리고 X는, 단일 결합, 탄소수 1~8의 알킬렌기, 탄소수 2~8의 알킬리덴기, 탄소수 5~15의 사이클로알킬렌기, 탄소수 5~15의 사이클로알킬리덴기, 또는 -S-, -SO-, -SO2-, -O-, -CO-결합 또는 다음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52921495-PCT00008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를 위한 반응 원료인 방향족 2가 하이드록시 화합물(비스페놀)로서는,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비스페놀 A],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하이드로퀴논; 4,4'-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알케인;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케톤과 같은 비스(4-하이드록시페닐) 화합물, 또는 비스(3,5-다이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비스(3,5-다이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같은 할로젠화 비스페 놀류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화합물이 치환기로서 알킬기를 갖는 경우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4의 알킬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방향족 2가 하이드록시 화합물에 방향족 다가 하이드록시 화합물을 조합시켜 얻어지는 분지형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분자의 말단 구조는 특별히 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사용하는 (B) 스타이렌계 수지의 제조 원료인 스타이렌계 모노머는, 스타이렌 및 스타이렌 유도체이다. 여기서, 스타이렌계 모노머로서는, 각종의 것이 있지만,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다음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스타이렌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52921495-PCT00009
여기서, R7은, 할로젠 원자, 또는 탄소 원자, 산소 원자 또는 규소 원자의 어느 것인가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f는 0~5의 정수를 나타낸다. 단, R7이 복수 있을 때는, R7은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다.
이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스타이렌계 모노머에 있어서, R7은 전술과 같이 각 종의 치환기를 나타내지만, 할로젠 원자로서는, 염소, 불소, 브롬, 요오드를 들 수 있다. 또한,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기의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아이소프로필기, 터셔리 뷰틸기 등의 탄소수 1~20의 알킬기, 또는 클로로에틸기, 브로모에틸기 등의 탄소수 1~20의 할로젠 치환 알킬기가 있다. 그 위에 또, 탄소 원자와 규소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기의 구체예로서는 트라이메틸실릴기 등의 탄소수 1~20의 알킬실릴기를 들 수 있다.
이 스타이렌계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스타이렌, p-메틸스타이렌; o-메틸스타이렌; m-메틸스타이렌; 2,4-다이메틸스타이렌; 2,5-다이메틸스타이렌; 3,4-다이메틸스타이렌; 3,5-다이메틸스타이렌; p-터셔리 뷰틸스타이렌 등의 알킬스타이렌, p-클로로스타이렌; m-클로로스타이렌; o-클로로스타이렌; p-브로모스타이렌; m-브로모스타이렌; o-브로모스타이렌; p-플루오로스타이렌; m-플루오로스타이렌; o-플루오로스타이렌; o-메틸-p-플루오로스타이렌 등의 할로젠화 스타이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스타이렌계 수지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의 스타이렌계 모노머의 1종류를 이용하여 중합할 수도 있고,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하여 공중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스타이렌계 모노머를 (공)중합함으로써 수득된 어택틱, 신디오택틱, 아이소택틱 구조를 갖는 스타이렌계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스타이렌계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스타이렌의 단독 중합체나, 스타이렌과 p-메틸스타이렌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광학용 성형체로 하는 관점에서, 단독으로 필름 성형을 한 경우,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이 되는 투명성의 스타이렌계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사용하는 (C) 상용화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상용화제는,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방향족계 바이닐단량체 단위 및 하기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단위로부터 구성되는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9052921495-PCT00010
[화학식 II]
Figure 112009052921495-PCT00011
[식중, R1은 할로젠 원자, 탄소 원자, 산소 원자 및 규소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a는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R2는 탄소 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다음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단, R1이 복수 있는 경우는 그들은 서로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다.
여기서, R1에 있어서, 할로젠 원자로서는, 염소, 불소, 브롬, 요오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기의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아이소프로필기, 터셔리 뷰틸기 등의 탄소수 1~20의 알킬기 또는 클로로에틸기, 브로모에틸기 등의 탄소수 1~20의 할로젠 치환 알킬기가 있다. 그 위에 또, 탄소 원자와 규소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기의 구체예로서는 트라이메틸실릴기 등의 탄소수 1~20의 알킬실릴기를 들 수 있다. R2의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기를 들 수 있다.]
[화학식 III]
Figure 112009052921495-PCT00012
[식중, R4는 할로젠 원자, 탄소 원자, 산소 원자 및 규소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b는 0~5의 정수를 나타낸다. 단, R4가 복수 있는 경우는 그들은 서로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다.
여기서, R4에 있어서, 할로젠 원자로서는, 염소, 불소, 브롬, 요오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기의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아이소프로필기, 터셔리 뷰틸기 등의 탄소수 1~20의 알킬기 또는 클로로에틸기, 브로모에틸기 등의 탄소수 1~20의 할로젠 치환 알킬기가 있다. 그 위에 또, 탄소 원자와 규소 원자를 포함하는 치환기의 구체예로서는 트라이메틸실릴기 등의 탄소수 1~20의 알킬실릴기를 들 수 있다.]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방향족계 바이닐 단량체 단위의 원료인 방향족계 바이닐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스타이렌, 메틸스타이렌, 에틸스타이렌, 터셔리 뷰틸스타이렌 등의 알킬스타이렌, 브로모화 스타이렌 등의 할로젠화 스타이렌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특히 스타이렌, p-메틸스타이렌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단위의 원료인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페닐메타크릴레이트, 페닐에타크릴레이트, 페닐프로필아크릴레이트, 메틸페닐메타크릴레이트, 브로모페닐메타크릴레이트, 클로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특히 페닐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방향족계 바이닐 단량체 단위와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단위의 비율로서는, 몰비로, 통상 50:50~99:1 정도, 바람직하게는 60:40~95:5, 보다 바람직하게는 60:40~90:10이다.
또한, (C) 상용화제의 용융 지수(melt index; MI)는, 유동성의 향상과 기계적 강도의 균형의 관점에서, 30~200g/10분(하중 2.16kg, 280℃), 바람직하게는 40~18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50g/10분 정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는, 또한, 이하의 (D) 내광제, (E) 아크릴계 수지, (F) 인계 안정화제 및 (G) 오가노폴리실록세인을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D)성분의 내광제는,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극대 파장이 290~330nm인 자외선 흡수제이다. 내광제로서는, 말론산 에스터계 화합물, 옥살릴아라니드계 화합물, 및 벤조트라이아졸계 골격을 갖는 측쇄를 가지는 아크릴계 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이용할 수 있다.
말론산 에스터계 화합물로서는, 벤질리덴 비스다이에틸말로네이트, 4-메톡시페닐-메틸렌-다이메틸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옥살릴아라니드계 화합물로서는, 탄소수 1~12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옥살릴아라니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트라이아졸계 골격을 갖는 측쇄를 갖는 아크릴계 폴리머로서는,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MMA) 측쇄에 2-(5-t-옥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기가 결합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D)성분의 내광제의 배합량은, (A)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B)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혼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0.05~5질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0.1~3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3~2질량부이다. 이 내광제의 배합량이 0.05질량부 이상이면, 내광성의 발현이 양호하고, 5질량부 이하이면 초기 의 색조가 유지된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E)성분의 아크릴계 수지란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메트)아크릴로나이트릴 및 그 유도체의 모노머 단위를 반복 단위로 하는 폴리머를 말하고, 단독 중합체 또는 스타이렌, 뷰타다이엔 등과의 공중합체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MMA),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에틸-아크릴산-2-클로로에틸 공중합체, 아크릴산-n-뷰틸-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 아크릴로나이트릴-스타이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 등이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MMA)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MMA)은 공지된 것으로 좋고, 통상, 과산화물, 아조계의 중합개시제의 존재하에, 메타크릴산 메틸 모노머를 괴상 중합하여 만들어진다.
(E)성분의 아크릴계 수지의 배합량은, (A)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B)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혼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0.001~5질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0.01~2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질량부이다. 이 아크릴계 수지의 배합량이 0.01질량부 이상이면, 베이스 수지 매트릭스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도광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휘도가 저하되지 않고, 1질량부 이하이면 아크릴계 수지 성분의 상분리에 의한 백탁을 억제할 수 있어, 베이스 수지 매트릭스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도광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휘도가 저하하지 않는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의 분자량은, 베이스 수지 매트릭스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점도평균 분자량으로, 통상 1,000~200,000 정도, 바람직하게는 5,000~15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100,000이다.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F)성분의 인계 안정화제를 배합하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성형 시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인계 안정화제는, 인산계 화합물 및 방향족 포스핀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며,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이용할 수 있다. 인산계 화합물로서는, 아인산, 인산, 아포스폰산, 포스폰산 및 이들의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라이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다이-tert-뷰틸페닐)포스파이트, 트라이데실포스파이트, 트라이옥틸포스파이트, 트라이옥타데실포스파이트, 다이데실모노페닐포스파이트, 다이옥틸모노페닐포스파이트, 다이아이소프로필모노페닐포스파이트, 모노뷰틸다이페닐포스파이트, 모노데실다이페닐포스파이트, 모노옥틸다이페닐포스파이트, 비스(2,6-다이-tert-뷰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다이포스파이트, 2,2-메틸렌비스(4,6-다이-tert-뷰틸페닐)옥틸포스파이트, 비스(노닐페닐)펜타에리트리톨다이포스파이트, 비스(2,4-다이-tert-뷰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다이포스파이트, 다이스테아릴펜타에리트리톨다이포스파이트, 트라이뷰틸포스페이트, 트라이에틸포스페이트, 트라이메틸포스페이트, 트라이페닐포스페이트, 다이뷰틸포스페이트, 다이옥틸포스페이트, 다이아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4,4'-바이페닐렌다이포스포스핀산 테트라키스(2,4-다이-tert-뷰틸페닐), 벤젠포스폰산 다이메틸, 벤젠포스폰산 다이에틸, 벤젠포스폰산 다이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 트라이메틸포스페이트, 트리스(2,4-다이-tert-뷰틸페닐)포스파이트 및 벤젠포스폰산 다이메틸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F)성분의 인계 안정제 중의 방향족 포스핀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방향족 포스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P-(X)3
(식중, X는 탄화수소기이며, 적어도 그 하나는 치환기를 가질 수도 있는 탄소수 6~18의 아릴기이다.)
구체적으로는, 트라이페닐포스핀, 다이페닐뷰틸포스핀, 다이페닐옥타데실포스핀, 트리스-(p-톨릴)포스핀, 트리스-(p-노닐페닐)포스핀, 트리스-(나프틸)포스핀, 다이페닐-(하이드록시메틸)-포스핀, 다이페닐-(아세톡시메틸)-포스핀, 다이페닐-(β-에틸카복시에틸)-포스핀, 트리스-(p-클로로페닐)포스핀, 트리스-(p-플루오로페닐)포스핀, 다이페닐벤질포스핀, 다이페닐-β-사이아노에틸포스핀, 다이페닐 -(p-하이드록시페닐)-포스핀, 다이페닐-1,4-다이하이드록시페닐-2-포스핀, 페닐나프틸벤질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트라이페닐포스핀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F)성분의 인계 안정제의 배합량은, (A)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B)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혼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0.001~1질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0.005~0.8,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8~0.5이다. 이 배합량 이 0.001질량부 이상이면, 성형 시의 열안정성이 양호해지고, 1질량부 이하이면, 효과와 경제성의 균형이 양호해진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G)성분의 오가노폴리실록세인은, 알콕시기, 바이닐기, 페닐기 및 다이페닐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를 갖고, 예컨대, 실리콘계 화합물에 메톡시기, 바이닐기, 페닐기 및 다이페닐기의 적어도 1종의 기를 도입한 반응성 실리콘계 화합물 등이며, 필요에 응하여 배합된다.
상기 (G)성분은, 성형시의 열 열화에 의한 황변, 실버(은조) 등의 외관 불량, 기포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안정제로서 배합된다.
상기 (G)성분의 배합량은, (A)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B)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혼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0.01~1질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0.03~0.8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0.5질량부의 범위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배합량이 0.01질량부 이상이면, 상기 배합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고, 1질량부 이하에서는, 성형품에 흐려짐(haze) 등이 생기는 일이 없다.
상기 각 성분을 배합 및 혼련하는 방법은 통상의 방법으로 하면 되고, 예컨대, 리본 블렌더, 헨셀 믹서, 밴버리 믹서, 드럼 텀블러, 단축 스크류 압출기, 2축 스크류 압출기, 코니더, 다축 스크류 압출기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혼련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는 통상 280~320℃가 적당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성형체의 성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사출 성형이 바람직하다. 사출 성형하는 경우, 통상 실린더 온도를 260~320℃ 정도, 금형 온도 50~120℃ 정도로 성형한다. 높은 투명성의 것을 얻기 위해서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스타이렌계 수지의 상분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급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금형 온도를 낮추어 설정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광확산성 필름에 사용되는 기재 필름의 성형에서는, 상기 조성물 재료를 120~140℃ 정도, 2~10시간 정도 건조하여, 탈휘 장치 구비 압출기로 압출, 다이스 온도 200~260℃ 정도, 롤 온도 80~180℃ 정도로 필름 성형한다.
여기서, 재료의 건조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130~140℃, 2~10시간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30~140℃, 4~10시간이다. 이 재료의 건조는 일반 가열 공기, 건조 공기, 진공하 등의 분위기 하에서 행할 수 있다. 이 건조에 의해 재료에 포함되는 수분, 복합화 시에 생기는 휘발성의 반응 부생성물의 대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필름 성형용의 압출 장치에는 탈휘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탈휘 장치는 용융 상태로 대기 압력 이하로 감압할 수 있는 것으로, 압출 시에 8kpa 이하, 바람직하게는 4kpa 이하로 감압한다. 이 감압 탈휘에 의해 재료에 잔존하는 수분, 복합화 시에 생기는 휘발성의 반응 부생성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본 압출 성형에 의해 생성하는 부차적인 휘발성의 반응 부생성물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재료의 건조 및 압출 성형시의 탈휘가 불충분하면 시트가 발포 또는 표면 상태의 표면 거칠어짐(肌荒)이 생겨, 광학 특성(투과율)이 저하되기 쉽다.
또한 상기 기재 필름 성형에서는 다이스 온도는 통상 200~260℃ 정도, 바람직하게는 200~250℃, 더 바람직하게는 200~240℃이다. 다이스 온도가 260℃를 초과하면, 열 열화에 따르는 색조 저하를 일으키기 쉽다.
또한, 필름 성형 시의 냉각 롤 온도는, 통상 80~180℃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90~150℃이다. 여기서 모든 롤 온도가 80℃ 미만이면 롤에의 밀착 부족 때문에, 표면의 평활성이 저하되어 헤이즈 등의 외관 불량을 일으키기 쉽다. 또한, 모든 롤 온도가 180℃를 초과하면 생산성의 저하 및 롤에의 점착, 밀착에 의해 표면의 밀착, 박리 얼룩이 생겨, 양호한 광학 특성의 필름이 얻어지기 어렵다. 상기 기재 필름의 두께는, 통상 30~1000㎛, 바람직하게는 50~500㎛ 정도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광확산성 필름을 구성하는 광확산층은, 빛을 확산 반사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빛의 확산 반사는, 광확산층에, 유기 입자 및 무기 입자로부터 선택되는 평균 입경 1~20㎛, 바람직하게는 1~15㎛, 보다 바람직하게는 3~15㎛의 입자를 분산시키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이 평균 입경이 1㎛ 미만이면, 빛의 확산 반사의 효과가 불충분하며, 또한, 평균 입경이 20㎛를 초과하면, 표면이 필요 이상으로 조면화되거나, 입자의 탈락이 일어나기 쉽게 된다.
유기 입자로서는, 아크릴계 가교 입자, 스타이렌계 가교 입자 등을 들 수 있고, 아크릴계 가교 입자 및 스타이렌계 가교 입자가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가교 입자의 시판품으로서는, MBX(상품명 세키스이플라스틱주식회사제)를 들 수 있다. 무기 입자로서는, 실리카, 산화타이타늄, 알루미나, 산화아연, 황산바륨,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카올린, 탈크 등을 들 수 있고, 실리카 및 산화타이타늄이 바람직하다. 실리카의 시판품으로서는, 미즈카실(상품명 미즈사와화학공업주식회사제)을 들 수 있다. 이들 입자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입자의 함유량은, 빛의 확산 반사성의 점에서, 광확산층 중 0.5~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2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기 입자 및/또는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광확산층의 형성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해서, 유기 입자 및/또는 무기 입자를 수지 성분에 분산시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지 성분을 용해시키고, 유기 입자 및/또는 무기 입자를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액체, 수지 성분과, 유기 입자 및/또는 무기 입자를, 미리 별도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고, 이것을 혼합한 혼합액을 도액(塗液)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용매로서는 물 및 유기 용매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적절히 이용하면 된다.
유기 입자 및/또는 무기 입자와 혼합하는 수지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염화바이닐계 수지, 폴리염화바이닐리덴계 수지, 폴리스타이렌계 수지, 폴리아세트산 바이닐계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의 수지 성분 중, 아크릴계 수지 및 메타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안정제 성분 및/또는 자외선 흡수제 성분이 공중합되어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메타크릴계 수지를 내광층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하는 경우에는, 광안정제 성분 및/또는 자외선 흡수제 성분과, 아크릴 모노머 성분 또는 메타크릴 모노머 성분을 공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유기 입자 및/또는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광확산층은, 상기 기재 필름에 직접 설치하더라도 좋지만, 접착성이 부족한 경우에는, 기재 필름의 표면을 코로나 방전 처리하거나 하인(下引) 처리한 후에 광확산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인 처리는, 상기 필름 제조 공정 내에서 설치하는 방법(인라인 코팅법)이라도 좋고, 또한, 기재 필름을 제조한 후, 별도 도포하여 설치하는 방법(오프라인 코팅법)이라도 좋다. 하인 처리에 사용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없고, 적절히 선택하면 되지만, 공중합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및 각종 커플링제 등이 적합하다.
기재 필름 상에 광확산층을 설치할 때, 도액은 임의의 방법으로 도포할 수 있다. 예컨대 그라비어 코팅, 롤 코팅, 스핀 코팅, 리버스 코팅, 바 코팅, 스크린 코팅, 블레이드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디핑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포 후, 예컨대 열풍 오븐으로, 통상 80~120℃에서 건조시킨다. 또한, 도포 후에 광확산층을 경화시키는 경우,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열경화시키는 방법, 자외선, 전자선, 방사선 등의 활성선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방법,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한 경화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가교제 등의 경화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확산층 형성을 위한 도액은, 기재 필름 제조 시에 도포(인라인 코팅)할 수도 있고, 결정 배향 완료 후의 기재 필름 상에 도포(오프라인 코팅)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광확산성 필름은,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빛을 확산 반사하는 광확산층이 설치된 것이다. 광확산층의 두께 는 0.5~20㎛인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1~15㎛,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이다. 광확산층의 두께가 0.5㎛ 미만이면,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빛의 확산 반사성능이 불충분해지고, 광확산층의 두께가 20㎛를 초과하면, 광확산성 필름의 고반사 특성이 저해된다.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게시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하등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A)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스타이렌계 수지 및 (C) 상용화제로서, 하기의 것을 이용했다.
(A)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PC1: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타플론 A2200, 이데미쓰 고산 주식회사제)
(B) 스타이렌계 수지:
SPS1: 파라메틸스타이렌 7몰% 공중합체(신디오택틱), 자레크 142ZE(이데미쓰 고산 주식회사제), (100㎛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 89%)
SPS2: 파라메틸스타이렌 12몰% 공중합체(신디오택틱), 자레크 201AE(이데미쓰 고산 주식회사제), (100㎛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 89%)
SPS3: 스타이렌 단독 중합체(신디오택틱), 자레크 130ZC(이데미쓰 고산 주식회사제), (100㎛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 88%)
APS1: 스타이렌 단독 중합체(어택틱), HH203(PS 재팬 주식회사제), 용융 지수(MI)=3.3g/10분(하중 5kg, 200℃), (100㎛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 90%)
(C) 상용화제:
Comp1: 스타이렌/페닐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타블렌 TP003, 미쓰비시 레이온 주식회사), MI=100g/10분(하중 2.16kg, 280℃), 스타이렌/페닐메타크릴레이트=89/11몰%, 유리전이점(Tg)=97.8℃
Comp4: 스타이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MX121, PS 재팬 주식회사제), 용융 지수(MI)=1.5g/10분(하중 5kg, 200℃)
Comp5: 스타이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록상표: 모디파 MS-10B, 니혼 유지 주식회사제), 용액 점도 2.0Pa·s(스타이렌 모노머에 30질량% 용해시켰을 때의 점도)
한편, 시트의 여러 가지 성능의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평가법>
(투과율)
JIS K 7105에 기재된 광선 투과율 측정법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면내 복굴절)
Metricon사제 MODEL 2010 PRISM COUPLER를 이용하여, 필름의 MD, TD의 굴절률을 측정하여 구했다.
(필름 폭 변동률)
실시예, 비교예로 제작한 캐스팅 필름 중에서 MD에 2cm 간격으로 50점, 폭을 측정하여 표준 편차를 구했다. 본 평가에 있어서 그 수치가 클 수록 필름 폭의 변동이 커서, 제품 생산상 문제가 된다.
(평균 필름 폭)
실시예, 비교예로 제작한 캐스팅 필름 중에서 MD에 2cm 간격으로 50점, 폭을 측정하여, 평균 필름 폭을 산출했다. 본 평가에 있어서 그 수치가 작을 수록 드로다운이 커서, 제품 유효 폭이 제한된다.
실시예 1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1) 90질량%와 스타이렌계 수지(SPS1) 10질량%로 이루어지는 수지 혼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용화제(Comp1) 3질량부를 배합하고, 벤트식 단축 혼련기로 압출 온도 290℃에서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수득했다. 이 조성물을 다이스 폭 150mm의 25mmφ 단축 캐스팅 성형기로 압출 온도 270℃, 토출 3kg/hr, 냉각 롤 온도 90℃, 인취 속도 5m/min에서 성형하여, 두께 100㎛의 필름을 수득했다. 또, 수득된 필름의 여러 가지 성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6 및 10
각 배합 원료를 각각,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필름을 성형했다. 또한 수득된 필름의 여러 가지 성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3방 활마개를 갖춘 1000cm3 삼각 플라스크에 모노머로서 스타이렌 89질량부, 에타크릴산 페닐 11질량부와 개시제로서 벤조일 퍼옥사이드 1.2질량부를 함께 가하고, 혼합·용해하여 모노머액을 작성하고, 플라스크 내를 질소 가스로 약 1시간 치환한다. 그 후, 순수 2800g을 붓고, 85℃까지 승온시켜 중합을 시작하여, 85℃에서 6시간, 98℃에서 3시간 중합을 실시했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수지를 탈수, 건조하여 스타이렌/페닐에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얻었다(Comp2). 본 공중합체의 용융 지수(MI)는 100g/10분(하중 2.16kg, 280℃)이었다. 상용화제로서 Comp1 대신에 상기 Comp2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필름을 성형했다. 또한, 수득된 필름의 여러 가지 성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3방 활마개를 갖춘 1000cm3 삼각 플라스크에 모노머로서 스타이렌 89질량부, 메타크릴산 p-메틸페닐 11질량부와 개시제로서 벤조일 퍼옥사이드 1.2질량부를 함께 가하고, 혼합·용해하여 모노머액을 작성하고, 플라스크 내를 질소 가스로 약 1시간 치환한다. 그 후, 순수 2800g을 붓고, 85℃까지 승온시켜 중합을 시작하여, 85℃에서 6시간, 98℃에서 3시간 중합을 실시했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수지를 탈수, 건조하여 스타이렌/p-메틸페닐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얻었다(Comp3). 본 공중합체의 용융 지수(MI)는 90g/10분(하중 2.16kg, 280℃)이었다. 이것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필름을 성형했다. 또한, 수득된 필름의 여러 가지 성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성형하여 수득된 100㎛의 필름 표면에 아크릴 수지(아크리페트 MF, 미쓰비시 레이온 주식회사제)를 아세트산 에틸/프로필렌 글라이콜 메틸 에테르 질량비=1/2의 혼합 용제에 고형분 20질량%의 농도로 용해하고, 추가로 고형분에 대하여 10질량%로 가교 아크릴 입자(MBX-5, 세키스이플라스틱주식회사제, 평균 입자경 5㎛)를 첨가, 교반에 의해 분산시키고 바 코터를 이용하여 막 두께 10㎛로 되도록 도포하고 열풍 오븐 속에서 120℃, 5분의 조건으로 건조하여, 복굴절성을 저감시킨 확산 필름을 수득했다. 또, 수득된 필름의 여러 가지 성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5
각 배합 원료를 각각,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필름을 성형했다. 또한 수득된 필름의 여러 가지 성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52921495-PCT00013
Figure 112009052921495-PCT00014
표 1로부터 이하를 알 수 있다.
(1) 실시예 1~10과 비교예 1의 대비로부터 분명하듯이,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스타이렌계 수지를 배합함으로써, 면내 복굴절이 억제된다.
(2) 실시예 1~10과 비교예 2~4와의 대비로부터, 상용화제를 이용함으로써 필름 폭 변동률이 대폭 개선된다. 또한, 상용화제로서 본원 발명의 스타이렌/페닐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이용함으로써 필름 평균 폭 및 투과율이 양호해지고, 더욱이 헤이즈가 현저히 향상한다.
(3) 비교예 5로부터, 상용화제가 지나치게 많으면 드로다운이 커져, 필름 평균 폭이 대폭 저하된다.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액정 디스플레이 분야 등에 있어서의 광확산판 용도, 광학 렌즈, 광학용 성형체, 도광판(도광체), 광확산성 필름 등의 광학 소자, 가로등 커버, 차량용 및 건재용 유리 등에 있어서의 유리 대체 용도에 적합하다.

Claims (5)

  1. (A)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60~99질량% 및 (B) 스타이렌계 수지 1~40질량%로 이루어지는 수지 혼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C) 상용화제를 1~30질량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상용화제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방향족계 바이닐 단량체 단위 및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단위로부터 구성되는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화학식 I]
    Figure 112009052921495-PCT00015
    [화학식 II]
    Figure 112009052921495-PCT00016
    [식중, R1은 할로젠 원자, 탄소 원자, 산소 원자 및 규소 원자로부터 선택되 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a는 0~5의 정수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1~3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하기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단, R1이 복수 있는 경우는 그들은 서로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다.]
    [화학식 III]
    Figure 112009052921495-PCT00017
    [식중, R4는 할로젠 원자, 탄소 원자, 산소 원자 및 규소 원자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치환기를 나타내고, b는 0~5의 정수를 나타낸다. 단, R4가 복수 있는 경우는 그들은 서로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이렌계 수지가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스타이렌계 (공)중합체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스타이렌계 (공)중합체가 스타이렌의 단독 중 합체 또는 스타이렌과 p-메틸스타이렌의 공중합체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광학용 성형체.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광확산층을 갖는 광확산성 필름.
KR1020097017976A 2007-03-01 2008-02-20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그 광학용 성형체 및 그 광확산 필름 KR200901178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51401 2007-03-01
JP2007051401A JP2008214429A (ja) 2007-03-01 2007-03-01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その光学用成形体及びその光拡散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884A true KR20090117884A (ko) 2009-11-13

Family

ID=39738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976A KR20090117884A (ko) 2007-03-01 2008-02-20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그 광학용 성형체 및 그 광확산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21886B2 (ko)
JP (1) JP2008214429A (ko)
KR (1) KR20090117884A (ko)
CN (1) CN101627087B (ko)
DE (1) DE112008000459T5 (ko)
TW (1) TW200902625A (ko)
WO (1) WO20081081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3275B2 (ja) * 2009-08-19 2013-09-04 住化スタイロンポリカーボネート株式会社 光学用レンズ
US20120245262A1 (en) * 2011-03-23 2012-09-27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carbonate composition with improved impact strength
US8691915B2 (en) 2012-04-23 2014-04-08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Copolymers and polymer blends having improved refractive indices
KR101654721B1 (ko) 2013-05-06 2016-09-13 롯데첨단소재(주)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CN106867219A (zh) * 2016-11-11 2017-06-20 青岛中新华美塑料有限公司 一种高耐热阻燃透明材料
CN109942850B (zh) * 2019-03-19 2021-10-26 深圳市新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改性pmma光学薄膜
CN113388219B (zh) * 2021-06-30 2022-12-27 新纶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薄膜材料、柔性防爆膜及其制备方法、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4916A (en) * 1992-09-30 1994-02-08 Istituto Guido Donegani S.P.A. Block copolymers containing polyaromatic(alkyl)methacrylates and their blends with polycarbonates
JP2000086847A (ja) * 1998-09-09 2000-03-28 Asahi Chem Ind Co Ltd 耐油性樹脂組成物
JP2000086844A (ja) * 1998-09-10 2000-03-28 Asahi Chem Ind Co Ltd 耐油性に優れた難燃樹脂組成物
US6306537B2 (en) * 1998-12-29 2001-10-23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Impact modified polystyrene seals for galvanic cells
DE60206575T2 (de) 2001-08-30 2006-07-13 Teijin Chemicals Ltd. Flammhemmende aromatische Polycarbonatharzzusammensetzung und daraus hergestellte Formmassen
US6908202B2 (en) * 2002-10-03 2005-06-21 General Electric Company Bulk diffuser for flat panel display
JP4198458B2 (ja) 2002-12-27 2008-12-17 出光興産株式会社 芳香族系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4216581B2 (ja) 2002-12-27 2009-01-28 出光興産株式会社 芳香族系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WO2006006390A1 (ja) * 2004-07-07 2006-01-19 Seiko Epson Corporation ソーラー時計用文字板および時計
JP2006249288A (ja) * 2005-03-11 2006-09-21 Teijin Chem Ltd 光拡散性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4866010B2 (ja) * 2005-03-15 2012-02-01 帝人化成株式会社 難燃性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4817681B2 (ja) * 2005-03-15 2011-11-16 帝人化成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4914027B2 (ja) * 2005-06-08 2012-04-11 出光興産株式会社 光拡散性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および同樹脂組成物を用いた光拡散板
JP2007039490A (ja) * 2005-08-01 2007-02-15 Mitsubishi Rayon Co Ltd 流動性向上剤、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21886B2 (en) 2012-07-17
US20100105846A1 (en) 2010-04-29
DE112008000459T5 (de) 2010-01-21
WO2008108173A1 (ja) 2008-09-12
CN101627087A (zh) 2010-01-13
JP2008214429A (ja) 2008-09-18
TW200902625A (en) 2009-01-16
CN101627087B (zh)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9585B2 (ja) 流動性向上剤、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KR20090117884A (ko)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그 광학용 성형체 및 그 광확산 필름
KR101004730B1 (ko) 광학용 면상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6284483B2 (ja) メタクリル樹脂組成物
US20090207496A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for Light Diffusion Plates, and Light Diffusion Plate
TWI683831B (zh) 由丙烯酸系嵌段共聚物所構成之樹脂組成物及成形體以及光學構件
JP4759245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系光拡散性樹脂組成物
KR20040079118A (ko) 투명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5261921B2 (ja) 光拡散板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光拡散板
JP7079212B2 (ja) アクリル系ブロック共重合体と光拡散剤を含む樹脂組成物
WO2002016498A1 (fr) Composition de resine de polycarbonate aromatique et articles moules a partir de cette derniere
WO2001044372A1 (fr) Composition de resine thermoplastique a effet amortissant et articles moules
JP5230011B2 (ja) 透明プラスチック基板
TW200940633A (en) Light dispersion plate and resin combination thereof
JP2006257299A (ja) 光拡散性樹脂組成物
WO1998018836A1 (fr) Polymere faiblement birefringent, procede de production et lentille de lecture optique
JP2007153959A (ja) 光拡散板用樹脂組成物及び光拡散板
KR100524319B1 (ko) 광반사 특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
WO2021132001A1 (ja) 光拡散板及び直下型面光源ユニット
KR20230036250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07207821A (zh) 树脂组合物
JP2008174694A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原反
KR20100025220A (ko) 광확산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확산판, 백라이트장치,액정표시장치 및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