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4319B1 - 광반사 특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 - Google Patents

광반사 특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319B1
KR100524319B1 KR10-1999-0003792A KR19990003792A KR100524319B1 KR 100524319 B1 KR100524319 B1 KR 100524319B1 KR 19990003792 A KR19990003792 A KR 19990003792A KR 100524319 B1 KR100524319 B1 KR 100524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tyrene
rubber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5265A (ko
Inventor
정한수
이계홍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03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319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3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은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99 중량부, (B) 고무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1∼50 중량부, (C)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 0∼30 중량부, 및 구성성분 (A), (B), (C)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D) 평균입자크기가 0.15∼0.25㎛인 루타일 타입(Rutile Type)의 결정구조를 가지는 티타늄다이옥사이드 5∼20 중량부, (E) 인산에스테르 2∼20 중량부, (F)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0∼2 중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 특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무기질이나 다른 형태의 티타늄다이옥사이드를 사용한 것에 비해 광반사특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하여 LCD패널의 배면광유니트(Backlight Unit)의 반사판 또는 프레임등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광반사 특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HIGH REFLECTANCE AND IMPACT MODIFI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전기 전자 제품, 그 중에서도 LCD(Liquid Cristal Display)의 배면광 유니트(Backlight Unit)의 반사판 또는 프레임에 이용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루타일 타입(Rutile type)의 티타늄다이옥사이드를 사용함으로써 광반사특성 및 박육성형을 위한 고유동성과 충격강도를 향상시킨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여 전기전자 제품 및 자동차 부품 등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나 그 자체로는 노치(Notch) 충격강도가 낮고 가공성이 좋지 않은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가공성과 노치 충격강도를 개선하기 위해 다른 종류의 수지와 블렌드(blend)하여 사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PC/ABS 블렌드는 높은 노치 충격강도를 유지하며 가공성을 향상시킨 수지 혼합물로 통상 노트북 컴퓨터 또는 일반 LCD모니터 또는 액정 TV, 캠코더, 디지탈 카메라, 게임기,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LCD 부품으로 사용된다.
LCD(Liquid Crystal Display)란 고체와 액체의 중간상태 물질인 액정에 전계를 가할 경우 나타나는 일정한 방향성의 성질과 셀(Cell)내에서 발생하는 광학적 굴절율의 변화를 이용하여 문자, 도형, 그래픽 등을 표시하도록 한 시각정보 전달 장치로서 고도의 정보화 시대를 여는 차세대 핵심 전자부품의 일종이다.
이 LCD는 다소간의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글래스 스페이서(Glass substrate), 투명전극(Transparent electrode), 액정(Liquid Crystal), 칼라필터(Color filter)로 이루어진 LCD판넬 부분과; 여기에 배면광원(Backlighting)을 제공하기 위한 반사판(Reflector), 형광램프(Lamp assy), 도광판(Light Guide Panel), 확산판(Diffision Sheet), 프리즘(Prism Sheet)과; 이 전체를 지지하면서 반사판의 기능을 가지는 배면광 프레임(Backlight Frame)으로 이루어진 배면광유니트(Backlight Unit)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중 배면광 프레임(Backlight Frame)에 적용되는 조성물은 배면광을 손실없이 반사시킬 수 있는 높은 광반사율과 두께가 얇으면서도 프레임의 기능을 위해 고유동성과 고충격성이 요구되며 배면광의 발열에 견딜 수 있는 내열도와 치수안정성 및 난연성을 갖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LCD의 배면광(Backlight)은 그 파장대가 가시광선의 영역인 380nm∼720nm의 파장을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파장을 가지는 광원을 손실없이 반사시키기 위해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백색으로 착색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백색안료로서는 공기중 굴절률이 가장 큰 수치를 나타내는 티타늄다이옥사이드(TiO2)가 가장 우수한 백색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티나늄다이옥사이드의 사용량을 통상 사용하는 범위, 즉 약 3%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원하는 수준의 광반사율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배면광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수준의 광반사율을 가지는 수지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적어도 약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을 첨가해야만 하는데 이 경우에도 높은 수준의(약 90%이상)광반사율을 발휘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또한 백색안료로 사용되는 티타늄 다이옥사이드(TiO2)로 인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분해현상이 심하게 발생하여 열안정성 및 충격강도가 급격히 저하하는 등 제조 공정상 어려움이 많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고무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스티렌계 함유 공중합체, 루타일계 티타늄다이옥사이드, 인산 에스테르,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적정 비율 사용하여 각종 LCD부품의 배면광 프레임(Backlight Frame)에 이용할 수 있는 광반사 특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은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99 중량부,
(B) 고무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1∼50 중량부,
(C)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 0∼30 중량부,
(D) 구성성분 (A), (B), (C)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평균입자크기가 0.15∼0.25㎛인 루타일 타입(Rutile Type)의 결정구조를 가지는 티타늄다이옥사이드 5∼20 중량부,
(E) 인산에스테르 2∼20 중량부, 및
(F)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0∼2 중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 특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각 성분인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고무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C) 스티렌계 함유 공중합체, (D) 티타늄다이옥사이드, (E) 인산 에스테르, (F)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의 구성성분인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는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는 2가의 페놀화합물과 포스겐 또는 탄산디에스테르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수지이다.
상기 화학식에서 A는 단일 결합, C1∼C5의 알킬렌, C2∼C5의 알킬리덴, C5∼C6의 사이클로알킬리덴, -S- 또는 -SO2-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해당되는 적절한 디페놀로는 하이드로퀴논, 레조르시놀,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하드록시페닐) 사이클로헥산 등이 있다.
그리고, 공업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A라고 불리는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으로,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는 많은 문헌에서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포스겐과 상기 디페놀이 계면에서 혹은 균일상에서 반응하여 제조되는 것이다.
또한, 특정 분자량의 폴리카보네이트는 페놀, 파라크레졸, 파라이소옥틸페놀 등의 모노페놀을 연쇄 종결제(chain terminator)로 하여 그 사용량을 조정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폴리카보네이트의 분자량(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50,000 이며 바람직하게는 15,000∼30,000이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는 단일한 디페놀의 호모폴리머 및 공중합체 모두 사용가능하다.
(B) 고무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무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B)는 고무개질 중합체 5∼95 중량%에 스티렌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로 구성된 혼합물을 95∼5 중량% 그라프트시킨 코어-쉘형 공중합체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고무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B,1) (B,1,1) 스티렌, 알파 메틸스티렌, 핵치환 스티렌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 1종 혹은 이들의 혼합물 50∼100중량%와 (B,1,2)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무수말레인산 및 N-치환 말레이미드 중 1종 혹은 이들의 혼합물 50∼0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로 (B)전체중량의 5∼95%;(B,2) 유리전이온도가 -10℃이하인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스티렌 고무, 폴리이소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단량체 삼원공중합체(EPDM), 폴리오가노실록산과 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중 1종 혹은 이들의 혼합물로 (B)전체중량의 95∼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무개질 중합체는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스티렌 고무, 폴리이소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단량체 삼원공중합체(EPDM), 폴리오가노 실록산과 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복합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고무 입자의 평균 크기는 충격강도 및 외관을 고려하여 0.05 내지 4㎛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고무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B)에서 사용된 스티렌 단량체로는 스티렌, 알파 메틸스티렌, 핵치환 스티렌, 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이고,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무수말레인산, N-치환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이다.
상기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유화중합, 현탁중합, 용액중합, 또는 괴상중합법 중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한 제조방법으로는 고무질 중합체의 존재하에 상기에서 설명한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투입하여 중합 개시제로 유화중합 또는 괴상중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스티렌계 함유 공중합체
본 발명의 스티렌계 함유 공중합체(C)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핵치환 스티렌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95중량부 및 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아크릴레이트,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 및 N-치환 말레이미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5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이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 수지(C)는 통상의 중합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현탁중합 또는 괴상중합으로 중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D) 티타늄다이옥사이드(TiO2)
티나늄다이옥사이드는 결정형태에 따라 아나타제(Anatase:銳錐石)와 루타일(Rutile:金紅石)형으로 분류되는데 본 발명에 사용한 티타늄다이옥사이드는 Rutile 형이 바람직하며 입자크기가 0.15∼0.25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유는 후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더 구체화 될 것이지만 루타일 타입이 광반사특성 및 충격강도가 더욱 우수하기 때문이다.
(E) 인산 에스테르
본 발명에 사용한 난연제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는 인산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여기서, R1, R2, R4,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는 C6∼C20 아릴기 또는 알킬기가 1∼3개 치환된 C6∼C20 아릴기, R3는 아릴렌, M은 0∼5 범위의 실수이다.
상기 화학식에서 M이 0인 경우의 화합물은 통상의 단분자형 인계 난연제이며, M이 0보다 큰 경우의 화합물은 올리고머 형태의 인계 난연제이다. 즉, 본 발명에 이용된 인계 난연제에는 통상적으로 M이 0내지 5까지의 값을 갖는 화합물이 공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R1, R2, R4, R5에는 C6∼C20 아릴기 또는 알킬기가 1∼3개 치환된 C6∼C20 아릴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고 R3는 레조르시놀, 히드로퀴놀, 비스페놀 A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산 에스테르의 예로는 트리페닐포스페이트,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t-부틸, 이소프로필기가 치환된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혼합물, 레조르시놀디포스페이트, 비스페놀-A형 올리고머형 인산에스테르, 트리(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트리(4-메틸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디페닐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트리자이레닐포스페이트, 자이레닐디페닐포스페이트의 단분자형 또는 올리고머형태의 인산 에스테르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F)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본 발명에서 사용한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종래의 이용가능한 수지로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비닐리덴플루오로라이드의 공중합체 및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가 있다. 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을 혼합한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연소시에 적하방지를 위해서 수지와 함께 혼합하여 압출시킬 때 수지내에 섬유상 그물을 형성하며 연소시에 수지의 흐름점도를 저하시키고 수축율을 증가시켜서 수지의 적하현상을 방지한다.
에멀젼 상태의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면 전체 수지에 대하여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분산성은 양호하나, 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 있다. 플루오르계 수지의 사용량은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각각의 용도에 따라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를 첨가한 후 통상의 혼합기에서 혼합한다. 이 혼합물을 압출기를 통하여 펠렛형태의 수지로 제조하여 성형에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에서 사용된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고무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C)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D) 티타늄다이옥사이드, (E) 인산에스테르, (F)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량평균 분자량(MW) 10,000∼200,000, 바람직하기로는 20,000∼80,000의 비스페놀 A형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였다.
(B) 고무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g-ABS)
단량체 전체에 대하여 부타디엔 함량이 45중량부가 되도록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를 투입하고 스티렌 36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14중량부 및 탈이온수 150중량부의 혼합물에 필요한 첨가제인 올레인산 칼륨 1.0중량부,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0.4중량부, 머캅탄계 연쇄이동제 0.3중량부를 부가시켜 5시간 동안 75℃로 유지하여 반응을 완료한 후 g-ABS 라텍스를 제조하였다. 이 결과인 중합체 라텍스를 1% 황산용액에 부가시키고 응고후 건조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를 분말상태로 제조하였다.
(C)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 수지(SAN)
스티렌 7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30 중량부 및 탈이온수 120 중량부의 혼합물에 필요한 첨가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 중량부와 트리칼슘포스페이트 0.5 중량부를 첨가한 후 현탁중합하여 SAN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 공중합체를 수세, 탈수 및 건조시켜 분말 상태의 SAN 공중합체 수지를 얻었다.
(D) 티타늄다이옥사이드
Rutile Type이며 입자크기가 0.15∼0.25μ인 티타늄다이옥사이드를 사용하였다.
(E) 인산에스테르
통상 사용하는 레조르시놀디포스페이트(RDP: Resorcinol Di Phosphate)를 사용하였다.
(F)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평균 입자크기가 10∼50㎛인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 fluoroethylene)을 사용하였다.
상기 각 성분을 표 1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혼합하고 산화방지제, 열안정제를 첨가한 후 통상의 혼합기에서 혼합한 뒤 L/D=29, φ=45mm인 이축압출기에 투입하였다. 이 혼합물을 압출기를 통하여 펠렛형태의 수지조성물로 제조하고 사출온도 250℃에서 시편을 제조한 뒤 23℃, 상대습도 50%에서 40시간 방치한 후 ASTM에 따라 물성을 측정하고 UL94 방법에 따라 난연도를 측정하였으며, 광반사율은 미노타(MINOTA)사의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조성은 표 1과 같다. 즉, 실시예 1∼5는 인산에스테르를 사용한 난연 PC/ABS에 Rutile Type 티타늄다이옥사이드를 혼합 사용한 수지조성물이고, 비교예 1∼5는 인산에스테를 사용한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단독 수지 조성에 Anatase Type 티타늄다이옥사이드, 탄산칼슘(CaCO3), 황산아연(ZnSO4)을 혼합 사용한 수지조성물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조성물의 충격강도, 광반사율 및 난연도를 표 1에 함께 나타내었고, 표 2에서는 각 파장별 상세 데이터를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실시예
1 2 3 4 5 1 2 3 4 5
조성 (A)폴리카보네이트 (PC) 84 80 75 80 70 97 90 80 80 80
(B)그라프트공중합체 (g-ABS) 10 10 10 3 10 - - 10 10 10
(C)공중합체 수지 (SAN) - - - - 10 - - - - -
(D)백색안료 (White Pigment) 6 10 15 10 10 3 10 10 10 10
종류 Rutile Type TiO2 AnataseTiO2 CaCO3 ZnSO4
(E)RDP 5 5 5 5 10 5 5 5 5 5
(F)불소화 폴리 올레핀(PTFE)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충격강도(kgf.cm/cm) 60 55 50 50 40 30 10 50 30 30
광반사율 @ 700 nm 92.5 94.6 95.4 94.1 95.0 88.7 92.9 87.4 74.9 75.7
난연도(UL94) V-0
실시예 비교실시예
1 2 3 4 5 1 2 3 4 5
광반사율% 400 nm 45.5 46.4 46.6 45.9 46.6 44.1 45.8 54.2 44.3 43.7
450 nm 86.2 88.0 88.5 86.9 88.4 78.4 83.6 79.5 68.4 68.5
500 nm 88.9 90.8 92.0 89.8 91.4 82.4 86.8 84.3 70.3 71.6
550 nm 90.2 92.3 93.1 91.5 93.0 85.5 89.0 86.4 72.7 73.2
600 nm 91.4 93.3 94.4 92.5 93.9 86.8 90.7 87.2 74.2 75.4
650 nm 92.1 94.0 95.3 93.4 94.4 87.3 91.9 87.5 75.4 75.2
700 nm 92.5 94.6 95.4 94.1 95.0 88.7 92.9 87.4 74.9 75.7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산에스테르를 사용한 난연 PC/ABS 기초수지에 Rutile Type의 티타늄다이옥사이드를 혼합한 수지조성물이 인산에스테를 사용한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단독 기초수지에 첨가한 경우 또는 Anatase Type 티타늄다이옥사이드나 기타 무기물을 사용한 경우보다 광반사율 및 충격강도가 우수하게 된다.

Claims (4)

  1. (A)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은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50∼99 중량부,
    (B) 고무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 1∼50 중량부,
    (C)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 0∼30 중량부, 및
    구성성분 (A), (B), (C)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D) 평균입자크기가 0.15∼0.25㎛인 루타일 타입(Rutile Type)의 결정구조를 가지는 티타늄다이옥사이드 5∼20 중량부, (E) 인산에스테르 2∼20 중량부, (F)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0∼2 중량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 특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개질 스티렌 함유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B,1)
    (B,1,1) 스티렌, 알파 메틸스티렌, 핵치환 스티렌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 1종 혹은 이들의 혼합물 50∼100중량%와
    (B,1,2)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무수말레인산 및 N-치환 말레이미드 중 1종 혹은 이들의 혼합물 50∼0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로 (B)전체중량의 5∼95%;
    (B,2) 유리전이온도가 -10℃이하인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스티렌 고무, 폴리이소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단량체 삼원공중합체(EPDM), 폴리오가노실록산과 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중 1종 혹은 이들의 혼합물로 (B)전체중량의 95∼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 특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 함유 공중합체(C)는 (C.1)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및 핵치환스티렌, 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95중량부와 (C.2)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광반사 특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에스테르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는 것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 특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화학식 2
    (M은 0∼5 범위의 실수, R1, R2, R4, R5에는 C6∼C 20 아릴기 또는 알킬기가 1∼3개 치환된 C6∼C20 아릴기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 R3는 아릴렌이다)
KR10-1999-0003792A 1999-02-04 1999-02-04 광반사 특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 KR100524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792A KR100524319B1 (ko) 1999-02-04 1999-02-04 광반사 특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792A KR100524319B1 (ko) 1999-02-04 1999-02-04 광반사 특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265A KR20000055265A (ko) 2000-09-05
KR100524319B1 true KR100524319B1 (ko) 2005-10-26

Family

ID=19573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792A KR100524319B1 (ko) 1999-02-04 1999-02-04 광반사 특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43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907B1 (ko) * 2005-12-30 2007-04-10 제일모직주식회사 광반사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735B1 (ko) * 1999-12-30 2005-08-26 제일모직주식회사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00405320B1 (ko) * 2000-12-21 2003-11-12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
KR100730053B1 (ko) * 2005-10-21 2007-06-20 주식회사 삼양사 우수한 내스플레이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계수지 조성물
KR100823830B1 (ko) * 2007-03-08 2008-04-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Lcd 백라이트용 광확산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7353A (ja) * 1991-01-24 1992-11-25 Bayer Ag 熱可塑性成形組成物
JPH07242810A (ja) * 1994-03-08 1995-09-19 Mitsubishi Gas Chem Co Inc 難燃性樹脂組成物
JPH0812869A (ja) * 1994-07-01 1996-01-16 Sumitomo Dow Ltd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970042797A (ko) * 1995-12-09 1997-07-26 전성원 수지 조성물
KR19990016861A (ko) * 1997-08-20 1999-03-15 유현식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9990033150A (ko) * 1997-10-23 1999-05-15 유현식 난연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7353A (ja) * 1991-01-24 1992-11-25 Bayer Ag 熱可塑性成形組成物
JPH07242810A (ja) * 1994-03-08 1995-09-19 Mitsubishi Gas Chem Co Inc 難燃性樹脂組成物
JPH0812869A (ja) * 1994-07-01 1996-01-16 Sumitomo Dow Ltd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970042797A (ko) * 1995-12-09 1997-07-26 전성원 수지 조성물
KR19990016861A (ko) * 1997-08-20 1999-03-15 유현식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9990033150A (ko) * 1997-10-23 1999-05-15 유현식 난연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907B1 (ko) * 2005-12-30 2007-04-10 제일모직주식회사 광반사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265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582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US6022917A (en)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KR100405320B1 (ko) 내충격성 및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조성물
EP1541632A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KR20080063052A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CN101351503A (zh) 具有良好光反射性和良好阻燃性的聚碳酸酯树脂组合物
EP1969057A1 (en)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having good impact, high heat resistance
KR100650910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425984B1 (ko) 내충격성이우수한난연성을갖는폴리카보네이트계열가소성수지조성물
KR10027814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471388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EP2743300B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KR101277725B1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90081630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557541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US8314168B2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s
KR100524319B1 (ko) 광반사 특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
KR100456484B1 (ko) 난연성을갖는폴리카보네이트계열가소성수지조성물
CN113614178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及成型体
KR20180072378A (ko)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00198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0510735B1 (ko) 광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KR101820245B1 (ko) 난연 및 유동성이 개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H07188539A (ja) 共重合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JP2002194100A (ja) (半)透明難燃性薄肉樹脂成形品およ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